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945A -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945A
KR20220105945A KR1020210008922A KR20210008922A KR20220105945A KR 20220105945 A KR20220105945 A KR 20220105945A KR 1020210008922 A KR1020210008922 A KR 1020210008922A KR 20210008922 A KR20210008922 A KR 20210008922A KR 20220105945 A KR20220105945 A KR 2022010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evaporation
unit
blow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927B1 (ko
Inventor
노형남
Original Assignee
노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형남 filed Critical 노형남
Priority to KR102021000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9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03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nt heat transfer of samples, e.g. emittance 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2013/003Diffusion; diffusivity between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01N30/12Preparation by evaporation
    • G01N2030/126Preparation by evaporation evaporating sam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5Change of phase or condition
    • G01N2291/0254Evapo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포장 공사 시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 증발량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대상물체에서 증발되는 수분의 온도 및 습도와,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의 인입부에 인접 배치되어 적어도 일방향으로 송풍을 수행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며, 상기 수분 증발량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Moisture Vaporization Amount of Road}
본 발명은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포장 공사 시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 증발량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 포장 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시공 작업 중 온도 및 습도 등의 영향으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건조속도를 유지시켜 강도를 높이기 위한 관리 및 점검이 필요하다.
기존의 도로 포장 공사에서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점검은 통상적으로 육안 관측을 통해 수행되었다. 그러나, 육안 관측의 경우 측정자의 개인차에 따라 측정값이 상이하고, 측정자의 주관이 개입되어 효율적인 수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육안으로 관측하여 점검하는 방법은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측정자가 현장을 수시로 방문해야 하고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에 따라 콘크리트 표면에 있는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조치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972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 포장 공사시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양생제의 사용을 절감하고, 도로의 균열을 방지하도록 수분 증발량을 관리할 수 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대상물체에서 증발되는 수분의 온도 및 습도와,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의 인입부에 인접 배치되어 적어도 일방향으로 송풍을 수행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며, 상기 수분 증발량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를 포함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인입구에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 온습도 센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온습도 센서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온습도 센서; 및 상기 하우징의 인입구에 배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제1 온습도 센서 및 상기 제2 온습도 센서 각각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는 송풍구동부; 및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1 온습도 센서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 각각에서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온습도 센서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 사이의 습도 변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 변이와 상기 제1 온습도 센서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 사이의 감지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수분 증발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알림 및 수분 증발량 표시를 수행하고, 상기 송풍부의 일방향 송풍을 정지시킨 후 반대방향 송풍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풍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송풍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체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정보를 상기 제어회로부에 제공하는 적외선 온도 측정부;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출력부; 및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 상기 송풍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부는, 대상물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질에 따라 적외선 방사율을 설정한 후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인입부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를 이용한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은, 정방향으로 송풍방향을 설정하여 송풍부를 기동하는 단계; 대상물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질에 따라 적외선 온도 측정부 및 가스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사율을 설정하는 단계; 감지된 온도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회로부에서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는 단계; 수분 증발량 변이 그래프를 표시하는 단계; 수분 증발량의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수분 증발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측정된 수분 증발량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측정 완료 알림을 수행하고, 측정값을 표시하는 단계; 정방향 송풍을 정지시키는 단계; 역방향 송풍을 기동시키는 단계; 및 송풍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포장 공사시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 증발량을 수시로 측정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신속히 조치할 수 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양생제의 사용을 절감하고, 도로의 균열을 방지하도록 수분 증발량을 관리할 수 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하우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수분 증발량의 산출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수분 증발량의 산출예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하우징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수분 증발량의 산출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수분 증발량의 산출예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5는 수분 증발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의 산출예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6은 수분 증발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의 산출예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에 인입구(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대상물체(20)에서 증발되는 수분의 온도 및 