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005A - 해충 탐지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005A
KR20220102005A KR1020210004174A KR20210004174A KR20220102005A KR 20220102005 A KR20220102005 A KR 20220102005A KR 1020210004174 A KR1020210004174 A KR 1020210004174A KR 20210004174 A KR20210004174 A KR 20210004174A KR 20220102005 A KR20220102005 A KR 20220102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est
main body
unit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828B1 (ko
Inventor
최병학
고형순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형순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82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01V8/14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using refl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에 의한 목조 건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충의 존재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해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유입된 해충이 이동 및 생활할 수 있는 섭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해충의 먹이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충 섭생부와, 상기 해충 섭생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마개부와, 상기 해충 섭생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해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검사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검사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부를 향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검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충 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pest}
본 발명은 해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해충에 의한 목조 건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충의 존재 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해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을 탐지하는 기술은 목조 건축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특히, 목조 문화재의 경우 피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손실되는 문화재적 가치는 되돌리기 어렵다. 또한, 복원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당한 복구 비용이 소요된다. 목재 건축물의 가장 손상을 많이 일으키는 해충으로 대표적으로 흰개미가 있다. 흰개미는 건조한 목재도 가해하지만 대부분 습윤재를 가해한다. 활엽수 보다 침엽수를 선호하며, 심재보다는 변재를 만재보다는 조재를 선호한다. 특히, 소나무를 선호하는 특성 때문에 소나무가 주재료인 전통 목조 건축물에 손상의 주된 원인이 되는 해충이다.
흰개미는 빛을 싫어해서 지상에 노출된 목재의 경우 내부만 가해한다. 따라서, 목조 건축물의 경우 가해가 진행되어도 육안으로 피해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상당한 피해가 진행된 상태에서 파악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건축물에서 피해가 발생할 경우 흰개미의 탐지와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흰개미에 의한 손상 등 그 밖의 해충에 의한 목조 건축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해충 탐지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충 탐지 장치는, 플라스틱 용기 안에 흰개미 먹이용 목재를 넣고 일정시간 후 직접 꺼내어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이나, 용기에 흰개미 유인체인 소나무를 넣고 스프링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목재가 흰개미에 의해 가해되는 경우 스프링 작용으로 하강하는 것을 외부에서 육안 식별 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충 탐지 장치는, 목재의 흰개미 가해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직접 꺼내어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 작용을 이용할 경우 목재를 꺼내는 번거로움은 없지만, 상당량의 목재 감소에 의한 중량 감소가 이루어져야 스프링 작동이 되는 등, 흰개미 가해 정도를 스프링 작용으로 구분하는 것에 기계적 측정상의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해충 탐지 장치는,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지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햇빛에 의한 손실 및 망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위의 미관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충의 피해를 조기에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신속하게 피해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해충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충 탐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유입된 해충이 이동 및 생활할 수 있는 섭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해충의 먹이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충 섭생부; 상기 해충 섭생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마개부; 상기 해충 섭생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해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검사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검사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부를 향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검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개부는, 상기 본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 1 공간부; 상기 제 1 공간부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를 수용하는 제 2 공간부; 및 상기 제 2 공간부의 측방 또는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검사부를 수용하는 제 3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간부는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밀폐되면서 내부에 설치된 상기 반사부를 통해 상기 제 1 공간부가 비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공간부와 상기 제 2 공간부 사이의 벽부는 투명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공간부는 상기 제 2 공간부와 연통되어 내부에 설치된 상기 검사부와 상기 반사부 사이에 촬영 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와 상기 제 3 공간부 사이의 벽부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해충 섭생부가 형성된 상면이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사부는, 상기 마개부의 상기 제 2 공간부의 측방에 형성된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검사부를 향해 상기 제 1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검사부를 향해 비쳐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검사부를 향해 비쳐지는 상기 본체부의 부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사부를 상기 검사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부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검사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의 