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544A -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544A
KR20220107544A KR1020210010299A KR20210010299A KR20220107544A KR 20220107544 A KR20220107544 A KR 20220107544A KR 1020210010299 A KR1020210010299 A KR 1020210010299A KR 20210010299 A KR20210010299 A KR 20210010299A KR 20220107544 A KR20220107544 A KR 2022010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iagnosis
facility
expert
dimensional model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537B1 (ko
Inventor
김달주
권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매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매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매퍼
Priority to KR102021001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5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 교량, 터널 등의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구축하고,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시설물에 접근한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과 육안 점검, 비파과 검사 등을 통해 각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텍스트, 음성,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기록 및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진단 관리기관의 감독자가 안전진단 결과를 보고서가 아닌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직접 점검할 수 있으며, 안전진단 대상의 시설물을 직접 보면서 점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PLATFORM FOR SAFETY DIAGNOSIS THROUGH 3D MOD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교량, 터널 등의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구축하고,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시설물에 접근한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과 육안 점검, 비파과 검사 등을 통해 각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텍스트, 음성,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기록 및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진단 관리기관의 감독자가 안전진단 결과를 보고서가 아닌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직접 점검할 수 있으며, 안전진단 대상의 시설물을 직접 보면서 점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터널, 댐, 공동주택 등의 각종 시설물들은 사회가 발전하면서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점점 대형화 및 첨단화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시설물들은 석재, 목재 등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법이나 시설물이 위치한 환경 등에 따라 수명은 달라질 수 있어도 외부 환경의 지속적인 영향과 시설물을 구성하는 골재의 변형으로 인하여 영구적으로 존재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각종 시설물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안전진단이 필요하다.
상기 안전진단은 재해의 잠재적 위험성, 안전관리상의 문제를 미리 발견하여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안전진단 결과에 따라 문제점을 보완하거나 수명이 다한 시설물은 안전을 위해 철거한 후 재건축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전진단은 전문가가 시설물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스케치하거나 표시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어 왔기 때문에, 육안 점검만으로는 구조적 결함을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안전진단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기관측에서 전문가가 수행한 안전진단 결과를 보고서 형태로 확인하였기 때문에, 안전진단 대상이 되는 시설물의 각 부분의 상태를 현장 상황을 확인하면서 점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구축하고, 특정 시설물에 접근한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과 육안 점검, 비파괴 검사 등을 통해 각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기록 및 보고함으로써, 안전진단 관리기관의 감독자가 보고서가 아닌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안전진단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설물을 직접 보면서 점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0985호(2015.10.05.)는 건물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건물통합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 건축물과 내부의 각종 설비를 3D 이미지로 구현함과 동시에 현장 진단센터의 엔지니어와 외부협력업체의 전문가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하는 건물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건물통합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건물 또는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설비를 3D 이미지로 정확하게 구현한 책자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설비의 정확한 종류와 제원 등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하여 제품구입과 유지보수 또는 교체작업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는 건물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건물통합관리 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안전진단 대상의 특정 시설물에 접근한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해당 시설물에 대해 사전에 구축한 3차원 모델을 제공하여 육안 점검과 함께 각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기록 및 보고하도록 하며, 안전진단 관리기관의 감독자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직접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점검하여 마치 현장에서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2123983호(2020.06.11.)는 시설물 안전 진단용 스마트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안전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시설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GPS 음영 지역의 장애물과 충돌 회피하도록 상기 스마트 드론의 위치를 제어하는 비행 제어부와,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의 형상을 측정하여 형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의 구조에 관한 3D 모델링을 실시하는 3D 모델링부; 및 상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 진단을 위해 상기 3D 모델링의 결과(3D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의 상태를 평가하는 안전 진단부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GPS 음영 지역에서 3차원 영상 센서 및 라이다가 탑재된 자율 주행 드론을 활용하여 장애물 충돌을 회피하면서 GPS 음영 지역에 위치한 시설물의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터널 및 지하철, 공동구 등 GPS 송수신에 취약한 시설물의 안전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 진단용 스마트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안전 진단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사전에 구축하고, 안전진단 대상의 특정 시설물에 접근한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과 육안 점검, 비파괴 검사 등을 통해 각 부분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기록 및 보고하도록 하며, 안전진단 관리기관의 감독자가 보고서가 아닌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직접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현저한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건물, 교량, 터널 등의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사전에 구축하고, 안전진단 대상의 특정 시설물에 접근한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상기 3차원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육안 확인과 함께 상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안전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진단 전문가가 안전진단을 수행할 특정 시설물의 일정 범위 이내에 접근하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진단 전문가가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자료를 토대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GPS, RTK, 콤파스 등을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및 방위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진단 전문가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지문, 얼굴형태, 홍채 등의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정보를 토대로 안전진단 전문가의 권한을 