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412A - Polyester film structure - Google Patents

Polyester film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412A
KR20220108412A KR1020210011391A KR20210011391A KR20220108412A KR 20220108412 A KR20220108412 A KR 20220108412A KR 1020210011391 A KR1020210011391 A KR 1020210011391A KR 20210011391 A KR20210011391 A KR 20210011391A KR 20220108412 A KR20220108412 A KR 20220108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film structure
organic particles
polyester film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3588B1 (en
Inventor
김민성
오태병
주천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588B1/en
Priority to CN202111412518.2A priority patent/CN114654851B/en
Priority to TW110146732A priority patent/TW202227542A/en
Publication of KR2022010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Abstract

A polyester film structur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comprises: a polyester resin layer compris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organic particles dispersed in the polyester resin layer. The second surface corresponds to a release coating surface and an indentation modulus measured by a nanoindenter on the second surface is less than 4 GPa. The polyester film structure can be used as a release film substrate for a green sheet molding process to improve process stability and reliability.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POLYESTER FILM STRUCTURE}Polyester film structure {POLYESTER FILM STRUCTUR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층 및 수지층 내 분산된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ester film structur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polyester film structure comprising a resin layer and particles dispersed in the resin layer.

적층 세라믹 콘덴서(Multi-layered Ceramic Condenser: MLCC)와 같은 전기 소자 제조 공정 시, 열 공정 등의 중간 공정 진행을 위해 캐리어 필름으로서 이형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성 전 세라믹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그린 시트 상태로 상기 이형 필름 상에서 이동되면서 소성 공정 및/또는 성형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multi-layered ceramic capacitor (MLCC), a release film may be used as a carrier film for an intermediate process such as a thermal process. For example, a firing process and/or a mol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while a laminate including a ceramic layer is moved on the release film in a green sheet state before firing.

예를 들면,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 기재를 포함하는 이형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은 성형 공정이 수행된 상기 그린 시트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면서 공정 중 상기 그린 시트에 물리적, 기계적 변형을 초래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a release film including a polyester substrate may be used as the carrier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film is designed so as not to cause physical and mechanical deformation to the green sheet during the process while being easily peeled off from the green sheet on which the molding process has been performed.

한편, 최근 MLCC의 사이즈가 감소하면서, 상기 그린 시트의 두께도 얇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의 표면 조도가 쉽게 상기 그린 시트로 전달되어 변형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표면 조도를 지나치게 감소시키는 경우 블로킹 현상 발생과 같이 공정 용이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the size of the MLCC has recently decreased, the thickness of the green sheet is also getting thinner. Accordingly,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polyester substrate may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green sheet to cause deformation. However, when the surface roughness is excessively reduced, process easiness may be deteriorated such as blocking phenomenon.

따라서, 공정 불량을 감소시키면서 그린 시트와 같은 공정 대상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형 필름의 설계가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release film capabl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a process target such as a green sheet while reducing process defects.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976118호 등에서 그린시트 제조용 이형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1976118, etc. discloses a release film for manufacturing a green shee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611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76118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향상된 기계적 신뢰성 및 공정 안정성을 제공하는 폴리에스테르 이형 필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ester release film structure that provides improved mechanical reliability and process stability.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 서로 대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내 분산된 유기 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면은 이형 코팅면에 해당되며, 상기 제2 면에서 나노 인덴터로 측정한 압입 모듈러스가 4 GPa 미만이다.The polyester film structur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polyester resin layer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organic particles dispersed in the polyester resin layer. The second surface corresponds to the release coating surface, and the indentation modulus measured by the nano-indenter on the second surface is less than 4 GPa.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입자들은 상기 제1 수지층 내에 분산된 제1 유기 입자 및 상기 제2 수지층 내에 분산된 제2 유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olyester resin layer may include a first resin layer including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resin layer including the second surface. The organic particles may include first organic particles dispersed in the first resin layer and second organic particles dispersed in the second resin layer.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의 두께는 10㎛ 이상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sin layer may be 10 μm or mor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입자는 제2 유기 입자보다 큰 입도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organic particle may have a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second organic particl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입자의 상기 제1 수지층 내 함량은 제2 유기 입자의 상기 제2 수지 층 내 함량보다 클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content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in the first resin layer may be greater than a content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in the second resin layer.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중 상기 제1 유기 입자의 함량은 0.4 내지 1 중량%이며, 상기 제2 수지층 중 상기 제2 유기 입자의 함량은 0.1 내지 0.3중량%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in the first resin layer may be 0.4 to 1%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in the second resin layer may be 0.1 to 0.3% by weight.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의 중심선 평균 조도(Ra)의 차이는 5 nm 이상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5 nm or mor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의 중심선 평균 조도(Ra)의 차이는 5 내지 20nm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5 to 20 nm.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의 최대 산 높이 표면조도(Rp) 차이는 70nm 이상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peak height surface roughness (Rp)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may be 70 nm or more.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서 나노 인덴터로 측정한 압입 모듈러스는 2GPa이상 및 4 GPa 미만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dentation modulus measured by the nano-indenter on the second surfac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2 GPa and less than 4 GPa.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의 이형면의 압입 모듈러스를 조절하여 그린 시트로의 눌림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는 표면 조도 형성을 위한 입자로서 예를 들면, 가교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낮은 표면 조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주행면으로는 상대적으로 표면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권취 안정성 및 공정 안정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formation due to the pressing to the green sheet by adjusting the indentation modulus of the release surface of the polyester film structure. The polyester film structure may use organic particles including, for example, a crosslinked polystyrene resin as particles for forming surface roughness. Accordingly,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inorganic particle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mplement low surface roughness. In addition, the surface roughness can be relatively increased as a process running surface. Therefore, winding stability and process stability can be improved togeth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유기입자를 사용하여 이형 코팅면 및 공정 주행면의 표면 조도 차이를 소정의 범위로 조절하여 상술한, 저 표면 조도/공정 안정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low surface roughness/process stability can be implemented together by adjusting the difference in surface roughness between the release coating surface and the process running surface to a predetermined range using the organic particles.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yester film structur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본 출원에 개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및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이형 필름 구조체를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 a polyester release film structure including a polyester resin layer and organic particles.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이형 필름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yester release film structur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100)(이하, 필름 구조체로 약칭될 수도 있다)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내에 분산된 유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polyester film structure 100 (hereinafter, may be abbreviated as a film structur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a resin layer and organic particles dispersed in the resin layer.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필름 구조체(100)는 2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구조체(100)는 제1 층(110) 및 제1 층(110) 상에 적층된 제2 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lm structure 100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two or more lay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film structure 100 may include a first layer 110 and a second layer 120 stacked on the first layer 110 .

