KR20220110526A - 작용제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작용제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526A
KR20220110526A KR1020227022309A KR20227022309A KR20220110526A KR 20220110526 A KR20220110526 A KR 20220110526A KR 1020227022309 A KR1020227022309 A KR 1020227022309A KR 20227022309 A KR20227022309 A KR 20227022309A KR 20220110526 A KR20220110526 A KR 2022011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gent
piston
tube
dist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토마스 파브로
스탠 로버트 길버트
제니퍼 마게
앤드류 픽
매튜 라플라카
제니퍼 골든
제니퍼 웰레안
트라비스 헨치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5/0029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to least one lumen loca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catheter, e.g. slots, flaps, valves, cuffs, apertures, notches, grooves or rapid exchange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61B2017/00495Surgical glue applicators for two-component gl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7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side-by-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61M2025/0039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characterized by lumina being arranged coax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Guide wires having a lumen for drug delivery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16Design of handles or shafts or gripping surfaces thereof for manipulating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4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의료 장치는 손잡이 및 손잡이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제1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챔버 및 제2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 및 제2 챔버 각각은 외피의 원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는 또한 제1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2 피스톤 그리고 손잡이로부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 각각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제1 작용제는 제1 챔버 내에 유지될 수 있고 제2 작용제는 제2 챔버 내에 유지된다. 손잡이가 제2 구성에 있을 때, 제1 작용제는 제1 챔버로부터 방출되어 제2 작용제와 혼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용제 전달 장치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2019년 12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942,887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작용제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작용제를 내시경으로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용제는 내시경 시술과 같은 의료 시술 동안 전달될 수 있다. 내시경 시술 동안, 사용자는 내시경의 외피를 환자의 신체 내강 내에 삽입한다. 사용자는 시술 동안 내시경을 제어하기 위해 내시경의 손잡이를 이용한다. 도구가 내시경의 원위 단부 부근의 시술 부위에 처치를 전달하기 위해 예를 들어 손잡이의 포트를 통해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과한다. 시술 부위는 조작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내시경 시술 동안, 작용제가 내시경의 작업 채널 내에 삽입된 장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작용제가 장치의 근위 단부에서 포트를 통해 장치에 도입되면, 작용제 중 일부는 장치의, 작업 채널 내의 부분 내에 보유될 수 있고, 시술 부위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장치 내에 잔여 작용제를 남기지 않으면서 작용제의 전체 또는 거의 전체를 전달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작용제 전달 장치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는, 특히, 작용제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 각각은 개시된 예와 함께 설명되는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의료 장치는 손잡이 및 손잡이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제1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챔버 및 제2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 및 제2 챔버 각각은 외피의 원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는 또한 제1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2 피스톤 그리고 손잡이로부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 각각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제1 작용제는 제1 챔버 내에 유지될 수 있고 제2 작용제는 제2 챔버 내에 유지된다. 손잡이가 제2 구성에 있을 때, 제1 작용제는 제1 챔버로부터 방출되어 제2 작용제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의료 장치 중 임의의 것은 이하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챔버는 제1 챔버 내에 배치되는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튜브의 벽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의 최원위 단부는 외피의 최원위 단부의 개구로부터 근위일 수 있다. 튜브의 중심 길이방향 축은 제1 챔버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대략 동축일 수 있다. 제1 피스톤은 외주부 및 내주부를 가질 수 있다. 제2 피스톤은 제1 피스톤의 내주부의 형상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외주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작동 요소는 내강을 형성하는 튜브일 수 있다. 제2 작동 요소는 내강 내의 와이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는 손잡이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근위 단부 및 제2 피스톤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원위 단부를 갖는 제1 가요성 작동 요소 그리고 손잡이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근위 단부 및 제2 피스톤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원위 단부를 갖는 제2 가요성 작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 요소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작동 요소는 와이어 또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 요소의 와이어는 제2 작동 요소의 튜브의 내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는 제1 챔버로부터의 제1 작용제의 방출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는 공압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챔버에는 제1 작용제가 사전 장입될 수 있다. 제2 챔버에는 제2 작용제가 사전 장입될 수 있다. 외피의 원위 부분은 외피의 잔여부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의료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손잡이로부터 연장되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의 원위 부분은 제1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챔버 및 제1 챔버 내에 배치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는 제2 챔버를 형성하는 내부 내강을 가질 수 있다. 튜브의 벽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의 원위 부분은 액추에이터로부터 제1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2 피스톤 각각으로 힘을 동작적으로 전달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멍 각각은 적어도 1개의 작동 요소가 힘을 수용하지 않을 때에 제2 작용제로부터 제1 작용제를 격리하고 적어도 1개의 작동 요소가 힘을 수용할 때에 제1 작용제와 혼합되도록 복수의 구멍을 통해 제2 챔버로부터 제2 작용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의료 장치 중 임의의 것은 이하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요소는 와이어, 튜브 또는 유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는 제1 작동 요소일 수 있다. 의료 장치는 제2 작동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작동 요소는 와이어 또는 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의료 장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손잡이로부터 연장되는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제1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챔버 및 제2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챔버 및 제2 챔버 각각은 외피의 원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는 또한 제1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2 피스톤; 및 액추에이터로부터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 중 적어도 하나에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의료 장치 중 임의의 것은 다음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챔버는 제1 챔버 내에 배치되는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튜브의 반경방향 벽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 모두가 단지 예시적 및 설명적인 것이고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제한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되며, 따라서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러한 요소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하지 않거나 명백히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어 "예시적"은 "이상적"이 아니라 "예"의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원위"는 조작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하고, 용어 "근위"는 조작자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용어 "대략" 또는 유사 용어(예를 들어, "실질적으로")는 언급된 값의 +/-10%의 값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예를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개시내용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작용제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4b는 도 1의 작용제 전달 장치의 예시적인 원위 단부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예시적인 작용제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j는 다른 예시적인 작용제 전달 장치를 도시한다.
