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533A -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533A
KR20220108533A KR1020210011645A KR20210011645A KR20220108533A KR 20220108533 A KR20220108533 A KR 20220108533A KR 1020210011645 A KR1020210011645 A KR 1020210011645A KR 20210011645 A KR20210011645 A KR 20210011645A KR 20220108533 A KR20220108533 A KR 20220108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re
disaster
identification
firefighting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화
홍상기
모상현
박소영
손교훈
이강복
전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11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533A/ko
Priority to US17/520,393 priority patent/US20220238005A1/en
Publication of KR2022010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05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for forest fires, e.g. detecting fires spread over a large or outdoors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7Details of data content structure of message packets; data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재난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소방 시설들로부터 센싱 데이터와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재 데이터로 수신하고, 상기 화재 데이터를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 및 상기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재난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disaster information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재난 현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재난 관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재,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난 상황의 조기 감지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재난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화재 방재 시스템은 재난 관리 시스템 중에 하나이다. 한 건물에 구축된 화재 방재 시스템은 다수의 소방 시설과 상기 다수의 소방 시설과 각각 연결된 다수의 화재 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소방 시설은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그 화재 발생과 관련된 화재 정보를 대응하는 화재 수신기로 전송하고, 각 화재 수신기는 자신과 연결된 소방 시설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를 관련 기관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관련 기관은 119 종합 상황실 또는 소방서일 수 있다.
한편, 한 건물 내에서 설치된 화재 수신기들이 이기종의 화재 수신기들인 경우, 이기종의 화재 수신기들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각자의 소방 시설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를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정보로 변환하여 관련 기관으로 전송할 것이다. 이 경우, 관련 기관은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이기종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재 수신기들에 의해 관련 기관으로 전송되는 화재 정보는 건물 내의 어떤 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알려주는 대략적인 수준의 화재 발생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관련 기관은, 화재 신고 접수 시, 화재 발생에 대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화재 수신기들이 정확한 화재 발생 위치를 관련 기관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목적은, 이기종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집된 화재와 관련된 데이터를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표준화된 데이터가 정확한 화재 발생 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이를 관련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재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은, 이기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이, 다수의 소방 시설들로부터 수신한 화재 데이터를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단계; 재난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이기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표준 데이터를 관련 기관에 설치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재난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소방 시설들로부터 센싱 데이터와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재 데이터로 수신하고, 상기 화재 데이터를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 및 상기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재난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기종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집된 화재 관련 데이터를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표준화된 데이터가 정확한 화재 발생 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이를 관련 기관으로 전송함으로써, 관련 기관은 화재와 관련된 재난 정보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고, 동시에 화재 신고 접수 시, 화재 발생에 대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방 시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수신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기종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화재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표준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 시설과 공간 정보 사이의 매핑 관계를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종 표준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소방 시설들(110_1~110_n), 이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 및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이들(110_1~110_n, 120_1~120_n, 및 130)은 동일한 공간(예, 건물)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다르게,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는 다른 공간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소방 시설들(110_1~110_n), 이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 동일한 건물에 설치되고,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는 상기 구성들(110_1~110_n 및 120_1~120_n)이 설치된 건물로부터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다른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소방 시설들(110_1~110_n)은 이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과 각각 유선으로 각각 연결된다. 각 소방 시설은 화재 발생시, 화재와 관련된 신호를 이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로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소방 시설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방 시설은, 화재 탐지 설비로서, 감지기(112), 발신기(114), 중계기(116) 등을 포함한다.
감지기(112)는, 화재로부터 생성되는 연기, 가스, 열 또는 불꽃을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에 대응하는 센싱 데이터를 유선을 통해 직접 또는 중계기(116)를 경유하여 화재 수신기(120_1)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감지기(112)는, 예를 들면, 열 감지기, 연기 감지기, 가스 감지기 등을 포함한다.
