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038A -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038A
KR20220102038A KR1020210004231A KR20210004231A KR20220102038A KR 20220102038 A KR20220102038 A KR 20220102038A KR 1020210004231 A KR1020210004231 A KR 1020210004231A KR 20210004231 A KR20210004231 A KR 20210004231A KR 20220102038 A KR20220102038 A KR 20220102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filter media
filter
water
filt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997B1 (ko
Inventor
장주미
장기철
민지홍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1000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9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21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nozzles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or by fluids acting in co-current direction with the feed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01D24/461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by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펌프에서 이송되는 여재에 세척수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고압세척모듈에서 여재의 탁질을 분리하고, 개방된 상부에서 탁질이 분리된 여재와 세척수가 공급되고 원형의 중심에 회전패들이 장착되며 하부 및 내측벽면에 스트레이너가 형성되는 세척조에서 분리된 탁질을 세척하여 여재배출부와 퇴수배출부로 여재와 퇴수를 선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여재를 세척 후 선별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안정적인 수질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제작하여 소규모 정수장에서도 설비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Filtration material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펌프에서 이송되는 여재에 세척수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고압세척모듈에서 여재의 탁질을 분리하고, 개방된 상부에서 탁질이 분리된 여재와 세척수가 공급되고 원형의 중심에 회전패들이 장착되며 하부 및 내측벽면에 스트레이너가 형성되는 세척조에서 분리된 탁질을 세척하여 여재배출부와 퇴수배출부로 여재와 퇴수를 선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여재를 세척 후 선별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안정적인 수질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제작하여 소규모 정수장에서도 설비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의 정수시설에서 물은 응집/침전→여과→소독 등의 공정을 거쳐 정수되며, 이중 여과 공정은 여과지 내부에 여과층이 구성되고 여과 기능을 해주는 모래, 왕사, 입상 활성탄, 안트라사이트와 같은 입자 형태의 여과재 여층에 의해 진행된다.
이처럼 정수시설에는 모래 여과지가 구비되며, 이와 같은 여과지는 하부로부터 활성탄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자갈층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래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여과층을 통해 하향으로 원수를 통과시킴으로써 물을 깨끗하게 정수처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정수시설의 여과지는 오랜 기간 사용하다보면, 여과 원수중에 포함된 진흙이나 기타 미세한 이물질들이 여과층의 최상층을 이루는 모래 표면에 부착하여 점점 성장함으로써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이 두껍게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러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여과지의 모래층에 많이 적층되면, 정수 수질에 문제가 발생되고, 원수가 여과지에서 정체되어 정수 시간이 증가되며 정수효율을 크게 저하시킨다.
이러한 여과재로 이루어지는 정수장의 여과지는 대량의 물을 매일 처리하는 관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과 능력이 저하(여과지 폐색 현상)되어 주기적으로 여과지 여재 상층부 표면세척 및 역세척을 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한 여과지의 세척이 이루어지는데, 표층부에 탁질이 심하게 많은 억류 분포상태에서는 충분한 세척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역세척 만으로는 여층 표면부에 탁질이 남고 세척효과가 나쁘며 오랫동안 여층 표면의 여과재에 이토상 물질이 축적되어 여층의 탁질 억류 용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결국은 머드볼이 형성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역세척 외에 여과지 여재 상층부 표면 세척을 병용하여 충분한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선행되는 표면 세척은 여층 표층부에 세척수를 고속으로 분사시키고 강력한 수류에 의하여 전단 에너지로 이토 상층을 파쇄함과 동시에 여과재 상호의 충돌, 마찰을 증대시켜서 세척효과를 높이게 된다.
즉, 표면 세척과 역세척을 조합하여 수행하는 세척 공정을 통해, 여과재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표면 세척을 하면서 역세척수가 여과재를 역류하면서 여과재 공극에 억류되어 있는 현탁 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표면 세척수와 역세척수는 제거된 현탁 물질과 함께 퇴수트랩, 퇴수거 및 역 세척수 퇴수 밸브를 통해 회수조로 유입된다.