가해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상기 본체부의 손상 패턴 이미지, 상기 해충 섭생부에 채워진 상기 먹이의 손상 패턴 이미지, 상기 해충의 활동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이동되는 의토의 패턴 이미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섭생하는 상기 해충의 패턴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딥러닝하여 도출된 딥러닝 모델을 사전에 저장하고, 상기 검사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에 상기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해충의 서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해충 섭생부에 채워진 상기 먹이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해충 섭생부에 채워진 상기 먹이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마개부의 상기 제 2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충 섭생부 내부에 상기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에 의해 상기 먹이가 소모되어 상기 먹이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 상기 자석이 상기 해충 섭생부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면, 상기 자석의 자기장 변화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사부는, 상기 마개부의 상기 제 2 공간부의 하방에 형성된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본체부와 평행하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검사부를 향해 상기 제 1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의 양측에 한 쌍의 반사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해충 섭생부가 형성된 상면이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사부는, 상기 마개부의 상기 제 2 공간부의 하방에 형성된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 3 공간부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검사부를 향해 상기 제 1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개부는, 상기 반사부가 설치된 상기 제 2 공간부 및 상기 검사부가 설치된 상기 제 3 공간부에 습기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 및 상기 제 3 공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습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개부는, 상기 검사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촬영 시 상기 제 2 공간부 내부의 촬영 조도(Illumination)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에 설치되는 조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검사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외부에 설치된 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먹이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톱밥, 나무 조각 및 유인 약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해충 탐지 장치를 일일이 꺼내어 확인하는 절차 없이 해충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충의 가해 여부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촬영과 이미지 전송으로 육안 보다 해충의 가해여부를 초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충 탐지 장치가 지면 아래에 완전히 매설됨으로써, 햇빛에 의한 손실이나 망실을 방지하고, 주변의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 출동의 번거로움을 덜면서 사용 간편성을 향상시키고, 해충의 피해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피해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정밀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해충 탐지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해충 탐지 장치의 실제 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1의 해충 탐지 장치에서 실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해충 탐지 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해충 탐지 장치(100)의 실제 장치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며, 도 5는 도 1의 해충 탐지 장치(100)에서 실제 촬영된 영상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해충 탐지 장치(200, 300, 400, 500, 600)의 여러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100)는, 크게, 본체부(10)와, 해충 섭생부(20)와, 마개부(30)와, 검사부(40)와, 반사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체부(10)는, 해충 중에서 목재 건축물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는, 흰개미에 의하여 침탈 가능하며, 흰개미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소나무류, 미송, 낙엽송, 미국 솔송나무, 가문비 나무, 버드나무 등과 같은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재로 이루어진 본체부(10)는, 지면 및 토양 내 수분을 흡수하여 흰개미의 섭생에 유리한 고습의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단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끝이 뾰족한 말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본체부(10)의 형상은, 반드시 도 1 및 도 2에 국한되지 않으며, 삼각 기둥형이나 원뿔형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 섭생부(20)는, 본체부(10)에 유입된 해충이 이동 및 생활할 수 있는 섭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해충의 먹이(C)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해충 섭생부(20)는, 본체부(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에 4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체부(10)의 단면적의 크기나 설치 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한 개수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충 섭생부(20)는, 본체부(10)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이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생활할 수 있는 섭생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해충 섭생부(20)는, 본체부(10) 내부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삼각기둥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해충 섭생부(20)에 수용되는 먹이(C)는, 해충 중에서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셀룰로오스(Cellulose), 톱밥, 나무 조각 및 유인 약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해충 섭생부(20)의 내부에 흰개미를 유인하는 미끼로 상기 셀룰로오스,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로 이루어지는 톱밥이나 썩은 나무 조각 및 흰개미를 유인할 수 있는 약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먹이(C)를 채울 수 있다. 