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830B1 -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830B1
KR100866830B1 KR1020080012408A KR20080012408A KR100866830B1 KR 100866830 B1 KR100866830 B1 KR 100866830B1 KR 1020080012408 A KR1020080012408 A KR 1020080012408A KR 20080012408 A KR20080012408 A KR 20080012408A KR 100866830 B1 KR100866830 B1 KR 10086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river
databas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희
조윤원
김형섭
신동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 지오씨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오씨엔아이 filed Critical (주) 지오씨엔아이
Priority to KR102008001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시설물 정보, 인허가 정보, 재해 정보 등의 하천 정보를 고해상의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GIS 기술과 접목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하천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은, 지리적 위치 및 좌표 정보와 이에 매칭되는 지도 이미지, 행정구역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 하천의 명칭, 분류, 위치 및 하천 시설물의 명칭, 종류, 위치, 지형, 특징적 세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명칭, 이미지,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측정되는 물리량, 공사 진행 현황,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포함하는 이미지, 텍스트 및 수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는 세부 데이터베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100); PC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와 연동되어 정보의 입력, 수정, 검색 및 조회를 수행하는 관리수단(300);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들(110~140)의 정보들을 서로 매칭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을 표시 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수단(300)으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연산 및 가공을 수행하여 상기 관리수단(300)으로 전달하는 제어수단(2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천, 고해상 항공영상, 3차원화, GIS, 공간정보기술, Video GIS

Description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iver using 3D based Moving Picture}
본 발명은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시설물 정보, 인허가 정보, 재해 정보 등의 하천 정보를 고해상의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GIS 기술과 접목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하천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천에는 교량, 배수문, 제방 등의 다양한 하천 시설물들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하천 시설물들의 수리, 보수, 오작동 여부 등을 수시로 확인하기 위하여 국가적 사업으로서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관리가 수행되고 있다.
종래의 하천 관리 방법은, 관리 실무자가 해당 하천 시설물을 방문하여 다양한 점검 사항들을 점검하고 수작업으로 문서를 작성하며, 이와 같이 작성된 문서를 문서 관리 담당자가 접수하여 분류 및 정리하여 보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런데, 이와 같이 문서 및 수작업으로 관리가 진행됨에 따라 문서의 검색이나 조회가 매우 어렵고, 원본의 분실 등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실무자가 일일이 하천 시설물을 방문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동 과정에 드는 시간의 낭비나 다양한 하천 시설물들을 동시에 관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문제점이 산재해 있다는 점이 꾸준히 지적되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산화된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에도, 단지 문서를 전산화하여 종래의 관리 담당자의 작업량 및 작업 시간을 줄인다는 소기의 효과를 거두었을 뿐, 실무자 입장에서의 문제점들은 전혀 개선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문서 기반 하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 사실성, 현실성, 가독성 등이 떨어져 활용성이 매우 저하되어 있어, 정보화를 통한 활용에 역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천 시설물 등의 수자원 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종래에 개시되어 왔다. 한국특허등록 제0501025호("수자원 관리를 위한 중앙 감시 제어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1)에서는, 원수의 취수 및 취수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분할지국, 하나 이상의 분할지국으로부터 원수의 제어 상황을 수집, 관리 및 제어하는 중계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국으로부터 원수의 제어상황을 수집, 관리, 감시 및 총괄 제어하는 중앙 제어 감시상황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원격에서 수자원의 취수 및 송수와 저수 및 관리 및 감시와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0541930호("지리정보 시스템 (지아이에스) 을 기반으 로 하는 수문모델링 방법", 이하 선행기술2)에서는, 유역관리를 위한 GIS 기반의 수문모델링을 통해 유역관련 수자원 관리 및 수질 보존에 기여하며, 또한 모델실행을 위한 과정과 모델실행의 결과 확인에 있어 보다 간단하고 체계적인 유역관리를 위한 수문모델링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선행기술2는, 일별 물수지, 월별 물수지, 연별 물수지를 사용하여 관계필요수량 및 일별 유역 물수지결과를 산출한 다음, 그 결과를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하천 네트워크를 모델링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1은 단지 원수의 취수 및 취수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교량, 배수문, 제방 등의 다양한 하천 시설물들 중 단지 취수장밖에는 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1에 의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선행기술2 역시 단지 각 유역의 수량을 관리하는 것일 뿐, 하천 시설물을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은 전혀 제공하지 않는 바,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하천 시설물 관리의 문제점을 전혀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기, 