습도와,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부에 인접 배치되어 적어도 일방향으로 송풍을 수행하는 송풍부(300),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부(300)를 작동시키고,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며, 상기 수분 증발량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400), 상기 하우징(100) 또는 상기 송풍부(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대상물체(20)의 표면(30)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정보를 상기 제어회로부(400)에 제공하는 적외선 온도 측정부(500),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출력부(600), 및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200), 상기 송풍부(300) 및 상기 제어회로부(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전원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은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미리 설정된 체적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일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관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에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 온습도 센서(210),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온습도 센서(220) 및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에 배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 또는 그 주변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온습도 센서(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중간 부분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제1 인입구 센서(211) 및 제2 인입구 센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는 대상물체로부터 증발하여 상기 송풍부(3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로 인입된 수증기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의 반대측(내부 안쪽)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온습도 센서(220)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중간 부분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제1 내측 센서(221) 및 제2 내측 센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는 상기 송풍부(3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로 인입된 후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이동된 수증기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센서(2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 또는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스 센서(2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로 인입된 수증기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300)는 자성체(310)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인입구(110)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310)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송풍부(300)는 정방향(하우징 내부로의 인입 방향) 및 역방향(하우징 외부로의 인출 방향)의 양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부(400)는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 및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 각각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부(300)의 송풍 방향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410), 및 상기 중앙처리부(4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풍부(300)를 구동시키는 송풍구동부(420),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 각각에서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 사이의 상대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대 습도와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 사이의 감지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 각각에서 감지된 습도 변이와,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 사이의 감지 시간 변이를 반영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 각각에서 감지된 온도를 습도로 환산하여 습도 변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습도 변이와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 사이의 감지 시간 변이를 반영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상기 송풍부(300)의 정방향 송풍에 의해 설정된 풍속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된 수증기를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 및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가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온습도 센서(210)가 수증기를 감지한 제1 감지시간(T1)과, 상기 제2 온습도 센서(220)가 수증기를 감지한 제2 감지시간(T2) 사이에 상대습도(RH)의 변이를 반영하여 총 수분 증발량(AEW)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분 증발량이 작은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수분 증발량(AEW)을 측정할 수 있고, 수분 증발량이 많은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수분 증발량(AEW)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수분 증발량의 측정을 완료하면, 측정된 수분 증발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측정된 수분 증발량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측정 완료 알림을 수행하고, 상기 입출력부(600)를 통해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410)는 상기 송풍부(300)의 일방향(정방향) 송풍을 정지시킨 후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반대방향(역방향) 송풍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풍구동부(4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풍구동부(420)는 상기 송풍부(300)의 기동, 정지, 송풍 방향, 송풍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풍구동부(420)는 상기 송풍부(300)의 정방향 송풍 속도를 제어하여 저속 흡입을 구현하거나, 상기 송풍부(300)의 역방향 송풍 속도를 제어하여 고속 배출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회로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분 증발량 측정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 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410)로 출력하는 스타트 버튼(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30)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설정된 정보(측정된 수분 증발량)를 송신하거나,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부(430)는 수분 증발량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로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설정 입력값을 수신하여 상기 중앙처리부(4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부(500)는 대상물체(20)의 표면(30)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부(500)는 상기 중앙처리부(410)의 제어에 따라 적외선 방사율을 설정하여 대상물체(20)의 표면(30)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방사율은 대상물체(20)의 표면(30)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체(20)에 따라 표면(30)에서 적외선의 방사율이 달라지므로, 달라지는 방사율을 보정해주기 위하여 보정계수를 반영하여 방사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물체(20)의 표면(30)에 물이 있는 경우,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기 전에,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처리부(410)가 적외선 방사율을 결정하고, 표면(30)에 물이 있는 상태를 반영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대상물체(20)의 표면(30)에 콘트리트만 있는 경우,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기 