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297A -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297A
KR20140068297A KR1020120134214A KR20120134214A KR20140068297A KR 20140068297 A KR20140068297 A KR 20140068297A KR 1020120134214 A KR1020120134214 A KR 1020120134214A KR 20120134214 A KR20120134214 A KR 20120134214A KR 20140068297 A KR20140068297 A KR 20140068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information
inspection
orien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443B1 (ko
Inventor
박경훈
송재준
선종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2013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4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10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using solid primitives, e.g. cylinders, cub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현장에서 다차원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데 있어 관리하고자 하는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텍스트나 2차원 관리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회 및 입력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고, 유지관리단계에서 얻어지는 다차원적이며 객체지향형 자료의 연계, 통합을 통해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교량 네트워크의 정보를 분석, 공유 및 공개함으로써 교량구조물 관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량 네트워크 관리 체계의 고도화, 정보화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사회기반시설을 이용하고, 관리주체는 합리적이고 장기적인 관리전략의 수립과 비용효율적인 일관된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BRIDGE BASED ON MOBILE FIELD INSP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교량구조물을 관리하는 관리주체의 담당자가 전문적인 지식이나 숙달된 경험 없이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다차원의 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정보를 저장, 축적, 활용 및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량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조회하고, 현장조사를 통한 정보를 교량관리 시스템에 입력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경제발전과 더불어 수많은 인프라구조물(Infrastructures)이 건설되고 있으나, 공용중인 도로, 교량, 터널, 댐, 항만 등의 인프라구조물의 정보관리의 체계화와 선진화는 미흡한 실정이며, 또한,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현장정보의 입력 방식이 최신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관리자나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으로 구현되어 있지 못하며, 이로 인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시설물관리 시스템은 관리현장의 정보와 관리시스템의 정보가 효율적으로 연계 및 순환되지 않고 있으며, 단지 정보입력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제공 역할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정보입력 방식이 텍스트나 2차원적인 평면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입력의 용이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한편, 현재 건설분야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방법의 적용을 통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입체형 설계와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건설공사의 품질향상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정보관리는 계획, 설계 시공시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데 치중하고 있다. 계획, 설계, 시공 단계에서 BIM의 사용자 및 활용자는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엔지니어에 국한되어 있으며, 최종적으로 준공되어 공용중인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주체의 담당자가 이를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관리를 위한 생애주기관리(Life-Cycle Management) 기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관리현장(유지보수활동)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관리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교량의 유지보수활동을 관리시스템과 연계시키는 유지관리체계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보수활동(10)은 육안점검, 안전진단, 예산상정 및 공사수행 등 실제 교량의 관리 현장에서 수행되는 모든 활동을 포함하며, 다양한 관련 정보들이 발생되게 된다. 유지관리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들은 정보관리 시스템(21)에 입력되며, 입력된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분석 시스템(22)은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즉, 관리 시스템(20)은 이러한 정보관리 시스템(21) 및 정보분석 시스템(22)을 포함하며, 이때, 정보분석 시스템(22)은 성능예측, 비용추정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분석 시스템(22)을 통해 분석된 결과들은 어떠한 유지보수활동(10)을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초자룔 활용된다. 예를 들면, 유지관리활동 예산을 산정하거나, 어떤 교량에 대해서 안전진단이나 유지보수를 수행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유지보수활동(10)과 상기 관리시스템(20)간에 연계가 이루어지고 정보가 순환되어야 한다.
한편, 교량의 구조제원정보, 점검 및 진단 정보 등 유지관리활동(1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의 신뢰도가 정보분석의 신뢰도를 좌우한다. 그러나 교량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주체의 숙련되지 않은 비전문가의 점검결과에 대한 신뢰도는 낮은 상태이다. 따라서 교량 점검 담당자에게 다양한 유사 사례정보와 이력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판단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판단결과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체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내의 구조물들에서 발생되는 정보(Site Information)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기 위한 노력은 주로 정보를 수용하는 DB시스템의 개발에 치중되어왔으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한 정보의 입력방식에 대한 연구개발이 최근 진전되고 있다.
