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375A - 휴대용 제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제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375A
KR20220102375A KR1020210004662A KR20210004662A KR20220102375A KR 20220102375 A KR20220102375 A KR 20220102375A KR 1020210004662 A KR1020210004662 A KR 1020210004662A KR 20210004662 A KR20210004662 A KR 20210004662A KR 20220102375 A KR20220102375 A KR 20220102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oller
pulley
moving roll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791B1 (ko
Inventor
배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텍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텍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텍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0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7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벼를 도정하여 쌀의 등급을 판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현기에 관한 것으로서, 1개의 벨트를 사용하여 모든 구동부를 구동함으로써 동력전달구조를 단순화하고 제현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벼 투입구(10)와, 상기 벼 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되는 벼를 도정하는 한 쌍의 제현롤러와, 상기 제현롤러의 하부 측면에 배치되어 쌀과 쌀겨가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팬(82)과, 상기 제현롤러와 송풍팬(8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쌀 배출구(60)와, 쌀겨 배출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제현기에 있어서, 상기 제현롤러는, 상기 벼 투입구(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롤러(22)와, 상기 고정롤러(22)에 대해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롤러(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롤러(21)의 수평방향 이동량을 조절하는 이동롤러 조절부재(20)와, 상기 이동롤러(21)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 유지부재(9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제현기{PORTABLE DEVICE FOR REMOVING HULL FROM RICE}
본 발명은 소량의 벼를 도정하여 쌀의 등급을 판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의 도정 정도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1개의 벨트를 사용하여 모든 구동부를 구동함으로써 동력전달구조를 단순화하고 각 부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제현기의 크기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제현기에 관한 것이다.
쌀의 등급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소량의 벼를 채취하여 도정한 후 그 등급을 정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장치를 제현기라 부른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989-2681호에는 "현미 비율 측정용 제현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현미 비율 측정용 제현기는. 본체의 상측 및 일측부에 호퍼와 싸이클론이 각각 고정설치되고, 조절핸들에 연결되는 조절나봉의 일측단부에 연결되어 고정축에 고정되는 조절판의 호퍼의 하측에 설치되는 공급로울러의 외주면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시험용 제현기에 있어서, 상기 호퍼와 싸이클론의 고정부 일측을 경첩으로 각각 절첩가능하게 유착시키고, 그 반대측 플랜지부에 U자상의 체결홈을 요설하며, 그 인접부위 본체의 측벽에 체결간을 돌설하여 그 단부에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되게 고정보울트를 축핀으로 유착하여 상기 체결홈을 통하여 끼워지게 하고 그 고정보울트에 나비너트를 각각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공급로울러의 외주면에는 수개의 시료투입홈을 요설하고 상기 조절판이 고정되는 고정축의 일측단부에는 지지편과 탄지편을 각각 고정시켜 그 지지편의 타측단부에는 조절나봉의 단부가 접촉되게 함과 아울러, 탄지편의 단부에 스프링을 탄력설치하여 그 스프링의 탄성으로 조절판의 단부가 공급로울러의 하측 외주면에 접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현미 비율 측정용 제현기는, 본체에 싸이클론이 접철될 수 있게 장착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고, 모터가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호퍼가 접철될 수 있게 본체에 장착되어 모터와 호퍼가 본체의 외관에서 돌출되기 때문에, 모터와 호퍼에 의해 휴대자의 보행에 지장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제현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휴대용 제현기는,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제현롤러(121,122)가 장착되고, 상기 제현롤러(121,122)의 상부에 시료공급 롤러(140)와 공급슈트(145)가 배치되고, 상기 제현롤러((121,122)의 하부에 왕겨와 현미를 안내하는 가이드(15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150)의 하부에 현미 수집통(170)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150)에서 왕겨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왕겨흡출팬(160)이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왕겨흡출팬(160)의 풀리(164), 제현롤러(121)용 제 1 풀리(135) 및 제현롤러(122)용 풀리(136)가 벨트(190)에 의해 모터(180)의 풀리(182)와 연동되고, 제현롤러(121)용 제 2 풀리(134)와 시료공급 롤러(140)용 풀리(132)가 벨트(195)에 의해 연동되는 휴대용 제현기에 있어서, 본체 케이싱(110)의 일측면 하단에 모터(180)가 고정되고, 상기 모터(180)가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왕겨흡출팬(16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왕겨흡출팬(160)의 왕겨 배출구(162)에 왕겨수집 주머니(20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싱(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시료 투입구(112) 주변에 슬라이딩 가이드(111)가 장착되고, 호퍼(220)의 하부 슬라이딩 장착부(221)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3)를 따라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고, 본체케이싱(110)의 하부 받침부에 자석(183)이 부착된 브라켓(184)이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어, 호퍼(22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호퍼(220)가 뒤집혀진 상태에서 상기 호퍼(220)의 수직부(222) 내측면이 자석(183)에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현미 수집통(170)의 리어 테두리부(172)에 자석(140)이 리벳(142)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현미 수직통(140)의 사이드 테두리부(174, 176)가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딩 장착부(151)에 장착되면, 상기 자석(140)이 본체 케이싱(110)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114)의 하단에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휴대용 제현기에 의하면, 본체 케이싱의 왕겨 배출구에 왕겨수집 주머니가 장착되고, 상기 왕겨수집 주머니가 종래의 사이클론을 