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829A - Rf 커넥터 - Google Patents

Rf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829A
KR20220109829A KR1020210013315A KR20210013315A KR20220109829A KR 20220109829 A KR20220109829 A KR 20220109829A KR 1020210013315 A KR1020210013315 A KR 1020210013315A KR 20210013315 A KR20210013315 A KR 20210013315A KR 20220109829 A KR20220109829 A KR 2022010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ell
spring
connector
contac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디
Priority to KR102021001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829A/ko
Publication of KR2022010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RF 커넥터는, 제1 기판(P1)에 결합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1)를 구비하는 제1 쉘(10);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21)를 구비하는 제2 쉘(20); 제2 쉘(20)의 플랜지부(22)의 하부면과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30); 제1 쉘(10)의 하측의 내주면에 절연물질이 형성되며, 제2 쉘(20)과는 분리되는 절연부(40); 외주 둘레부가 절연부(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51)이 형성되는 컨택트소켓(50);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1)에 삽입되며, 슬롯팅부(63)를 구비하는 컨택트핀(60);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1)에 내장되며, 컨택트핀(6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RF 커넥터{RF CONNECTOR}
본 발명은 RF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기판들 또는 전자기기의 단자들 사이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한 RF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기판(Circuit Board) 위에 전기 부품이 부착되고, 서로 접속하여 회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로 기판은 컴퓨터, TV 등 각종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이용된다. 회로 기판을 이용한 기술은 정보 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빠른 성장을 이룩하며 날이 갈수록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특히,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은 집적 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납땜되는 얇은 판으로, 모든 전자제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회로의 특성이 안정화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기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커넥터(connector)가 필요한데, 커넥터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 내부의 단위 부품들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자 부품을 말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대상물들을 결합시켜 대상물들 사이에 전기적 신호와 접지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기판들 또는 전자 부품들 사이에 커넥터를 적절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기판들 또는 전자 부품들 사이에서 커넥터들의 위치가 조금이라도 상이한 경우에는 정렬이 틀어지게 되어 기판들 또는 전자 부품들 사이 전기적 연결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내부의 컨택트핀(contact pin)이 접촉면과 최대한 밀착이 되어야지만 전기적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인쇄 회로 기판들 사이에 복수 개의 커넥터들이 결합되는 경우, 커넥터들이 결합할 위치에서 두 인쇄 회로 기판들 또는 인쇄 회로 기판과 전자기기의 간격이 모두 동일해야 전기적으로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부적절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커넥터를 연결하려는 시도는 커넥터 및 전자 부품 등을 실질적으로 손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회로 기판과 커넥터 간 면대면 접촉을 할 때, 모든 면이 확실하게 밀착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회로 기판과 커넥터 간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서로 다른 회로 기판들의 전기적 연결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기판연결 커넥터는 상부 기판에 잭 타입 커넥터가 압입 또는 삽입 고정되며, 하부 기판에 플러그 타입 커넥터가 삽입 고정되어, 하부 기판의 플러그 타입 커넥터가 상부 기판의 잭 타입 커넥터에 체결되는 구조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모두에 커넥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여 조립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무리한 힘을 가하여 플러그 타입 커넥터를 잭 타입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커넥터의 핀이 손상되어 신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신호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상하 기판이 평행하게 정렬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 기판과 핀 사이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기판들 또는 전자기기들 간의 전기적 연결시 상기 기판들 또는 전자 기기들 사이 간격이 동일하지 않고 상이하더라도 전기적 연결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오정렬을 보상하는 자기복원(self restoring) 성능을 구비한 RF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신호 전달 도중에 컨택트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기복원 성능을 구비한 RF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따르면, RF 커넥터는 제1 기판에 결합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2 쉘; 상기 제2 쉘을 상기 제1 쉘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의 플랜지부의 하부면과 상기 제1 쉘의 플랜지부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쉘의 하측의 내주면에 절연물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쉘과는 분리되는 절연부; 외주 둘레부가 상기 절연부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컨택트소켓; 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컨택트핀; 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에 내장되며, 상기 컨택트핀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컨택트핀이 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택트핀의 하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컨택트소켓은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컨택트핀의 돌기가 상기 컨택트소켓의 스토퍼에 걸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제2 쉘에는 하나 이상의 슬롯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절연부의 상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르면, RF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스프링은 벌류트 스프링(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쉘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의 하단부의 외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쉘의 플랜지의 하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의 상단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따르면, RF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스프링은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은 내측원형띠,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태양에 따르면, RF 커넥터는, 제1 기판에 결합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 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제2 쉘; 상기 제2 쉘을 상기 제1 쉘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의 플랜지부의 하부면과 상기 제1 쉘의 플랜지부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 제1 쉘의 하측의 내주면에 절연물질이 형성되는 절연부;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컨택트핀; 외주 둘레부가 상기 절연부에 내장되며, 내부에 상기 컨택트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컨택트소켓; 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에 내장되며, 상기 컨택트핀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컨택트소켓은 삽입홈의 상단부의 내주면에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컨택트핀이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가 상기 컨택트핀의 머리부와 접촉하여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컨택트핀이 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슬롯팅부의 개방 단부와 상기 스프링은 수축되며, 상기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가 상기 컨택트핀의 머리부와 분리되어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수축된 슬롯팅부의 개방 단부와 상기 스프링은 팽창되면서,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컨택트핀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컨택트핀의 머리부와 상기 절연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컨택트핀의 바디부와 상기 컨택트소켓의 스토퍼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제2 쉘에는 하나 이상의 슬롯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절연부의 상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는, 상기 제1 스프링을 둘러싸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제1 쉘의 플랜지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복원형 커넥터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의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 틸팅(tilting)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기판들의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커넥터는 기판들 또는 전자 부품들 간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도 전기적 연결의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F 커넥터는 자기 복원 성능을 구비하여 컨택트핀의 이탈을 방지하여 전기적 접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기판연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기판연결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RF 커넥터의 절연부의 상단부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스프링의 둘레에 보호 커버가 부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RF 커넥터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RF 커넥터의 절연부의 상단부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는 제1 기판(P1)에 결합되는 제1 쉘(10), 제2 기판에 접촉되는 제2 쉘(20), 제1 쉘(10)의 플랜지부와 제2 쉘의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30), 제1 쉘(10)의 하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 절연부에 내장되는 컨택트소켓(50, 250, 360, 460, 560, 660), 컨택트소켓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 및 컨택트소켓 내에서 컨택트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70, 270, 370, 470, 570, 6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쉘(10)은 제1 기판(P1)에 결합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11a)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1)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쉘(20)은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12a)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21)를 구비한다.