헬리콥터 등에 의해 촬영된 고해상 영상 및 국가성과심사를 통해 공증된 1:1000 수치지도를 활용한 하천수치표고모델(River Digital Elevation Model, RDEM)을 제작하여 각종 하천관련정보를 GIS 데이터와 연계함으로써, 특정 지역을 선택하면 해당 하천의 정보다 고해상 영상을 기반으로 문자 또는 이미지로 표현되게 해 주며, 또한 특정 위치에 대하여 비디오 GIS, 시계열 지형분석 등의 공간정보기술을 통한 하천관리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해 주고, 또한 범람 시뮬레이션을 통한 재해 방재 및 예방 대책을 수립할 수 있게 해 주어, 궁극적으로 효율적인 하천 관리가 가능하게 해 주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은, 지리적 위치 및 좌표 정보와 이에 매칭되는 지도 이미지, 행정구역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 하천의 명칭, 분류, 위치 및 하천 시설물의 명칭, 종류, 위치, 지형, 특징적 세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명칭, 이미지,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측정되는 물리량, 공사 진행 현황,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포함하는 이미지, 텍스트 및 수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는 세부 데이터베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100); PC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와 연동되어 정보의 입력, 수정, 검색 및 조회를 수행하는 관리수단(300);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들(110~140)의 정보들을 서로 매칭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을 표시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수단(300)으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연산 및 가공을 수행하여 상기 관리수단(300)으로 전달하는 제어수단(2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PDA, UMPC를 포함하는 연산처리 및 이동통신수단으로 구현되며, 유,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 및 상기 제어수단(200)과 유,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하천 또는 하천시설물의 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으로부터 관리정보에 따른 지시사항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GPS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위치가 추적되는 이동통신수단(40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와 연결되어, 2차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3차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캠코더 및 GPS를 구비하여, 특정 위치의 좌표, 상기 좌표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이 촬영된 시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영상정보 입력수단(50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특징적 세부 위치는 배수문, 표석, 횡단측점 또는 하천 주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건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하천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하천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하천의 명칭, 분류, 위치 및 하천 시설물의 명칭, 종류, 위치, 지형, 특징적 세부 위치를 포함하는 하천정보,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명칭, 이미지,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측정되는 물리량, 공사 진행 현황,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포함하는 이미지, 텍스트 및 수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관리정보 및 특정 위치의 좌표, 상기 좌표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이 촬영된 시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 및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와 연계하여 좌표를 기준으로 서로 매칭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S100); b) 상기 관리수 단(300)에 의하여, 상기 관리수단(300)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해 하천 정보 관련 메뉴 선택 및 조회 요청 지역의 좌표 입력이 이루어지는 메뉴 및 좌표 입력 단계(S200); c)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메뉴 및 입력된 좌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110~140)로부터 해당 정보가 선택, 추출 및 매칭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을 표시한 이미지가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연산 및 가공이 수행된 결과가 상기 관리수단(300)으로 전달되어 상기 관리수단(300)에 구비된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정보 표시 단계(S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상기 하천 정보 관련 메뉴는 하천정보, 관리정보 또는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하천정보의 세부 분류, 관리정보의 세부 분류 또는 영상정보의 세부 분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조회 요청 지역의 좌표는 텍스트 또는 수치가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별도로 출력되는 지도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인덱스맵이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광역으로부터 세부 협역까지 단계적으로 선택됨으로써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관리정보 중 공사 진행 현황 및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표현함에 있어서, 진행 중 또는 진행된 공사구간 은 구분가능한 색 또는 선으로 구분되게 표현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관리정보 중 공사 진행 현황 및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표현함에 있어서, 공사 현장의 변경된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변경 전후 상태를 표시하는 텍스트 정보로서 표현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변경사항을 표시한 별도의 지도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공사 현장에 해당하는 좌표의 공사 현장의 사진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진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하천정보 중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또는 측정되는 물리량을 