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864A - Patient bed - Google Patents

Patient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864A
KR20220103864A KR1020210006229A KR20210006229A KR20220103864A KR 20220103864 A KR20220103864 A KR 20220103864A KR 1020210006229 A KR1020210006229 A KR 1020210006229A KR 20210006229 A KR20210006229 A KR 20210006229A KR 20220103864 A KR20220103864 A KR 20220103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tient
bed
lower fram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8588B1 (en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102021000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588B1/en
Publication of KR2022010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8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8Steering or braking devices for cast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atient bed. The patient bed includes a base frame; and a mat membe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wherein portions of the base frame and the mat member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patient with poor mobility to defecate directly from a bed to a toilet bowl.

Description

환자용 침대{Patient bed}Patient bed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bed.

일반적으로 환자용 침대(50)은 승하강 가능한 보호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 가이드 사이에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시트가 재치되어 있다. 이러한 환자용 침대를 의료 기관에서 이용하는 경우, 의료 기관의 입원실 출입문이 환자용 침대보다 크게 설계되어 이동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는다. In general, the patient bed 50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protective guide, and a seat on which the patient can lie is placed between the protective guides. When such a patient bed is used in a medical institution, the entrance to the hospital room of the medical institution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patient bed, so there is no problem in moving.

그러나, 재가 보호 환자의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이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배면을 위해 화장실까지 이동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However, for home care patients, it is very difficult to move the disabled patient. In particular, it is very difficult for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to go to the bathroom for a back view.

(0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2850(2010.11.23.)(0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2850 (2010.11.23.)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 위에서 변기로 직접 배변이 가능케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d for a patient in which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can have a bowel movement directly from the bed to the toile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 위에서 변기로 직접 배변이 가능케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tient bed that enables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to defecate directly from the bed to the toil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매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매트 부재의 일부 영역이 좌측 및 우측으로 이격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tient bed, the base frame; and a mat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wherein a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the mat member are spaced apart to the left and right, and a patient bed may be provided.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 영역이 좌측 및 우측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mber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and fixing a portion of the base frame so as not to be spaced apart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매트 부재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 The base frame and the mat member include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wherein the lower frame is form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right when the lock member is unlocked.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복수의 바퀴 부재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각각의 바퀴 부재는 높이가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and the heights of the respective wheel members formed o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may be independently adjusted.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접합면은 샤프트 부재로 연결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의 높이 조절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접합면을 대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The joint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connected by a shaft member, and the upper frame may be inclined to face the joint surfac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변기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가 위치되되,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변기의 높이에 상응하여 상기 복수의 바퀴 부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A sensor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toilet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and the heights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oilet sensed by the sensor.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일회용 변기 부재가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A disposable toilet member may be mounted or detache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ame.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부재 중 일부 바퀴 부재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하부 프레임이 좌우 대칭 구조로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 As some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are moved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lower frame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 위에서 변기로 직접 배변이 가능케 할 수 있다.By providing a bed for 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can have a bowel movement directly from the bed to the toilet.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의 신체적/육체적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화장실 이동을 위해 침대에서 이동시 자주 발생하는 낙상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ysical/physical fatigue of the caregiver, as well as to reduce the fall accidents that frequently occur when a patient with poor mobility moves from bed to move to the bathro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이 좌우 대칭 구조로 소정 각도 이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 환자가 있는 상태에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기울어진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높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tient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 low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is in the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clined shape of the upp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hape of a toil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이 좌우 대칭 구조로 소정 각도 이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 환자가 있는 상태에서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기울어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높이 조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d for a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low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FIG. 3 is this view It is a view illustrating movement in a state in which a patient is in a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inclined shape of the uppe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hape of the toil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및 매트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 the patient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frame 110 and a mat member 120 .

베이스 프레임(110)은 침대의 몸체를 구성하며, 매트 부재(120)를 지지하고, 침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바퀴 부재가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frame 110 constitutes the body of the bed, supports the mat member 120, and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enable movement of the bed.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난간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측 및 우측에도 환자 보호를 위한 가드 부재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드 부재는 조작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110) 위로 올려진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단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A handrail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frame 110 . Of course, guard members for patient protection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11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At this time, the guard member may be fixed in a state raised above the base frame 110 according to manipulation, or may be fixed in a stat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frame 110 .

