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520A - 전동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전동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520A
KR20020064520A KR1020010005064A KR20010005064A KR20020064520A KR 20020064520 A KR20020064520 A KR 20020064520A KR 1020010005064 A KR1020010005064 A KR 1020010005064A KR 20010005064 A KR20010005064 A KR 20010005064A KR 20020064520 A KR20020064520 A KR 2002006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ar wheel
switch
wheel assembly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규
Original Assignee
박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규 filed Critical 박명규
Priority to KR102001000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4520A/ko
Priority to KR20010002486U priority patent/KR200229084Y1/ko
Publication of KR2002006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6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 B62M6/65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with axle and driving shaft arranged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 B62M11/1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built in, or adjacent to, the ground-wheel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6Vehicles with auxiliary ad-on propulsions, e.g. add-on electric motor kits for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1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specially adapted for rear-wheel-drive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단에는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가 고정되고 하단에는 전륜이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전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며 평면을 제공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발판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외부전력을 받아 회전토오크를 발생하는 것으로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외주에는 바퀴가 구비된 후륜어셈블리와; 전력선을 통해 상기 후륜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후륜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후륜어셈블리로 흐르는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는, 킥보드의 바퀴에 배터리로 작동하는 전기모터를 설치하여, 예를들어 한쪽 다리를 사용할 수 없은 경우에도 킥보드를 타고 이동할 수 있고 비교적 먼거리도 다리의 피로 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어 대학캠퍼스나 병원의 복도 또는 대형 매장 등의 건물내부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타 스포츠 레저 및 교통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킥보드{Electric kick board}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주로 타는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킥보드에 모터를 장착하여 모터의 회전력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킥보드는 가볍고 작아 다루기가 쉬우므로 어린이들이 부담없이 타고 노는 기구이다. 상기 킥보드는 전륜 및 후륜과 발판과 전륜을 조향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쪽 발을 발판에 올리고 다른 쪽 발로 땅을 박차 앞으로 나아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킥보드를 어린이 뿐 아니라 대학생이나 직장인 들도 짧은 거리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특히 마땅한 이동수단이 없는 대학의 캠퍼스에서 상기 킥보드를 사용하는 학생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킥보드는 한 쪽 발은 발판에 올리고 다른 쪽 발로 땅을 밀어 그 힘으로 킥보드를 밀고 나아가야 하므로, 예를들어 한 쪽 다리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킥보드를 이용할 수 가 없었다. 또한 이동거리가 비교적 길 경우에는 킥보드를 타고 이동하는동안 힘이 빠지게 될 수 도 있고 더욱이 오르막길일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킥보드를 이용할 수 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킥보드의 바퀴에 배터리로 작동하는 전기모터를 설치하여, 예를 들어 한쪽 다리를 사용할 수 없은 경우에도 킥보드를 타고 이동할 수 있고 비교적 먼거리도 다리의 피로 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어 대학캠퍼스나 병원의 복도 또는 대형 매장 등의 건물내부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타 스포츠 레저 및 교통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식 킥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킥보드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후륜프레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의 후륜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의 회로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수직프레임 13:발판
15:핸들바 17:스위치
19:배터리 21:배터리케이블
23:잭 25:배터리단자
27:전륜 29:후륜어셈블리
31:후륜프레임 33:전력선
35:고무바퀴 37:지지구
39:너트 41:케이싱
43,44:암나사 45:지지돌기
47:관통구 49:삽입구
51:영구자석 53:코일
55:고정자 57:회전자
59:구동기어 61:유성기어
63:링기어 65:기어지지축
67:벨트 71:버클
73:연결부재 75:허브모터
77:손잡이 79:연장부
81:내부통로 85:구멍
87:베어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는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가 고정되고 하단에는 전륜이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전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며 평면을 제공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발판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외부전력을 받아 회전토오크를 발생하는 것으로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외주에는 바퀴가 구비된 후륜어셈블리와; 전력선을 통해 상기 후륜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후륜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후륜어셈블리로 흐르는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에 후륜어셈블리를 설치하도록 발판의 후단부에는 후륜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후륜어셈블리는, 외주에 지면과 접하는 고무바퀴가 고정설치되며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양단이 케이싱을 관통하여 상기 후륜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케이싱을 회전시키는 허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브모터는, 양단부가 케이싱을 관통하여 후륜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는 코일을 갖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서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고정자의 양단부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에 구동기어가 고정되어 있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하는 링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면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유성기어와 링기어를 통해 케이싱에 전달되어 케이싱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터리는 수직프레임 또는 발판에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는 핸들바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선은 일단이 후륜어셈블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치의 일측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타측단자와 배터리는 배터리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배터리케이블을 배터리에 대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별도의 벨트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후륜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스위치는 핸들바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선은 일단이 후륜어셈블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치의 일측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타측단자와 배터리는 배터리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배터리케이블을 배터리에 대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에 대해 배터리케이블을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에는 배터리단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케이블의 단부에는 상기 단자에 끼워지는 잭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시개방형 스위치로서 누를 때만 후륜어셈블리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를 예를 들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는,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직프레임(11)에 연결되며 평면을 제공하는 발판(13)과, 상기 발판(13)을 지지하는 전륜(27) 및 후륜어셈블리(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은 속이 빈 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외주에는 삽입구(49)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49)는 후술하는 전력선(33)이 수직프레임(11)속으로 삽입된 후 상승하여 스위치(17)와 내부연결되도록 마련한 구멍이다.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상단부에는 핸들바(15)가 수평으로 고정된다. 상기 핸들바(15)는 수직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속이 빈 파이프로 제작된 조향수단으로서 양단에는 좌우측 손잡이(77)가 끼워져 있다.
