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162A -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162A
KR20220110162A KR1020220093913A KR20220093913A KR20220110162A KR 20220110162 A KR20220110162 A KR 20220110162A KR 1020220093913 A KR1020220093913 A KR 1020220093913A KR 20220093913 A KR20220093913 A KR 20220093913A KR 20220110162 A KR20220110162 A KR 2022011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erminal
information
user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만식
Original Assignee
최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만식 filed Critical 최만식
Priority to KR102022009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0162A/ko
Publication of KR2022011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162A/ko
Priority to KR1020230012000A priority patent/KR20230021687A/ko
Priority to KR1020230171530A priority patent/KR20230169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결제 단말 및 결제 단말의 구동방법, 단말 및 단말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메뉴주문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단말의 구동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따라 각 장소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주문메뉴화면을 단말과 이격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주문메뉴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면, 수행한 주문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주문메뉴화면은 자동 또는 푸쉬메시지 기반으로 수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메뉴 주문에 대한 결제를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핀테크(Fin-Tech) 또는 테크핀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간편 결제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간편 결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가 도입되면서 함께 급부상하고 있다. 또한, 간편 결제는 무서명으로 소액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법적 규제의 무장해제에도 혜택을 입고 있는 바 있다. 이러한 결제 방식은 어디까지나 사용자 1인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최근의 이러한 간편 결제 방식은 한편으론 자신이 먹은 것은 자신이 계산한다는 더치페이(Dutch pay) 문화와 결합하면서 가령 식당을 운영하는 등의 상공인들에게는 결제에 따른 피로감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다시 말해, 최근에는 계산대(counter) 앞에 관리자 즉 주인이 서서 각자 지불을 원하는 개별 손님들의 결제를 일일이 도와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고, 또 손님들도 결제를 위해 길게 줄을 서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계산대에 놓인 단말의 경우 사용자들의 분할 결제를 위해 관리자가 계속해서 버튼을 눌러야 하는 등의 인터페이스가 있기 때문에 관리자의 피로도도 증가할 수 있으며, 빈번한 터치에 따라 표시부의 열화나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9066호(2014.05.1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769호(2015.09.1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1728호(2010.04.2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0791호(2011.01.0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7074호(2014.08.06)
본 개시는 메뉴 주문에 대한 결제를 용이하게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는 메뉴 주문에 대한 결제를 용이하게 하는 단말 및 단말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메뉴 주문에 대한 결제를 용이하게 하는 결제 단말 및 결제 단말의 구동방법, 관리 단말 및 관리 단말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는, 지정 공간의 주문메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지정 공간에 진입하거나 진입했을 때,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지정 공간에 위치하는 액세스포인트(AP) 또는 관리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근거로 상기 저장한 주문메뉴가 자동 또는 푸쉬메시지 기반으로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문메뉴를 이용해 상기 지정 공간의 지정 테이블에 대한 주문 및 결제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지정 테이블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 테이블의 주문 및 결제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취득되는 상기 AP나 상기 관리 단말의 장치식별정보 또는 통신신호 세기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신호 세기에 근거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반경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테이블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신호 세기가 지정 시간 동안 수신될 때,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테이블상에 또는 상기 지정 테이블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인식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될 때 상기 주문메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테이블에서 상기 주문에 대한 미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후결제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 단말로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한 주문메뉴를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갱신한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하는 시간대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시간대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상기 주문메뉴는 일회성으로 사용되고 자동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지정 공간으로 진입하거나 진입했을 때 각각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주문메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지정 공간의 주문메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지정 공간에 진입하거나 진입했을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지정 공간에 위치하는 액세스포인트(AP) 또는 관리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근거로 상기 저장한 주문메뉴가 자동 또는 푸쉬메시지 기반으로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주문메뉴를 이용해 상기 지정 공간의 지정 테이블에 대한 주문 및 결제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지정 테이블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 테이블의 주문 및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취득되는 상기 AP나 상기 관리 단말의 장치식별정보 또는 통신신호 세기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신호 세기에 근거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반경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서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테이블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신호 세기가 지정 시간 동안 수신될 때,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테이블상에 또는 상기 지정 테이블의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식하는 인식 장치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될 때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 테이블에서 상기 주문에 대한 미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후결제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 단말로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한 주문메뉴를 갱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갱신한 주문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주문메뉴를 제공하는 시간대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한 시간대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는 상기 주문메뉴는 일회성으로 사용되고 자동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지정 공간으로 진입하거나 진입하였을 때 각각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주문메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메뉴주문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따라 각 장소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주문메뉴화면을 상기 단말과 이격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주문메뉴화면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면, 상기 수행한 주문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문메뉴화면은, 자동 또는 푸쉬메시지 기반으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동방법은, 메뉴주문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의 구동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따라 각 장소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주문메뉴화면을 상기 단말과 이격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주문메뉴화면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면, 상기 수행한 주문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문메뉴화면은, 자동 또는 푸쉬메시지 기반으로 수신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메뉴주문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단말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구동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따라 각 장소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주문메뉴화면을 상기 단말과 이격되어 있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주문메뉴화면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면, 상기 수행한 주문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상기 주문메뉴화면은, 자동 또는 푸쉬메시지 기반으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제1 장소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장소에 관련되는 제1 주문메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제2 장소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장소에 관련되는 제2 주문메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대에 한하여 상기 주문메뉴를 수신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로서 상기 관리자의 관리 단말, 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장치, 상기 주문메뉴를 메모리에 기저장하는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주문메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장소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형 결제단말,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결제단말 또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분할결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에 따른 분할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의 메뉴항목에 대한 각 사용자의 결제정보를 근거로 상기 분할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상기 분할결제를 각자 진행하겠다고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로 결제진행을 넘겨주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상기 주문 및 상기 결제에 대한 사항은 상기 관리자의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은, 메뉴주문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 하에 있는 결제 단말로서, 임의 장소의 지정된 공간을 확보하여 자리하는 사용자가 상기 자리한 공간에서 타공간의 사용자와 분리되어 주문이 가능하도록 주문메뉴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공한 주문메뉴화면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를 결제할 때 상기 지정된 공간의 위치를 식별하여 상기 결제를 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문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분할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청에 따른 분할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단말은, 좌석이 마련되는 상기 지정된 공간마다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공간의 사용자를 더 식별하여 상기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의 구동방법은, 메뉴주문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 하에 있는 결제 단말의 구동방법으로서, 임의 장소의 지정된 공간을 확보하여 자리하는 사용자가 상기 자리한 공간에서 타공간의 사용자와 분리되어 주문이 가능하도록 주문메뉴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한 주문메뉴화면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주문한 메뉴를 결제할 때 상기 지정된 공간의 위치를 식별하여 