베이스 프레임(110)은 침대의 뼈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0)은 침대 및 침대 위에 눕는 환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튼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0)은 철재, 알루미늄,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자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진 경우 재질에는 별도의 제한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110)의 재질은 별도로 제한이 없으나, 환자가 침대에 위치하는 경우 환자를 수용한 상태로 변형 없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10)이 철재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base frame 110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keleton of the bed. Accordingly, the base frame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trong enough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bed and the patient lying on the bed. For example, the base frame 110 may be formed of iron, aluminum, reinforced plastic, etc., and when it has a strength sufficient to bear the weight of a patient, a separate limitation may not be applied to the material. That is, the material of the base frame 110 is not separately limited, but when the patient is placed on the bed, it should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rength to maintain the shape without deform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is accommodat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base frame 110 is made of ir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침대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환자가 침대 밖으로 이동하지 않고, 침대 위에서 배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bed, the patient does not move out of the bed, and it is possible to defecate on the 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100)는 침대 위에 환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실로의 이동이 가능하며, 화장실에 도착시 환자가 침대에서 내리지 않고, 화장실 변기로의 배변 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atient b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ving to the toilet in a state where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bed, and when arriving at the toilet, the patient does not get out of the bed and can defecate to the toilet. ca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부가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소정 각도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o this end, in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er.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단에는 매트 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A mat member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frame 110 .

베이스 프레임(110)과 매트 부재(120)는 각각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10 and the mat member 12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based on the center, respectively.

상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 구조로 이격되지 않는 프레임을 지칭하기로 한다. 하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 구조로 소정 각도 이격되는 프레임을 지칭한다.The upper frame refers to a frame that is not spaced apart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The lower frame refers to a fram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left-right symmetric structure.

상부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영역뿐만 아니라 매트 부재(120)의 상부 영역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하부 프레임(140b)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부 영역뿐만 아니라 매트 부재(120)의 하부 영역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upper frame includes an upper region of the mat member 120 as well as an upper region of the base frame 110 .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wer frame 140b includes a lower area of the mat member 120 as well as a lower area of the base frame 110 .

이하에서는 환자용 침대에 환자가 위치된 상태에서 화장실 변기로 직접 배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a structure that enables direct defecation to the toilet bowl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patient 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용 침대(100)는 상부 프레임(140a)과 하부 프레임(140b)이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tient bed 100, the upper frame 140a and the lower frame 140b may be operated independently.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0a)은 환자의 머리를 포함하는 상체 부위가 위치되는 영역이며, 하부 프레임(140b)은 환자의 발을 포함하는 하체 부위가 위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As already described above, the upper frame 140a may be a region in which an upper body portion including the patient's head is located, and the lower frame 140b may be an area in which a lower body portion including the patient's feet is loc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레임(140a)과 하부 프레임(140b)이 길이 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나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부 프레임(140a)보다 하부 프레임(140b)이 보다 길수도 있으며, 상부 프레임(140a)이 하부 프레임(140b)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upper frame 140a and the lower frame 140b are divided based o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lower frame 140b may be longer than the upper frame 140a. Also, the upper frame 140a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ower frame 140b.

상부 프레임(140a)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가 앉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140a)의 상측부가 들어 올려질 수 있다. The upper frame 140a may have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140a lifted so that the patient can maintain a seated state while the patient is lying on the bed.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40a)과 하부 프레임(140b)의 접합면은 샤프트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 부재가 소정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상부 프레임(140a)이 하부 프레임(140b)을 대향하여 굽어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bonding surfaces of the upper frame 140a and the lower frame 140b may be coupled by a shaft member. At this time, as the shaft member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upper frame 140a may be bent to face the lower frame 140b.

