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991A - 우드 디퓨저 - Google Patents

우드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991A
KR20220102991A KR1020210005622A KR20210005622A KR20220102991A KR 20220102991 A KR20220102991 A KR 20220102991A KR 1020210005622 A KR1020210005622 A KR 1020210005622A KR 20210005622 A KR20210005622 A KR 20210005622A KR 20220102991 A KR20220102991 A KR 2022010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fragrance
stick
diffuser
in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연희
Original Assignee
임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연희 filed Critical 임연희
Priority to KR102021000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991A/ko
Publication of KR2022010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을 머금는 스틱이 내장된 상태에서 장기간 은은한 향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 목재로 제작되는 우드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목재로 이루어지되 중공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우드본체와, 우드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향스틱과, 우드본체의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향스틱에 향을 충진할 수 있도록 우드본체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우드본체는 향스틱에 머금은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과 연통하게 향발산 기공을 형성하며, 상기 우드본체는 다각형 면체로 구성하고, 다각형 면체의 일측으로는 수용공간과 연통하게 개구부를 형성하여 향스틱이 슬라이드 삽입하며, 상기 향스틱이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에는 개구부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재로 이루어진 마감구를 강제 끼움방식으로 삽입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향스틱이 내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디퓨저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향 충진 구조를 간소화하고, 장기간 지속적인 향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우드 디퓨저{Wood diffuser}
본 발명은 우드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향을 머금는 스틱이 내장된 상태에서 장기간 은은한 향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 목재로 제작되는 우드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퓨저는 향이 나는 액체가 담긴 용기본체에 스틱 등을 꽂아 그 공간에 향이 퍼지게 하는 방향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당 공간의 악취 제거기능과 더불어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디퓨저에 사용되는 스틱은 보통 섬유소재로 긴 봉 형태로 형성되며, 용기에 하나 또는 여러 개를 꽂음으로써 향을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디퓨저는 방향제가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방향제의 누액을 방지하고, 용기본체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밀폐캡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방향제의 향을 외부로 발산하는 스틱이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스틱캡으로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디퓨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틱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 용기본체를 밀폐시키는 밀폐캡을 제거한 후, 다시 스틱캡을 용기본체에 체결한 상태에서 스틱캡의 중공에 스틱을 꽂아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향스틱을 꽂아서 사용하는 종래의 디퓨저는 스탠드 방식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책상이나 테이블, 책장과 같이 선반이 있는 장소에만 사용할 수 있고, 부피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디퓨저를 놓고 사용할 수 있는 장소의 제약이 매우 크다.
또한,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스틱캡이 밀폐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로 인하여 향을 충진하기 위해서는 캡을 제거해야 하는데 캡 분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향충진이 매우 번거롭고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향스틱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는 향스틱이 향을 흡수한 상태에서 향스틱 전체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향발산이 지나치게 많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스틱에 먼지가 쌓이면서 향발산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심지어는 향이 거의 발산되지 않는 상황에 이르러 향스틱 자체를 교체하지 않는 이상 향발산이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925069 B1 KR 10-2011504 B1 KR 20-0488419 Y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퓨저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향 충진 구조를 간소화하고, 장기간 지속적인 향 배출이 가능한 디퓨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목재로 이루어지되 중공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우드본체와, 우드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향스틱과, 우드본체의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향스틱에 향을 충진할 수 있도록 우드본체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우드본체는 향스틱에 머금은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과 연통하게 향발산 기공을 형성하며, 상기 우드본체는 다각형 면체로 구성하고, 다각형 면체의 일측으로는 수용공간과 연통하게 개구부를 형성하여 향스틱이 슬라이드 삽입하며, 상기 향스틱이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에는 개구부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재로 이루어진 마감구를 강제 끼움방식으로 삽입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드본체 내부에 향스틱이 내장되어 향을 발산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우드 디퓨저에 의하면, 디퓨저의 크기가 소형화 되기 때문에 휴대가 매우 간편하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마그네틱 구조로 인하여 부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의 제약이 없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향을 수용하는 본체가 나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체 자체에서도 향발산이 이루어지므로 효율적인 발향이 가능하고, 향스틱을 교체할 필요없이 장기간 지속적인 향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스포일러를 이용하여 향 원료를 충진할 수 있으므로 향 충진이 매우 간편하고, 소량으로 효과적인 발향이 이루어지며, 거치 방향을 자유롭게 하더라도 향 원료가 새지 않고 발향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소재를 나무로 사용함에도 구조를 간소화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한 구조를 가지며, 제작이 매우 간편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높고,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드 디퓨저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우드 디퓨저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우드디퓨저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우드 디퓨저의 향 충진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드 디퓨저의 거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우드 디퓨저의 거치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원목 디퓨저의 외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원목 디퓨저의 조립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분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원목 디퓨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우드본체(100)는 목재로 제작되어 중공된 수용공간(120)을 가지며, 그 수용공간(120)에 향 원료를 머금은 향 스틱(200)이 내장되어 우드본체(100)의 일측으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향발산 기공(140)을 통하여 향 배출이 이루어지며, 우드본체(100)의 다른 한편에는 상기 수용공간(120)과 연통하게 향 원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공(320)이 형성된 삽입부재(300)를 장착함으로써 소형의 간단한 구조이고 깔끔한 미관을 가지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드본체(100)는 원목을 블럭 형태로 재단, 가공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다각형 면체로 구성되어 별도의 스탠드가 필요없이 세워 둘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길이간 긴 형태의 향 스틱을 내장할 수 있도록 좌,우로 길이가 긴 형상의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원목으로는 편백나무나 오동나무, 호두나무 등의 원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나무 자체에서 발생하는 오일 성분이 병충해를 막을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기 노출 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티크(teak) 등의 가변형 원목을 사용하면 디퓨저 진열효과는 물론, 다양한 미감을 더 부가할 수 있다.