상기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의 구동방법은 주변의 관리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관리 단말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또는 상기 전송한 결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한 결제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지불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지불 수단에 의해 지불된 지불 내역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 정보는 사용자가 결제 예정인 총 금액정보 및 상기 총 금액정보에 연계된 주문 항목별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에 상기 총 금액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총 금액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항목별 금액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단말은 상기 관리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정보를 상기 결제 내역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내역 정보는 상기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ID) 정보 및 각각의 식별 정보에 연계된 항목별 금액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분할 결제가 요청되면, 복수의 지불 수단에 의해 결제된 결제 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불 수단은 생체 인식이 가능한 인식부, 현금 투입 및 잔돈 반환이 가능한 현금 결제부, 카드 결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 결제부는 모바일장치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카드의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결제 정보에 근거한 지불 결제가 미승인되면, 상기 미승인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재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광고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의 구동방법은, 주변의 복수의 결제 단말로 결제 정보를 각각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결제 단말로부터 각각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또는 상기 수신한 각각의 결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한 결제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지불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지불 수단에 의해 지불된 지불 내역 정보를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상기 결제 정보에 근거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될 때 상기 지불 내역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지불 내역 정보는 정상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내역 정보는 상기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ID) 정보 및 각각의 식별 정보에 연계된 항목별 금액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결제 내역 정보를 은행, 결제 대행사 및 세금 관련 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운용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은, 주변의 관리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관리 단말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 또는 상기 전송한 결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한 결제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지불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지불 수단에 의해 지불된 지불 내역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제 정보는 사용자가 결제 예정인 총 금액정보 및 상기 총 금액정보에 연계된 주문 항목별 금액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화면에 상기 총 금액정보 및 상기 총 금액정보가 선택될 때 상기 항목별 금액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단말은 상기 관리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정보를 상기 결제 내역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내역 정보는 상기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ID) 정보 및 각각의 식별 정보에 연계된 항목별 금액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분할 결제가 요청되면, 복수의 지불 수단에 의해 결제된 결제 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불 수단은 생체 인식이 가능한 인식부, 현금 투입 및 잔돈 반환이 가능한 현금 결제부, 카드 결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 결제부는 모바일장치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 카드의 인식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 정보에 근거한 지불 결제가 미승인되면, 상기 미승인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재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광고를 상기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은 주변의 복수의 결제 단말로 결제 정보를 각각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결제 단말로부터 각각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송 또는 상기 수신한 각각의 결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표시한 결제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지불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지불 수단에 의해 지불된 지불 내역 정보를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결제 단말에서 상기 결제 정보에 근거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될 때 상기 지불 내역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지불 내역 정보는 정상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내역 정보는 상기 지불 수단에 대한 식별(ID) 정보 및 각각의 식별 정보에 연계된 항목별 금액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결제 내역 정보를 은행, 결제 대행사 및 세금 관련 기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운용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결제 단말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의 구동방법은, 주변의 관리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관리 단말로 상기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또는 상기 전송한 결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한 결제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지불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지불 수단에 의해 지불된 지불 내역 정보를 상기 관리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관리 단말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있어서, 상기 관리 단말의 구동방법은, 주변의 복수의 결제 단말로 결제 정보를 각각 전송하거나 상기 복수의 결제 단말로부터 각각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또는 상기 수신한 각각의 결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한 결제 정보를 근거로 복수의 지불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지불 수단에 의해 지불된 지불 내역 정보를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단말의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2의 결제처리부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단말의 다른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의 결제 단말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도 1의 결제 단말의 다른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의 관리 단말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도 1의 결제 단말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도 1의 결제 단말에서 이루어지는 결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결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90)은 관리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결제 단말(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 단말(100)은 음식점이나 커피숍과 같은 점포의 지정된 일정 공간 내에서 관리자 즉 경영자가 상주하면서 관리하는 주결제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주결제"란 결제가 가능하면서 음식점 전체의 결제 단말(110)들의 결제를 관리한다는 점에서 명명한 것이다. 관리 단말(10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가령 음식점의 특정 테이블(혹은 장소)마다 각각 설치될 수 있는 결제 단말(110)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단말(100)은 고객이 주문을 하게 되면 관리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터치스크린방식으로 해당 주문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가 입력하고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정보를 결제 단말(11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주문에 대한 정보는 총 금액 정보와 해당 정보에 매칭되는 주문된 항목별 내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찌개 5천원, 된장찌개 5천원과 같은 항목별 내역과 이를 총 합친 1만원에 해당되는 총 금액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물론, 항목별 금액에 대한 합계 및 총 금액 정보는 결제 단말(110)에서 이루어져 생성될 수 있다.
만약 반대로, 결제 단말(110)로부터 주문이 들어오는 경우에는 관리 단말(100)은 해당 항목별 내역을 저장하고, 화면상에는 해당 테이블의 번호 및 별칭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별칭은 관리자가 별도로 입력한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단말(100)이 고객의 주문 내역을 화면상에서 관리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테이블의 번호에 해당되는 아이콘만 화면에 표시해 주고, 아이콘이 선택될 때 항목별 금액을 목록 형태로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관리 단말(100)은 결제 단말(110)에서 이루어진 결제에 대한 결제 내역 정보를 수신하며,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정보(혹은 승인 정보)를 결제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관리 단말(100)이 결제 단말(1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예를 들어,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만 완료 정보와 함께 결제 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김치찌개는 A라는 고객이 신용카드로 결제하고, 된장찌개는 B라는 고객이 NFC 방식으로 결제하였다면 신용카드 정보나 NFC 방식에 의한 결제 정보가 함께 전송되는 것이다. 만약 일부 잔여 금액에 대하여는 고객 C가 현금을 지불하겠다고 요청한 경우, 관리 단말(100)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잔여 금액을 C 고객으로부터 현금을 수령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제 과정에서, 특정 테이블의 고객들은 식사가 완료되면, 결제를 위해 결제 단말(110)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일시불이나 분할 결제 등을 선택할 수 있다면, 관리 단말(100)은 이를 통해 해당 결제 단말(110)의 결제 상태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가령 CCTV 등에 의한 모니터링을 통해 특정 테이블의 고객이 해당 공간을 나서도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위의 결제 방식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결제를 위한 관리는 관리 단말(100)과 결제 단말(110)들 사이에 어떠한 규약(혹은 규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시스템 설계자가 설계(혹은 관리자가 지정)하느냐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다. 또한, 두 단말 사이에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은 종래의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T)와 같은 규격이 사용될 수 있지만, 개발자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특정 통신 방식에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프로그램은 주문형(OEM)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시스템 관리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설정해 줄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관리 단말(100)은 다양한 기능들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사나 결제 대행사, 은행 등과 제휴가 있는 경우에는 현금 결제와 같은 내역을 제외한 내역 정보들을 해당 회사의 서버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는 결제 수수료 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국세청, 세무서, 회계 사무소와 같은 세금 관련 회사나 기관에도 현금 결제와 같은 내역을 포함한 내역 정보들이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될 수 있지만, 관리자가 USB와 같은 별도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장 매체로 출력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관리 단말(100)과 결제 단말(110)들이 설치되면, 관리 단말(100)은 특정 범위 내에 있는 결제 단말(110)들을 인식(혹은 검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식별정보(ex. 장치 ID)를 등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결제 단말(110)들에 대한 식별 정보가 검색이 되면, 관리자는 자신의 공간에 해당되는 결제 단말(110)들만 선택하여 등록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통신 반경이 큰 와이파이보다는 블루투스가 좀더 적합할 수 있다.