전에,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처리부(410)가 적외선 방사율을 결정하고, 표면(30)에 콘크리트만 있는 상태를 반영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대상물체(20)의 표면(30)에 피막 양생제가 있는 경우,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기 전에,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처리부(410)가 적외선 방사율을 결정하고, 표면(30)에 콘크리트만 있는 상태를 반영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30)에 있는 물질에 따라 방사율을 보정 설정하게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10)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 대상물체(20)의 표면(30)에 어떤 물질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를 반영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600)는 상기 중앙처리부(410)에서 측정된 수분 증발량의 변이 그래프, 적외선 온도 측정값, 내부 수분, 온도, 가스, 측정값, 배터리 전압값, 송풍 속도 제어, 적외선 온도 측정부 방사율, 전원 온오프(On/Off) 등의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부(600)는 사용자의 입력을 터치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출력부(600)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700)는 리차저블(rechargeable)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700)는 배터리 전압과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부(700)는 모니터링한 배터리 전압과 배터리 충전 상태를 상기 입출력부(60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은 송풍구동부에서 정방향으로 송풍방향을 설정하여 송풍부를 기동시키는 단계(S110), 적외선 온도 측정부에서 대상물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질을 감지하는 단계(S120), 중앙처리부에서 대상물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질에 따라 적외선 온도 측정부 및 가스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사율을 설정하는 단계(S130), 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회로부에서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는 단계(S140), 입출력부에서 수분 증발량 변이 그래프를 표시하는 단계(S150), 수분 증발량의 측정이 완료되면, 중앙처리부에서 측정된 수분 증발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60), 비교 결과, 측정된 수분 증발량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중앙처리부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측정 완료 알림을 수행하고, 입출력부를 통해 측정값을 표시하는 단계(S170),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송풍구동부에서 송풍부의 정방향 송풍을 정지시키는 단계(S180), 송풍구동부에서 송풍부의 역방향 송풍을 기동시키는 단계(S190) 및 송풍구동부에서 송풍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130에서는 대상물체의 표면에 물이 있을 경우, 단계 S132로 이동하여 물에 상응하여 설정된 적외선 방사율로 적외선 온도 측정부의 방사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스 센서를 통해 양생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측정값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에서는 대상물체의 표면에 콘크리트만 있을 경우, 단계 S134로 이동하여 콘크리트에 상응하여 설정된 적외선 방사율로 적외선 온도 측정부의 방사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스 센서를 통해 양생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측정값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30에서는 대상물체의 표면에 피막 양생제가 있을 경우, 단계 S136으로 이동하여 양생제에 상응하여 설정된 적외선 방사율로 적외선 온도 측정부의 방사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스 센서를 통해 양생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측정값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130에서 방사율은 입출력부의 화면에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포장 공사시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 증발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분 증발량을 수시로 측정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신속히 조치할 수 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양생제의 사용을 절감하고, 도로의 균열을 방지하도록 수분 증발량을 관리할 수 있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20: 대상물체
30: 표면
100: 하우징
110: 인입구
200: 센서부
210: 제1 온습도 센서
220: 제2 온습도 센서
230: 가스 센서
300: 송풍부
310: 자성체
400: 제어회로부
410: 중앙처리부
420: 송풍구동부
430: 통신부
440: 스타트 버튼
500: 적외선 온도 측정부
600: 입출력부
700: 전원부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대상물체에서 증발되는 수분의 온도 및 습도와,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의 인입부에 인접 배치되어 적어도 일방향으로 송풍을 수행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며, 상기 수분 증발량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를 포함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인입구에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 온습도 센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온습도 센서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2 온습도 센서; 및
    상기 하우징의 인입구에 배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제1 온습도 센서 및 상기 제2 온습도 센서 각각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부의 송풍 방향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는 송풍구동부; 및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1 온습도 센서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 각각에서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온습도 센서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 사이의 습도 변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 변이와 상기 제1 온습도 센서와 상기 제2 온습도 센서 사이의 감지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수분 증발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알림 및 수분 증발량 표시를 수행하고, 상기 송풍부의 일방향 송풍을 정지시킨 후 반대방향 송풍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풍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송풍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체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정보를 상기 제어회로부에 제공하는 적외선 온도 측정부;
    설정된 방식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출력부; 및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 상기 송풍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온도 측정부는,
    대상물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질에 따라 적외선 방사율을 설정한 후 적외선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의 인입부 전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를 이용한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은,
    정방향으로 송풍방향을 설정하여 송풍부를 기동하는 단계;
    대상물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질에 따라 적외선 온도 측정부 및 가스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사율을 설정하는 단계;
    감지된 온도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어회로부에서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는 단계;
    수분 증발량 변이 그래프를 표시하는 단계;
    수분 증발량의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수분 증발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측정된 수분 증발량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측정 완료 알림을 수행하고, 측정값을 표시하는 단계;
    정방향 송풍을 정지시키는 단계;
    역방향 송풍을 기동시키는 단계; 및
    송풍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분 증발량 측정방법.