한편, 전체 여과재(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는 대부분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대형세척 구조로 고가의 장비로 이루어지고, 부피가 커서 이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정수장에서는 여과공정 관리가 어렵고, 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전용설비가 없어 건설현장 설비를 가져와서 조립 후 사용하는 경우 비용이 많이 들며, 주기적인 여과재 교체로 인해 노동력, 폐기물, 여과재 구입 및 폐기물 처리 비용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KR 10-0417701 (등록번호) 2004.01.27. KR 10-0984863 (등록번호) 2010.09.27. KR 10-2010-0132475 (공개번호) 2010.12.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펌프에서 이송되는 여재에 세척수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고압세척모듈에서 여재의 탁질을 분리하고, 개방된 상부에서 고압세척모듈에서 이송된 여재와 세척수가 공급되고 원형의 중심에 회전패들이 장착되며 내측벽면에 스트레이너가 형성되는 세척조에서 분리된 탁질을 세척하여 여재배출부와 퇴수배출부로 여재와 퇴수를 선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여재를 세척 후 선별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안정적인 수질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제작하여 소규모 정수장에서도 설비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재에 축적된 탁질을 박리시키기 위해 다각형의 모듈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을 통해 세척수와 공기를 분사하고, 여재에 따라 세척수 및 공기를 선별해서 분사함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여재를 세척하는 여과재 여재 세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압세척모듈을 통해 세척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설비를 소형화하여 이동이 용이하며 상부 오픈형 수직 세척조 구조로 이루어져 세척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조 하부면에 스트레이너를 형성하고 스트레이너 하부로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물과 여재의 분리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재배출부에 상부로 서로 이격되어 뾰족하게 돌출된 빗살필터부를 형성하여 여재의 적층을 방지하고 여재보다 큰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재 규모에 따라 회전패들의 수량을 추가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회전패들의 양끝단에 장착된 세척판 뒷면에 브러쉬가 부착되어 스트레이너에서 이물질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압세척모듈에서 노즐의 내주면에 세척수와 공기가 배출되는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여 세척수와 공기가 나선형의 홈을 따라 고속회전하며 배출되므로 여재에 대한 세척력을 더욱 높이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부에 감속기를 연결설치하여 회전패들의 회전 속도를 낮게 구동하여 설비 구동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단과 후단에 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여재가 이송되는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20) 외부에 설치된 세척수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와, 공기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20) 내부에서 배출하는 다수개의 노즐(123)이 형성되어 여재의 탁질을 분리하는 고압세척모듈(100)과; 개방된 상부에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에서 이송된 여재가 유입되는 여재유입부(210)와,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노즐(220)이 이격형성되고,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장착되는 구동부(23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패들(240)이 장착되며, 하부면에 상기 여재를 통과시키지 않는 스트레이너(250)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너(250)의 하부에서 배출된 물이 이동하는 내부공간(26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260)과 분리되는 하부면 일측에 상기 스트레이너(250)의 상부를 타고 온 여재가 배출되는 여재배출부(270)와, 상기 내부공간(260)에서 연장되어 물이 배출되는 퇴수배출부(280)가 형성되어 세척된 여재와 물을 분리배출하는 세척조(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세척수유입구(121)는 배출구(121a) 방향으로 관의 폭이 좁아지다가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폭이 가장 좁은 부분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구(122)가 결합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22)에는 공기조절밸브(122a)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은 내부에서 배출구(121a)와 연결되어 공기가 결합된 세척수가 이송되는 이송관(124)이 분기되어 노즐(123)과 연결설치되고, 상기 노즐(123)이 설치되고 결합부(110)와 결합되는 세척관(125)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관(125)에서 다수개의 노즐(123)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의 노즐(123)은 내주면에 나선형의 홈(123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230)는 감속기(231)가 연결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패들(240)은 중심부에 수량을 추가장착할 수 있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회전패들(240)의 양끝단에 장착된 세척판(241)의 뒷면에 브러쉬(241a)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여재배출부(270)는 뾰족하게 상부로 돌출된 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빗살필터부(27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세척조(201)는 다수개의 지지대(201)에 의하여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며, 어느 하나의 지지대(201)는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이 결합되어 여재를 이송하는 관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여재배출부(270)는 상기 스트레이너(250)가 형성되지 않은 곳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는 이송펌프에서 이송되는 여재에 