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777A -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 Google Patents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777A
KR20220101777A KR1020227024011A KR20227024011A KR20220101777A KR 20220101777 A KR20220101777 A KR 20220101777A KR 1020227024011 A KR1020227024011 A KR 1020227024011A KR 20227024011 A KR20227024011 A KR 20227024011A KR 20220101777 A KR20220101777 A KR 20220101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uning
cover
fixing member
radio frequency
tun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회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ublication of KR2022010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2Coaxial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16B39/2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with spring washers fastened to the nut or bolt-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4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with a radial cut in order to improve elasticity of the was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티(cavity)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함체; 함체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의 나사 홀을 구비하며, 함체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 커버의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 및 주파수 튜닝 나사와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미리 설정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 나사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탄성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Cavitytype Radio Frequency Filt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비티 필터와 같이,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이하 '필터'로 약칭할 수 있음)에 관한 것이다.
캐비티 구조의 무선 주파수 필터는 통상 금속 재질의 함체를 통해 직육면체 등의 수용공간, 즉 캐비티를 다수개 구비하며, 각 캐비티 구조 내부에 유전체 공진소자(DR: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또는 금속 공진봉으로 구성된 공진소자를 각각 구비시켜 초고주파의 공진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캐비티 타입을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통상 캐비티 구조의 상부에는 해당 캐비티의 개방면을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커버에는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의 필터링 특성을 튜닝하기 위한 튜닝 구조로서, 다수의 튜닝 나사 및 해당 튜닝 나사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일예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100084호(명칭: "무선 주파수 필터", 공개일: 2004년 12월 02일, 발명자: 박종규 외 2명)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무선 신호의 처리를 위해 사용되며,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나 중계기 등에 대표적으로 적용된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명칭: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공개일: 2014년 03월 05일, 발명자: 박남신 외 2명)는, 튜닝 나사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서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간단하고 단순화된 필터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는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재질(합금 포함)의 판 형태의 모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 또는 다이캐스팅 가공 등을 통해 커버를 제작시에, 커버에서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함몰 부위를 형성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함몰 부위에, 외부 타각 장비의 타각 핀(pin)에 의한 타각 또는 누름에 의해 도트핀(dot peen) 구조를 다수개 형성한다. 이러한 함몰 부위 및 도트핀 구조는 주파수 튜닝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튜닝 나사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함몰 부위(및 도트핀 구조)와 공진소자간의 거리가 좁혀지도록 하여 적절한 튜닝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에 개시된 기술은 통상적인 튜닝 나사 및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으므로, 소형 및 경량화를 위한 필터 구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주파수 튜닝 나사와 함체의 나사홀 사이의 불연속적이고 불균일한 접촉면이나 이종금속간의 접합 등의 요인들에 의해 발생되는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에 개시된 기술은 주파수 튜닝 작업을 위해 외부 타각 장비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 타각 장비를 이용하여 필터의 함몰부위에 도트핀 구조들을 형성하는 방식은, 일단 형성된 도트핀 구조를 제거하여 함몰부위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는 것이 사실상 가능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주파수 튜닝 작업이 비가역적으로 행해지므로, 주파수 튜닝 작업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며, 더욱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보다 간단한 제조 작업 및 저비용의 제작이 가능한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구조는 주파수 튜닝 작업을 가역적으로 행할 수 있어서, 튜닝 작업이 보다 효율적이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로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와;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의 나사 홀을 구비하며,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 홀에 나사 결합하고,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구조인 걸림턱이 형성되는 주파수 튜닝 나사와;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의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구조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와 상기 커버 사이에 결합되며, 얇은 판이 중공부를 가진 링 형태이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공부측으로 상승하는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taper) 형태로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탄성력을 가진 탄성 고정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와;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의 나사 홀을 구비하며,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 홀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미리 설정된 탄성력을 가진 탄성 고정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외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탄성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와;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밀봉하며,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의 나사 홀을 구비하되 상기 나사 홀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인 걸림턱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 홀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와;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 홀 내부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구조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결합되며, 얇은 판이 중공부를 가진 링 형태이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공부측으로 하강하는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taper) 형태로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탄성력을 가진 탄성 고정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와;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의 나사 홀을 구비하며,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 홀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서 상기 나사 홀 주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미리 설정된 탄성력을 가진 탄성 고정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 홀의 내부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탄성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는 종래의 주파수 튜닝 나사 설치 시에 필요하였던 고정용 너트의 체결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서 주파수 튜닝이 가역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보다 간단한 제조 작업 및 저비용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는 더욱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의 절단 구조도