확인함으로써, 안전진단 대상의 특정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텍스트, 음성,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기록 및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진단 관리기관의 감독자가 보고서가 아닌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직접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과 안전검검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시설물의 노후화 추적, 변이 추적 등을 수행하여 시계열적인 안전진단 분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은, 안전진단 전문가의 시설물 접근을 확인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접근 제어부; 및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등록하도록 하는 상태 등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등록하는 것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근 제어부는,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GPS와 GPS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기법인 RTK(Real-Time Kinematics)를 이용하거나, 여기에 콤파스를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및 방위정보를 통해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및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이고,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생성한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는 3차원 모델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안전진단 대상의 각 시설물별로 안전진단을 수행할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지문, 얼굴형태 및 홍채를 포함한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인증정보를 발행하며,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에 의한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정보를 폐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 등록부는,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점검한 위치에 대해 전문가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등록하는 영상 등록부;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입력하는 텍스트를 등록하는 텍스트 등록부;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말하는 음성을 등록하는 음성 등록부; 및 비파괴 검사 장비를 포함한 장비에서 출력되는 기타 출력 데이터를 등록하는 기타 속성 데이터 등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태를 영상, 텍스트,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은, 감독자가 상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확인하도록 하는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는, 상기 감독자의 접근권한을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인증한 감독자의 선택에 따라 안전진단이 수행된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부; 상기 로딩한 3차원 모델에서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감독자의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키워드 입력에 따라 상기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한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 출력하는 안전진단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은,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안전진단 전문가의 시설물 접근을 확인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접근 제어 단계; 및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등록하도록 하는 상태 등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등록하는 것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근 제어 단계는,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GPS와 GPS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기법인 RTK(Real-Time Kinematics)를 이용하거나, 여기에 콤파스를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및 방위정보를 통해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단계; 및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이고,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생성한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는 3차원 모델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처리 단계는,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안전진단 대상의 각 시설물별로 안전진단을 수행할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지문, 얼굴형태 및 홍채를 포함한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인증정보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에 의한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정보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 등록 단계는,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점검한 위치에 대해 전문가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등록하는 영상 등록 단계;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입력하는 텍스트를 등록하는 텍스트 등록 단계;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말하는 음성을 등록하는 음성 등록 단계; 및 비파괴 검사 장비를 포함한 장비에서 출력되는 기타 출력 데이터를 등록하는 기타 속성 데이터 등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태를 영상, 텍스트,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방법은,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감독자가 상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확인하도록 하는 안전진단 결과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진단 결과 확인 단계는, 상기 감독자의 접근권한을 인증하는 인증 처리 단계; 상기 인증한 감독자의 선택에 따라 안전진단이 수행된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 단계; 상기 로딩한 3차원 모델에서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감독자의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키워드 입력에 따라 상기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한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 출력하는 안전진단 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건물, 교량, 터널 등의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사전에 구축하고, 안전진단 대상의 특정 시설물에 접근한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영상, 텍스트,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기록 및 보고함으로써, 안전진단 관리기관의 감독자가 보고서가 아닌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직접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점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시설물을 직접 보면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안전진단을 하지 않고 거짓 정보(사진, 도면)를 보고서에 기재하는 부정 행위를 예방할 수 있고, 유사하게 등록된 안전진단 전문가를 투입하지 않고 비자격자를 투입하는 것도 예방할 수 있으며, 육안 검사 외에도 비파괴 검사 등의 모든 안전진단 방법에 공히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의 사용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안전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웹 기반으로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의 접근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의 상태 등록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의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시설물의 3차원 모델 구축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결과 확인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의 사용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100, 이하 안전진단 플랫폼이라 함), 전문가 단말(200), 감독자 단말(300), 데이터베이스(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교량, 터널, 건물 등의 각종 시설물별로 고정밀 지리정보가 포함된 3차원 모델을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하고 있으며, 안전진단 전문가가 보유한 전문가 단말(200)로 특정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과 육안 확인을 통해서 해당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안전진단 관리기관으로부터 요청받은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사람이 맞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상기 3차원 모델을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제공하여야 한다.
