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201A - 롤링 기기 상에서의 롤링 제스처 및 터치 오류 방지 - Google Patents

롤링 기기 상에서의 롤링 제스처 및 터치 오류 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201A
KR20220101201A KR1020227022507A KR20227022507A KR20220101201A KR 20220101201 A KR20220101201 A KR 20220101201A KR 1020227022507 A KR1020227022507 A KR 1020227022507A KR 20227022507 A KR20227022507 A KR 20227022507A KR 20220101201 A KR20220101201 A KR 2022010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creen
touch
roll
controller
ro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 리
쉐챵 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0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면 스크린(5) 상에서 터치 제스처(9), 바람직하게는 멀티 터치 슬라이딩 제스처를 검출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1) 상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의 전면 스크린(5)의 스크린 크기를 직관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서, 상기 제스처(9)는 거리 D와 멀티 터치 슬라이딩 제스처의 방향이 상기 기기(1)의 상기 전면 스크린의 실제 길이 L 및 롤 축(3A)에 대해 미리 결정된 특정 제약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4)를 롤인 또는 롤아웃하는 데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Description

롤링 기기 상에서의 롤링 제스처 및 터치 오류 방지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기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rollable display device) 상에서 제스처를 검출하는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크고 밝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이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강성 기판(rigid substrate) 대신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서블 기판에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어 쉽게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여 휴대성을 위한 방안을제공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기기,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기기, 확장 가능한 익스팬더블(expandzble) 디스플레이 기기 등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확장되어 사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면적을 늘릴 수 있고 컴팩트한 위치로 말려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만곡부를 지지하는 롤 유닛, 및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롤 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을 사용한다. 일부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여 입력 기기로도 기능할 수 있는 터치 감응형(touch-sensitiv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문제점은, 이러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롤인 및 롤아웃하여 스크린 크기를 조절하는 직관적인 제어 옵션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어 옵션은 전통적으로 기기의 측면에 배치되지만(오디오 출력 볼륨 제어와 유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기기 측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형성하므로 고정되지 않다.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을 위한 입력 검출에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전용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를 무의식적으로 터치하여 디스플레이를 우발적으로 말리거나(롤인) 또는 펴지는(롤아웃) 문제를 추가로 야기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기존의 선행기술로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여전히 특정 단점과 연관이 있다.
한가지 방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스크린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된다. 이 방안에서는 콘텐츠의 스크린 비율에 따라 스크린을 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콘텐츠의 스크린 비율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 크기 조절을 위한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또는 모션 제스처(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의 회전에 의한)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말기 위한 제스처는 비직관적이고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말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제스처를 하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적절하게 만다). 또한, 이 방안은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우발적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다른 방안에 따르면, 터치, 탭, 제스처와 같은 다수의 사용자 입력을 사용하여 통합된 터치 검출을 통해 동적 변형 가능한(transformable) 디스플레이의 토폴로지 구성(topology configuration)을 변경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반면, 변환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동적으로 말리거나 펼쳐져(unrolled) 스크린 크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치(예: 의도하지 않은 터치 입력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일부 비활성화)가 주어진 토폴로지에 대응하여 발생하도록 정책을 정의, 업데이트 또는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토폴로지 구성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공할 수 있는 터치 제스처에 대한 세부사항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이 방안은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토폴로지가 우발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필요한 터치 제스처의 구체적인 특성도 공개하지 않는다.
추가 방안에 따르면, 플렉서블 전자 스크린 또는 멀티 터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 손가락, 펜, 스타일러스 및/또는 멀티 터치 입력으로서 제공되는 "확장 커맨드"에 따라 말릴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의 말기(rolling) 및 펼치기(unrolling)는 팔의 움직임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솔루션은 플렉서블 전자 스크린을 말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구체적인 터치 제스처에 대한 세부사항을 포함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들은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우발적인 말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터치 제스처의 구체적인 특성을 공개하고 있지 않다.
