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475A -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475A
KR20220104475A KR1020210006816A KR20210006816A KR20220104475A KR 20220104475 A KR20220104475 A KR 20220104475A KR 1020210006816 A KR1020210006816 A KR 1020210006816A KR 20210006816 A KR20210006816 A KR 20210006816A KR 20220104475 A KR20220104475 A KR 20220104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pipe
sub
coupling hole
rot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222B1 (ko
Inventor
김광추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222B1/ko
Priority to US17/573,507 priority patent/US20220226787A1/en
Publication of KR2022010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50Pipe mixers, i.e. mixers wherein the materials to be mixed flow continuously through pipes, e.g. column mix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15Whirl chambers, e.g. vortex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15D1/04Arrangements of guide vanes in pipe elbows or duct bends; Construction of pipe conduit elements for elbows with respect to flow, e.g. for reducing losses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2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15D1/006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active means, e.g. supplying external energy or injecting fluid
    • F15D1/007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active means, e.g. supplying external energy or injecting fluid comprising surfaces being moved by external supplie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열성층 제거장치는,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배관에 형성되는 열성층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이격되어 상기 분기배관의 타측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제2 몸체를 갖는 연결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기배관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Thermal stratification removal device caused by turbulent penetration using rotation of pipe wall}
본 발명은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기배관으로 침투된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성층을 배관벽을 회전시켜서 제거하는 열성층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플랜트에서 고온 및 고유량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서 막다른(dead-end) 분기배관으로 난류 에디(eddy)들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열성층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1과 같이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 분기배관이 결합되고, 상기 분기배관이 밸브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경우 플랜트 운전 초기에 난류 에디들이 분기배관으로 침투하게 된다. 이러한 난류침투(turbulent penetration)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우관을 지나서 수평배관부에 열성층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열성층 현상은 배관 상하단 간의 열팽창률의 차이로 인해 굽힘응력(bending stress)을 발생시켜서 배관 및 지지대에 심각한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열성층 현상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면 열피로로 인한 균열이 야기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와 같이 안전이 중요시 되는 플랜트의 경우에는 열성층에 의한 심각한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기배관으로 침투된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성층을 배관벽을 회전시켜서 제거하는 열성층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는,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배관에 형성되는 열성층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이격되어 상기 분기배관의 타측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제2 몸체를 갖는 연결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기배관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배관은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제1 분기관, 상기 제1 분기관에 연결되어 유체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엘보우관, 및 상기 엘보우관에 연결되는 제2 분기관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엘보우관과 상기 제2 분기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회전부의 외경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는 마주하는 직사각형의 상기 제1,2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경은 상기 분기배관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가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회전부의 중심을 지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90° 간격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이격되어 마련되는 풀리; 상기 풀리와 상기 회전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동력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서브몸체; 상기 제1 결합공과 대향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서브몸체; 및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서브몸체 및 상기 제2 서브몸체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는, 제3 결합공이 형성된 제3 서브몸체; 상기 제3 결합공과 대향하는 제4 결합공이 형성된 제4 서브몸체; 및 상기 제3 결합공 및 제4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3 서브몸체 및 상기 제4 서브몸체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는, 분기배관으로 침투된 난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성층을 배관벽을 회전시켜서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관벽을 회전시킬 때, 점성이 있는 유체가 상기 회전되는 배관벽과의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열성층을 제거하는 것으로, 비교적 작은 회전력으로 열성층 제거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배관 진동 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성층 제거장치는 모듈화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 배관망의 배치(layout)를 변경하지 않고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분기배관이 