또한, 먹이(C)는,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휴지나, A4용지와 같은 종이나, 산란목 등 흰개미가 선호하여 흰개미를 유인할 수 있는 모든 소재가 먹이(C)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30)는, 해충 섭생부(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부(10)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검사부(40)는, 일종의 카메라 장치로서, 해충 섭생부(20)의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마개부(30)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부(10)의 일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반사부(50)는, 본체부(10)의 일면을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검사부(40)가 본체부(10)의 일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마개부(30)의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검사부(40)를 향해서 본체부(10)의 일면의 이미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마개부(30)는, 본체부(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 1 공간부(31)와, 제 1 공간부(31)의 상방에 형성되어 반사부(50)를 수용하는 제 2 공간부(32) 및 제 2 공간부(32)의 측방 또는 하방에 형성되어 검사부(40)를 수용하는 제 3 공간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해충 섭생부(20)가 형성된 상면이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상단으로 마개부(30)의 제 1 공간부(31)가 삽입되어, 마개부(30)의 제 1 공간부(31)가 본체부(10)의 상측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검사부(40)는, 마개부(30)의 제 2 공간부(32)의 측방에 형성된 제 3 공간부(33)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반사부(50)는, 제 3 공간부(33)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검사부(40)를 향해 제 1 공간부(31)에 수용된 본체부(10)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제 2 공간부(32)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50)는, 제 2 공간부(32)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레일 형태의 브라켓(52)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검사부(40)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 3 공간부(33) 내부에 설치된 브라켓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부(40)는, 본체부(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반사부(50)를 통해 해충 섭생부(20)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상면을 촬영함으로써, 마개부(30)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꺽인 형태의 촬영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부(40)가 본체부(10)의 상면과 마주보게 형성되어 일자 형태의 촬영 경로로 본체부(10)의 상면을 직접 촬영하게 되면, 초점 거리 확보를 위해 검사부(40)가 본체부(10)의 상면과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본체부(10)와 검사부(40)를 수용하는 마개부(30)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어, 본체부(10)와 마개부(30)를 지면 아래에 완전히 매설하기 위해서 땅을 깊게 파야하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반사부(50)를 이용하여 마개부(30)의 내부에서 검사부(40)의 촬영 경로를 "ㄱ"자 형상으로 꺽인 형태로 형성하면, 검사부(40)가 본체부(10)의 측방에 위치하여 마개부(30)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초점 거리 확보를 위한 촬영 거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부(10)와 마개부(30)를 지면 아래에 얕은 깊이로도 용이하게 매설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와 마개부(30)는, 지하에 완전히 매설됨으로써, 마개부(30) 내부에 설치된 검사부(40)는 매우 습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 따라, 검사부(40)에 카메라 렌즈 등에 결로가 발생하게 되면, 검사부(40)가 해충 섭생부(20)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상면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부(30)의 제 2 공간부(32)는, 제 1 공간부(31)로부터 밀폐되면서 내부에 설치된 반사부(50)를 통해 제 1 공간부(31)가 용이하게 비쳐질 수 있도록, 제 1 공간부(31)와 제 2 공간부(32) 사이의 벽부는 투명창(34)으로 형성되고, 제 3 공간부(33)는, 제 2 공간부(32)와 연통되어 내부에 설치된 검사부(40)와 반사부(50) 사이에 촬영 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2 공간부(32)와 제 3 공간부(33) 사이의 벽부에는 관통홀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50) 및 검사부(40)가 설치된 마개부(30)의 제 2 공간부(32) 및 제 3 공간부(33)의 내부가 지하의 습한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밀폐하여 습기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검사부(40)의 촬영 경로 상에 습기와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개부(30)는, 반사부(50)가 설치된 제 2 공간부(32) 및 검사부(40)가 설치된 제 3 공간부(33)에 습기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제 2 공간부(32) 및 제 3 공간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습 부재(9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제 2 공간부(32) 및 제 3 공간부(33) 내부의 벽면에 결로 방지용 종이 부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검사부(40)는, 검사부(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검사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60)는, 검사부(40)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본체부(10)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검사부(4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검사부(4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7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부(40)가 해충 섭생부(20)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상면을 계속해서 촬영하면 외부 단말기(70)로의 데이터 전송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며, 검사부(40)의 전력 소모 또한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검사부(40)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본체부(10)의 상면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70)로 전송하면, 데이터 전송량을 절감하고 전력 소모 또한 절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해충의 가해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본체부(10)의 손상 패턴 이미지, 해충 섭생부(20)에 채워진 먹이(C)의 손상 패턴 이미지, 해충의 활동에 의해 본체부(10)의 내부로 이동되는 의토(흰개미가 습도 유지 등 서식 환경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흙) 또는 의도(흰개미가 다니는 길에 쌓아 놓은 흙과 분비물)의 패턴 이미지 및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섭생하는 해충의 패턴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딥러닝하여 도출된 딥러닝 모델을 사전에 저장하고, 검사부(40)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에 상기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여 해충의 서식 여부를 판단하며,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7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해충 탐지의 정확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해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만 촬영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더욱 절감하고 이에 따른 전력 소모 또한 더욱 절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촬영 이미지의 전송은, 