세척수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고압세척모듈에서 여재의 탁질을 분리하고, 개방된 상부에서 탁질이 분리된 여재와 세척수가 공급되고 원형의 중심에 회전패들이 장착되며 하부에 스트레이너가 형성되는 세척조에서 분리된 탁질을 세척하여 여재배출부와 퇴수배출부로 여재와 퇴수를 선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여재를 세척 후 선별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안정적인 수질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제작하여 소규모 정수장에서도 설비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재에 축적된 탁질을 박리시키기 위해 다각형의 모듈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을 통해 세척수와 공기를 분사하고, 여재에 따라 세척수 및 공기를 선별해서 분사함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여재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추가 장착이 가능한 고압세척모듈을 통해 세척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설비를 소형화하여 이동이 용이하며 상부 오픈형 수직 세척조 구조로 이루어져 세척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세척조 내부벽면과 하부면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고 스트레이너 측면과 하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여재와 퇴수의 분리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재배출부에 상부로 뾰족하게 돌출된 빗살필터부를 설치하여 여재의 적층을 방지하고 여재보다 큰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재 규모에 따라 회전패들의 수량을 추가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회전패들의 양끝단에 설치되는 세척판 뒷면에 브러쉬가 부착되어 스트레이너에서 이물질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압세척모듈에서 세척수와 공기가 배출되는 노즐의 내주면에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여 세척수와 공기가 나선형의 홈을 따라 고속회전하며 배출되므로 여재에 대한 세척력을 더욱 높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에 감속기를 연결설치하여 회전패들의 회전 속도를 낮게 구동하여 설비 구동시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에서 세척조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에서 고압세척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에서 고압세척모듈을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에서 고압세척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의 고압세척모듈을 통과한 여재가 세척조에서 세척되고 여재배출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그린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의 세척조에서 세척노즐에서 유입된 세척수가 퇴수배출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그린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의 세척조에서 회전패들이 추가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송펌프에서 이송된 여재(여과재)의 탁질을 분리하고 세척한 후 선별 분리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과 후단에 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여재가 이송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20) 외부에 설치된 세척수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와, 공기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20) 내부에서 배출하는 다수개의 노즐(123)이 형성되어 여재의 탁질을 분리하는 고압세척모듈(100)과,
개방된 상부에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에서 이송된 여재가 유입되는 여재유입부(210)와, 세척수가 공급되는 다수개의 세척노즐(220)이 이격형성되고,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장착되는 구동부(23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패들(240)이 장착되며, 내부벽면과 하부면이 스트레이너(2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레이너(250)의 측면과 하부에서 배출된 퇴수가 이동하는 내부공간(26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260)과 분리되는 하부면 일측에 여재가 배출되는 여재배출부(270)와, 상기 내부공간(260)에서 연장되어 퇴수가 배출되는 퇴수배출부(280)가 형성되어 세척된 여재와 퇴수를 분리배출하는 세척조(2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은 전단과 후단에 결합부(110)가 형성되어 전단에서 여재이송펌프와 연결되어 여재가 이송되는 이송관이 결합되고, 후단에는 세척조(200)의 지지대(201)에 돌출형성되는 고압세척모듈결합부(201a)에 결합되어 여재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10)는 전단과 후단이 암나사 수나사형태로 이루어져 여재 규모에 따라 고압세척모듈(100)을 추가로 연결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고압세척모듈결합부(201a)에 탈착이 가능하여 교체 및 수리가 원활하게 구비된다.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은 탈질이 부착된 여재를 세척조(200)로 이송하는 중간에 설치된다.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은 외부에서 세척수와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에서 배출되도록 외부측 상부에 세척수유입구(121)가 장착되어 세척수가 유입되고, 상기 세척수유입구(121)에 공기유입구(122)가 절곡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며 세척수와 공기가 만나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유입구(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1a) 방향으로 관의 폭이 좁아지다가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폭이 가장 좁은 부분에서 공기가 빨려들어가며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구(122)가 결합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22)에는 공기조절밸브(122a)가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유입구(121)는 벤츄리관을 이용해 배출구(121a)에서 고속도로 공기가 결합된 세척수를 분출하여 노즐(123)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조절밸브(122a)는 여재에 따라 물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한다.
