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292A -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3292A
KR20220103292A KR1020210005712A KR20210005712A KR20220103292A KR 20220103292 A KR20220103292 A KR 20220103292A KR 1020210005712 A KR1020210005712 A KR 1020210005712A KR 20210005712 A KR20210005712 A KR 20210005712A KR 20220103292 A KR20220103292 A KR 20220103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utrient
score
input information
nutr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서영
송동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밀리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밀리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밀리그램
Priority to KR102021000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292A/ko
Publication of KR20220103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정보수신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입력정보에 대해 필요한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복수의 스코어 가운데 상기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스코어를 로드하는 스코어로드단계; 상기 스코어로드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전체의 영양소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스코어를 합산하여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합산스코어산출단계; 및 산출된 각각의 영양소의 합산스코어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영양소 명칭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 혹은 합산스코어의 순위를 포함하는 필요영양소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Nutritional Supplements}
본 발명은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해 입력한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산출하고, 산출된 영양소를 포함하는 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 맞춤형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에 관한 것이다.
점차 사람들이 삶의 질, 특히 건강에 대한 많은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함에 따라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영양제)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였고, 이를 방증하듯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약 4.3조원을 기록하였다. 이는 2015년에 약 2.9조원에 비해 약 48% 가량 증가한 수치에 해당하며, 향후에도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이다.
한편, 건강기능식품을 유통하는 채널의 점유율을 살펴보면, 각각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구입하는 경우가 35.9%, 대형할인점 15.3%, 다단계 방식이 12.5%, 약국이 10.9%를 차지하였으며, 이와 같이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약사(약국)를 통해 구입하는 전통적인 구매방식보다 접근성 및 가격 측면에서 유리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구매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사전에 정보검색을 하는 지에 대한 조사에 대해서 소비자의 60% 가량은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하기 전에 정보검색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신뢰하는 정보검색 방법으로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이 35.8%, 지인 및 주위 사람의 소개가 33.4%, 의사 및 약사와 같이 전문가의 조언이 14.1%를 기록하였다.
위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사전정보를 습득하고,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는 소비패턴이 증가함에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한 부작용 건수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료에 따르면 2014년에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이상사례 신고 건수가 139건인 반면에, 2017년에는 874건으로 약 6배 이상 부작용 신고 건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검증되지 않은 자료 또는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설명 없이 효과만 소개하는 자료 등이 인터넷 상에서 무분별하게 소비자에게 노출되고 있고, 정보검색 또는 제품구매 과정에서 소비자와 전문가와의 접점이 점차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적합한 영양제를 추천해주는 기술이 등장하였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소비자의 연령, 성별, 키, 몸무게 등의 일반적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영양제를 추천해주는 정도에 해당하여, 인터넷을 통해 관련 정보를 습득하여 구매하는 기존의 구매방식과 비교했을 때 큰 매리트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로 인한 드럭머거(Drug Mugger, 의약품이 체내에 있는 영양소를 강탈(결핍)할 수 있다는 개념)와 같이 세부적인 소비자의 건강상태까지 고려하여 소비자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이에 적합한 영양제를 추천하는 소비자 맞춤형 영양제 추천 기술 및 영양제를 구매하는 데 있어 적합한 전문상담사를 매칭하고, 추천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비자에 대한 정보들을 전문상담사들이 쉽게 접근하도록 하여 소비자와 전문상담사간의 접점을 확충할 수 있는 기술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해 입력한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산출하고, 산출된 영양소를 포함하는 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 맞춤형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정보수신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입력정보에 대해 필요한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복수의 스코어 가운데 상기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스코어를 로드하는 스코어로드단계; 상기 스코어로드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전체의 영양소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스코어를 합산하여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합산스코어산출단계; 및 산출된 각각의 영양소의 합산스코어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영양소 명칭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 혹은 합산스코어의 순위를 포함하는 필요영양소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정보카테고리는 복용약물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저장된 정보는,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복용하고 있는 복용약물에 따른 드럭머거(Drug Mugger)로 인해 결핍되는 1 이상의 영양소를 포함한다.