이때, 발생되는 정보의 처리 방법은 프로그램적인 관점에서 보면 순차적(Procedural), 구조적(Structured), 객체지향(Object-oriented)의 단계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때, 처리도구로는 텍스트 또는 2D 도면/사진 기반의 무선통신기기가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88288호에는 "캐드 도면에 형성된 객체 식별자를 시설물 식별자로 변환하는 방법과 그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은 캐드 도면에 형성된 객체 식별자를 전체 시설물에서 식별될 수 있는 시설물 식별자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변환된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설물을 도시한 복수의 캐드 도면 각각에서만 식별되는 객체 식별자를 시설물 식별자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 변환된 시설물 식별자와 시설물 관리정보를 연계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시설물 식별자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도면이 나타내는 기본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이 시설물 전체에 대한 각 캐드 도면의 객체 식별자를 조합하여 자동으로 시설물 식별자를 형성하여 시설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88288호에는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국토해양부에서 운영하는 건설 CALS내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인벤토리, 점검정보 등을 Web, 2D 기반으로 관리하고 있다.
한편, 기존 공용중인 인프라구조물의 정보관리 체계를 최신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보다 더 관리자와 사용자 중심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며, 현장정보의 신뢰도를 확보하여야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유지관리 체계 수립이 가능하다.
특히, 교량과 같이 다양한 부재들(예를 들면,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 등)과 재료들(예를 들면, 강재,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로 이루어져 있고, 통행 교통특성(예를 들면, 교통량, 차량종류 등)과 주변 환경(예를 들면, 하천, 산악, 해안, 홍수, 태풍, 지진 등)에 따라 열화 정도가 달라지는 구조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여타 인프라구조물보다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방법과 차별화된 인프라구조물의 위치, 도면, 사진, 상태, 비용 등 다차원의 정보 관리와 교량구조물의 주요 구성요소에 기반을 둔 객체지향 정보처리, 교량 네트워크 내 모든 구성요소 정보의 통합관리가 요구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44252호(출원일: 2010년 9월 14일), 발명의 명칭: "공간모델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88288호(출원일: 2004년 12월 10일), 발명의 명칭: "캐드 도면에 형성된 객체 식별자를 시설물 식별자로 변환하는 방법과 그 시설물 식별자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488313호(출원일: 2002년 9월 7일), 발명의 명칭: "교량 기술 축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4)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75213호(출원일: 2008년 4월 8일), 발명의 명칭: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토건정보 패키지 운영 시스템" 5)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27277호(출원일: 2007년 7월 27일), 발명의 명칭: "아이티 기반 교량 관리 시스템" 6)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606861호(출원일: 2004년 7월 16일), 발명의 명칭: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및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7)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56257호(출원일: 2010년 11월 30일), 발명의 명칭: "BIM 기반 스마트 BOM의 형상관리에 의한 전수명주기를 고려한 철도 건설사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8)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17232호(출원일: 2009년 11월 25일), 발명의 명칭: "속성-기반 BIM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9)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98383호(출원일: 2009년 12월 16일), 발명의 명칭: "BIM 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시설물 관리 장치 및 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장에서 다차원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데 있어 관리하고자 하는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텍스트나 2차원 관리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회 및 입력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이 실행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하는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 및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게 점검교량에 대한 DB 파일을 제공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가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교량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GIS 기반의 점검교량 위치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ABI)을 실행하여 해당 점검교량을 선택하면 해당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해당 점검교량의 3D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3D 부재를 매개로 하여 관련정보 조회 및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상기 교량관리 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하는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 상기 점검교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지도상에 표시하고, 현장 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수정하는 GIS/GPS 모듈;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획득하는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 및 교량의 제원을 비교하여 수정하고,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며, 상기 점검교량의 부재별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하는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 및 교량점검 매뉴얼 조회를 위한 개방형 전자매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3D 모델링이 생성되고, 각각의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점검교량의 경간, 길이 및 폭에 맞는 3D 모델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매우 좋은 경우부터 매우 안 좋은 경우까지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하고,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3차원 축소, 확대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각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GIS/GPS 모듈은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량 점검자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교량 점검자가 점검교량을 확인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현장조사 결과 및 이력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의 변화 이력 조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3차원 객체는 교량의 외형에 대해 해당 교량의 부재별로 형성되고, 각 부재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교량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각각의 부재들이 교량정보의 연계 고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현장조사 결과는 상태등급, 손상정보 및 사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정형화된 현장조사 결과 보고서 형태로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상기 교량의 경간이 다수인 