결제 단말(110)은 가령 음식점과 같은 지정된 공간 내에서 특정 테이블 단위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결제 단말(110)은 주결제단말의 보조결제단말로서, 하나의 특정 공간에만 설치되어 고객들이 직접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지만, 고객의 편의를 위해 식사가 이루어진 해당 공간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결제 단말(110)은 식탁에 거치(stand) 형태로 설치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화면만 식탁으로 드러나도록 매입식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제 단말(110)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고객의 다양한 조건이 반영될 수 있다. 예컨대, 식당의 종업원이 주문을 받는 경우, 주문 내역은 관리 단말(100)에서 이루어지고, 주문 내역에 대한 총 금액 정보나 항목별 내역 정보는 주문 내역의 입력 과정 후에 결제 단말(110)로 전송된다. 그런 후 결제 단말(110)은 총 금액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음식 메뉴가 추가되었다면, 추가된 항목 및 금액 정보는 결제 단말(110)로 전송되어 기존에 전송된 정보에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결제 단말(110)을 통해 고객이 주문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고객은 결제 단말(110)의 화면에 표시된 음식 메뉴를 확인하고 원하는 음식을 선택한 후, 완료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 단말(100)로 해당 테이블의 주문 내역이 전송된다. 전송 후, 결제 단말(110)은 항목별 금액 정보 및 이를 합산한 총 금액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만약 메뉴가 추가되는 경우에도 이를 관리 단말(100)로 통지하고, 자신은 추가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결제 단말(110)은 결제 방식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단말이 총 금액 정보만 취급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만약 고객이 해당 총 금액 정보에 해당되는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일시불인지 분할 지불인지를 화면을 통해 물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일시불을 선택한 후 카드 결제부를 통해 카드 결제를 수행하면, 무서명의 경우 서명없이 관련 정보가 관리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서명이 필요한 경우, 서명이 있은 후에 관련 정보가 관리 단말(100)로 전송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 근거해 볼 때, 결제 단말(110)은 서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서명은 지문인식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금액 입력 후 지문인식은 결제 수단이 되지만, 카드 결제 후 지문 인식은 서명이 되는 것이다. 결제 단말(110)은 이러한 동작을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내부 메모리에 기저장된 정보와 입력되는 정보와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고객이 분할 지불을 선택한 경우, 결제 단말(110)은 총 금액에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화면에 금액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고, 관련 내역을 저장한 후 관리 단말(10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예컨대, 총 1만원의 금액에서 A 고객이 5천원을 (메뉴창에) 입력한 후(또는 해당 항목 선택 후) 결제하면, 화면에서 잔여 금액인 5천원의 금액 정보가 표시되고, B 고객이 다시 5천원을 입력한 후 결제하면, 차감 후 금액이 0이 되므로, 결제 단말(110)은 결제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결제 내역 정보를 관리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관리 단말(100)의 관리자는 해당 테이블에서의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시야를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CCTV에 의한 모니터링을 통해 해당 테이블의 고객이 자리를 나서는 것을 확인하여 고객을 배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이의 과정에서 현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만약 현금 결제부를 결제 단말(110)이 구비하는 경우, 결제 금액을 입력한 후 만원권 지폐를 투입하면, 결제 단말(110)은 스캐너와 같은 인식부를 통해 만원권 지폐를 판단하고 입력된 결제 금액에 따라 잔돈을 투출구를 통해 반환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금 결제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결제 단말(110)을 통해 관리 단말(100)로 나머지 5천원은 현금 결제로 하겠음을 알린 후, 식당을 나설 때 관리 단말(100)로 가서 관리자에게 현금을 낼 수 있다. 또는, 현금 결제로 하겠음을 굳이 알리지 않는다 하더라도 일부 미결제 금액이 있으면, 관리 단말(100)은 결제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미결제 금액이 있음을 (화면의 아이콘에) 표시해 줌으로써 고객이 식당을 나설 때, 이를 확인하여 정산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미결제 금액이 너무 적거나 혹은 음식 메뉴 항목에 없는 결제 잔액이라 판단되면, 결제 단말(110)은(또는 관리 단말(100)과의 연계 하에) 결제 오류로 판단하여 결제를 고객에게 재요청할 수 있다. 간단하게는 재결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에 띄우는 것이다. 이는 결제 단말(110)의 결제 미승인 동작에 해당된다.
