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507A -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 Google Patents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507A
KR20220108507A KR1020210011589A KR20210011589A KR20220108507A KR 20220108507 A KR20220108507 A KR 20220108507A KR 1020210011589 A KR1020210011589 A KR 1020210011589A KR 20210011589 A KR20210011589 A KR 20210011589A KR 20220108507 A KR20220108507 A KR 2022010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air
coil
bend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561B1 (ko
Inventor
신용복
Original Assignee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5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20Applications of drives for reducing noise or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21D28/343Draw pun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디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부재; 상기 이동레일부재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 언코일러에서 공급되는 코일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다이부재; 상기 코일의 양측에 각각 노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펀칭실린더;를 마련하여 코일의 양측에 각각 노치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코일의 벤딩 시 벤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노치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코일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피치 길이만큼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Notch device for steel house panel bending}
본 발명은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언코일러에서 공급되는 코일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노치를 형성하는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기둥, 보, 벽, 바닥 등의 주요 구조부를 철근콘크리트로 시공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RC공법)로 이루어지는데,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건물은 내구성이 좋아 비바람에 잘 견디고, 우수한 내화성과 차음성 덕에 세대 간 경계벽 적용에 유리하여 3층 이상의 공동주택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공법이다.
반면 친환경적이고 설계상 제약이 적어 원하는 구조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공법인 목조구조(Wooden Construction)는 전원주택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다.
구조 특성상 보수, 교체가 용이한 데다 단열 성능도 콘크리트의 12배 이상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RC 공법은 거푸집 조립과 철근 배근이 까다로워 복잡한 디자인의 주택을 시공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목조구조는 시공의 정밀도가 중요해 시공지첨이 매우 복잡하여 시공자의 개인 역량에 따라 주거 성능이 크게 좌우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 때문에 최근 하나의 선택지로써 새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 스틸하우스 공법(Steel Frame Construction)이다.
스틸하우스 공법은 건물의 뼈대를 고강도 경량철공구조물(두께 1㎜ 내외의 아연도금강판)으로 건축한 집을 일컫는다.
스틸하우스 공법은 목조 주택을 갉아먹는 흰개미들 때문에 안정성에 문제가 제기되자 목조 주택과 비슷한 결구조로 짓되, 더 튼튼한 자재인 철로 시공된다.
스틸하우스 공법의 장점은 안정적인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1992년 플로리다를 강타하여 90% 이상의 가옥들을 붕괴시킨 최악의 태풍 중 하나라고 불리는 '앤드류' 그리고 1995년 한신 아와지 대지진 때 수천 명의 사망자 대부분이 무거운 지붕에 깔려 압사했다는 현실, 그 속에서 유일하게 건재했던 것이 '스틸하우스'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으로 안정성을 입증받기 시작하였다.
실제로 내진 관련 시험 결과 8.4 규모의 지진에서도 구조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스틸하우스의 내진 설계는 골조를 이루는 수직보를 대각선으로 잡아줌으로써 뒤틀림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 아연도금강판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골조로 사용된 아연도금강판은 100% 재활용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쓰고 남는 부분 역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건식공법으로 시멘트가 흘러내려 지저분해지는 일도 없고, 쓰레기가 적어 현장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콘크리트처럼 많은 시간을 요하는 습식공법이 아닌 건식공법으로 짓기 때문에 기존주택보다 훨씬 빨리 건축을 완료할 수 있어 비용절감 효과가 뛰어나며, 현장에서 골조를 조립하는 데에 2~3일 밖에 걸리지 않고, 골조가 완성된 후 구조용 합판과 석고보드를 사용하여 바탕면을 설치하고 마감공사를 완료하는 데까지 일반적으로 2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철골프레임을 제작해 맞춰가는 공법이다 보니 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건비도 많이 절약된다.
또한 철골프레임을 맞춰가는 공법의 특성상 자유롭게 실내공간을 연출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콘크리트, 조적조 주택에 비해 불필요한 돌출 부위가 없고, 스틸 면적이 작아 외장재로 시공해도 벽면 두께가 얇기 때문에 실내의 유효면적이 넓어져 공간 활용에 유리하다.