한편,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은 하우징(120)의 내부에서 배출구(121a)와 연결되어 공기가 결합된 세척수가 이송되는 이송관(124)이 분기되어 공기가 결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노즐(123)과 연결설치되고, 상기 노즐(123)이 관통설치되고 결합부(110)이 전단과 후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여재가 이송되며 세척되는 세척관(125)의 단면이 팔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세척관(125)에는 3개의 노즐(123)이 여재이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설치되고 반대편에 3개의 노즐(123)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세척관(125)의 양측에는 노즐(123)이 대칭을 이루며 장착되고, 노즐(123)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결합된 세척수는 고속으로 분출되어 세척관(125) 내부에서 각면에 부딪치며 이송되는 여재를 세척하고 탁질을 분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도면에는 양쪽에 각 3개의 노즐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여재와 부착되고, 세척의 대상이 되는 탁질은 진흙처럼 입자가 여재보다 작으며,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여재에서 분리된다.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은 공기유입구(122)에서 공기가 사이펀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1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선형의 홈(123a)이 형성되어 공기와 섞인 세척수가 회오리치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세척관(125) 내부로 배출되어 여재의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게 한다.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에서 이송된 여재에서 분리된 탁질은 세척조(200)에서 물과 모래(여재)로 선별 분리된다.
상기 세척조(200)는 다수개의 지지대(201)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세워질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지지대(201)에 고압세척모듈결합부(201a)가 연장형성되어 고압세척모듈(100)이 결합된 지지대(201)가 여재를 이송하는 관으로 구비되어 지지대(201)를 두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여재이송공간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압세척모듈결합부(201a)가 형성된 지지대(201)의 상부에는 이송된 여재가 세척조(200) 상부에서 유입되도록 여재유입부(21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여재유입부(210)에 이격되어 세척노즐(220)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여재유입부(210)는 여재가 이송되는 관으로 구비되는 지지대(201)에 결합되거나, 고압세척모듈(100)과 연결되어 여재가 유입될 수 있는 별도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노즐(220)은 여재를 세척하고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에서 탁질과 분리가 덜 된 여재에 대하여 탁질과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세척조(20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구동부(230)는 여재를 세척하기 위한 회전패들(2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로, 감속기(231)를 연결설치하여 회전축(232)에 설치되는 회전패들(240)의 회전 속도를 낮게 구동하여 설비 구동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패들(240)은 중심부에 수량을 추가장착할 수 있도록 결합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여재의 상태에 따라 회전패들(240)을 추가로 장착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며(도 9 참조), 회전패들(240)의 양끝단에 설치되는 세척판(241)의 뒷면에는 청소용 브러쉬(241a)가 설치되어 여재의 이송과 더불어 스트레이너(250)의 통공에 이물질이 끼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세척조(200)에서 구동부(230)는 중심부에 설치되되, 세척수를 막기 위해 내부격벽(202) 내측에 설치되고, 상부에 덮개부(203)를 덮어서 구동부(230) 및 전기장치 밀폐형 구조를 형성하므로 감전사고를 예방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203)에는 중심부에 회전패들(240)이 장착되는 회전축(232)이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회전축(232)에 결합되는 회전패들(24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격벽(202)을 사이에 두고 내부는 구동부(230)가 설치되는 바닥면(204)으로 형성되고, 외부는 스트레이너(250)로 바닥이 형성된다.