도 1b는 도 1a 중 주파수 튜닝 나사의 일 예시 고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c는 도 1a 중 주파 튜닝 관련 구조들의 분리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관련 부분의 절단 구조도
도 2b는 도 2a 중 주파수 튜닝 나사의 일 예시 고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c는 도 2a 중 주파수 튜닝 나사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관련 부분의 절단 구조도
도 3b는 도 3a 중 탄성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관련 부분의 절단 구조도
도 4b는 도 4a 중 탄성 고정 부재의 일 예시 사시도
도 4c는 도 4a 중 탄성 고정 부재의 다른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고정 부재 중 주요부의 다른 변형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사이즈나 형태 등은 다소 단순화 하거나 일부 과장되게 도시하였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의 절단 구조도이다 . 도 1b는 도 1a 중 주파수 튜닝 나사의 일 예시 고정 상태(예를 들어, 주파수 튜닝 나사가 조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c는 도 1a 중 주파 튜닝 관련 구조들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는 종래와 유사하게, 내부가 중공이고, 외부와 차단되는 캐비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갖는 함체(21)를 구비한다. 함체(21)는 캐비티를 형성하며, 일측(예를 들어, 상측)이 개방된다. 또한, 해당 함체(21)의 개방면을 덮는 형태로, 함체(21)를 밀봉하는 커버(11)가 함체(21)와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함체(21) 내에 형성된 캐비티의 중심부에는 공진소자(51)가 함체(21)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도 1a 내지 도 1c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함체(21)가 예를 들어, 하나의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외에도 함체(21)는 다수의 캐비티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각 캐비티는 그 중심부에 각각 공진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해당 무선 주파수 필터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가 함체(21)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함체(21)가 다수의 캐비티를 가지도록 구성될 경우에, 상±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각각 입력단 캐비티 및 출력단 캐비티 구조와 각각 연결되도록 함체(2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함체(21) 및 함체(21)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 구조와 공진소자(51)의 구조는 종래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함체(21) 및 공진소자(51)는 모두 알루미늄 계열(합금)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11)도 종래와 유사하게, 함체(21)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 즉, 알루미늄 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함체(21) 및 커버(11)에서 캐비티를 형성하는 부위의 표면에는 은도금이 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튜닝을 위한 구조를 살펴보면, 커버(11)에는, 함체(21)의 캐비티 내의 공진소자(51)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커버(11)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나사 홀(11a)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 홀(11a)의 측면은 주파수 튜닝을 위한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나사 홀(11a)은 전체적으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의 나사 홈 구조를 가진다.
주파수 튜닝 나사(31)는 상기 나사 홀(11a)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나사 홀(11a)을 통해 함체(21)의 캐비티 내부로 하단이 돌입하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주파수 튜닝 나사(31)는 측면에 상기 나사 홀(11a)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 구조를 가지며, 상단(즉, 머리 부분)에는 외부의 드라이버 장비(드라이버, 렌치 등)가 연결되어 나사 조임 작업을 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의 구동 홈(31b)이 형성된다. 도 1c의 예에서는, 상기 구동 홈(31b)은 일자(slotted) 형태임이 도시되고 있으나, 이외에도 십자 형태나 육각 홈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튜닝 나사(31)는 황동(합금)과 같은 단조용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은도금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상단(머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외측으로 일부 연장되어 돌출되는 구조인 걸림턱(31a)이 형성된다. 걸림턱(31a)은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상단을 다른 부분(즉, 몸체 부분)의 직경보다 전체적으로 더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튜닝 나사(31)는 링 형태의 탄성 고정 부재(41)에 끼워진 다음에 커버(11)의 나사 홀(11a)에 결합되는데,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조여짐에 따라, 상± 링 형태의 탄성 고정 부재(41)는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걸림턱(31a)에 걸리게 되어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걸림턱(31a)과 커버(11)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고정 부재(41)는 얇은 판이 전체적으로 링 형태(예를 들어, 중공부를 가진 도넛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그 단면이 가장자리에서 중공부측으로 상승하는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진다. 또한, 미리 설정된 얼마간의 탄성력 및 적절한 강도를 갖도록 SUS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 고정 부재(41)의 중공부의 직경은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몸체 부분의 직경보다는 다소 여유를 가지고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걸림턱(31a)을 포함한 상단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필터 구조에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는, 주파수 튜닝 나사(31)를 상기 탄성 고정 부재(41)를 거쳐 커버(11)의 나사 홀(11a)에 결합하여 조이게 되는데,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조여짐에 따라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걸림턱(31a)이 탄성 고정 부재(41)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b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고정 부재(41)는 주파수 튜닝 나사(31)에 걸림턱(31a)을 통해 탄성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현재 조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조여짐에 따라,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하단은 캐비티 내부의 공진소자(51)측으로 밀려들어가고,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하단과 공진소자(51)간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파수 튜닝 나사(31)와 공진소자(51) 간의 커패시턴스 성분을 조절하여 해당 필터링 주파수의 특성을 조절한다.