나아가, 결제 단말(1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뉴창을 통해) 결제 금액을 입력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항목별 내역 정보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데 선택된 항목에는 금액이 연계되어 있으므로 각자의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분할 결제를 수행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단말의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도 2의 결제처리부의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100)은 인터페이스부(200) 및 결제처리부(2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단말이 구성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신용카드(ex. 마그네틱, IC 칩 등이 포함됨)나 NFC 결제부, 디스플레이부, 생체인식 결제부, 영수증을 출력하는 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ex. 잭 방식) 등의 다양한 결제 인터페이스,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 입력 버튼과 같은 버튼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일부 고객의 경우에는 관리 단말(100)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관리 단말(100)의 인터페이스부(200) 또한 다양한 결제 수단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현금 결제부의 경우에는 선택사항일 수 있다. 만약 탈세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의 규제가 있는 경우라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00)는 영수증 출력부가 일체화된 경우도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구조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는 LED, LCD 패널 등의 표시패널을 포함하며, 표시패널에 일체형으로 또는 결합되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을 통해 터치스크린 방식의 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에 각 결제 단말(110)들을 식별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ex. 아이콘 등)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그래픽 이미지가 선택되면, 항목별 금액 정보 등의 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21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터페이스부(200)의 제어 기능을 포함하여 앞서 충분한 설명한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주문 내용을 입력하여 입력이 완료되면 관련 주문 내역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또는 주문 내역 정보를 도 1의 각 결제 단말(110)로 전송하도록 인터페이스부(200), 더 정확하게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정보 처리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이외에도 도 1의 관리 단말(100)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동작들은 결제처리부(210)에서 수행하는 것이므로 앞서 설명한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다만, 결제처리부(210)의 경우 제어 동작과 결제 동작이 모두 하나의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3에서와 같이 프로세서(300)와 메모리(310)로 구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300)는 제어회로, 연산부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310)는 EEPROM의 형태로서 결제 프로그램을 써넣고 삭제하는 것이 자유로울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결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메모리(310)에 저장되어 있는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 단말의 다른 세부 구조를 예시하여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리 단말(100')은 인터페이스부(400), 제어부(410), 결제실행부(420) 및 저장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4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결제실행부(4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어부(410)와 같은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의 관리 단말(100')을 도 2의 관리 단말(100)과 비교해 볼 때, 크게 다르지는 않다. 다만, 도 4의 제어부(410)는 도 3에서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의 경우 제어부(410), 즉 도 3의 프로세서(300)는 데이터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결제실행부(4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관리 단말(100')의 초기 동작 시에 도 3의 메모리(310)로 로딩한 후 결제 처리를 위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관리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결제 단말(110)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결제 내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410)의 제어 하에 인터페이스부, 가령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다. 가령, 관리자는 월 단위나 연 단위의 매출액을 확인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도 4의 관리 단말(100')은 도 1의 관리 단말(100)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1의 결제 단말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110)은 인터페이스부(500), 결제처리부(510) 및 디스플레이부(5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인터페이스부(500)는 관리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며, 이의 과정에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시스템 구성 초기에, 2개 장치 간에 장치 ID를 서로 인식하는 등의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500)는 관리 단말(100)과의 사이에 수행되는 다양한 주문 내역 정보나 결제 내역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관리 단말(100)로부터 주문 내역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520)에 표시되도록 결제처리부(510)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부(520)에서 주문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결제처리부(510)의 제어 하에 해당 정보를 관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터페이스부(500)는 다양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도 1의 결제 단말(110)에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나아가, 인터페이스부(500)는 디스플레이부(520)에 표시된 총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지불 수단을(혹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후에 좀 더 살펴보겠지만, 지불 수단은 현금 결제부, 신용카드 결제부, 생체인식 결제부, 앱카드 결제부, NFC 결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앱카드 결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 앱 형태의 카드를 저장한 후, 로그인, 본인확인 등의 절차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NFC 결제는 *플페이, 구*페이 등과 같은 방식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500)는 현금 결제부를 포함하는 경우, 지폐권을 인식하기 위한 스캐너와 같은 (현금)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 내부에 저장된 지폐권 정보와 비교하여 가령 지폐권의 특이점 등을 비교하여 위조지폐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위조지폐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를 관리 단말(100)로 알리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관리 단말(100)을 통해 관리 당국으로 자동 신고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어디까지나, 프로그램의 설계에 따라 결정되므로, 어떻게 이루어진다는 것인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결제처리부(510)는 인터페이스부(500) 및 디스플레이부(5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또 결제를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처리부(510)는 인터페이스부(500)에서 전달된 주문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항목별 주문 내역은 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520)에는 총 금액 정보만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가령 결제처리부(510)는 고객으로부터 분할 결제를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 항목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20)의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외에 자세한 내용은 도 1의 결제 단말(110)에서의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디스플레이부(520)는 결제처리부(510)의 제어 하에 다양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20)는 (O)LED 패널 또는 LCD 패널과 이에 결합된 터치패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다양한 정보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터치스크린 방식은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그러한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6은 도 1의 결제 단말의 다른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110')은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결제처리부(610), 현금 결제부(620), 신용카드 결제부(630), NFC 결제부(640), 생체인식 결제부(650), 앱카드 결제부(660) 및 디스플레이부(67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여기서, 현금 결제부(620)는 현금 투입구, 스캐너, 현금 반환구, 현금 보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개시에서는 분할 결제(모드) 동작시에 고객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현금결제 수단을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할 수는 있다는 것이다. 또한, 앉은 자리에서 간편하게 현금으로도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결제 단말(110)을 통해 잔돈을 반환받는 등 편리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생체인식 결제부(650)는 결제를 위해 지문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지문의 특이점 정보 등은 은행 또는 결제 대행사 등에 기등록된 지문 정보와 비교되어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 인증이 완료됨으로써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이외에, 도 6의 결제 단말(110')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1 및 도 5의 결제 단말(110)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단말(100)은 가령 음식점에서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있는 경우, 주문 내역을 관리자에 의해 입력받은 후, 입력된 주문 내역 또는 총 금액 정보 등을 결제 단말(110)로 전송한다(S700).
그러면, 결제 단말(110)은 결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S710). 예를 들어, 수신된 결제 정보에서 총 결제 금액 정보만을 아이콘으로 화면에 표시해 주거나, 항목별 금액 정보를 목록 형태로 표시해 줄 수 있고, 또 총 결제 금액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할 때 항목별 금액 정보를 표시해 주는 등 시스템 설계자가 설계한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 결제 단말(110)은 고객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720). 이의 과정에서 고객은 일시불 또는 분할 지불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만약 분할 지불이 선택된 경우 앞서 충분히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결제 정보가 처리될 수 있다. 가령, 현금 결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특히 그러하다.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단말(110)은 결제 완료 내역 정보를 관리 단말(100)로 전송한다(S730). 결제 단말(110)에서 현금 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결제가 완료되었음이 관리 단말(100)로 통보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카운터에서 현금으로 결제하겠다고 통보하면 식당을 나설 때 관리자에게 현금을 지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현금 결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결제 내역 정보가 전송되면, 관리 단말(100)은 해당 내역을 근거로 영수증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는 저장할 수 있다(S750). 여기서, 영수증 출력은 영수증을 원치않는 고객이 많으므로 선택 사항에 해당될 것이다.
한편, 결제 단말(110)은 주문이나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말해 지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 터치에 의한 입력이 없다고 판단되면, 다양한 광고를 화면에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문된 정보와 관련한 정보를 표시해 주거나, 전혀 관련 없는 여행 정보나 일반 제품 광고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도 7과 비교해 보면, 본 개시의 제2 실시예는, 관리 단말(100)이 결제 단말(110)로부터 주문 정보를 받아 동작을 수행한다는 데에 차이가 있다(S800). 물론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추가 주문은 관리자에 의해 관리 단말(1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결제 단말(110)은 주문 정보를 관리 단말(100)로 전송한 후,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 줌으로써 고객의 결제를 도울 수 있다(S810, S820).