우드본체(100)는 일정한 크기로 재단되어진 블럭형태의 원목을 공구 등으로로 가공하여 수용공간(120)과 수용공간과 연통하게 형성되는 향발산 기공(140) 및 통공(160)을 마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드릴과 같은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우드본체(100)의 측면에는 향스틱(200)을 삽입하기 위한 수용공간(120)을, 우드본체(100)의 다른 한편에는 삽입부재(300)를 장착하기 위한 통공(160)을 각각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향발산 기공(140)은 직쏘 또는 절삭공구 등으로 수용공간(120)과 연통하도록 가공이 가능하므로, 우드본체(100)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우드본체(100)의 크기를 규격화하고, 수용공간(120), 향발산 기공(140), 통공(160)의 가공위치 및 깊이를 설정함에 따라 목재 제품임에도 지그나 가이드를 통하여 우드본체(100)를 배열하고 자동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일정일련의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순차적인 가공으로 자동 생산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향스틱(200)은 길이가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섬유나 나무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기공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향 원료의 흡수율이 높은 천연 소재의 섬유 스틱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향스틱(200)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단위스틱을 하나의 묶음으로 구성하여 향스틱(200)을 제작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120)에 수용될 정도의 여러 개의 단위스틱을 삽입함으로써 표면적을 더 크게하여 흡수율 및 향발산효과를 더 부가할 수 있으며, 이렇게 삽입되는 단위스틱의 수량이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향의 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 원료를 주입하여 향스틱에 향이 스며들어 지속적인 향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향 원료는 천연향을 머금은 에센셜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향발산 기공(140)은 우드본체(100)가 일방향으로 긴 직육면체로 구성되는 경우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는 슬릿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릿홀은 향 발산 정도를 조절하거나 디자인적인 미감을 위하여 여러 개의 타공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게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우드본체(100)에 향스틱(200)을 조립하는 구조는, 다각형 면체로 구성되어 있는 내부에 수용공간(120)이 형성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20)과 연통하게 일측으로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향스틱(200)이 슬라이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향스틱(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122)에는 개구부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재로 이루어진 마감구(124)가 강제 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향스틱이 내장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마감구(124)의 크기를 개구부(122)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마감구(124)의 외경을 개구부(122)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한 후 강제끼움으로 삽입함으로써 한 번 삽입된 이후에는 마찰력에 의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다.
따라서 우드본체(100)에 향스틱(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동일한 재질인 목재로 이루어지는 마감구(124)로 마감되어 향스틱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절개된 기공(142)을 통하여 향을 은은하게 발산하게 된다.
우드본체(100)는 측방향 종단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기공(140)과 주입공(320)의 방향이 직교하게 위치시키면 삽입부재(300)를 통하여 향스틱(200)에 향을 충진할 때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삽입부재(300)의 주입공(320)이 상측으로 개구된 상태에서 향발산 기공(140)이 우드본체(100)의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직교하게 형성함으로써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향스틱(200)이 내장되는 수용공간(120)은 원통형의 중공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향발산 기공(140)은 그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수용공간(120) 내에 액상의 향 원료가 차오르더라도 기공(140)으로 즉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향스틱(200)에 향을 과하게 주입하더라도 향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누액이 발생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향 원료가 우드본체(100)에 흡수하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향스틱 뿐만 아니라 우드본체 자체에 향이 스며들게 되기 때문에 향을 효율적으로 흡수한 후 장기간 지속적인 향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우드본체(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요소(400)에 의하여 특정한 장소에 진열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삽입부재(300)가 거치요소(400)에 부착되는 구조는 자력에 의하여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거치요소(400)를 철판으로 구성하고 그 이면에는 위치 고정을 위한 접착면(420)을 형성하여 이형지를 제거한 후 특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삽입부재(300)를 마그네틱으로 제작함으로써 삽입부재(300)가 거치요소에 자력으로 탈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사용자가 설치하고 싶은 장소,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은 가구 또는 차량 내부 등에 간단하게 탈착하여 디퓨저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식효과가 가미되어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도 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근방이나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장소 등에 거치요소(400)를 활용하여 설치장소나 거치방법의 제약이 없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바람에 의하여 향을 더 잘 퍼트리도록 하고 발향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매우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크기대비 향 발산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거치요소(400)에 의하여 위치가 설정된 이후에 우드본체(100)가 자력에 의하여 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디퓨저가 움직임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한채로 발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삽입부재(300)가 탈착되는 구조가 거치요소(400)에 맞닿아 주입공(320)을 차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디퓨저의 탈착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향 원료가 완전히 스며들기 이전에 주입공(320)이 하향되게 설치되더라도 향 원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우드본체(100)에 향을 충진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우드본체(100) 자체에 향이 스며들기 때문에 거치요소(400)가 바닥면에 접착되는 경우에 삽입부재(300)를 하부측으로 향하더라도 이미 우드본체(100)에 향 원료가 스며든 상태이기 때문에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우드본체
120: 수용공간 122: 개구부 124: 마감구
140: 기공
160: 통공
200: 향스틱
300: 삽입부재
320: 주입공
400: 거치요소
420: 접착면