포함하는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표현함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유지보수 이력정보 검색창을 통해 텍스트를 직접 입력받아 해당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목록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유지보수 이력정보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로서 별도 창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생성 출력된 지도 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텍스트 및 수치 정보를 가공하여 그래프 이미지 정보를 생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관리정보 중 운용 중, 공사 진행 중 또는 공사 관련 인허가 진행 중인 하천 시설물 명칭에 대하여 개별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하천 등고선 및 표고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형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3차원 지형을 실제 영상에 중첩함으로써 3차원적으로 하천 지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공사 진행 중 또는 공사 관련 인허가 진행 중인 하천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시계열별로 획득된 영상정보를 공사 전후로 분류하여, 2분할된 화면에 공사 전과 공사 후의 영상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출력된 공사 전 영상 및 공사 후 영상을 서로 연계하여, 일측 영상에 대해 이동, 확대 또는 축소를 포함하는 제어가 수행될 경우 타측 영상에 대해 동일한 제어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생성한 3차원 지도의 하천 지형을 기반으로 하천 수위를 소정 간격으로 단계적 증감한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하천 범람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GPS, 비디오 GIS, 가상 GIS, 3차원 지형 제작 등의 최신 공간정보기술을 접목하고 항공 촬영에 의한 고해상 영상을 참조하여 실제와 유사한 가상 환경을 시스템 상에 구현하고 이를 사용하여 하천을 관리함으로써, 실무자가 직접 현장을 가지 않아도 하천 현장의 생생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실무자가 하천 관리를 위해 넓은 지역을 이동할 필요성을 크게 줄여 하천 관리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수작업 및 문서를 통해 이루어지던 하천 관리를 전산화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되어, 하천 관리가 훨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의 가독성, 활용성, 현실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큰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관리수단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기반 3차원 하천 관리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베이스(100), 제어수단(200) 및 관리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는 세부 데이터베이스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GIS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적 위치 및 좌표 정보와 이에 매칭되는 지도 이미지, 행정구역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며, 따라서 상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도 1(B) 10) 또는 3차원(도 1(B) 1)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는 하천의 명칭, 분류, 위치 및 하천 시설물의 명칭, 종류, 위치, 지형, 특징적 세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의 위치는 상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좌표와 매칭되게 된다. 특히, 상기 특징적 세부 위치란 예를 들면 배수문, 표석, 횡단측점, 하천 주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건물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의하여 생성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상에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각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관리정보, 즉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명칭, 이미지,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측정되는 물리량, 공사 진행 현황,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포함하는 이미지, 텍스트 및 수치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정보는,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현된 지도상에 표시된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을 선택함으로써 조회할 수도 있고, 또는 검색을 통해 조회할 수도 있다. 관리정보는 물론 이미지, 텍스트 및 수치 정보로서 표현될 수도 있고, 그래프 등의 형태로 더 가공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는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의 영상이 저장되며, 이러한 영상 정보는 역시 관리정보의 조회와 마찬가지로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표현된 지도상에 표시된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을 선택함으로써 조회할 수도 있고, 또는 검색을 통해 조회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수단(3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와 연동되어 정보의 입력, 수정, 검색 및 조회를 수행하는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PC 등과 같은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된다. 물론 당연히 상기 관리수단(300)은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및 모니터, 프린터 등을 포함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들(110~140)의 정보들을 서로 매칭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을 표시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수단(300)으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연산 및 가공을 수행하여 상기 관리수단(300)으로 전달한다. 