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089A -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089A
KR20220109089A KR1020210012352A KR20210012352A KR20220109089A KR 20220109089 A KR20220109089 A KR 20220109089A KR 1020210012352 A KR1020210012352 A KR 1020210012352A KR 20210012352 A KR20210012352 A KR 20210012352A KR 20220109089 A KR20220109089 A KR 20220109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luoropolyether
surfactant
microcapsules
active
synthes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292B1 (ko
Inventor
강동구
기성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2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8G65/323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제작된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종래에 비하여 드롭렛의 뭉침 현상이 없고, 드롭렛의 크기 변화가 없어 PCR 조건 하에서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SYNTHETIC METHOD OF BIOCOMPATIBLE SURFACTANT FOR FORMING MICROCAPSULES}
본 발명은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캡슐은 피콜리터처럼 낮은 양의 액체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 대량 스크리닝에 혁명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작은 부피로 수백만 개의 개별적인 반응을 하기 위해서, 반응제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는 나노리터 규모의 챔버로 미세유체장치를 조작하여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장치는 다소 복잡하고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컴파트먼트 수가 제한되어 있으며 중간 세척 단계 없이는 재사용할 수 없다. 훨씬 쉽고 강력한 대안은 반응제를 오일 에멀전 중 물방울 내에 캡슐화하는 것이다. 드롭렛(droplet)은 특히 생물학적 분석에 유용하다. 피콜리터 크기의 미세혈관에는 적은 수의 분자나 세포가 들어있지만 생물학적으로 관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들의 작은 크기는 수백만 개의 화합물이 들어 있는 선별 라이브러리의 부피와 비용을 크게 감소시킨다.
그러나, 드롭렛(droplet)이 진정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드롭렛(droplet) 사이에 어떤 교차 오염도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불소화탄소 오일을 연속적인 단계로 사용하는 것이 매력적이며, 이들 오일은 소수성, 지방성 둘 다이기 때문에 수용성 단계의 생물학적 시약에 대한 용해성이 낮고 물방울 사이의 분자 확산을 억제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탄화수소 기름과 비교했을 때, 플루오르카본 오일은 미세유체 채널을 제작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물질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의 팽윤이 적다. 마지막으로, 불소화탄소 오일은 가스에 대한 용해도가 양호하며, 이것은 캡슐화된 세포의 생존성에 필요하다.
그러나, 드롭렛(droplet)은 결합되기 쉽다. 따라서 어떤 드롭렛(droplet) 기반 용도의 경우 계면 활성제는 물방울이 안정되도록 하는 데 중요하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생체 분자가 인터페이스에 흡착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계면활성제는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계면활성제는 드롭렛의 합산을 방지하여 드롭렛에 안정성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드롭렛을 위한 생물학적으로 불활성 내부 표면을 생성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특히 어려운데, 이는 불화탄소 오일 에멀전 내 물방울을 안정화하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플루오르화 활성제의 선택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짧은 플루오로텔로머-테일(일반적으로 과불화 C6 ~ C10)을 가진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었지만 충분한 장기간 에멀전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과불화폴리에테르(PFPE)와 같이 불소화탄소 꼬리가 긴 불소화 활성제는 더 큰 물방울에도 장기간 안정화를 제공한다.
한편, PFPE 기반 계면활성제에는 DuPont에 의해 "Krytox"로 판매되는 폴리(perfluopropilen glycol)-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이온성 헤드 그룹이 있다. 이들의 충전된 헤드 그룹은 DNA, RNA, 단백질과 같이 정반대로 충전된 생체 분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액적 계면에서 고차 구조의 풀림이 일어난다. 많은 경우, 캡슐화된 생체 분자는 활동을 잃게 된다.