제1 층(110)은 제1 수지층(112) 및 제1 수지층(112) 내에 분산된 제1 유기 입자(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층(120)은 제2 수지층(122) 및 제2 수지층(122) 내에 분산된 제2 유기 입자(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a first resin layer 112 and first organic particles 114 dispersed in the first resin layer 112 . The second layer 120 may include a second resin layer 122 and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dispersed in the second resin layer 122 .

필름 구조체(100)는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은 각각 필름 구조체(100)의 저면 및 상면에 해당될 수 있다.The film structure 10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00a and a second surface 100b. For example,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may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structure 100 , respectively.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면(100b)은 이형 코팅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면(100b) 상에 실리콘 이형층과 같은 이형 코팅층이 형성되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 그린 시트가 적층될 수 있다. 제2 면(100b)은 제2 층(120)의 상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second surface 100b may correspond to a release coating surface. For example, a release coating layer such as a silicon releas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00b and a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MLCC) green sheet may be laminated. The second surface 100b may be provided by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layer 120 .

제1 면(100a)은 그린시트 소성/성형 장비의 이송 장비와 접촉하며 이동되는 공정 주행면일 수 있다. 제1 면(100a)은 제1 층(110)의 저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surface 100a may be a process running surface that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equipment of the green sheet firing/forming equipment. The first surface 100a may be provid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layer 110 .

제1 및 제2 수지층들(112, 122)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 및 디올계 화합물의 축중합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112 and 122 may include a polyester resin. The polyester resin may be prepared through polycondensation of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and a diol-based compound.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계 화합물의 예들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싸이클로부탄디카르복실산, 싸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5-술포이소프탈산, 5-술포프로폭시이소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알칸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산이 사용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based compound include dimethyl terephthalat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cyclobutanedicarboxylic acid, cyclohexanedicarboxylic acid, 5-sulfoisophthalic acid, 5-sulfof lopoxyisophthalic acid, diphenyldicarboxylic acid, diphenoxyalkanedicarboxylic acid, adipic acid, sebacic acid, and the like. Preferably, dimethyl terephthalate or terephthalic acid may be used.

상기 디올계 화합물의 예들은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등의 알킬렌글리콜계 화합물,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싸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이 사용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diol-based compound include an alkylene glycol-based compound such as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and 1,4-butanediol, 2,2-dimethyl-1,3-propanediol, and 1,4-cyclohexanediol. methanol and the like. Preferably, ethylene glycol may be us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및 제2 유기입자들(114, 124)은 가교 유기 수지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가교디비닐벤젠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스타이렌수지,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수지, 벤조구아나민-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may include crosslinked organic resin particles, for example, silicone resin, crosslinked divinylbenzene polymethacrylate, and crosslinked polymethacrylate. Acrylate, crosslinked polystyrene resin, benzoguanamine-formaldehyde resin, benzoguanamine-melamine-formaldehyde resin, melamine-formaldehyde resin, etc. can be use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유기입자들(114, 124)은 가교 폴리스티렌(PS)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유기입자들(114, 124)은 구상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may include cross-linked polystyrene (PS) resin.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may include spherical polystyrene resin particles.