발신기(114)는, 화재를 발견한 사람의 수동 조작에 따라 화재 발생을 나타내는 이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재 수신기(120_1)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각 화재 수신기는 각자의 소방 시설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 및 이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음향 장치 또는 방송 설비와 소화설비에 작동 신호를 송신하여 피난 및 소화 활동을 유도하는 장치이다. 이때, 각 화재 수신기가 제공하는 화재 발생 위치는 개략적인 정보로서, 예를 들면, 화재가 발생한 층이 몇 층인지를 알 수 있는 수준이고, 화재가 발생한 층의 어느 구역인지를 알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또한, 각 화재 수신기는 대응하는 소방 시설의 감지기(도 2의 112) 또는 중계기(116)를 통해 수신한 센싱 데이터와 상기 소방 시설의 발신기(도 2의 114)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데이터를 화재 데이터로 구성하여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화재 데이터를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는 방식은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각 화재 수신기는 발신기(도 2의 114)로부터 수신한 화재 발생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 외에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와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를 더 포함하도록 상기 화재 데이터를 구성하여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이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와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화재 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즉, 모든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 중에서 일부 화재 수신기들은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와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화재 수신기들(102_1~120_n)은 서로 다른 이기종의 수신기들로서, 각자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규정된 데이터 구조로 상기 화재 데이터를 구성하여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는 상기 화재 수신기들(102_1~120_n)로부터 수신한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화재 데이터들을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는 소방 시설을 화재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전에 구획된 공간 정보(또는 경계 구역 ID)에 매핑한다.
이후, 상기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는 상기 소방 시설에 매핑된 공간 정보를 상기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에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최종 표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최종 표준 데이터를 외부 서버(200)에 전송(또는 배포)한다. 여기서, 외부 서버(200)는 예를 들면, 화재와 관련된 관련 기관에 설치된 서버로서, 관련 기관은, 예를 들면, 119 종합 상황실, 소방서, 경찰서 등일 수 있다.
이처럼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로부터 수신된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을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는 데이터 수신 모듈(132), 데이터 관리 모듈(134) 및 데이터 송신 모듈(136)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모듈들(132, 134, 13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수신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수신 모듈(132)은 데이터 수신부(132_1), 데이터 추출부(132_3), 데이터 변환부(132_5)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132_1)는 이종의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로부터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예, Modbus TCP)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통신 장치이다.
데이터 추출부(132_3)는 데이터 수신부(132_1)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화재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건물 식별 데이터, 소방 시설 식별 데이터, 센싱 데이터 및 이벤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건물 식별 데이터는, 예를 들면, 소방 시설들(110_1~110_n)과 이종의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이 설치된 건물의 식별 코드(building ID)를 포함한다. 소방 시설 식별 데이터는 소방 시설에 포함된 감지기(112) 또는/및 발신기(114)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센싱 데이터는 소방 시설에 포함된 감지기에 의해 측정된 센싱 값을 포함한다. 센싱 값은, 예를 들면, 연기 감지기에 의해 측정된 센싱 값, 열 감지기에 의해 측정된 센싱 값 등을 포함한다. 이벤트 데이터는 화재 발생 또는 가스 발생을 나타내는 이벤트 코드 및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이벤트 코드를 포함한다.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이벤트 코드는 전원 이상을 나타내는 코드, 선로 단선을 나타내는 코드, 방화 셔터 정지를 나타내는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로 단선은 화재 수신기와 감지기를 연결하는 선로의 단선을 의미한다.
데이터 변환부(132_5)는 데이터 추출부(132_3)에 의해 추출된 건물 식별 데이터, 소방 시설 식별 데이터, 센싱 데이터 및 이벤트 데이터를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기종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화재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표준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기종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화재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표준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은 5개의 필드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준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은, 건물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제1 필드(41), 소방 시설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제2 필드(43), 데이터 발생 시간이 기록되는 제3 필드(45), 및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4 필드(47)를 포함한다.
데이터 변환부(132_5)는 사전에 설정된 표준 데이터 매핑 테이블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추출부(132_3)에 의해 화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내지 제4 필드(41, 43, 45 및 47)에 각각 기록하는 방식으로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변환부(132_5)는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건물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1 필드(41)에 문자열(string) 형태로 기록하고,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소방 시설 식별 데이터를 제2 필드(43)에 문자열(string) 형태로 기록하고, 화재 데이터의 발생 시간 또는 날짜(또는 화재 수신기로부터 화재 데이터를 수신한 시간 또는 날짜)를 제3 필드(45)에 숫자(long) 형태로 기록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환부(132_5)는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센싱 데이터(예, 센서값, 26.7)와 이벤트 데이터를 제4 필드(47)에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태로 제4 필드(47)에 기록한다.
각 필드에 기록되는 데이터 형식은 문자열(string), 숫자(long),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데이터 형식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데이터 추출부(132_3)에 의해 화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표준 데이터 매핑 테이블에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표준화된 상위 이벤트 항목(47A)과 표준화된 하위 이벤트 항목(47A)으로 분류되어 제4 필드(47)에 기록된다.
상위 이벤트 항목(47A)은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이벤트 데이터의 속성이 기록되는 항목이고, 하위 이벤트 항목(47B)은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는 상세 내용이 기록되는 항목이다.