상기 핸들바(15)에는 스위치(17)가 마련된다. 상기 스위치(17)는 항상 오프(off)상태로 대기하다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 온(on)상태가 되는 상시개방형 스위치로서 후술하는 배터리(19)와 후륜어셈블리(29)와의 회로를 차단 또는 접속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치(17) 내부의 일측 단자는 후술하는 전력선(33)과 접속하고 타측단자는 배터리케이블(21)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스위치(17)내의 양단자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보턴(미도시)을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보턴을 누르고 있을 때만 전력선(33)과 배터리케이블(21)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누르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전력선(33)과 배터리케이블(21)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스위치(17)는 엄지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일측 손잡이(77)의 측부에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케이블(21)은 핸들바(15) 내부에서 상기 스위치(17)의 단자에 내부 연결되는 전선으로서 단부에는 잭(23,jack)이 구비된다. 상기 잭(23)은 배터리(19)에 마련된 배터리단자(25)에 끼워지는 통상의 잭으로서 배터리(19)의 전기가 후륜어셈블리(29)에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1)에는 배터리(19)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로서 그 용량은 실시예에 따라 달리할 수 있지만, 보통 가정에서 충전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을 가지는 배터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19)에는 배터리단자(25)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단자(25)는 배터리의 전기가 인출되는 단자로서 상기 잭(23)을 용이하게 꼽을 수 있도록 스위치(17)방향 측면에 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잭(23)은 배터리단자(25)에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킥보드를 사용한 후에는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잭(23)을 배터리단자(25)로부터 뽑아 놓음이 좋다. 킥보드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잭(23)을 배터리단자(25)에 꼽아 사용함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프레임(11)의 하단부에 구비된 전륜(27)은 공지의 고무바퀴로서 핸들바(15)를 좌우로 틂에 따라 킥보드의 진행방향을 전환한다.
발판(13)은 사람이 올라서는 평평한 직사각판으로서 전단부가 수직프레임(11)에 연결되고 후단부에는 후륜어셈블리(29)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과 발판(13)은 연결부재(7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73)는 수직프레임(11)에 고정된 상태로 발판(13)에 핀연결되는 부재로서 중앙부에 전력선(33)이 관통하는 관통구(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륜어셈블리(29)는 본 실시예의 전동식 킥보드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대략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양측부가 후륜프레임(31)에 지지됨으로써 발판(13)에 연결된다. 상기 후륜프레임(31)은 일단이 발판(13)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발판(13)의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강재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부에 사각의 지지구(도 2의 3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구(37)는 후술할 고정자(도 4의 55)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후륜어셈블리(29)는 둥근 원주와 평평한 양측면을 갖는 원통형 케이싱(도 3의 41)과, 상기 케이싱(41)내부에 구비되는 허브모터(도 4의 75)와, 상기 케이싱(41)의 외주에 고정 설치되는 고무바퀴(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허브모터(75)의 양단부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의 형태를 갖는 지지돌기(45)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돌기(45)가 후륜프레임(31)의 지지구(37)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후륜어셈블리(29)는 후륜프레임(31)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륜어셈블리(29)의 자세한 구성 및 동작은 후술된다.
상기 고무바퀴(35)는 케이싱(41)의 외주에 견고히 고정되는 구동바퀴로서 지면과 접한 상태로 케이싱이 회전함에 따라 지면을 밀어 킥보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허브모터(75)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33)은 일단이 후륜어셈블리(29) 내의 코일(도 4의 53)에 연결된 상태로 발판(13)의 하부를 지나 연결부재(73)의 관통구(47)를 통과한 후 수직프레임(11)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승하여핸들바(15)에 설치된 스위치(17)의 일측단자에 내부접속된다.