제1 및 제2 유기 입자들(114, 124)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 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디올계 화합물에 분산시킨 슬러리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may be added in the form of a slurry dispersed in a diol-based compound such as ethylene glycol, for example, when the polyester resin is synthesiz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형 코팅면 또는 제2 면(100b)에서 나노 인덴터를 사용하여 측정된 압입 모듈러스는 4 GPa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2 면(100b)을 통한 눌림강도가 완화되어 그린 시트에 대한 응력, 눌림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indentation modulus measured using the nano-indenter on the release coated side or the second side 100b may be less than 4 GPa. In the above range, the strength of pressing through the second surface 100b is relieved, so that stress on the green sheet and occurrence of pressing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바람직하게는, 이형 코팅면 또는 제2 면(100b)에서 나노 인덴터를 사용하여 측정된 압입 모듈러스는 2 GPa 이상 및 4 GPa 미만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GPa 이상 및 4 GPa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필름 구조체(100)를 통한 공정 안정성 및 기계적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그린 시트의 눌림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dentation modulus measured using the nano-indenter on the release coated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100b may be 2 GPa or more and less than 4 GPa, and more preferably 3 GPa or more and less than 4 GPa.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pressing of the green sheet without degrading process stability and mechanical stability through the film structure 100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층(120)의 두께는 약 10㎛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층(120)이 이형층으로 제공됨과 함께, 예를 들면 탄성층으로 충분히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층(120)의 두께는 약 10 내지 40㎛ 범위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120 may be about 10 μm or more. In this case, while the second layer 120 is provided as a release layer, for example, it may be sufficiently provided as an elastic layer.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120 may range from about 10 to 40 μm.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유기 입자(114)의 입도(예를 들면, D50)은 제2 유기 입자(124)의 입도(예를 들면, D50)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기 입자(114)의 입도는 제2 유기 입자(124)의 입도보다 클 수 있다.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particle size (eg, D50)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114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article size (eg, D50)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 Preferably, the particle size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114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기 입자(114)의 입도는 약 0.3 내지 1.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기 입자(114)의 입도는 약 0.3 내지 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0.6㎛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article size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114 may be about 0.3 to 1.5 μm. Preferably, the particle size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114 may be about 0.3 to 1 μm, more preferably about 0.3 to 0.6 μm.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유기 입자(124)의 입도는 약 0.05 내지 0.3㎛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유기 입자(124)의 입도는 약 0.1 내지 0.3㎛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article size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may be about 0.05 to 0.3 μm. Preferably, the particle size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may be about 0.1 to 0.3 μm.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층(110) 중 제1 유기 입자(114)의 함량은 제2 층(120) 중 제2 유기 입자(124)의 함량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기 입자(114)의 함량은 제2 유기 입자(124)의 함량 보다 클 수 있다.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the content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114 in the first layer 11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ntent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in the second layer 120 . 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114 may be greater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

예를 들면, 필름 구조체(100) 중 유기 입자들(114, 124)의 함량은 약 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층(110) 중 제1 유기 입자(114)의 함량은 약 0.4 내지 1 중량%일 수 있으며, 제2 층(120) 중 제2 유기 입자(124)의 함량은 약 0.1 내지 0.3중량%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of the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in the film structure 100 may be about 0.1 to 1% by weight.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114 in the first layer 110 may be about 0.4 to 1%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in the second layer 120 is It may be about 0.1 to 0.3% by weigh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유기 입자(114)는 제2 유기 입자(124)보다 큰 입도를 갖거나, 제1 유기 입자(114)의 제1 층(110) 내 함량은 제2 유기 입자(124)의 제2 층(120) 내 함량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면(100a)에서의 표면 조도를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권취 안정성, 안티-블로킹 특성을 증진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organic particle 114 has a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second organic particle 124 , or the content in the first layer 110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 114 is the second organic particle size. It may be greater than the content in the second layer 120 of the particles 124 . Accordingly, by relatively increasing the surface roughness on the first surface 100a, winding stability and anti-blocking properties can be improved.

수지층(112, 122) 내 포함되는 유기 입자들(114, 124)에 의해 필름 구조체(100)의 표면(제1 면(100a) 및 제2 면(100b)) 상에 표면 조도가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면 조도 형성을 위한 입자로서 예를 들면, 가교 폴리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 입자들(114, 124)을 사용할 수 있다.Surface roughness may be implemented on the surface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film structure 100 by the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included in the resin layers 112 and 122. hav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including, for example, cross-linked polystyrene resin may be used as particles for forming surface roughness.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실리카(SiO2), 티타니아(TiO2), 제올라이트, 황산 바륨, 탄산칼슘 등과 같은 무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낮은 표면 조도를 구현 또는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형 코팅면인 제2 면(100b) 상에 적층되는 MLCC 그린시트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에도 표면 조도의 전사에 의한 공정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ly, for example,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inorganic particles such as silica (SiO 2 ), titania (TiO 2 ), zeolite, barium sulfate, calcium carbonate, etc.,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mplement or maintain a low surface roughness. Therefore, for exampl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MLCC green sheet laminated on the second surface 100b, which is the release coating surface, becomes thinner, it is possible to suppress process defects due to transfer of surface roughness.