상위 이벤트 항목(47A)에 기록되는 속성은, 예를 들면, '화재', '상태이상알람', '설비작동알람', '기타' 등일 수 있다. '화재'에 대응하는 하위 이벤트 항목에 기록되는 상세 내용은, '발생/해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태이상알람'에 대응하는 하위 이벤트 항목에 기록되는 상세 내용은, 예를 들면, '주경종차단알람 발생/해제', '상용전원경보알람 발생/해제', '알람밸브작동입력알람 발생/해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설비작동알람'에 대응하는 하위 아벤트 항목에 기록되는 상세 내용은 '방화셔터감지기 입력 발생/해제', '댐퍼감지기입력알람 발생/해제', '사이렌작동알람 발생/해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타'에 대응하는 하위 이벤트 항목에 기록되는 상세 내용은 '가스 발생/해제', '연기 발생/해제', '열 발생/해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위 이벤트 항목(47A) 중에서 '상태이상알람', '설비작동알람'은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항목인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일 예에서, 데이터 변환부(132_5)는, 화재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화재 데이터에 '화재 발생'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표준 데이터 매핑 테이블에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화재 발생'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를 '화재'를 나타내는 상위 이벤트 항목과 '발생/해제'를 나타내는 하위 이벤트 항목으로 분류 및 매핑하여 제4 필드(47)에 기록한다.
다른 예에서, 데이터 변환부(132_5)는, 다른 화재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화재 데이터에 '가스 발생'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표준 데이터 매핑 테이블에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기타'를 나타내는 상위 이벤트 항목과 '가스 발생/해제'를 나타내는 하위 이벤트 항목으로 분류 및 매핑하여 제4 필드(47)에 기록한다.
다른 예에서, 데이터 변환부(132_5)는, 또 다른 화재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화재 데이터에 '선로 단선'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표준 데이터 매핑 테이블에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상태이상알람'을 나타내는 상위 이벤트 항목과 '주경종차단알람 발생/해제' 또는 '알람밸브작동입력알람 발생/해제'를 나타내는 하위 이벤트 항목으로 분류 및 매핑하여 제4 필드(47)에 기록한다.
또 다른 예에서, 데이터 변환부(132_5)는, 또 다른 화재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화재 데이터에 '전원 이상'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표준 데이터 매핑 테이블에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상용전원경보알람 발생/해제'를 나타내는 하위 이벤트 항목으로 분류 및 매핑하여 제4 필드(47)에 기록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부터 변환된 표준 데이터가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관련 기관에 전송하는 점에서 종래와 차별화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관리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데이터 수신 모듈(132)에 의해 생성된 표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34_1) 및 상기 표준 데이터에 소방 시설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생성된 최종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간 정보 매핑부(134_3)를 포함한다.
저장부(134_1)는 데이터 수신 모듈(132)에 의해 생성된 표준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기 위한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4_1)는 공간 정보 매핑부(134_3)에 의해 생성된 상기 최종 표준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기 위해 더 저장할 수 있다.
공간 정보 매핑부(134_3)는 소방 시설과 공간 정보 사이의 매핑 관계를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표준 데이터에 포함된 소방 시설 식별 데이터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공간 정보를 상기 표준 데이터의 제4 필드(47)에 기록하여 최종 표준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방 시설과 공간 정보 사이의 매핑 관계를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소방 시설의 감지기가 열감지기(112_1), 연기 감지기(112_2) 및 가스 감지기(112_3)를 포함하는 경우, 매핑 테이블은 열감지기(112_1)의 식별 정보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는, 연기 감지기(112_2)의 식별 정보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 및 가스 감지기(112_3)의 식별 정보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공간 정보는, 예를 들면, 건물 식별 정보(건물 ID), 층 식별 정보(층 ID) 및 경계 구역 식별 정보(경계구역 ID)를 포함한다.
건물 식별 정보는 건물 식별자(building ID)를 포함하고, 층 식별 정보는 층 식별자(층 ID)를 포함한다. 그리고, 경계 구역 식별 정보는 각 층에 구획된 다수의 경계 구역들 각각의 경계 구역 식별자를 포함한다. 경계 구역은, 각 층에서 열 감지기가 설치된 위치, 연기 감지기가 설치된 위치 및 가스 감지기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사전에 구획된 구역이다.
공간 정보 매핑부(134_3)는 매핑 테이블(60)을 참조하여, 데이터 수신모듈(132) 또는 데이터 변환부(132_5)에 의해 생성된 표준 데이터에 포함된 소방 시설 식별 정보(에, 연기 감지기의 식별 정보, 가스 감지기의 식별 정보, 열 감지기의 식별 정보)에 매핑되는 층 식별 정보(층 ID) 및 경계 구역 식별 정보(경계 구역 ID)를 매핑 테이블(60)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매핑 테이블로부터 추출된 층 식별 정보(층 ID) 및 경계 구역 식별 정보(경계 구역 ID)를 표준 데이터의 제4 필드(47)에 기록하여 최종 표준 데이터를 생성한다.