작용제 전달 장치는, 작용제가 치료 부위로 전개된 후에 전달 장치 내에 잔류하는 작용제의 양이 최소이고 작용제의 낭비가 회피되도록, 전달 장치의 원위 단부에서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단일 성분 작용제 또는 다중 성분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중 성분 작용제의 경우에, 전달 장치는 장치로부터의 전달 전에 성분의 혼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용제를 전달하도록 전달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들 기구는 공압, 와이어, 튜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전달 장치(10)를 도시한다. 전달 장치(10)는 손잡이(12)(조작 부분일 수 있음) 및 외피(14)(삽입 부분일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14)는 카테터(15) 또는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14) 또는 적어도 외피(14)의 구성요소(카테터(15) 등)는, 외피(14)가 구불구불할 수 있는 신체 내강 내의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전진될 수 있도록 가요성일 수 있다. 외피(14)의 단면 직경은 외피(14)가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전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내강(20)(도 2a 내지 도 4b 참조)은 카테터(15)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카테터(15)의 원위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외피(14)는 원위 부분(16)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부분(16)은 카테터(15)와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카테터(15)와 하나의 단일 구조물일 수 있다. 원위 부분(16)은 강성 또는 가요성일 수 있으며,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한 원위 부분(16)의 전진을 허용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원위 부분(16)은 카테터(15)의 원위 단부에 고정식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원위 부분(16)은, 예를 들어, 격실 내에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부분(16)은 도 2a 내지 도 4b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4b는 전달 장치(10)의 예시적인 원위 부분(16, 116, 21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원위 부분(16, 116, 216)의 특징은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가능한 경우,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유사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 2a 및 도 2b는 예시적인 원위 부분(16)을 도시한다. 원위 부분(16)은 작용제(32)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30)는 내강(20)을 형성하는 동일한 표면(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15)의 내측 표면은 원위 부분(16)이 카테터(15)와 하나의 단일 구조물인 구성에서 내강(20) 및 챔버(30)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챔버(30)는 다른 표면(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챔버(30)가 원위 부분(16)에 의해 형성된 내강의 전체 단면 폭을 점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챔버(30)는 원위 부분(16)의 하위 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 또는 유사한 구조물이 원위 부분(16)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챔버(30)가 튜브 또는 다른 구조물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개구(18)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작용제(32)가 개구(18)를 통과할 수 있도록 챔버(30)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피스톤(52)은 챔버(30)와 내강(20) 중 적어도 하나 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피스톤(52)은 작용제(32)가 피스톤(52)을 지나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부로 피팅될 수 있다. 피스톤(52)은 챔버(30) 내에서 근위방향으로 및/또는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12)(도 1)의 액추에이터(50)가 피스톤(52)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플런저 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은 대안적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액추에이터(50)는 노브, 버튼, 스위치, 레버, 슬라이더 또는 다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50)를 피스톤(52)에 동작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구가 아래에서 도 5a 내지 도 6j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작용제(32)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작용제일 수 있다. 작용제(32)는 겔, 액체, 분말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제(32)는 지혈제, 응고제, 약물 또는 다른 약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용제(32)는 원위 부분(16)에 사전 장입될 수 있다. 작용제(32)가 사전 장입되는 경우, 전달 장치(10) 또는 전달 장치(10)의 일부는 일회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원위 부분(16) 내로 작용제(32)를 장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제(32)는 피스톤(52)을 근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50)를 후퇴시킴으로써 원위 부분(16) 내로 장입될 수 있다. 원위 부분(16)은 얼마나 많은 작용제(32)가 원위 부분(16) 내에 장입되었는지 또는 그로부터 분배되었는지에 대한 마킹 또는 다른 지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부분(16)은, 격실(30) 내에 작용제(32)가 미리 장입된 원위 부분(16)이 사용 전에 재사용 가능한(또는 사용후폐기형) 카테터(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예컨대, 스레드, 스냅 끼워맞춤, 또는 다른 기구를 통해) 카테터(15)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작용제(32)가 개구(18)로부터 분배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위 부분(16)은 새로운 사전 장입된 원위 부분(16)으로 교체될 수 있다.
작용제(32)는 다양한 기구에 의해 챔버(30) 내에 보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용제(32)에 대한 공기 압력의 힘은 작용제(32)를 챔버(30) 내에 보유할 수 있다. 중력의 힘은 작용제(32)에 대한 공기 압력을 극복하지 못할 수 있고, 이는 작용제(32)가 챔버(30) 내에 보유되게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거가능한 장벽(90)이 개구(18)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장벽(9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용제(32)가 개구(18) 밖으로 전진될 때 천공되거나 달리 제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작용제(32)의 점도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0)가 조작될 때까지 작용제(32)가 개구(18)를 통과하지 않도록 충분히 높을 수 있다.