Claims (4)

  1. 목재로 이루어지되 중공된 수용공간(120)을 구비하는 우드본체(100);
    상기 우드본체(100)의 수용공간(120)에 삽입되는 향스틱(200);
    상기 우드본체(100)의 수용공간(120)과 연통하여 향스틱(200)에 향을 충진할 수 있도록 우드본체의 일단에 삽입되는 주입공(320)이 형성된 삽입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우드본체(100)는 향스틱(200)에 머금은 향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20)과 연통하게 향발산 기공(140)이 형성되며,
    우드본체(100)의 일측으로는 수용공간(120)과 연통하게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향스틱(200)이 슬라이드 삽입되며, 개구부(122)에는 마감구(124)가 삽입되어 향스틱이 우드본체(100)에 내장된 상태에서 향 원료를 머금어 기공(140)을 통한 향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디퓨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본체(100)는 다각형 면체로 구성되고, 다각형 면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22)에는 향스틱(200)이 수용공간(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목재로 이루어진 마감구(124)가 강제 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향스틱이 내장되는 구조를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디퓨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본체(100)는 측방향 종단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되되, 삽입부재(300)를 통하여 향스틱(200)에 향을 충진할 때 누액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부재(300)의 주입공(320)이 상측으로 개구된 상태에서 향발산 기공(140)이 우드본체(100)의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직교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디퓨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드본체(10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요소(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요소(400)는 위치 고정을 위한 접착면(420)이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300)는 마그네틱으로 형성되되, 거치요소(400)는 마그네틱에 자력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철판으로 구성되어 우드본체(100)를 거치요소(4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디퓨저.
KR1020210005622A 2021-01-14 2021-01-14 우드 디퓨저 KR20220102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22A KR20220102991A (ko) 2021-01-14 2021-01-14 우드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22A KR20220102991A (ko) 2021-01-14 2021-01-14 우드 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991A true KR20220102991A (ko) 2022-07-21

Family

ID=8261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622A KR20220102991A (ko) 2021-01-14 2021-01-14 우드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99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069B1 (ko) 2018-09-07 2018-12-04 이슬기 디퓨저
KR200488419Y1 (ko) 2016-09-25 2019-04-17 이고운 세라믹 디퓨저
KR102011504B1 (ko) 2019-06-18 2019-08-16 에이로마 주식회사 종이 심지를 이용한 디퓨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19Y1 (ko) 2016-09-25 2019-04-17 이고운 세라믹 디퓨저
KR101925069B1 (ko) 2018-09-07 2018-12-04 이슬기 디퓨저
KR102011504B1 (ko) 2019-06-18 2019-08-16 에이로마 주식회사 종이 심지를 이용한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6130B1 (en) A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substance
US4339079A (en) Fragrance emitter
JP2022537210A (ja) ディフューザを備えた芳香剤ボトル
KR20180000912U (ko) 세라믹 디퓨저
KR20220102991A (ko) 우드 디퓨저
JP3153859U (ja) 芳香拡散装置
KR20140136872A (ko) 조립식 발향스틱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KR20210048008A (ko) 디퓨저
KR101828316B1 (ko) 다목적 디퓨져
JP2019210048A (ja) 芳香発散装置および芳香発散装置の容器
JP3135606U (ja) 収納フレーム
KR20200062581A (ko) 물없이 가압분사방식을 이용한 아로마 테라피 디퓨저
KR200465458Y1 (ko)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액자용 화분
KR101571156B1 (ko) 향수용기
KR101883491B1 (ko) 피톤치드가 함유된 캡슐이 내장된 기능성 비누
KR20010088225A (ko) 전자식 자동 향 분사장치
KR20210050980A (ko) 디퓨져가 구비된 화분
CN217793896U (zh) 一种扩香器件及香薰组件
KR20100032539A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장대.
JP5981105B2 (ja) アロマオイル等芳香装置
CN111374431A (zh) 一种新型汽车香水座
KR102000706B1 (ko) 발광 플랑크톤을 이용한 조명장치
WO2014041374A2 (en) Assembly for modifying the ambiance of a local environment
KR200421480Y1 (ko) 방향제가 수납된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