검사부(40)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외부에 설치된 단말기(70)에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무선통신부는, 검사부(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마개부(30)의 제 3 공간부(33) 내부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촬영 이미지의 전송은 반드시 무선 전송에 국한되지 않고, 검사부(40)가 외부의 단말기(7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유선으로 송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10)와 마개부(30)는, 지하에 매설된 환경으로서, 검사부(40)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촬영을 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가 아닌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될 경우, 제 2 공간부(32) 내부에 충분한 촬영 조도(Illumination)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 2 공간부(32)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 부재가 설치될 경우, 빛을 싫어하는 흰개미의 특성과 배터리 절감을 고려하여, 검사부(40)의 촬영시에만 상기 조명 부재가 점등될 수 있도록 제어부(60)가 제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100)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해충 탐지 장치를 일일이 꺼내어 확인하는 절차 없이 내부에 설치된 검사부(40)의 촬영 이미지 전송으로 해충의 존재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충의 가해 여부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촬영과 이미지 전송으로 육안 보다 해충의 가해여부를 초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해충 탐지 장치(100)가 지면 아래에 완전히 매설됨으로써, 햇빛에 의한 손실이나 망실을 방지하고, 주변의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100)에 따르면, 현장 출동의 번거로움을 덜면서 사용 간편성을 향상시키고, 해충의 피해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피해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정밀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충 탐지 장치는, 검사부(40)가 본체부(10)의 측방에 위치하여 마개부(30)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초점 거리 확보를 위한 촬영 거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검사부(40) 및 반사부(50)가 마개부(30)의 내부에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200)에 따르면, 마개부(30)의 제 2 공간부(32)에 설치된 반사부(50)는, 검사부(40)를 향해 비쳐지는 본체부(10)의 상면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부(40)의 카메라 렌즈의 촬영 가능한 화각(Angle of view)에 따라서, 검사부(40)의 수직 방향 배치로도 본체부(10) 상면을 해상도 높게 촬영할 수 있는 적절한 촬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검사부(40)의 화각을 고려하여 오목 거울 또는 볼록 거울로 이루어지는 반사부(50)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300)에 따르면, 반사부(50)는, 검사부(40)를 향해 비쳐지는 본체부(10)의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반사부(50)를 검사부(40)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동 실린더(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의 상면에 형성된 해충 섭생부(20)를 확대하여 더욱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검사부(40)에 망원 카메라를 적용할 경우, 망원 카메라의 좁은 화각으로 인해 반사부(50)를 통해 본체부(10)의 상면 전체를 한번에 촬영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 실린더(51)에 의해 각 해충 섭생부(20)와 대응되는 위치로 반사부(50)를 이동시키면서 각 부분별로 본체부(10) 상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해충 섭생부(20)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상면을 더욱 확대된 이미지로 촬영하여 판독함으로써, 해충의 존재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400)에 따르면, 검사부(40)는, 마개부(30)의 제 2 공간부(32)의 하방에 형성된 제 3 공간부(33)의 내부에, 본체부(10)와 평행하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반사부(50)는, 제 3 공간부(33)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검사부(40)를 향해 제 1 공간부(31)에 수용된 본체부(10)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제 2 공간부(32)의 양측에 한 쌍의 반사 부재(50-1, 50-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부(40)가 본체부(10)의 상면 이하의 위치에 형성되어, 본체부(10)와 마개부(30)의 매설 깊이를 더욱 얕게 하고, 얕은 매설 깊이로 검사부(40)의 촬영 이미지 전송을 위한 통신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500)에 따르면, 본체부(10)는, 해충 섭생부(20)가 형성된 상면이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검사부(40)는, 마개부(30)의 제 2 공간부(32)의 하방에 형성된 제 3 공간부(33)의 내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부(10)의 상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반사부(50)는, 제 3 공간부(33)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검사부(40)를 향해 제 1 공간부(31)에 수용된 본체부(10)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제 2 공간부(32)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부(40)가 본체부(10)의 상면 이하의 위치에 형성되고, 반사부(50)가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반사부(50)가 설치되는 마개부(30)의 제 2 공간부(32)를 얇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본체부(10)와 마개부(30)의 매설 깊이를 최대한 얕게 하고, 얕은 매설 깊이로 검사부(40)의 촬영 이미지 전송을 위한 통신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600)에 따르면, 해충 섭생부(20)에 채워진 먹이(C)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센서부(80)는, 해충 섭생부(20)에 채워진 먹이(C)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되는 자석(81) 및 마개부(30)의 제 2 공간부(32)에 설치되어 자석(81)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 센서(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센서부(80)로부터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고, 해충 유입구(20) 내부에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충 유입구(20)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검사부(4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해충에 의해 먹이(C)가 소모되어 먹이(C)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 자석(81)이 해충 섭생부(20)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거나 해충 섭생부(20)의 바닥면으로 낙하되면, 자기장 센서(82)를 통해 자석(81)의 자기장 변화 신호를 인가받아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고,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자기장 센서(82)의 감도 조절을 통해, 자석(81)이 해충 섭생부(20)의 바닥면으로 완전히 하강하지 않고, 먹이(C)의 소모에 의해 약간의 움직임만 발생해도 자기장 변화 신호를 감지하여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먹이(C)의 소모를 감지하는 센서부(80)를 이용하여 해충 탐지의 정확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해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만 촬영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을 더욱 절감하고 이에 따른 전력 소모 또한 더욱 절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부