도 2a에서, 원위 부분(16)은 제1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a의 구성은 시술 부위에 임의의 작용제(32)를 투여하기 전의 원위 부분(16)의 구성일 수 있다. 작용제(32)는 피스톤(52)에 대해 원위인 챔버(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b에서, 피스톤(52)이 도 2a에 도시되는 위치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이동된 제2 구성으로 원위 부분(16)이 도시되어 있다. 제2 구성에서, 작용제(32)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되는 기구에 의해 원하는 부위에 투여될 수 있다. 피스톤(52)을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전이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50)가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도 5a 내지 도 6j 참조), 피스톤(52)을 원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플런저가 눌릴 수 있거나 다른 기구가 활성화될 수 있다. 피스톤(52)이 개구(18)를 향해서 원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피스톤(52)이 작용제(32)를 개구(18) 밖으로 밀어낼 수 있다. 피스톤(52) 및/또는 챔버(30)는 피스톤(52)이 완전히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때 작용제(32)의 모두 또는 대략 모두가 개구(18)를 거쳐 시술 부위로 또는 다른 챔버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용제(32)의 낭비를 회피하기 위해 시술 부위로 전달되기를 원하는 양의 작용제(32)만이 챔버(30) 내로 장입될 수 있다. 작용제(32)가 개구(18) 밖으로 밀려남에 따라, 작용제(32)의 힘(피스톤(52)으로부터 전달됨)은 개구(18)에 걸친 임의의 장벽(90)을 파괴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천공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원위 부분(16)의 임의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고 전달 장치(10)의 일부로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원위 부분(116)을 도시한다. 원위 부분(116)은 다중 성분 작용제의 혼합 및 혼합된 작용제의 시술 부위로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원위 부분(116)은 챔버(30)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챔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132)가 챔버(1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튜브(132)는 후술된 바와 같이 작용제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내부 내강을 가질 수 있다. 튜브(132) 및 챔버(130)는 동축/동심일 수 있거나 평행한 길이방향 축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튜브(132 및 130)의 길이방향 축은 서로 횡방향일 수 있다. 튜브(132)는 둥근 단면 형상 또는 대안적인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을 가질 수 있다. 튜브(132)는 적어도 튜브(132)의 반경방향 외벽이 복수의 구멍(134)을 포함하도록 천공될 수 있다. 구멍(134)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예를 들어,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멍(134)의 추가적인 상세가 이하에서 제공된다. 튜브(132)는 또한 선택적으로 원위 개구(도시되지 않음), 또는 구멍(134)을 갖거나 갖지 않는 원위방향 지향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분 작용제(136)가 챔버(130)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제2 성분 작용제(138)가 튜브(132)의 내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피스톤(154)이 챔버(130)(또는 내강(120))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피스톤(154)은 튜브(132)가 중앙 개구 내에 끼워지도록 중앙 개구를 갖는 와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피스톤(154)은 튜브(132)의 외면 주위로 이동가능하게 활주할 수 있다. 제2 피스톤(156)이 튜브(132)의 중앙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튜브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피스톤(156)이 제1 피스톤(154)의 중앙 개구와 정합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피스톤(154)은 튜브(132)의 외벽 및 챔버(130)의 내벽과 밀봉부를 형성하여 제1 성분 작용제(136)가 제1 피스톤(154)을 지나 근위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피스톤(156)은 제2 성분 작용제(138)가 제2 피스톤(156)을 지나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튜브(132)의 내벽과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피스톤(154)의 외주부는 튜브(132)의 벽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피스톤(154)의 내주부는 튜브(132)의 외면 및 제2 피스톤(156)의 외주부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구성에서,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튜브(132)(구멍(134)을 포함함) 및 피스톤(154, 156)은, 제1 성분 작용제(136)가 챔버(130) 내에(그리고 튜브(132)의 외부에) 보유될 수 있고 제2 성분 작용제(138)가 튜브(132) 내에 보유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 작용제(136, 138)에 대한 공기 압력의 힘은 성분 작용제(136, 138)를 성분(130) 및 튜브(132) 내에 각각 보유할 수 있다. 공기 압력은, 이러한 공기 압력이 중력의 힘을 초과하는 힘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성분 작용제(136, 138)를 보유할 수 있다. 구멍(134)은 작용제(138)의 표면 장력 또는 다른 힘이 구멍(134)을 통한 원하지 않는 누설 없이 튜브(132) 내에 제2 성분 작용제(138)를 보유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134)은, 피스톤(156)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까지 성분 작용제(136, 138)가 구멍(134)을 통과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튜브(132)의 벽을 통한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성분 작용제(136, 138)의 점도는 피스톤(156)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까지 성분 작용제가 구멍(134)을 통과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멍(134)은 또한 장벽(90)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이동가능한/제거가능한 장벽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챔버(130)는 또한, 장벽(90)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개구(118)에 있는 또는 그에 대해 근위의 장벽(19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멍(134)은 폭(예를 들어, 직경)이 대략 0.1 미크론 내지 2 밀리미터일 수 있다. 구멍(134)은 균일하거나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의 구멍(134)은 다양한 속도로 제2 성분 작용제(138)를 전달할 수 있다). 구멍(134)은 원형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인 형상(예를 들어, 타원형, 다각형, 슬릿 등)을 가질 수 있다. 원위 부분(16)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원위 부분(116)에는 성분 작용제(136, 138)가 사전 장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챔버(130) 및 튜브(132) 내에 성분 작용제(136, 138)를 각각 장입할 수 있다.