또한, 상대적으로 표면 경도가 낮고 탄성 특성을 갖는 유기 입자들(114, 124)을 사용함에 따라 동일한 표면 조도에서도 상기 그린 시트에 대한 스트레스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공정 주행면에 해당되는 제1 면(100a)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표면 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여유분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having relatively low surface hardness and elastic properties are used, stress transmission to the green sheet can be suppressed even with the same surface roughness. Accordingly,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secure a margin for relatively increas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rst surface 100a corresponding to the process running surface.

이에 따라, 제1 면(100a)을 통한 공정 주행성, 공정 제어 특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필름 구조체(100)가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조도가 높은 제1 면(100a)을 통해 권취 안정성, 안티-블로킹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process drivability and process contro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irst surface 100a may be secured. In addition, when the film structure 100 is supplied in a wound state, winding stability and anti-blocking properties may be improved through the first surface 100a having relatively high roughness.

또한, 폴리스티렌 수지 입자와 같은 제1 및 제2 유기 입자들(114, 124)은 수지층(112, 122) 형성을 위한 유기 화합물과 친화성이 무기 입자들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지층(112, 122) 내에 유기 입자들(114, 124)이 보다 고르게 분산되어 표면 조도의 균일성 역시 증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such as polystyrene resin particles may have higher affinity with the organic compound for forming the resin layers 112 and 122 than the inorganic particles. Accordingly, the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are more evenly dispersed in the resin layers 112 and 122 , so that the uniformity of the surface roughness can also be improved.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층(120)내에 포함된 제2 유기 입자(124)는 복수의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층(110) 내에 포함된 제1 유기 입자(114)는 복수의 서로 다른 입도를 갖는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층 내에서 유기 입자의 분산성을 보다 향상시켜 표면 조도의 균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124 included in the second laye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The first organic particles 114 included in the first layer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organic particles in each laye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uniformity of the surface roughness.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층(120)은 실질적으로 상술한 무기 입자들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층(110)은 실질적으로 상술한 무기 입자들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layer 120 may not include substantially the aforementioned inorganic particles. Also, the first layer 110 may not substantially include the aforementioned inorganic particl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층(120) 및/또는 제1 층(110)은 상술한 유기 입자들(114, 124) 사용을 통한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미량의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0.05중량% 이하의 함량).In an embodiment, the second layer 120 and/or the first layer 110 further include a trace amount of inorganic particle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 through the use of the organic particles 114 and 124 described above. It may also be used (for example, the content of 0.05% by weight or les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름 구조체(100)의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의 중심선 평균 조도(Ra)의 차이는 5 nm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이형 코팅면에서의 낮은 표면 조도를 유지하면서 공정 주행면을 통한 충분한 공정 안정성 및 안티-블로킹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film structure 100 may be 5 nm or more.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process stability and anti-blocking properties through the process running surface while maintaining low surface roughness on the release coating surfa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 구조체(100)의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의 중심선 평균조도(Ra)의 차이는 5 내지 20n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nm 범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film structure 100 may be in the range of 5 to 20 nm, preferably 5 to 15 nm.

예를 들면, 제2 면(100b)의 중심선 평균 조도(Ra)는 약 4 내지 10nm 범위일 수 있다. 제1 면(100a)의 중심선 평균 조도(Ra)는 약 10 내지 25nm,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nm 범위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center line of the second surface 100b may be in a range of about 4 to 10 nm.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first surface 100a may be in a range of about 10 to 25 nm, preferably about 10 to 20 nm.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면(100a)의 최대 산 높이 표면조도(Rp)는 제2 면(100b)의 최대 산 높이 표면조도(Rp)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의 최대 산 높이 표면조도(Rp) 차이는 약 70nm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면(100a) 및 제2 면(100b)의 최대 산 높이 표면조도(Rp) 차이는 약 70 내지 180nm 범위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ximum peak height surface roughness Rp of the first surface 100a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peak height surface roughness Rp of the second surface 100b. In some embodim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peak height surface roughness Rp of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may be about 70 nm or more. Preferab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peak height surface roughness (Rp) of the first surface 100a and the second surface 100b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70 to 180 nm.

예를 들면, 상기 표면 조도 범위 내에서 이형 코팅면에서의 낮은 표면 조도를 유지하면서 공정 주행면을 통한 충분한 공정 안정성 및 안티-블로킹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process stability and anti-blocking properties through the process running surface while maintaining a low surface roughness on the release coating surface within the surface roughness range.

예를 들면, 제1 면(100a)의 최대 산 높이 표면조도(Rp)는 약 130 내지 250nm 범위일 수 있다. 제2 면(100b)의 최대 산 높이 표면조도(Rp)는 약 40 내지 70nm 범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maximum peak height surface roughness Rp of the first surface 100a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130 to 250 nm. The maximum peak height surface roughness Rp of the second surface 100b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40 to 70 nm.

