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391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391A
KR20220103391A KR1020210005918A KR20210005918A KR20220103391A KR 20220103391 A KR20220103391 A KR 20220103391A KR 1020210005918 A KR1020210005918 A KR 1020210005918A KR 20210005918 A KR20210005918 A KR 20210005918A KR 20220103391 A KR20220103391 A KR 2022010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disposed
stator
coi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391A/ko
Priority to CN202280010141.4A priority patent/CN116724477A/zh
Priority to PCT/KR2022/000725 priority patent/WO2022154571A1/ko
Priority to US18/272,433 priority patent/US20240088738A1/en
Publication of KR2022010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8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및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코일이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홀더에서 노출되어 상기 홀을 관통한 코일과 접촉하는 일자형 단부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한다. 이때, 로터와 연결된 샤프트도 회전하여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은 버스바와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는 버스바 홀더에 의해 지지된다.
버스바의 단부와 코일의 단부는 퓨징(fusing)되어 연결된다. 퓨징을 위해 용접봉이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에 위치하는데, 용접봉이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버스바는 축방향으로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버스바가 축방향으로 2단으로 구성되면, 버스바의 형상이 복잡해져, 버스바의 생산과정에서 스크랩이 많이 발생하고, 축방향으로 버스바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모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의 형상을 단순화하고, 버스바가 차지하는 축방향 공간을 줄일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코일이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홀더에서 노출되어 상기 홀을 관통한 코일과 접촉하는 일자형 단부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서 밴딩되는 복수 개의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코일과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일자형 단부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통해, 원주방향으로 용접봉이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버스바를 1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버스바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버스바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을 크게 줄이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를 1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버스바가 차지하는 축방향 공간을 줄여, 모터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과 퓨징되는 영역이 일자형 단부이기 때문에, 버스바의 단부를 밴딩시키는 공정을 배제하여 모터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바 홀더의 홀을 통해 버스바와 퓨징되는 코일의 단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측단면도,
도 2는 버스바 홀더와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버스바 홀더와 버스바의 평면도,
도 4는 버스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버스바의 평면도,
도 6은 제1 버스바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제1 버스바의 전개도,
도 8은 도 6에서 도시한 제2 버스바의 사시도,
도 9는 도 6에서 도시한 제3 버스바의 사시도,
도 10은 도 6에서 도시한 제4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제4 버스바의 전개도,
도 12는 제5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버스바 및 버스바 홀더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2의 버스바 및 버스바 홀더가 스테이터에 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버스바의 평면부와 코일과 용접봉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샤프트의 길이방향(상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을 원주방향이라 부른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 로터(200), 스테이터(300), 버스바(400)와, 버스바 홀더(500)와, 하우징(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내측이라 함은 하우징(600)에서 모터의 중심인 샤프트(1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외측이라 함은 샤프트(100)에서 하우징(600)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고,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인슐레이터(320)와, 코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에 안착된다. 코일(330)은 인슐레이터(320)에 장착된다. 코일(330)은 로터(200)의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버스바(400)는 스테이터(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400)는 코일(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버스바(4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 홀더(500)는 버스바(400)를 지지한다. 버스바 홀더(500)는 내부에 버스바(400)를 포함하는 환형의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600)은 스테이터(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600)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도 2는 버스바 홀더(500)와 버스바(4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버스바 홀더(500)와 버스바(400)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버스바(400)는 버스바 홀더(500)에 고정된다. 버스바(400)는 일자형 단부 형태로 배치되는 평면부(403)의 일부가 버스바 홀더(500) 외부로 돌출된다. 버스바 홀더(500)는 홀더 바디(510)와, 홀더 바디(51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20)에는 복수 개의 홀(530)이 배치된다. 각각의 홀(530)은 축방향으로 연장부(520)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530)은 버스바(400)와 퓨징되는 코일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것이다. 버스바 홀더(500)를 스테이터(300) 위에 장착시키면, 코일이 홀(530)을 관통하여 도면 상 연장부(520) 위에 위치한다.
홀더 바디(510)의 중앙에는 샤프트(100)가 관통하는 홀(530)이 형성된다. 버스바(400)의 평면부(403)의 일부는 홀더 바디(510)의 외면보다 돌출된다. 평면부(403)가 연장부(520)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연장부(520)는 도면 상 버스바(400)의 평면부(40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530)은 버스바 홀더(5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버스바(400)의 일자형 단부의 외측 끝단은 홀(530)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버스바 홀더(500)의 외측 에지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홀(530)은 버스바(4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점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400)의 중심(C)을 지나는 기준선(L) 상에 2개의 홀(530)이 배치될 수 있다. 기준선(L)과 버스바(400)의 평면부(403)는 일정한 원주방향 거리(k)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400)의 평면부(403)와 홀(530)이 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버스바(400)의 평면부(403)는 홀(530)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버스바(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버스바(400)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버스바(400)는 상 버스바(phase busbar)인 제1 버스바(410)와 제2 버스바(420)와, 제3 버스바(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바(410)와 제2 버스바(420)와, 제3 버스바(430)는 각각 U상,V상,W상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400)는 중성 버스바(400)인 제4 버스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스바(40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제5 버스바(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바(410)와, 제2 버스바(420)와, 제3 버스바(430)와, 제4 버스바(440)와 제5 버스바(450)는 전기적으로 코일(330)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버스바(400)는 각각 코일(330)과 접촉하는 일자형 단부 형태의 평면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평면부(403)는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버스바(400)는 제1 그룹(400A)과 제2 그룹(40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그룹(400A)과 제2 그룹(400B)은 각각 제1 내지 제5 버스바(410,420,430,440,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400A)과 제2 그룹(400B)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룹(400A)에 접촉하는 코일(330)과 제2 그룹(400B)에 접촉하는 코일(330)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그룹(400A)과 제2 그룹(400B)은 공간 상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버스바(400)의 특징은 제1 그룹(G1)과 제2 그룹(G2)의 버스바(400)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징에 해당한다.