도 3b는 피스톤(154, 156)이 각각 챔버(130) 및 튜브(132)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전진된 원위 부분(116)의 제2 구성을 도시한다. 피스톤(154, 156)은 제1 성분 작용제(136) 및 제2 성분 작용제(138)의 의도된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156)이 튜브(152)를 통해 원위방향으로 전진됨에 따라, 제2 성분 작용제(138)는 구멍(134)을 통해 챔버(130) 내로 통과할 수 있다. 제1 성분 작용제(136)는 또한 피스톤(154)의 원위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튜브(152) 내에서 원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성분 작용제(136) 및 제2 성분 작용제(138)는 챔버(130) 내에 조합된 작용제(140)를 형성하도록 함께 혼합될 수 있다. 혼합은 튜브(132)의 원위 단부에 대해 원위인 챔버(130)의 빈 부분의 존재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132)의 원위 단부는 개구(118)에 대해 근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혼합은 그를 통과하는 튜브(132)를 포함하는 챔버(130)의 일부에서(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50)의 활성화 전에 제1 성분 작용제(136)가 비어 있는 챔버(130)의 일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은 장벽(190)에 대해 원위인 챔버(130)의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다. 피스톤(154) 및/또는 피스톤(156)의 원위방향 이동은 조합된 작용제(140)가 원위 개구(118)를 통과하게 하고 시술 부위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의 원위 부분(16)에서와 같이, 원위 부분(116)은 조합된 작용제(140)로 조합되는 제1 성분 작용제(136) 및 제2 성분 작용제(138)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의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부분(116)은 제1 성분 작용제(136) 및 제2 성분 작용제(138)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1개의 튜브(132) 및 1개의 챔버(130)를 도시하고 있지만, 1개 초과의 튜브(132) 또는 챔버(130)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이 요구되는 경우). 적절한 수의 대응하는 피스톤(예를 들어, 피스톤(152, 154))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전술된 원위 부분(16, 116)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다른 대안적인 원위 부분(216)을 도시한다. 원위 부분(216)은 다수의 하위 챔버(230a, 230b)를 갖는 챔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위 챔버(230a, 230b)는 챔버(230) 내에 수납된 튜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위 챔버(230a, 230b)는 하위 챔버(230a, 230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분할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하위 챔버(230a, 230b)는 챔버(230)의 내벽 및 분할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4a 및 4b는 2개의 하위 챔버(230a, 230b)를 도시하지만, 임의의 수의 적절한 하위 챔버(230a, 230b)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위 챔버(230a, 230b)는 서로 평행할 수 있거나 서로 횡방향일 수 있다. 각각의 하위 챔버(230a, 230b)는 그 원위 단부에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성분 작용제(236)가 제1 하위 챔버(230a)에 수용될 수 있고, 제2 성분 작용제(238)가 제2 하위 챔버(230b)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a 및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위 챔버(230a 및 230b)는 대략 동일한 크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하위 챔버(230a 및 230b)는 상이한 크기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성분 작용제(238)보다 더 많은 제1 성분 작용제(236)가 사용되도록 요구되는 경우에, 하위 챔버(230a)는 챔버(230b)보다 클 수 있다. 하위 챔버(230a, 230b)는 균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제1 성분 작용제(236) 및 제2 성분 작용제(238)의 원하는 혼합비를 달성하도록 설계되는 가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피스톤(252a)이 제1 하위 챔버(230a)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피스톤(252b)이 제2 하위 챔버(230a)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피스톤(252a)이 제1 하위 챔버(230a)의 내면(들)과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피스톤(252b)이 제2 하위 챔버(230b)의 내면(들)과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피스톤(252a)은 제2 피스톤(252b)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제1 피스톤(252a) 및/또는 제2 피스톤(252b)이 원위방향으로 전진됨에 따라, 제1 성분 작용제(236) 및/또는 제2 성분 작용제(238)는 각각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다. 제1 성분 작용제(236) 및 제2 성분 작용제(238)는 혼합되어 하위 챔버(230a, 230b)의 원위 개구에 대해 원위인 챔버(230)의 일부 내에 조합된 작용제(240)를 형성할 수 있다. 조합된 작용제(240)는 피스톤(252a, 252b)이 원위방향으로 전진됨에 따라 원위 개구(218)로부터 밀려나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b의 원위 부분(16, 116)에서와 같이, 원위 부분(216)은 조합된 작용제(240)로 조합되는 제1 성분 작용제(236) 및 제2 성분 작용제(238)의 모두 또는 실질적으로 모두의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부분(216)은 제1 성분 작용제(236) 및 제2 성분 작용제(238)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피스톤(252a, 252b)을 전진시키기 전에, 제1 성분 작용제(236) 및 제2 성분 작용제(238)는 도 2a 내지 도 3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기 압력의 힘 또는 성분 작용제(236, 238)의 점성으로 인해, 각각 하위 챔버(230a, 230b) 내에 보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멤브레인(290a, 290b)은 하위 챔버(230a, 230b)의 원위 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멤브레인(290)은 멤브레인(90)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멤브레인(도시되지 않음)이 또한 개구(218)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될 수 있고 멤브레인(90)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4a 및 4b는 2개의 하위 챔버(230a, 230b)를 도시하지만, 적절한 수의 대응하는 피스톤과 함께, 임의의 수의 하위 챔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6j는 도 2a 내지 도 4b에 도시되는 원위 부분의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기구를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도 5a 내지 도 6j의 특징이 도 2a 내지 도 4b의 원위 부분과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a 내지 도 4b의 원위 부분은 도 5a 내지 도 6j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구 이외의 기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특정 작동 기구가 전술한 특정 원위 부분에 대해 적절성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이러한 양립성은 제한적이지 않고, 원위 부분 및 작동 기구의 양태의 다양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가능한 경우, 대응하는 참조 번호가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5a 및 도 5b는 전달 장치(10)의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예시적인 전달 장치(300)의 단면을 도시한다. 