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581A -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581A
KR20220106581A KR1020210009671A KR20210009671A KR20220106581A KR 20220106581 A KR20220106581 A KR 20220106581A KR 1020210009671 A KR1020210009671 A KR 1020210009671A KR 20210009671 A KR20210009671 A KR 20210009671A KR 20220106581 A KR20220106581 A KR 2022010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delivery qualification
deliver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830B1 (ko
Inventor
오병훈
황인수
Original Assignee
오병훈
황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훈, 황인수 filed Critical 오병훈
Priority to KR102021000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83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장치의 주행과 앱 조작을 감시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행장치를 운전하는 사용자의 주행습관을 판별하고, 주행습관의 판별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배달자격이 있는지 검증하는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SYSTEM FOR VERIFYING DELIVERY QUALIFICATION}
본 발명은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행장치를 운전하는 사용자의 주행습관을 판별하고, 주행습관의 판별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배달자격이 있는지 검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오토바이 또는 전동킥보드 등 주행장치의 사고원인이 대표적으로 운전미숙에서 발생한다. 특히 주행장치 중 전동킥보드는 면허가 없는 사람도 타고 다닐 수 있어 사고발생 위험이 높은 기기이다.
최근에는 2021년 4월부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정 도로교통법에 따라 만 16살 미만과 운전면허 미소지자자에 대하여 전동킥보드를 운전할 수 없다고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하였다.
2020년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하여 특정시간 이후에 음식점 영업을 종료하라는 시행을 정부에서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정부의 발표에 의해 특정시간 이후에 음식점을 방문하지 못하여 배달음식이 호황을 맞이하였고, 음식을 배달하는 배달업도 호황을 맞이하였다. 특히 전동킥보드와 앱을 이용한 배달업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전동킥보드는 선행기술로 기재된 특허문헌과 같이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여 구동되는 주행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면허가 없는 성인들이 전동킥보드를 이용한 배달을 수행하였으므로, 운전미숙에 의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64520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행장치를 운전하는 사용자의 주행습관을 판별하고, 주행습관의 판별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배달자격이 있는지 검증하는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10)은, 지문센서와 무게센서를 통해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110) 및 센싱정보의 전송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수단(120)으로 구성된 주행장치(100) 및 상기 주행장치의 주행과 앱 조작을 감시하는 스마트폰(200)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센싱정보와 사용자의 면허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와 무게허용값을 생성하는 설정부(210); 설정된 주행거리의 도달에 따른 적격 여부를 판별하는 적격 판별부(220); 주행 중 감지된 무게와 무게허용값을 비교하여 제1 부적격 여부를 판별하고, 주행 중 앱 조작에 따른 제2 부적격 여부를 판별하는 부적격 판별부(230) 및 상기 적격 판별부와 부적격 판별부의 판별결과를 배달자격점수로 환산하고, 설정된 배달자격점수에 도달하면 배달자격에 대한 검증을 완료하는 배달자격 검증부(240)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면허와 지문을 매칭시켜 배달자격에 대한 1차 검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주행습관을 판별하여 배달자격에 대한 2차 검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10)은, 착용을 감지하여 착용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착용센서(320), 촬영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부(330), 입력 기능이 구비된 입력부(310)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을 수신하면 착용센서와 촬영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90)로 구성된 착용형 안전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적격 판별부는 주행 중 착용감지신호의 미감지에 따른 제3 부적격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는 시동을 제어하는 시동제어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주행 중 설정된 횟수의 착용감지신호를 미수신하면 주행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구동제한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은 구동제한정보를 수신하면 착용감지신호의 수신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시동제어부는 착용감지신호를 미수신하면 시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행장치를 운전하는 사용자의 주행습관을 판별하고, 주행습관의 판별결과에 대응하여 배달자격이 있는지 검증함으로써, 검증된 사용자에게 배달업무를 제공하여 배달사고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올바른 배달문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배달자격이 있는 사용자에게 추가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행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착용형 안전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격 검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제한정보와 착용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주행장치의 시동을 제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10)은 주행장치(100) 및 스마트폰(200)을 포함한다. 주행장치(100)는 오토바이 또는 전동킥보드일 수 있으며,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마트폰(200)은 GPS 기능을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이라고 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스마트폰(200)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앱이 설치될 수 있고, 앱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스마트폰(200)은 배달자격 검증을 위한 앱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10)은 착용형 안전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안전장치(300)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고, 예를 들어 헬멧 또는 무릎보호대이다.
