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848A -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848A
KR20220106848A KR1020227023958A KR20227023958A KR20220106848A KR 20220106848 A KR20220106848 A KR 20220106848A KR 1020227023958 A KR1020227023958 A KR 1020227023958A KR 20227023958 A KR20227023958 A KR 20227023958A KR 20220106848 A KR20220106848 A KR 2022010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pecial effect
zoom
frame image
targe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오치 리
징진 차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방법은: 비디오 재생 동안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되면, 비디오로부터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에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 및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에 대하여 검출이 수행되고,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음악이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되면,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고, 특수 효과 처리가 적용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특수 효과 처리가 수행되고,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 및 재생하여 음악과 특수 효과를 결합하여 비디오 특수 효과의 기능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

Description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기술(video special effect processing technology)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video special effects processing method)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6일에 CNIPA에 제출된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라는 제목의 출원 번호 201911364890.3의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전체가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인터넷 기술과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비디오에 특수 효과를 추가하는 방식은 사람들이 비디오를 찍을 때 점차 추구하고 있다. 사용자는 대응하는 특수 효과 기능을 선택하여 촬영된 비디오에 좋아하는 특수 효과를 추가할 수 있어 비디오 촬영의 재미를 높일 수 있다.
종래 기술은 비디오 처리만 하고 비디오 특수 효과는 비교적 간단하다.
이 요약은 아래의 상세 설명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 단순화된 형식의 개념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았으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여 사용되도록 의도되지 않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디오 특수 효과가 상대적으로 단일하다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장치, 전자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단말기도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솔루션인: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video special effect processing method)이 제공되고, 방법은: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는 단계 - 비디오는 대상 객체(target object)를 포함함 -;
음악이 미리 설정된(preset) 리듬(rhythm)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video frame image)를 획득하는 단계;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술적 솔루션인: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기 위한 음악 검출 모듈(music detection module) - 비디오는 대상 객체를 포함함 -;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모듈(image acquisition module);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듈(special effect processing module); 및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하기 위한 특수 효과 표시 모듈(special effect display module)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술적 솔루션인:
전자 장치가 제공되고, 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emory); 및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임의의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술적 솔루션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위에서 설명된 임의의 비디오 효과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술적 해결책인:
상기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장치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단말기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에서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이 검출된다.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는,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획득되고, 특수 효과 처리는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에 대해 수행된다.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가 표시 및 재생되어 음악과 특수 효과를 결합하여 비디오 특수 효과 기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의 개요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하고 철저한 이해를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도면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방법 실시예에 인용된 다양한 단계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있거나 병렬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방법 실시예는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예시된 단계의 수행을 생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포함하는" 및 그의 변형은 개방형,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에 기초하는"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의미하고; "다른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의미하고; "일부 실시예"라는 용어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를 의미한다. 다른 용어에 대한 관련 정의는 다음 설명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종래 기술에서 비디오 특수 효과가 비교적 단순하다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video special effect processing method)은 주로 다음 단계 S11 내지 S14를 포함한다.
단계 S11: 비디오를 재생하는 프로세스에서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는 단계이고, 비디오는 대상 객체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비디오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비디오는 카메라 또는 단말기의 비디오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비디오, 움직이는 이미지(moving image) 또는 단말기(terminal)에 로컬로 미리 저장된 일련의 정지 사진(still picture)으로 구성된 이미지 순서(sequence)일 수도 있다.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예 들어, 스마트폰, 아이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웨어러블 기기) 또는 고정 단말기(예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일 수 있다.
대상 객체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람의 얼굴, 동물, 식물, 인체, 제스처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대상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디오를 검출함으로써 대상 객체가 획득될 수 있다. 채택된 대상 검출 알고리즘은 딥러닝 기반의 대상 검출 알고리즘(deep learning-based target detection algorithm)과 신경망 기반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neural network-based image recognition algorithm)이 될 수 있다.
음악은 비디오 자체에 포함된 배경 음악일 수도 있고, 비디오 촬영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에서 음악이 동시에 재생되며, 음악은 가사가 포함된 음악일 수도 있고 가벼운 음악일 수도 있다.