전달 장치(300)는 손잡이(312)(예를 들어, 조작 부분) 및 외피(314)(예를 들어, 삽입 부분)를 가질 수 있다. 외피(314)는 카테터(315) 또는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내강(320)은 카테터(315)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카테터(315)의 원위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외피(314)는 또한 원위 부분(316)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부분(316)은 카테터(315)와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카테터(315)를 구비한 하나의 단일 구조물일 수 있다. 원위 부분(316)은 카테터(315)의 원위 단부에 고정식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원위 부분(316)은 작용제(332)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부분(316)은 전술된 원위 부분(16, 116, 216)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원위 부분(316)은 하나의 챔버(330)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챔버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챔버(330)는 원위 개구(318)에서 종결될 수 있다. 작용제(332)가 챔버(3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피스톤(352)은, 챔버(330) 내에서 활주가능할 수 있을 것이고, 도 2a 내지 도 4b와 관련하여 전술한 피스톤 중 임의의 것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예는 피스톤(352)이 챔버(330)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이동하게 하는 공압 작동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작동 기구는 아래에서 논의되는 도 6a 내지 도 6j의 작동 기구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a 및 도 5b의 작동 기구는 또한 원위 단부(16, 116, 216)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장치(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312)는 플런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350)는 스템(stem)(356)을 통해 피스톤(354)에 동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354)이 손잡이(312)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피스톤(354)은 또한 외피(314) 내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손잡이(312)는 피스톤(354)이 활주가능하게 배치되는 내강(322)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354)은 내강(322)의 표면과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내강(322)은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강(320)보다 큰 단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강(322)은 내강(320)과 동일한 단면 직경 또는 내강(320)보다 작은 단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내강(322)의 더 큰 단면은 장치(300)가 더 짧은 스템(356)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유체(370)는 피스톤(354)에 대해 원위에서 그리고 피스톤(352)에 대해 근위에서 내강(3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352, 354)은 피스톤(352)과 피스톤(354) 사이에 유체(370)를 보유하는 밀봉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플런저(350)가 눌리지 않고 작용제(332)가 개구(318)를 통해 분배되지 않은 제1 구성의 전달 장치(300)를 도시한다. 도 5b는 플런저(350)가 작용제(332)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318)를 통해 분배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눌린 제2 구성의 전달 장치(300)를 도시한다. 플런저(350)가 원위방향으로 눌림에/전진됨에 따라, 피스톤(354)은 대응하는(예를 들어, 등가의) 양만큼 전진될 수 있다. 플런저(350)는 유체(370)에 힘을 가하여 유체(370)를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유체(370)는 피스톤(352)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도 1 내지 도 4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318)를 통해 작용제(332)를 전진시킨다.
유체(370)는 비압축성일 수 있거나 또는 압축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370)가 비압축성인 경우, 플런저(350)가 눌림에 따라, 작용제(332)는 즉시 또는 대략 즉시 개구(318)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유체(370)가 압축성인 경우, 유체(370)가 압축됨에 따라, 플런저(350)의 누름과 개구(318)로부터의 작용제(332)의 분배 사이에 지연이 존재할 수 있다. 유체(370)는 임의의 적절한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370)는 생체 적합성일 수도 있고, 식염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작동 기구로서의 유체(370)의 사용은 외피(314)가 가요성이 될 수 있게 하여, 외피(314)가 내시경의 작업 채널 및 대상의 구불구불한 신체 내강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외피(314)의 이러한 가요성은 원위 부분(316) 내의 작용제(332)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여, 작용제(332)가 낭비되지 않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j는 대안적인 작동 기구를 도시한다. 도 6a는 전달 장치(10, 300)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전달 장치(400)를 도시한다. 전달 장치(400)는 손잡이(412)(예를 들어, 조작 부분) 및 외피(414)(예를 들어, 삽입 부분)를 가질 수 있다. 외피(414)는 카테터(415) 또는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내강(420)은 카테터(415)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카테터(415)의 원위 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 참조).
외피(414)는 또한 원위 부분(416)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부분(416)은 카테터(415)와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카테터(415)와 하나의 단일 구조물일 수 있다. 원위 부분(416)은 카테터(415)의 원위 단부에 고정식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원위 부분(416)은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부분(416)은 전술한 원위 부분(16, 116, 216, 316)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6c, 도 6e, 도 6f, 도 6h, 및 도 6j는 원위 부분(416)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원위 부분(464, 466, 468, 470, 472)을 도시한다. 원위 부분(464, 466, 468, 470, 472)의 특징은 원위 부분(16, 116, 216, 316)의 임의의 특징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대응하는 구조물은 유사한 도면 부호로 식별된다.