따라서 생물학적 분석은 비이온적 헤드 그룹이 있는 플루오르 활성제를 요구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안정적인 드롭렛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계면 활성제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47468호
본 발명은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 (Perfluoropolyether)를 에테르계 용매에 용해하고,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저어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서 미반응 용매와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을 제거하여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를 마련하는 단계;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 (Perfluoropolyether)와 반응시켜 반응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반응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부 잔류물을 제거하고 바닥 부분을 회수하여 건조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는 말단 카르복실기가 염화 아실로 치환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를 마련하기 위한 단계에서, 상기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의 함량은 상기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함량의 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 용액에서 미반응 용매와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을 제거하는 단계는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마련한 혼합물과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와의 반응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마련한 혼합물은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몰수의 0.52배 몰수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부 잔류물을 제거하고 바닥 부분을 회수하여 건조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계면활성제를 질소로 채워서 냉장보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의 부반응을 막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제작된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종래에 비하여 드롭렛의 뭉침 현상이 없어 PCR 조건 하에서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제작된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PCR 과정 이후 드롭렛의 크기 변화가 없어 장기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제작된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종래에 비하여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따른 반응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실시예)와 종래 계면활성제(비교예 1 및 2)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장기 보관에 따른 안정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실시예)와 종래 계면활성제(비교예 1 및 2)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 간(떨어져 있는) 가스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및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 간(인접한) 가스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및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따른 반응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은,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 (Perfluoropolyether)를 에테르계 용매에 용해하고,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저어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서 미반응 용매와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을 제거하여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를 마련하는 단계;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 (Perfluoropolyether)와 반응시켜 반응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반응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부 잔류물을 제거하고 바닥 부분을 회수하여 건조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과 과불화 폴리에테르(PFPE)을 결합하여 합성하며, 이로 인하여 형성된 블록 복합체 계면활성제는 종래에 비하여 드롭렛 형성, 배양 및 두 번째 미세유체 장치에 재주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드롭렛 기반 실험의 모든 필요한 단계에서 오일중수형(Water in Oil) 에멀전 안정화 효과가 보다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로 안정화된 수용성 드롭렛은 단일 세포의 캡슐화 및 배양 뿐만 아니라 체외 번역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은 우선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 (Perfluoropolyether)를 에테르계 용매에 용해하고,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 (Perfluoropolyether)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Krytox 157-FSH(~7000g/mol)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테르계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에테르계 용매 HFE-710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 (Perfluoropolyether)를 에테르계 용매에 용해하고,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기능성 그룹의 반응과 가능한 많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상기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의 함량은 상기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함량의 10배 더 첨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용액을 저어서 배양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는 상기 혼합 용액을 질소 대기에서 85℃에서 밤새도록 저어서 배양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 이후에는 상기 혼합 용액은 약간 노란색을 띠는 산물로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용액에서 미반응 용매와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을 제거하여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를 마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혼합 용액에서 미반응 용매와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을 제거하는 단계는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는 말단 카르복실기가 염화 아실로 치환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련된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는 이후에 다시 에테르계 용매에 용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계면활성제에서 중앙 친수성 블록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품(Jeffamine ED-90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65℃에서 밤새도록 섞고 저은 후, 다음 단계로 상기 혼합물을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 (Perfluoropolyether)와 반응시켜 반응물을 마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마련한 혼합물과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와의 반응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마련한 혼합물은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몰수의 0.52배 몰수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부 잔류물을 제거하고 바닥 부분을 회수하여 건조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얻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우선 상기 반응물을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흰색 입자의 잔여물을 제거하고, 다음으로 상기 반응물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잔류물의 상부를 제거한다. 그리고, 바닥 부분을 회수하여 진공 건조기에서 건조함으로써, 최종 계면활성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부 잔류물을 제거하고 바닥 부분을 회수하여 건조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계면활성제를 질소로 채워진 냉장고에 보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의 측면 반응을 막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부반응을 막는 단계는 질소로 채워서 냉장보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를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합성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의해 계면활성제를 합성하기 위하여, 우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20 g Krytox 157-FSH(2.85mmol, ~7000g/mol)는 250 mL의 목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서 20 mL HFE-7100에 용해되고 2.4 mL(28.3 mmol, 126.93 g/mol)의 옥살릴 염화물과 혼합되었다.
기능성 그룹의 반응과 가능한 많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염화 옥살릴이 Krytox 157-FSH에 비해 10배 더 첨가되었다. 이 혼합 용액은 질소 대기에서 85℃에서 밤새도록 저어서 배양한 다음 약간 노란 산물이 되었다. 이 과정은 Krytox 157-FSH 말단 카복실기를 염화 아실로 바꾸었다.
원형 하단 플라스크를 회전 증발기에 부착하여 반응하지 않은 옥살릴 염화물 및 HFE-7100 용제의 잔여물을 모두 제거하였다. 그 후, 제품은 20 mL HFE-7100에 용해되었다.
계면활성제의 중앙 친수성 블록을 위해 1.35 g의 다이아민 PEG(1.5 mmol, Jeffamine ED-900)가 20 mL의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되었다. 2개의 혼합물을 65℃에서 밤새도록 섞고 저어 활성 Krytox 157-FSH와 다이아민 PEG를 반응시켰다.
이틀 밤 사이에 혼합물이 50 mL 원뿔형 튜브로 옮겨졌다.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50 mL 원뿔형 튜브를 회전 증발기에 부착하였다.
이 제품은 8000rpm(또는 그 이상)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흰색 입자의 잔여물을 제거하였다 (흰색 입자를 모두 제거할 수 없는 경우 원심분리 단계를 반복할 수 있음). 그런 다음 제품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잔류물의 상부를 제거하였다. 바닥 부분은 진공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되었다.