도 6은 제1 버스바(41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제1 버스바(410)의 전개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도시한 제2 버스바(42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도시한 제3 버스바(430)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 버스바인 제1 버스바(410)와 제2 버스바(420)와 제3 버스바(430)를 설명한다. 제1 버스바(410)와 제2 버스바(420)와 제3 버스바(430)는 각각 곡면부(401,402)와 평면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스바(410)와 제2 버스바(420)와 제3 버스바(430)는 각각 곡면부(401,402)의 원주방향 길이가 다를 뿐, 버스바(400) 전체의 축방향 길이나 형상이 동일 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상 버스바(400)의 특징은 제1 버스바(4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설명하는 특징은 제2 버스바(420)와 제3 버스바(430)에도 적용되는 공통적인 특징에 해당한다.
곡면부(401,402)는 바디(401)와 돌출부(402)로 구분될 수 있다. 바디(401)는 띠형 부재로서, 밴딩된 형태로 버스바 홀더(500)의 홀더 바디(510)의 내부에 고정된다. 복수 개의 돌출부(402)는 제2 바디(401)에서 축방향으로 각각 분기될 수 있다. 제1 버스바(410)는 바디(401)의 양 단부에 2개의 돌출부(402)가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403)는 돌출부(402)에서 외측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403)는 일자형 단부로서 코일(330)과 용접되는 곳이다. 코일(330)과 접촉하는 버스바(400)의 영역을 일자 형태의 단부로 형성함으로써, 전개도 상태에서, 평면부(403)를 곡면부(401,402)와 평행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400)의 축방향 길이를 크게 줄인 상태에서, 코일(330)과 용접되는 평면부(403)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바디(401)와 평면부(403)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02)의 일면은 평면부(403)의 일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버스바(410)는 평면부(403)와 곡면부(401,402)가, 전개도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장방형으로 그 형상이 유사하게 형성된다. 때문에 축방향으로 버스바(400)를 형성하는 영역이 작고, 전개도 형상이 단순하여 스크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버스바(410)의 축방향 길이(h)가 원주방향 길이(w)보다 크도록 제1 버스바(410)는 도면 상 세워진 형태로 버스바 홀더(5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버스바(410), 제2 버스바(420), 제3 버스바(430) 각각의 평면부(403)의 일면은 서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에서 도시한 제4 버스바(4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제4 버스바(440)의 전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중성 버스바(400)인 제4 버스바(440)도 곡면부(401,402)와 평면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버스바(440)는 바디(401)의 양 단부에 2개의 돌출부(402)가 배치되고, 2개의 돌출부(402) 사이에 하나의 돌출부(402)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3개의 돌출부(402)에는 각각 평면부(403)가 밴딩된 형태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4 버스바(440) 또한, 3개의 평면부(403)와 곡면부(401,402)가, 전개도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장방형으로 그 형상이 유사하고, 돌출부(402)의 일면은 평면부(403)의 일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전개도 형상이 단순한 이점이 있다.
제4 버스바(440)의 평면부(403)의 일면은, 제1 버스바(410), 제2 버스바(420), 제3 버스바(430) 각각의 평면부(403)의 일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버스바(410), 제2 버스바(420), 제3 버스바(430) 각각의 돌출부(402)(도 5의 음영부분)와 제4 버스바(440)의 돌출부(402)(도 5의 음영부분)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제5 버스바(4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5 버스바(45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버스바(400)로서, 코일(330)과 접촉하는 평면부(40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5 버스바(450)는 평면부(403)에서 분기되는 연결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04)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연결부(404)의 끝단은 버스바 홀더(500)에서 노출된다.