이러한 스틸하우스의 단점으로는 결로가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는 외부의 차가운 공기와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주택의 벽에서 만나게 되어 벽 속의 골조인 스틸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열에 취약한 부분인 벽과 벽이 만나는 모서리 쪽에 결로가 집중해서 생길 수 있고, 스틸하우스를 지을 때 가장 신경 써서 보완해야 할 부분이며, 소리 울림에 따른 떨어지는 방음효과, 스틸이라는 자재가 주는 심리적인 부담감, 건식공법이라 누수에 약하다는 점, 내외부 마감재로 목재를 사용할 경우 화재 위험성이 올라간다는 등의 단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는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에 관한 것으로, 스틸 돔 하우스 각 단위 층의 바닥면, 벽면 및 천정면을 한정하는 외면을 구성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유닛으로서, 네 단측 중 대향되는 한쌍의 단측인 제1 쌍단측이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연결부를 형성하고, 다른 한 쌍의 단측인 제2 쌍단측의 제1 단측의 두께가 상기 제1 단측으로 향할수록 얇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제1 단측의 반대측인 제2 단측의 일 영역인 겹침부를 제외한 부분은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프레임 유닛,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유닛 및 상기 제1쌍 단측을 볼트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 유닛 사이를 결합하는 제1 볼트 유닛, 상기 프레임 유닛과 상기 보강 유닛을 볼트 결합하는 제2 볼트 유닛 및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겹침부가 겹쳐지도록 연결될 때 상기 경사부와 상기 겹침부를 볼트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 유닛 사이를 결합하는 제3 볼트 유닛을 포함하는 볼트 유닛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복수의 제1 홀이 천공되어 상기 제1 볼트 유닛을 통해 인접된 프레임 유닛의 연결부와 접촉 결합되며, 복수의 제2 홀이 천공되어 상기 제2 볼트 유닛을 통해 상기 보강 유닛과 접촉 결합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스틸하우스용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스틸하우스용 프레임은 한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은 제1 내지 제4 절곡선에 의하여 수직 절곡되어 소정 폭으로 구분되는 제1 내지 제6 판부, 제3 및 제4 판부의 일측이 외측을 향해 확대 절곡되어 형성되는 확대절곡부 및 단면이 상기 확대절곡부에 의하여 제3 및 제4 판부 사이에 형성된 폭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확대판부로 프레임 부재가 구성되어, 마감재 취부를 위한 단면적 및 단면 계수를 증대시키며, 프레임 부재간 상호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6 판부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및 제6 판부의 높이가 그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제2 및 제5 판부와 확대판부 사이의 높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85984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3924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470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언코일러에서 풀려 공급되는 코일의 양 측면에 각각 노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의 양 측면에 각각 노치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코일의 벤딩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디(412)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부재(510); 상기 이동레일부재(510)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 언코일러에서 공급되는 코일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에 설치되는 다이부재(550); 상기 코일의 양측에 각각 노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의 상부에 설치되는 펀칭실린더(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레일부재(510)는 상기 바디(412) 상면에 소정의 폭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레일(511)과 제2 가이드레일(512);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레일(511)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512)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서보모터(513); 상기 서보모터(513)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서보모터(513)에 설치되는 회전체(514); 상기 회전체(5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스크류(515); 상기 회전체(514)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스크류(516);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스크류(515, 51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볼너트(517)와 제2 볼너트(51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스크류(515)와 상기 제2 회전스크류(51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는 상기 이동레일부재(51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이동블록(531); 상기 레일이동블록(531)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본체(532); 상기 하부프레임본체(53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본체(533); 상기 상부프레임본체(533)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면돌출부(53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본체(533)는 상기 하부프레임본체(532)의 상면에 상기 다이부재(550)가 설치되고, 상기 펀칭실린더(570)가 설치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에 의하면, 코일의 양측에 각각 노치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코일의 벤딩 시 벤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노치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코일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피치 길이만큼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에 의하면, 펀칭실린더가 설치된 이동프레임부재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코일의 폭에 맞게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다이부재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다이부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디(412)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부재(510)와, 상기 이동레일부재(510)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와, 언코일러에서 공급되는 코일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에 설치되는 다이부재(550)와, 상기 코일의 양측에 각각 노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의 상부에 설치되는 펀칭실린더(5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치장치는 언코일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코일의 양 측면에 각각 노치를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412)의 상면에는 이동프레임부재(5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이동레일부재(51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부재(510)는 바디(412)의 폭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바디(412)의 상면에는 소정의 폭으로 이격된 제1 가이드레일(511)과 제2 가이드레일(512)이 고정된다. 