경우, GI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경간 위치를 파악하고, 점검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경간의 점검결과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스마트폰, PDA, 노트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교량관리 서버는, 상기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의 교량정보 조회 및 수정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교량관리 제어부; 및 교량 기본정보 DB, 현장조사결과 DB 및 상태등급/위치정보 DB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DB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정된 교량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D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은, a)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관리 서버로부터 DB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b)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c)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검색하고, GIS/GPS-기반 교량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선택하고,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별로 교량 3D 모델링을 조회하는 단계; e)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3D 부재 및 경간을 선택하는 단계; f)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현장조사를 수행하는 단계; g)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각 부재별 상태등급을 평가하고, 관련 사진 및 도면을 검색하는 단계; h)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 기본제원, 상세제원, 경간/지점 제원을 수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사진정보를 조회하고, 현장 사진을 촬영하고, 사진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는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교량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은, j) 상기 교량관리 서버의 DB에 상기 교량 위치정보, 상기 교량 기본 제원, 경간/지점 제원, 사진정보 및 사진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다차원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데 있어 관리하고자 하는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텍스트나 2차원 관리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회 및 입력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관리단계에서 얻어지는 다차원적이며 객체지향형 자료의 연계, 통합을 통해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교량 네트워크의 정보를 분석, 공유 및 공개함으로써 교량구조물 관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네트워크 관리 체계의 고도화, 정보화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사회기반시설을 이용하고, 관리주체는 합리적이고 장기적인 관리전략의 수립과 비용효율적인 일관된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교량의 유지보수활동을 관리시스템과 연계시키는 유지관리체계를 예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이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스마트 관리체계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별로 객체화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 현장조사 시스템이 GIS-기반의 스마트폰 상에 구현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가 단면치수에 따라 자동 모델링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나타내는 색깔로 표현되어 직관적으로 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해당 객체와 연결되어 서버에 저장된 관련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점검자가 다양한 부재를 점검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현장조사결과 보고서가 자동 작성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크게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 및 교량관리 서버(200)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부재별 정보입력 및 부재별 정보조회가 가능하다. 이때, 부재별 정보는 교량관리 시스템인 교량관리 서버(200)의 서버 DB로부터 받아오는 정보를 조회하는 "조회정보"와 현장조사를 수행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흐름은 모두 3D 모델화된 교량 부재(객체)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부재별 정보입력은 해당 교량, 해당 부재의 현장조사결과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하고, 손상 상태, 사진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부재별 정보조회는 해당 교량, 해당 부재의 제원, 상태등급, 점검이력 등을 조회할 수 있어야 하고,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수준의 정보조회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유사 교량들의 상태등급, 손상 현황 등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 및 교량관리 서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무선통신 모듈(110),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120), GIS/GPS 모듈(130),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140),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 개방형 전자매뉴얼(160) 및 사용자 DB(170)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는 교량관리 프로그램(210), 교량관리 제어부(220) 및 서버 DB(230)를 포함한다.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교량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로 연계되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이 실행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한다. 이때,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GIS 기반의 점검교량 위치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ABI)을 실행하여 해당 점검교량을 선택하면 해당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해당 점검교량의 3D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3D 부재를 매개로 하여 관련정보 조회 및 입력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스마트폰, PDA, 노트북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교량관리 서버(200)는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는 교량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에게 점검교량에 대한 DB 파일을 제공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가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의 무선통신 모듈(110)은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무선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일 수 있다.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120)은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한다. 여기서,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3D 모델링이 생성되고, 각각의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점검교량의 경간, 길이 및 폭에 맞는 3D 모델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점검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매우 좋은 경우부터 매우 안 좋은 경우까지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하고,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3차원 축소, 확대 및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점검교량의 상태등급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각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정될 수 있다.