여기서, '반경 방향'이란 중심축으로의 방향 또는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쉘(10)의 길이방향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1)는 상기 제2 쉘(20)의 길이방향의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1)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쉘(10)의 연장부(11)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쉘(20)의 연장부(21)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가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팅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과 상기 제2 쉘(20)의 플랜지부(22)의 하부면 사이에는 제1 스프링(30)이 배치되어, 제2 쉘(20)을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서,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쉘(20)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쉘(20)은 제1 쉘(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2 쉘(20)에 접촉되는 제2 기판이 제1 쉘(10)에 고정되는 제1 기판(P1)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쉘(20)의 중심축이 제1 쉘(10)의 중심축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축방향(axial direction)의 오정렬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제2 쉘(20)의 원통형 형상의 연장부(2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팅부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슬롯팅부에 의하면, 제1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쉘(20)이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쉘(20)이 제1 쉘(10)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커넥터의 수직방향의 길이가 길어졌을 때, 제2 쉘(20)의 내경을 축소시켜 임피던스를 설계치(예를 들어, 50Ω)에 근접하게 만들어주어 RF 특성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쉘(20)이 내측(절연부(40)측)으로 경사질 때, 제2 쉘(20)의 연장부(21)의 내주면과 절연부(40)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이 심하게 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40)의 상부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 커넥터에서는 중심 도체가 컨텍트소켓에 컨텍트핀이 삽입결합되는 것으로서, Pogo 커넥터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경우, Pogo 커넥터의 전장(전체 길이)가 약 8.0mm ± 1.00mm로 가변적인 성질이 있다. Pogo 커넥터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컨택트핀을 둘러싸는 절연부의 내주면과 컨택트핀의 외주면 사이에 흐르는 동축(coaxial) 전송라인의 절연체가 절연부(예를 들어, 테프론)이 아닌 공기가 적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임피던스가 약 50Ω이 아니고, 약 60Ω 내지 70Ω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임피던스의 상승을 조금이라도 보정하기 위하여 컨택트핀을 둘러싸는 절연부의 내경을 줄여주므로 임피던스를 감소시키게 된다.
제1 쉘(10)의 길이방향 연장부(11)의 일 단부(11a)에 형성되는 반경방향의 돌출부는 제 쉘(20)의 길이방향 연장부(21)의 일 단부(21a)에 형성되는 반경방향의 돌출부와 서로 맞물리며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쉘(10)의 연장부(11)의 일 단부의 반경방향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을 향하고 제2 쉘(20)의 연장부(21)의 일단부의 반경방향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1 쉘(10)의 연장부(11)의 일 단부의 반경방향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고 제2 쉘(20)의 연장부(21)의 일단부의 반경방향 돌출부는 커넥터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쉘(10)의 길이방향의 연장부(11)와 제2 쉘(20)의 길이방향의 연장부(21)는 각각의 반경이 어느 한쪽이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쉘(10) 및 제2 쉘(20)은 도체의 금속 소재, 예를 들어, 베릴륨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강성을 가진 부도체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는, 제1 쉘(10)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는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 및 컨택트소켓(50, 250, 350, 450, 550, 650)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컨택트소켓(50, 250, 350, 450, 550, 650)을 보호하며,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컨택트소켓(50, 250, 350, 450, 550, 650)을 둘러싸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도체(insulat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는 전기 절연성과 더불어 그 내부에 위치하는 컨택트소켓(50, 250, 350, 450, 550, 650)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불소 수지(fluorine resin), 예를 들어,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쉘(20)은 제1 쉘(10)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상대운동을 하므로, 제2 쉘(20)은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와는 분리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다음에,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부분들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는 제1 기판(P1)에 결합되는 제1 쉘(10), 제2 기판에 접촉되는 제2 쉘(20), 제1 쉘(10)의 플랜지부와 제2 쉘의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벌류트 스프링(31), 제1 쉘(10)의 하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 절연부에 내장되는 컨택트소켓(50, 250, 360, 460, 560, 660), 컨택트소켓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 및 컨택트소켓 내에서 컨택트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70, 270, 370, 470, 570, 6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쉘(10)과 상기 제2 쉘(20)의 결합은, 제1 쉘(10)의 길이방향의 연장부(11)의 반경방향 돌출 단부(11a)가 제2 쉘(20)의 길이방향의 연장부(21)의 반경방향 돌출 단부(21a)와 맞물려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의 벌류트 스프링(31)은 도 5b에 도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벌류트 스프링(31)은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과 제2 쉘(20)의 플랜지부(22)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쉘(20)을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서,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쉘(20)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축 하중이 작용할 때, 벌류트 스프링(31)의 완충 하중(수용 하중)은 스프링의 변형과 함께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다가 스프링 직경이 큰 하단부의 판(plate)부터 순차적으로 좌면(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에 접촉한다. 벌류트 스프링의 하단부에서 죄면에 접촉된 부분의 판은 스프링으로서의 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하중 이상에서의 변위에 대하여 완충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가진다. 또한, 벌류트 스프링(31)은 서로 밀착되는 판과 판 사이의 마찰에 의한 진동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기판에 작용하는 과대한 하중으로부터 스프링이 보호될 수 있으며, 작은 장소에서도 커넥터가 큰 하중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1)의 하단부의 외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쉘(20)의 플랜지의 하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1)의 상단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부분들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는 제1 기판(P1)에 결합되는 제1 쉘(10), 제2 기판에 접촉되는 제2 쉘(20), 제1 쉘(10)의 플랜지부와 제2 쉘의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 제1 쉘(10)의 하측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 절연부에 내장되는 컨택트소켓(50, 250, 360, 460, 560, 660), 컨택트소켓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 및 컨택트소켓 내에서 컨택트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70, 270, 370, 470, 570, 67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쉘(10)과 상기 제2 쉘(20)의 결합은, 제1 쉘(10)의 길이방향의 연장부(11)의 반경방향 돌출 단부(11a)가 제2 쉘(20)의 길이방향의 연장부(21)의 반경방향 돌출 단부(21a)와 맞물려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은 도 8b에 도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은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과 제2 쉘(20)의 플랜지부(22)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쉘(20)을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서, 제2 기판으로부터 제2 쉘(20)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지지한다. 