대체함으로써, 제현기의 자중이 상당히 감소되어 휴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호퍼가 본체 케이싱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시료 투입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휴대시 호퍼를 분리하여 본체 케이싱 내부에 보관할 수 있으며, 모터가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와 호퍼에 의해 운반자의 보행을 간섭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휴대용 제현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벨트(190)(195)에 의해 시료공급용 롤러, 제현롤러 및 왕겨흡출팬이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구조가 복잡하여 각 부품의 조립에 어려움이 있으며,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제현기는, 모터가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운반이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제현기는, 구동모터가 AC 전원 전용으로 되어 있어 모터의 용량이 커지게 되고, 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54751(2007. 9. 3. 공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1989-0002681(1989. 4. 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개의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여 모든 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력전달구조를 단순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현기를 경량화하고 소형화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벼의 도정 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C/DC 전원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 투입구와, 상기 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벼를 도정하는 한 쌍의 제현롤러와, 상기 제현롤러의 하부 측면에 배치되어 쌀과 쌀겨가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제현롤러와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쌀 배출구와, 쌀겨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제현기에 있어서, 상기 제현롤러는, 상기 벼 투입구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에 대해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롤러의 수평방향 이동량을 조절하는 이동롤러 조절부재와, 상기 이동롤러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 유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롤러 조절부재는, 이동롤러의 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 유지부재는, 사각 바 형상으로서 이동롤러 풀리와 고정롤러 풀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 유지부재는,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슬롯과, 벨트가 감겨지는 텐션 풀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롤러 풀리, 텐션 풀리 및 송풍팬 풀리가 하나의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롤러 풀리는 그 직경이 이동롤러 풀리의 직경부다 크게 형성되어, 이동롤러 풀리와 텐션 풀리 사이에 구비되는 타이밍 벨트를 눌러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A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및 AC 전원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벼 투입구는, 그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에 의해 18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현롤러의 하부에 쌀과 쌀겨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쌀이 쌀 배출구로 낙하되도록 하는 쌀 낙하부와, 상기 제1 수직부의 앞쪽에 구비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쌀과 쌀겨를 분리하기 위한 송풍팬이, 상기 제2 수직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은 구동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브러시리스 DC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쌀 배출구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쌀겨 배출구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여 모든 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동력전달구조가 단순화되어 각 부품의 조립이 간편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현기의 중량을 5kg까지 줄일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션 유지부재에 의해, 제현롤러의 도정 정도 및 타이밍 벨트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DC 24V 배터리 팩 및 AC 공급장치에 의해 AC/DC 전원을 겸용으로 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제현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제현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현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현기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5는 도 3의 A-A 방향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현기에서 모터 보호커버와 배터리 팩을 제거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B-B 방향 단면도.
도 8은 도 4의 C-C 방향 단면도.
도 9는 도 6의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10은 도 9의 D-D 방향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 유지부재 및 타이밍 벨트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현기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B)의 좌측에 구비되는 벼 투입구(10) 및 제현롤러부,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부, 및 베이스 프레임의 우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부는 모터 보호커버(30)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모터 보호커버(30)의 상부에는 제현기를 휴대하기 위한 손잡이(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40)과, 상기 배터리 팩을 충전하고 A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및 AC 전원공급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DC 24V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B)의 우측에는 전원스위치(70)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AC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할 수도 있고, 배터리에 의해 구동모터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제현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벼 투입구(10)는, 벼를 투입하는 부분으로서,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손잡이부(10a)가 구비되고, 타측에 힌지부(12)가 구비되어 18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손잡이부(10a) 및 힌지부(12)에 의해, 벼 투입구(10)를 쉽게 열고 닫을 수가 있다. 이로써 제현롤러부의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해진다.