KR1020210008922A 2021-01-21 2021-01-21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 KR102479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22A KR102479927B1 (ko) 2021-01-21 2021-01-21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22A KR102479927B1 (ko) 2021-01-21 2021-01-21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45A true KR20220105945A (ko) 2022-07-28
KR102479927B1 KR102479927B1 (ko) 2022-12-21

Family

ID=8260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922A KR102479927B1 (ko) 2021-01-21 2021-01-21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9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807A (ko) * 1991-07-18 1993-02-23 곽복희 적외선 방사량을 이용한 온도측정 방법
JP2601735B2 (ja) * 1991-07-04 1997-04-16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未硬化コンクリート中の混和剤量測定方法と装置
JP2000005135A (ja) * 1998-06-19 2000-01-11 Nikkiso Ysi Kk 水分蒸発量測定装置
JP2009014635A (ja) * 2007-07-09 2009-01-22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水分放散量測定装置、及び水分放散量測定設備
KR102189720B1 (ko) 2019-03-14 2020-12-1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블록의 증발성능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1735B2 (ja) * 1991-07-04 1997-04-16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未硬化コンクリート中の混和剤量測定方法と装置
KR930002807A (ko) * 1991-07-18 1993-02-23 곽복희 적외선 방사량을 이용한 온도측정 방법
JP2000005135A (ja) * 1998-06-19 2000-01-11 Nikkiso Ysi Kk 水分蒸発量測定装置
JP2009014635A (ja) * 2007-07-09 2009-01-22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水分放散量測定装置、及び水分放散量測定設備
KR102189720B1 (ko) 2019-03-14 2020-12-11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블록의 증발성능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927B1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6053B2 (en) Combination device for measuring tire temperature, pressure, and depth
KR101779761B1 (ko)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한 온도 보정 체온계 및 방법
JP4344236B2 (ja) 漏れ検出器および漏れ検出器の運転法
US9176021B2 (en) Leak detection device using hydrogen as tracer gas
CA2079040A1 (en) Thermostat having simple battery level detection
JP2019520103A5 (ko)
JP2009501919A (ja) スニファーリークディテクタ
KR20220105945A (ko) 도로 수분 증발량 측정기 및 측정 방법
US7640791B2 (en) Leak detecting device
JP4364218B2 (ja) 洩れ検査方法及び洩れ検査装置
CN109716089B (zh) 具有与距离相关的载气流量控制的嗅探器检漏仪
JP3488051B2 (ja) ガス分析装置
EP4317808A3 (en) Humidity measuring device
KR100651061B1 (ko) 골프공공급장치
JP6913646B2 (ja) 風速測定機及び環境試験装置
JP7445379B2 (ja) 固体電解質センサ
JP7085405B2 (ja) 熱源システム、制御装置、熱源システム運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51415B1 (ko) 그래핀 다이오드 센서를 이용한 공기선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90257789A1 (en) Magnetic body detection device,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perform magnetic body detection func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program
US9629204B2 (en) Detection and correction of window moisture condensation
JP2007101479A (ja) 凝縮センサー
JP7212586B2 (ja) 携帯型環境計測装置
JP2001269407A (ja) 医療用ガス流量計
JP2022091294A (ja) 計測装置ユニット
CN101957216A (zh) 位置感测装置及位置感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