손잡이(412)는 손가락 고리(462)에 동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플런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450)는 내강(420) 내에 있는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412)는 또한 근위 엄지 고리(464)를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고리(462)를 손잡이(412)의 본체(465)에 걸쳐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키면 플런저(450)가 원위방향으로 전진되게 할 수 있다. 손잡이(412)의 특징부는 또한 전술한 손잡이(12, 31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플런저(450)는 도 6b 내지 도 6j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작동 기구에 동작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손가락 고리(462) 및 엄지 고리(464)를 포함하는 손잡이(464)의 특징부는 또한 전술한 장치(10, 3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되는 선 A-A를 따른 단면으로 제1 예시적인 작동 기구(481)를 도시하고, 도 6c는 도 6b의 작동 기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원위 부분(464)의 예시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기구는 외피(414)의 내강(420)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와이어(48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82)의 근위 부분은, 예를 들어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고정 기구를 통해 플런저(450)에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482)와 플런저(450)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82)의 원위 부분은 챔버(430)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이동가능할 수 있는 피스톤(452)에 동작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482)는 피스톤(452)에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482) 및 피스톤(452)은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82)는 니티놀, 스테인리스 스틸, 가요성 플라스틱, 폴리머, 편조 코일, 나일론-12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와이어(482)는 플런저(450)의 이동으로부터의 힘을 피스톤(452)에 전달하도록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482)는 외피(414)의 가요성을 억제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억제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히 가요성일 수 있다. 비록 "와이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와이어(482)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플런저(450)가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때, 와이어(482)는 힘 및/또는 운동을 피스톤(452)에 전달할 수 있고, 이는 피스톤(452)이 전진하게 하고, 이는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작용제의 분배를 야기할 수 있다.
도 6d는 도 6a에 도시되는 선 A-A를 따른 단면으로 다른 예시적인 작동 기구(483)를 도시한다. 도 6e 및 도 6f는 도 6d의 작동 기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원위 부분(466, 468)을 도시한다. 도 6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기구는 외피(414)의 내강(420) 내에 위치될 수 있는 튜브(484)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484)의 근위 부분은, 예를 들어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고정 기구를 통해 플런저(450)에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튜브(484) 및 플런저(450)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484)는 이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내강 또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기구(483)는 도 2a 및 도 2b의 원위 부분(16)과 유사한 원위 부분(466)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원위 부분(16)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원위 부분(466)은 하나의 챔버(430)를 포함할 수 있고, 피스톤(452)은 챔버(430)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튜브(484)의 원위 부분은 피스톤(452)에 동작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튜브(484)는 피스톤(452)에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튜브(484) 및 피스톤(452)은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484)는 플라스틱 재료, 니티놀, 가요성 폴리머, 편조 코일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튜브(484)는 플런저(450)의 이동으로부터의 힘을 피스톤(452)에 전달하도록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그러나, 튜브(484)는 외피(414)의 가요성을 억제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억제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히 가요성일 수 있다. 튜브(484)가 중공 중심 코어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튜브(484)는 또한 중실 단면, 격자형 단면, 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플런저(450)가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때, 튜브(484)는 플런저(450)로부터의 힘을 피스톤(452)에 전달할 수 있고, 이는 피스톤(452)이 전진되게 하여,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작용제의 분배를 야기할 수 있다.
도 6f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기구(483)는 대안적으로 도 4a 및 도 4b의 원위 부분(216)과 유사할 수 있고 그 특징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원위 부분(468)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원위 부분(468)은 제1 챔버(430a) 및 제2 챔버(4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스톤(452a)이 제1 챔버(430a)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피스톤(452b)이 제2 챔버(430b)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튜브(484)의 원위 부분은 제1 피스톤(452a) 및 제2 피스톤(452b)에 동작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튜브(484)는 제1 피스톤(452a) 및 제2 피스톤(452b)에 크림핑되거나, 납땜되거나, 접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튜브(484) 및 피스톤(452a, 452b)은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482)는 제1 챔버(430a)와 제2 챔버(430b) 사이에 제1 챔버(430a) 및 제2 챔버(430b)의 벽(들)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 또는 다른 특징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450)가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때, 튜브(484)는 플런저(450)로부터의 힘을 피스톤(452a, 452b) 양자 모두로 전달할 수 있고, 이는 피스톤(452a, 452b)이 전진하게 하며, 이는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작용제의 분배를 야기할 수 있다.
도 6g는 도 6a에 도시되는 선 A-A를 따른 단면으로 다른 예시적인 작동 기구(486)를 도시한다. 도 6h는 도 6g의 작동 기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원위 부분(470)의 예시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원위 부분(470)은 제1 챔버(430a) 및 제2 챔버(4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스톤(452a)이 제1 챔버(430a)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피스톤(452b)이 제2 챔버(430b)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g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기구(486)는 외피(414)의 내강(420)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와이어(482a 및 48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g는 2개의 와이어(482a 및 482b)를 도시하지만, 임의의 적절한 수의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와이어(482a, 482b)의 근위 부분은, 예를 들어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고정 기구를 통해 플런저(450)에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482a, 482b) 및 플런저(450)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482a 및 482b)는, 예를 들어 다수의 플런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와이어(482a)의 원위 부분은 제1 피스톤(452a)에 동작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482a)가 제1 피스톤(452a)에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482a) 및 제1 피스톤(452a)은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82b)의 원위 부분이 제2 피스톤(452b)에 동작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482b)가 제2 피스톤(452b)에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482b) 및 제2 피스톤(452b)은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482a, 482b)는 전술한 와이어(482)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플런저(450)가 원위방향으로 전진될 때, 와이어(482a)는 힘 및/또는 운동을 제1 피스톤(452a)에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는 피스톤(452a)이 전진하게 한다. 동시에 (와이어(482a, 482b)가 개별적으로 제어되지 않는 한), 와이어(482b)는 플런저(450)의 힘 및/또는 운동을 제2 피스톤(452b)에 전달할 수 있다. 플런저(450)를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작용제의 분배를 야기할 수 있다.