상기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들(110~140)의 정보 매칭은, 예를 들어 상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좌표와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위치를 매칭하고,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명칭과 상기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의 관리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의 영상정보를 매칭하는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서버 컴퓨터 등과 같은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또는 상기 관리수단(30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3차원 하천 관리 시스템은 또한, 유ㆍ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 및 상기 제어수단(200)과 유ㆍ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이동통신수단(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통신수단(400)은, 작업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실시간으로 관리정보를 입력하기 간편하도록, PDA, UMPC를 포함하는 연산처리 및 이동통신수단으로 구현된다. 상기 이동통신수단(400)은, 하천 또는 하천시설물의 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으로부터 관리정보에 따른 지시사항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음으로써, 관리정보의 업데이트, 조회 및 지시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통신수단(400)은 GPS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위치가 추적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현재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는, 작업자 본인이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어떤 작업을 위해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 작업 대상인 하천시설물 등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또한 작업자의 위치가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실시간 모니터링됨으로써 중앙관리자가 작업자에게 이동을 지시하거나 현 위치에서 작업할 것을 지시하는 등 보다 정확한 업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줄 수도 있다. 더불 어 이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수단(400)의 위치가 자동으로 파악됨으로써, 작업자 입장에서는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입력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을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3차원 하천 관리 시스템은 또한,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와 연결되어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영상정보 입력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정보 입력수단(50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정보의 출력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영상정보 입력수단(500)은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물론 디지털카메라 및 캠코더를 구비하고 또한 GPS를 함께 구비하여, 단지 이미지 및 동영상 뿐만이 아니라, 특정 위치의 좌표, 상기 좌표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이 촬영된 시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영상정보 입력수단(500)에 포함되는 디지털카메라는 평면적, 즉 2차원적인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영상정보 입력수단(500)에 포함되는 캠코더는 촬영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입면적, 즉 3차원적인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영상정보 입력수단(500)에 포함되는 GPS는 상기 디지털카메라의 2차원 영상정보, 상기 캠코더의 3차원 영상정보 및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의 정보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촬영된 시간과 정확한 위치 좌표를 획득한다.
상기 영상정보 입력수단(500)에 의해 획득된 영상정보는 또한 변동 모니터링 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무 사용자들이 현장으로 직접 가지 않고도 하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기반 자료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관리수단에 출력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가 한눈에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3차원 지도가 표시되는 1) 맵 뷰어 및 2차원 지도가 표시되는 10) 인덱스 맵을 통해, (2차원적인) 지리적 위치와 (3차원적인) 실제 현장의 모습을 서로 대응시켜 동시에 참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한 영상기반 3차원 하천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한 본 발명의 3차원 하천 관리 방법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S100), 메뉴 및 좌표 입력 단계(S200) 및 정보 표시 단계(S300)로 나뉜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하천 관리 방법의 작동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S100)는 다양한 정보 획득 수단을 통해 수집된 정보가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들의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110, 120, 130, 140)들로 분류되고 좌표를 기준으로 서로 매칭되어 저장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정보 획득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수단(300), 상기 이동통신수단(400) 또는 상기 영상정보 입력수단(5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 계(S10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실제로 운용되기 전에 완료될 수도 있으나, 물론 상기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S100)는 정보 획득 수단으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업데이트됨으로써 시스템 운용 중에도 일어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하천정보, 관리정보 및 영상정보를 구분하여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120, 130, 140)들에 저장한다.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하천의 명칭ㆍ분류ㆍ위치 및 하천 시설물의 명칭ㆍ종류ㆍ위치ㆍ특징적 세부 위치를 포함하는 하천정보,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명칭ㆍ이미지ㆍ점검 작업 종류ㆍ점검 일자ㆍ점검 내용ㆍ측정되는 물리량ㆍ공사 진행 현황ㆍ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포함하는 이미지ㆍ텍스트 및 수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관리정보 및 특정 위치의 좌표ㆍ상기 좌표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ㆍ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이 촬영된 시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이다.