GIS/GPS 모듈(130)은 상기 점검교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지도상에 표시하고, 현장 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IS/GPS 모듈(130)은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량 점검자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교량 점검자가 점검교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140)은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140)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은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 및 교량의 제원을 비교하여 수정하고,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며, 상기 점검교량의 부재별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은, 현장조사 결과 및 이력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의 변화 이력 조회가 가능하다. 여기서, 객체란 일반적으로 말하는 물건을 가리키며, 이러한 물건은 단순한 데이터가 아니고 그 데이터의 조작 방법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어 그것을 대상으로서 다루는 방법이 객체 지향(Object-oriented)이다. 이때, 상기 3차원 객체는 교량의 외형에 대해 해당 교량의 부재별로 형성되고, 각 부재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교량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각각의 부재들이 교량정보의 연계 고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현장조사 결과는 상태등급, 손상정보 및 사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정형화된 현장조사 결과 보고서 형태로 자동으로 작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은, 상기 교량의 경간이 다수인 경우, GI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경간 위치를 파악하고, 점검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경간의 점검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개방형 전자매뉴얼(160)은 교량점검 매뉴얼 조회를 위한 전자매뉴얼로서, 이때, 개방형(Open type)이란 네트워크 외부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사람의 출입이 있는 형태를 말하며, 개방형 전자매뉴얼은 다른 기종의 컴퓨터 시스템을 가지고 있거나 상호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보유하는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데이터 양식, 문법, 통신 프로토콜을 가지는 당사자 간의 자동적인 정보 교환을 지원해준다.
사용자 DB(170)는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점검교량에 대한 DB 파일을 저장하거나, 상기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140)에 의해 획득된 정보,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150)에 의해 조회 또는 입력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의 교량관리 제어부(220)는 상기 교량관리 프로그램(210)에 따라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의 교량정보 조회 및 수정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한다.
상기 교량관리 서버(200)의 서버 DB(230)는 교량 기본정보 DB(231), 현장조사결과 DB(232) 및 상태등급/위치정보 DB(233)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되는 DB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수정된 교량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 DB(230)는, 교량 기본정보 DB(231), 현장조사결과 DB(232) 및 상태등급/위치정보 DB(233)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현장에서 다차원의 다양한 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데 있어 관리하고자 하는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기존의 텍스트나 2차원 관리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조회 및 입력 등의 관리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지관리단계에서 얻어지는 다차원적이며 객체지향형 자료의 연계, 통합을 통해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교량 네트워크의 정보를 분석, 공유 및 공개함으로써 교량구조물 관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량 네트워크 관리 체계의 고도화, 정보화를 통해 보다 안전하게 사회기반시설을 이용하고, 관리주체는 합리적이고 장기적인 관리전략의 수립과 비용효율적인 일관된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Multi-dimensional and Object-oriented Data Management System; MODMS)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at00001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이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스마트 관리체계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교량위치 조회 및 수정, 즉, 모바일기기인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나타나는 점검교량의 위치와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위치를 비교하여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교량제원 조회 및 수정, 즉, 기존에 입력되어 있는 교량의 제원을 조회하여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제원과 비교하여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교량상태 점검, 즉, 점검교량 부재의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교량 사진/도면 등 관련정보 조회 및 등록, 즉,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도면 등의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점검 매뉴얼 조회, 즉, 현장점검시 교량정보에 대한 기입방법을 조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에서 점검된 현장정보가 교량관리 서버(200)의 서버 DB(230)와 연계됨으로써 통합 DB를 구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프라구조 네트워크의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은, 먼저,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관리 서버로부터 DB 파일을 다운로드받는다(S110).