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은 내측원형띠(321),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322)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다리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은 복수의 다리부(323)가 제2 쉘(20)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통상 의 코일 스프링이 원형의 상단면에 의해 상부 기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보다 하중 편차가 훨씬 적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측에 배치되는 기판을 하측에 배치되는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323)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설계 사양에 따라 4개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쉘(10)과 제2 쉘(20) 사이에 배치된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이 상부 기판을 하중 편차가 적게 하부 기판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의 복수의 다리부(323)의 말단부들은 수평으로, 즉 내측원형띠(321)의 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과 제2 쉘(20)의 플랜지부(22)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30, 31, 32)의 외부 둘레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제1 스프링(30, 31, 32)을 둘러싸는 보호 커버(8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80)는 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외주면에 끼워맞춰 결합하거나 또는 용접, 코킹 등과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스프링(30, 31, 32)에 오염물질이 쌓여서 제1 스프링(30, 31, 32)의 작동이 방해되거나 본 발명의 RF 커넥터의 특성이 변화되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80)가 상기 제2 쉘(20)의 상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보호 커버(80)의 내경은 상기 제2 쉘(20)의 플랜지부(22)의 외경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보호 커버(80)는 금속 재질 또는 다른 공지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RF 커넥터에서 상기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의 중심에 결합되는 컨택트소켓(50, 250, 350, 450, 550, 650)과 컨택트소켓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의 결합체는 다양한 실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컨택트소켓(50, 250, 350, 450, 550, 650)과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의 결합체(100, 200, 300, 400, 500, 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및 컨택트 소켓 이 절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9c는 도 9b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의 단면도이며; 도 9d는 도 9b의 컨택트핀이 컨택트 소켓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는, 제1 기판(P1)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1)를 구비하는 제1 쉘(10);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21)를 구비하는 제2 쉘(20);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와 제2 쉘(20)의 플랜지부(2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30); 제1 쉘(10)의 하측의 내주면에 절연물질이 형성되는 절연부(40); 절연부(40)에 내장되는 컨택트소켓(50); 컨택트소켓(50)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0); 및 컨택트소켓(50) 내에서 컨택트핀(6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과 컨택트소켓의 결합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소켓(50)은 외주 둘레부가 절연부(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51)이 형성되며; 컨택트핀(60)은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1)에 삽입되며, 슬롯팅부(63)를 구비하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0)의 하단부에는 제2 스프링(7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60)은 머리부(61) 및 바디(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61)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며, 상기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고, 상기 컨택트핀(60)은 컨택트소켓(50)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RF 필터 또는 측정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61)는, 제2 기판과의 밀착을 더욱 긴밀하게 하여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핀(60)은 상기 머리부(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62)는 상단부(62a)와 하단부(62b)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때 바디 상단부(62a)의 직경은 머리부(61)의 직경 및 바디 하단부(62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디 상단부(62a), 바디 하단부(62b), 머리부(61) 순으로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바디 하단부(62b) 및 머리부(61)의 직경이 같을 수도 있다. 다만, 직경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핀(60)이 컨택트소켓(50)에 삽입되어 컨택트소켓(5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기판들 또는 전기기기들 사이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크기 및 모양을 가지면 충분하다.
상기 컨택트 핀(60)의 바디 하단부(62b)는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돌출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면대면 접촉을 하는 경우, 면과 면이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것은 매우 어렵고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64)는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핀(60)은 일측이 개방되어 긴 홈을 형성하는 슬롯팅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롯팅부(63)의 개방된 일측을 개방 단부(63b), 개방되지 않은 타측을 폐쇄 단부(63a)라 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핀(60)이 컨택트소켓(50)에 삽입되며 전기적 연결을 할 때 상기 개방 단부(63b)가 수축되고, 상기 삽입된 컨택트핀(60)이 컨택트소켓(50)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전기적 연결을 해제할 때 상기 개방 단부(63b)가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회로 기판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컨택트핀은 도체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릴륨 소재의 것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컨택트소켓(50)은 일측이 개방되어 컨택트핀(6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홈(5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50)은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 스토퍼(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택트소켓(50)의 개구부(53)는 스토퍼(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4)는 컨택트소켓(50)의 삽입홈(51)에 삽입된 컨택트핀이 삽입홈(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택트핀(60)이 컨택트소켓(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전기적 연결이 끊기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컨택트소켓(50)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리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52)는 제1 기판(P1)과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기판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50)은 삽입홈(51)과 다리부(52)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지지대(5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바닥 지지대(56)는 커넥터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흔들림, 반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대(56)는 컨택트소켓(50)의 하단부의 외주 둘레부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소켓(5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55)는 컨택트소켓(50)과 절연부(4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데, 상기 후크(5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55)가 컨택트소켓(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70)은 컨택트소켓(50)의 삽입홈(51)에 내장되어, 컨택트핀(6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RF 커넥터는, 제2 스프링(70)을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삽입홈(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0)을 더 큰 힘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7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60)과 절연부(40) 사이 간극(g1), 바디 상단부(62a)와 컨택트소켓(50)의 스토퍼(54) 사이 간극(g11) 또는 슬롯팅부(63)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기판들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또는 좌우방향으로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도, 오정렬을 보상하는 틸팅(tilting)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쉘부(10)에 내장되어 형성되는 절연부(40)는 컨택트핀(60) 및 컨택트소켓(50)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절연부(40)는 그 내부에 위치하는 컨택트소켓(50)을 보호하며,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부(4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컨택트소켓(50)을 둘러싸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절연부(40)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도체(insulat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40)는 전기 절연성과 더불어 그 내부에 위치하는 컨택트소켓(60)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불소 수지(fluorine resin), 예를 들어, PTFE(Poly Tetra Fluoro Ethylen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쉘(10)은 그 하측 내주면에서 절연부(4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전기적으로 접지 전위를 가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쉘(10)은 상측 및 하측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쉘(10)은 절연부(40)를 내장할 수 있도록, 일례로 실린더 형태의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절연부(40)를 둘러싸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상기 제1 쉘(10)은 제1 기판(P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쉘(10)은 금속 소재를 다양한 공법에 따라 제조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스 공법 및 다이캐스팅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쉘(10)과 절연부(40)를 결합할 때, 절연부(40)의 중심에 컨택트소켓(50)을 삽입 조립한 다음에 컨택트소켓(50)과 절연부(40)의 조립체를 제1 쉘(10)의 내주면에 삽입 조립할 수도 있고, 제1 쉘(10)의 원통부 중심에 컨택트소켓(50)을 배치한 상태에서 절연부(40)를 인서트 몰딩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작동 과정 및 오정렬 보상 과정을 설명한다. 제2 기판이 컨택트핀(60)의 머리부(61)와 접촉하며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컨택트핀(60)이 컨택트소켓(50)의 삽입홈(51)에 삽입되며, 상기 컨택트핀(60)의 바디 하단부 끝단(66)은 제2 스프링(70)과 접촉하며 힘을 가하고, 상기 제2 스프링(70)은 수축된다. 