상기 메뉴 및 좌표 입력 단계(S200)는 상기 관리수단(300)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하여 하천 정보 관련 메뉴 선택 및 조회 요청 지역의 좌표 입력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수단(300)이 컴퓨터인 경우 일반적인 컴퓨터의 입력수단인 키보드, 마우스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천 정보 관련 메뉴란, 하천정보, 관리정보,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하천정보/관리정보/영상정보 중 세부 분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뉴를 말한다. 이러한 메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편의나 설계 편의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회 요청 지역의 좌표는 텍스트 또는 수치가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별도로 출력되는 지도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인덱스맵이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광역으로부터 세부 협역까지 단계적으로 선택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텍스트 또는 수치의 입력은, 상기 관리수단(300)에 구비된 입력수단 중 일례로 키보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맵을 통한 선택에 의한 입력은, 상기 관리수단(300)에 구비된 입력수단 중 일례로 마우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정보 표시 단계(S300)는,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상기 메뉴 및 좌표 입력 단계(S200)에서 선택된 메뉴 및 입력된 좌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110~140)로부터 해당 정보가 선택, 추출 및 매칭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을 표시한 이미지가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연산 및 가공이 수행된 결과가 상기 관리수단(300)으로 전달되어 상기 관리수단(300)에 구비된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정보 표시 단계(S300)에 의하여 출력된 결과물의 일실시예가 바로 도 2(B)에 도시된 각 창 화면들이다.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300)에서, 표시될 정보에 따라 사용자 편의를 위해 다양한 표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어수단(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정보 중 공사 진행 현황 및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서 진행 중 또는 진행된 공사구간은 구분가능한 색 또는 선으로 구분되게 표현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은 단지 이미지로서만이 아니라 상기 관리정보 중 공사 진행 현황 및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표현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 현장의 변경된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변경 전후 상태를 표시하는 텍스트 정보로서 표현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변경사항을 표시한 별도의 지도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인다. 물론,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공사 현장에 해당하는 좌표의 공사 현장의 사진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진 이미지도 함께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공사 현장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300)에서, 상기 하천정보 중 유지보수 이력정보, 즉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또는 측정되는 물리량을 포함하는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표현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별도로 구비된 유지보수 이력정보 검색창을 통해 텍스트를 직접 입력받아 해당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목록화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출력된 유지보수 이력정보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로서 별도 창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정보 표시 단계(S300)에서 생성 출력된 지도 상에 표시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300)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텍스트 및 수치 정보가 공지된 문서편집기, 즉 MS Word, 한글, Windows 메모장 등과 같은 문서편집기용 문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변환해 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300)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텍스트 및 수치 정보를 가공하여 그래프 이미지 정보를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텍스트 및 수치 정보를 그래프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하천 정보를 훨씬 용이하게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또한 관리정보 중 하천 시설물 명칭 정보를 관리함에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 중, 공사 진행 중 또는 공사 관련 인허가 진행 중인 하천 시설물 명칭에 대하여 개별 아이디를 부여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도 상의 하천 시설물을 선택하거나 개별 아이디를 입력하면 관련 정보가 통합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처럼 체계적으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사용자는 하천 시설물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정보 표시 단계(S300)에서 2차원 또는 3차원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3차원 지도를 생성할 때,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하천 등고선 및 표고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형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3차원 지형을 실제 영상에 중첩함으로써 3차 원적으로 하천 지형을 생성하게 된다. 하천 등고선 및 표고 정보는, 하천정보 중 지형 항목에 해당되는 정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3차원 지도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하천 관리 시스템을 통해 실제와 매우 유사한 지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2차원 지도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를 자유롭게 변환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정보 표시 단계(S300)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공사 진행 중 또는 공사 관련 인허가 진행 중인 하천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시계열별로 획득된 영상정보를 공사 전후로 분류하여, 2분할된 화면에 공사 전과 공사 후의 영상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실무 사용자는, 공사 전후를 한눈에 비교하여 직관적으로 공사 진행 상황이나 변경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공사 실효성의 확인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200)은 또한, 공사 전후의 두 영상을 서로 연계하여, 하나의 영상에 대하여 이동, 확대 또는 축소 등의 제어를 수행할 경우 다른 하나의 영상도 동일한 제어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인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와 매우 유사한 3차원 지형을 용이하게 가상 공간상에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천관리 방법에 의하면 하천관련 자연재해, 즉 범람 상황을 쉽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범람 시뮬레이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생성된 3차원 지도에 의한 하천 지형에 대하여, 하천정보 내 하천 관련 측정되는 물리량 중 수위 정보를, 가상으로 변화시킨다. 즉 수위를 1cm 등과 같은 소정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수위 변화에 따른 침수 지역을 매우 용이하게 계산해 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범람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연재해에 취약한 지역을 미리 탐지하고, 제방 공사를 수행하는 등의 재해 예방 조치를 취하거나,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후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하천 관련 피해가 최소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하천 관리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차원 하천 관리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 관리 방법의 출력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문서편집기 변환 예.