상기 스트레이너(25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거름망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재와 물(퇴수)을 분리하도록 하며, 바닥면에 위치하는 바닥면스트레이너(250a)와, 내부격벽(202)에 이격설치되는 내측벽면스트레이너(250b)와, 세척조(200) 내주면에 이격설치되는 외측벽면스트레이너(25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레이너(250)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은 그 직경이 여재보다는 작으며 탈질의 입자보다는 크다. 상기 스트레이너(250)는 여재를 통과시키지 못하고, 회전패들(240)에 의하여 여재가 이동되면서 스트레이너(250)에 형성된 구멍으로 탈질과 물이 통과된다.
상기 스트레이너(250)는 내부격벽(202)의 외부측에서 유입된 세척수가 여재를 세척하고 별도로 형성된 여재배출부(27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세척조(200) 상부가 개방되어 세척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상이 생기면 바로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트레이너(250)는 바닥면(204)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중바닥면(205) 및 내부격벽(202), 세척조(200)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형성되어 그 사이에 내부공간(260)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내부공간(2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가 이동하여 일시 저장되는 공간으로, 상기 이중바닥면(205)의 일측에 형성되는 퇴수배출부(280)를 통해 세척된 여재에서 분리되는 탁질이 포함된 퇴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퇴수배출부(280)는 퇴수배출관이 연결되어 퇴수를 퇴수처리시설로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퇴수배출부(280)는 도 8과 같이 별도의 관으로 하여 세척조(200) 하단에 설치할 수도 있고, 다수개의 받침대(201) 중 어느 하나의 상부를 중공으로 하여 내부공간(260)과 연통시켜 받침대(201)의 중간에서 관을 연결시켜 배출시킬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스트레이너(250a)의 일측에는 이중바닥면(205)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격벽에 의해 내부공간(260)과 다른 공간으로 구비되는 여재배출부(270)가 형성되며, 상기 여재배출부(270)는 여재가 배출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여재배출부(270)는 스트레이너(250)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하부로 깊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패들(240)의 회전에 의하여 스트레이너(250) 위를 따라 이동한 여재가 자유낙하한다. 상기 여재배출부(270)는 상부에서 스트레이너(250)가 형성되지 않고, 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260)과 분리되며, 하부로는 도 1과 같이 내부공간(260) 밑까지 형성되어 탁질이 분리된 여재가 임시 저장된다.
여재배출부(270)의 중간에는 상부로 뾰족하게 서로 이격되어 돌출된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빗살필터부(271)가 빗살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빗살필터부(271)는 여재보다 큰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트레이너(250)에 형성된 구멍은 여재보다 작은 직경이므로 여재보다 큰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스트레이너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물질은 대표적으로 나뭇잎 또는 나무가지 등이 있다. 이러한 여재보다 큰 이물질은 여재와 같이 스트레이너(250) 위를 지나 여재배출부(270)에서 낙하하게 된다.
상기 빗살필터부(271)는 돌기 사이 공간으로 여재가 통과하되, 윗부분으로 뾰족하게 돌출되어 모래가 적층되지 않고, 분리되어 빠져나가면서 동시에 나뭇잎, 나뭇가지 등 큰 이물질을 걸러서 선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여재배출부(270)는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관결합부(272)가 여재배출관과 연결되어 여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송한다.