제1 분기관, 엘보우관, 및 제2 분기관을 포함하는 경우, 운전 중 열성층은 상기 엘보우관과 제2 분기관이 연결되는 지점 부위에서 시작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열성층 제거장치는 상기 엘보우관과 제2 분기관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하여 초기에 작은 회전력으로 열성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성층을 제거하기 위해서 배관 내에서 유체와 충돌하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별도 구조물에 의한 압력 강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별도의 구조물이 유체의 흐름으로 파손되어 발생하는 기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체의 흐름으로 인하여 상기 구조물이 파손되면 파편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파편에 의해 배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다른 기기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원자력발전소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파편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기배관에 발생하는 열성층을 미연에 제거하므로, 배관 건전성 평가를 위한 초음파 감시 장비 등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장비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분기배관에 난류가 침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분기배관에 열성층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성층 제거장치가 분기배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열성층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5는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6은 열성층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7은 도3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분기배관에 난류가 침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분기배관에 열성층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성층 제거장치가 분기배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4는 열성층 제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열성층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7은 도6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는, 다양한 산업플랜트에서 고온 및 고유량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유체의 흐름을 분기시키는 분기배관이 결합될 때, 상기 분기배관에 발생하는 열성층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랜트 운전 초기에 상기 분기배관이 밸브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면, 난류 에디들이 막다른(dead-end) 분기배관으로 침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정체된 분기배관에 난류가 침투하여 발생하는 열성층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100)는,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1)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주배관(1)보다 적은 유량의 유체가 흐르는 분기배관(2)에 형성되는 열성층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성층 제거장치(100)는, 연결몸체부(10) 및 회전부(20)를 포함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몸체부(10)는 상기 분기배관(2)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부재로서, 상기 분기배관(2)의 일측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 몸체(11)와, 상기 제1 몸체(11)와 이격되어 상기 분기배관(2)의 타측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제2 몸체(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몸체(11)와 상기 제2 몸체(12)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 상기 분기배관(2)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제1 몸체(11)와 상기 제2 몸체(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기배관(2)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한다. 상기 분기배관(2)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한다고 함은, 상기 분기배관(2)의 직경의 중심에 대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서 회전함을 의미한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제1 몸체(11)와 상기 제2 몸체(12) 사이에 끼여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20) 및 연결몸체부(10)의 내경은 상기 분기배관(2)의 내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20)와 상기 연결몸체부(10)의 내주면은 상기 분기배관(2)의 내주면과 같이 배관벽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연결몸체부(10) 사이에 끼여서 회전하므로 배관벽이 회전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20)는 그 외주면이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경은 상기 분기배관(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의 외경이 분기배관(2)의 외경보다 크게 제작되어 회전자의 강도가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11) 및 상기 제2 몸체(12)는, 상기 회전부(20)의 외경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20)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 사이에 배치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0)가 제1,2 몸체(11,12) 사이에 수용되면, 상기 제1,2 몸체(11,12)의 모서리가 상기 회전부(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2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기배관(2)은 제1 분기관(3), 엘보우관(4), 제2 분기관(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분기관(3)은 상기 주배관(1)을 따라 흐르는 유체를 분기시키도록 상기 주배관(1)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배관이다. 상기 엘보우관(4)은 상기 제1 분기관(3)에 연결되어 유체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굽어진 형태의 배관이다. 