예를 들면, 필름 구조체(100)는 공압출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층(110) 및 제2 층(120) 형성을 위한 유기 입자가 분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각각 건조, 용융 및 압출시킨뒤 멀티 매니폴드 다이, 피이드블록 다이와 같은 다이를 통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들을 합류시킬 수 있다. 이후, 캐스팅 공정을 통해 시트를 형성하고, 연신 공정을 통해 필름 구조체(100)를 수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lm structure 10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co-extrusion. For example, the polyester resin in which 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for forming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20 is dried, melted, and extruded, respectively, and then passed through a die such as a multi-manifold die and a feed block die. Polyester resins can be joined. Thereafter, a sheet may be formed through a casting process, and the film structure 100 may be obtained through a stretching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필름 구조체(100)는 그린시트 성형 공정 진행을 위한 이형 필름 기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 구조체(100)의 제2 면(100b) 상에 용제형 실리콘 수지를 도포하여 열 건조를 통해 이형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lm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s a release film substrate for the green sheet forming process. For example, a release film may be formed through thermal drying by coating a solvent-type silicone resin on the second surface 100b of the film structure 100 .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re presen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appended claims, and ar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 및 비교예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에틸렌글리콜에 평균 입경 0.1㎛ 의 폴리스티렌(PS) 입자를 분산시켜 20wt% 농도의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 제1 슬러리를 준비하였다. 또한, 평균 입경 0.5㎛의 폴리스티렌 입자를 각각 분산시켜 20wt% 농도의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 제2 슬러리를 준비하였다.A polystyrene/ethylene glycol first slurry having a concentration of 20 wt% was prepared by dispersing polystyrene (PS)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μm in ethylene glycol. In addition, polystyre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μm were dispersed, respectively, to prepare a polystyrene/ethylene glycol second slurry having a concentration of 20 wt%.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및 상기 슬러리를 당량비로 1:2로 각각 혼합한 후, 통상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를 첨가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진행시켰다. 통상의 중축합 촉매를 첨가하여 중축합 반응을 완결하여 극한 점도가 0.62dl/gr인 폴리에스테르 혼합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로서 0.1㎛과 0.5㎛ 입도를 갖는 폴리스티렌 입자를 각각 함유하는 제1 폴리에스테르 혼합 수지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혼합 수지를 제조하였다.Dimethyl terephthalate and the slurry were mixed in an equivalent ratio of 1:2, respectively, and then a conventional transesterification catalyst was added to carry out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A polycondensation reaction was completed by adding a conventional polycondensation catalyst to prepare a polyester mixed resin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2 dl/gr. As a result, a first polyester mixed resin and a second polyester mixed resin each containing polystyrene particles having particle sizes of 0.1 μm and 0.5 μm were prepared.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혼합 수지들을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방식에 따라 각각의 건조, 용융 및 압출 공정에 통과시킨 뒤 피이드 블록 다이를 통해 합류시켜서 연마 드럼 상에서 상온에서 캐스팅시켜 시트 형태로 성형하였다.The polyester mixed resins prepared above were passed through each drying, melting, and extru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extrusion polyester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then joined through a feed block die, cast at room temperature on an abrasive drum, and molded into a sheet.

성형된 시트를 80℃에서 가열하면서 종연신비 3.4배, 횡연신비 3.5배로 연신시켜 두께 30㎛의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1 폴리에스테르 혼합 수지를 통해 형성된 제1 층 및 제2 폴리에스테르 혼합 수지를 통해 형성된 제2 층의 두께는 각각 15㎛으로 형성되었다.A polyester ba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was prepared by stretching the molded sheet at a longitudinal stretch ratio of 3.4 times and a transverse stretch ratio of 3.5 times while heating at 80°C. The first layer formed through the first polyester mixed resin and the second layer formed through the second polyester mixed resin had a thickness of 15 μm, respectively.

실시예 2 내지 7Examples 2 to 7

입자 조성(입경, 함량 등)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A polyester base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article composition (particle diameter, content, etc.) was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수지층 내 포함된 입자로서 실리카 입자(각각 입경 0.3㎛ 및 0.5㎛ 2종)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A polyester base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silica particles (2 types of particle diameters of 0.3 μm and 0.5 μm, respectively) were used as particles included in the resin layer.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폴리스티렌 입자의 입자 조성(입경, 함량 등)을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A polyester base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article composition (particle diameter, content, etc.) of the polystyrene particles was changed as described in Table 1.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표면 조도(Ra, Rp) 측정(1) Measurement of surface roughness (Ra, Rp)

3차원 표면조도계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의 제1 면 및 제2 면의 표면조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면조도계는 KOSAKA사의 SE-3500을 사용하여, JIS-B0601 측정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polyester base film was 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surface roughness meter. Specifically, the surface roughness meter was measured by the JIS-B0601 measurement method using KOSAKA's SE-3500.