단계 S12: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구체적으로, 음악에 따라 대응하는 음악 신호가 획득된 다음, 오디오 신호 검출 알고리즘이 획득된 음악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채택되어, 음악의 리듬 정보(rhythm information)를 획득한다. 사용될 수 있는 오디오 신호 검출 알고리즘은 BPM(분당 비트(Beat Per Minute)) 알고리즘 또는 수정된 BPM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리듬 정보는 비트 포인트(beat point), 스트레스 포인트(stress point), 드럼 포인트(drum point) 또는 미리 설정된 멜로디 포인트(preset melody poi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비트는 1/4, 2/4, 3/4, 4/4, 3/8, 6/8, 7/8, 9/8, 12/8 박자 등을 포함한다. 스트레스(stress)는 일반 스트레스(general stress), 이중 스트레스(double stress) 또는 드럼 비트(drumbeat)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특정 소리에 힘(force)이나 숨(breath)을 더하는 것을 말한다. 이중 스트레스(double stress)는 시간 값이 끝날 때까지 소리에 힘 또는 숨을 추가하는 것으로, 즉, 피아노의 힘으로 건반 터치가 끝난 후에도 진동 현파(vibration string)가 여전히 작동한다. 드럼 포인트는 드럼의 비트나 두드리는 소리 또는 오케스트라의 타악기 파트의 비트 드럼 포인트이다.
단계 S13: 특수 효과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구체적으로, 비디오에 따라 담음 두 가지 경우를 처리할 수 있다: 첫째, 비디오의 이미지의 각 프레임은 대상 객체를 포함하고, 이 경우 대상 객체는 미리 설정된 리듬에 따라 특수 효과 처리를 직접 받을 수 있고: 둘째, 비디오의 각 이미지 프레임에 대상 객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상 객체가 현재 시점에서 비디오의 재생 위치에 나타나는 것으로 결정되고 동시에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만, 대상 객체가 미리 설정된 리듬에 따라 특수 효과 처리를 받는다.
단계 S14: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하는 단계.
실시예에서,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에서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이 검출된다.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는,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획득되고, 특수 효과 처리는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에 대해 수행된다.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가 표시 및 재생되어 음악과 특수 효과를 결합하여 비디오 특수 효과 기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단계 S13은 구체적으로:
단계 S131: 미리 설정된 리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리듬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special effect processing mode)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S132: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특수 효과 처리 모드에 따라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zoom-out processing) 또는 줌-인 처리(zoom-in processing)이다. 줌-아웃 처리는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확대하는 것이고 줌-인 처리는 줌-인 비디오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상 객체를 확대하는 경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만 확대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추출하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 영역을 배경 영역으로 사용한다. 대상 객체만 확대되고, 배경 영역은 변경되지 않고, 확대된 대상 객체는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배경 영역 상에 중첩된다. 마찬가지로, 대상 객체가 축소되는 경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만 축소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추출하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 영역을 배경 영역으로 사용한다. 대상 객체만 축소하고 배경 영역은 그대로 두고 축소된 대상 객체를 배경 영역에 중첩하여 특수 효과 처리 후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얻는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줌-아웃 처리이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줌-인 처리이고; 또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인 처리이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이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줌-아웃 비디오 효과(zoom-out video effect)를 구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는 확대되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줌-인 비디오 효과(zoom-in video effect)를 구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는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축소된다. 또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줌-인 비디오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는 축소되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는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확대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확대 파라미터(magnification parameter)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확대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여기서 제1 확대 파라미터와 제2 확대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고; 또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축소 파라미터(reduction parameter)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되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축소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되고, 여기서, 제1 축소 파라미터 및 제2 축소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다.