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고 있는 복용약물의 명칭정보 및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량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스코어로드단계는,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 대하여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는 경우, 상기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량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코어의 값을 가변하여 로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 각각에 대해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고, 로드된 스코어를 각 영양소 별로 합산하여 도출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영양제를 추천하므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의 비중까지 고려하여 더욱 적합한 영양제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정보카테고리는 복용약물카테고리를 포함하여 복용약물카테고리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복용약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핍되는 영양소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고, 결핍되는 영양소를 포함하는 영양제를 추천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영양제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는 사용자가 복용하고 있는 복용약물의 명칭정보 및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량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입력정보에 대한 영양소의 스코어를 로드하는 경우에 복용기간정보 혹은 복용량정보를 고려하여 스코어 값을 가변하므로, 복용약물의 투약정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필요한 영양소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를 추천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섭취하고자 하는 영양제 종류의 개수 및 필수영양소정보 가운데 섭취하고자 하는 영양소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영양제를 추천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으로 영양제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에 따라 도출된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에 대해 기존에 섭취하고 있는 영양제의 적합도를 산출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섭취하고 있는 기존의 영양제가 필요한 영양소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존에 섭취하고 있는 영양제와 추천된 영양제 사이의 적합도를 산출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각 영양제 사이의 상호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적합도에 따라 영양제 섭취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적합도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기존에 섭취하고 있는 영양제의 복용량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산출하므로 더욱 정확한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건강분야를 도출하고, 해당 관심건강분야에 상응하는 전문분야를 갖는 전문상담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와 전문상담사 사이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인식한 판매자단말기 혹은 전문상담사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해당 판매자단말기 혹은 전문상담사단말기로 송신하므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해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판매자 혹은 전문상담사가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 및 각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영양소 및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요영양소정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도산출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전문상담사단말기(300)는 서비스서버(1000)에 접속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혹은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전문상담사단말기(300)는 각각 상기 서비스서버(1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 혹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호 단말기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의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고, 서비스서버(1000)에서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서비스서버(1000)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일반의약품 등의 영양제를 추천받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고, 수행과정에서 서비스서버(1000)에서 도출되는 산출물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주체에 해당하며, 판매자는 사용자가 추천받은 영양제를 판매할 수 있는 모든 주체가 해당될 수 있고, 전문상담사는 의사, 약사, 간호사 및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모든 주체가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기(100), 판매자단말기(200) 및 전문상담사단말기(300)는 서비스서버(1000)에 접속(로그인)하기 위하여 각 단말기별로 상이한 타입의 계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서버(1000)의 내부 구성 및 서비스서버(1000)에서 구현되는 수행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1000)는 사용자단말기(100)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100)뿐만 아니라 판매자단말기(200) 및 전문상담사단말기(300)에도 소정의 과정을 통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영양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개략적으로, 서비스서버(1000)에서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로 송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상응하여 각각의 입력정보를 입력하고, 서비스서버(1000)는 입력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서비스서버(1000)는 각각의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1 이상의 영양소 및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고, 각 영양소별로 스코어를 합산한 후 사용자가 필요한 영양소를 스코어가 높은 순서대로 정렬된 필요영양소정보를 도출하여, 필요영양소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영양소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영양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서버(1000)는 입력정보수신부(1100), 스코어로드부(1200), 합산스코어산출부(1300), 필요영양소정보도출부(1400), 영양제추천부(1500), 적합도산출부(1600), 전문상담사매칭부(1700), 사용자정보제공부(1800) 및 DB(1900)를 포함한다.
서비스서버(10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요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된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입력정보수신부(11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정보수신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기 스코어로드부(1200)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정보수신부(1100)에서 수신한 입력정보 각각에 대해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DB(1900)를 통해 로드하는 스코어로드단계(S200)를 수행한다.
상기 합산스코어산출부(1300)는, 상기 스코어로드부(1200)에서 로드된 각각의 영양소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스코어를 각각의 영양소별로 합산하여 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합산스코어산출단계(S300)를 수행한다.
상기 필요영양소정보도출부(1400)는, 상기 합산스코어산출부(1300)에서 수행된 각각의 영양소의 합산스코어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영양소의 명칭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 혹은 합산스코어의 순위를 포함하는 필요영양소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필요영양소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송신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
상기 영양제추천부(1500)는, 상기 필요영양소정보도출부(1400)에서 도출된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1 이상의 영양소를 성분으로 하는 1 이상의 추천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DB(1900)에 기초하여 도출하고, 도출된 1 이상의 추천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송신하는 단계(S500)를 수행한다.