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20).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버전의 애플리케이션 및 DB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S121), 이때, 소정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없고, D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낮은 버전이고 DB가 없는지 확인하여(S122), DB가 없는 경우, DB를 생성하고(S123), 낮은 버전인 경우, 다운로드 사이트에 접속하여(S124),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설치한다(S125). 이때, 소정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있고, DB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거치며(S126),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다. 이후,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 따라 자료갱신 여부를 판단하여(S127), 자료갱신이 필요한 경우 자료갱신을 수행하며(S128), 이때, 교량관리 서버(200)로부터 세부적인 해당 교량 관련 추가자료를 다운로드받거나, 상기 초기에 다운로드받은 DB만으로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교량 검색 및 GIS/GPS 기반 위치 확인을 수행한다(S130). 구체적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교량을 검색하며(S131), 이때 교량의 검색은 교량목록 검색(S132)이나 지도 검색(S133)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GIS/GPS-기반 교량 위치정보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교량 위치 보기 및 내위치 보기를 수행하여(S134), 해당 교량을 선택하여 교량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S135).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위치의 수정(S133)이 이루어지면 교량관리 서버DB에 수정사항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선택하고,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별로 교량 3D 모델링을 조회한다(S140). 즉,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는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교량정보를 조회 및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3D 경간 및 부재를 선택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현장조사 수행(S160), 제원 조회 및 수정(S180), 사진 조회 및 촬영(S190)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조사 수행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재별 상태등급 평가 및 관련 사진과 도면 검색이 수행된다(S170). 구체적으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각 부재별 상태등급을 평가하고(S171), 관련 사진 및 도면을 검색할 수 있다(S172).
또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해당 경간의 부재별로 기본 제원, 상세 제원, 경간별 제원, 지점별 제원을 조회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S180).
또한,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100)가 사용자 DB에 있는 현장 사진을 조회하거나 촬영하고, 사진정보 및 사진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190).
이때, 상기 단계(S160~S190)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자매뉴얼 보기(S151)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현장조사, 제원수정, 사진촬영, 위치수정 된 내용들은 교량관리 서버의 DB에 저장한다(S200).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별로 객체화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7의 a) 내지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별로 객체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의 "대표부재"로 구분되고, 이러한 각 구성부재를 객체화하여 정보연계의 고리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 현장조사 시스템이 GIS-기반의 스마트폰 상에 구현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100) 상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S 기반의 스마트폰은 점검교량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ABI)을 실행한 점검자의 현재 위치(내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점검자가 점검교량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가 단면치수에 따라 자동 모델링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S 기반의 교량 위치정보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점검 대상 교량에 근접하여 MABI를 실행하면 해당 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교량의 3D 모델이 형성된다.