이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로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이 있는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사진이나 문서 등의 자료만으로 안전진단을 수행하거나 육안으로만 안전진단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실한 안전진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안전진단 전문가가 비파괴, 크랙, 박리, 박락, 백태 등이 발생되거나 의심되는 특정 구성 부분을 상기 전문가 단말(200)에 표시되는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선택하면,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선택한 특정 구성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2차원 모델로 제공하여, 2차원 및 3차원 모델과 육안을 통해서 안전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텍스트, 음성,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직접 입력하여 보고 및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로서, 종래에는 안전진단 전문가가 이상 부분을 사진으로 촬영하거나 메모한 후, 안전진단을 마친 이후 별도의 보고서를 작성하여 안전진단 관리기관 측에 제공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안전진단 전문가가 안전진단 항목별로 직접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촬영하고, 안전진단 결과를 텍스트로 입력하는 것은 물론, 텍스트 입력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음성으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안전진단 관리기관(즉 안전진단을 요청한 발주자)측의 감독자가 특정 시설물의 안전진단 결과를 보고서 형태가 아닌 상기 감독자 단말(300)을 통해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안전진단 전문가가 작성한 상세한 안전진단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이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시계열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훼손 부위의 변화, 길이 및 구조의 변형 등을 추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문가 단말(200)은 안전진단 전문가가 보유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통신단말로서,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이 있는 현장에 방문한 안전진단 전문가의 사용자 인증 및 위치 확인을 통해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으로부터 상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3차원 모델을 제공받아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전문가 단말(200)은 해당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영상, 텍스트,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
한편, 안전진단 전문가가 특정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문가 단말(200)과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이 일시적으로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문가 단말(200)은 로컬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3차원 모델을 제공받지는 못하더라도 육안 점검에 따른 안전진단 결과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과 네트워크 연결이 다시 이루어지면 로컬 모드에서 작성한 안전진단 결과를 업데이트하여 보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문가 단말(200)이 실내나 지하와 같이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하거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서 실내 측위에서 사용되는 방식(예: 삼각측량이나 무선신호 레벨 측정 등)을 적용 또는 마지막으로 신호된 상기 전문가 단말(200)의 위치로 추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독자 단말(300)은 각종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을 의뢰한 관리기관이나 발주처의 감독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통신단말로서, 안전진단 전문가에 의한 안전진단이 완료된 이후, 감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 접속하여 해당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상에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입력한 각 구성부분에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로서, 상기 감독자 단말(300)은 종래와 같이 보고서 형태의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아닌,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안전진단 전문가가 실시간으로 영상, 텍스트,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입력한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각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키워드 검색에 따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각종 시설물에 대하여 구축한 3차원 모델을 저장하고 있으며, 안전진단을 의뢰한 관리기관에 대한 정보, 안전진단을 수행할 각 안전진단 전문가별 인증정보(예: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각 안전진단 전문가가 수행한 각 시설물별 안전진단 결과를 해당 시설물의 3차원 모델과 함께 저장하여 관리한다.
한편,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안전진단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안전진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특정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안전진단 전문가의 인증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3차원 모델 제공범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①). 즉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을 점검할 사람이 맞는지의 여부와 상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확인한 결과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인증 및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3차원 모델 제공범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해당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제공한다(②).
만일,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3차원 모델 제공범위를 벗어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해당 시설물의 3차원 모델 및 영상,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입력한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의 삭제 및 편집 기능을 제한하며, 텍스트의 편집 및 안전진단 결과의 다운로드 등 제한적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3차원 모델을 제공하지 못하는 이유(예: 인증 미확인, 제공범위 이탈 등)를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 확인은 안전진단 전문가가 현장을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안전진단을 진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예: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특정 구성 부분의 상세정보를 열람, 입력, 편집 등을 요청할 때마다 수행하거나 소정 시간 간격마다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서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제공하는 상기 3차원 모델은 웹 기반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문가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으로부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이 제공되면,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는 상기 전문가 단말(200)에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며(③), 상기 확인한 상태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기록하여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으로 보고한다(④). 즉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는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촬영하고, 안전진단 결과를 텍스트나 음성으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기록 및 보고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전문가 단말(200)에서 수행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⑤).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안전진단이 완료된 이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상기 감독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3차원 모델상에서 안전진단 전문가가 작성한 상세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감독자 단말(300)로 제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⑥).