그 다음, 최종 제품을 입수하여 이후 질소를 채워서 냉장보관하여 부반응을 막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실시예)와 종래 계면활성제(비교예 1 및 2)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장기 보관에 따른 안정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계면활성제(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실시예)의 경우에 장기 보관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비교예 1 및 2의 계면활성제의 경우에 마이크로캡슐의 깨짐 현상 및 크기 변화가 관찰되는 반면,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마이크로캡슐의 깨짐 현상이 발견되지 않으며, 크기 변화도 없기 때문에 장기 보관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실시예)와 종래 계면활성제(비교예 1 및 2)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의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계면활성제(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하여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실시예)의 경우에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비교예 1의 계면활성제의 경우에 PCR 조건하에서 마이크로캡슐의 뭉침 현상이 관찰되는 반면,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마이크로캡슐의 뭉침 현상이 발견되지 않으며, PCR 과정 이후에도 크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 간(떨어져 있는) 가스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및 그래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붉은색 화살표는 마이크로캡슐간 가스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암모니아(NH3) 가스가 생성되는 마이크로캡슐(ⅰ)로부터 떨어져 있는 암모니아 가스 지시약이 포함된 마이크로캡슐(ⅱ)로 암모니아 가스가 이동함으로써, 암모니아 가스 지시약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내 가스의 강도를 도 4(b)를 통해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된 계면활성제로 제조한 마이크로캡슐 간(인접한) 가스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및 그래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암모니아(NH3) 가스가 생성되는 투명한 마이크로캡슐로부터 인접해있는 암모니아 가스 지시약이 포함된 마이크로캡슐로 암모니아 가스가 이동함으로써, 암모니아 가스 지시약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의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마이크로캡슐 내 가스의 강도를 도 5(b)를 통해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를 에테르계 용매에 용해하고,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저어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서 미반응 용매와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을 제거하여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를 마련하는 단계;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와 반응시켜 반응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반응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부 잔류물을 제거하고 바닥 부분을 회수하여 건조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는 말단 카르복실기가 염화 아실로 치환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를 마련하기 위한 단계에서, 상기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의 함량은 상기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함량의 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에서 미반응 용매와 옥살릴 염화물(Oxalyl Chloride)을 제거하는 단계는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마련한 혼합물과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와의 반응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민(PEG Diamine)을 무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저어서 마련한 혼합물은 상기 활성 퍼플루오르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 몰수의 0.52배 몰수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부 잔류물을 제거하고 바닥 부분을 회수하여 건조함으로써 계면활성제를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계면활성제를 질소로 채워서 냉장보관하여 상기 계면활성제의 부반응을 막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KR1020210012352A 2021-01-28 2021-01-28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KR102545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52A KR102545292B1 (ko) 2021-01-28 2021-01-28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352A KR102545292B1 (ko) 2021-01-28 2021-01-28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089A true KR20220109089A (ko) 2022-08-04
KR102545292B1 KR102545292B1 (ko) 2023-06-16

Family

ID=8283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352A KR102545292B1 (ko) 2021-01-28 2021-01-28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2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453A (ko) * 2012-03-28 2014-12-02 디스커버리 라보라토리스, 인크. 합성 리포솜 폐 계면활성제의 동결건조
KR20180047468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계면활성제와 분체를 혼합 사용하여 제조한 마이크로캡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453A (ko) * 2012-03-28 2014-12-02 디스커버리 라보라토리스, 인크. 합성 리포솜 폐 계면활성제의 동결건조
KR20180047468A (ko)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계면활성제와 분체를 혼합 사용하여 제조한 마이크로캡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Appl. Bio Mater. 2020. 3. 6273-6283* *
BIOSENSORS. 2020. 10. 172* *
MICROMACHINES 2015. 6. 1469-148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292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ltze et al. Biocompatible surfactants for water-in-fluorocarbon emulsions
US9498761B2 (en) Fluorocarbon emulsion stabilizing surfactants
EP3440463B1 (en) Intra-droplet surface engineering to capture a molecular target
Pan et al. Fluorinated pickering emulsions impede interfacial transport and form rigid interface for the growth of anchorage-dependent cells
CN109310965B (zh) 氟表面活性剂
Cai et al. Bijels formed by direct mixing
Witt et al. Bijel reinforcement by droplet bridging: a route to bicontinuous materials with large domains
Scanga et al. Click chemistry approaches to expand the repertoire of PEG-based fluorinated surfactants for droplet microfluidics
CN106823986B (zh) 三段式氟表面活性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45292B1 (ko) 마이크로캡슐 형성용 생체 적합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EP3717113A1 (en) Surfactant
Lin et al. Highly Efficient Self‐Assembly of Metallacages and Their Supramolecular Catalysis Behaviors in Microdroplets
EP3434712A1 (en) Diblock copolymer, a manufacturing method and suited applications
Payne et al. Evaluation of analyte transfer between microfluidic droplets by mass spectrometry
WO2012047324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mplification and phage display
An et al. Thermo-responsive fluorinated surfactant for on-demand demulsification of microfluidic droplets
US20230279295A1 (en) Novel fluorosurfactants and uses thereof in microfluidics
US108010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n emulsion
Angilè et al. Biocompatible surfactants for water-in-fluorocarbon emulsions
CN113677414A (zh) 用于转化和分离至少一种反应物及其反应产物的设备和方法
Pan Nanoparticle-Based Emulsions for Droplet Microfluidics and Applications
Sheshachala et al. Charge controlled interactions between DNA-modified silica nanoparticles and fluorosurfactants in microfluidic water-in-oil droplets
Stano Minimal cellular models for origins-of-life studies and biotechnology
CN115667462A (zh) 表面活性剂
Feng et al. Synthesis of a biocompatible fluorinated multiblock copolymer surfactant for water‐in‐fluorocarbon droplets and its application in droplet digital polymerase chain re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