이들 제1 가이드레일(511)과 제2 가이드레일(512)은 도 3의 도면상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412)의 폭 중앙에는 이동프레임부재(5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서보모터(512)가 설치되고, 상기 서보모터(512)에는 회전스크류(515, 516)를 회전시키는 회전체(514)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514)의 일측에는 제1 회전스크류(515)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514)의 타측에는 제2 회전스크류(516)가 설치된다. 이들 제1 회전스크류(515)와 제2 회전스크류(51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회전스크류(515)는 왼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스크류(516)는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514)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이는 바디(412)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가 대칭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회전스크류(515)에는 제1 볼너트(517)가 결합되고, 제2 회전스크류(516)에는 제2 볼너트(518)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볼너트(517)와 제2 볼너트(518)는 회전스크류(515, 516)의 회전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회전스크류(515)와 제2 회전스크류(516)의 일측에는 제1 고정프레임(519)가 설치되고, 제1 회전스크류(515)와 제2 회전스크류(516)의 선단에는 제2 고정프레임(52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고정프레임(519)와 제2 고정프레임(520)은 회전스크류(515, 516)를 바디(412)의 상면에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게 하며,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의 이동 시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고정프레임(519)은 이동프레임부재(530)가 중앙으로 이동 시 이동프레임부재(530)의 이동을 제한시키며, 상기 제2 고정프레임(520)은 이동프레임부재(530)가 외측으로 이동 시 이동프레임(530)의 이동을 제한시켜 회전스크류(515, 516)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는 회전스크류(515, 516)에 의해 좌우 이동되는 것으로, 이는 코일(10)의 폭에 따라 이동프레임부재(5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의 하부에는 가이드레일(511, 512)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레일이동블록(531)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이동블록(531)의 상면에는 하부프레임본체(532)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프레임본체(532)의 상면에는 상부프레임본체(533)가 고정된다.
상기 상부프레임본체(533)는 다이부재(550)를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단면상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프레임본체(533)의 상부에는 전면측으로 돌출되게 전면돌출부(5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돌출부(534)에는 코일(10)의 양측에 노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펀칭실린더(57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프레임본체(532)의 상면에는 코일(10)을 안정되게 받쳐주는 다이부재(550)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부재(550)는 코일(10)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부다이(551)와 상부다이(5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다이(552)의 상면에는 노치홈부(553)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전면돌출부(534)에는 코일(10)의 가장자리를 펀칭할 수 있는 펀칭실린더(570)가 설치되며, 상기 펀칭실린더(570)에는 노치홈부(553)에 대응되는 펀치(571)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바디(412)의 상면에 설치된 이동프레임부재(530)는 언코일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코일(10)의 폭에 대응되게 폭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서보모터(513)는 회전체(514)를 회전시키며, 상기 회전체(514)에 결합된 제1 회전스크류(515)와 제2 회전스크류(516)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스크류(515)와 제2 회전스크류(516)는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회전스크류(515)에 결합된 제1 볼너트(517)가 도 3의 도면상 중앙 쪽으로 이동되면, 제2 회전스크류(516)에 결합된 제2 볼너트(518)는 중앙 쪽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는 회전스크류(515, 516)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의 폭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언코일러에 장착된 코일(10)이 진입하게 되며, 상기 코일(10)은 상부다이(552)의 노치홈부(553)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펀칭실린더(570)는 코일(10)에 형성하고자 하는 노치(11, 도 3 참조)의 간격에 따라 승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펀칭실린더(570)가 하강되면, 상기 펀치(571)는 코일(10)에 외력을 가하여 코일(10)의 양측에 각각 노치(11)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510: 이동레일부재 511: 제1 가이드레일
512: 제2 가이드레일 513: 서보모터
514: 회전체 515: 제1 회전스크류
516: 제2 회전스크류 517: 제1 볼너트
518: 제2 볼너트 519: 제1 고정프레임
520: 제2 고정프레임
530: 이동프레임부재 531: 레일이동블록
532: 하부프레임본체 533: 상부프레임본체
534: 전면돌출부
550: 다이부재 551: 하부다이
552: 상부다이 553: 노치홈부
570: 펀칭실린더 571: 펀치

Claims (3)

  1.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바디(412)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부재(510);
    상기 이동레일부재(510)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
    언코일러에서 공급되는 코일을 받쳐줄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에 설치되는 다이부재(550);