스마트폰(200)은 배달자격 검증을 위하여 주행장치(100) 또는 착용형 안전장치(300)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을 제공할 수 있고, 무선랜을 이용한 원거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주행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로서, 센서부(110), 근거리 통신수단(120) 및 시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지문센서와 무게센서를 포함한다. 지문센서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운전면허의 자격이 있는지 판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시동을 걸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게센서는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고, 설정된 인원의 탑승유무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센서는 1인 탑승으로 제한하는 전동킥보드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한다.
근거리 통신수단(120)은 센서부(110)의 센싱정보를 스마트폰(200)에게 전송한다. 근거리 통신수단(12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근거리 통신수단(120)은 스마트폰(200)의 제어하에 착용형 안전장치(300)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시동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시동을 걸 수 있고, 특정조건에 의하여 시동을 걸 수 있으며, 특정조건에 대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스마트폰(200)은 설정부(210), 적격 판별부(220), 부적격 판별부(230) 및 배달자격 검증부(240)를 포함한다. 설정부(210)는 센싱정보와 사용자의 면허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와 무게허용값을 생성한다. 무게허용값은 사용자의 무게에 설정된 부가무게를 합산한 값이다. 부가무게는 사용자의 소지품, 가방, 배달음식 또는 다양한 용품의 무게를 예상한 값으로서 예를 들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평균무게보다 작은 값이 된다.
적격 판별부(220)는 설정된 주행거리의 도달에 따른 적격 여부를 판별한다. 본 발명은 설정된 주행거리를 도달하면 운전미숙이 없고 안전한 운전을 하는 사용자라고 인식할 수 있지만, 설정된 주행거리로만 사용자의 운전실력이나 운전습관을 판별할 수 없으므로, 부적격 판별부(220)가 동작하는 것이다.
부적격 판별부(230)는 주행 중 감지된 무게와 무게허용값을 비교하여 제1 부적격 여부를 판별한다. 부적격 판별부(230)는 주행 전에 감지된 무게와 무게허용값을 비교할 수 있지만, 일부 사용자는 주행 전 제1 부적격 여부의 판별시기에 부적격의 탑승자를 태우지 않고, 주행이 시작될 때 부적격의 탑승자를 태울 수 있으므로, 부적격 판별부(230)는 주행 중 제1 부적격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차량은 실내에 운전자가 있기 때문에 소음 영향이 없이 전화통화를 할 수 있지만, 전동킥보드는 운전자가 외부에 노출되어 차량의 소음 도보자와의 충돌위험이 있어 전화통화를 하기 어려운 주행장치(100)이다. 전동킥보드는 두 발로 지지하고 양손으로 운전하기 때문에 하나의 손으로 스마트폰(200)을 조작하면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부적격 판별부(23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행 중 앱 조작에 따른 제2 부적격 여부를 판별한다. 부적격 판별부(230)는 GPS 신호를 추적하여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앱 조작이 주행 중 발생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배달자격 검증부(240)는 적격 판별부(220)와 부적격 판별부(230)의 판별결과를 배달자격점수로 환산하고, 설정된 배달자격점수에 도달하면 배달자격에 대한 검증을 완료한다. 배달자격 검증부(240)는 설정된 배달자격점수에 도달하지 못하면, 부족한 배달자격점수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은 사용자의 면허와 지문을 매칭시켜 배달자격에 대한 1차 검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주행습관을 판별하여 배달자격에 대한 2차 검증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부적격한 주행습관은 부적격 판별부(230)에서 알아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착용형 안전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로서, 착용형 안전장치(300)는 입력부(310), 착용센서(320), 촬영부(330) 및 구동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입력 기능이 구비되고, 예를 들어 전원 버튼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착용센서(320)는 착용을 감지하여 착용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착용센서(320)는 사용자의 온도, 심박수 또는 접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착용형 안전장치(300)를 착용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촬영부(330)는 블랙박스를 위한 촬영 기능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헬멧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다. 