이때, 탄성 고정 부재(41)가 얼마간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파수 튜닝 나사(31)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병행하여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주파수 특성 튜닝 작업과 동시에 상기 탄성 고정 부재(41)에 의해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현재 상태를 유지 및 고정하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관련 부분의 절단 구조도이다 . 도 2b는 도 2a 중 주파수 튜닝 나사의 일 예시 고정 상태(예를 들어, 주파수 튜닝 나사가 조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c는 도 2a 중 주파수 튜닝 나사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는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함체(미도시) 및 커버(11) 등이 구성되며, 다만 주파수 튜닝 구조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튜닝 나사(31)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미리 설정된 탄성력을 가진 재질의 탄성 고정 부재(32)가 형성된다. 탄성 고정 부재(32)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외측 하단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탄성 돌출부(32a)가 형성된다. 탄성 고정 부재(32)의 탄성 돌출부(32a)는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상단(머리 부분)에서 가장자리 둘레로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그 단면이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몸체 부분은 황동 등과 같은 단조용 재질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돌출부(32a)를 포함하는 탄성 고정 부재(32)는 SUS 등의 재질에 의해 얇은 금속 판으로 구현된 후,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몸체 부분에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터 구조에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는, 상기 탄성 고정 부재(32)가 결합된 주파수 튜닝 나사(31)를 커버(11)의 나사 홀(예를 들어, 도 1c의 11a)에 결합하여 조이게 되는데, 주파수 튜닝 나사(31)가 조여짐에 따라, 도 2b에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튜닝 나사(31)의 머리 부분에 결합된 탄성 고정 부재(32)의 탄성 돌출부(32a)가 커버(11)의 상면에 대향하여 눌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 돌출부(32a)의 탄성력에 의해 주파수 튜닝 나사(31)는 현재 조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때 탄성 돌출부(32a)가 얼마간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파수 튜닝 나사(31)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관련 부분의 절단 구조도이다. 도 3b는 도 3a 중 탄성 고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구조를 살펴보면, 제3실시예에서는, 커버(12)에 형성되는 나사 홀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구조인 걸림턱(12a)이 형성된다. 걸림턱(12a)은 나사 홀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전체적으로 더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튜닝 나사(33)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12)의 나사 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튜닝 나사(33)는 함체(미도시)의 내부 캐비티측에서(즉, 커버의 하측에서) 커버(12)의 나사 홀에 미리 일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후 커버가 함체에 결합된 후에 주파수 튜닝 나사(33)의 상단에 미리 형성된 구동 홈(미도시)을 통해 외부 드라이버 장비가 연결되어 주파수 튜닝 나사(33)의 조임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링 형태의 탄성 고정 부재(42)가 상기 커버(12) 나사 홀 내부에서 상기 걸림턱(12a)과 주파수 튜닝 나사(33)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데, 주파수 튜닝 나사(33)가 상기 탄성 고정 부재(42)측으로 조여짐에 따라, 상기 링 형태의 탄성 고정 부재(42)는 주파수 커버(12)의 걸림턱(12a)에 걸리게 되어 주파수 튜닝 나사(33)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 고정 부재(42)는 상기 제1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게 얇은 판이 전체적으로 링 형태(예를 들어, 중공부를 가진 도넛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그 단면이 가장자리에서 중공부측으로 하강하는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 부재(42)는 제1 실시예의 구조가 상하 뒤집힌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얼마간의 탄성력 및 적절한 강도를 갖도록 SUS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주파수 튜닝을 위해 주파수 튜닝 나사(33)를 커버(12)의 나사 홀에서 탄성 고정 부재(42)를 사이에 두고 조일 경우에, 커버(12)의 걸림턱(12a)이 탄성 고정 부재(42)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 고정 부재(42)는 주파수 튜닝 나사(33)에 탄성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주파수 튜닝 나사(33)가 현재 조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주파수 튜닝 나사(33)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관련 부분의 절단 구조도이다. 도 4b는 도 4a 중 탄성 고정 부재의 일 예시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 중 탄성 고정 부재의 다른 예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필터에서 주파수 튜닝 구조를 살펴보면, 제4실시예에서는, 커버(13)에서 나사 홀 주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커버(13)와 결합하는 탄성 고정 부재(131)가 형성된다. 도 4b에는 이러한 탄성 고정 부재(131)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인 평면 구조를 가지는 판 형태로 구성되는 예가 도시되고 있으며, 도 4c에는 탄성 고정 부재(131)가 전체적으로 원형의 평면 구조를 가지는 예가 도시되고 있다.