도 5는 본 발명의 그래프 출력 예.
도 6은 본 발명의 아이디 적용 예.
도 7은 본 발명의 지도 출력 예.
도 8은 본 발명의 영상정보 출력 예.
도 9는 본 발명의 공사 전후 영상정보 비교출력 예.
도 10은 본 발명의 범람 시뮬레이션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데이터베이스
110: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
130: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140: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
200: 제어수단 300: 관리수단
400: 이동통신수단 500: 영상정보 입력수단

Claims (16)

  1. 지리적 위치 및 좌표 정보와 이에 매칭되는 지도 이미지, 행정구역을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 하천의 명칭, 분류, 위치 및 하천 시설물의 명칭, 종류, 위치, 지형, 특징적 세부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명칭, 이미지,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측정되는 물리량, 공사 진행 현황,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포함하는 이미지, 텍스트 및 수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는 세부 데이터베이스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100);
    PC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입력수단 및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와 연동되어 정보의 입력, 수정, 검색 및 조회를 수행하는 관리수단(300);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들(110~140)의 정보들을 서로 매칭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을 표시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수단(300)으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연산 및 가공을 수행하여 상기 관리수단(300)으로 전달하는 제어수단(200);
    PDA, UMPC를 포함하는 연산처리 및 이동통신수단으로 구현되며, 유,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 및 상기 제어수단(200)과 유,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하천 또는 하천시설물의 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으로부터 관리정보에 따른 지시사항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GPS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위치가 추적되는 이동통신수단(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와 연결되어, 2차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3차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캠코더 및 GPS를 구비하여, 특정 위치의 좌표, 상기 좌표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및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이 촬영된 시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영상정보 입력수단(50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적 세부 위치는
    배수문, 표석, 횡단측점 또는 하천 주변 특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건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5.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하천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하천의 명칭, 분류, 위치 및 하천 시설물의 명칭, 종류, 위치, 지형, 특징적 세부 위치를 포함하는 하천정보, 하천 또는 하천 시설물의 명칭, 이미지,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측정되는 물리량, 공사 진행 현황,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포함하는 이미지, 텍스트 및 수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관리정보 및 특정 위치의 좌표, 상기 좌표에 해당하는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이 촬영된 시각을 포함하는 영상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 상기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30) 및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 분류되어 저장되고, 상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110)와 연계하여 좌표를 기준으로 서로 매칭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 단계(S100);
    b) 상기 관리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관리수단(300)에 구비된 입력수단을 통해 하천 정보 관련 메뉴 선택 및 조회 요청 지역의 좌표 입력이 이루어지는 메뉴 및 좌표 입력 단계(S200);
    c)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선택된 메뉴 및 입력된 좌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의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110~140)로부터 해당 정보가 선택, 추출 및 매칭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 하천 및 하천 시설물을 표시한 이미지가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매칭하여 가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연산 및 가공이 수행된 결과가 상기 관리수단(300)으로 전달되어 상기 관리수단(300)에 구비된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정보 표시 단계(S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하천 정보 관련 메뉴는
    하천정보, 관리정보 또는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하천정보의 세부 분류, 관리정보의 세부 분류 또는 영상정보의 세부 분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조회 요청 지역의 좌표는
    텍스트 또는 수치가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하여 별도로 출력되는 지도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인덱스맵이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광역으로부터 세부 협역까지 단계적으로 선택됨으로써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관리정보 중 공사 진행 현황 및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표현함에 있어서, 진행 중 또는 진행된 공사구간은 구분가능한 색 또는 선으로 구분되게 표현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관리정보 중 공사 진행 현황 및 공사 관련 인허가 현황을 표현함에 있어서, 공사 현장의 변경된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변경 전후 상태를 표시하는 텍 스트 정보로서 표현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변경사항을 표시한 별도의 지도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공사 현장에 해당하는 좌표의 공사 현장의 사진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상기 사진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하천정보 