서비스서버(1000)에서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적합도산출에 대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사용자가 복용중인 기존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서 기존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적합도산출부(1600)는,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복용중인 기존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존영양제정보수신단계(S600)를 수행하고, 수신한 기존영양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기존영양제에 포함되어있는 정도 등을 나타내는 기존영양제의 적합도를 산출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전문상담사매칭부(1700)는,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건강분야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관심건강분야에 상응하는 전문분야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전문상담사 정보를 DB(1900)에서 도출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정보제공부(1800)는, 복수의 사용자를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도출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해당 식별정보를 인식한 판매자단말기(200) 혹은 전문상담사단말기(300)로부터 해당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DB(1900)에서 호출하여 해당 판매자단말기(200) 혹은 전문상담사단말기(300)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DB(1900)는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정보 DB(1911),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각 영양소에 대한 정보DB(1912), 각 영양소에 해당하는 스코어에 대한 정보DB(1913), 시중에 판매되거나 생산중인 영양제에 대한 정보DB(1920), 전문상담사에 대한 정보DB(1930) 및 서비스서버(1000)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받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DB(1940) 등을 포함하고, 상술한 각각의 부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호출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해당 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B(1900) 혹은 상기 DB(1900)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DB들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포함되거나 혹은 외부의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서버(1000) 및 상기 별도의 서버는 통신을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호출 및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서비스서버(1000)는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약품 배송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단말기(100)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정보수신단계(S100);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정보 각각에 대해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는 스코어로드단계(S200); 상기 스코어로드단계(S200)에 의하여 로드된 전체의 영양소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스코어를 합산하여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합산스코어산출단계(S300); 산출된 각각의 영양소의 합산스코어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영양소 명칭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 혹은 합산스코어의 순위를 포함하는 필요영양소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1 이상의 상기 영양소를 성분으로 하는 1 이상의 추천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영양제추천단계(S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1000)에서 사용자단말기(100)에서의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는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제1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는 제1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입력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기 위하여, 각 입력정보카테고리는 해당 입력정보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복수의 후보입력정보(선택지)를 포함하여, 해당 사용자가 복수의 후보입력정보 가운데 해당하는 입력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정보카테고리에는 성별에 대한 카테고리가 포함될 수 있고, 성별에 대한 카테고리의 후보입력정보에는 '남성'임을 입력할 수 있는 후보입력정보 및 '여성'임을 입력할 수 있는 후보입력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사용자가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두 개의 후보입력정보 가운데 하나를 입력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정보수신단계(S1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해 기설정된 각각의 복수의 후보입력정보 가운데 선택된 입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 및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복수의 후보입력정보들은 DB(1900)의 스코어로드정보DB(1910), 구체적으로는 입력정보카테고리정보DB(1911)에 기저장될 수 있다.