이때, 상기 컨택트핀(60)의 돌출부(64)는 상기 컨택트소켓(5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제1 기판이 컨택트핀(60)의 머리부(61)와 분리되며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컨택트핀(60)이 컨택트소켓(50)의 삽입홈(51)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상기 컨택트핀(60)의 바디 하단부 끝단(66)은 제2 스프링(70)과 접촉이 해제되며, 상기 제2 스프링(70)은 팽창된다. 이때, 상기 전기적 신호는 전달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한편, 제2 기판이 제1 기판에 대하여 정렬이 틀어진 상태로 머리부(61)를 누르는 경우, 컨택트핀(60)은 컨택트소켓(50)의 삽입홈(51)으로 비스듬하게 삽입된다. 이때, 컨택트핀(60)과 절연부(40) 사이 간극(g1) 또는 바디 상단부(62a)와 컨택트소켓(50)의 스토퍼(54) 사이 간극(g11)에 의하여, 상기 컨택트핀(60)은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돌출부(64)는 컨택트소켓(50)의 내주면 중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핀(60)의 슬롯팅부(63)는, 상기 일부 접촉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 커넥터는, 컨택트핀(60)과 절연부(40) 사이 간극(g1), 바디 상단부(62a)와 컨택트소켓(50)의 스토퍼(54) 사이 간극(g11) 또는 슬롯팅부(63)을 구비함으로써, 상하 기판들 또는 전자기기들 사이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도, 전기적 접촉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고, 오정렬을 보상하는 틸팅(tilting) 기능 및 자기 복원(self restor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택트소켓의 중심선에 대하여 컨택트핀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경우, 상기 중심선들 사이의 약 3°까지의 각도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상기 컨택트핀이 상기 컨택트소켓에 삽입될 때 뿐만 아니라, 접촉 후에도 오정렬을 당연히 보상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커넥터는 상시 접촉 중에도 틸팅 기능 및 자기 복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커넥터핀과 커넥터소켓의 결합체(100)는 제2 실시태양 및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260)과 컨택트소켓(250)의 결합체(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및 컨택트 소켓 이 절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10c는 도 10b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의 단면도이며; 도 10d는 도 10b의 컨택트핀이 컨택트 소켓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과 컨택트소켓의 결합체(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소켓(250)은 외주 둘레부가 절연부(2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251)이 형성되며; 컨택트핀(260)은 컨택트소켓의 삽입홈(251)에 삽입되며, 슬롯팅부(263)를 구비하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2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260)의 하단부에는 제2 스프링(2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260)과 컨택트소켓(250)의 결합체(200)의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260)은 머리부(261) 및 바디(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261)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며, 상기 제2 기판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고, 상기 컨택트핀(260)은 컨택트소켓(250)에 삽입된다. 상기 머리부(261)는, 제2 기판과의 밀착을 더욱 긴밀하게 하여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핀(260)은 상기 머리부(2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62)는 상단부(262a)와 하단부(262b)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때 바디 상단부(262a)의 직경은 머리부(261)의 직경 및 바디 하단부(262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디 상단부(262a), 바디 하단부(262b), 머리부(261) 순으로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바디 하단부(262b) 및 머리부(261)의 직경이 같을 수도 있다. 다만, 직경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핀(260)이 컨택트소켓(250)에 삽입되어 컨택트소켓(25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기판들 또는 전기 부품들 사이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크기 및 모양을 가지면 충분하다.
상기 컨택트 핀(260)의 바디 하단부(262b)는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돌출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면대면 접촉을 하는 경우, 면과 면이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것은 매우 어렵고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264)는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하단부(262b)는, 돌출부(264)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264)의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컨택트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택트핀(260)이 컨택트소켓(2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컨택트소켓(250)은 일측이 개방되어 컨택트핀(26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홈(25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250)은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 스토퍼(2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택트소켓(250)의 개구부(253)는 스토퍼(2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54)는 컨택트소켓(250)의 삽입홈(251)에 삽입된 컨택트핀이 삽입홈(2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택트핀(260)이 컨택트소켓(2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전기적 연결이 끊기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컨택트소켓(250)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리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52)는 제1 기판(P1)과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기판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250)은 삽입홈(251)과 다리부(252)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지지대(25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바닥 지지대(256)는 커넥터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흔들림, 반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대(256)는 컨택트소켓(220)의 하단부의 외주 둘레부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소켓(25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2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255)는 컨택트소켓(250)과 절연부(24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데, 상기 후크(25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255)가 컨택트소켓(2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270)은 컨택트소켓(250)의 삽입홈(251)에 내장되어, 컨택트핀(26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270)의 일부는 상기 컨택트핀(260)의 연장부(265)를 둘러쌀 수 있다. 커넥터는, 스프링(270)을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삽입홈(2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260)을 더 큰 힘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27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기판이 컨택트핀(260)의 머리부(261)와 접촉하며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컨택트핀(260)이 컨택트소켓(250)의 삽입홈(251)에 삽입되며, 상기 컨택트핀(260)의 바디 하단부 끝단(266)은 제2 스프링(270)과 접촉하며 힘을 가하고, 상기 제2 스프링(270)은 수축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64)의 상측인 바디 상단부(262a)는 상기 컨택트소켓(260)의 개구부(263)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제1 기판이 컨택트핀(260)의 머리부(261)와 분리되며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컨택트핀(260)이 컨택트소켓(250)의 삽입홈(251)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상기 컨택트핀(260)의 바디 하단부 끝단(266)은 스프링과 접촉이 해제되며, 상기 제2 스프링(270)은 팽창된다. 이때, 상기 전기적 신호는 전달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는, 컨택트핀(260)과 절연부(240) 사이 간극(g2)을 구비함으로써, 상하 기판들 사이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도, 오정렬을 보상하는 틸팅(tilting) 효과 및 자기 복원(self restoring)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커넥터핀과 커넥터소켓의 결합체(200)는 제2 실시태양 및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어서,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360)과 컨택트소켓(350)의 결합체(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및 컨택트 소켓 이 절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11c는 도 11b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의 단면도이며; 도 11d는 도 11b의 컨택트핀이 컨택트 소켓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과 컨택트소켓의 결합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소켓(350)은 외주 둘레부가 절연부(3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351)이 형성되며; 컨택트핀(360)은 컨택트소켓의 삽입홈(351)에 삽입되며, 슬롯팅부(363)를 구비하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3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360)의 하단부에는 제2 스프링(3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360)과 컨택트소켓(350)의 결합체(300)의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360)은 머리부(361) 및 바디(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361)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며, 상기 제2 기판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고, 상기 컨택트핀(360)은 컨택트소켓(350)에 삽입된다. 상기 머리부(361)는, 제2 기판과의 밀착을 더욱 긴밀하게 하여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핀(360)은 상기 머리부(3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362)는 상단부(362a)와 하단부(362b)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때 바디 상단부(362a)의 직경은 머리부(361)의 직경 및 바디 하단부(362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디 상단부(362a), 바디 하단부(362b), 머리부(361) 순으로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바디 하단부(362b) 및 머리부(361)의 직경이 같을 수도 있다. 다만, 직경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핀(360)이 컨택트소켓(350)에 삽입되어 컨택트소켓(35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기판들 또는 전기기기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크기 및 모양을 가지면 충분하다.