이러한 점을 제외하면, 도 8의 과정은 도 7의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9는 도 1의 관리 단말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관리 단말(100)은 결제 정보를 주변의 결제 단말(110)로 전송한다(S900). 혹은 결제 단말(110)로부터 결제 정보 혹은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 관리 단말(100)은 결제 단말(110)에서 이루어진 결제에 대한 지불 내역 정보를 수신한다(S910). 이러한 정보는 정상적으로 완료된 결제일 수 있고, 현금 등에 의한 불완전한 결제일 수 있다. 여기서, "불완전한 결제"란, 현금 결제임을 통보하거나 통보하지는 않았지만 관리 단말(100)이 있는 관리자가 이를 알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통보가 없고 미결제된 금액이 남아있는 경우이다. 이의 경우 관리자는 당연히 해당 잔액이 현금으로 지불될 것임을 알게 된다. 물론 그러한 잔액은 음식점에서 계산 가능한 범위에 있어야 할 것이다. 불완전한 결제가 있는 경우, 관리 단말(100)은 해당 테이블의 주문 정보 또는 결제 정보에 별도의 표기를 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의 색깔이나 모양 등을 변경해 둔다.
이후, 수신된 지불 내역 정보는 관리 단말(100)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S920).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결제 대행사 등으로 전송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결제 단말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110)은 관리 단말(10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0). 혹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문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관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결제를 요청하면, 일시불 및 분할 지불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1010). 여기서, "선택적"이란 사용자가 일시불을 요청하면 일시불 모드로 동작하고, 분할 지불을 요청하면 분할 지불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드(mode)"는 어떤 일련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한 방식이다. 예컨대, 분할 지불 모드에서는 총 금액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에서 항목별 내역을 보여주는 화면으로 자동전환이 될 수 있다. 만약 일시불 지불 모드에서는 결제 수단의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으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단말(110)은 관리 단말(100)로 지불 내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20).
도 11은 도 1의 결제 단말에서 이루어지는 결제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결제 단말(110)은 화면에 가령 도 11과 같은 화면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물론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1의 화면에서 분할결제 버튼을 선택한다(S1100).
*그리고 자신이 결제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한다(S1110).
이어, 지불 수단으로서 현금을 선택한 후(S1120), 현금 결제부에 현금을 투입하여 잔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카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ex. 마그네틱 또는 IC 칩 방식)로 결제하여 결제를 완료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결제 완료 버튼을 선택하거나 결제할 항목이 없으면 결제 단말(110)은 이의 상황을 판단한 후 지불 내역 정보를 관리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다른 결제 단말(110, 110')들을 다양한 형태로 지정된 공간 내에서 설치될 수 있다.
우선, 고정 형태에 따라 고정형이냐 이동형이냐로 구분될 수 있다. 고정형의 경우, 가령 음식점 등의 식탁과 같은 특정 장소에 고정되거나 매입될 수 있는 형태와, 천장에 연결된 연결 라인을 통해 결제 단말(110, 110')이 상승 및 하강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승 및 하강은 (고객이 직접 손으로 잡아 내리고 올리는 형태의) 수동형과,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하는 자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형의 경우에는 고객이 앉은 식탁에 스탠드의 형태로 놓아주는 경우이다. 스탠드 형태의 결제 단말(110, 110')은 폴더식(ex. 노트북의 형태)이나 평면형(ex. 태블릿 PC의 형태)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110, 110')의 배치 형태는 다양할 수 있겠지만, 고객들이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결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물론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다시 말해 결제 단말(110, 110')을 이용한 결제를 분할 결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이의 경우에 더욱 유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제시스템(1190)은 사용자 단말(1200-1, 1200-2), 관리 단말(1210), 통신망(1220) 및 서비스제공장치(12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220) 및/또는 서비스제공장치(12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시스템(1190)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관리 단말(1210)은 독립된 형태로서 주변의 사용자 단말(1200-1, 1200-2)과 통신하여 특정 공간의 주문이나 결제들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1(1200-1) 및 사용자 단말 2(1200-2)는 사용자들이 구비한 채 이동 가능한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물론 음성일 수도 있지만) 화면상에서 메뉴(ex. 음식 메뉴 등)를 선택하고 선택한 메뉴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태블릿 PC, PDA, MP3 등 어떠한 장치여도 무관하다.
설명의 편의상 식당의 상황을 예로 들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1(1200-1) 및 사용자 단말 2(1200-2)는 다양한 상황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상황은 관리 단말(1210)이 자신의 식당 메뉴 등에 관련된 가령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이 식당으로 진입할 때(또는 했을 때), 해당 사용자들이 이전에도 본 식당을 이용한 적이 있는지 검색하는 경우이다. 물론 진입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 단말(1201)은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의 사용자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한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이용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가령 단말의 장치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검색 결과, 만약 방문한 적이 없다고 판단되면 관리 단말(1210)은 사용자 단말 1(1200-1) 및 사용자 단말 2(1200-2)로 어플을 전송해 줄 수 있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관리 단말(1210)은, 사용자가 이용한 적이 있다 하더라도 해당 어플을 삭제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 이를 확인해 줄 것을 요청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어플을 전송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은 모두 사용자들의 승인 하에 이루어질 수 있지만, 승인이 없다 하더라도 푸시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이전에 식당을 이용한 적이 있는 사용자라면 해당 사용자의 단말은 어플을 저장하고 있을 것이고, 이의 경우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진입하는 식당의 AP 또는 관리 단말(12010)의 정보를 취득하여 이를 근거로) 해당 어플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화면에 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해당 어플을 터치하여 활성화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한편, 두 번째 상황으로서 관리 단말(1210)이 이러한 어플을 관리하지 않는 경우라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통신망(1220)을 경유하여 서비스제공장치(1230)로부터 관련 어플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는 모든 식당들에 대한 어플을 저장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해당 식당의 식별 정보, 가령 관리 단말(1210)의 장치 정보를 서비스제공장치(1230)에 제공하여 관련 어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해당 식당에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A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의 장치 정보 등을 전송하여 어플을 제공받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상황하에 어플을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해당 어플을 실행하여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공간, 가령 식당의 메뉴를 주문하고, 자신의 단말을 통해 결제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는 물론 메뉴 주문 시에 선결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식사를 마친 후에도 후결제로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뉴를 주문하면 해당 주문 내역이 어플의 마이페이지 항목에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다시 조회 및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결제를 선결제로 하든 후결제로 하든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주문이나 결제 정보는 관리 단말(1210)로 전송되어 관리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어플을 통해 식당의 테이블에 지정되어 있는 번호(혹은 자신의 자리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식)를 함께 입력함으로써 관리 단말(1210)에 어떠한 곳(ex. 식탁)에서 주문이 들어왔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관리 단말(1210)은 해당 번호를 근거로 주문 내역을 분류(혹은 관리)하여 관리 단말(1210)의 화면에 표시된 항목들(ex. 아이콘) 중 하나에 기록 또는 표시하게 될 것이다.