스코어로드단계(S200)는, DB(1900)에 기저장된 스코어로드정보DB(1910), 구체적으로 영양소정보DB(1912)에 기초하여 수신한 상기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1 이상의 영양소를 로드하고, DB(1900)에 기저장된 스코어로드정보DB(1910)에 포함된 스코어정보DB(1913)에 기초하여 로드된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영양소정보DB(1912)는 수신한 상기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1 이상의 영양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정보수신단계(S100)에서 연령 및 성별에 대한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하여 '60대 여성'에 대한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스코어로드단계(S200)에서는 '60대 여성'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에는 '비타민 D', '칼슘', '오메가3 지방산', '엽산'이 해당된다는 것을 DB(1900)에 저장된 영양소정보DB(1912)를 통해 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양소정보DB(1912)에는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영양소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한편, 스코어정보DB(1913)는 상기 영양소정보(1912)에 기저장되어 있는 각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가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는 해당 영양소가 필요한 정도를 정량적으로 할당된 값에 해당하며, 상기 스코어는 하나의 영양소에 대해 하나의 스코어로 매칭되어 기저장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영양소에 대해 복수의 스코어가 매칭되어 상기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스코어가 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0대 여성'에게 필요한 영양소에 해당하는 '칼슘'에 대한 스코어가 '3점'이라고 하면, 만성질환에 해당될 수 있는 '골다공증'을 앓고 있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에 해당하는 '칼슘'의 필요성은 '60대 여성'에서의 '칼슘'보다 높으므로, '5점'의 스코어가 로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영양소라고 하더라도 입력정보카테고리 및 입력정보에 따라 복수의 스코어가 하나의 영양소에 매칭되어 DB(1900)에 저장되었다가, 해당 입력정보에 따라 스코어가 로드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정보카테고리 및 입력정보에 따라 영양소의 필요정도에 따라 스코어가 체계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영양제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합산스코어산출단계(S300)는, 각각의 입력정보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영양소 및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각각의 영양소 별로 합산하여 합산스코어를 도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필요영양소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S400)는, 상기 합산스코어산출단계(S300)에서 산출된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에 따라서 합산스코어가 가장 높은 영양소부터 차례대로 해당 영양소의 명칭, 해당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의 값, 해당 영양소의 합산스코어의 순위를 포함하는 필요영양소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되는 영양소는 입력정보에 대해 로드된 전체의 영양소를 포함하거나 혹은 기설정된 순위 혹은 기설정된 합산스코어를 초과하는 영양소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필요영양소정보는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용법 및 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영양소정보에 영양소 '비타민 A'가 포함되면, '비타민 A'에 대한 용법 및 용량에 해당하는 '1일 2회 / 50mg'이라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영양소정보에 용법 및 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영양소에 대한 일반적인 용법 및 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해당 영양소에 대해 산출된 합산스코어에 기초하여 용법 및 용량을 가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용법 및 용량에 대한 정보는 DB(1900)의 영양소정보DB(1912)에 기저장되거나 다른 별도의 DB(미도시)에 기저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양제추천단계(S500)는,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1 이상의 영양소를 성분으로 하는 1 이상의 영양제를 도출하여 해당 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영양소를 모두 포함하는 추천영양제를 도출할 수 있고, 혹은 일정 스코어를 초과하는 영양소만 포함하도록 하는 것과 같이,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일부 영양소만을 포함하는 추천영양제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영양소를 포함하는 데 있어 한 종류의 추천영양제로 해당 복수의 영양소를 모두 포함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복수 종류의 추천영양제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한 도출된 추천영양제에 대한 정보는 추천영양제의 이름, 추천영양제의 제조사, 추천영양제의 가격, 추천영양제에 포함된 영양소에 대한 정보, 추천영양제에 대한 용법 및 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천영양제에 대한 정보는 DB(1900)의 영양제정보DB(1920)에 기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양제추천단계(S5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하고자 하는 영양제 종류의 개수정보 및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1 이상의 영양소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고자 하는 1 이상의 영양소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영양제요청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영양제요청정보수신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상기 개수정보 및 상기 선택정보에 기초하여 추천영양제를 도출하는 영양제도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요영양소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S400)를 통해 상기 필요영양소정보가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표시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천받고자 하는 추천영양제의 종류의 개수정보 및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1 이상의 영양소 가운데 복용하고자 하는 영양소에 대한 선택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상기 개수정보 및 상기 선택정보는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영양제요청정보수신단계를 수행하여 수신되고, 영양제추천단계(S500)는 수신한 상기 개수정보 및 상기 선택정보를 더 포함하여 추천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개 종류의 추천영양제를 복용하고자 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된 필요영양소정보 가운데 상위 5개의 영양소만을 선택한 경우, 상기 영양제추천단계(S500)에서는 2개 종류의 영양제에 걸쳐서 5개의 영양소가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영양제를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제를 추천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섭취하고자 하는 영양제 종류의 개수 및 필수영양소정보(1912) 가운데 섭취하고자 하는 영양소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영양제를 추천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으로 영양제를 추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 및 각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영양소 및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정보카테고리에는 '성별, 연령', '흡연', '음주', 'BMI 지수', '가족력', '식습관', '장상태', '근육경직'등에 대한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스코어가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성별, 연령'에 대한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로써 '50대 남성', '흡연'에 대한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로써 'Yes'와 같이, 각각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이후에 수신된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영양소들이 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별, 연령'에 대한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하여 '50대 남성'이라는 입력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50대 남성'에게 필요한 영양소에 해당하는 '비타민 C', '코엔자임 Q10', '아연', '오메가-3'가 로드될 수 있다.
