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464B1 -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464B1
KR101906464B1 KR1020170004063A KR20170004063A KR101906464B1 KR 101906464 B1 KR101906464 B1 KR 101906464B1 KR 1020170004063 A KR1020170004063 A KR 1020170004063A KR 20170004063 A KR20170004063 A KR 20170004063A KR 101906464 B1 KR101906464 B1 KR 101906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requency tuning
resonance element
tuning screw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770A (ko
Inventor
박종철
강기석
백민경
Original Assignee
(주)웨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웨이브텍 filed Critical (주)웨이브텍
Priority to KR1020170004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4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한쪽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덮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공진소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및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한다.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서, 상기 탄성체는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측면 표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내표면의 2 지점 이상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또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를 하우징의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대신에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공진소자와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공진기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공진 주파수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Microwave Resona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를 하우징의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대신에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공진소자와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공진기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필터(DR 필터, 캐비티 필터, 웨이브 가이드 필터 등)는 고주파, 특히 초고주파를 공진하기 위한 일종의 회로통의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인 코일과 콘덴서에 의한 공진회로는 복사손실이 커서 초고주파를 형성하는데 적합지 않다. 이에 RF 필터는 다수의 공진기로 구성된다. 각 공진기는 도체로 둘러싸인 금속성 원통 또는 직육면체 등의 수용공간(cavity)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서 유전체 공진 소자(DR: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또는 금속 공진봉으로 구성된 공진 소자를 구비시켜,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장만이 존재하게 함으로써, 초고주파의 공진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고주파 필터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공진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공진기(10')는 한쪽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개방된 면은 커버(200)에 의하여 덮여진다. 하우징(100)의 수용공간 내부에는 공진소자(300)가 수용되며, 튜닝나사(400)가 커버(200)를 관통하여 공진소자(300) 상부에 배치된다. 튜닝나사(400)는 하우징(100) 및 커버(200) 내부로 진입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인데, 그러한 길이 조절에 의하여 공진 주파수가 튜닝된다. 튜닝나사(400)를 완전히 고정하기 위하여 너트(410)가 튜닝나사(400)에 결합한다.
특허등록 제10-0884249호(2009. 02. 11. 등록)는 RF 필터의 튜닝 볼트 고정 구조를 개시한다. 개시된 구조는 튜닝 볼트를 너트에 의하여 고정하는 대신에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특허공개 제10-2015-0049452호(2015. 05. 08. 공개)는 튜닝 볼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RF 캐비티 필터 및 튜닝 볼트 고정 부재를 개시한다. 개시된 필터는 상부블록, 하부블록, 공진기, 튜닝 볼트 및 튜닝 볼트의 일단에 접하여 튜닝 볼트를 고정하는 튜닝 볼트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특허공개 제10-2016-0118667호(2016. 10. 12. 공개)는 공진기 필터를 개시한다. 개시된 공진기 필터에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에서 제2 결합공 주위에 유전체가 안착되고, 제1 로드가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유전체를 가압하며, 제2 로드가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제2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유전체에 인접하도록 하우징에 연결되고 제1 로드로부터 이격된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튜닝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공진기 구조는 튜닝볼트를 고정하는 튜닝너트를 대신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튜닝너트에 의한 고정시에 발생하는, 튜닝된 공진 주파수의 미세한 변화를 방지하고 공진 주파수가 사용중에 변화되지 않게 하며, 또한 공진 주파수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면서 공진기 필터를 소형화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튜닝 스크류의 확실한 고정, 공진 주파수 조절의 용이성 및 공진기 구조의 소형화를 모두 적절하게 달성하는 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를 하우징의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대신에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공진소자와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공진기 구조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공진 주파수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는 한쪽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덮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공진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및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진소자는 상측벽과 측벽을 포함하고 속이 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소자의 상측벽에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와 결합하는 스크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관통공의 내표면에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와 결합하는 나사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는 상기 공진소자의 상측벽에 형성된 상기 스크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 관통공에서 상기 공진소자의 상측벽과 결합하고,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한 말단부는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서, 상기 탄성체는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측면 