대응하는 줌 파라미터(zooming parameter)는 미리 설정된 리듬의 비트 포인트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축소 파라미터 또는 확대 파라미터일 수 있다. 파라미터가 축소 파라미터이면 미리 설정된 리듬의 재생 프로세스에서 대응하는 비트가 재생될 때 대상 객체가 축소되고, 파라미터가 확대 파라미터이면 미리 설정된 리듬의 재생 과정에서 대응하는 비트가 재생될 때 대상 객체가 확대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확대 파라미터는 제2 확대 파라미터보다 크고, 제1 축소 파라미터는 제2 축소 파라미터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리듬은 복수의 스트레스, 복수의 드럼 비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스와 적어도 하나의 드럼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확대/축소 파라미터는 스트레스 또는 드럼 비트의 볼륨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즉, 더 높은 볼륨의 스트레스 또는 드럼 비트는 더 큰 확대 파라미터에 대응하고, 더 낮은 볼륨의 스트레스 또는 드럼 비트는 더 작은 확대 파라미터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대상 객체는 미리 설정된 리듬의 재생 프로세스에서 다른 스트레스나 드럼 비트가 재생될 때 확대 및 축소되거나, 축소 및 확대되거나, 점진적으로 확대되거나 점진적으로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가 2/4박자일 때 각 마디에는 두 개의 비트만 있고 비트의 법칙은 강하고 약하다. 강함과 약함의 순서(sequence)는 미리 설정된 리듬에 포함된 마디(bar)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리듬이 하나의 마디를 포함하는 경우 강하고 약함 비트의 순서는 [강 약]으로 결정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두 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경우 강하고 약한 비트의 순서는 [강 약 약 약] 등이며,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비트가 3/4박자일 때 각 마디는 세 개의 비트만 가지고 있으며 비트의 법칙은 강, 약, 약이다. 강함과 약함의 순서(sequence)는 미리 설정된 리듬에 포함된 마디(bar)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리듬이 하나의 마디를 포함하는 경우 강하고 약한 비트의 순서는 [강 약 약]으로 결정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두 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경우 강하고 약한 비트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강 약 강 약] 등이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비트가 4/4일 때, 각 마디에는 4개의 비트만 있고, 비트의 법칙은 강함, 약함, 중강, 약함이다. 강함과 약함의 순서(sequence)는 미리 설정된 리듬에 포함된 마디(bar)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리듬이 하나의 마디를 포함하는 경우, 강하고 약한 순서는 [강 약 중강 약]으로 결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리듬이 2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경우, 강하고 약한 순서는 [강 약 중강 약 강 약 중강 약] 등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비트가 6/8일 때, 각 마디에는 6개의 비트만 있고, 비트의 법칙은 강, 약, 약, 중강, 약, 약이다. 강함과 약함의 순서(sequence)는 미리 설정된 리듬에 포함된 마디(bar)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리듬이 하나의 마디를 포함하는 경우 강하고 약한 비트의 순서는 [강 약 약 중강 약 약]으로 결정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두 개의 마디를 포함하는 경우 강하고 약한 비트의 순서는 [강 약 약 중강 약 약] 등과 같이 결정될 수 있고,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축소 파라미터 또는 확대 파라미터는 각각 대응하는 강한 비트와 약한 비트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설정 규칙(set rule)은 강한 비트의 줌 계수(zoom factor)가 약한 비트의 줌 계수보다 크거나, 강한 비트의 줌 계수가 약한 비트의 줌 계수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하고 약한 비트의 순서가 [강 약]인 경우, 강한 비트에 대응하는 특수효과 파라미터는 확대 파라미터로 설정될 수 있고, 약한 비트에 대응하는 특수효과 파라미터는 약한 비트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리듬의 재생 프로세스에서 강한 비트가 재생될 때 대상 객체가 확대되고 약한 비트가 재생될 때 대상 객체가 축소되어, 대상 객체를 확대 및 축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는 강한 비트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파라미터를 축소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약한 비트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파라미터를 확대 파라미터로 설정하여, 미리 설정된 리듬의 재생 프로세스 동안, 강한 비트가 재생되면 대상 객체가 축소되고, 약한 비트가 재생되면 대상 객체가 확대되어, 대상 객체를 축소 및 확대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는 강한 비트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파라미터를 더 작은 축소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약한 비트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파라미터를 더 큰 축소 파라미터로 설정하여, 미리 설정된 리듬의 재생 프로세스 동안, 강한 비트가 재생될 때 대상 객체가 축소되고, 약한 비트가 재생될 때 대상 객체가 더 축소되어, 대상 객체를 점차 축소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는 강한 비트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파라미터를 더 작은 확대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약한 비트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파라미터를 더 큰 확대 파라미터로 설정하여, 미리 설정된 리듬의 재생 프로세스에서, 강한 비트가 재생될 때 대상 객체가 확대되고, 약한 비트가 재생될 때 대상 객체가 더 확대되어, 대상 객체를 점차 확대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줌-아웃 처리(zoom-out processing)는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가 최대 임계값까지 확대될 때까지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 및 최대 임계값까지 확대된 이후에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video picture)에 대해 흔들림 기능(shaking function)을 수행하는 단계이고; 및 줌-인 처리는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가 최소 임계값으로 감소될 때까지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 및 최소 임계값으로 축소된 이후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화면(terminal screen)에 표시되는 대상 객체가 최대로 확대되거나 최소로 축소되면, 흔들림 파라미터가 획득되고, 여기서 흔들림 파라미터(shaking parameter)는 흔들림 방향(shaking direction)(예를 들어, 전후 흔들림), 흔들림 진폭(shaking amplitude), 흔들림 주파수(shaking frequency) 등을 포함한다. 흔들림 진폭은 줌 파라미터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대 파라미터가 클수록 흔들림 진폭이 커지고 줌 파라미터가 클수록 흔들림 진폭이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흔들림 방향 및 흔들림 주파수는 자체 정의로 설정할 수 있다. 흔들림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되어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상에 국부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 획득될 때 단말로부터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국부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최대로 확대되거나 최소로 축소된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은 획득된 흔들림 파라미터에 따라 흔들린다.