구동부(390)는 입력부(310)의 입력으 수신하면 착용센서(320)와 촬영부(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부적격 판별부(230)는 주행 중 착용감지신호의 미감지에 따른 제3 부적격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배달자격 검증부(240)는 제3 부적격 여부의 판별결과를 배달자격점수로 환산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는 주행 중간에 부적격의 행동을 취할 수 있으므로, 설정부(210)는 부적격 행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부적격 여부와 제3 부적격 여부의 판별시기를 주행 중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210)는 주행장치(100)의 주행 중 정차시 제2 부적격 여부의 판별을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하고, 제1 부적격 여부와 제3 부적격 여부의 판별을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주행 중 정차시 스마트폰(200)의 앱 조작은 사용자의 적격한 운전습관이므로, 설정부(210)는 주행장치(100)의 주행 중 정차시 제2 부적격 여부의 판별을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주행 중 정차시 사용자는 제1 부적격의 운전습관이 발생할 수 있고, 정차 이후 다시 출발시 제3 부적격의 운전습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행장치(100)의 주행 중 정차시 제1 부적격 여부와 제3 부적격 여부의 판별을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임의의 시간과 주행 중 정차시 부적격 여부의 판별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고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올바른 운전습관을 고취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자격 검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배달자격 검증 방법은 설정부(210)를 이용하여 센싱정보와 사용자의 면허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와 무게허용값을 생성하고, 적격 판별부(220)와 부적격 판별부(230)를 이용하여 적격 여부 및 부적격 여부를 판별하며, 배달자격 검증부(240)를 이용하여 판별결과를 배달자격점수로 환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제한정보와 착용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주행장치의 시동을 제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은 착용형 안전장치(300)를 상습적으로 착용하지 않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주행장치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설정부(210)는 주행 중 설정된 횟수의 착용감지신호를 미수신하면 주행장치(100)의 구동을 제한하는 구동제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행장치(100)의 근거리 통신수단(120)은 구동제한정보를 수신하면 착용감지신호의 수신기능을 활성화하고, 시동제어부(190)는 착용감지신호를 미수신하면 시동을 제한한다. 시동제어부(190)는 착용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시동의 제한을 해제하고, 정상 시동을 제공한다.
10: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100: 주행장치
110: 센서부 120: 근거리 통신수단
190: 시동제어부 200: 스마트폰
210: 설정부 220: 적격 판별부
230: 부적격 판별부 240: 배달자격 검증부
300: 착용형 안전장치 310: 입력부
320: 착용센서 330: 촬영부
390: 구동부

Claims (3)

  1. 지문센서와 무게센서를 통해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110) 및 센싱정보의 전송을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수단(120)으로 구성된 주행장치(100) 및
    상기 주행장치의 주행과 앱 조작을 감시하는 스마트폰(200)을 포함하는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센싱정보와 사용자의 면허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정보와 무게허용값을 생성하는 설정부(210);
    설정된 주행거리의 도달에 따른 적격 여부를 판별하는 적격 판별부(220);
    주행 중 감지된 무게와 무게허용값을 비교하여 제1 부적격 여부를 판별하고, 주행 중 앱 조작에 따른 제2 부적격 여부를 판별하는 부적격 판별부(230) 및
    상기 적격 판별부와 부적격 판별부의 판별결과를 배달자격점수로 환산하고, 설정된 배달자격점수에 도달하면 배달자격에 대한 검증을 완료하는 배달자격 검증부(240)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면허와 지문을 매칭시켜 배달자격에 대한 1차 검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주행습관을 판별하여 배달자격에 대한 2차 검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착용을 감지하여 착용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착용센서(320), 촬영 기능을 제공하는 촬영부(330), 입력 기능이 구비된 입력부(310) 및 상기 입력부의 입력을 수신하면 착용센서와 촬영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90)로 구성된 착용형 안전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적격 판별부는 주행 중 착용감지신호의 미감지에 따른 제3 부적격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시동을 제어하는 시동제어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주행 중 설정된 횟수의 착용감지신호를 미수신하면 주행장치의 구동을 제한하는 구동제한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은 구동제한정보를 수신하면 착용감지신호의 수신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시동제어부는 착용감지신호를 미수신하면 시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KR1020210009671A 2021-01-22 2021-01-22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KR10260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71A KR102609830B1 (ko) 2021-01-22 2021-01-22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71A KR102609830B1 (ko) 2021-01-22 2021-01-22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581A true KR20220106581A (ko) 2022-07-29