표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내표면의 2 지점 이상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또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는 강선으로 형성된 선 스프링이고,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서, 선 스프링으로 된 상기 탄성체 아래에는 상기 탄성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과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내표면 사이의 공간에서 탄성체로 된 고정링이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는 수평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를 포함하며, 코일 스프링으로 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측면 및 돌출연장부 그리고 상기 공진소자의 상측벽 및 측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및 상기 공진소자와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탄성재료인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고, 고무로 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과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에는 스크류 위치조정용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스크류 위치조정용 도구가 관통할 수 있는 도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공진소자와 결합하기 위하여, 제1측면, 계단면, 제2측면 및 상면으로 포함하는 돌출구조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말단면은 상기 돌출구조물의 상기 계단면과 접촉하고,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내측면 일부는 상기 돌출구조물의 상기 제2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말단면과 상기 돌출구조물의 상기 계단면은 솔더링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를 하우징의 커버를 관통하여 설치하는 대신에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공진소자와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공진기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공진 주파수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구조에 적용되는 선 스프링으로 된 탄성체의 구체적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도 4에서 공진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및 탄성체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10)는 한쪽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개방된 면은 커버(200)에 의하여 덮여진다. 하우징(100)의 수용공간 내부에는 공진소자(300)가 수용된다. 본 발명의 공진기(10)에서 하우징(100)과 커버(200)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수용공간이 원통 형상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과 커버(20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공진기(10')와 달리 본 발명의 공진기(10)에서는 커버(200)에는 스크류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공진기(10)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 및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체(5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진기(10)에서, 공진소자(300)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 및 탄성체(500)와 결합하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공진소자(300)는 상측벽(310)과 측벽(320)을 포함하고 속이 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공진소자(300) 내부에는 빈 공간(330)이 형성되어 있다. 공진소자(300)의 상측벽(310)에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와 결합하는 스크류 관통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관통공(312)의 내표면에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와 나사결합하는, 나사산과 나사골로 이루어진 나사영역(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는 공진소자(300)의 상측벽(310)에 형성된 스크류 관통공(312)을 관통하고 스크류 관통공(312)에서 공진소자(300)의 상측벽(310)과 나사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측면 표면에는 나사산과 나사골로 이루어진 나사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나사영역은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측면 표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한 말단부는 공진소자(300)의 내부 빈공간(330)에 위치한다.
공진소자(300)의 내부 빈공간(330)에서, 탄성체(500)는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측면 표면 및 공진소자(300)의 측벽 내표면의 두 지점 이상에 각각 접촉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 측면 및 공진소자(300)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주파수 스크류(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탄성체(50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는 탄성체(500)가 강선으로 형성된 선 스프링으로 형성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탄성체(500)가 선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500) 아래에는 고정링(60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공진소자(300)의 내부 빈 공간(330)에서, 선 스프링으로 된 탄성체(500) 아래에는 탄성체(5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 측면과 공진소자(3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서 탄성체, 예를 들어 고무로 된 고정링(600)이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 측면 및 공진소자(300)의 측벽과 결합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첫번째 선 스프링(500)은 두 지점에서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측면 표면과 접촉하고 또한 두 지점에서 공진소자(300)의 측벽 내표면과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선 스프링(500)은 수평방향으로 압축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의 방향은 서로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는 그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으면서 단지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탄성체(500)의 이러한 탄성력에 의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도 3에서 두번째 및 네번째 선 스프링은 거의 모든 지점에서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측면 표면 및 공진소자(300) 측벽의 내표면과 접촉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 측면 및 공진소자(300)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주파수 스크류(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한편, 세번째 선 스프링은 세 지점에서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측면 표면 및 공진소자(300) 측벽의 내표면과 접촉한다. 세 지점은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중심축에 대하여 균형을 이루는 지점들이다.