중 점검 작업 종류, 점검 일자, 점검 내용 또는 측정되는 물리량을 포함하는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표현함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유지보수 이력정보 검색창을 통해 텍스트를 직접 입력받아 해당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목록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유지보수 이력정보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유지보수 이력정보를 텍스트 및 이미지 정보로서 별도 창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c) 단계에서 생성 출력된 지도 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텍스트 및 수치 정보를 가공하여 그래프 이미지 정보를 생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관리정보 중 운용 중, 공사 진행 중 또는 공사 관련 인허가 진행 중인 하천 시설물 명칭에 대하여 개별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하천 등고선 및 표고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지형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3차원 지형을 실제 영상에 중첩함으로써 3차원적으로 하천 지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공사 진행 중 또는 공사 관련 인허가 진행 중인 하천 관련 시설물에 대하여 시계열별로 획득된 영상정보를 공사 전후로 분류하여, 2분할된 화면에 공사 전과 공사 후의 영상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출력된 공사 전 영상 및 공사 후 영상을 서로 연계하여, 일측 영상에 대해 이동, 확대 또는 축소를 포함하는 제어가 수행될 경우 타측 영상에 대해 동일한 제어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00)은
    상기 생성한 3차원 지도의 하천 지형을 기반으로 하천 수위를 소정 간격으로 단계적 증감한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하천 범람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방법.
KR1020080012408A 2008-02-12 2008-02-12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6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08A KR100866830B1 (ko) 2008-02-12 2008-02-12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08A KR100866830B1 (ko) 2008-02-12 2008-02-12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830B1 true KR100866830B1 (ko) 2008-11-04

Family

ID=4028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408A KR100866830B1 (ko) 2008-02-12 2008-02-12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830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69B1 (ko) 2008-09-26 2010-11-10 대림산업 주식회사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62629B1 (ko) * 2016-04-01 2017-08-14 주식회사 탑코어시스템 3d bim 가상공간에서 bim 설계 및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뷰의 시각화 방법 및 시각화 시스템
CN107122910A (zh) * 2017-05-01 2017-09-01 深圳市广汇源水利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gis的河道智慧管理平台
CN107122909A (zh) * 2017-05-01 2017-09-01 深圳市广汇源水利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gis的河道数据自动化监测及采集法
WO2018016703A1 (ko) * 2016-07-18 2018-01-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계측 시스템 및 계측방법
KR101837664B1 (ko) * 2017-07-21 2018-04-19 주식회사 부린 하천 스마트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902565B1 (ko) * 2017-05-04 2018-09-28 최현석 3d 위성사진 또는 조감사진 맵을 활용한 빗물관리 플랫폼 기반의 통합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빗물관리 서버
KR20200050573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에프엠웍스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거대구조물 안전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CN112396678A (zh) * 2020-11-05 2021-02-23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三维建模技术的缆道测流监控方法
KR102224162B1 (ko) * 2020-07-09 2021-03-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형 기반 하천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3609357A (zh) * 2021-06-30 2021-11-05 天津大学 一种凌汛信息智能监测及展示系统
KR102379288B1 (ko) * 2021-07-14 2022-03-29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3차원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 지도 제작시스템
KR20220053070A (ko) * 2020-10-21 2022-04-29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3차원 가상공간을 활용한 하천정보제공시스템
KR102467860B1 (ko) * 2021-09-08 2022-11-16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시설물의 안전을 진단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시설물 안전진단 시스템
KR20230063245A (ko) 2021-11-01 2023-05-09 재단법인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Rs gis 기반 친수시설 정보맵 작성 및 유역조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03147B1 (ko) 2022-11-10 2023-1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중매설물 영상정보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43B1 (ko)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43B1 (ko)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69B1 (ko) 2008-09-26 2010-11-10 대림산업 주식회사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62629B1 (ko) * 2016-04-01 2017-08-14 주식회사 탑코어시스템 3d bim 가상공간에서 bim 설계 및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뷰의 시각화 방법 및 시각화 시스템
WO2018016703A1 (ko) * 2016-07-18 2018-01-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계측 시스템 및 계측방법
KR101843007B1 (ko) * 2016-07-18 2018-03-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사태 모니터링 및 예·경보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계측 시스템 및 계측방법
CN107122910A (zh) * 2017-05-01 2017-09-01 深圳市广汇源水利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gis的河道智慧管理平台