20: 해충 섭생부
30: 마개부
31: 제 1 공간부
32: 제 2 공간부
33: 제 3 공간부
34: 투명창
35: 관통홀부
40: 검사부
50: 반사부
51: 전동 실린더
52: 브라켓
60: 제어부
70: 단말기
80: 센서부
81: 자석
82: 자기장 센서
90: 제습 부재
C: 먹이
100, 200, 300, 400, 500, 600: 해충 탐지 장치

Claims (20)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유입된 해충이 이동 및 생활할 수 있는 섭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해충의 먹이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충 섭생부;
    상기 해충 섭생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마개부;
    상기 해충 섭생부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해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의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검사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마주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검사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부의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부를 향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의 이미지를 반사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검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본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 1 공간부;
    상기 제 1 공간부의 상방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를 수용하는 제 2 공간부; 및
    상기 제 2 공간부의 측방 또는 하방에 형성되어 상기 검사부를 수용하는 제 3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간부는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밀폐되면서 내부에 설치된 상기 반사부를 통해 상기 제 1 공간부가 비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공간부와 상기 제 2 공간부 사이의 벽부는 투명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공간부는 상기 제 2 공간부와 연통되어 내부에 설치된 상기 검사부와 상기 반사부 사이에 촬영 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와 상기 제 3 공간부 사이의 벽부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해충 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해충 섭생부가 형성된 상면이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는, 해충 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마개부의 상기 제 2 공간부의 측방에 형성된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검사부를 향해 상기 제 1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해충 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검사부를 향해 비쳐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해충 탐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검사부를 향해 비쳐지는 상기 본체부의 부분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사부를 상기 검사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전동 실린더;
    를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부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검사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해충 탐지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의 가해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상기 본체부의 손상 패턴 이미지, 상기 해충 섭생부에 채워진 상기 먹이의 손상 패턴 이미지, 상기 해충의 활동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이동되는 의토의 패턴 이미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섭생하는 상기 해충의 패턴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딥러닝하여 도출된 딥러닝 모델을 사전에 저장하고, 상기 검사부에 의해 촬영된 촬영 이미지에 상기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여 상기 해충의 서식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해충 탐지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 섭생부에 채워진 상기 먹이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해충 섭생부에 채워진 상기 먹이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마개부의 상기 제 2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장 센서;
    를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충 섭생부 내부에 상기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해충 탐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에 의해 상기 먹이가 소모되어 상기 먹이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 상기 자석이 상기 해충 섭생부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면, 상기 자기장 센서의 자기장 변화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충이 서식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촬영 이미지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해충 탐지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마개부의 상기 제 2 공간부의 하방에 형성된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본체부와 평행하게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검사부를 향해 상기 제 1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의 양측에 한 쌍의 반사 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해충 탐지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해충 섭생부가 형성된 상면이 상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해충 탐지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마개부의 상기 제 2 공간부의 하방에 형성된 상기 제 3 공간부의 내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 3 공간부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기 검사부를 향해 상기 제 1 공간부에 수용된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비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해충 탐지 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반사부가 설치된 상기 제 2 공간부 및 상기 검사부가 설치된 상기 제 3 공간부에 습기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 및 상기 제 3 공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습 부재;
    를 더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검사부가 상기 본체부의 일면을 촬영 시 상기 제 2 공간부 내부의 촬영 조도(Illumination)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공간부에 설치되는 조명 부재;
    를 더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외부에 설치된 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톱밥, 나무 조각 및 유인 약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되는, 해충 탐지 장치.