도 6i는 도 6a에 도시되는 선 A-A를 따른 단면으로 다른 예시적인 작동 기구(488)를 도시하고, 도 6j는 작동 기구(488)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원위 부분(472)의 예시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원위 부분(472)은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전술된 원위 부분(116)의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원위 부분(472)은 챔버(430) 및 튜브(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스톤(454)은 챔버(430)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피스톤(456)은 튜브(432)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i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동 기구(488)는, 외피(414)의 내강(420)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와이어(4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b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와이어(482)의 근위 부분은, 예를 들어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고정 기구를 통해 플런저(450)에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482)와 플런저(450)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기구(488)는 또한 외피(414)의 내강(420) 내에 또한 위치될 수 있고 도 6d 내지 도 6f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성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는 튜브(484)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484)의 근위 부분은, 예를 들어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고정 기구를 통해 플런저(450)에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튜브(484) 및 플런저(450)는 대안적으로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482) 및 튜브(484)는 개별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와이어(482)는 튜브(48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482)는 튜브(484)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동축일 수 있거나 또는 튜브(484)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
와이어(482)의 원위 부분은 제1 피스톤(456)에 동작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482)는 제1 피스톤(456)에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와이어(482) 및 제1 피스톤(456)은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484)의 원위 부분은 제2 피스톤(454)에 동작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튜브(484)는 제2 피스톤(454)에 크림핑, 납땜, 접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튜브(484) 및 피스톤(454)은 하나의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450)가 전진될 때, 와이어(482)는 플런저(450)로부터의 힘을 피스톤(456)에 전달할 수 있고, 튜브(484)는 플런저(450)로부터의 힘을 피스톤(454)에 전달할 수 있다. 플런저(450)를 원위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작용제의 분배를 야기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가 특정 용례에 대한 예시적인 예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지만, 개시내용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에 접근하는 사람은, 추가적인 변경, 용례, 및 균등물의 치환 모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Claims (15)

  1. 의료 장치이며,
    손잡이; 및
    손잡이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외피를 포함하고, 외피는,
    제1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챔버 및 제2 작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챔버로서, 제1 챔버 및 제2 챔버 각각은 외피의 원위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챔버 및 제2 챔버;
    제1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챔버 내에 수용되는 제2 피스톤; 및
    손잡이로부터의 힘을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 각각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를 포함하며;
    손잡이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제1 작용제는 제1 챔버 내에 유지되고 제2 작용제는 제2 챔버 내에 유지되며, 손잡이가 제2 구성에 있을 때 제1 작용제는 제1 챔버로부터 방출되어 제2 작용제와 혼합되는 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챔버는 제1 챔버 내에 배치되는 튜브에 의해 형성되는 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튜브의 벽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튜브의 최원위 단부는 외피의 최원위 단부의 개구로부터 근위인 의료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의 중심 길이방향 축은 제1 챔버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대략 동축인 의료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피스톤은 외주부 및 내주부를 가지며, 제2 피스톤은 제1 피스톤의 내주부의 형상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외주부를 갖는 의료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요소는 제1 피스톤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는 튜브이며, 튜브는 튜브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는, 손잡이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근위 단부 및 제2 피스톤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원위 단부를 갖는 제1 가요성 작동 요소, 및 손잡이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근위 단부 및 제2 피스톤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원위 단부를 갖는 제2 가요성 작동 요소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요소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작동 요소는 와이어 또는 튜브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작동 요소의 와이어는 제2 작동 요소의 튜브의 내강 내에 배치되는 의료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는 제1 챔버로부터의 제1 작용제의 방출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벽을 포함하는 의료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는 공압 유체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챔버에는 제1 작용제가 사전 장입되며, 제2 챔버에는 제2 작용제가 사전 장입되는 의료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피의 원위 부분은 외피의 잔여부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의료 장치.