다음으로, 공진소자(300)의 내부 빈공간(330)에 위치하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말단부에는 스크류 위치조정용 홈(41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스크류 위치조정용 도구가 관통할 수 있는 도구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위치조정용 도구는 일반적으로 드라이버일 수 있다.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를 공진소자(300)의 스크류 관통공(312)에 장착하고 주파수 튜닝을 위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구 관통공(120)을 통하여 드라이버를 삽입하고 또한 드라이버의 말단부를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말단부에 마련된 스크류 위치조정용 홈(410)에 끼운 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말단부에 스크류 위치조정용 홈(410)을 설치하고, 드라이브의 말단부가 그러한 홈(410)에 끼워져서 회전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대안적으로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말단부에 스크류 위치조정용 돌기를 형성하고, 드라이브의 말단부에 홈을 형성하여 그러한 돌기와 그러한 홈이 결합하게 한 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공진소자(300)는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결합하는데, 그러한 결합은 나사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더욱 간단하게 그러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돌출구조물(1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돌출구조물(11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하우징(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측면(112), 제1측면(112)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계단면(114), 계단면(114)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측면(116) 및 제2측면(116)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면(118)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면(118)의 중앙부에서 돌출구조물(110)과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걸쳐 도구 관통공(120)이 형성된다.
공진소자(300)는 하측벽을 가지지 않고, 측벽(320)의 말단면은 돌출구조물(110)의 계단면(114)과 접촉하고, 공진소자(300)의 측벽(320) 내표면 일부는 돌출구조물의 제2측면(116)과 접촉하며, 공진소자(300)의 측벽(320) 말단면과 돌출구조물(110)의 계단면(114)은 솔더링(700)에 의하여 결합한다. 이때 솔더링(700)은 알려진 납땜 재료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구조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4에서 공진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및 탄성체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4의 공진기(10) 구조는 탄성체(500)로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는 점과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말단부에 돌출연장부(420)가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공진소자(300)의 내부 빈공간(330)에 위치하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말단부는 수평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420)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으로 된 탄성체(500)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측면 및 돌출연장부(420) 그리고 공진소자의 상측벽 및 측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 및 공진소자(300)와 결합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코일 스프링으로 된 탄성체(500)는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를 아래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하여, 그러한 수직방향 탄성력은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탄성체(500)로 탄성재료인 고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무로 된 탄성체(500)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측면 및 공진소자(300)의 측벽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고무로 된 탄성체(5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무로 된 탄성체(500)를 도 4에 도시된 구조에서 코일 스프링 대신에 사용한다면, 고무로 된 탄성체(500)는 수평방향의 탄성력에 더하여 수직방향의 탄성력도 발휘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10)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를 커버(2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대신에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공진소자(300)의 상측벽을 관통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공진기의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의 말단부에 스크류 위치조정용 홈(410)을 설치하고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도구 관통공(120)을 형성하여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의 조절이 용이하고 공진 주파수의 튜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400)는 탄성체(500)에 의하여 확실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중 외력에 의하여 공진 주파수가 변화하지 않는다.
<기타사항>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415146258 (세부과제번호:10048475)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관리 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사업명]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연구과제명] 고출력 멀티밴드 Flexible 튜너블 필터 기술 개발
[기여율] 1/3
[주관기관] (주)웨이브텍
[연구기간] 2016.05.01 ~ 2017.04.30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415140231 (세부과제번호:10048475)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관리 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사업명] 글로벌전문기술개발(주력및신산업)
[연구과제명] 고출력 멀티밴드 Flexible 튜너블 필터 기술 개발
[기여율] 1/3
[주관기관] (주)웨이브텍
[연구기간] 2015.05.01 ~ 2016.04.30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415135429 (세부과제번호:10048475)
[부처명]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관리 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사업명] 글로벌전문기술개발(주력,신산업)
[연구과제명] 고출력 멀티밴드 Flexible 튜너블 필터 기술 개발
[기여율] 1/3
[주관기관] (주)웨이브텍
[연구기간] 2014.06.01 ~ 2015.04.30
10: 공진기 100: 하우징
110: 돌출구조물 112: 제1측면
114: 계단면 116: 제2측면
118: 상면 120: 도구 관통공
200: 커버 300: 공진소자