명백한 변형(예를 들어, 열거된 모드의 조합) 또는 등가물이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이상에서,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계가 위의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계가 반드시 상기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역순, 병렬, 교차 등의 다른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해야 하며, 또한, 위의 단계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또한 다른 단계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백한 변형 또는 균등물은 또한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 단계를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을 도시하였으며, 공개되지 않은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하기 바란다.
실시예 2
종래 기술에서 비디오 특수 효과가 비교적 단순하다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장치(video special effect processing device)를 제공한다. 장치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주로 음악 검출 모듈(music detection module)(21), 이미지 획득 모듈(image acquisition module)(22), 특수 효과 처리 모듈(special effect processing module)(23) 및 특수 효과 표시 모듈(special effect display module)(24)을 포함하고; 여기서,
음악 검출 모듈(21)은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비디오는 대상 객체를 포함하고;
이미지 획득 모듈(22)은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듈(23)은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특수 효과 표시 모듈(24)은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특수 효과 처리 모듈(23)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리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리듬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를 결정하고;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특수 효과 처리 모드에 따라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 또는 줌-인 처리이고, 줌-아웃 처리는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확대하고, 줌-인 처리는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것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이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인 처리이고; 또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인 처리이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이다.
또한,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확대 파라미터(magnification parameter)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확대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여기서 제1 확대 파라미터와 제2 확대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고; 또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축소 파라미터(reduction parameter)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되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축소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되고, 여기서, 제1 축소 파라미터 및 제2 축소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다.
또한, 제1 확대 파라미터는 제2 확대 파라미터보다 크고, 제1 축소 파라미터는 제2 축소 파라미터보다 크다.
또한, 줌-아웃 처리는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가 최대 임계값까지 확대될 때까지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 및 최대 임계값으로 확대된 후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줌-인 처리는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가 최초 임계값까지 축소될 때까지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 및 최소 임계값으로 축소된 후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리듬은 음악의 비트 포인트, 스트레스 포인트, 드럼 포인트 또는 미리 설정된 멜로디 포인트이다.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장치의 실시예의 작동 원리, 달성된 기술적 효과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 대해,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의 전술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세부 사항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3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전자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장치(terminal device)는 휴대폰, 노트북, 디지털 방송 수신기, 개인디지털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PAD), 휴대용멀티미디어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차량 단말기(예를 들어, 차량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기타 및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 등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표시된 전자 장치는 단지 예일뿐이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능 및 사용 범위에 어떠한 제한도 부과해서는 안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300)는 처리 장치(processing device)(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 그래픽 프로세서)(30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3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 디바이스(storage device)(308)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303)로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적절한 액션과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RAM(303)에는 전자 장치(300)의 동작(operation)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도 저장된다. 처리 장치(301), ROM(302) 및 RAM(303)은 버스(bus)(30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nterface)(305)도 버스(304)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장치들이 I/O 인터페이스(I/O interface)(305)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마이크로폰,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input device)(306);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라우드 스피커, 바이브레이터 등을 포함하는 출력 장치(output device)(307);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308); 및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309).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309)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300)가 무선 또는 유선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장치들을 갖는 전자 장치(300)를 예시하지만, 예시된 장치들 모두가 구현되거나 제공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장치가 대안으로 구현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프로세스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순서도에 의해 예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 장치(309)를 통해 온라인으로 다운로드되고, 메모리 장치(308)로부터 설치 또는 설치되거나, ROM(302)으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처리 장치(301)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제공된 방법에 정의된 상술한 기능들을 실행한다.