관리 단말(1210)은 앞서 충분히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주문과 결제 정보를 관리한다. 물론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의 어플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일 것이다. 따라서, 관리 단말(1201)은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화면에 자신이 위치하는 곳(ex. 테이블)의 식별 정보(ex. 번호, 또는 네임 등)를 버튼 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하고, 이를 통해 각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주문이나 결제 상황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스탠드 얼론 형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관리 단말(1210)은 식당마다 개별적으로 제작된 어플을 저장하고 있다가, 저장한 어플을 새롭게 방문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위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관리 단말(1210)이 서비스제공장치(1230)와 연계하에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 어플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이에 관여할 수 있다. 여기서, "관여"한다는 것은 관리 단말(1210)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의 사용자 정보(ex. 장치 ID 등)를 취득하여 자신의 정보와 함께 이를 서비스제공장치(1230)로 전송하고, 전송한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어플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중계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관리 단말(1210)은 자신의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해 주지만, 해당 어플은 다른 경로, 즉 통신망(1220) 내의 중계기, 가령 식당 내의 AP나 AP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통신사의 기지국 또는 NodeB 등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망(12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1200-1, 1200-2) 및/또는 관리 단말(1210)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1200-1, 1200-2) 및/또는 관리 단말(1210)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사용자 단말(1200-1, 1200-2) 및/또는 관리 단말(121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식당의 관리자가 운영하는 컴퓨터 또는 다른 형태의 업종이어도 무관하지만 식당들에 관계된 어플들을 관리하는 별도의 서비스업체에서 운용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물론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통신사 등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결제에 관계된 밴(VAN)사, PG사, 카드사 등에서 운용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전국(또는 전 세계)에 있는 가령 식당들의 메뉴와 관련된 어플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식당 단위로 어플을 관리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 내려줄 수 있지만, 지역별로 관리해서 지역 단위로 어플을 내려주거나, 또는 그보다 더 큰 국가 단위로 어플을 내려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는 그러한 단위별로 제작된 어플을 내려준다고 볼 수 있지만, 이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큰 국가 단위의 어플을 쪼개서 전송해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다면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강남구에 관련된 식당의 어플만 제공하는 것이다. 또는 전 지역의 식당들에 대한 어플이 필요하다면 모든 지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이러한 큰 단위의 어플이라면, 검색창에서 식당 명을 검색하여 검색된 식당의 주소 등을 확인하여 간편하게 해당 식당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목록 형태의 지역 항목에서 해당 식당을 찾아 들어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고려해 볼 때, 검색어를 이용한 방식이 더욱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결제를 진행함에 있어서, 단말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하거나 휴대폰(ex. 전화번호를 이용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포인트로 이루어지는 결제도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수단으로 결제를 진행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S사의 페이, Na*** 페이, 카** 페이 등 다양한 신규 지불 방식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플을 통해 자신의 주문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경우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주문만 어플로 진행하고, 결제는 오프라인상에서 현금으로 지불하는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200-1, 1200-2), 관리 단말(1210) 및/또는 서비스제공장치(1230)의 세부 구조를 굳이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내는 않았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플을 사용자 단말(1200-1, 1200-2)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형태, 관리 단말(1210)이 제공하든 형태, 서비스제공장치(1230)가 내려주는 형태 등 다양하게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보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저장부, 통신 인터페이스부, 제어부(ex. 프로세서, 메모리의 형태 등)를 포함하며, 나아가서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패널과 액정(혹은 LED) 패널의 결합일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그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일반 휴대폰에 적용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1200-1, 1200-2)과 관련해서는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해도 좋을 것이다.
또한, 관리 단말(1210)도 위의 사용자 단말(1200-1, 1200-2)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나아가, 서비스제공장치(1230)의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통신 인터페이부를 통해 DB와 연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내부에서의 데이터 처리량을 줄이기 위하여 프록시(proxy)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프록시는 통신망(1220)과 서비스제공장치(12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일종의 중계장치이므로, 서비스제공장치(1230)의 바로 앞단에 위치하는 리버스 프록시일 수 있다. 만약 서비스제공장치(1230)가 컴퓨터(ex. 데스크탑)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클라우드 서버로서 동작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구성요소와 자원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선택한 메뉴(ex. 음식 메뉴)에 대한 결제를 각자 진행할 수 있으므로 더치 문화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식당 등의 이용에 편리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고, 더치 문화에 어려움을 토로하는 식당의 관리자들 또한 유익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12를 참조하여 어떠한 형태로 어플(또는 앱)(App)이 처리되고, 어떠한 형태로 어플을 이용한 주문 정보와 결제 정보가 처리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사용자 단말(1200-1, 1200-2)과 관리 단말(1210)이 서로 스탠드 얼론 즉 독립된 형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어플, 주문 정보 및 결제 정보는 다이렉트 통신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이 관리 단말(1210)로부터 어플을 제공받고, 해당 어플을 통해 주문과 결제를 진행하여 관리 단말(1210)로 관련 정보를 전송하면 관리 단말(1210)은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들의 상황을 관리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1200-1, 1200-2)과 관리 단말(1210)이 모두 서비스제공장치(1230)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경우이다. 이의 경우,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관리 단말(1210)의 정보와 함께 자신의 정보(ex. 장치 ID)를 통신망(1220)을 경유해 서비스제공장치(1230)로 제공하여 관리 단말(1210)이 등록된 지역 및/또는 식당의 어플을 내려받을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어플을 실행하여 주문과 결제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다시 서비스제공장치(1230)로 제공하며,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다시 관리 단말(1210)로 관련 정보들을 전송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관리 단말(1210)과 서비스제공장치(1230) 간에 정보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약, 서비스제공장치(1230)가 카드사 등의 서버라면 더욱 유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번거로움 없이 식당의 매출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이 서비스제공장치(1230)로부터 어플은 내려받지만, 결제 정보나 주문 정보를 관리 단말(1210)로 다이렉트로 전송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의 경우, 관리 단말(1210)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해당 정보들을 서비스제공장치(1230)로 제공하여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지만, 불필요한 경우라면 이러한 과정은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상황들을 고려해 보면, 어플, 주문 및 결제 정보는 다양한 경로로 처리될 수 있지만, 그 종착역은 관리 단말(1210)이 될 것이다. 즉 주문과 결제 정보가 관리 단말(12010)에 의해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어야만 관리 단말(1210)의 관리자는 임의의 공간 내에서의 주문과 결제 상태를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를 계속해서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190)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형태로 변경되어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앞서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어떠한 경우에 어플을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 제공하는가이다. 