(2) 마찰 계수 측정(2) Measurement of coefficient of friction

ASTM D 1894 표준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을 폭방향으로 11cm, 길이방향으로 20cm로 샘플링을 한 후에 제1 면 및 제2 면 사이의 마찰계수를 TOYOSEIKI A281300803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중은 200g으로 하였으며, 측정 속도는 50mm/min으로 시료 당 3회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According to ASTM D 1894 standard, after sampling the polyester base film at 11 cm in width direction and 20 cm in length directio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was measured using a TOYOSEIKI A281300803 instrument. The load was 200 g, and the measurement speed was 50 mm/min, which was measured three times per sample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3) 압입 모듈러스 측정(3) Indentation modulus measurement

(주) 프로브스의 다이아몬드 재질의 나노 인덴터(berkovich 팁, 앵글: 65.3o)를 사용하여 ISO 14577 표준에 따라, 제2 면의 압입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The indentation modulus of the second surfac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ISO 14577 standard using a diamond-made nano indenter (berkovich tip, angle: 65.3 o ) of Probes (Note).

(4) 그린시트 핀홀 개수/그린 시트 변형(4) Number of green sheet pinholes/green sheet deformation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의 제1 면 상에 경화형 실리콘 수지(다우코닝사 제조, SYL-OFF 7920) 5중량%, 경화제(다우코닝사 제조, SYLOFF7923) 2중량% 및 증류수 93중량%로 이루어진 이형제를 도포하고 200℃에서 20초간 건조하여 이형층을 형성하였다.5 wt% of a curable silicone resin (manufactured by Dow Corning, SYL-OFF 7920), 2 wt% of a curing agent (manufactured by Dow Corning, SYLOFF7923), and distilled water 93 on the first side of the polyester base film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 release agent composed of wt% was applied and dried at 200° C. for 20 seconds to form a release layer.

이후, 이형층 상에 세라믹 슬러리를 슬롯다이 코터를 통해 도포하고 200mm폭의 필름에 세라믹 슬러리를 성형하여 100m길이를 성형하는 동안 발생되는 핀 홀의 개수를 관찰하여 1점(핀홀 없음) 내지 5점(핀홀 다수 발생) 사이에서 점수를 부여하였다.After that, the ceramic slurry is applied on the release layer through a slot die coater, and the number of pinholes generated while forming the 100 m length by forming the ceramic slurry on a 200 mm wide film is observed, and 1 point (no pinhole) to 5 points ( A number of pinholes occurred) and a score was given.

또한, 상기 세라믹 슬러리 성형 후 건조된 그린시트를 가로X세로(100mmX100mm)크기로 박리하여 표면의 상태를 광학현미경을 40배 확대하여 관찰하였을 때 요철의 발생여부를 관찰하여 그린 시트 변형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1점(요철 없음) 내지 5점(요철 다수 관찰) 사이에서 점수를 부여하였다. 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ceramic slurry, the dried green sheet was peeled off to a size of width X length (100 mm X 100 mm), and when the state of the surface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magnified by 40 times, the occurrence of irregularities was observed to evaluate the deformation of the green sheet. Specifically, a score was given between 1 point (no irregularities) and 5 points (many irregularities observed).

평가 결과는 하기의 표 1, 표 2 및 표 3에 함께 나타낸다.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together in Table 1, Table 2, and Table 3 below.

구분division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입자
조성
particle
Furtherance
제2 면
(이형
코팅면)
2nd side
(a variant
coated side)
성분ingredient PSPS PSPS PSPS PSPS
입도(D50)Particle size (D50) 0.1㎛0.1㎛ 0.1㎛0.1㎛ 0.3㎛0.3㎛ 0.3㎛0.3㎛ 0.1㎛0.1㎛ 함량(중량%)Content (wt%) 0.16%0.16% 0.08%0.08% 0.08%0.08% 0.16%0.16% 0.50%0.50% 제1 면
(공정
주행면)
side 1
(process
running surface)
성분ingredient PSPS PSPS PSPS PSPS
입도(D50)Particle size (D50) 0.5㎛0.5㎛ 0.3㎛0.3㎛ 0.5㎛0.5㎛ 0.3㎛0.3㎛ 0.5㎛0.5㎛ 함량(중량%)Content (wt%) 0.40%0.40% 0.20%0.20% 0.20%0.20% 0.40%0.40% 0.50%0.50% 표면
조도
surface
illuminance
제2 면
(이형
코팅면)
2nd side
(a variant
coated side)
Ra (nm)Ra (nm) 4.14.1 5.15.1 66 88
Rp (nm)Rp (nm) 4545 5757 6060 6565 제1 면
(공정
주행면)
side 1
(process
running surface)
Ra (nm)Ra (nm) 1616 1414 1111 1818
Rp (nm)Rp (nm) 220220 210210 130130 230230 마찰계수coefficient of friction 정마찰/동마찰Static friction/dynamic friction 0.19/0.250.19/0.25 0.18/0.220.18/0.22 0.17/0.200.17/0.20 0.21/0.270.21/0.27 제2 면 탄성계수(GPa)Second modulus of elasticity (GPa) 3.43.4 3.33.3 3.33.3 3.03.0 세라믹 시트 변형도ceramic sheet strain 1One 1One 1One 1One 핀홀 발생 빈도Frequency of pinhole occurrence 1One 1One 1One 22

