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219A -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219A
KR20220102219A KR1020210004220A KR20210004220A KR20220102219A KR 20220102219 A KR20220102219 A KR 20220102219A KR 1020210004220 A KR1020210004220 A KR 1020210004220A KR 20210004220 A KR20210004220 A KR 20210004220A KR 20220102219 A KR20220102219 A KR 2022010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washer
washing
washing motor
user
rota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219A/ko
Publication of KR2022010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8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2Wate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4Water pressure or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0Regulation of machine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 e.g. performing an additional rinsing phase, shortening or stopping of the drying phase, washing at decreased noise operation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including disconnecting the machine from a network, e.g. from an electrical 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거리감지센서가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단계, 및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함에 있어서, 세척모터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식기세척기가 작동한 시간에 비례하여 세척모터의 작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DISHWASHER}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식기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와, 터브 바닥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암으로 이동되고, 분사암으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암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세척대상의 표면에 부딪혀서, 세척대상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이 터브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식기세척기가 세척을 진행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식기세척이 진행되는 도중에 세척대상인 식기를 추가로 세척실에 투입하거나, 세제를 추가하는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기세척기가 세척을 진행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도어를 열 경우에, 세척실 내부에 유동하는 세척수, 오염물질이 외부로 튀어 사용자에게 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세척수, 오염물질을 뒤집어 쓰거나, 특히 세척수가 고온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가 세척을 진행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경우, 사용자의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경우, 세척수, 오염물질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시점 이전에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하여 세척모터의 속도를 감속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거리감지센서가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단계, 및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함에 있어서, 세척모터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식기세척기가 작동한 시간에 비례하여 세척모터의 작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가 세척대상의 세척을 위한 행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거리감지센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에 세제가 투입된 경우, 식기세척에 유동하는 세척수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또는 세척모터의 회전속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 세척모터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식기세척기가 세척대상의 세척을 위한 행정을 진행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거리감지센서를 활성화 시킬지 여부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임에 있어서, 사용자와 식기세척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는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세척모터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식기세척기는 세척모터의 회전속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에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한 후,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경우, 식기세척기의 제어부는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저감하여 세척수, 오염물질의 분사속도, 분사량을 줄임으로써, 이들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시점 이전에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하여 세척모터의 속도를 감속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는 시점에서 급격히 세척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저감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식기세척기는 주방 등의 공간에서 빌트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터브(10), 상기 터브(10)의 개방된 일 측을 개폐하는 도어(20) 및 상기 터브(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용 랙(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실을 형성하고 전면이 개방된 터브(10)를 구비할 수 있다. 터브(10)의 내부에는 세척대상인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랙(100)을 구비하고,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터브(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터브(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터브(1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일 측의 상방과 하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20)와 터브(10)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어(20)는 터브(10)의 전방 하단부에 배치되는 도어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터브(10)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섬프(31)를 포함한다. 섬프(31)에는 터브(10)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섬프(3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 섬프(3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과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실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4)을 포함한다. 복수의 세척노즐(34)은 랙(100) 또는 터브(10)의 내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세척노즐(34a)은 터브(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2세척노즐(34b)은 상측 랙(100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상측 랙(100a)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3세척노즐(34c)은 하측 랙(100b)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하측 랙(100b)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섬프(31)에 저장된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압송하는 세척펌프(32)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세척노즐(34)로 안내하는 복수의 연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펌프(32)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연결관(33)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전환밸브(35)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0)로 공급된 세척수는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집수된다. 섬프(31)에 집수된 세척수는 세척펌프(32)로 유동하며 가압된다. 세척펌프(32)에서 가압된 세척수는 전환밸브(35)로 유동하며 복수의 연결관(33)에 선택적으로 유동한다. 세척수는 연결관(33)을 유동하여 세척노즐(34)로 압송된다.
세척노즐(34)로 압송된 세척수는 터브(10)로 분사되며, 터브(10)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31)에서 다시 집수된다.