예를 들어, 감독자가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서 제공하는 웹 기반의 3차원 모델상에서 도장 훼손이나 비파괴 시험 등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서 상기 입력된 키워드 검색을 통해 모든 훼손 부위나 비파괴 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서 각 시설물별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안전진단 전문가에 의한 3차원 모델 확인(viewing)과 안전진단 결과 입력은 물론, 감독자에 의한 안전진단 결과 확인 등의 안전진단과 관련된 모든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3차원 모델 구축부(110), 접근 제어부(120), 상태 등록부(130),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3차원 모델 구축부(110)는 안전진단 대상이 되는 각종 시설물에 대한 고입체감, 고정밀도 및 고해상도의 3차원 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구축한 각 시설물별 3차원 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3차원 모델 구축부(110)는 각 시설물별 3차원 모델을 구축할 때, 3차원 모델을 구축할 시설물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시설물에 대해서 GNSS와 Level 측량 정보, 드론을 활용한 항공 영상, 라이다로 획득한 스캐닝 정보 등을 정합하여 해당 시설물의 3차원 모델을 구축한다.
또한 상기 구축된 3차원 모델은 안전진단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절대좌표의 오차가 1cm 이하이고, 구현 범위 내 변위 오차가 1.5mm 이하가 되도록 모델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차원 모델 구축부(110)는 상기 구축한 각 시설물별 3차원 모델을 소정의 주기(예: 월별, 분기별, 연별 등)에 따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한 3차원 모델과 이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를 시계열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과 안전검검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시설물의 노후화 추적, 변이 추적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근 제어부(120)는 특정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안전진단 전문가의 인증 및 상기 시설물의 일정 범위 이내의 접근을 확인하고, 상기 인증 및 접근이 확인된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접근 제어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3차원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안전진단을 수행할 위치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현재 위치 표시는 현재 위치 표시 메뉴의 활성 또는 비활성화에 따라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는 무선 통신 실시간 동기화 메뉴의 활성 또는 비활성에 따라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과의 실시간 통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문가 단말(200)에 표시되는 3차원 모델은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설정에 따라 경위도 좌표계나 TM(Transverse Mercator) 좌표계의 형식을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 등록부(130)는 상기 접근 제어부(120)를 통해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제공된 상기 3차원 모델을 확인한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등록하는 것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수행된다.
즉 상기 상태 등록부(130)는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 및 육안을 이용한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상태확인 및 육안점검이 불가한 내부 구조물의 속성 데이터 등을 토대로 상기 3차원 모델이 표시된 화면상에서 안전진단 항목(예: 크랙, 박리, 박락, 백태, 비파괴 검사 등)을 입력한 후, 사진, 동영상, 텍스트, 음성 입력 등을 통해서 해당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입력할 때, 안전진단 결과의 입력시간은 상기 전문가 단말(200)의 시간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작성자에 대한 정보도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인증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140)는 특정 시설물에 대하여 안전진단을 의뢰한 상기 감독자 단말(300)로 상기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제공하여, 상기 감독자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상기 특정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감독자의 접근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을 수행한 상기 감독자에게 안전진단 결과가 포함된 3차원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감독자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확인하고 싶은 진단결과 항목을 검색하여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할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웹 기반으로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상기 전문가 단말(200) 또는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상기 감독자 단말(400)에 웹 기반의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웹 기반의 화면에는 메뉴 표시부, 3차원 모델 표시부, 영상, 텍스트 및 음성 등록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 표시부에는 파일, 홈, 편집, 보기, 이미징, 모델링 등의 메뉴, 검색창, 좌표계 설정창, 무선 통신 실시간 동기화 활성/비활성 버튼, 현재 위치 표시 활성/비활성 선택 버튼, 비파괴, 크랙, 박리, 박락, 백태 등의 안전진행 항목 메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200)은 3차원 모델 표시부를 통해 안전진단을 수행할 시설물의 3차원 모델을 확인하고,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영상, 텍스트, 음성 등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문가 단말(400)은 메뉴 표시부를 통해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고 싶은 특정 안전진단 항목을 선정하거나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따라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입력한 안전진단 결과를 3차원 모델 표시부, 영상 등록부, 텍스트 등록부, 음성 등록부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의 접근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근 제어부(120)는 인증 처리부(121), 위치 확인부(122), 3차원 모델 제공부(12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증 처리부(121)는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지문, 얼굴형태 및 홍채를 포함한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인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안전진단 대상의 각 시설물별로 안전진단을 수행할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발행하는 인증정보는 해당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동안에만 유효한 상태로 발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정보는 자동으로 폐기된다. 