    상기 코일의 양측에 각각 노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의 상부에 설치되는 펀칭실린더(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부재(510)는 상기 바디(412) 상면에 소정의 폭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레일(511)과 제2 가이드레일(512);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레일(511)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512)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는 서보모터(513);
    상기 서보모터(513)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프레임부재(5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서보모터(513)에 설치되는 회전체(514);
    상기 회전체(51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스크류(515);
    상기 회전체(514)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스크류(516);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스크류(515, 51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볼너트(517)와 제2 볼너트(518);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스크류(515)와 상기 제2 회전스크류(51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부재(530)는 상기 이동레일부재(51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이동블록(531);
    상기 레일이동블록(531)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본체(532);
    상기 하부프레임본체(53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본체(533);
    상기 상부프레임본체(533)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면돌출부(53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본체(533)는 상기 하부프레임본체(532)의 상면에 상기 다이부재(550)가 설치되고, 상기 펀칭실린더(570)가 설치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KR1020210011589A 2021-01-27 2021-01-27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KR10243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89A KR102437561B1 (ko) 2021-01-27 2021-01-27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589A KR102437561B1 (ko) 2021-01-27 2021-01-27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507A true KR20220108507A (ko) 2022-08-03
KR102437561B1 KR102437561B1 (ko) 2022-08-29

Family

ID=8284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589A KR102437561B1 (ko) 2021-01-27 2021-01-27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56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35A (ko) * 1999-09-01 1999-12-06 김태선 스틸 도어 제작용 피어싱 머신
KR20080042526A (ko) * 2006-11-10 2008-05-15 장문호 직선이송유니트
KR100971354B1 (ko) * 2009-12-28 2010-07-20 주식회사 현대알비 플레이트 에지 밴딩 머신
KR20140047060A (ko) 2014-02-27 2014-04-21 주식회사 로뎀코퍼레이션 스틸 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의 프레임
KR20150139248A (ko) 2014-06-03 2015-12-11 주식회사 로뎀코퍼레이션 스틸하우스용 프레임
KR20180085984A (ko) 2017-01-20 2018-07-30 주식회사 라티스글로벌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KR101920558B1 (ko) * 2017-04-11 2018-11-20 박창환 찬넬 밴딩용 펀칭장치
KR20200133948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현대알비 플레이트 에지 프리밴딩 머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35A (ko) * 1999-09-01 1999-12-06 김태선 스틸 도어 제작용 피어싱 머신
KR20080042526A (ko) * 2006-11-10 2008-05-15 장문호 직선이송유니트
KR100971354B1 (ko) * 2009-12-28 2010-07-20 주식회사 현대알비 플레이트 에지 밴딩 머신
KR20140047060A (ko) 2014-02-27 2014-04-21 주식회사 로뎀코퍼레이션 스틸 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의 프레임
KR20150139248A (ko) 2014-06-03 2015-12-11 주식회사 로뎀코퍼레이션 스틸하우스용 프레임
KR20180085984A (ko) 2017-01-20 2018-07-30 주식회사 라티스글로벌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KR101920558B1 (ko) * 2017-04-11 2018-11-20 박창환 찬넬 밴딩용 펀칭장치
KR20200133948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현대알비 플레이트 에지 프리밴딩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561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229B1 (ko) 친환경 저소음 거푸집 판넬
US20070227086A1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KR100956741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US20120167507A1 (en) Building Panels with Support Members Extending Partially Through the Panels and Method Therefor
US2202783A (en) Wall structure
KR102437561B1 (ko)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노치장치
KR102447327B1 (ko)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언코일러장치
JP5806028B2 (ja) 組積造建物
EP3543416B1 (de) Betonholzdeckenelement
KR102437537B1 (ko)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KR102437538B1 (ko)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KR102437558B1 (ko)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코일 스키드장치
KR20130106061A (ko) 슬래브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37541B1 (ko) 스틸하우스 패널용 벤딩장치
KR102437533B1 (ko) 스틸하우스 패널용 커팅장치
KR102413566B1 (ko)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코일 스키드장치
KR20220108508A (ko)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회전형 절단장치
KR102437547B1 (ko) 스틸하우스 패널의 패널 투입장치
KR20220108509A (ko) 스틸하우스 패널의 적재 및 이송장치
KR102437549B1 (ko)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코일 이송장치
JP7429631B2 (ja) 耐力壁の剛性を増大させた木造住宅及び耐力壁の耐力を増大させる方法
US1749437A (en) Concrete form
JP3018685U (ja) 耐力壁パネル
US2075874A (en) Frameless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