구분division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7Example 7 입자
조성
particle
Furtherance
제2 면
(이형
코팅면)
2nd side
(a variant
coated side)
성분ingredient PSPS PSPS PSPS
입도(D50)Particle size (D50) 0.1㎛0.1㎛ 0.3㎛0.3㎛ 0.5㎛0.5㎛ 함량(중량%)Content (wt%) 0.60%0.60% 0.60%0.60% 0.60%0.60% 제1 면
(공정
주행면)
side 1
(process
running surface)
성분ingredient PSPS PSPS PSPS
입도(D50)Particle size (D50) 0.5㎛0.5㎛ 0.6㎛0.6㎛ 0.5㎛0.5㎛ 함량(중량%)Content (wt%) 0.60%0.60% 0.60%0.60% 0.8%0.8% 표면
조도
surface
illuminance
제2 면
(이형
코팅면)
2nd side
(a variant
coated side)
Ra (nm)Ra (nm) 99 9.59.5 9.49.4
Rp (nm)Rp (nm) 6868 7171 7070 제1 면
(공정
주행면)
side 1
(process
running surface)
Ra (nm)Ra (nm) 2020 2323 2222
Rp (nm)Rp (nm) 250250 264264 230230 마찰계수coefficient of friction 정마찰/동마찰Static friction/dynamic friction 0.20/0.300.20/0.30 0.19/0.250.19/0.25 0.23/0.320.23/0.32 제2 면 탄성계수(GPa)Second modulus of elasticity (GPa) 2.52.5 2.22.2 1.81.8 세라믹 시트 변형도ceramic sheet strain 22 22 33 핀홀 발생 빈도Frequency of pinhole occurrence 22 22 22

구분divis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입자
조성
particle
Furtherance
제2 면
(이형
코팅면)
2nd side
(a variant
coated side)
성분ingredient PSPS SiO2 SiO 2 SiO2 SiO 2
입도(D50)Particle size (D50) 0.1㎛0.1㎛ 0.3㎛0.3㎛ 0.3㎛0.3㎛ 함량(중량%)Content (wt%) 0.08%0.08% 0.08%0.08% 0.10%0.10% 제1 면
(공정
주행면)
side 1
(process
running surface)
성분ingredient PSPS SiO2 SiO 2
입도(D50)Particle size (D50) 0.3㎛0.3㎛ 0.5㎛0.5㎛ 0.5㎛0.5㎛ 함량(중량%)Content (wt%) 0.20%0.20% 0.20%0.20% 0.20%0.20% 표면
조도
surface
illuminance
제2 면
(이형
코팅면)
2nd side
(a variant
coated side)
Ra (nm)Ra (nm) 4.84.8 5.85.8
Rp (nm)Rp (nm) 6161 6969 제1 면
(공정
주행면)
side 1
(process
running surface)
Ra (nm)Ra (nm) 1414 1010
Rp (nm)Rp (nm) 210210 180180 마찰계수coefficient of friction 정마찰/동마찰Static friction/dynamic friction 0.18/0.230.18/0.23 0.16/0.190.16/0.19 제2 면 탄성계수(GPa)Second modulus of elasticity (GPa) 4.74.7 4.94.9 세라믹 시트 변형도ceramic sheet strain 44 44 핀홀 발생 빈도Frequency of pinhole occurrence 22 33

상기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압입 모듈러스가 4GPa 미만, 바람직하게는 3 GPa 이상 및 4GPa 미만으로 조절된 실시예들의 경우, 그린시트의 표면 변형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면서 안정적인 그린시트 성형 공정성이 확보되었다.Referring to Tables 1 to 3,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indentation modulus is less than 4 GPa, preferably 3 GPa or more and less than 4 GPa, stable green sheet molding processability is secured while suppressing or reducing the surface deformation of the green sheet became

100: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 110: 제1 층
112: 제1 수지층 114: 제1 유기 입자
120: 제2 층 122: 제2 수지층
124: 제2 유기 입자
100: polyester film structure 110: first layer
112: first resin layer 114: first organic particles
120: second layer 122: second resin layer
124: second organic particle

Claims (10)