KR1020227022309A 2019-12-03 2020-12-02 작용제 전달 장치 KR202201105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42887P 2019-12-03 2019-12-03
US62/942,887 2019-12-03
PCT/US2020/062811 WO2021113303A1 (en) 2019-12-03 2020-12-02 Agent delivery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526A true KR20220110526A (ko) 2022-08-08

Family

ID=7400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309A KR20220110526A (ko) 2019-12-03 2020-12-02 작용제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62175A1 (ko)
EP (1) EP4048361A1 (ko)
JP (1) JP2023504627A (ko)
KR (1) KR20220110526A (ko)
CN (1) CN115066268A (ko)
AU (1) AU2020395124A1 (ko)
CA (1) CA3163519A1 (ko)
WO (1) WO2021113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4251B2 (en) 2019-04-30 2023-01-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patch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0410A (en) * 1991-01-16 1994-11-01 Senetek Plc Safety syringe for mixing two-component medicaments
US6050986A (en) * 1997-12-01 2000-04-18 Scimed Life Systems, Inc. Catheter system for the delivery of a low volume liquid bolus
US8251946B2 (en) * 2000-08-24 2012-08-28 Cardiac Science, Inc. Method for constructing an instrument with a two-part plunger for subcutaneous implantation
US7455657B2 (en) * 2001-06-19 2008-11-2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odify a fluid using a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
US6663596B2 (en) * 2001-08-13 2003-12-16 Scimed Life Systems, Inc. Delivering material to a patient
WO2004047651A2 (en) * 2002-11-25 2004-06-10 Boston Scientific Limited Injection device for treating mammalian body
US20060062736A1 (en) * 2003-11-17 2006-03-23 Wright David D I Therapeutic foam
US8357147B2 (en) * 2005-08-17 2013-01-22 Spinal Restoration, Inc. Method for repairing intervertebral discs
WO2007089739A2 (en) * 2006-01-27 2007-08-09 Stryker Corporation Low pressure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 solid and liquid mixture into a target site for medical treatment
US20080021486A1 (en) * 2006-07-19 2008-01-2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ssue resection
US9039761B2 (en) * 2006-08-04 2015-05-26 Allergan, Inc. Ocular implant delivery assemblies with distal caps
US8137320B2 (en) * 2007-05-01 2012-03-20 Suros Surgical Systems, Inc. Securement for a surgical site marker and deployment device for same
US8894608B2 (en) * 2009-05-22 2014-11-25 Michael P. Connair Steroid delivery system
US20110146692A1 (en) * 2009-12-23 2011-06-23 Hologic, Inc. Implant Delivery Device
EP2555813B1 (en) * 2010-04-05 2019-08-07 Neomend, Inc. Apparatus for wound sealant application
US9629979B2 (en) * 2010-04-28 2017-04-25 Sanovas, Inc. Pressure/Vacuum actuated catheter drug delivery probe
EP2407194A1 (en) * 2010-07-12 2012-01-18 SOFIC (Sté Française d'Instruments de Chirurgie) Injection system for mixing two injectable compositions prior to injection
US8550087B2 (en) * 2010-11-05 2013-10-08 Hologic, Inc. Implant delivery device with expanding tip
BE1020761A3 (nl) * 2012-06-20 2014-04-01 Jan Gustaaf M Vermeylen Houder gevuld met een lokaal anestheticum en werkwijze om een mengsel van een lokaal anestheticum met een tweede vloeistof aan te maken.
EP2906270B1 (en) * 2012-10-15 2018-05-30 Elcam Medi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Ltd. Multi-chamber syringe
CN105339022A (zh) * 2013-06-05 2016-02-17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水凝胶压力密封剂系统
AU2014290079B2 (en) * 2013-07-16 2019-08-08 Unl Holdings Llc Syringes for sequential delivery of injectables
US9919111B2 (en) * 2014-06-30 2018-03-20 Elwha Llc Active lubrication of penetrating devices
US10765811B2 (en) * 2014-12-08 2020-09-08 Genentech, Inc. Versatile syringe platform
US9700680B2 (en) * 2015-03-31 2017-07-11 Medtrick Inc. Medical 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bubbles
EP3322348A1 (en) * 2015-07-14 2018-05-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Gel delivery catheters, systems, and methods
US20170095643A1 (en) * 2015-10-01 2017-04-06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stems, devices, kit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herapeutic agents
CN107205363A (zh) * 2016-01-05 2017-09-26 常识授精产品有限责任公司 子宫内输精导管
US11020160B2 (en) * 2016-03-21 2021-06-01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inj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80085555A1 (en) * 2016-09-26 2018-03-2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jection catheter
KR101759272B1 (ko) * 2016-11-08 2017-07-19 진세훈 진피 재생용 주사기
CN114668931A (zh) * 2017-04-19 2022-06-28 巴克斯特国际公司 无堵塞分配装置
US11672956B2 (en) * 2019-03-12 2023-06-1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ulti-purpose catheter for brachytherapy and intratumoral inj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66268A (zh) 2022-09-16
AU2020395124A1 (en) 2022-06-09
EP4048361A1 (en) 2022-08-31
WO2021113303A1 (en) 2021-06-10
JP2023504627A (ja) 2023-02-06
US20210162175A1 (en) 2021-06-03
CA3163519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0731C (en) Ligating band delivery apparatus
US6599293B2 (en) Delivery device for bone cement
US5312333A (en) Endoscopic material delivery device
US7918867B2 (en) Suture trimmer
AU726329B2 (en) Hydraulically actuated multiband ligator
AU2002228930A1 (en) Ligating band delivery apparatus
AU2016377399B2 (en) Multiband ligation device
US20120158004A1 (en) Steerable and curvable vertebroplasty system with clog-resistant exit ports
MXPA04003237A (es) Dispositivo de rociado laparoscopico y merodo de uso.
WO2013130658A1 (en) Ba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7833216B2 (en) Fluid plunger adhesive dispenser
KR20220110526A (ko) 작용제 전달 장치
WO2000018469A1 (en) Improved component mixing catheter
KR102657870B1 (ko) 듀얼 체크 밸브 한 손 어플리케이터
US20210205541A1 (en) Agent delivery devices
US20200214818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ispensing of periodontal medication
EP1463450B1 (en) Suture trimmer
US20220192653A1 (en) Wound closure
NZ744399B2 (en) Multiband lig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