또한,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영양소가 로드된 후에 상기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가 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50대 남성'이라는 입력정보에 대한 영양소들의 스코어는 1점으로 설정되고, '흡연'이라는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Yes'라는 입력정보에 대한 영양소의 스코어는 2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불어 '50대 남성'에 해당하는 영양소인 '비타민 C'에 할당된 스코어와 흡연에 대해 'Yes'에 해당하는 영양소인 '비타민 C'에 할당된 스코어가 서로 상이한 것과 같이, 동일한 영양소이더라도 입력정보카테고리 또는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 따라서 스코어가 상이하게 로드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스코어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입력정보카테고리별로 스코어를 일괄적으로 적용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20대 남성에게 필요한 영양소의 중요도와 70대 남성에게 필요한 영양소의 중요도는 상이하므로,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따른 입력정보에 따라 상이하게 스코어가 로드될 수 있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여러 영양소의 효능의 정도 또한 서로 상이한 것과 같이,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영양소에 따라서도 개별적으로 스코어가 로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입력정보카테고리는 복용약물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기저장된 정보는,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복용하고 있는 복용약물에 의해 결핍되는 1 이상의 영양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고 있는 복용약물의 명칭정보 및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량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로드단계(S200)는,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 대하여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는 경우, 상기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량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코어의 값을 가변하여 로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입력정보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는 '복용약물'항목이 복용약물카테고리에 해당하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정보로 수신하는 경우,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로 인해 결핍될 수 있는 1 이상의 영양소를 로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하여 장기간 복용하고 있는 특정 약물에 의해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가 결핍 혹은 고갈되는 현상을 '드럭머거(Drug Mugger)'라고 하며, 도 4에 복용약물 항목에 대해 입력정보로 기재된'메트포르민'은 당뇨병을 치료 혹은 개선하기 위한 약물로써, 포도당의 생산 및 흡수를 차단하여 혈당을 낮추게 된다. 그러나 메트포르민은 장 내부 표면에 달라 붙어 포도당은 물론 '비타민 B complex'등의 영양소의 체내 흡수 또한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 대해 로드되는 1 이상의 영양소는 드럭머거 현상에 기초하여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의해 결핍되는 영양소에 해당하며, 특정 약물에 의해 결핍될 수 있는 1 이상의 영양소에 대한 정보는 DB(1900)의 드럭머거정보DB(1914)에 기저장되었다가 스코어로드단계(S200)에서 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럭머거 현상의 경우 해당 약물을 얼마나 오래 복용하였는지 혹은 1회 복용에 얼마나 많은 양을 복용하는지에 따라 영양소의 결핍 여부 및 결핍 정도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는 해당 사용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명칭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량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량정보를 더 고려하여 1 이상의 영양소 및 해당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스'에 대한 입력정보카테고리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스트레스에 대한 정도를 '높은편', '보통', '낮은편'과 같은 후보입력정보 가운데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구비된 스트레스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감지하고, 그 결과값을 '스트레스'에 대한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로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레스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는, 맥박을 감지하는 센서, 동공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와 같이 1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TC 유전자 검사는 소비자 직접 의뢰 방식(Direct to Consumer)으로 특정 항목의 유전자에 대한 민간 유전자 검사업체에서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검사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DTC 유전자 검사'에 대한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는 사용자가 별도로 DTC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값이 해당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요영양소정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산스코어산출단계(S300)에 의해 산출된 각 영양소 별 합산스코어에 기초하여, 필요영양소정보는 합산스코어가 높은 영양소 순으로 각 영양소 명칭(도 5에서의 성분), 각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도 5에서의 Score) 혹은 합산스코어의 순위(도 5에서의 추천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비타민 C의 경우 '성별, 연령' 입력정보카테고리에서 1점, '흡연' 입력정보카테고리에서 2점, '스트레스' 입력정보카테고리에서 3점 및 '만성질환' 입력정보카테고리에서 4점에 해당하여 총 10점의 합산스코어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합산스코어산출단계(S300)에서 각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가 산출되고, 산출된 합산스코어에 기초하여 필요영양소정보에 합산스코어가 높은 순서대로 해당 영양소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필요영양소정보는 각 영양소에 대한 '용법 및 용량'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영양소의 '용법 및 용량'에 대한 정보는 해당하는 합산스코어에 기초하여 가변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필요영양소정보는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되고, 해당 사용자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영양소가 무엇인지, 어떤 영양소가 더 필요한지, 어느 정도 영양소를 복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도산출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적합도산출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합도산출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복용중인 