층 식별 정보(층 ID) 및 경계 구역 식별 정보(경계 구역 ID)는, 예를 들면, 제4 필드(47)에서 센서 데이터가 기록되는 항목에 기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4 필드(47)에서 상위 이벤트 항목과 하위 이벤트 항목으로 분류된 표준화된 이벤트 데이터가 기록되는 항목에 기록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간 정보 매핑부(134_3)에서 생성한 최종 표준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이 도시되며, 도 7에서, 참조 번호 71 및 72는 최종 표준 데이터에 포함된 소방 시설 식별 정보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를 나타내는 것들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송신 모듈(136)은 데이터 관리 모듈(134) 또는 데이터 관리 모듈(134)의 공간 정보 매핑부(134_3)에 의해 생성된 최종 표준 데이터를 관련 기관에 설치된 외부 서버(200)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장치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송신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잘 알려진 공지 기술로 대신한다.
이상 설명한 재난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모듈(132) 및 데이터 관리 모듈(134)은 서로 다른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고,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디스크, 메모리, 프로세서(CPU), 그래픽 프로세서(GPU), 파워 서플라이 및 이들이 실장된 메인 보드로 구현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수신 모듈(132) 및 데이터 관리 모듈(134)의 일부 기능 또는 전체 기능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거나 제어되는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810에서, 이기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이, 다수의 소방 시설들(110_1~110_n)로부터 수신한 화재 데이터를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단계 S820에서,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가, 상기 이기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120_1~120_n)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 및
이어, 단계 S830에서, 상기 재난 정보 관리 서버(130)가, 상기 표준 데이터를 관련 기관에 설치된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단계(S810)는, 상기 이기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이, 서로 다른 각자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단계(S810)는,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화재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 데이터,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와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 건물의 식별 데이터, 상기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화재 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표준 데이터의 상기 공통된 데이터 구조는, 건물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제1 필드(41), 소방 시설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제2 필드(43), 데이터 발생 시간이 기록되는 제3 필드(45) 및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및 화재 발생 알림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4 필드(47)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을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S820)는, 상기 화재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화재 발생 알림과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 알림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 건물의 식별 데이터 및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건물의 식별 데이터를 건물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41)에 기록하고, 상기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소방 시설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43)에 기록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47)에 기록하여, 상기 표준 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표준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상위 이벤트 항목(47A)과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는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하위 이벤트 항목(47B)으로 분류하여, 상기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는 과정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속성은, 화재 발생 알림과 관련된 속성과 상기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 알림과 관련된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을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S820)는, 상기 화재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화재 발생 알림과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 알림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 건물의 식별 데이터 및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건물의 식별 데이터를 건물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고, 상기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소방 시설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여, 제1 표준 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 및 상기 소방 시설과 공간 정보 사이의 매핑 관계를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표준 데이터에 포함된 소방 시설 식별 데이터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공간 정보를 상기 제1 표준 데이터의 상기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여, 제2 표준 데이터(또는 최종 표준 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 정보는, 건물 내의 층 식별자 및 각 층에서 상기 소방 시설이 설치된 경계 구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Claims (15)

  1.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에서,
    이기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이, 다수의 소방 시설들로부터 수신한 화재 데이터를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단계;
    재난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이기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표준 데이터를 관련 기관에 설치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기종의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이, 서로 다른 각자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단계인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단계는,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화재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 데이터,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와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 건물의 식별 데이터, 상기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화재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인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표준 데이터의 상기 공통된 데이터 구조는,
    건물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제1 필드;
    소방 시설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제2 필드;
    데이터 발생 시간이 기록되는 제3 필드; 및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및 화재 발생 알림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가 기록되는 제4 필드를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을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화재 발생 알림과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 알림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 건물의 식별 데이터 및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의 식별 데이터를 건물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고,