상기 제2 분기관(5)은 상기 엘보우관(4)에 연결되어 상기 주배관(1)으로부터 분기한 유체를 소정의 장소로 이송하는 배관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직선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엘보우관(4)을 포함하는 분기배관(2)의 경우에, 상기 엘보우관(4)과 상기 제2 분기관(5)의 사이에 배치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우관(4)을 포함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이 변경되는 배관계에서, 운전 중 열성층은 엘보우관(4)과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제2 분기관(5)이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하여 주변부에 영향을 주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열성층 제거장치(100)를 상기 엘보우관(4)과 제2 분기관(5)이 만나는 지점 부위에 설치하여 열성층이 집중 형성되는 것을 초기에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11)는 엘보우관(4)에 결합되어 제2 몸체(12)는 제2 분기관(5)에 결합되며, 회전부(20)는 상기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2 몸체(11,12) 및 상기 회전부(20)의 구조 및 결합 관계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20)는, 링부(21), 제1 연결부(22) 및 제2 연결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링부(2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경이 상기 분기배관(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링부(21)는 상기 제1 몸체(11) 및 상기 제2 몸체(12)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연결부(22) 및 상기 제2 연결부(23)는, 상기 링부(21)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11)와 상기 제2 몸체(12)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제1 몸체(11) 및 상기 제2 몸체(12)에는 상기 제1 연결부(22) 및 제2 연결부(23)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114) 및 제2 삽입부(12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22) 및 상기 제2 연결부(23)에는, 상기 회전부(20)의 중심을 지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221) 및 상기 제2 돌출부(231)가 각각 마련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221) 및 상기 제2 돌출부(231)는 리드가 없는 나사산 형태의 모양을 갖는다. 상기 제1 돌출부(221) 및 제2 돌출부(231)는 산의 높이가 같은 톱니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몸체(11)의 제1 삽입부(114) 및 상기 제2 몸체(12)의 제2 삽입부(124)에는 상기 제1 돌출부(221) 및 제2 돌출부(231)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115) 및 제2 삽입홈(125)이 각각 형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0)의 링부(21)는 상기 제1 몸체(11)와 상기 제2 몸체(12)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1 돌출부(221)가 제1 삽입홈(115)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부(231)가 제2 삽입홈(125)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20)가 상기 제1,2 몸체(11,12)를 중간에서 결속하는 기능을 아울러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몸체(11), 회전부(20), 및 제2 몸체(12)는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11)는, 제1 서브몸체(111), 제2 서브몸체(112), 및 제1 체결부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몸체(12)는, 제3 서브몸체(121), 제4 서브몸체(122), 및 제2 체결부재(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몸체(111)와 제2 서브몸체(112)는 그 내주면이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된 것으로, 상기 제1 서브몸체(111)와 상기 제2 서브몸체(112)가 서로 맞닿아 결합된다. 상기 제1 서브몸체(111)에는 제1 결합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몸체(112)에는 상기 제1 결합공(116)과 대향하여 제2 결합공(117)이 형성된다. 제1 체결부재(113)는 상기 제1 결합공(116)과 제2 결합공(117)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서브몸체(111)와 상기 제2 서브몸체(112)를 체결한다. 상기 체1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결합공(116)과 제2 결합공(117)을 관통하고 그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몸체(121)와 제4 서브몸체(122)는, 상기 제1 서브몸체(111)와 제2 서브몸체(11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상기 제3 서브몸체(121)와 제4 서브몸체(122)는, 그 내주면이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서브몸체(121)와 제4 서브몸체(122)가 서로 맞닿아 결합된다. 상기 제3 서브몸체(121)에는 제3 결합공(126)이 형성되고 상기 제4 서브몸체(122)에는 상기 제3 결합공(126)과 대향하는 제4 결합공(127)이 형성된다. 제2 체결부재(123)는 상기 제3 결합공(126)과 제4 결합공(127)에 삽입되어 상기 제3 서브몸체(121)와 상기 제4 서브몸체(122)를 체결한다. 상기 제2 체결부재(123)는, 상기 제1 체결부재(113)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 결합공(126)과 제4 결합공(127)을 관통하고 그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구동부(30)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부(30)는 풀리(31), 동력전달부재(32), 및 동력공급원(33)을 포함한다. 상기 풀리(31)는 상기 회전부(20)와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32)는 상기 풀리(31)와 상기 회전부(20)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32)의 일측은 상기 회전부(20)에 감기고, 타측은 상기 풀리(31)에 감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전달부재(32)는 벨트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동력전달부재(32)는 벨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력공급원(33)은, 상기 풀리(31)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동력공급원(33)에 의해 상기 풀리(31)가 회전하면, 상기 동력전달부재(32)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에 의해 분기배관(2)에 채워진 유체가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혼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20)의 내주면에는 유체의 회전을 증대시키는 돌기(2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24)는 분기배관(2)에 마련된 밸브(6)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유체의 흐름을 허용할 때, 분기배관(2) 내에 유체의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크기, 예컨대 분기배관(2)의 내경대비 3 ~ 5% 정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24)는 상기 회전부(2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24)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6)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20)가 회전할 때 상기 유체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밸브(6)가 개방되어 유체가 제2 분기관(5)을 통해 흐를 때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압력 강하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24)는 회전부(20)의 내주면에 90°간격으로 4개가 배치된다. 물론, 상기 돌기(24)의 개수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돌기(24)의 개수가 증가할 수도록 유체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3개 내지 4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100)의 작용 내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산업 플랜트에서 고온 및 고유량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1)이 마련되고, 상기 유체를 원하는 장소로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주배관(1)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배관(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 따르면, 상기 주배관(1)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배관(2)은, 상기 주배관(1)으로부터 제1 분기관(3), 엘보우관(4), 및 제2 분기관(5) 순으로 연결되어 마련된다.