상기 컨택트 핀(360)의 바디 하단부(362b)는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돌출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면대면 접촉을 하는 경우, 면과 면이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것은 매우 어렵고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364)는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하단부(312b)는, 돌출부(364)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314)의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3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365)의 하단부는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접속부(3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3630)는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해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컨택트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택트핀(360)이 컨택트소켓(3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형상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연장부(365)는 일측이 개방되어 긴 홈을 형성하는 제1 슬롯팅부(36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홈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팅부(363)의 개방된 일측을 개방 단부(363b), 개방되지 않은 타측을 폐쇄 단부(363a)라 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핀(360)이 컨택트소켓(350)에 삽입되며 전기적 연결을 할 때 상기 개방 단부(363b)가 수축되고, 상기 삽입된 컨택트핀(360)이 컨택트소켓(350)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전기적 연결을 해제할 때 상기 개방 단부(363b)가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소켓(350)은 일측이 개방되어 컨택트핀(36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홈(351)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삽입홈(351)은 제1 삽입홈(351a) 및 제2 삽입홈(35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홈(351a)은 컨택트소켓(350)의 개방된 일측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삽입홈(351b)은 상기 제1 삽입홈(351a)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홈(351b)의 직경은 상기 제1 삽입홈(351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삽입홈(351)의 크기는, 컨택트핀(360)이 컨택트소켓(3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상기 제1 삽입홈(351a)에는 스프링(370)이 내장되며, 컨택트핀(360)의 바디(36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홈(351b)에는 상기 연장부(365)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350)은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 스토퍼(3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택트소켓(350)의 개구부(353)는 스토퍼(3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54)는 컨택트소켓(350)의 삽입홈(351)에 삽입된 컨택트핀이 삽입홈(3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택트핀(360)이 컨택트소켓(3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전기적 연결이 끊기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컨택트소켓(350)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리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352)는 제1 기판(P1)과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기판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350)은 삽입홈(351)과 다리부(352)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지지대(35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바닥 지지대(356)는 커넥터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흔들림, 반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대(356)는 컨택트소켓(350)의 하단부의 외주 둘레부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소켓(35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3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355)는 컨택트소켓(350)과 절연부(34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데, 상기 후크(35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355)가 컨택트소켓(3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370)은 컨택트소켓(350)의 삽입홈(351)에 내장되어, 컨택트핀(36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프링(370)은 제1 삽입홈(351a)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프링(350)은 상기 컨택트핀(360)의 연장부(365)를 둘러쌀 수 있다. RF 커넥터는, 제2 스프링(370)을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삽입홈(3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360)을 더 큰 힘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37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기판이 컨택트핀(360)의 머리부(361)와 접촉하며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컨택트핀(360)이 컨택트소켓(350)의 삽입홈(351)에 삽입되며, 상기 컨택트핀(360)의 바디 하단부 끝단(366)은 스프링(370)과 접촉하며 힘을 가하고, 상기 제2 스프링(370)은 수축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64)의 상측의 바디 상단부(362a)는 상기 컨택트소켓(350)의 개구부(353)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연장부(365)의 외주면은 상기 제2 삽입홈(351b)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부(365)의 접속부(3630)의 외주면은 상기 제2 삽입홈(351b)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기판이 컨택트핀(360)의 머리부(361)와 분리되며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컨택트핀(360)이 컨택트소켓(350)의 삽입홈(351)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상기 컨택트핀(360)의 바디 하단부 끝단(366)은 스프링과 접촉이 해제되며, 상기 제2 스프링(370)은 팽창된다. 이때, 상기 전기적 신호는 전달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RF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는, 컨택트핀(360)과 절연부(340) 사이 간극(g3) 또는 제1 슬롯팅부(363)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기판들 사이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도, 오정렬을 보상하는 틸팅(tilting) 효과 및 자기 복원(self restoring)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3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커넥터핀과 커넥터소켓의 결합체(300)는 제2 실시태양 및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어서,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460)과 컨택트소켓(450)의 결합체(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및 컨택트 소켓 이 절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b는 도 12a의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12c는 도 12b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과 컨택트소켓의 결합체(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소켓(450)은 외주 둘레부가 절연부(4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451)이 형성되며; 컨택트핀(460)은 컨택트소켓의 삽입홈(451)에 삽입되며, 슬롯팅부(463)를 구비하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4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460)의 하단부에는 제2 스프링(4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460)과 컨택트소켓(450)의 결합체(400)의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제1 ~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460)은 머리부(461) 및 바디(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461)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며, 상기 제2 기판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고, 상기 컨택트핀(460)은 컨택트소켓(450)에 삽입된다. 상기 머리부(461)는, 제2 기판과의 밀착을 더욱 긴밀하게 하여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핀(460)은 상기 머리부(4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462)는 상단부(462a)와 하단부(462b)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때 바디 상단부(462a)의 직경은 머리부(461)의 직경 및 바디 하단부(462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디 상단부(462a), 바디 하단부(462b), 머리부(461) 순으로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바디 하단부(462b) 및 머리부(461)의 직경이 같을 수도 있다. 다만, 직경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핀(460)이 컨택트소켓(450)에 삽입되어 컨택트소켓(45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기판들 또는 전기기기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크기 및 모양을 가지면 충분하다.