한편, 상기 세척조(200)는 총 중량이 80kg 이내의 소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1) 하부에 바퀴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206)이 설치되어 2인으로 이동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노동력이 줄고 그에 따른 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는 소형세척 구조로 형성되므로 소규모 정수장에서도 여과지 수질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200)에는 다수의 지지대(201)가 관통설치되어 지지대(201)를 서로 연결하는 받침부(207)가 형성되어 상기 세척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필요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는 이송펌프에서 이송되는 여재에 세척수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고압세척모듈(100)에서 여재의 탁질을 분리하고, 개방된 상부에서 탁질이 분리된 여재와 세척수가 공급되고 원형의 중심에서 구동부(23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패들(240)이 장착되며 하부 및 내측벽면에 스트레이너(250)가 형성되는 세척조(200)에서 분리된 탁질을 세척하여 여재배출부(270)와 퇴수배출부(280)로 여재와 퇴수를 선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여재를 세척 후 선별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안정적인 수질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제작하여 소규모 정수장에서도 설비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재에 축적된 탁질을 박리시키기 위해 다각형의 모듈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123)을 통해 세척수와 공기를 분사하고, 여재에 따라 세척수 및 공기를 선별해서 분사함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여재를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추가 장착이 가능한 고압세척모듈(100)을 통해 세척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설비를 소형화하여 이동이 용이하며, 상부 오픈형 수직 세척조(200) 구조로 이루어져 세척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세척조(200) 내부벽면과 하부면에 스트레이너(250)를 설치하고 스트레이너(250) 측면과 하부에 내부공간(260)을 형성하여 여재와 퇴수의 분리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재배출부(270)에 빗살필터부(271)를 설치하여 여재의 적층을 방지하고 여재보다 큰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재 규모에 따라 회전패들(240)의 수량을 추가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회전패들(240)의 양끝단에 설치되는 세척판(241) 뒷면에 브러쉬(241a)가 부착되어 스트레이너(250)에서 이물질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압세척모듈(100)에서 세척수와 공기가 배출되는 노즐(123)의 내주면에 나선형의 홈(123a)을 형성하여 세척수와 공기가 나선형의 홈(123a)을 따라 고속회전하며 배출되므로 여재에 대한 세척력을 더욱 높이는 장점이 있다.
100 : 고압세척모듈 110 : 결합부
120 : 하우징 121 : 세척수유입구
121a : 배출구 122 : 공기유입구
122a : 공기조절밸브 123 : 노즐
123a : 홈 124 : 이송관
125 : 세척관
200 : 세척조 201 : 지지대
201a : 고압세척모듈결합부 202 : 내부격벽
203 : 덮개부 204 : 바닥면
205 : 이중바닥면 206 : 이동수단
207 : 받침부 210 : 여재유입부
220 : 세척노즐 230 : 구동부
231 : 감속기 232 : 회전축
240 : 회전패들 241 : 세척판
241a : 브러쉬 250 : 스트레이너
250a : 바닥면스트레이너 250b : 내측벽면스트레이너
250b : 외측벽면스트레이너 260 : 내부공간
270 : 여재배출부 271 : 빗살필터부
272 : 배출관결합부 280 : 퇴수배출부

Claims (9)

  1. 전단과 후단에 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여재가 이송되는 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20) 외부에 설치된 세척수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와, 공기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20) 내부에서 배출하는 다수개의 노즐(123)이 형성되어 여재의 탁질을 분리하는 고압세척모듈(100)과;
    개방된 상부에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에서 이송된 여재가 유입되는 여재유입부(210)와,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노즐(220)이 이격형성되고,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장착되는 구동부(23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패들(240)이 장착되며, 하부면에 상기 여재가 통과되지 않는 직경의 구성이 다수개 형성된 스트레이너(250)가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너(250)의 하부에서 배출된 물이 이동하는 내부공간(26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260)과 분리되는 하부면 일측에 상기 스트레이너(250)의 상부를 타고 온 여재가 배출되는 여재배출부(270)와, 상기 내부공간(260)에서 연장되어 물이 배출되는 퇴수배출부(280)가 형성되어 세척된 여재와 물을 분리배출하는 세척조(200);를 포함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유입구(121)는 배출구(121a) 방향으로 관의 폭이 좁아지다가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폭이 가장 좁은 부분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구(122)가 결합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22)에는 공기조절밸브(122a)가 설치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은 