다른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0a)의 저면에 형성된 바퀴 부재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부 프레임(140a)의 상측이 높아지고 하부 프레임(140b)과 접합되는 하측부는 높이가 조절되지 않음으로써 상부 프레임(140a)의 일단이 들여 올려질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화장실 등으로 환자를 이동시키는 경우, 환자가 베이스 프레임(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40a)을 올림으로써 환자가 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 , as the height of the wheel memb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rame 140a is adjuste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40a becomes higher and the lower side joined to the lower frame 140b has a height. Since is not adjusted, one end of the upper frame 140a may be raised. For this reason, when moving the patient to the toilet,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tient can maintain a seated state by raising the upper frame (140a) in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base frame (11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14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대칭 구조를 가지며, 좌측부와 우측부가 각각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lower frame 14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ymmetrical structur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도 2에는 매트 부재만 좌우 대칭 구조로 각각 좌측부와 우측부가 각각 소정 각도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좌우 대칭 구조로 각각 좌측부와 우측부가 각각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In FIG. 2, only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mat member are shown to be respective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but the left and right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respectively,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including the lower frame of the base frame.

또한, 도 1에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매트 부재(120)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각각 크기가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이며 베이스 프레임과 매트 부재(120)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base frame 110 and the mat member 120 have different sizes in FIG. 1 , this is an example and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base frame and the mat member 120 . may be formed in the same siz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면부에는 잠금 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1 and 2 , a locking member 1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

잠금 부재(130)에 의해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서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잠금 부재(13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각각 소정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fix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locking member 130 . However, when the locking member 130 is unlocked,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잠금 부재(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걸쇠와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첩 부재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잠금 부재(130)의 형상 자체는 제한이 없으며,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고정할 수 있는 부재인 경우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locking member 130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lower frame 140b,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1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atch and a ring in addition to the shape shown in FIGS. 1 and 2 ,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inge member. As such, the shape of the locking member 130 itself is not limited, and a member capable of fixing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잠금 부재(13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도 1과 같이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잠금 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locking member 130 maintains the locked state,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by the locking member as shown in FIG. 1 .

그러나, 환자의 배변 활동을 위해, 잠금 부재(130)의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locking member 130 is unlocked for the patient's bowel movements,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2 .

이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

환자가 배변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와 달리 보호자는 환자가 침대에 위치한 상태로 침대를 이동시킬 수 있다(도 3 참조).When the patient wants to defecate, unlike the prior art, the guardian can move the bed while the patient is in the bed (see FIG. 3 ).

이때, 환자가 누운 상태로 이동할 수도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40a)을 들어 올려 환자가 앉거나 기댄 상태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patient may move in a lying state, and as shown in FIG. 4 , the upper frame 140a may be lifted to move the patient in a sitting or reclining state.

화장실에 도착한 경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면부에 형성된 잠금 부재(1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소정 각도로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침대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화장실 변기 위로 침대를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arriving at the toilet, when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member 130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the left portion and the right portion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5 , the bed can be moved over the toilet bowl even when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bed.

물론,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이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장실 변기 위로 침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침대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장실 변기와 신체를 근접 또는 직접 맞닿도록 하여 변기로 직접 배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Of course, the bed can be moved over the toilet bowl even in a state where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are not spaced apart. Howev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direct defecation to the toilet by bringing the toilet bowl and the body into close or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while the patient is on the bed.

따라서,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환자가 변기로 직접 배변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이격되며, 이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140b)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부재(150)의 높이를 조절하여 하부 프레임(또는 침대)를 전체적으로 변기 높이에 상응하여 낮출 수 있다. Therefore,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patient can have a bowel movement directly through the toilet, and in this state,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15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140b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The lower frame (or bed) as a whole can be lower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toilet.

이로 인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엉덩이)가 변기에 직접 닿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침대에서 내리지 않고 침대 위에서 변기로 직접 배변할 수 있다. Due to this, as shown in FIGS. 5 to 6 , a part of the patient's body (eg, buttocks)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toilet. Accordingly, the patient can defecate directly from the bed to the toilet without getting out of the bed.

하부 프레임(140b) 또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저면에 위치된 복수의 바퀴 부재는 리모컨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40b or the base frame 110 may be adjusted by a remote controller.