상기 컨택트 핀(460)의 바디 하단부(462b)는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돌출부(464)를 포함할 수 있다. 면대면 접촉을 하는 경우, 면과 면이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것은 매우 어렵고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464)는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핀(460)은 일측이 개방되어 긴 홈을 형성하는 슬롯팅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롯팅부(463)의 개방된 일측을 개방 단부(463b), 개방되지 않은 타측을 폐쇄 단부(463a)라 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핀(460)이 컨택트소켓(450)에 삽입되며 전기적 연결을 할 때 상기 개방 단부(463b)가 수축되고, 상기 삽입된 컨택트핀(460)이 컨택트소켓(450)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전기적 연결을 해제할 때 상기 개방 단부(453b)가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소켓(450)은 일측이 개방되어 컨택트핀(46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홈(45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450)은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 스토퍼(4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택트소켓(450)의 개구부(453)는 스토퍼(4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54)는 컨택트소켓(450)의 삽입홈(451)에 삽입된 컨택트핀이 삽입홈(4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택트핀(460)이 컨택트소켓(4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전기적 연결이 끊기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24)가 상기 컨택트핀(4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머리부(461)에서 바디(462)로 연결되는 부분의 경사면(4610)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개구부(453)에 형성되는 경사면(4530)의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스토퍼(454)에 의해 상기 컨택트핀(460)이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경사 각도이면 충분하다. 상기 스토퍼(45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소켓(450)의 개구부(453)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컨택트소켓(450)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리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452)는 제1 기판(P1)과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기판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450)은 삽입홈(451)과 다리부(452)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지지대(45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바닥 지지대(456)는 커넥터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흔들림, 반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대(456)는 컨택트소켓(450)의 하단부의 외주 둘레부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소켓(45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4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455)는 컨택트소켓(450)과 절연부(44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데, 상기 후크(45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455)가 컨택트소켓(4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470)은 컨택트소켓(450)의 삽입홈(451)에 내장되어, 컨택트핀(46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제2 스프링(470)을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삽입홈(4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460)을 더 큰 힘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47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4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커넥터핀과 커넥터소켓의 결합체(400)는 제2 실시태양 및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이어서,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여 제5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560)과 컨택트소켓(550)의 결합체(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및 컨택트 소켓 이 절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3b는 도 13a의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13c는 도 13b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의 단면도이며; 도 13d는 도 13b의 컨택트핀이 컨택트 소켓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과 컨택트소켓의 결합체(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소켓(550)은 외주 둘레부가 절연부(4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551)이 형성되며; 컨택트핀(560)은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51)에 삽입되며, 슬롯팅부(563)를 구비하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560)의 하단부에는 제2 스프링(5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560)과 컨택트소켓(550)의 결합체(500)의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제1 ~ 제4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560)은 머리부(561) 및 바디(5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561)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하며, 상기 제2 기판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고, 상기 컨택트핀(560)은 컨택트소켓(550)에 삽입된다. 상기 머리부(561)는, 제2 기판과의 밀착을 더욱 긴밀하게 하여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핀(560)은 상기 머리부(5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5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562)는 상단부(562a)와 하단부(562b)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때 바디 상단부(562a)의 직경은 머리부(561)의 직경 및 바디 하단부(562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디 상단부(562a), 바디 하단부(562b), 머리부(561) 순으로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바디 하단부(562b) 및 머리부(561)의 직경이 같을 수도 있다. 다만, 직경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핀(560)이 컨택트소켓(550)에 삽입되어 컨택트소켓(55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기판들 또는 전기 기기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크기 및 모양을 가지면 충분하다.
상기 컨택트 핀(560)의 바디 하단부(562b)는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돌출부(564)를 포함할 수 있다. 면대면 접촉을 하는 경우, 면과 면이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것은 매우 어렵고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564)는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하단부(562b)는, 돌출부(514)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564)의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컨택트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택트핀(560)이 컨택트소켓(5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기 컨택트소켓(550)은 일측이 개방되어 컨택트핀(56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홈(55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550)은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 스토퍼(5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택트소켓(550)의 개구부(553)는 스토퍼(5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54)는 컨택트소켓(550)의 삽입홈(551)에 삽입된 컨택트핀이 삽입홈(5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택트핀(560)이 컨택트소켓(5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전기적 연결이 끊기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5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소켓(550)의 개구부(553)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다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개구부(553)에 형성된 경사면(5530)은, 머리부(561)에서 바디(562)로 연결되는 부분의 경사면(561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컨택트소켓(550)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리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552)는 제1 기판(P1)과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기판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550)은 삽입홈(551)과 다리부(552)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지지대(55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바닥 지지대(556)는 커넥터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흔들림, 반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대(556)는 컨택트소켓(550)의 하단부의 외주 둘레부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소켓(55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5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555)는 컨택트소켓(550)과 절연부(54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데, 상기 후크(55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555)가 컨택트소켓(5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570)은 컨택트소켓(550)의 삽입홈(551)에 내장되어, 컨택트핀(56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프링(570)의 일부는 상기 컨택트핀(560)의 연장부(565)를 둘러쌀 수 있다. RF 커넥터는, 제2 스프링(570)을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삽입홈(52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560)을 더 큰 힘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57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는, 컨택트핀(560)과 절연부(540) 사이 간극(g5)을 구비함으로써, 상하 기판들 또는 전자기기들 사이의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도, 전기적 접촉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고, 오정렬을 보상하는 틸팅(til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5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커넥터핀과 커넥터소켓의 결합체(500)는 제2 실시태양 및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이어서,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여 제6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660)과 컨택트소켓(650)의 결합체(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2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및 컨택트 소켓 이 절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RF 커넥터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14c는 도 14b의 컨택트핀, 컨택트 소켓 및 스프링의 단면도이며; 도 14d는 도 14b의 컨택트핀이 컨택트 소켓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과 컨택트소켓의 결합체(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소켓(650)은 외주 둘레부가 절연부(5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651)이 형성되며; 컨택트핀(660)은 컨택트소켓의 삽입홈(651)에 삽입되며, 슬롯팅부(663)를 구비하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6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60)의 하단부에는 제2 스프링(6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컨택트핀(660)과 컨택트소켓(650)의 결합체(600)의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핀(660)은 머리부(661) 및 바디(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661)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2 기판(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하며, 상기 제2 기판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고, 상기 컨택트핀(660)은 컨택트소켓(650)에 삽입된다. 상기 머리부(661)는, 제2 기판과의 밀착을 더욱 긴밀하게 하여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핀(660)은 상기 머리부(6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6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662)는 상단부(662a)와 하단부(662b)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때 바디 상단부(662a)의 직경은 머리부(661)의 직경 및 바디 하단부(662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디 상단부(662a), 바디 하단부(662b), 머리부(661) 순으로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바디 하단부(662b) 및 머리부(661)의 직경이 같을 수도 있다. 다만, 직경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핀(660)이 컨택트소켓(650)에 삽입되어 컨택트소켓(65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기판들 또는 전기 기기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크기 및 모양을 가지면 충분하다.