내부에서 배출구(121a)와 연결되어 공기가 결합된 세척수가 이송되는 이송관(124)이 분기되어 노즐(123)과 연결설치되고, 상기 노즐(123)이 설치되고 결합부(110)와 결합되는 세척관(125)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관(125)에서 다수개의 노즐(123)이 대칭으로 형성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의 노즐(123)은 내주면에 나선형의 홈(123a)이 형성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30)는 감속기(231)가 연결설치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패들(240)은 중심부에 수량을 추가장착할 수 있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회전패들(240)의 끝단에 장착된 세척판(241)의 뒷면에 브러쉬(241a)가 설치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배출부(270)는 뾰족하게 상부로 돌출된 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빗살필터부(271)가 형성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201)는 다수개의 지지대(201)에 의하여 바닥으로부터 세워지며, 어느 하나의 지지대(201)는 상기 고압세척모듈(100)이 결합되어 여재를 이송하는 관으로 구비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배출부(270)는 상기 스트레이너(250)가 형성되지 않은 곳에 구비되는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KR1020210004231A 2021-01-12 2021-01-12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KR102489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31A KR102489997B1 (ko) 2021-01-12 2021-01-12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31A KR102489997B1 (ko) 2021-01-12 2021-01-12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38A true KR20220102038A (ko) 2022-07-19
KR102489997B1 KR102489997B1 (ko) 2023-01-18

Family

ID=8260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31A KR102489997B1 (ko) 2021-01-12 2021-01-12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9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701B1 (ko) 1999-12-29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폐수처리여과기의 여과재 표면세척장치
KR20070036661A (ko) * 2006-09-07 2007-04-03 길조씨앤씨(주)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KR100984863B1 (ko) 2010-06-24 2010-10-01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KR20100132475A (ko) 2010-11-29 2010-12-17 주식회사삼영이앤티 교반 및 표면 세척장치
JP2015020117A (ja) * 2013-07-19 2015-02-02 ダイワ工業株式会社 浮遊ろ材の再生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701B1 (ko) 1999-12-29 2004-02-11 주식회사 포스코 폐수처리여과기의 여과재 표면세척장치
KR20070036661A (ko) * 2006-09-07 2007-04-03 길조씨앤씨(주) 여과재 선별세척장치
KR100984863B1 (ko) 2010-06-24 2010-10-01 주식회사 무진하이테크 여과재 세척 및 선별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재 재생 공법
KR20100132475A (ko) 2010-11-29 2010-12-17 주식회사삼영이앤티 교반 및 표면 세척장치
JP2015020117A (ja) * 2013-07-19 2015-02-02 ダイワ工業株式会社 浮遊ろ材の再生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997B1 (ko)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9866C (en)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s
KR101476868B1 (ko) 여과장치의 외부부착 여과재 세정장치
EP3795228B1 (en) Filtration device
WO2001083076A1 (fr) Dispositif de filtrage et procede d'epuration du materiau de filtrage contenu dans le dispositif de filtrage
EP1457244B1 (en) Filter device
EA001012B1 (ru) Фильтр с очисткой встречным течением
EP0519408B1 (en) Granular media regeneration apparatus and process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101738268B1 (ko) 표면세척장치가 구비된 압력식 여과기의 세척방법
KR102199304B1 (ko) 안트라사이트 및 활성탄의 재이용 효율 향상을 위한 시스템
KR102489997B1 (ko) 여과지 여재 세사장치
CN112246007A (zh) 一种建筑工程用除砂净化设备
DE19852119C1 (d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Schmutzwasser
KR100380225B1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KR100689855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101886425B1 (ko) Mbr 종합 전처리기
JPH01164409A (ja) 浄化装置
CN219723911U (zh) 一种环保淘洗清洗系统
JP3636205B1 (ja) 濾材洗浄選別装置
KR100707828B1 (ko)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
JP7466967B1 (ja) 洗浄汚水処理装置及び仮設機材洗浄装置
CN2249634Y (zh) 净水过滤器
CN107583315A (zh) 一种具有自洁功能的循环水箱
CN111558449B (zh) 一种新型的多腔体水气结合式洗砂机
KR200400257Y1 (ko)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