다른 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140b)의 저면에는 센서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변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하부 프레임(140b)의 저면에 위치된 센서에 의해 변기의 높이가 감지되는 경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변기의 높이에 상응하여 하부 프레임(140b)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부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a sensor may be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140b. Here, the sensor may measure the height of the toilet. 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toilet is sensed by the sensor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140b,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140b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toilet detected by the sensor. can be adjusted.

도 6에는 하부 프레임(140b)의 복수의 바퀴 부재의 높이가 조절될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화장실 변기가 이격된 좌측부와 우측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을 정도로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이격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140b)의 저면에 형성된 바퀴 부재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하부 프레임(또는 베이스 프레임)이 낮아지며 변기가 하부 프레임(140b)의 이격된 좌측부와 우측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자는 침대에서 내리지 않고 화장실 변기에 엉덩이를 밀착시켜 배변할 수 있다.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eights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of the lower frame 140b are adjusted.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spaced apart so that the toilet toilet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spaced left and right portions, and in this state, the height of the wheel memb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140b is adjusted. Accordingly, the lower frame (or base frame) is lowered, and the toilet may be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ue to this, the patient can have a bowel movement by putting the buttock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ilet bowl without getting out of bed.

또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프레임(140b)의 저면에는 오물 방지막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침대 위에 환자가 위치된 상태에서 변기로 직접 배변함에 따라 오물 방지막에 의해 하부 프레임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rt prevent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ame 140b.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splashing into the lower frame by the antifouling film as the patient directly defecates to the toilet while the patient is positioned on the bed.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프레임(140b)에는 변기 부재(16)가 연결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7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member 16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40b.

즉, 화장실로 직접 이동하지 않고, 하부 프레임(140b)의 저면에 연결된 일회성 변기 부재에 환자가 직접 배변하도록 한 후 변기 부재를 탈착하여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That is, the patient may have a bowel movement directly on the one-time toilet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40b without moving directly to the toilet, and then the toilet member may be detached and processed.

이와 같은 경우에도,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각각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침대에서의 이동 없이 침대 위에서 일회성 변기 부재로 배변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Even in this case,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ly, the patient may be able to defecate using the disposable toilet member on the bed without moving the bed.

이와 같이, 침대에 오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며 배변이 가능하도록 하는 침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화장실로 이동시킴에 따른 보호자의 육체적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혼자 화장실로 이동함에 따른 잦은 낙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In this way, by providing a bed structure that prevents filth on the bed and enables defec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physical fatigue of the caregiver due to moving the disabled patient to the bathroom.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a frequent fall accident caused by a patient with reduced mobility moving to the bathroom al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10) 또는 하부 프레임(140b)의 높이 조절은(즉, 바퀴 부재의 높이 조절)은 리모컨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환자 스스로 자신이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base frame 110 or the lower frame 140b (i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whee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justed by a remote control. Due to this, the patient himself/herself may adjust the desired height.

물론, 하부 프레임(140b)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부재 중 일부(예를 들어, 접합면에 대면하는 하측단에 형성된 바퀴 부재)는 리모컨 제어에 따라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소정 각도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 프레임(140b)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소정 각도 이격될 수 있다. Of course, some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40b (for example, the wheel members formed on the lower end facing the bonding surface) may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control. .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40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Up to now,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focusing on the embodiments there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환자용 침대
110: 베이스 프레임
120: 매트 부재
130: 잠금 부재
140a, 140b: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150: 바퀴 부재
160: 변기 부재
100: patient bed
110: base frame
120: mat member
130: lock member
140a, 140b: upper frame, lower frame
150: no wheel
160: toilet absent