탄성 고정 부재(131)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커버(13)의 나사 홀의 내부로 하측으로 비스듬히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탄성 돌출부(131a)가 형성된다. 탄성 돌출부(131a)는 커버(13)의 나사 홀의 둘레로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그 단면이 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커버(13)는 알루미늄(합금)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돌출부(131a)를 포함하는 탄성 고정 부재(131)는 SUS 등의 재질에 의해 얇은 금속 판으로 구현된 후, 상기 커버(13)의 상부에 나사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주파수 튜닝 나사(33)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13)의 나사 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파수 튜닝 나사(33)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함체(미도시)의 내부 캐비티측에서(즉, 커버의 하측에서) 커버(13)의 나사 홀에 미리 일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후 커버가 함체에 결합된 후에 주파수 튜닝 나사(33)의 상단에 미리 형성된 구동 홈(미도시)을 통해 외부 드라이버 장비가 연결되어 주파수 튜닝 나사(33)의 조임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필터 구조에서, 주파수 튜닝 작업시에는, 주파수 튜닝 나사(33)를 상기 커버(13)의 나사 홀에 결합하여 탄성 고정 부재(131)의 상기 탄성 돌출부(131a) 측으로 조이게 되는데, 주파수 튜닝 나사(33)가 조여짐에 따라, 탄성 고정 부재(131)의 탄성 돌출부(131a)가 주파수 튜닝 나사(33)의 상면에 대향하여 눌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 돌출부(131a)의 탄성력에 의해 주파수 튜닝 나사(33)는 현재 조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주파수 튜닝 나사(33)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주파수 특성을 튜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성 고정 부재 중 주요부의 다른 변형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구조는 상기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 부재(41)나,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 부재(52)의 평면 구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 부재(32)의 탄성 돌출부(32a)나, 상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탄성 고정 부재(131)의 탄성 돌출부(131a)의 평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고정 부재(41, 42) 또는 탄성 고정 부재의 탄성 돌출부(32a, 131a)에는 가장자리에서 얼마간 내측으로 예를 들어, 슬릿(slit) 형태로 깎여진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홈(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홈(b)은 탄성 고정 부재(41, 42), 또는 탄성 고정 부재의 탄성 돌출부(32a, 131a)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수의 홈(b)들의 직경이나 길이 또는 그 외의 구체적인 상세 구조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예나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된 필터에서, 공진소자는 별도로 제작되어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함체와 공진소자가 모두 동일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함체와 공진소자가 일체적으로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는 이외에도,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6235호에 개시된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함체와 내부의 공진소자가 전체적으로 프레스 가공 방식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함체에 설치되는 캐비티들의 개수와 형태를 비롯하여, 주파수 튜닝 나사, 홈, 관통형 홀 등과 같은 구체적인 상세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나, 사이즈 등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캐비티(cavity)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에 있어서,
    캐비티를 갖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일측으로 개방면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의 중공에 위치하는 공진소자;
    상기 공진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직경의 나사 홀을 구비하며, 상기 함체의 개방면을 밀봉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홀에 나사 결합하는 주파수 튜닝 나사; 및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와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미리 설정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탄성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는,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일체형 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는,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의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구조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와 상기 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는,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무선 주파수 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외측 하단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의 조임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탄성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나사 홀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체형 구조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는,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 홀 내부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구조로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는,
    상기 커버에서 상기 나사 홀 주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커버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커버의 상기 나사 홀의 내부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는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튜닝 나사의 조임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탄성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0.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에는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깎여진 구조의 다수의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1. 제4항, 제5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의 상기 탄성 돌출부에는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깎여진 구조의 다수의 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12. 제1항에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 부재는,
    중공부를 가진 링 형태이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공부 측으로 상승하는 기울기를 가진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필터.