KR102609830B1 KR102609830B1 (ko) 2023-12-08

Family

ID=8260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71A KR102609830B1 (ko) 2021-01-22 2021-01-22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8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520A (ko) 2001-02-02 2002-08-09 박명규 전동식 킥보드
KR20130056063A (ko) * 2011-11-21 2013-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주행습관 학습에 따른 mdps 제어방법
KR20200095588A (ko) * 2019-01-17 2020-08-11 정상수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송장치의 모빌리티 데이터 수집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데이터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JP2020123333A (ja) * 2019-01-30 2020-08-13 株式会社ストラドビジョンStradvision,Inc. 走行途中に発生する走行シナリオを検出して、運転者の走行習慣を評価するための情報の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520A (ko) 2001-02-02 2002-08-09 박명규 전동식 킥보드
KR20130056063A (ko) * 2011-11-21 2013-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주행습관 학습에 따른 mdps 제어방법
KR20200095588A (ko) * 2019-01-17 2020-08-11 정상수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송장치의 모빌리티 데이터 수집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빌리티 데이터 수집 방법 및 프로그램
JP2020123333A (ja) * 2019-01-30 2020-08-13 株式会社ストラドビジョンStradvision,Inc. 走行途中に発生する走行シナリオを検出して、運転者の走行習慣を評価するための情報の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830B1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3294B2 (en) Motor vehicl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 dangerous driving warn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90349470A1 (en) Mobile device context aware determinations
US10642276B2 (en) Customize and legalize self-driving motor vehicles
US20190156109A1 (en) Forward-looking radar signals alert via driver's phone
EP2945137B1 (en) Mobile terminal and vehicle control
US9175967B2 (en) Navigation instructions
US9772196B2 (en) Dynamic navigation instructions
US9986084B2 (en) Context-based mobility stoppage characterization
US11978074B2 (en) Driv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4024078B (zh) 用于学习运载工具乘员的身份的系统、方法和设备
US20170279957A1 (en) Transportation-related mobile device context inferences
CN107423869A (zh) 一种基于交通历史记录限制驾驶权限的系统
CN107392056A (zh) 终端及儿童模式实现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448299B2 (en) Information association system
US11580802B2 (en) Scheme for setting/using electronic device as keyless device of vehicle and adjusting devices in the vehicle
KR102221508B1 (ko) 퍼스널 모빌리티용 스마트 헬멧 관리 서버 및 서버 운영 방법
US20190236387A1 (en) Distracted driving detector
US20190389329A1 (en) A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occupant in a vehicle and means thereof
CN112399935B (zh) 使用运载工具内相机连同受信移动计算装置进行无缝驾驶员认证
CN112568904B (zh) 车辆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06581A (ko)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KR20180067145A (ko) 차량 충돌 예방 시스템
JP2021146759A (ja) 移動体用認証システム及び移動体用認証プログラム
KR102509621B1 (ko)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TW201904792A (zh) 酒駕防止之斷電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