본 개시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둘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전기,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장치,자기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일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은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신호 매체는 예를 들어 기저대역에서 또는 반송파의 일부로서 내부에 구현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와 함께 전파된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파된 데이터 신호는 전자기, 광학,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computer readable signal medium)는 또한 명령 실행 시스템(instruction execution system),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이외의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된 프로그램 코드는 전기 배선, 광 케이블, RF(무선 주파수)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매체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하이퍼 택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와 같은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개발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모든 형태 또는 매체(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로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네트워크("WAN"), 인터넷 및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예 들어, 애드 훅(ad hoc)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현재 알려졌거나 미래에 개발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 장치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분리되어 전자 장치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전자 장치로 하여금: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고 - 비디오는 대상 객체를 포함함 -;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비디오에서 재생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고;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한 후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에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고; 및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 및 재생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측면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자바, 스몰토크, C++와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고, "C"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통상적인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의,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의,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에서 또는 전체적으로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를 고려하는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지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외부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사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포함된 도면에서의 흐름도 및 블록도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의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플로우 차트 또는 블록도에서의 각각의 블록은 지정된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 코드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명령(instruction)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부 대체 구현에서, 블록에 표시된 기능이 도면에 명시된 순서대와 상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실, 연속적으로 예시된 두 블록은 실제로 동시에 실행되거나 관련된 기능에 따라 블록이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블록도 및/또는 순서도의 각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순서도 도시의 블록 조합은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거나 행동하거나, 특수 목적의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거나 특수 목적의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유닛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의 이름은 어떤 경우에는 장치 자체의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획득 장치(first acquisition unit)는 "최소 2개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획득하는 유닛"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여기 위에서 설명된 기능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논리 구성요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유형의 하드웨어 논리 구성요소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주문형 집적 회로(ASIC), 주문형 표준 제품(ASSP), 시스템 온 칩(SOC), 복합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s)(CPLD)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장치에 의해 또는 그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유형 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machine readable medium)는 기계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수단, 또는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machine readable storage medium)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기반 전기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는 단계 - 비디오는 대상 객체(target object)를 포함함 -;
음악이 미리 설정된(preset) 리듬(rhythm)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video frame image)를 획득하는 단계;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한 후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리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리듬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특수 효과 처리 모드에 따라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 또는 줌-인 처리이고, 줌-아웃 처리는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확대하고, 줌-인 처리는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것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이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인 처리이고; 또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줌-인 처리이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줌-아웃 처리이다.
또한,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확대 파라미터(magnification parameter)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확대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여기서 제1 확대 파라미터와 제2 확대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고; 또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축소 파라미터(reduction parameter)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되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축소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되고, 여기서, 제1 축소 파라미터 및 제2 축소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다.
또한, 제1 확대 파라미터는 제2 확대 파라미터보다 크고, 제1 축소 파라미터는 제2 축소 파라미터보다 크다.
또한, 줌-아웃 처리는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가 최대 임계값까지 확대될 때까지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 및 최대 임계값으로 확대된 후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줌-인 처리는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가 최초 임계값까지 축소될 때까지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 및 최소 임계값으로 축소된 후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리듬은 음악의 비트 포인트, 스트레스 포인트, 드럼 포인트 또는 미리 설정된 멜로디 포인트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 동안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기 위한 음악 검출 모듈 - 비디오는 대상 객체를 포함함 -;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모듈(image acquisition module);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듈(special effect processing module); 및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하기 위한 특수 효과 표시 모듈(special effect display module)을 포함한다.