또한 상기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나 생체정보로 된 인증정보는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 전문가로 등록되어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확인부(122)는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GPS와 GPS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기법인 RTK(Real-Time Kinematics)를 이용하거나, 여기에 콤파스를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및 방위정보를 통해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를 확인한다. 즉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안전진단을 수행할 특정 시설물의 일정 범위(즉 3차원 모델 제공범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3차원 모델 제공부(123)는 상기 인증 처리부(121)에서 수행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인증 결과와 상기 위치 확인부(122)에서 확인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이고,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생성한 3차원 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의 상태 등록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 등록부(130)는 영상 등록부(131), 텍스트 등록부(132), 음성 등록부(133), 기타 속성 데이터 등록부(1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 등록부(131)는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점검한 위치에 대해 전문가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등록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는 상기 등록된 영상 중 이상이 있거나 점검이 필요한 일부 영역을 별도로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등록부(132)는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입력하는 텍스트를 등록하는 부분이다.
상기 음성 등록부(133)는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말하는 음성을 녹음하여 등록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텍스트 입력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안전진단 결과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타 속성 데이터 등록부(134)는 비파괴 검사 장비를 포함한 장비에서 출력되는 기타 출력 데이터를 등록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등록하는 영상, 텍스트,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은 크랙, 박리, 박락, 백태 등의 안전진단 항목별로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태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 플랫폼의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140)는 인증 처리부(141), 3차원 모델 로딩부(142), 검색부(143), 안전진단 결과 출력부(1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증 처리부(141)는 상기 감독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되는 인증정보(즉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생체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감독자가 안전진단을 의뢰한 시설물의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적합한 감독자인지를 확인한다.
상기 3차원 모델 로딩부(142)는 상기 인증 처리부(141)를 통해 인증을 수행한 감독자가 안전진단이 수행된 특정 시설물을 선택하면, 상기 감독자의 선택에 따라 안전진단이 수행된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로딩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검색부(143)는 상기 로딩한 3차원 모델을 확인한 감독자가 특정 안전진단 항목(예: 비파괴, 크랙, 박리, 박락, 백태 등)에 대한 키워드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감독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라 특정 시설물에 대하여 수행한 안전진단 결과 중에서 상기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안전진단 결과 출력부(144)로 제공한다.
상기 안전진단 결과 출력부(144)는 상기 감독자가 상기 검색부(143)를 통해 검색한 상기 시설물의 특정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 출력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영상, 텍스트,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입력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시설물의 3차원 모델 구축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서는 3차원 모델로 구축할 각 시설물을 결정한다(S110). 이때 상기 3차원 모델로 구축할 시설물은 터널, 교량, 댐 등의 주요 건축물이나 토목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진단 관리기관, 업체, 개인 등으로부터 의뢰받은 시설물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S110 단계를 통해 3차원 모델로 구축할 시설물이 결정되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GNSS와 Level 측량을 수행하고(S110), 드론을 활용한 항공 촬영을 수행하며(S120), 라이다로 획득한 스캐닝을 수행한다(S130).
이어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S120 단계 내지 S140 단계를 통해 획득한 GNSS와 Level 측량 정보, 드론으로 촬영한 항공 영상, 라이다로 획득한 스캐닝 정보를 정합하여 상기 시설물의 3차원 모델을 구축한다(S150).
또한 상기 S150 단계를 통해 상기 시설물의 3차원 모델을 구축한 이후,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소정의 주기에 따라 기 구축한 각 시설물별 3차원 모델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관리한다(S160).
이처럼 각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구축한 이후,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안전진단 관리기관, 업체, 개인 등의 요청에 따라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인증 및 안전진단 대상 시설물의 접근을 확인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제공하는 접근 제어 단계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지문, 얼굴형태 및 홍채를 포함한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S210).