이때,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치수에 따라 자동 모델링 생성, 각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교량의 기본적인 구성(경간, 길이, 폭 등)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을 매우 좋은 경우부터 매우 안 좋은 경우까지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함으로써, 직관적으로 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3차원 축소, 확대, 회전 등이 가능하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나타내는 색깔로 표현되어 직관적으로 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나타내는 색깔로 표현되어 직관적으로 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3차원 축소, 확대, 회전 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전 현장조사의 결과, 이력 등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 변화 이력 등의 조회가 가능하고, 이전 조사에서 문제가 있었거나 주의가 필요한 부재에는 태그가 붙어 있어 현장 조사시 주의 깊게 조사하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해당 객체와 연결되어 서버에 저장된 관련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교량 관리자가 현장에서의 정보조회와 조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의 설계나 BIM과 같이 상세한 정보(철근배근, 철근간격, 상세부재의 정확한 치수 등)는 요구되지 않으며,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객체와 연결되어 서버에 저장된 관련 정보(도면정보 등)를 조회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개별 객체는 외부 형상에 있어서 해당 점검교량의 부재별로 형성되고, 부재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점검교량의 전체적인 형상을 만들게 되며, 각 부재는 정보의 연계 고리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조사를 수행하면서 점검과 관련된 기준(상태등급 판단 기준 등)의 조회가 가능하며, 손상이 관찰되었을 때 유사 손상 사례 및 그때의 판정 결과 등의 조회가 가능하여 고도의 전문지식을 보유하지 않은 점검자도 손쉽게 판단이 가능하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점검자가 다양한 부재를 점검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한다.
이때,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은 연장이 길고, 교각으로 인해 경간이 여러 개로 구분되어 있어 실제 현장조사를 하다보면 현재의 경간 정보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GI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므로 점검자가 위치한 경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경간의 점검결과를 입력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부재를 점검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재별 점검결과는 해당 부재를 3D로 표현하고 있는 객체를 선택하여 해당 상태등급을 입력할 수 있고, 해당부재를 선택하면 선택할 수 있는 상태등급의 경우와 손상 케이스 등이 사전에 모두 시각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단순 터치에 의해 선택하기만 하면 된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객체를 일일이 선택하여 해당 부재의 상태등급을 입력하는 것은 구성부재가 많을 경우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기본적으로 바로 이전의 점검에 의한 상태등급이 디폴트(Default)로 정의되어 있고, 이번 점검에서는 지난번 점검과 다른 등급을 적용하거나, 문제가 있는 부재만을 선택하면 된다.
이때, 전체적인 결과는 경간별로 대표부재의 상태등급을 2D로 표현하여 보여주며, 개별 교량의 대표 상태등급은 부재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 산정하여 보여줄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현장조사결과 보고서가 자동 작성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등급, 손상정보, 사진정보 등의 현장조사 결과가 실시간으로 교량관리 서버(200)에 저장되고, 이때, 정형화된 보고서 형태로 자동 작성되어, 현장 점검자는 현장조사만을 수행하면 별도의 내업 없이 조사 결과가 정리된 보고서를 사무실로 돌아와 출력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관리자 입장에서는 현장 점검자가 실제 현장에서 충실히 조사를 수행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점검업무를 외주 발주하여 관리하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교량관리 시스템 등 각종 시설물정보 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정보처리(현장 입력 및 조회)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교량, 터널 등 각종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관리주체의 관리데이터 정보관리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전국 규모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정보관리체계 구축의 기본 모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프라구조 네트워크 관리정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일관성 및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현장조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현장정보 수집의 시간적, 공간적, 질적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량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교량 네트워크의 관리수준을 향상시키며,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교량을 관리하는 단위 관리주체별 별도의 DB 구축 없이 중앙 DB를 활용함으로써, 국가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휴대용 사용자 단말)
200: 교량관리 서버(교량관리 시스템)
110: 무선통신 모듈
120: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
130: GIS/GPS 모듈
140: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
150: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
160: 개방형 전자매뉴얼
170: 사용자 DB
210: 교량관리 프로그램
220: 교량관리 제어부
230: 서버 DB
231: 교량 기본정보 DB
232: 현장조사결과 DB
233: 상태등급/위치정보 DB

Claims (19)

  1.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 for Bridge Inspection: MABI)이 실행되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하는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 및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운영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게 점검교량에 대한 DB 파일을 제공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가 점검교량의 정보를 조회 또는 입력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교량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GIS 기반의 점검교량 위치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ABI)을 실행하여 해당 점검교량을 선택하면 해당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해당 점검교량의 3D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3D 부재를 매개로 하여 관련정보 조회 및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상기 교량관리 서버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하는 3D 모델링 시각정보 모듈;