상기 컨택트 핀(660)의 바디 하단부(662b)는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돌출부(664)를 포함할 수 있다. 면대면 접촉을 하는 경우, 면과 면이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것은 매우 어렵고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해 상기 돌출부(664)는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하단부(662b)는, 돌출부(664)와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614)의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6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665)의 하단부는 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접속부(6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6630)는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해 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컨택트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택트핀(660)이 컨택트소켓(6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형상이면 충분하다.
한편, 상기 연장부(665)는 일측이 개방되어 긴 홈을 형성하는 제1 슬롯팅부(66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홈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팅부(663)의 개방된 일측을 개방 단부(663b), 개방되지 않은 타측을 폐쇄 단부(663a)라 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핀(660)이 컨택트소켓(650)에 삽입되며 전기적 연결을 할 때 상기 개방 단부(663b)가 수축되고, 상기 삽입된 컨택트핀(660)이 컨택트소켓(650)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전기적 연결을 해제할 때 상기 개방 단부(663b)가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소켓(650)은 일측이 개방되어 컨택트핀(660)이 삽입되는 공간인 삽입홈(651)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삽입홈(651)은 제1 삽입홈(651a) 및 제2 삽입홈(65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홈(651a)은 컨택트소켓(650)의 개방된 일측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삽입홈(651b)은 상기 제1 삽입홈(651a)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홈(651b)의 직경은 상기 제1 삽입홈(651a)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삽입홈(651)의 크기는, 컨택트핀(660)이 컨택트소켓(6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충분하다. 상기 제1 삽입홈(651a)에는 제2 스프링(670)이 내장되며, 컨택트핀(660)의 바디(66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홈(651b)에는 상기 연장부(665)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650)은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 스토퍼(6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택트소켓(650)의 개구부(653)는 스토퍼(6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54)는 컨택트소켓(520)의 삽입홈(651)에 삽입된 컨택트핀이 삽입홈(65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택트핀(660)이 컨택트소켓(6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중에도, 전기적 연결이 끊기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5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소켓(650)의 개구부(653)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다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개구부(653)에 형성된 경사면(6530)은, 머리부(611)에서 바디(662)로 연결되는 부분의 경사면(661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컨택트소켓(650)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리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652)는 제1 기판(P1)과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기판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컨택트소켓(650)은 삽입홈(651)과 다리부(652)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 지지대(656)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바닥 지지대(656)는 RF 커넥터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흔들림, 반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대(626)는 컨택트소켓(120)의 하단부의 외주 둘레부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트소켓(65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6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655)는 컨택트소켓(650)과 절연부(64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데, 상기 후크(65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655)가 컨택트소켓(65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670)은 컨택트소켓(650)의 삽입홈(651)에 내장되어, 컨택트핀(66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프링(670)은 제1 삽입홈(651a)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프링(670)은 상기 컨택트핀(660)의 연장부(665)를 둘러쌀 수 있다. RF 커넥터는, 제2 스프링(670)을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삽입홈(6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60)을 더 큰 힘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67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판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소켓(650)을 둘러싸는 절연부(6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는, 컨택트핀(660)과 절연부(640) 사이 간극(g6) 및/또는 제1 슬롯팅부(663)를 구비함으로써, 상하 기판들 사이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도, 전기적 접촉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고, 오정렬을 보상하는 틸팅(til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6 실시예에 따른 RF 커넥터의 커넥터핀과 커넥터소켓의 결합체(600)는 제2 실시태양 및 제3 실시태양에 따른 RF 커넥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RF 커넥터 10: 제1 쉘 11, 21: 연장부 11a, 21a: 돌출부 12, 22: 플랜지부 20: 제2 쉘 30, 31, 32: 제1 스프링 40, 240, 340, 440, 540, 640: 절연부 50, 250, 350, 450, 550, 650: 컨택트소켓 51, 251, 351, 451, 551, 651: 삽입홈 54, 254, 354, 454, 554, 654: 스토퍼 60, 260, 360, 460, 560, 660: 컨택트핀 63, 363, 463, 663: 제2 슬롯팅부 70, 270, 370, 470, 570, 670: 제2 스프링 80: 보호 커버 100, 200, 300, 400, 500, 600: 컨택트핀과 컨택트소켓의 결합체 P1: 제1 기판 g1, g2, g3, g4, g5, g6, g11, g44: 간극

Claims (19)

  1. 제1 기판(P1)에 결합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1)를 구비하는 제1 쉘(10);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21)를 구비하는 제2 쉘(20);상기 제2 쉘(20)을 상기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20)의 플랜지부(22)의 하부면과 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30);상기 제1 쉘(10)의 하측의 내주면에 절연물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쉘(20)과는 분리되는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외주 둘레부가 상기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삽입홈(51, 251, 251, 351, 451, 551, 651)이 형성되는 컨택트소켓(50, 250, 250, 350, 450, 550, 650);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1, 251, 251, 351, 451, 551, 651)에 삽입되는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1, 251, 251, 351, 451, 551, 651)에 내장되며, 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70, 270, 370, 470, 570, 670)을 포함하는RF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이 상기 컨택트소켓(50, 250, 250, 350, 450, 550, 650)의 삽입홈(51, 251, 251, 351, 451, 551, 6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의 하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64, 264, 364, 464, 564, 664)를 구비하며, 상기 컨택트소켓(50, 250, 250, 350, 450, 550, 650)은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 스토퍼(54, 254, 254, 354, 454, 554, 654)를 구비하여, 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의 돌기(64, 264, 364, 464, 564, 664)가 상기 컨택트소켓(50, 250, 250, 350, 450, 550, 650)의 스토퍼(54, 254, 254, 354, 454, 554, 654)에 걸리는RF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쉘(20)에는 하나 이상의 슬롯팅부가 형성되는RF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의 상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진RF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스프링은 벌류트 스프링(31)으로 이루어지는RF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1)의 하단부의 외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가 형성되며,상기 제2 쉘(20)의 플랜지의 하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1)의 상단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되는RF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스프링은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으로 이루어지는RF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은 내측원형띠(321),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322)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다리부(323)를 포함하는RF 커넥터.