이어서, 상기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S210 단계를 통해 인증된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생성한 3차원 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로딩하여 제공하는 3차원 모델 제공 단계를 수행한다(S220).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GPS와 GPS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기법인 RTK(Real-Time Kinematics)를 이용하거나, 여기에 콤파스를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및 방위정보를 통해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단계를 수행하고(S230), 상기 S230 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가 상기 시설물의 일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240).
상기 S24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S220 단계를 통해 상기 전문가 단말(200)로 제공된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등록하도록 하는 상태 등록 단계를 수행한다(S250).
즉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에 대해 점검한 위치에 대해 전문가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상기 촬영한 영상의 상태에 대한 텍스트나 음성, 비파괴 검사 장비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기타 출력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등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S24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전문가가 3차원 모델상에서 등록된 데이터의 열람 및 텍스트 편집에 한해 제한적 사용과 점검부 촬영영상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한다(S260).
이어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하고(S270), 상기 판단한 결과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종료되면 상기 전문가의 작업에 의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동기화하며(S280),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에 의해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S240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에 의해 상기 3차원 모델을 이용한 특정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마무리되면, 감독자가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에 접속하여 의뢰한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결과 확인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확인하도록 하는 안전진단 결과 확인 단계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상기 감독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인증정보를 토대로 상기 감독자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감독자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S310).
이어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인증을 수행한 상기 감독자가 안전진단을 수행한 특정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는지를 확인하고(S320), 상기 감독자의 선택에 따라 안전진단이 수행된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 단계를 수행한다(S330).
이후,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S330 단계를 통해 화면상에 로딩한 3차원 모델을 확인한 감독자가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키워드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340). 즉 비파괴, 크랙, 박리, 박락, 백태 등의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S34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감독자에 의해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감독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라 상기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검색한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등록한 영상, 텍스트, 음성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상기 3차원 모델상에 출력하는 안전진단 결과 출력 단계를 수행한다(S350).
이에 따라 상기 감독자는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주요 키워드 입력만으로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100)은 상기 감독자의 안전진단 결과 확인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하여(S360), 상기 감독자에 의해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 결과 확인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S340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건물, 교량, 터널 등의 각종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사전에 구축하고, 안전진단 대상의 특정 시설물에 접근한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텍스트, 음성, 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기록 및 보고하기 때문에, 안전진단 관리기관의 감독자가 보고서가 아닌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직접 특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점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시설물을 직접 보면서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안전진단 플랫폼 110 : 3차원 모델 구축부
120 : 접근 제어부 121 : 인증 처리부
122 : 위치 확인부 123 : 3차원 모델 제공부
130 : 상태 등록부 131 : 영상 등록부
132 : 텍스트 등록부 133 : 음성 등록부
134 : 기타 속성 데이터 등록부 140 :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
141 : 인증 처리부 142 : 3차원 모델 로딩부
143 : 검색부 144 : 안전진단 결과 출력부
200 : 전문가 단말 300 : 감독자 단말
4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안전진단 전문가의 시설물 접근을 확인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접근 제어부; 및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등록하도록 하는 상태 등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등록하는 것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부는,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GPS와 GPS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기법인 RTK(Real-Time Kinematics)를 이용하거나, 여기에 콤파스를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및 방위정보를 통해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 및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이고,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생성한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는 3차원 모델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부는,
    안전진단 대상의 각 시설물별로 안전진단을 수행할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지문, 얼굴형태 및 홍채를 포함한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인증정보를 발행하며,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에 의한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정보를 폐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등록부는,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점검한 위치에 대해 전문가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등록하는 영상 등록부;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입력하는 텍스트를 등록하는 텍스트 등록부;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말하는 음성을 등록하는 음성 등록부; 및
    비파괴 검사 장비를 포함한 장비에서 출력되는 기타 출력 데이터를 등록하는 기타 속성 데이터 등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태를 영상, 텍스트,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은,
    감독자가 상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확인하도록 하는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진단 결과 확인부는,
    상기 감독자의 접근권한을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
    상기 인증한 감독자의 선택에 따라 안전진단이 수행된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부;