    상기 점검교량의 현재위치를 파악하여 지도상에 표시하고, 현장 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를 비교하여 수정하는 GIS/GPS 모듈;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획득하는 사진도면정보 획득모듈;
    현장점검을 통해 점검교량의 실제 위치 및 교량의 제원을 비교하여 수정하고, 상기 점검교량의 전경 및 경간별, 부재별 사진과 도면 관련정보를 조회 및 등록하며, 상기 점검교량의 부재별 상태를 점검하여 현재 상태등급 및 상태설명을 등록하는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 및
    교량점검 매뉴얼 조회를 위한 개방형 전자매뉴얼
    을 포함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3D 모델링이 생성되고, 각각의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점검교량의 경간, 길이 및 폭에 맞는 3D 모델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매우 좋은 경우부터 매우 안 좋은 경우까지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하고,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3차원 축소, 확대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점검교량의 대표상태등급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각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IS/GPS 모듈은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교량 점검자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여 상기 교량 점검자가 점검교량을 확인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현장조사 결과 및 이력을 조회하기 위하여 3차원 객체를 선택하면, 해당 대표부재의 제원, 관련 사진, 도면, 상태등급의 변화 이력 조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객체는 교량의 외형에 대해 해당 교량의 부재별로 형성되고, 각 부재들의 조합을 통해 하나의 교량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각각의 부재들이 교량정보의 연계 고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조사 결과는 상태등급, 손상정보 및 사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정형화된 현장조사 결과 보고서 형태로 자동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현장조사 모듈은, 상기 교량의 경간이 다수인 경우, GIS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경간 위치를 파악하고, 점검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경간의 점검결과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로서, 스마트폰, PDA, 노트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관리 서버는,
    상기 교량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의 교량정보 조회 및 수정에 대응하여 실시간 처리하는 교량관리 제어부; 및
    교량 기본정보 DB, 현장조사결과 DB 및 상태등급/위치정보 DB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DB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정된 교량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DB
    를 포함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13. a)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관리 서버로부터 DB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단계;
    b)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c)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검색하고, GIS/GPS-기반 교량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을 선택하고,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별로 교량 3D 모델링을 조회하는 단계;
    e)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3D 부재 및 경간을 선택하는 단계;
    f)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현장조사를 수행하는 단계;
    g)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각 부재별 상태등급을 평가하고, 관련 사진 및 도면을 검색하는 단계;
    h)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교량 기본제원, 상세제원, 경간/지점 제원을 수정하는 단계; 및
    i)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가 사진정보를 조회하고, 현장 사진을 촬영하고, 사진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교량 현장관리 클라이언트는 현장에서 교량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부재의 3차원 객체를 활용하여 교량정보를 조회 및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j) 상기 교량관리 서버의 DB에 상기 교량 위치정보, 상기 교량 기본 제원, 경간/지점 제원, 사진정보 및 사진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교량부재를 교면포장, 바닥판, 주형, 2차부재, 교대/교각, 기초, 난간/연석, 배수시설, 신축이음, 교량받침으로 구분되는 대표부재별로 객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현장조사 클라이언트는, GIS 기반의 점검교량 위치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MABI)을 실행하여 해당 점검교량을 선택하면 해당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3D 부재의 조합을 통해 해당 점검교량의 3D 모델을 형성하고, 상기 3D 부재를 매개로 하여 관련정보 조회 및 입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는 단면 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3D 모델링이 생성되고, 각각의 대표부재의 조합을 통해 개별 점검교량의 경간, 길이 및 폭에 맞는 3D 모델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대표부재들은 점검교량의 상태등급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부재의 상태등급을 매우 좋은 경우부터 매우 안 좋은 경우까지 5단계로 구분하여 색깔로 표현하고, 원하는 부재만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3차원 축소, 확대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교량의 상태등급은 각 부재의 상태등급에 기초하여 각 부재별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방법.