도 13은 도 2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버스바(400) 및 버스바 홀더(500)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버스바(400)의 바디(401)는 버스바 홀더(500)의 홀더 바디(510)에 배치된다. 버스바(400)의 평면부(403)는 홀더 바디(510)에서 노출되어 연장부(520) 위에 위치한다. 코일(330)이 진입하는 홀(530)의 입구는 만곡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홀더(500)를 스테이터(300) 위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코일(330)이 홀(530)에 진입하게 되는데, 만곡부(531)는 코일(330)이 홀(530)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홀(530)의 크기는, 코일(330)의 진입과 코일(330)의 정렬을 고려하여 코일(33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도 2의 버스바(400) 및 버스바 홀더(500)가 스테이터(300)에 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버스바(400)의 평면부(403)와 코일(330)과 용접봉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버스바 홀더(500)가 스테이터(300)에 위에 장착된 상태에서, 코일(330)은 홀(530)을 관통하여 도면상 버스바 홀더(500) 위로 노출된다. 홀(530)을 관통한 코일(330)은 버스바(400)의 평면부(403)와 정렬된다. 코일(330)은 평면부(403)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배치된다.
원주방향으로 퓨징이 진행되는 평면부(403)와 코일(330)의 양 측에 용접봉(1)이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용접봉(1)은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평면부(4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버스바(400)와 코일(330)이 퓨징되는 영역이 밴딩되어 있으면, 용접봉(1)이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버스바(400)의 간격이 상당히 요구되지만. 실시예에 따른 모터처럼, 평면부(403)가 일자 형태이기 때문에,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버스바(400)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도 용접봉(1)이 위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때문에 버스바(400)를 축방향을 기준하여 1단으로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그룹(400A)과 제2 그룹(400B)으로 구분된 버스바(400)를 포함하는 모터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하나의 버스바(400)를 포함하는 모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310: 스테이터 코어
320: 인슐레이터
330: 코일
400: 버스바
401,402: 곡면부
403: 평면부
500: 버스바 홀더
510: 홀더 바디
520: 연장부
530: 홀
600: 하우징

Claims (10)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및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코일이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버스바 홀더에서 노출되어 상기 홀을 관통한 코일과 접촉하는 일자형 단부를 포함하는 모터.
  2.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및
    상기 스테이터 상에 배치되는 버스바 및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에서 밴딩되는 복수 개의 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코일과 접촉하는 모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버스바가 고정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연장부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일자형 단부는 상기 홀더 바디의 외면보다 돌출되어 배치되는 모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일자형 단부의 외측 끝단은 상기 홀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 홀더의 외측 에지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모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홀과 축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되는 모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축방향으로 분기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돌출부에서 외측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모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평면부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모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면은 상기 평면부의 일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모터.
  9. 제6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버스바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는 반경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되는 모터.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중 적어도 일부가 반경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는 복수 개의 상 버스바(phase busbar)를 포함하고, 축방향으로 복수 개의 상기 상 버스바의 일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모터.
KR1020210005918A 2021-01-15 2021-01-15 모터 KR20220103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918A KR20220103391A (ko) 2021-01-15 2021-01-15 모터
CN202280010141.4A CN116724477A (zh) 2021-01-15 2022-01-14 马达
PCT/KR2022/000725 WO2022154571A1 (ko) 2021-01-15 2022-01-14 모터
US18/272,433 US20240088738A1 (en) 2021-01-15 2022-01-14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918A KR20220103391A (ko) 2021-01-15 2021-01-15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91A true KR20220103391A (ko) 2022-07-22

Family

ID=8244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918A KR20220103391A (ko) 2021-01-15 2021-01-15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8738A1 (ko)
KR (1) KR20220103391A (ko)
CN (1) CN116724477A (ko)
WO (1) WO20221545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926A (ja) * 2007-11-19 2009-06-04 Asmo Co Ltd バスバー装置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072782B1 (ko) * 2009-12-29 2011-10-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dc 브러시리스 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63475B1 (ko) * 2010-03-08 2012-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모터용 터미널 장치
KR101992687B1 (ko) * 2012-06-28 2019-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KR20180003399A (ko) * 2016-06-30 2018-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571A1 (ko) 2022-07-21
US20240088738A1 (en) 2024-03-14
CN116724477A (zh)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936B2 (en) Bus bar unit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US10622861B2 (en) Stator and bus bar connector configuration
JP6534806B2 (ja) モータ
US11342805B2 (en) Stator,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11075558B2 (en) Bus bar unit and motor
US10374480B2 (en) Motor
US11245301B2 (en) Bus bar unit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US10868410B2 (en) Motor
US10840656B2 (en) Bus bar unit and rotary electric machine having the same
WO2019065586A1 (ja) モータ
WO2020067255A1 (ja) モータ
US11777355B2 (en) Stator and electric rotating machine
WO2018181927A1 (ja) モータ
KR20220103391A (ko) 모터
JP2019062708A (ja) モータ
JP6722332B2 (ja) モータ
US20220052579A1 (en) Motor
US11901792B2 (en) Bus bar unit, stator, and motor
CN113261180B (zh) 马达
US12034347B2 (en) Motor, and busbar for the motor
US20220376579A1 (en) Motor
KR20220051615A (ko) 모터
KR20220063902A (ko) 모터
KR20240036861A (ko) 모터
JP2021151043A (ja) モータ用バスバ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