또한, 특수 효과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리듬에 따라 미리 설정된 리듬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를 결정하고;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특수 효과 처리 모드에 따라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 또는 줌-인 처리이고, 줌-아웃 처리는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를 확대하고, 줌-인 처리는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것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이고,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인 처리이고; 또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줌-인 처리이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줌-아웃 처리이다.
또한,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확대 파라미터(magnification parameter)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확대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여기서 제1 확대 파라미터와 제2 확대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고; 또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축소 파라미터(reduction parameter)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되고,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축소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되고, 여기서, 제1 축소 파라미터 및 제2 축소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다.
또한, 제1 확대 파라미터는 제2 확대 파라미터보다 크고, 제1 축소 파라미터는 제2 축소 파라미터보다 크다.
또한, 또한, 줌-아웃 처리는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가 최대 임계값까지 확대될 때까지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 및 최대 임계값으로 확대된 후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줌-인 처리는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상 객체가 최초 임계값까지 축소될 때까지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 및 최소 임계값으로 축소된 후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또한, 미리 설정된 리듬은 음악의 비트 포인트(beat point), 스트레스 포인트(stress point), 드럼 포인트 또는 미리 설정된 멜로디 포인트(preset melody point)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되고, 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memory); 및
및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computer readable instruction)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상술한 비디오 효과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일 뿐이며 사용된 기술의 원리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의 범위가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의 특정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의 다른 조합들 또는 그의 등가물도 포함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특징들과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단,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을 서로 대체하여 기술 솔루션을 형성한다.
또한, 동작이 특정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그러한 동작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몇 가지 특정 구현 세부사항이 위의 논의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은 본 개시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특징은 별도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역으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서브 조합으로 다중 실시예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주제가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논적 실행에 특정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주제는 위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 또는 실행으로 불필요하게 제한됨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 및 작용은 청구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 개시된다.

Claims (11)

  1.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 동안 상기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비디오는 대상 객체를 포함함 -;
    상기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상기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에 대응하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줌-아웃 처리 또는 줌-인 처리이고, 상기 줌-아웃 처리는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대상 객체를 확대하고, 상기 줌-인 처리는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상기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줌-아웃 처리이고,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줌-인 처리이고, 또는,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줌-인 처리이고,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줌-아웃 처리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확대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확대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아웃 처리이고, 여기서, 상기 제1 확대 파라미터와 상기 제2 확대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이고; 또는,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이 강한 비트인 경우 제1 축소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이고, 상기 특수 효과 처리 모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이 약한 비트인 경우 제2 축소 파라미터를 채택하여 줌-인 처리이고, 여기서, 상기 제1 축소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축소 파라미터는 상이한 파라미터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대 파라미터는 상기 제2 확대 파라미터보다 크고, 상기 제1 축소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축소 파라미터보다 큰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줌-아웃 처리는 구체적으로: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대상 객체가 최대 임계값까지 확대될 때까지 상기 줌-아웃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상기 대상 객체를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임계값으로 확대된 후 상기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줌-인 처리는 구체적으로: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대상 객체가 최소 임계값까지 축소될 때까지 상기 줌-인 비디오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상기 대상 객체를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최소 임계값으로 축소된 후 상기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비디오 사진에 대해 흔들림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리듬은 상기 음악의 비트 포인트, 스트레스 포인트, 드럼 포인트 또는 멜로디 포인트인
    방법.