CN107122909A (zh) * 2017-05-01 2017-09-01 深圳市广汇源水利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gis的河道数据自动化监测及采集法
KR101902565B1 (ko) * 2017-05-04 2018-09-28 최현석 3d 위성사진 또는 조감사진 맵을 활용한 빗물관리 플랫폼 기반의 통합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빗물관리 서버
KR101837664B1 (ko) * 2017-07-21 2018-04-19 주식회사 부린 하천 스마트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0573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에프엠웍스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거대구조물 안전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114683B1 (ko) * 2018-11-02 2020-06-05 주식회사 에프엠웍스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거대구조물 안전진단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224162B1 (ko) * 2020-07-09 2021-03-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형 기반 하천 시설물 유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387090B1 (ko) * 2020-10-21 2022-05-09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3차원 가상공간을 활용한 하천정보제공시스템
KR20220053070A (ko) * 2020-10-21 2022-04-29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3차원 가상공간을 활용한 하천정보제공시스템
CN112396678A (zh) * 2020-11-05 2021-02-23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三维建模技术的缆道测流监控方法
CN112396678B (zh) * 2020-11-05 2024-03-08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三维建模技术的缆道测流监控方法
CN113609357A (zh) * 2021-06-30 2021-11-05 天津大学 一种凌汛信息智能监测及展示系统
KR102379288B1 (ko) * 2021-07-14 2022-03-29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3차원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 지도 제작시스템
KR102467860B1 (ko) * 2021-09-08 2022-11-16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시설물의 안전을 진단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시설물 안전진단 시스템
KR20230063245A (ko) 2021-11-01 2023-05-09 재단법인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Rs gis 기반 친수시설 정보맵 작성 및 유역조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03147B1 (ko) 2022-11-10 2023-1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중매설물 영상정보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830B1 (ko) 영상기반 3차원 하천관리 시스템 및 방법
Roh et al. An object-based 3D walk-through model for interior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US20190325642A1 (en) Computer platform for pooling and viewing digital data
Golparvar-Fard et al. Visualization of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with 4D simulation model overlaid on time-lapsed photographs
Behnam et al. Automated progress monitoring system for linear infrastructure projects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Poku et al. Construction scheduling and progress control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CN107492042A (zh) 基于gis+bim的水利水电工程建设管理方法及系统
Li et al. Integrating geometric models, site images and GIS based on Google Earth and Keyhole Markup Language
Vacanas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echnologies i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nd delay and disruption analysis
CN109255743A (zh) 养护综合管理系统
Montaser et al. Truck+ for earthmoving operations
Bruno et al. The role of 4D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nd management in the analysis of constructive evolution and decay condition within the refurbishment process
Bansal Integrated framework of BIM and GIS applications to support building lifecycle: A move toward nD modeling
Wang et al. A relationship-based and object-oriented software for monitoring management during geotechnical excavation
WO2012162736A1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Vacanas et al. The combined us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echnologies for the 3D illustration of the progress of works i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Schall et al. VIDENTE-3D visualization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 using handheld augmented reality
Dang et al. Digital twin applications on cultural world heritage sites in China: A state-of-the-art overview
Liu et al. Study on digital twin technologies for watershed information modeling (WI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bibliometric analysis
Oti et al. A review of systems for information modelling in the built environment
Tang et al. Design and Application of Risk Early Warning System for Subway Station Construction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Real‐Time Model
Piroozfar et al. Augmented Reality (AR) for utility infrastructure: An experiential development workflow
Suchocki BIM for Infrastructure: integrating spatial and model data for more efficient contextual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Talipova et al. Perspectives of interactions CAD and GIS systems
Dib et al. A GIS-based visual information model for build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