상기 전력선(33)은 연결부재(73)의 관통구(47)를 통과하므로 하부로 늘어지지 않고 또한 수직프레임(11)의 삽입구(49)를 통해 수직프레임(11)내에 위치하므로 상기 전력선(33)의 노출이 최소화 될 수 있어 정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력선(33)을 공지의 타이밴드(tie band)로 발판(13)이나 연결부재(73)에 타이트하게 묶을 수 도 있다.
도 2는 상기 전동식 킥보드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후륜프레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후륜프레임(31)은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단부는 서로에 대해 벌어져 사이에 후륜어셈블리(29)를 수용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같이 후륜프레임(31)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사각 지지구(37)는 허브모터 고정자(도 4의 55) 양단의 사각 지지돌기(45)를 수용하여 고정자가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멍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의 후륜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후륜어셈블리(29) 케이싱(41)의 중앙 외주에 고무바퀴(35)가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고무바퀴(35)의 설치방식이나 크기 및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41)의 양측 평면부에는 원형 구멍(85)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85)을 통해 허브모터(도 4의 75) 고정자(55)의 양측단부가 외부로 연장된다. 여기서 양측단부라함은 고정자(55)와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 둥근단면을 가져 상기 구멍(85)을 관통하는 연장부(도 4의 79)와, 사각의 지지돌기(45)와, 암나사(43,4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55)의 양측단부는 상호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가짐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79)와 지지돌기(45)와 암나사(43,4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연장부(79)와 지지돌기(45)와 암나사(44)의 내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내부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지지돌기(45)는 후륜프레임(31)에 의해 고정되고 연장부(79)는 구멍(85)을 관통하므로 케이싱(41)이 회전하더라도 내부의 고정자(55)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양측의 암나사(43,44)에는 너트(39)가 결합한다. 상기 너트(39)는 암나사(43,44)와 결합함으로써 후륜프레임(31)을 케이싱(41)측으로 지지하여 후륜어셈블리(29)가 후륜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너트 중 일측의 너트(39)는 코일(도 4의 53)에 연결된 전력선(33)을 통과시킨다.
도 4는 상기 도 1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의 형태를 갖는 케이싱(41)의 외주 중앙에는 고무바퀴(35)가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41)의 양측면에는 구멍(85)이 형성되어 고정자(55)의 양측 연장부(79)가 상기 구멍(85)을 관통하여 케이싱(41) 외부로 연장된 후 후륜프레임(31)에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연장부(79)의 외주면은 베어링(87)을 통해 케이싱(41)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케이싱(41)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55)는 양단이 후륜프레임(31)의 사각 지지구(도 2의 37)에 고정되므로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자(55)는 공지의 모터와 같이 내부에 코일(53)이 감겨있고 회전자(57)를 수용한다. 상기 회전자(57)에는 영구자석(51)이 고정되어 상기 코일(53)에 전기가 인가되면 전자기유도 원리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코일(53)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33)은 고정자(55)의 내부에 형성한 내부통로(81)를 통하여 코일(53)에 연결된다. 상기 내부통로(81)는 일측의 암나사(44)와 지지돌기(45)와 연장부(79)를 통하여 코일로 연결되는 통로로서 고정자(55)의 제작시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고정자(55)에는 두 개의 기어지지축(65)이 마련된다. 상기 기어지지축(65)은 원형 축으로서 고정자(55)와 일체를 이루며 각각의 외주에 유성기어(61)가 끼워진다. 아울러 상기 기어지지축(65)과 유성기어(61)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하여 기어지지축(65)에 대해 유성기어(61)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기어지지축(65) 및 유성기어(61)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자(57)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59)를 고정결합한다. 상기 구동기어(59)는 회전자(57)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유성기어(61)와 치합을 이룬다.