  8.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재생 프로세스 동안 상기 비디오와 함께 재생되는 음악을 검출하기 위한 음악 검출 모듈 - 상기 비디오는 대상 객체를 포함함 -;
    상기 음악이 미리 설정된 리듬으로 재생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상기 비디오에서 재생될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모듈;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의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해 특수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특수 효과 처리 모듈; 및
    상기 특수 효과 처리된 비디오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하기 위한 특수 효과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1.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7023958A 2019-12-26 2020-12-22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20106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64890.3A CN113055738B (zh) 2019-12-26 2019-12-26 视频特效处理方法及装置
CN201911364890.3 2019-12-26
PCT/CN2020/138415 WO2021129628A1 (zh) 2019-12-26 2020-12-22 视频特效处理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48A true KR20220106848A (ko) 2022-07-29

Family

ID=7650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958A KR20220106848A (ko) 2019-12-26 2020-12-22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882244B2 (ko)
EP (1) EP4068757A4 (ko)
JP (1) JP7427792B2 (ko)
KR (1) KR20220106848A (ko)
CN (1) CN113055738B (ko)
BR (1) BR112022012742A2 (ko)
WO (1) WO2021129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23378B (zh) * 2021-09-29 2024-03-19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051245A1 (zh) * 2021-09-29 2023-04-06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905177B (zh) * 2021-09-29 2024-02-02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297B1 (ko) 2001-09-11 200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 처리 시스템에서의 특수 효과 발생 방법 및 장치
EP1422668B1 (en) * 2002-11-25 2017-07-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hort film generation/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01247482B (zh) * 2007-05-16 2010-06-02 北京思比科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动态图像处理的方法和装置
JP2009069185A (ja) * 2007-09-10 2009-04-02 Toshiba Corp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CN104754372A (zh) * 2014-02-26 2015-07-01 苏州乐聚一堂电子科技有限公司 同步节拍特效系统及同步节拍特效处理方法
CN104811787B (zh) * 2014-10-27 2019-05-07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游戏视频录制方法及装置
US10127943B1 (en) * 2017-03-02 2018-11-13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deos based on music
CN107124624B (zh) * 2017-04-21 2022-09-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数据生成的方法和装置
CN107967706B (zh) * 2017-11-27 2021-06-11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多媒体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259983A (zh) * 2017-12-29 2018-07-06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图像处理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终端
CN108322802A (zh) * 2017-12-29 2018-07-24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图像的贴图处理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
CN108259984A (zh) * 2017-12-29 2018-07-06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图像处理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
CN108111911B (zh) * 2017-12-25 2020-07-28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基于自适应跟踪框分割的视频数据实时处理方法及装置
JP2018107834A (ja) 2018-04-05 2018-07-05 株式会社ニコン 再生演出プログラムおよび再生演出装置
CN110392297B (zh) * 2018-04-18 2021-12-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及设备、存储介质、终端
CN108810597B (zh) * 2018-06-25 2021-08-1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视频特效处理方法及装置
CN109040615A (zh) * 2018-08-10 2018-12-18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视频特效添加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070896B (zh) 2018-10-19 2020-09-01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硬件装置
CN109729297A (zh) * 2019-01-11 2019-05-07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在视频中添加特效的方法和装置
CN110072047B (zh) * 2019-01-25 2020-10-09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图像形变的控制方法、装置和硬件装置
US11297244B2 (en) * 2020-02-11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ick-and-lock zoom camera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8757A1 (en) 2022-10-05
BR112022012742A2 (pt) 2022-09-06
EP4068757A4 (en) 2023-01-25
JP2023508462A (ja) 2023-03-02
CN113055738A (zh) 2021-06-29
JP7427792B2 (ja) 2024-02-05
US20240106968A1 (en) 2024-03-28
US11882244B2 (en) 2024-01-23
WO2021129628A1 (zh) 2021-07-01
US20220321802A1 (en) 2022-10-06
CN113055738B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3064B (zh) 歌词显示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20106848A (ko) 비디오 특수 효과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2259062B (zh) 特效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20103110A (ko) 비디오 생성 장치 및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230421716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3125374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2505118A (ja) 画像処理方法、装置、ハードウェア装置
WO2021027631A1 (zh) 图像特效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135864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KR20210110852A (ko) 이미지 변형 제어 방법, 장치 및 하드웨어 장치
WO2023040749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243479B (zh) 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312162A (zh) 精选片段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WO2021031847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3515607A (ja) 画像特殊効果の処理方法及び装置
WO2023273697A1 (zh) 图像处理方法、模型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WO2020233143A1 (zh) 播放进度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1227953A1 (zh) 图像特效配置方法、图像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20272283A1 (en) Image special effect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3008869A1 (ja) 電子機器及びデータ生成方法
CN113905177B (zh) 视频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805219B2 (en) Image special effec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1073204A1 (zh) 对象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343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21027632A1 (zh) 图像特效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