    상기 로딩한 3차원 모델에서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감독자의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키워드 입력에 따라 상기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한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 출력하는 안전진단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6.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안전진단 전문가의 시설물 접근을 확인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도록 하는 접근 제어 단계; 및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상태를 등록하도록 하는 상태 등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상태를 등록하는 것은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제어 단계는,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인지를 확인하는 인증 처리 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GPS와 GPS를 이용한 고정밀 측위기법인 RTK(Real-Time Kinematics)를 이용하거나, 여기에 콤파스를 이용하여 취득한 위치 및 방위정보를 통해서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단계; 및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된 전문가이고,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생성한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로 제공하는 3차원 모델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증 처리 단계는,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안전진단 대상의 각 시설물별로 안전진단을 수행할 안전진단 전문가에게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OTP 정보, 지문, 얼굴형태 및 홍채를 포함한 생체정보 또는 이들을 조합한 인증정보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에 의한 상기 시설물의 안전진단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정보를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태 등록 단계는,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상기 시설물에 대해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점검한 위치에 대해 전문가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등록하는 영상 등록 단계;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입력하는 텍스트를 등록하는 텍스트 등록 단계;
    상기 등록한 영상의 상태에 대하여 상기 안전진단 전문가가 말하는 음성을 등록하는 음성 등록 단계; 및
    비파괴 검사 장비를 포함한 장비에서 출력되는 기타 출력 데이터를 등록하는 기타 속성 데이터 등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의 각 구성 부분의 소정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태를 영상, 텍스트, 음성, 기타 속성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입력하여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전진단 방법은,
    상기 안전진단 플랫폼에서, 감독자가 상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을 통해서 확인하도록 하는 안전진단 결과 확인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진단 결과 확인 단계는,
    상기 감독자의 접근권한을 인증하는 인증 처리 단계;
    상기 인증한 감독자의 선택에 따라 안전진단이 수행된 상기 시설물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딩하는 3차원 모델 로딩 단계;
    상기 로딩한 3차원 모델에서 안전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감독자의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키워드 입력에 따라 상기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한 안전진단 항목에 대한 안전진단 결과를 상기 3차원 모델상에 출력하는 안전진단 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방법.
KR1020210010299A 2021-01-25 2021-01-25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KR10262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99A KR102625537B1 (ko) 2021-01-25 2021-01-25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299A KR102625537B1 (ko) 2021-01-25 2021-01-25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544A true KR20220107544A (ko) 2022-08-02
KR102625537B1 KR102625537B1 (ko) 2024-01-16

Family

ID=8284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299A KR102625537B1 (ko) 2021-01-25 2021-01-25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5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297A (ko) * 2012-11-26 2014-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8872A (ko) * 2013-01-31 2014-08-08 남궁용주 모바일 nfc단말기 웹 서비스를 위한 바이오인식과 tsm 기반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078696B1 (ko) * 2019-07-19 2020-02-19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3d 모델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297A (ko) * 2012-11-26 2014-06-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8872A (ko) * 2013-01-31 2014-08-08 남궁용주 모바일 nfc단말기 웹 서비스를 위한 바이오인식과 tsm 기반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078696B1 (ko) * 2019-07-19 2020-02-19 주식회사 대성이엔씨 3d 모델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537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0501B2 (en) Monitoring users and conditions in a structure
Liu et al.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 and augmented reality for drone-based building inspection
Eschmann et al. Web-based georeferenced 3D inspection and monitoring of bridges with unmanned aircraft systems
US20190102488A1 (en) System for conducting a service call with orienteering
KR102038127B1 (ko)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71264B1 (ko)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정보 제공 장치, 건축 구조물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유지 보수 방법
Napolitano et al. Combination of image-based documentation and augmented reality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building pathology
KR102238193B1 (ko)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N113343016B (zh) 一种监管建筑材料的系统及方法
CN107817750A (zh) 一种基于bim的楼宇监控系统
US20180204153A1 (en) Architectural Planning Method
JP2020030855A (ja) 損傷図編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578056B (en)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the monitoring process on building construction
CA3054521A1 (en) System for conducting a service call with orienteering
Maalek et al. Evaluation of the state-of-the-art automated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KR102625537B1 (ko)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JP2012023414A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92160B1 (en) Property damage estimator
JP6621649B2 (ja) 情報端末およびサーバ
KR101721682B1 (ko) 시설물 실시간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Ibrahimkhil et al. Enhanced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through Mobile Mapping and As-built Modeling
VARLIK et al. Generation and comparison of BIM models with CAD to BIM and scan to BIM techniques
JP7288769B2 (ja) 断熱材の厚さ管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Rada et al. Automation of monitoring construction works based on laser scanning from unmanned aerial vehicles
TWI639133B (zh) 使用點雲的室內地圖構建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