Claims (8)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매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매트 부재의 일부 영역이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In the patient bed,
base frame; and
Including a mat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 patient bed,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frame and some regions of the mat membe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righ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 영역이 좌측 및 우측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patient bed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member for fixing a portion of the base frame so as not to be spaced apart to the left and righ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매트 부재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프레임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잠금 부재의 잠금 해제시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소정 각도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frame and the mat member include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The lower frame is formed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and right when the locking member is unlock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복수의 바퀴 부재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각각의 바퀴 부재는 높이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4.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wheel member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respectively,
Each wheel member formed 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a patient bed,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adjusted independentl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접합면은 샤프트 부재로 연결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의 높이 조절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접합면을 대향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4. The method of claim 3,
The joint surfa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connected by a shaft member,
Patient b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rame is inclined to face the bonding surfac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변기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가 위치되되,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변기의 높이에 상응하여 상기 복수의 바퀴 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5. The method of claim 4,
A sensor for detecting the height of the toilet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The bed for a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oilet detected by the senso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는 일회용 변기 부재가 장착 또는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5. The method of claim 4,
A bed for a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osable toilet member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퀴 부재 중 일부 바퀴 부재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이동됨에 따라 하부 프레임이 좌우 대칭 구조로 소정 각도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8. The method of claim 7,
Some wheel members of the plurality of wheel member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rame are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left and r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lower frame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bed.


KR1020210006229A 2021-01-15 2021-01-15 Patient bed KR1026285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29A KR102628588B1 (en) 2021-01-15 2021-01-15 Patient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29A KR102628588B1 (en) 2021-01-15 2021-01-15 Patient b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864A true KR20220103864A (en) 2022-07-25
KR102628588B1 KR102628588B1 (en) 2024-01-24

Family

ID=8260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229A KR102628588B1 (en) 2021-01-15 2021-01-15 Patient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58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73U (en) * 1993-12-20 1995-07-11 明伸興産株式会社 Three-piece set for bathing care
KR20010087012A (en) * 2000-03-06 2001-09-15 박승부 Bed combined use bathtub
JP2003290298A (en) * 2002-04-04 2003-10-14 Michihiko Watanabe Bed with up/down function for person to be nursed
KR20050006639A (en) * 2003-07-09 2005-01-17 김응기 moving bed integrated chamber pot
KR20100122850A (en) 2009-05-13 2010-11-23 이동학 Generator using wind power, water power, tidal power or tidal current
KR20120040881A (en) * 2010-10-20 2012-04-30 이앤에이웰(주) Patient bed having washing function
KR20200139943A (en) * 2019-06-05 2020-12-15 김후영 Patient bed for bath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73U (en) * 1993-12-20 1995-07-11 明伸興産株式会社 Three-piece set for bathing care
KR20010087012A (en) * 2000-03-06 2001-09-15 박승부 Bed combined use bathtub
JP2003290298A (en) * 2002-04-04 2003-10-14 Michihiko Watanabe Bed with up/down function for person to be nursed
KR20050006639A (en) * 2003-07-09 2005-01-17 김응기 moving bed integrated chamber pot
KR20100122850A (en) 2009-05-13 2010-11-23 이동학 Generator using wind power, water power, tidal power or tidal current
KR20120040881A (en) * 2010-10-20 2012-04-30 이앤에이웰(주) Patient bed having washing function
KR20200139943A (en) * 2019-06-05 2020-12-15 김후영 Patient bed for bat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588B1 (en)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4199T3 (en) Bed, in particular bed for sick or care
JP3321174B2 (en) Bed side rail
JP5828087B2 (en) Bed and method for combining and separating beds
JP6733906B2 (en) Bathing care device
US20140020179A1 (en) X-Ray Compatible Patient Support Apparatus
US20200093665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ssembly
KR20170101333A (en) electric wheelchair for bad-movement
JPS6019251B2 (en) nursing equipment
JP2012065758A (en) Bed and combination method in bed
KR20220103864A (en) Patient bed
KR102500638B1 (en) wheelchair for critically impaired patients
JP6504777B2 (en) Mobile toilet equipment
JP4699303B2 (en) Bathing handrail mechanism
JP5771344B1 (en) Nursing wheelchair
JP6505780B2 (en) Bathing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52297A (en) Standing-up assisting chair
JP4855804B2 (en) Stair lift seating device
JP7414358B2 (en) Chair unit, transfer device, and bathing assistanc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00002852U (en) A wheelchair that caregiver to easily care for patient
JP2023046050A (en) Chair device for nursing care
TWI825266B (en) Track unit and bathing aid system
KR102631948B1 (en) Bed with wheelchair
JP5752079B2 (en) Auxiliary care equipment for toilets
JP2010017246A (en) Nursing care bed apparatus
KR101826259B1 (en) Chair having angle adjustab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