KR1020210004174A 2021-01-12 2021-01-12 해충 탐지 장치 KR10254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174A KR102548828B1 (ko) 2021-01-12 2021-01-12 해충 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174A KR102548828B1 (ko) 2021-01-12 2021-01-12 해충 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05A true KR20220102005A (ko) 2022-07-19
KR102548828B1 KR102548828B1 (ko) 2023-06-30

Family

ID=8260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174A KR102548828B1 (ko) 2021-01-12 2021-01-12 해충 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8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22U (ja) * 1991-03-30 1993-03-19 大阪瓦斯株式会社 管内の周面観察装置
JPH07115887A (ja) * 1993-10-27 1995-05-09 Sharp Corp 白蟻食害検出センサー
KR20180063610A (ko) * 2016-12-02 2018-06-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KR20200101519A (ko) * 2019-01-31 2020-08-28 (주)인터아이 흰개미 포획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32078A (ko) * 2019-05-15 2020-11-25 (주) 엑사칩스테크놀러지 모기 퇴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222U (ja) * 1991-03-30 1993-03-19 大阪瓦斯株式会社 管内の周面観察装置
JPH07115887A (ja) * 1993-10-27 1995-05-09 Sharp Corp 白蟻食害検出センサー
KR20180063610A (ko) * 2016-12-02 2018-06-1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포충기
KR20200101519A (ko) * 2019-01-31 2020-08-28 (주)인터아이 흰개미 포획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32078A (ko) * 2019-05-15 2020-11-25 (주) 엑사칩스테크놀러지 모기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828B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8966B2 (en) Pest detector
US11825814B2 (en) System for external fish parasite monitoring in aquaculture
ES2846792T3 (es) Sistemas de detección de objetos
ES2368358T3 (es) Detector de humo con evaluación en el tiempo de una señal de retrodispersión, método de prueba para la capacidad de funcionamiento de un detector de humo.
DK181498B1 (en) System for external fish parasite monitoring in aquaculture
US20150085100A1 (en) System for detection of animals and pests
NO172209B (no) Fotoelektrisk roekdetektor
CA3083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rnal fish parasite monitoring in aquaculture
US202100073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Communicating The Statuses Of Insect Bait Stations
CA312203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elimination of honey bee parasites
KR20220102005A (ko) 해충 탐지 장치
AU2014230408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est detec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pest damage
GB2137338A (en) Scattered light type smoke detector
US7271729B2 (en) Novelty moisture detector for plants
KR102041462B1 (ko) 해충 탐지 장치
JPH09172934A (ja) シロアリの検知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検知システム
JPH09121742A (ja) 白あり検出装置
US20070277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shape of chip
JPH07115887A (ja) 白蟻食害検出センサー
US5424930A (en) Measuring-point member for optical measurement
KR20160002165U (ko) 해충 탐지 장치 및 해충 탐지 방법
ES2906256T3 (es) Soporte de componentes con cámaras de contacto para un dispositivo optoelectrónico
GB2479518A (en) Digital camera motion capture
EP4000385A1 (en) A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CN214385699U (zh) 壁挂灭蚊蝇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