서로 대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 내 분산된 유기 입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은 이형 코팅면에 해당되며, 상기 제2 면에서 나노 인덴터로 측정한 압입 모듈러스가 4 GPa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
A polyester resin layer compris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Including organic particles dispersed in the polyester resin layer,
The second surface corresponds to a release coating surface, and the indentation modulus measured by a nano-indenter on the second surface is less than 4 GPa, a polyester film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상기 제1 면을 포함하는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입자들은 상기 제1 수지층 내에 분산된 제1 유기 입자 및 상기 제2 수지층 내에 분산된 제2 유기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ester resin layer comprises a first resin layer including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resin layer including the second surface,
The organic particles are a polyester film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organic particle dispersed in the first resin layer and a second organic particle dispersed in the second resin lay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층의 두께는 1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esin layer is 10㎛ or more, polyester film structur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입자는 제2 유기 입자보다 큰 입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The polyester film structure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organic particles have a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입자의 상기 제1 수지층 내 함량은 제2 유기 입자의 상기 제2 수지 층 내 함량보다 큰,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The polyester film structure of claim 2, wherein the content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in the first resin layer is greater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in the second resin lay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중 상기 제1 유기 입자의 함량은 0.4 내지 1 중량%이며, 상기 제2 수지층 중 상기 제2 유기 입자의 함량은 0.1 내지 0.3중량%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ent of the first organic particles in the first resin layer is 0.4 to 1%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second organic particles in the second resin layer is 0.1 to 0.3% by weight, the polyester film stru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의 중심선 평균 조도(Ra)의 차이는 5 nm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5 nm or more, the polyester film structur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의 중심선 평균 조도(Ra)의 차이는 5 내지 20nm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line average roughness (Ra)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5 to 20nm, the polyester film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의 최대 산 높이 표면조도(Rp) 차이는 70nm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ximum peak height surface roughness (Rp)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70nm or more. polyester film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서 나노 인덴터로 측정한 압입 모듈러스는 2GPa 이상 및 4 GPa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entation modulus measured by the nano-indenter on the second surface is 2 GPa or more and less than 4 GPa, the polyester film structure.
KR1020210011391A 2020-12-24 2021-01-27 Polyester film structure KR102633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91A KR102633588B1 (en) 2021-01-27 2021-01-27 Polyester film structure
CN202111412518.2A CN114654851B (en) 2020-12-24 2021-11-25 polyester film structure
TW110146732A TW202227542A (en) 2020-12-24 2021-12-14 Polyester film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91A KR102633588B1 (en) 2021-01-27 2021-01-27 Polyester film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12A true KR20220108412A (en) 2022-08-03
KR102633588B1 KR102633588B1 (en) 2024-02-05

Family

ID=8284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391A KR102633588B1 (en) 2020-12-24 2021-01-27 Polyester film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58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485A (en) * 2000-12-13 2002-06-22 장용균 Laminated polyester film
KR20150072380A (en) * 2012-10-19 2015-06-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 release
JP2019073003A (en) * 2017-10-12 2019-05-16 東洋紡株式会社 Release film for producing ceramic green sheet
KR20190063462A (en) * 2016-09-30 2019-06-07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Polyester film
KR101976118B1 (en) 2012-06-29 2019-09-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polyester film
KR20200016320A (en) * 2020-02-07 2020-02-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Releas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23426A (en) * 2017-09-29 2020-03-04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Release film for manufacturing ceramic green shee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485A (en) * 2000-12-13 2002-06-22 장용균 Laminated polyester film
KR101976118B1 (en) 2012-06-29 2019-09-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polyester film
KR20150072380A (en) * 2012-10-19 2015-06-2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 release
KR20190063462A (en) * 2016-09-30 2019-06-07 유니띠까 가부시키가이샤 Polyester film
KR20200023426A (en) * 2017-09-29 2020-03-04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Release film for manufacturing ceramic green sheet
JP2019073003A (en) * 2017-10-12 2019-05-16 東洋紡株式会社 Release film for producing ceramic green sheet
KR20200016320A (en) * 2020-02-07 2020-02-1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Releas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588B1 (en)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2380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 release
KR20120099546A (en) Polyester release film for forming green sheet
JP2021088192A (en) Release film for ceramic green sheet production
KR20230128580A (en) Mold releasing film for manufacturing ceramic gree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releasing film
KR20200137357A (en) Release film
JP2003291291A (en) Polyester film for release film
KR102633588B1 (en) Polyester film structure
KR101099879B1 (en) Polyester film for forming a green sheet of a condenser and manufcturing method of a green sheet using the same
JP2003300283A (en) Mold release film
KR100879003B1 (en) Release Film
JP2010260315A (en) Release film
CN114654851B (en) polyester film structure
KR102539514B1 (en) Polyester film structure
KR101375706B1 (en) Polyester base film for releas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8062105A (en) Easily-adhesive laminated polyester film
JP2003238706A (en) Polyester film for release film
KR20130087241A (en) Polyester base film for release film of green she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51338A (en) polyester film roll
JP2004196856A (en) Polyester film for release film
KR20190075565A (en) Polyester film
KR20140000598A (en) Polyester base film for release film of green sheet
KR100597896B1 (en) Releasing film for forming green sheet
JP2009184339A (en) Mold release film
KR101271468B1 (en) Release film for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3110646A (en) Polyester film roll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ester film r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