상기 제현롤러부는, 벼 투입구(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벼를 도정하는 한 쌍의 롤러로서, 고정롤러(22)와, 상기 고정롤러(22)에 대해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롤러(21)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롤러(22) 및 이동롤러(21)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롤러(21)의 수평방향 이동량을 조절하는 이동롤러 조절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롤러 조절부재(20)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롤러(21)의 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이동롤러(21)의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롤러 조절부재(20)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이동롤러(21)의 수평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롤러(21)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 유지부재(9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텐션 유지부재(90)는, 사각 바(Bar) 형상으로서 이동롤러 풀리(21a)와 고정롤러 풀리(22a)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텐션 유지부재(90)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슬롯(92)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타이밍 벨트(T)가 감겨지는 텐션 풀리(91)가 구비된다.
상기 슬롯(92)은 상하로 2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롯(92) 부분은 수평방향의 위치 조정 후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슬롯(92)에 의해, 텐션 유지부재(9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타이밍 벨트(T)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동롤러(21)의 이동과 함께 텐션 유지부재(90)의 단부에 구비된 텐션 풀리(91)도 같이 이동하므로, 이동롤러(21)를 이동시켜도 타이밍 벨트(T)의 장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이동롤러 풀리(21a)와 텐션 풀리(9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 풀리(82a)와 하나의 타이밍 벨트(T)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 풀리(82a)는 구동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하나의 타이밍 벨트(T)를 사용하여 모든 구동부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동력전달구조가 간단해지고 각 부품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고정롤러 풀리(22a)는, 이동롤러 풀리(21a)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는 이동롤러 풀리(21a)와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롤러 풀리(22a)가, 이동롤러 풀리(21a)와 텐션 풀리(91)을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T)를 눌러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한 고정롤러 풀리(22a)의 누름작용에 의해, 타이밍 벨트(T)가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현롤러의 하부에는, 쌀과 쌀겨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부(13)와, 상기 제1 수직부(1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사부(13a)와, 상기 경사부(13a)의 단부에 구비되어 쌀이 쌀 배출구(60)로 낙하되도록 하는 쌀 낙하부(15)와, 상기 제1 수직부(13)의 앞쪽에 구비되는 제2 수직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수직부(14)는 제1 수직부(13)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부(13)와 제2 수직부(14)의 공간을 통과한 쌀이 경사부(13a)에서 바람에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현롤러를 통과한 쌀에 바람을 공급하여 쌀과 쌀겨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직부(14)의 전방에는 쌀과 쌀겨를 분리하기 위한 송풍팬(82)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82)은 구동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는, 브러시리스(Brushless) DC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리스 DC 모터는, 통상 BLDC 모터라 하며,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브러시를 제거하고, 회전자로서 영구자석을 사용한 모터이다.
상기 BLDC 모터는, 가격은 고가이지만, 효율이 높고 속도제어가 용이하며, 소음이 적고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쌀 배출구(60)는 베이스 프레임(B)의 일측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쌀겨 배출구(80)는 베이스 프레임(B)의 일측 후방에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현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스위치(70)를 눌러 AC 전원 또는 배터리의 DC 전원을 공급하면, BLDC 모터(32)가 송풍팬(82)를 직접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송풍팬 풀리(82a)와 이동롤러 풀리(21a) 및 텐션풀리(91)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T)에 의해, 송풍팬(82) 및 이동롤러(21)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롤러(21)와 맞물린 고정롤러(22)도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벼 투입구(10)에 일정량의 벼를 투입하면, 상기 벼가 이동롤러(21)와 고정롤러(22) 사이를 통과하면서 껍질이 벗겨지게 된다.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한 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구비된 제1 수직부(13)와 제2 수직부(14)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하부의 경사부(13a)에서 송풍팬(82)의 바람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무거운 쌀은 쌀 낙하부(15)를 통해 하부의 쌀 배출구(60)로 수집되고, 가벼운 쌀겨는 송풍팬(82)의 바람에 의해 쌀 배출구의 후방에 구비되는 쌀겨 배출구(80)로 이동된다.
상기 쌀겨 배출구(80)로 배출되는 쌀겨는 포대로 포집하면 된다.