상기 유체가 주배관(1)을 따라 유동하고 상기 분기배관(2)을 따라 유동하지 않을 때, 예컨대 운전 초기 또는 필요한 조건에 따라서 상기 분기배관(2)에 마련된 밸브(6)는 폐쇄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주배관(1)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분기배관(2)으로 침투하는 난류침투 현상이 발생하고, 상기 난류침투 현상에 의해 열성층이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엘보우관(4)을 구비하는 분기배관(2)의 경우에는 엘보우관(4)과 제2 분기관(5)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열성층이 활발하게 발생하여 제2 분기관(5)으로 확산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100)는, 상기 엘보우관(4)과 제2 분기관(5)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성층 제거장치(100)는 모듈화되어 사전에 제작된 후 상기 엘보우관(4)과 제2 분기관(5) 사이에 결합된다. 회전부(20)의 제1 연결부(22) 및 제2 연결부(23)를 상기 제1 몸체(11)의 제1 삽입홈(115) 및 제2 몸체(12)의 제2 삽입홈(125)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11)는 상기 제1,2 서브몸체(111,112)가 서로 마주하고, 상기 제2 몸체(12) 역시 상기 제3 서브몸체(121) 및 제4 서브몸체(122)가 마주하여 배치된다. 이어서 제1,2 체결부재(113,123)를 이용하여, 상기 제1,2 서브몸체(111,112) 및 상기 제3,4 서브몸체(121,122)를 체결하여 모듈화가 완성된다. 상기 제1 몸체(11)는 엘보우관(4) 측에, 상기 제2 몸체(12)는 제2 분기관(5) 측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동력전달부재(32)의 일측은 상기 회전부(20)에 감기며, 상기 동력전달부재(32)의 타측은 풀리(31)에 감긴다. 상기 분기배관(2)을 개폐하는 밸브(6)가 폐쇄되고, 주배관(1)을 따라 유체가 흐르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재(32)는 동력공급원(33)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20)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회전하면서 유체를 혼합하여 상기 엘보우관(4)과 상기 제2 분기관(5)이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열성층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100)는 밸브(6)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분기배관(2)으로 침투하는 난류 에디에 의해 발생하는 열성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듈화되어 기존의 배관망을 변경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엘보우관(4)과 제2 분기관(5) 사이에 배치되므로 유지 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 중이거나 건설이 완료 또는 진행 중인 플랜트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분기배관(2)의 밸브(6)가 개방되어, 분기배관(2)을 통하여 유체가 흐르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열성층 제거장치(100)는 배관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압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별도 구조물의 파손에 의한 비산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비산물에 의한 추가적인 기기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원자력 발전소에 적용되는 경우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성층 제거장치(100)는 회전부(20)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지 않고도 충분한 열성층 제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10 내지 13회/1분(10rpm~ 13rpm) 내외의 빠르기로 충분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분기배관(2)의 밸브(6)가 개방되어 유체가 분기배관(2)을 따라 흐르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성층 제거장치(100)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그 운전에 큰 전기 부하를 요구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열성층을 사전에 차단하므로, 실험이나 전산해석을 통한 열성층 또는 열피로에 대한 배관 건전성 평가를 생략할 수 있으며, 배관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초음파 감시 설비 등의 설치가 필요 없으므로 이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연결몸체부 11... 제1 몸체
111... 제1 서브몸체 112... 제2 서브몸체
113... 제1 체결부재 114... 제1 삽입부
115... 제1 삽입홈 116... 제1 결합공
117... 제2 결합공 12... 제2 몸체
121... 제3 서브몸체 122... 제4 서브몸체
123... 제2 체결부재 124... 제2 삽입부
125... 제2 삽입홈 126... 제3 결합공
127... 제4 결합공 20... 회전부
21... 링부 22... 제1 연결부
23... 제2 연결부 221... 제1 돌출부
231... 제2 돌출부 24... 돌기
30... 구동부 31... 풀리
32... 동력전달부재 33... 동력공급원
1... 주배관 2... 분기배관
3... 제1 분기관 4... 엘보우관
5... 제2 분기관 6... 밸브
100... 열성층 제거장치

Claims (10)

  1.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분기배관에 형성되는 열성층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의 일측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이격되어 상기 분기배관의 타측에 연결되는 중공형의 제2 몸체를 갖는 연결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기배관의 중심에 대하여 회전하는 중공형의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은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분기하는 제1 분기관, 상기 제1 분기관에 연결되어 유체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엘보우관, 및 상기 엘보우관에 연결되는 제2 분기관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엘보우관과 상기 제2 분기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회전부의 외경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회전부는 마주하는 직사각형의 상기 제1,2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부 및 상기 회전부의 내경은 상기 분기배관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부 및 제2 삽입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는, 상기 회전부의 중심을 지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회전부의 내주면에 90°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와 이격되어 마련되는 풀리;