KR1020227024011A 2017-05-02 2018-05-02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KR202201017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359 2017-05-02
KR20170056359 2017-05-02
KR1020197027575A KR102422720B1 (ko) 2017-05-02 2018-05-02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PCT/KR2018/005080 WO2018203655A1 (ko) 2017-05-02 2018-05-02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575A Division KR102422720B1 (ko) 2017-05-02 2018-05-02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777A true KR20220101777A (ko) 2022-07-19

Family

ID=640162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011A KR20220101777A (ko) 2017-05-02 2018-05-02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KR1020197027575A KR102422720B1 (ko) 2017-05-02 2018-05-02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575A KR102422720B1 (ko) 2017-05-02 2018-05-02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08121B2 (ko)
EP (1) EP3621145A4 (ko)
JP (1) JP6934107B2 (ko)
KR (2) KR20220101777A (ko)
CN (1) CN110574222B (ko)
WO (1) WO20182036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7782A1 (fr) * 1980-03-05 1981-09-11 Thomson Csf Dispositif d'accord en hyperfrequences, du type a contacts glissants, et filtr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FR2649538B1 (fr) * 1989-07-10 1991-12-13 Alcatel Transmission Boitier hyperfrequence a vis de reglage
JPH0464816U (ko) * 1990-10-15 1992-06-04
JPH098512A (ja) * 1995-06-16 1997-01-10 Nec Eng Ltd 導波管十字型方向性結合器
SE519554C2 (sv) * 1999-04-14 2003-03-11 Ericsson Telefon Ab L M Skruvanordning samt trimanordning innefattande en sådan skruvanordning för trimning av ett kavitetsfilters frekvensförhållande eller kopplingsgrad
US6222428B1 (en) * 1999-06-15 2001-04-24 Allgon Ab Tuning assembly for a dielectrical resonator in a cavity
DE60102099T2 (de) * 2000-05-23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ielektrisches Resonatorfilter
JP2003307208A (ja) * 2002-02-13 2003-10-31 Murata Mfg Co Ltd ネジ固定具、それを用いた高周波機器およびその特性調整方法
KR100489698B1 (ko) 2003-05-21 2005-05-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
KR20100102378A (ko)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신아정밀 Rf필터 튜닝용 스크류로드 홀더
KR101569730B1 (ko) * 2009-03-18 2015-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튜닝 볼트 접지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rf 캐비티 필터
CN202025836U (zh) * 2009-11-13 2011-11-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空腔滤波器
CN101807736B (zh) * 2010-04-12 2013-07-03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腔体滤波器盖板及调谐螺钉自锁装置
CN102255124A (zh) * 2011-04-22 2011-11-23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通信设备、通信设备盖板组件及调谐结构
CN202402445U (zh) * 2011-07-08 2012-08-29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调谐杆锁紧结构及弹性垫片
JP5831805B2 (ja) * 2011-11-08 2015-12-09 宇部興産株式会社 同軸共振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HUE049830T2 (hu) 2011-12-15 2020-10-28 Tagivan Ii Llc Luminancia-krominancia kódolt blokk jelölõ (CBF) jelzése videókódolásban
EP2850326B1 (en) * 2012-03-14 2020-07-01 DuraForce Holdings, LLC Fastener and fastener assembly having improved vibrational and tightening characteristics
KR102010269B1 (ko) 2012-08-23 2019-08-1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N103107389A (zh) * 2012-11-16 2013-05-15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
CN104979609A (zh) * 2014-04-01 2015-10-14 Ace技术株式会社 腔体滤波器
KR102204646B1 (ko) * 2014-04-15 2021-01-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CN204315692U (zh) * 2015-01-19 2015-05-06 深圳市欣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调谐装置
KR101712602B1 (ko) * 2015-05-21 2017-03-06 (주)웨이브텍 유전체 공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74222A (zh) 2019-12-13
CN110574222B (zh) 2021-11-23
KR20190139850A (ko) 2019-12-18
EP3621145A4 (en) 2021-01-06
EP3621145A1 (en) 2020-03-11
KR102422720B1 (ko) 2022-07-20
JP6934107B2 (ja) 2021-09-08
WO2018203655A1 (ko) 2018-11-08
JP2020519213A (ja) 2020-06-25
US11108121B2 (en) 2021-08-31
US20200067162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1554B2 (ja)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ー
KR100540937B1 (ko) 공진기 장치의 특성 조정 방법
JP6500101B2 (ja)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
KR20160118667A (ko) 공진기 필터
KR102422720B1 (ko) 캐비티 타입의 무선 주파수 필터
EP3384551B1 (en) Coaxial resonator with dielectric disc
EP3133691B1 (en) Transverse magnetic (tm) mode dielectric filter
KR200482481Y1 (ko) 무선 주파수 필터
US6337611B1 (en) Sleeve in a radio frequency filter
KR102244811B1 (ko) Rf 필터의 공진기
KR101730084B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JP5831805B2 (ja) 同軸共振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762877B2 (ja) 光マイクロ波共鳴器用キャビティ
KR101906464B1 (ko)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JP2005086532A (ja) 誘電体共振器及び誘電体帯域通過フィルタ
JP2018071589A (ja) 調整用ねじロック機構
JPS6291012A (ja) セラミツク発振子
JPH1168425A (ja) 誘電体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