그리고 쌀의 도정정도를 변경할 경우에는, 타이밍 벨트(T)를 제거한 후, 이동롤러 조절부재(20)를 이용하여 이동롤러(2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롤러 조절부재(20)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21)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동롤러(20)의 거리 조절이 완료되면, 텐션 유지부재(90)에 구비된 슬롯(92)을 이용하여 텐션 유지부재(9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송풍팬 풀리(82a)와, 이동롤러 풀리(21a)와, 텐션 풀리(91)를 타이밍 벨트(T)로 감은 후, 볼트로 텐션 유지부재(9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이동롤러(21)를 이동시킬 경우 텐션 풀리(91)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타이밍 벨트(T)의 장력은 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동롤러 풀리(21a)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고정롤러 풀리(22a)가 타이밍 벨트(T)를 아래로 누르게 되므로, 타이밍 벨트(T)가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제현기는, 모터의 동력이 2개의 벨트를 통해 각 구동부를 구동에 전달되는 구조이고, 송풍팬이 벨트에 의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구조가 복잡하여 각 부품의 조립이 어려우며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제현기를 10kg 이하의 중량으로 제작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제현기는, 이동롤러를 이동시켜 쌀의 도정정도를 변경할 경우에 벨트의 장력도 같이 변동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제현기를 사용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송풍팬 풀리(82a), 이동롤러 풀리(21a) 및 텐션 풀리(91)가 하나의 타이밍 벨트(T)에 의해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은, 모든 구동부가 하나의 벨트에 의해 구동되므로, 동력전달구조가 간단해지고 각 부품의 조립도 간편해진다. 또한 제현기를 5kg 정도의 소형으로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롤러(21)와 같이 이동하는 텐션 유지부재(90)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동롤러(21)의 이동시 텐션 유지부재(90)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롤러(21)를 이동시켜도 타이밍 벨트(T)의 장력이 변하지 않게 되므로 동력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이동롤러 풀리(21a)보다 큰 직경의 고정롤러 풀리(22a)가 타이밍 벨트(T)를 눌러주는 구조이므로, 타이밍 벨트(T)의 텐션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벼 투입구 12: 힌지(Hinge)부
13: 제1 수직부 13a: 경사부
14: 제2 수직부 15: 쌀 낙하부
20: 이동롤러 조절부재 21: 이동롤러(Roller)
21a: 이동롤러 풀리(Pulley) 22: 고정롤러
22a: 고정롤러 풀리 30: 모터 보호커버
31: 손잡이 32: BLDC 모터(Bruchless DC Motor)
40: 배터리 팩(Battery Pack) 50: 배터리 충전 및 AC전원 공급부
60: 쌀 배출구 70: 전원 스위치
80: 쌀겨 배출구 82: 송풍팬
82a: 송풍팬 풀리 90: 텐션(Tension) 유지부재
91: 텐션 풀리 92: 슬롯(Slot)
B: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T: 타이밍 벨트(Timing Belt)

Claims (13)

  1. 벼 투입구(10)와, 상기 벼 투입구(10)를 통해 투입되는 벼를 도정하는 한 쌍의 제현롤러와, 상기 제현롤러의 하부 측면에 배치되어 쌀과 쌀겨가 분리되도록 하는 송풍팬(82)과, 상기 제현롤러와 송풍팬(82)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쌀 배출구(60)와, 쌀겨 배출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제현기에 있어서,
    상기 제현롤러는,
    상기 벼 투입구(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롤러(22)와, 상기 고정롤러(22)에 대해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롤러(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롤러(21)의 수평방향 이동량을 조절하는 이동롤러 조절부재(20)와,
    상기 이동롤러(21)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 유지부재(9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 조절부재(20)는, 이동롤러(21)의 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유지부재(90)는, 사각 바 형상으로서, 이동롤러 풀리(21a)와 고정롤러 풀리(22a)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유지부재(90)는,
    벨트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슬롯(92)과,
    벨트가 감겨지는 텐션 풀리(9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이동롤러 풀리(21a), 텐션 풀리(91) 및 송풍팬 풀리(82a)와 하나의 타이밍 벨트(T)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 풀리(22a)는,
    그 직경이 이동롤러 풀리(21a)의 직경부다 크게 형성되어, 이동롤러 풀리(21a)와 텐션 풀리(91) 사이에 구비되는 타이밍 벨트(T)를 눌러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A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및 AC 전원공급부(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벼 투입구(10)는, 그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2)에 의해 18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현롤러의 하부에, 쌀과 쌀겨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부는,
    제1 수직부(13)와, 상기 제1 수직부(1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사부(13a)와, 상기 경사부(13a)의 단부에 구비되어 쌀이 쌀 배출구(60)로 낙하하도록 하는 낙하부(15)와, 상기 제1 수직부(13)의 앞쪽에 구비되는 제2 수직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11. 제 11 항에 있어서,
    쌀과 쌀겨를 분리하기 위한 송풍팬(82)이, 상기 제2 수직부(14)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82)은 구동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1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브러시리스(Brushless) DC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쌀 배출구(60)는 베이스 프레임(B)의 일측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쌀겨 배출구(80)는 베이스 프레임(B)의 일측 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제현기.