    상기 풀리와 상기 회전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풀리를 회전시키는 동력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서브몸체;
    상기 제1 결합공과 대향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서브몸체; 및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서브몸체 및 상기 제2 서브몸체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몸체는,
    제3 결합공이 형성된 제3 서브몸체;
    상기 제3 결합공과 대향하는 제4 결합공이 형성된 제4 서브몸체; 및
    상기 제3 결합공 및 제4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3 서브몸체 및 상기 제4 서브몸체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KR1020210006816A 2021-01-18 2021-01-18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KR10247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816A KR102477222B1 (ko) 2021-01-18 2021-01-18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US17/573,507 US20220226787A1 (en) 2021-01-18 2022-01-11 Apparatus for removing thermal stratification generated by turbulent penetration by using rotation of pipe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816A KR102477222B1 (ko) 2021-01-18 2021-01-18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475A true KR20220104475A (ko) 2022-07-26
KR102477222B1 KR102477222B1 (ko) 2022-12-13

Family

ID=8240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816A KR102477222B1 (ko) 2021-01-18 2021-01-18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226787A1 (ko)
KR (1) KR1024772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15B1 (ko) * 2006-09-26 2007-06-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세라믹 라이닝 강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20001413A (ko) * 2010-06-29 2012-01-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열성층이 발생하는 배관부재의 내부 유동 혼합 장치
JP6063258B2 (ja) * 2009-07-08 2017-01-18 エンドゥガード リミテッド 内視鏡用アクセサリクリップ
JP6118315B2 (ja) * 2011-06-10 2017-04-19 ケーエムティ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化合物粉末の製造装置、それを利用した鉄−ホウ素化合物粉末の製造方法、ホウ素合金混合粉末とその製造方法、粉末結合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鋼管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15B1 (ko) * 2006-09-26 2007-06-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세라믹 라이닝 강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JP6063258B2 (ja) * 2009-07-08 2017-01-18 エンドゥガード リミテッド 内視鏡用アクセサリクリップ
KR20120001413A (ko) * 2010-06-29 2012-01-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열성층이 발생하는 배관부재의 내부 유동 혼합 장치
JP6118315B2 (ja) * 2011-06-10 2017-04-19 ケーエムティ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化合物粉末の製造装置、それを利用した鉄−ホウ素化合物粉末の製造方法、ホウ素合金混合粉末とその製造方法、粉末結合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鋼管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222B1 (ko) 2022-12-13
US20220226787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843B2 (en) Fluid control valve
KR101994244B1 (ko) 접속면을 구비한 조인트, 관조인트를 구비한 관, 및 이들로 구성된 배관구조
US20100307604A1 (en) Resilient plu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5449250B2 (ja) 精密な圧力および流量調節が可能なコーンバルブ
KR20220104475A (ko) 배관벽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KR20220104476A (ko) 회전링을 이용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KR20220104474A (ko) 내외링의 회전을 통한 난류침투 열성층 제거장치
CN113585430A (zh) 一种用于检查井和管道接口处涌水的非开挖修复构件及方法
JP5763601B2 (ja) 止水装置
KR19990064751A (ko) 만능각도 관이음 플렌지
WO1995011369A1 (en) Friction plug for a high pressure pipe
KR20190051587A (ko) 파이프 이음용 티
JP6238641B2 (ja) 分岐用穿孔装置
CN107489626B (zh) 一种水流管道的中段增压器
JP5160318B2 (ja) 分岐管接続装置及び分岐管接続工法
EP3983664B1 (en) Assembly for the generation of power from a fluid flow and installation process for such assemblies
CN216112551U (zh) 一种用于检查井和管道接口处涌水的非开挖修复构件
CN214405031U (zh) 一种大直径钢筋混凝土顶管
JP2014031814A (ja) 精密な圧力及び流量調節が可能なコーン弁
WO2024115869A1 (en) A pipe connector
FI12181U1 (fi) Tarkastuskaivo poimutetuille hulevesiputkille
WO2022042025A1 (zh) 一种深井泵的泵头
KR20120046453A (ko) 파이프 연결장치
CN103205968B (zh) 用于将待固结加压流体混合物喷射到地下的喷射头
JPH07119899A (ja) 混合流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