세척펌프(32) 내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세척펌프(32)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펌프(32)에서 분지되고 터브(10)의 일 측과 연통되는 스팀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스팀은 스팀노즐을 통해 터브(10)로 분사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가 세척을 진행하는 도중에 사용자는 식기세척기의 도어(20)를 수동으로 열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식기세척이 진행되는 도중에 세척대상인 식기를 추가로 세척실에 투입하거나, 세제를 추가하는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기세척기가 세척을 진행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도어(20)를 열 경우에, 세척실 내부에 유동하는 세척수, 오염물질이 외부로 튀어 사용자에게 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세척수, 오염물질을 뒤집어 쓰거나, 특히 세척수가 고온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가 세척을 진행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할 경우, 사용자의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보호를 위해,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는 시점에 식기세척기는 세척모터(3000)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20)를 개방하는 시점에 급하게 세척모터(3000)의 작동을 정지하더라도, 세척모터(3000)의 급격한 정지모션과 이전에 분사되는 세척수의 유동으로 인해 세척수, 오염물질이 사용자에게 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는 시점 이전에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하여 세척모터(3000)의 속도를 감속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거리감지센서(1000), 제어부(2000), 세척모터(3000) 및 알람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제어부(2000)의 제어에 따라 식기세척기는 세척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1000)는 제어부(2000)와 연결되고, 식기세척기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접근사실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000)로 전송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1000)는 설정된 범위 내로 사용자가 접근하면 접근사실을 제어부(2000)에 알릴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센서(1000)는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예를 들어 도어(20)가 위치하는 식기세척기의 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리감지센서(1000)는 예를 들어 도어(20)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거리감지센서(1000)는 식기세척기의 전방부에 도어(20)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도어(20)의 개폐에 의해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거리감지센서(1000)는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세척모터(3000)는 세척펌프(32)와 회전축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척모터(3000)는 제어부(2000)와 연결되고,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세척모터(3000)의 회전에 의해 세척펌프(32)는 작동할 수 있고,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세척펌프(32)의 회전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세척펌프(32)의 회전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세척실에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량, 분사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는 시점 및 개방시점 이전에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여 세척수의 분사량, 분사속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세척수, 오염물질이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알람부(4000)는 제어부(2000)와 연결되고,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음성을 발하는 스피커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식기세척기의 도어(20) 등 사용자가 잘 볼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고, 스피커는 식기세척기의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알람부(4000)는 사용자에게 식기세척기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저감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2000)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1000)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0). 상기 식기세척기가 세척대상의 세척을 위한 행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제어부(200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1000)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0)는 식기세척기가 세척과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거리감지센서(1000)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거리감지센서(1000)가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제어를 하지 않는다.
거리감지센서(1000)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거리감지센서(1000)가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120). 설정된 범위의 거리는 사용자와 거리감지센서(1000) 사이의 거리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설정된 범위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2000)가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로 사용자가 접근한다는 정보를 거리감지센서(1000)로부터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부(2000)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30).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000)는 상기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다(S140).
제어부(2000)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식기세척기에 세제가 투입된 경우(S131), 상기 식기세척에 유동하는 세척수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S132), 또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S133)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2000)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세척수의 온도의 설정값은 사용자가 세척수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불편을 느낄 정도의 온도, 예를 들어 30℃ 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의 설정값은 세척수, 오염물질이 사용자에게 튈 우려가 있는 정도의 값으로, 예를 들어, 1500RP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0)는 식기세척기가 세척을 진행하기 전 또는 세척을 진행하는 중에 세제의 저장부에 구비되는 수위게이지를 이용하거나, 또는 세척수의 성분을 분석하여 세제의 투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0)는 세척실에 구비되는 온도감지장치를 이용하여 현재의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에 인가되는 전력에서 전류의 변화량을 기초로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알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임으로써, 세척실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량, 분사속도를 줄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세척수의 강한 분사로 인해 세척수, 오염물질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임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식기세척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는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된 범위의 거리가 30cm인 경우, 사용자와 거리감지센서(1000) 사이의 거리가 30cm가 되면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는 1000RPM, 사용자와 거리감지센서(1000) 사이의 거리가 15cm가 되면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는 500RPM, 사용자와 거리감지센서(1000) 사이의 거리가 5cm가 되면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는 200RPM으로,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점진적으로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에 접근하더라도 세척모터(3000)의 급격한 회전속도 감소로 인한 무리한 부하가 세척모터(3000)에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에 접근할 뿐 실제로 도어(20)를 개방하지 않는 경우에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할 수 있다.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알람부(4000)에 문자를 표시하거나 음성을 발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도어(20)가 개방되는 경우에 제어부(2000)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을 정지시켜, 세척수, 오염물질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경우, 제어부(2000)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할 수 있다(S150). 즉, 세척모터(3000)의 작동시간을 늘여 세척수 분사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세척모터(3000)의 감속운전으로 식기의 세척이 미비하게 진행된 것을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가 작동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세척모터(3000)의 작동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세척모터(3000)의 감속운전 시간이 보다 짧으면 세척모터(3000)의 보충적인 작동시간은 보다 짧아질 수 있고, 세척모터(3000)의 감속운전 시간이 보다 길면 세척모터(3000)의 보충적인 작동시간은 보다 길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범위의 거리를 벗어나면,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는 원상복구될 수 있고, 식기세척기는 정상적인 세척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의 보충은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가 세척대상의 세척을 위한 행정을 진행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상기 거리감지센서(1000)를 활성화 시킬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S100).