310: 상측벽 312: 스크류 관통공
320: 측벽 330: 빈 공간
400: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410: 스크류 위치조정용 홈
420: 돌출연장부 500: 탄성체
600: 고정링

Claims (8)

  1. 한쪽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을 덮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공진소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는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및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진소자는 상측벽과 측벽을 포함하고 속이 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진소자의 상측벽에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와 결합하는 스크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관통공의 내표면에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와 결합하는 나사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는 상기 공진소자의 상측벽에 형성된 상기 스크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 관통공에서 상기 공진소자의 상측벽과 결합하고,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한 말단부는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서, 상기 탄성체는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측면 표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내표면의 2 지점 이상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또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강선으로 형성된 선 스프링이고,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서, 선 스프링으로 된 상기 탄성체 아래에는 상기 탄성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과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내표면 사이의 공간에서 탄성체로 된 고정링이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과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는 수평으로 돌출된 돌출연장부를 포함하며, 코일 스프링으로 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측면 및 돌출연장부 그리고 상기 공진소자의 상측벽 및 측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및 상기 공진소자와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탄성재료인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고, 고무로 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과 결합하는 것이고,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 측면 및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소자의 내부 빈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주파수 튜닝용 스크류의 말단부에는 스크류 위치조정용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스크류 위치조정용 도구가 관통할 수 있는 도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공진소자와 결합하기 위하여, 제1측면, 계단면, 제2측면 및 상면으로 포함하는 돌출구조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말단면은 상기 돌출구조물의 상기 계단면과 접촉하고,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내측면 일부는 상기 돌출구조물의 상기 제2측면과 접촉하며, 상기 공진소자의 측벽 말단면과 상기 돌출구조물의 상기 계단면은 솔더링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필터.
KR1020170004063A 2017-01-11 2017-01-11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KR101906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63A KR101906464B1 (ko) 2017-01-11 2017-01-11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63A KR101906464B1 (ko) 2017-01-11 2017-01-11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70A KR20180082770A (ko) 2018-07-19
KR101906464B1 true KR101906464B1 (ko) 2018-10-10

Family

ID=6305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063A KR101906464B1 (ko) 2017-01-11 2017-01-11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4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7464A1 (en) 2006-02-24 2009-07-02 Lennart Schon Cavity Filter, An Isolation Device, And A Node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7087C2 (de) * 1999-04-15 2001-07-26 Kathrein Werke Kg Hochfrequenzfilter
DE102010056048A1 (de) * 2010-12-23 2012-06-28 Kathrein-Werke Kg Abstimmbares Hochfrequenzfilter
DE102014001917A1 (de) * 2014-02-13 2015-08-13 Kathrein-Werke Kg Hochfrequenzfilter in koaxialer Bauwei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7464A1 (en) 2006-02-24 2009-07-02 Lennart Schon Cavity Filter, An Isolation Device, And A Node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70A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3952B2 (ja) キャビティ構造を有する無線周波数フィルタ
JP6291699B2 (ja) クロスカップリングを利用する空洞フィルタ
KR101712602B1 (ko) 유전체 공진기
US10998603B2 (en)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cavity structure
US20110316650A1 (en) Band stop filter
KR20040000424A (ko) 나사 고정 도구
KR100959073B1 (ko) 고주파 필터 및 이의 튜닝 구조
US20150116058A1 (en) Radio frequency (rf) cavity filter including tuning bolt holding member and said tuning bolt holding member
KR20160118667A (ko) 공진기 필터
KR101927956B1 (ko) 가변 공진소자를 구비한 캐비티 필터
KR101906464B1 (ko) 마이크로웨이브 공진기
KR20100100117A (ko) 초소형 무선 고주파 필터
KR100394801B1 (ko)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CN108370077A (zh) 具有介质盘的同轴谐振器
KR102244811B1 (ko) Rf 필터의 공진기
KR200482481Y1 (ko) 무선 주파수 필터
KR101062222B1 (ko) 광대역 고주파 필터
KR101750764B1 (ko) 주파수 튜너블 공진기
KR101528902B1 (ko) 고주파 필터 및 이의 공진봉 구조
EP2884579B1 (en) Dielectric filter
CN108461879B (zh) 腔体滤波器
KR20160000981U (ko) 주파수 변조 어셈블리 및 캐비티 필터
KR101730084B1 (ko) 캐비티 구조를 가진 무선 주파수 필터
US4205286A (en) Temperature stabilized helical resonator
US20180090804A1 (en) Resonator and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