앞서서는 해당 공간, 가령 식당으로 진입하는 경우를 예로 들긴 했지만, 식탁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부터 일정시간(혹은 지정된 시간) 동안 동일 또는 유사한 (신호)세기로 신호가 송/수신되면 이때 관리 단말(1210)은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 어플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저장된 어플이 있다면 해당 어플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서비스제공장치(1230)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2에 도시된 통신망(1220) 내의 NodeB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서도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서비스제공장치(1230)로 어플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이 관리 단말(1210)과의 통신 반경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위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와이파이보다는 블루투스 신호의 통신 반경이 더 작으므로 이러한 신호의 유형을 이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 이외에도 위의 동작을 위해 적외선 등 다양한 신호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식탁 또는 그 주변에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을 인식할 수 있는 중계기나 안테나, 또는 NFC가 가능한 단말이 있다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을 근접시키는 동작에 의해 어플이 관리 단말(1210) 또는 서비스제공장치(1230)로부터 제공되거나 기저장된 어플이 활성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어플이 제공되거나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어플을 이용해 주문을 하는 방식과 결제하는 방식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결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례로, 복수의 사용자들 중 한 명이 어플을 실행시킨 후 자신이 모든 주문을 시도하는 경우이다. 물론 본인이 모든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지만, 분할 결제의 상황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사용자가 분할 결제를 선택하거나, 또는 주문 메뉴 화면에 표시된 항목에 해당 메뉴의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 또는 카드번호 등을 기입하는 방식으로 해서 분할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도 13 내지도 17 참조). 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결제가 가능한 경우, 휴대폰 번호가 제공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PG사나 카드사에서 결제 상태를 알 수 있을 것이다(도 17 참조). 그리고, 결제가 이루어졌음을 관리 단말(121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주문 상태와 결제 상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관리 단말(1210)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도 16에서와 같이 주문자가 특정 메뉴 항목에 휴대폰 번호를 입력한 경우 해당 휴대폰 번호로 특정 메뉴 항목의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는 결제 요청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결제 요청을 수락하여 다양한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수락한다는 것은 UI 화면에서 확인을 누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결제를 진행한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수락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인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때 결제 요청은 관리 단말(1210)을 통해 어플을 제공하는 형태로 진행될 수 있지만, 요청 정보만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1200-1, 1200-2)에서 어플을 실행하여 결제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주문자가 자신의 휴대폰으로 도 17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또 결제를 위한 보안이 더 필요한 경우라면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휴대폰 번호의 경우 인증 번호를 추가로 입력하도록 하거나, 카드 번호의 경우에는 비밀번호의 앞 또는 뒷자리 2자리 정도를 추가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또한 주문자의 휴대폰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메뉴를 주문한 사용자의 휴대폰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주문자 한 사람이 모든 주문을 진행한 경우라면 도 17에서와 같이 단순히 휴대폰 번호나 카드 번호로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편리성 때문이다. 또한, 도 17에서와 같이 휴대폰 번호를 모두 입력한 후 분할 결제를 눌렀을 때 체크 항목에 대해서는 각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자신이 주문한 메뉴에 대한 결제 요청을 하고, 체크되지 않은 항목은 본인이 모두 결제하는 방식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 도 17에서와 같은 정보가 바로 PG사나 카드사 등으로 전송되어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제와 관련해서도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 이외에 각자 자신의 휴대 단말에 표시된 어플을 통해 자신이 현재 위치하는 공간의 식별 정보(ex. 식탁 번호 등)와 함께 선결제 또는 후결제를 진행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결제 시나리오를 좀 더 살펴보면, 도 13 내지 도 15는 한 명의 주문자가 다른 사용자의 주문 메뉴 항목에 대한 분할 결제를 요청하고, 해당 메뉴 항목에 관계된 사용자의 카드 비밀번호 2자리나, 해당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 인증번호를 자신이 직접 입력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주문자는 자신의 휴대폰을 통해 주문을 진행한 사람에 해당된다.
도 16은 주문자가 특정 메뉴 항목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결제를 각각 진행하도록 넘겨주는 경우이다. 선택 항목에 표기를 하여 분할 결제를 진행하겠다고 요청한 사용자에게만 결제 진행을 넘겨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PG사는 결제 창을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의 경우에도 주문자 자신이 모든 결제 처리를 진행하되, 선택 항목의 선택 여부와 사용자별 결제정보에 따라, 바로 PG사에 정보가 전송되어 모든 사람들에 대한 결제가 동시에 이루어져, 이를 도 12의 관리 단말(1210)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결제 정보는 PG사나 카드사에서 관리 단말(1210)로 바로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자신이 이용한 어플, 가령 식당 어플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저장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회사가 강남이었다고 가정하자. 사용자가 주변 식당을 대략 15곳을 이용하였고, 해당 식당에서 각각 어플을 제공하였다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해당 어플 등을 통해 식당 주소를 취득하여, 혹은 통신사 등으로부터 현재의 위치가 강남이라는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주소를 근거를 어플들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분류된 어플들은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의 메인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등에 링크되어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어플들이 나열되어 화면에 표시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식당의 어플을 실행하여 주문과 결제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분류된 어플들은 사용자 단말(1200-1, 1200-2)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12의 서비스제공장치(1230)에 저장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사용자별로 어플들을 관리할 수 있는데, 변경이 있을 때마다 해당 어플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의 변경이 있는 경우가 그 좋은 예이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제공장치(123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아이콘을 선택할 때 갱신된 어플 정보를 전송해 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12의 사용자 단말(1200-1, 1200-2), 관리 단말(1210) 및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다양한 상황에서 동작이 가능하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상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어플 저장 및 관리 등과 관련해 볼 때,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은 어플을 일회성으로 사용하고 버릴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장치(1230)는 갱신된 어플을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 전송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사용자 단말(1200-1, 1200-2) 내에서도 수많은 식당 어플이 저장된다 하더라도, 일정 시간, 가령 1년 동안 이용한 적이 없는 어플에 대하여는 자동으로 삭제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의 프로세서는 매일, 일주일, 10일 또는 1개월 단위로 어플이 사용된 마지막 날짜를 확인하여 이를 근거로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어플에 대하여는 삭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0-1, 1200-2), 관리 단말(1210) 및 서비스제공장치(1230)에서 처리되는 어플은 시간대가 지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식당의 경우에는 아침 8시-10시, 점심 11-14시, 저녁 5-7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를 지정할 수 있을 것이고, 이의 시간대에만 어플이 사용자 단말(1200-1, 1200-2)의 화면에 활성화되어 표시되거나, 관리 단말(1210)이나 서비스제공장치(1230)에서 사용자 단말(1200-1, 1200-2)로 전송되거나 하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은 통상 그룹을 지어 식사를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특정 사용자, 예컨대 사용자 정보에서 연령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이를 근거로, 또는 식당을 자주 이용한 내역이 있다면 이를 근거로 하는 등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일부(ex. 1명, 3명 등)에게만 어플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모두 시스템 설계자 또는 어플 제작자가 어떻게 프로그램을 설계하느냐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지금까지, 어플을 이용해 메뉴를 주문하고, 그 주문한 메뉴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며, 분할 결제까지 가능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어플은 응용 프로그램이다. 다시 말해,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운영 체제(OS)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또한, 좁은 의미에서는 OS 위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들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플을 좁은 의미로 설명하였지만, 넓은 의미로도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고, 또 그에 따라 적절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ex. 제어부, 결제 실행부)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결제 실행부는 어플이 아니라 하더라도, EEPROM의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 위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후 이를 제어부의 제어하에 실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어플을 반드시 좁은 의미로만 사용하여 그에 따른 동작으로만 너무 국한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관리 단말 110: 결제 단말