기존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존영양제정보수신단계(S600); 상기 기존영양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영양제에 포함된 영양소의 종류정보를 도출하는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 및 상기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에서 도출된 상기 종류정보 및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에 대한 상기 기존영양제의 적합도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송신하는 기존영양제적합도산출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합도산출단계에서는 해당 사용자가 기존에 복용하고 있는 기존영양제가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에 기반하여 도출된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영양소를 포함하는 지, 포함하는 경우에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 지 등을 고려하여 기존영양제의 적합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서버(1000)는 해당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복용중인 기존영양제를 판별할 수 있도록 기존영양제에 대한 명칭 및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기존영양제정보수신단계(S6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는, 상기 기존영양제에 대한 명칭 및 제조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DB(1900)에 포함된 영양제정보DB(1920)에서 해당하는 영양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호출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영양제에 대한 세부정보는 해당 영양제에 포함된 영양소의 종류정보 및 해당 영양제에 포함된 각 영양소의 용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존영양제적합도산출단계(S800)는, 상기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에서 도출된 상기 영양소의 종류정보 및 상기 각 영양소의 용량정보와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기존에 복용하고 있는 기존영양제가 필요영양소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적합도를 산출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적합도는 상기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영양소를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량적인 값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비타민 C'가 기존영양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0점을 할당하고, 기존영양제에 비타민 C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차등하여 점수가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에 따라 도출된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에 대해 기존에 섭취하고 있는 영양제의 적합도를 산출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섭취하고 있는 기존의 영양제가 필요한 영양소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합도산출단계는, 영양제상호적합도제공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양제상호적합도제공단계는, 상기 영양제추천단계(S500)에서 도출된 1 이상의 추천영양제에 포함된 영양소의 종류정보를 도출하는 추천영양제분석단계(S900); 및 상기 추천영양제분석단계(S900)에서 도출된 상기 종류정보 및 상기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에서 도출된 상기 종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영양제 및 상기 기존영양제 사이의 적합도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영양제상호적합도산출단계(S10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합도산출단계는 해당 사용자가 기존에 복용하고 있는 기존영양제와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영양소 사이의 적합도를 산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영양제와 상기 영양제추천단계(S500)에 의해 도출된 추천영양제 사이의 적합도를 산출하는 상기 영양제상호적합도제공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추천영양제분석단계(S900)는, 상기 영양제추천단계(S500)에서 도출된 추천영양제에 포함된 영양소의 종류정보 및 각 영양소의 용량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영양제추천단계(S500)에서는 필요영양소정보에 포함된 영양소가 포함되었는지를 기준으로 추천영양제를 도출하므로, 상기 추천영양제에 포함된 모든 영양소의 종류 및 각 영양소의 용량정보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추천영양제분석단계(S900)를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영양제상호적합도산출단계(S1000)는, 상기 추천영양제분석단계(S900)에서 도출된 상기 종류정보 및 상기 용량정보와 상기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에서 도출된 상기 종류정보 및 상기 용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영양제와 상기 기존영양제사이의 적합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존영양제와 추천영양제에 동일한 영양소를 포함하는 경우 영양소의 과다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여부, 기존영양제와 추천영양제에 서로 상이한 영양소를 포함하는 경우 각 영양소를 동시에 섭취하므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또는 동시에 섭취하여 흡수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존영양제정보수신단계(S6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존영양제에 대한 복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복용량정보수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는, 상기 복용량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기존영양제에 포함된 각 영양소의 용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영양소의 실질용량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기존영양제적합도산출단계(S800) 및 상기 영양제상호적합도산출단계(S1000)는 상기 실질용량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각각의 적합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기존영양제를 복용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1회에 섭취하는 기존영양제에 대한 복용량은 각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용량정보수신단계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기존영양제에 대한 복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용량에 대한 정보는 1회에 몇 정을 복용하는지, 액상 타입의 영양제의 경우 1회에 몇 mg을 복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용량정보수신단계를 통해 수신한 복용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는 기존영양제에 포함된 각 영양소 별 실질용량정보를 도출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기존영양제 1정에 마그네슘이 