또한 상기 케이싱(41)의 내주면에는 링기어(63)가 마련된다. 상기 링기어(63)는 케이싱(41)의 내주면에 고정된 기어로서 상기 유성기어(61)와 치합한다. 따라서 결국 구동기어(59)의 회전토오크는 유성기어(61)를 통해 링기어(63)로 전달됨으로서 케이싱(41)이 회전하게 된다. 즉, 코일(53)에 전기가 공급되면 케이싱(4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자(57)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기어(59)의 양측 반대편에 유성기어(61)가 각각 위치하여 있고, 상기 유성기어(61)의 바깥쪽에는 링기어(63)가 치합하고 있다. 상기 유성기어(61)는 고정자(55)의 기어지지축(65)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구동기어(59)의 회전력을 링기어(63)로 전달한다. 즉, 상기 유성기어(61)는 공전하지는 않고 그 자리에서 자전만 하므로, 상기 구동기어(59)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링기어(63)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 하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19)가 발판(13)위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배터리(19)를 발판(13)에 설치함으로서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터리(19)의 위치를 발판(13)의 저면에다가 고정시킬 수 도 있으며 또는 발판(13)의 후방측에 설치할 수 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배터리(69)가 킥보드에 고정되는 대신 별도의 밸트(67)에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밸트(67)는 킥보드를 타는 사람이 버클(71)을 결착하여 허리에 차는 밸트이다. 밸트(67)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배터리(69)의 외측면에도 배터리단자(25)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밸트(67)를 허리에 차고 잭(23)을 배터리단자(25)에 끼운 상태로 스위치(17)를 누르면 킥보드가 이동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킥보드의 회로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력선(33)은 후륜어셈블리(29)와 스위치(17)의 일측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17)의 타측단자와 배터리(19)는 배터리케이블(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배터리(19)에는 배터리단자(2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배터리케이블(21)과 배터리(19)는 필요시 용이하게 분리 또는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7)는 통상의 상시 개방형 스위치로서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있고 외부에서 힘을 가하여 누름에 따라 양측단자를 접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전동식 킥보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배터리케이블(21)의 잭(23)을 배터리단자(25)에 끼운다. 이와같이 배터리(19)와 배터리케이블(21)을 연결시킴에따라 후륜어셈블리(29)의 구동준비는 완료된다. 이 때 상기 배터리가 도 7에서와 같이 밸트(67)에 구비되어 있는 배터리라면 사용자는 먼저 밸트(67)를 착용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태에서 스위치(17)를 누르면 배터리(19)의 전기는 배터리케이블(21)과 스위치(17)와 전력선(33)을 통해 후륜어셈블리(29)내의 코일(도 4의 53)로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코일(53)에 전기가 공급되면 전자기유도의 원리에 의해 회전자(57)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자(57)가 회전하면 회전자(57)의 회전력은 구동기어(59)와 유성기어(61)와 링기어(63)을 통해 케이싱(41)으로 전달되어 케이싱(41)을 회전시킨다. 상기 고정자(55)는 후륜프레임(31)에 고정 지지되므로 결국 후륜프레임(31)에 대해 케이싱(4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싱(41)의 외주에는 고무바퀴(35)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킥보드가 전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킥보드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스위치(17)로부터 손을 떼면 후륜어셈블리(29)의 동작은 멈추어 킥보드를 세울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륜을 발판의 뒤에 설치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전륜구동형으로 제작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터리가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배터리의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바, 상기 밸트이외에 예를들어 사용자의 배낭이나 옷의 주머니등에 구비시킬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동식 킥보드는, 킥보드의 바퀴에 배터리로 작동하는 전기모터를 설치하여, 예를들어 한쪽 다리를 사용할 수 없은 경우에도 킥보드를 타고 이동할 수 있고 비교적 먼거리도 다리의 피로 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소음이 없어 대학캠퍼스나 병원의 복도 또는 대형 매장 등의 건물내부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타 스포츠 레저 및 교통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단에는 손잡이를 갖는 핸들바가 고정되고 하단에는 전륜이 설치된 수직프레임과;
    전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며 평면을 제공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발판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외부전력을 받아 회전토오크를 발생하는 것으로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외주에는 바퀴가 구비된 후륜어셈블리와;
    전력선을 통해 상기 후륜어셈블리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후륜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후륜어셈블리로 흐르는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킥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후륜어셈블리를 설치하도록 발판의 후단부에는 후륜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후륜어셈블리는, 외주에 지면과 접하는 고무바퀴가 고정설치되며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양단이 케이싱을 관통하여 상기 후륜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케이싱을 회전시키는 허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킥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모터는, 양단부가 케이싱을 관통하여 후륜프레임에 고정 지지되고 내부에는 상기 전력선과 연결되는 코일을 갖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서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고정자의 양단부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에 구동기어가 고정되어 있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성기어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하는 링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면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유성기어와 링기어를 통해 케이싱에 전달되어 케이싱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동식 킥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수직프레임 또는 발판에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는 핸들바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선은 일단이 후륜어셈블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치의 일측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타측단자와 배터리는 배터리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배터리케이블을 배터리에 대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킥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별도의 벨트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후륜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스위치는 핸들바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선은 일단이 후륜어셈블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위치의 일측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타측단자와 배터리는 배터리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배터리케이블을 배터리에 대해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킥보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대해 배터리케이블을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에는 배터리단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케이블의 단부에는 상기 단자에 끼워지는 잭이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시개방형 스위치로서 누를 때만 후륜어셈블리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킥보드.