200, 300, 500, 인터페이스부 210, 510: 결제처리부
310: 제어부 320: 결제실행부
330: 저장부 400: 프로세서
410: 메모리 600: 통신 인터페이스부
620: 현금결제부 630: 신용카드 결제부
640: NFC 결제부 650: 생체인식 결제부
660: 앱카드 결제부 670: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복수의 지정 공간에 대한 주문메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지정 공간 중 하나의 지정 공간에서 상기 주문메뉴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소를 취득하여 상기 취득한 주소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의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여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된 주문메뉴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에 링크되어 정렬시키는 서비스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주문메뉴의 어플리케이션을 나열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문메뉴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주문과 결제를 진행시키는 서비스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된 마지막 날짜를 확인하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삭제하는 서비스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시간대를 지정하여 상기 지정한 시간대에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활성화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서비스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문 메뉴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식당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비스제공장치.
  8.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복수의 지정 공간에 대한 주문메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복수의 지정 공간 중 하나의 지정 공간에서 상기 주문메뉴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소를 취득하여 상기 취득한 주소를 근거로 상기 주문메뉴의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여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20093913A 2020-05-26 2022-07-28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10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913A KR20220110162A (ko) 2020-05-26 2022-07-28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30012000A KR20230021687A (ko) 2020-05-26 2023-01-30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30171530A KR20230169033A (ko) 2020-05-26 2023-11-30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316A KR20200062148A (ko) 2020-05-26 2020-05-26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20093913A KR20220110162A (ko) 2020-05-26 2022-07-28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316A Division KR20200062148A (ko) 2020-05-26 2020-05-26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000A Division KR20230021687A (ko) 2020-05-26 2023-01-30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30171530A Division KR20230169033A (ko) 2020-05-26 2023-11-30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162A true KR20220110162A (ko) 2022-08-05

Family

ID=7108790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316A KR20200062148A (ko) 2020-05-26 2020-05-26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20093913A KR20220110162A (ko) 2020-05-26 2022-07-28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30012000A KR20230021687A (ko) 2020-05-26 2023-01-30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30171530A KR20230169033A (ko) 2020-05-26 2023-11-30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316A KR20200062148A (ko) 2020-05-26 2020-05-26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000A KR20230021687A (ko) 2020-05-26 2023-01-30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30171530A KR20230169033A (ko) 2020-05-26 2023-11-30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단말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0006214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728A (ko) 2010-04-04 2010-04-22 이인섭 분담결제를 위해 주문내역을 온라인으로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00791A (ko) 2009-06-29 2011-01-06 김기범 접근점을 이용한 무선통신 주문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59066A (ko) 2012-11-07 2014-05-15 주식회사 디리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40097074A (ko) 2014-07-10 2014-08-06 조병호 비콘(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음식점 광고 및 자동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3769A (ko) 2014-03-03 2015-09-14 옥윤선 시간 알람 연계 광고 및 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91A (ko) 2009-06-29 2011-01-06 김기범 접근점을 이용한 무선통신 주문서비스 제공 방법
KR20100041728A (ko) 2010-04-04 2010-04-22 이인섭 분담결제를 위해 주문내역을 온라인으로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59066A (ko) 2012-11-07 2014-05-15 주식회사 디리아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50103769A (ko) 2014-03-03 2015-09-14 옥윤선 시간 알람 연계 광고 및 활용 시스템
KR20140097074A (ko) 2014-07-10 2014-08-06 조병호 비콘(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음식점 광고 및 자동주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148A (ko) 2020-06-03
KR20230169033A (ko) 2023-12-15
KR20230021687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5459B2 (en) Online ordering for in-shop service
US10789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tem based on interaction environment
US20170109793A1 (en) E-check de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US20150287006A1 (en) Tab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160104257A1 (en) U-chef service system using terminal, and method thereof
WO2018107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parties in a business environment
WO2015020732A1 (en) Service productivity and guest management system
KR101728952B1 (ko) 근거리무선통신 기기 환경하에서의 음식메뉴 주문방법
US11651407B2 (en) Mirrored display and proximal control of autonomous retail systems
JP2019139341A (ja) 寄付申請端末、端末プログラム、寄付申請支援システム及び処理プログラム
US20180268381A1 (en)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n order management system
JP7057583B2 (ja) オーダーシステム
JP2023156442A (ja)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方法、及び施設管理プログラム
KR20220110162A (ko)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42107B1 (ko) 식당 선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US11625714B2 (en) Anonymous peer-to-peer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7989A (ko) Nfc 태그 기반의 메뉴판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nfc 태그 기반의 메뉴판 제공 방법
KR102118238B1 (ko)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062147A (ko) 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4149694A (ja) 予約管理装置、飲食店システム、予約管理プログラム
KR20180001120A (ko) 온라인 식당 예약 통합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5719858B2 (ja) 注文受付装置、飲食店システム及び注文予約プログラム
KR101994905B1 (ko) 주문 관리 서버에서 구매자의 주문을 관리하는 방법
KR20210011687A (ko) 주문실수 예방 및 신속처리 가능한 식당 주문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241736A1 (en) Access point key based servi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