  9. 제1 기판(P1)에 결합되며,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상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1)를 구비하는 제1 쉘(10);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일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21)를 구비하는 제2 쉘(20);상기 제2 쉘(20)을 상기 제1 쉘(1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제2 쉘(20)의 플랜지부(22)의 하부면과 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30);제1 쉘(10)의 하측의 내주면에 절연물질이 형성되는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둘레부 외측으로 팽창되는 돌출부(64, 264, 364, 464, 564, 664)를 포함하는 바디(62, 262, 362, 462, 562, 662) 및 상기 바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머리부(61, 261, 361, 461, 561, 661)를 포함하는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외주 둘레부가 상기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에 내장되며, 내부에 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이 삽입되는 삽입홈(51, 251, 251, 351, 451, 551, 651)이 형성되는 컨택트소켓(50, 250, 250, 350, 450, 550, 650);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1, 251, 251, 351, 451, 551, 651)에 내장되며, 상기 컨택트핀(6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70, 270, 370, 470, 570, 670)을 포함하며,상기 컨택트소켓은 삽입홈의 상단부의 내주면에 스토퍼(54, 254, 254, 354, 454, 554, 654)를 구비하여, 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이 상기 삽입홈(51, 251, 251, 351, 451, 551, 6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가 상기 컨택트핀의 머리부(61, 261, 361, 461, 561, 661)와 접촉하여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이 상기 컨택트소켓의 삽입홈(51, 251, 251, 351, 451, 551, 651)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스프링(70, 270, 370, 470, 570, 670)은 수축되며,상기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가 상기 컨택트핀의 머리부(61, 261, 361, 461, 561, 661)와 분리되어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 스프링(70, 270, 370, 470, 570, 670)은 팽창되면서,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진RF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의 머리부(61, 261, 361, 461, 561, 661)와 상기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 사이에 간극(g1)이 형성되는RF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상기 컨택트핀(60, 260, 360, 460, 560, 660)의 바디부(62, 262, 362, 462, 562, 662)와 상기 컨택트소켓(50, 250, 250, 350, 450, 550, 650)의 스토퍼(54, 254, 254, 354, 454, 554, 654) 사이에 간극(g11)이 형성되는RF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2 쉘(20)에는 하나 이상의 슬롯팅부가 형성되는RF 커넥터.
  13.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절연부(40, 240, 340, 440, 540, 640)의 상부가 내측으로 테이퍼진RF 커넥터.
  14.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스프링은 벌류트 스프링(31)으로 이루어지는RF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의 상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1)의 하단부의 외측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부가 형성되며,상기 제2 쉘(20)의 플랜지의 하부면에는 상기 벌류트 스프링(31)의 상단부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제2 돌기부가 형성되는RF 커넥터.
  16.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스프링은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으로 이루어지는RF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다중점 지지 판스프링(32)은 내측원형띠(321), 상기 내측원형띠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322)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다리부(323)를 포함하는RF 커넥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스프링(30, 31, 32)을 둘러싸는 보호 커버(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80)는 상기 제1 쉘(10)의 플랜지부(12)에 부착되는RF 커넥터.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제1 기판(P1)과 제2 기판 또는 전자기기의 정렬 상태가 상이한 경우,틸팅(tilting) 기능을 수행하여 오정렬을 보상하는RF 커넥터.
KR1020210013315A 2021-01-29 2021-01-29 Rf 커넥터 KR20220109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15A KR20220109829A (ko) 2021-01-29 2021-01-29 Rf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15A KR20220109829A (ko) 2021-01-29 2021-01-29 Rf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829A true KR20220109829A (ko) 2022-08-05

Family

ID=8282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315A KR20220109829A (ko) 2021-01-29 2021-01-29 Rf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5968B2 (en)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KR101992258B1 (ko) 동축 커넥터
US11139597B2 (en) Connector assembly
US5380211A (en) Coaxial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US9236694B2 (en) Coaxial, plug and socket connectors with precision centering means
US6497579B1 (en) Coaxial connection with a tiltable adapte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10950961B2 (en) Card edge connector structure
US7628629B2 (en) Connector
WO2016042868A1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US6146168A (en) Connector structure
US11264753B2 (en) Connector
EP378374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971846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US6142803A (en) Coaxial antenna connector for mobile phone
KR20220109829A (ko) Rf 커넥터
KR102309404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JP5242655B2 (ja) 電気接続箱
US11515669B2 (en) Floating header and circuit board assembly
KR102203367B1 (ko) 커넥팅 장치
CN212968376U (zh) 连接器
KR102421001B1 (ko) 동축 커넥터
JP6550687B1 (ja) テーパー部が形成されたグラウンド部を含む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
EP0924810B1 (en) Coaxial antenna connector for mobile phone
KR20210003009A (ko) 자기복원형 커넥터
US20230238752A1 (en) Coaxi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lock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