KR1020010005064A 2001-02-02 2001-02-02 전동식 킥보드 KR20020064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064A KR20020064520A (ko) 2001-02-02 2001-02-02 전동식 킥보드
KR20010002486U KR200229084Y1 (ko) 2001-02-02 2001-02-02 전동식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064A KR20020064520A (ko) 2001-02-02 2001-02-02 전동식 킥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02486U Division KR200229084Y1 (ko) 2001-02-02 2001-02-02 전동식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520A true KR20020064520A (ko) 2002-08-09

Family

ID=2769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064A KR20020064520A (ko) 2001-02-02 2001-02-02 전동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45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43Y1 (ko) * 2018-03-13 2018-06-14 정대석 전동킥보드용 발판
KR20220106581A (ko) 2021-01-22 2022-07-29 오병훈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343U (ko) * 1973-09-11 1975-05-19
JPH06305471A (ja) * 1993-04-27 1994-11-01 Sanyo Electric Co Ltd 二輪スケート
US5775452A (en) * 1996-01-31 1998-07-07 Patmont Motor Werks Electric scooter
US5848660A (en) * 1997-04-16 1998-12-15 Zap Power Systems Portable collapsible scooter
JPH1159556A (ja) * 1997-08-25 1999-03-02 Toshihisa Suga 電動自転車の駆動装置
KR200180901Y1 (ko) * 1999-12-03 2000-05-15 주식회사피엔에이전자 브러시리스 직류모터 적용 접이식 전기 미니스쿠터
KR200222774Y1 (ko) * 2000-11-17 2001-05-15 주식회사삼한하이텍 착탈 가능한 킥보드용 구동 장치
KR200229084Y1 (ko) * 2001-02-02 2001-07-19 박명규 전동식 킥보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343U (ko) * 1973-09-11 1975-05-19
JPH06305471A (ja) * 1993-04-27 1994-11-01 Sanyo Electric Co Ltd 二輪スケート
US5775452A (en) * 1996-01-31 1998-07-07 Patmont Motor Werks Electric scooter
US5848660A (en) * 1997-04-16 1998-12-15 Zap Power Systems Portable collapsible scooter
JPH1159556A (ja) * 1997-08-25 1999-03-02 Toshihisa Suga 電動自転車の駆動装置
KR200180901Y1 (ko) * 1999-12-03 2000-05-15 주식회사피엔에이전자 브러시리스 직류모터 적용 접이식 전기 미니스쿠터
KR200222774Y1 (ko) * 2000-11-17 2001-05-15 주식회사삼한하이텍 착탈 가능한 킥보드용 구동 장치
KR200229084Y1 (ko) * 2001-02-02 2001-07-19 박명규 전동식 킥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43Y1 (ko) * 2018-03-13 2018-06-14 정대석 전동킥보드용 발판
KR20220106581A (ko) 2021-01-22 2022-07-29 오병훈 배달자격 검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7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tting on and taking off socks or stockings
US20140206506A1 (en) Switching mechanism for a pedal exerciser
EP3256376B1 (en) Single motor power unit
KR101326536B1 (ko) 전동휠체어용 구동장치
KR200229084Y1 (ko) 전동식 킥보드
CN113633525A (zh) 一种制动装置、轮体组件以及助行器
CN113633526A (zh) 一种制动装置、轮体组件以及助行器
CN216021970U (zh) 一种制动装置、轮体组件以及助行器
KR20020064520A (ko) 전동식 킥보드
CN113633527A (zh) 一种制动装置、轮体组件以及助行器
KR200245361Y1 (ko) 발전기가 구비된 헬스 싸이클
CN203447438U (zh) 组合式电动轮椅
CN209505821U (zh) 车轮调节装置及童车
JP2003237680A (ja) 小型電動自転車
US20040263115A1 (en) Charging unit for use with wheeled sports equipment
JP4156728B2 (ja) マッサージ器
US5872413A (en) Pedal activated motor attachment for a hand operated food grinder
KR101758122B1 (ko) 보조배터리 연결수단이 구비된 전동 주행보드
KR200277358Y1 (ko) 착탈이 가능한 전동부를 갖는 휠체어
CN215740311U (zh) 一种制动装置、轮体组件以及助行器
CN110339552A (zh) 一种三轮电动滑板
WO2003095241A1 (en) Clutched wheel
KR200310712Y1 (ko) 운동기구
CN219001897U (zh) 一种可拆卸的智能三角把手
CN215779667U (zh) 一种制动装置、轮体组件以及助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