KR1020210004662A 2021-01-13 2021-01-13 휴대용 제현기 KR10243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62A KR102431791B1 (ko) 2021-01-13 2021-01-13 휴대용 제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62A KR102431791B1 (ko) 2021-01-13 2021-01-13 휴대용 제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375A true KR20220102375A (ko) 2022-07-20
KR102431791B1 KR102431791B1 (ko) 2022-08-11

Family

ID=8260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662A KR102431791B1 (ko) 2021-01-13 2021-01-13 휴대용 제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7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681U (ko) * 1987-07-01 1989-04-06 태평양제약 주식회사 구중 청량제 용기
KR890002681A (ko) 1987-07-30 1989-04-11 엘리 와이스 광섬유 제조방법 및 그에따라 제조된 광섬유
KR100754751B1 (ko) 2006-11-30 2007-09-03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휴대용 제현기
JP3991746B2 (ja) * 2002-03-29 2007-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研米器
KR20090002585U (ko) * 2007-09-11 2009-03-16 김인수 단일브이밸트로 구동하는 현미기
JP2015058389A (ja) * 2013-09-18 2015-03-30 ヤンマー株式会社 穀物調整装置
KR101999095B1 (ko) * 2019-04-01 2019-07-11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681U (ko) * 1987-07-01 1989-04-06 태평양제약 주식회사 구중 청량제 용기
KR890002681A (ko) 1987-07-30 1989-04-11 엘리 와이스 광섬유 제조방법 및 그에따라 제조된 광섬유
JP3991746B2 (ja) * 2002-03-29 2007-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研米器
KR100754751B1 (ko) 2006-11-30 2007-09-03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휴대용 제현기
KR20090002585U (ko) * 2007-09-11 2009-03-16 김인수 단일브이밸트로 구동하는 현미기
JP2015058389A (ja) * 2013-09-18 2015-03-30 ヤンマー株式会社 穀物調整装置
KR101999095B1 (ko) * 2019-04-01 2019-07-11 쌍용기계산업 주식회사 슈트를 이용한 완전 현미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791B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913841U (zh) 一种纽扣抛光机
KR102431791B1 (ko) 휴대용 제현기
CN113623944B (zh) 一种医用中药药材加工烘干装置
CN110039442A (zh) 打磨工具
CN106272636B (zh) 一种鞋面料裁剪装置
CN114102158A (zh) 一种标识标牌加工用打磨钻孔一体化设备
CN111992293A (zh) 一种面粉加工高效研磨设备
CN218591130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茶叶风力选别机
CN108580316B (zh) 一种分离秸秆饲料内地膜装置
CN208177669U (zh) 一种筛选大米装置
US8955213B2 (en) Apparatus and kit for stuffing plush toys and method thereof
CN206794142U (zh) 一种废纸分选生产线
KR100754751B1 (ko) 휴대용 제현기
CN208527306U (zh) 一种风辅式弹跳筛选机
CN209714236U (zh) 一种体育赛事计分用计分装置
CN208299879U (zh) 一种连续进出纸式自动高拍仪
CN209582765U (zh) 一种防塞孔的抛粮机
CN107161491B (zh) 一种家用增大存储空间的收纳装置
CN208599070U (zh) 一种便携式跑步机
CN220973413U (zh) 一种具有下压功能的李子处理设备
CN219616107U (zh) 一种便于更换筛网的振动筛
CN213558350U (zh) 一种用于黄蘑菇酒生产的原料筛选装置
CN114749375B (zh) 一种批量制作用茶叶末分离装置
CN110132609A (zh) 一种用于车辆测试的大型防尘试验箱
CN109015195A (zh) 一种有机玻璃回收用玻璃修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