사용자는 알림부를 통해 거리감지센서(1000)를 활성화 시킬지 여부를 통보받고,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조작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감지센서(1000)를 활성화하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거리감지센서(1000)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제어는 진행되지 않는다.
제어부(2000)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1000)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0). 상기 식기세척기가 세척대상의 세척을 위한 행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제어부(200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1000)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거리감지센서(1000)가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제어를 하지 않는다.
거리감지센서(1000)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거리감지센서(1000)가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120).
제어부(2000)가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로 사용자가 접근한다는 정보를 거리감지센서(1000)로부터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부(2000)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30). 제어부(2000)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는 판단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000)는 상기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다(S140).
S140 단계에서,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임으로써, 세척실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량, 분사속도를 줄이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세척수의 강한 분사로 인해 세척수, 오염물질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임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식기세척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는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도어(20)가 개방되는 경우에 제어부(2000)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S160).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을 정지시켜, 세척수, 오염물질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170). 제어부(2000)는 알람부(4000)에 문자를 표시하거나 음성을 발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된 후, 제어부(2000)에 의해 다시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할 수 있다(S180).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하는 것은 2가지의 경우에 진행될 수 있다.
하나는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범위의 거리를 벗어나면,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는 원상복구될 수 있고, 식기세척기는 정상적인 세척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의 보충(S150)은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에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2000)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2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시간으로 적절히 선택될 수도 있다.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줄인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에 있을 뿐 도어(20)를 개방하지 않는다면, 제어부(2000)는 사용자 도어(20)를 개방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할 수 있다.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경우, 제어부(2000)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할 수 있다(S150). 즉, 세척모터(3000)의 작동시간을 늘여 세척수 분사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세척모터(3000)의 감속운전으로 식기의 세척이 미비하게 진행된 것을 보충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제어부(2000)는 상기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S180)한 후,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하는 단계(S150)를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의 도어(20)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경우, 식기세척기의 제어부(2000)는 세척모터(3000)의 회전속도를 저감하여 세척수, 오염물질의 분사속도, 분사량을 줄임으로써, 이들이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는 시점 이전에 사용자의 행동을 파악하여 세척모터(3000)의 속도를 감속함으로써, 도어(20)를 개방하는 시점에서 급격히 세척모터(30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터브
20: 도어
31: 섬프
32: 세척펌프
33: 연결관
34a: 제1세척노즐
34b: 제2세척노즐
34c: 제3세척노즐
35: 전환밸브
100a: 상측 랙
100b: 하측 랙
1000: 거리감지센서
2000: 제어부
3000: 세척모터
4000: 알람부

Claims (9)

  1.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거리감지센서가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단계;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가 작동한 시간에 비례하여 상기 세척모터의 작동시간을 증가시키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가 세척대상의 세척을 위한 행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작동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에 세제가 투입된 경우, 상기 식기세척에 유동하는 세척수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 세척모터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가 세척대상의 세척을 위한 행정을 진행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상기 거리감지센서를 활성화 시킬지 여부를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임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식기세척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범위의 거리 내에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터의 회전속도를 원상복구한 후,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시간을 보충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0210004220A 2021-01-12 2021-01-12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220102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20A KR20220102219A (ko) 2021-01-12 2021-01-12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20A KR20220102219A (ko) 2021-01-12 2021-01-12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219A true KR20220102219A (ko) 2022-07-20

Family

ID=8260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20A KR20220102219A (ko) 2021-01-12 2021-01-12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22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093B1 (ko) 식기세척기
CA2394951C (en) Methods and systems for water detection in a dishwasher
US9700197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4305707A (ja) 洗濯物浮き上がり検出装置を備えた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041008A1 (en) Non-electroni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ash pump cavitation in a dishwasher
EP29455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lling with water of a water-conducting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EP294116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lling with water of a water-conducting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20220102219A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20190159652A1 (en) Dishwasher appliance having a pressure sensor for flood detection
US20190167066A1 (en) Dishwasher appliance having a pressure sensor and a tub lip sensor for flood detection
KR100783428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헹굼수탱크 온도감지구조
KR100863859B1 (ko) 식기 세척기
JP4347232B2 (ja) 食器洗浄機
KR101580123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급수 방법
EP294116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illing with water of a water-conducting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JPH11290258A (ja) 洗浄機
JP4636621B2 (ja) 食器洗い機
KR200406090Y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헹굼수탱크 온도감지구조
JP2008012142A (ja) 食器洗い機
KR101344462B1 (ko) 세척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34945B1 (ko) 세탁기
KR100686110B1 (ko) 세탁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JP2008104474A (ja) 食器洗い機
KR20070081142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29874A (ko)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