    상기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소방 시설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여, 상기 표준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표준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상위 이벤트 항목과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속성에 대응하는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하위 이벤트 항목으로 분류하여, 상기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는 단계인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이벤트 데이터의 속성은, 화재 발생 알림과 관련된 속성과 상기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 알림과 관련된 속성을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을 공통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재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화재 발생 알림과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 알림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 건물의 식별 데이터 및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식별 데이터를 건물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고, 상기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소방 시설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여, 제1 표준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방 시설과 공간 정보 사이의 매핑 관계를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1 표준 데이터에 포함된 소방 시설 식별 데이터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공간 정보를 상기 제1 표준 데이터의 상기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여, 제2 표준 데이터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공간 정보는, 건물 내의 층 식별자 및 각 층에서 상기 소방 시설이 설치된 경계 구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10. 다수의 소방 시설들로부터 센싱 데이터와 이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재 데이터로 수신하고, 상기 화재 데이터를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들로 구성하는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 및
    상기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재난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재난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다수의 화재 수신기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표준화된 표준 데이터로 구성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
    상기 표준 데이터에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최종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관리 모듈; 및
    상기 최종 표준 데이터를 상기 외부 서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듈은,
    상기 서로 다른 데이터 구조를 갖는 화재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화재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화재 데이터로부터 화재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 화재 발생 알림과 소방 시설의 고장 및 이상 유무 알림과 관련된 이벤트 데이터, 건물의 식별 데이터 및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건물의 식별 데이터를 건물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고,
    상기 소방 시설의 식별 데이터를 소방 시설 식별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이벤트 데이터를 실제 데이터를 정의하는 필드에 기록하여, 상기 화재 데이터를 상기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
  13. 제11항에서,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은,
    상기 표준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소방 시설과 공간 정보 사이의 매핑 관계를 정의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표준 데이터에 포함된 소방 시설 식별 데이터에 매핑되는 공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공간 정보를 상기 표준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최종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서,
    상기 공간 정보는, 건물 내의 층 식별자 및 각 층에서 상기 소방 시설이 설치된 경계 구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
  15. 제14항에서,
    상기 경계 구역의 식별자는,
    상기 소방 시설이 열 감지기, 연기 감지기 및 가스 감지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열 감지기가 설치된 경계 구역의 식별자, 상기 연기 감지기가 설치된 경계 구역의 식별자 및 상기 가스 감지기가 설치된 경계 구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재난 관리 시스템.
KR1020210011645A 2021-01-27 2021-01-27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KR20220108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45A KR20220108533A (ko) 2021-01-27 2021-01-27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US17/520,393 US20220238005A1 (en) 2021-01-27 2021-11-05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aster infomration using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45A KR20220108533A (ko) 2021-01-27 2021-01-27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33A true KR20220108533A (ko) 2022-08-03

Family

ID=8249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45A KR20220108533A (ko) 2021-01-27 2021-01-27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238005A1 (ko)
KR (1) KR202201085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353A (ko) * 2021-09-09 2023-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업무 프로세스 기반 재난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5470A1 (en) * 2003-04-17 2004-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services with respect to a building according to a projected future condition of the building
US9615233B2 (en) * 2010-08-24 2017-04-04 Evigilo Ltd. Method and system of managing distribution of alerts
US9906920B2 (en) * 2016-01-22 2018-02-27 Academia Sinica Building design information 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US10607476B1 (en) * 2019-03-28 2020-03-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security system with site risk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38005A1 (en)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70144B (zh) 采用网络服务器和电子邮件通知的抽吸环境传感器
CN104881943B (zh) 一种核电站可视化图像消防报警系统及方法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CN108553783A (zh) 一种消防控制的方法及系统
US20090289787A1 (en) Residential security cluster with associated alarm interconnects
KR100637708B1 (ko)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090644B1 (ko) 개선된 p형 수신기 기반의 화재 자동탐지 시스템
CN110289688A (zh) 一种安全用电监管系统
KR101842500B1 (ko) 지능형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709157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소방 시설의 관리를 위한 방법
KR101774897B1 (ko) 화재 신호의 휴대폰 통보 및 화재수신반의 리셋 시스템
KR101932136B1 (ko)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64096A (ko)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08533A (ko) 재난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재난 정보 관리 방법
KR100930980B1 (ko)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US20240161600A1 (en) Self-testing fire sensing device for confirming a fire
CN107036250A (zh) 空调线控器和火灾预警方法
KR101838516B1 (ko) 발전소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 시스템
KR20100074445A (ko) 비상상황 대처시스템
KR102587720B1 (ko) 계측데이터 매핑 기능이 포함된 급경사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급경사지 모니터링 방법
KR10247377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화재감지장치, 이를 포함하는 비화재보 분석 시스템
KR100761234B1 (ko) 관제 서비스 간 연동을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서버 및방법
KR102298097B1 (ko) 소화기 관리시스템
TWI616852B (zh) Dynamic warning fire service
KR100633023B1 (ko) 센서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망을 이용한 화재 경보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