50mg 포함되어 있고, 1회에 2정을 복용하는 경우에 1회에 복용하는 마그네슘의 실질용량정보는 100mg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존영양제분석단계(S700)에 의해 도출된 실질용량정보는 상기 기존영양제적합도산출단계(S800) 및 상기 영양제상호적합도산출단계(S1000)에서의 각각의 적합도를 산출하는데 있어 기존의 용량정보를 상기 실질용량정보로 대신하여 상기 각각의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적합도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사용자가 기존에 섭취하고 있는 영양제의 복용량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산출하므로 더욱 정확한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입력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정보수신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입력정보에 대해 필요한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복수의 스코어 가운데 상기 입력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스코어를 로드하는 스코어로드단계;
    상기 스코어로드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전체의 영양소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스코어를 합산하여 각각의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합산스코어산출단계; 및
    산출된 각각의 영양소의 합산스코어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영양소 명칭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합산스코어 혹은 합산스코어의 순위를 포함하는 필요영양소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서,
    상기 입력정보카테고리는 복용약물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 기저장된 정보는,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복용하고 있는 복용약물에 따른 드럭머거(Drug Mugger)로 인해 결핍되는 1 이상의 영양소를 포함하는,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서,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복용하고 있는 복용약물의 명칭정보 및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약물의 복용량정보를 포함하는,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 청구항 3에서,
    상기 스코어로드단계는,
    상기 복용약물카테고리에 대한 입력정보에 대하여 1 이상의 영양소 및 상기 영양소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는 경우, 상기 복용기간정보 혹은 상기 복용량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코어의 값을 가변하여 로드하는,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10005712A 2021-01-15 2021-01-15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20103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12A KR20220103292A (ko) 2021-01-15 2021-01-15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712A KR20220103292A (ko) 2021-01-15 2021-01-15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292A true KR20220103292A (ko) 2022-07-22

Family

ID=8260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712A KR20220103292A (ko) 2021-01-15 2021-01-15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32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519B1 (ko)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1380442B2 (en) Computing system predicting health using correlated health assertion library
US10765254B2 (en) Dispensing system for delivering customized quantities of dietary and nutraceutical supplements and flavor in a single and multi-serve configurations
US10894706B2 (en) Dispensing system for delivering customized quantities of dietary and nutraceutical supplements
JP6212784B2 (ja) 健康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20140244292A1 (en) Method for Helping Patients Find Treatments Based on Similar Patients' Experiences
KR102005195B1 (ko) 건강관리 시스템
Wong et al. The effects of mental stress o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cholamine and adrenergic signals from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pancreatic hormone secretion
JP7048695B2 (ja) ユーザの知識および活動に基づいて健康判定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20083669A1 (en) Personal Nutrition and Wellness Advisor
US11380423B2 (en) Computing system implementing a health service for correlating health knowledge and activity data with predictive health outcomes
WO2013065246A2 (en) Diathesis determination apparatus, diathesis determination method, health assistance apparatus, health assistance method, program, terminal apparatus, and health assistance system
KR102236291B1 (ko)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88118A (ko) 제품-성분 효능 및/또는 사용자-프로필 데이터를 이용한 소비자 제품 추천 방법
KR102467340B1 (ko) 챗봇 기반의 질의응답 및 생체표지자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영양 관리 시스템
WO20211679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ining a dietary treatment regimen using ranked based scoring
JP4819458B2 (ja) 販売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助言者支援システム
Hosken et al. Informing the uninformed: How drug advertising affects check-up visits
Lee et al. The evaluation of diabetic patients’ use of a telehealth program
KR20220103292A (ko)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EP40165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based digital therapeutic devices to predict food-drug constituent interaction
KR101748236B1 (ko) 영양 테라피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마켓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N113764067B (zh) 药物推荐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Galea et al. Pharmacist interventions in non-prescription medicine use
JP7399775B2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