KR20120134214A 2012-11-26 2012-11-26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6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4214A KR101486443B1 (ko) 2012-11-26 2012-11-26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4214A KR101486443B1 (ko) 2012-11-26 2012-11-26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297A true KR20140068297A (ko) 2014-06-09
KR101486443B1 KR101486443B1 (ko) 2015-01-26

Family

ID=5112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34214A KR101486443B1 (ko) 2012-11-26 2012-11-26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4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56A1 (ko) * 2016-01-04 2017-07-13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WO2018043791A1 (ko) * 2016-08-31 2018-03-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설비의 품질 등급 기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장치
KR101887095B1 (ko) * 2017-11-22 2018-08-09 정현호 건축물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04016B1 (ko) * 2020-07-23 2021-01-18 (주)에이톰엔지니어링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0224B1 (ko) * 2020-07-31 2021-06-29 주식회사 차후 시설물 속성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7544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코매퍼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KR20220125982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3d 디지털 트윈 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552B1 (ko) 2018-05-08 2020-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도기반 공간상태정보의 수집 및 가시화방법
KR102669058B1 (ko) 2021-05-06 2024-05-24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휴대기기를 활용한 시설물 안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392A (ko) * 2001-11-12 2003-05-22 주식회사 쓰리지소프트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3디로 제작된 건설/건축물제공방법과 그 관리시스템
KR100919230B1 (ko) * 2007-07-18 2009-09-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용통신망과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교량세굴 현장조사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56A1 (ko) * 2016-01-04 2017-07-13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WO2018043791A1 (ko) * 2016-08-31 2018-03-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설비의 품질 등급 기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장치
KR101887095B1 (ko) * 2017-11-22 2018-08-09 정현호 건축물 안전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04016B1 (ko) * 2020-07-23 2021-01-18 (주)에이톰엔지니어링 3차원 기반의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70224B1 (ko) * 2020-07-31 2021-06-29 주식회사 차후 시설물 속성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7544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코매퍼 3차원 모델을 통한 안전진단 플랫폼 및 그 방법
KR20220125982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3d 디지털 트윈 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443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443B1 (ko) 모바일 현장조사-기반의 다차원 객체지향형 교량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Braun et al. Improving progress monitoring by fusing point clouds, semantic data and computer vision
Turkan et al. Toward automated earned value tracking using 3D imaging tools
Isikdag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applicability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s in geospatial environment in support of site selection and fire response management processes
KR100866830B1 (ko)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leman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 early look at opportunities and constraints
KR101766658B1 (ko)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Bansal Use of GIS to consider spatial aspects in construction planning process
Prandi et al. Using CityGML to deploy smart-city services for urban ecosystems
Jeddoub et al. Digital Twins for cities: Analyzing the gap between concepts and current implementations with a specific focus on data integration
Omrany et al. The uptake of City Information Modelling (CIM):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implementations, challenges and future outlook
Lafioune et al. Towards the creation of a searchable 3D smart city model
WO2012162736A1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Liu et al.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and sensor technology: a review of current developments and future outlooks
US202201217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comparing geo-spatially aligned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ime
CN116305498B (zh) 隧道数字孪生建模指标判断网络模型构建方法、分析方法
Mair et al. The application of a Web-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modelling
Knezevic et al. Managing urban digital twins with an extended catalog service
Kubota et al. Data model–centered four-dimens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road maintenance
KR20180082648A (ko) 지하수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Liu et al. Semi-automated processing and routing within indoor structures for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s
CN114090147A (zh) 一种基于地理信息平台的数据处理方法
Liu et al. Study on digital twin technologies for watershed information modeling (WI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bibliometric analysis
Talipova et al. Perspectives of interactions CAD and GIS systems
Zander et al.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with the river basin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