상기한 것 외에도 US20180364827(LG Electronics Inc), US20160378270A1(Samsung Electronics Co Ltd), US7268491B2(Google LLC)와 같은 여러 특허 문헌이 있으며, 주로 사용자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말고 펼치기 위해 힘을 가해야 하는 수동 방법을 설명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상에서 롤인 및 롤아웃을 조정하기 위한 간단하고 직관적인 입력을 제공하여 기기의 전면(front)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정하는 한편, 무의식적인 디스플레이 터치에 의한 우발적인 조정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 구현 형태는 종속항,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제1 측면에 따르면,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롤 축(roll axi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롤 유닛;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를 검출하고 상기 롤 유닛 주위에 말려서 상기 롤 유닛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전면 스크린 크기를 갖는 평면의 전면 스크린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flexible, touch-sensitive display); 및
상기 전면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롤 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기기에 어떤 특별한 하드웨어를 추가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롤인 및 롤아웃을 조정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다양한 크기와 스크린 비율을 수용할 수 있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스처는 시각적 UI 요소(예: 슬라이더 토글, 클릭 가능한 아이콘 등) 또는 물리적 사용자 상호작용 요소(예: 하드웨어 버튼, 스크롤 휠 등) 없이 디스플레이를 빠르게 말 수 있게 해준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전면 스크린 상에서 동시에 또는 서로에 대해 바로 전후의 시퀀스(immediate sequence)로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의 슬라이딩 이동(sliding movement)을 포함하며, 전체 시퀀스의 지속기간은 하나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전면 스크린 상에서 동시에 또는 서로에 대해 바로 전후의 시퀀스로 검출된 4개 또는 5개의 터치 입력을 포함하며, 전체 시퀀스의 지속기간은 하나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응한다.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의 유형을 미리 정의된 슬라이딩 이동으로 동시에 또는 서로에 대해 바로 전후의 시퀀스로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으로 제한하면 무의식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거나 단순히 기기를 쥐고 있는 경우의 사용자에 의한 우발적인 조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이 상기 롤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검출되는 경우, 및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 D가 상기 전면 스크린의 길이 L의 절반보다 큰 것(D > 0.5 L)으로 검출되는 경우 - 상기 길이 L은 상기 롤 축에 수직으로 측정됨 -에만 상기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우발적인 입력 및 전면 스크린 크기의 조정 오류를 추가로 제한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전면 스크린은 상기 롤 유닛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에지 및 상기 제1 에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스크린은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가 최소인 롤인 상태(rolled-in state)와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가 최대인 롤아웃 상태(rolled-out state)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에 의해 조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추가로,
상기 제1 에지에서 상기 제2 에지를 향한 방향으로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스크린을 롤아웃 상태로 조정하고,
상기 제2 에지에서 상기 제1 에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스크린을 롤인 상태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전면 스크린 크기 조정을 더욱 정밀하게 하는 동시에 우발적인 입력 방지도 보장한다.
제1 측면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어기는 추가로, 상기 전면 스크린 상에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 D를 검출하고, 검출된 거리 D에 따라 선형적으로 상기 롤인 상태와 상기 롤아웃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를 다양한 정도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추가 제어를 통해 사용자는 우발적인 조정을 하지 않고 레벨별로 전면 스크린스크린 크기를 점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어기는 추가로, 상기 전면 스크린 상에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속도 S를 검출하고, 상기 롤 유닛의 회전 속도 Sr를 조정하여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검출된 속도 S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의 롤인 속도 또는 롤아웃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추가 제어를 통해 사용자는 전면 스크린 크기를 느리거나 빠른 페이스로 조정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조정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면 스크린의 상부 에지 또는 상기 전면 스크린의 하부 에지로부터, 한계 거리(marginal distance) Dm 내에서 결정된 한계 영역(marginal area)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상기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에지 또는 상기 하부 에지는 상기 롤 축에 수직이고; 상기 거리는 상기 한계 영역이 상기 전면 스크린 영역의 10%와 3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스크린 영역의 20%가 되도록 결정된다.
입력 검출 영역의 이러한 추가 제한을 통해 우발적인 전면 스크린 크기 조정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측면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롤 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와 맞물리기 위해 상기 롤 유닛의 양단부(both ends)에 배치된 기어;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롤 축을 중심으로 상기 롤 유닛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가역 구동 유닛(reversible drive unit)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회전의 방향 및 정도(extent)를 정의하는 명령을 포함함 -을 더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은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상기 롤 유닛의 회전 속도를 추가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이다.
제1 측면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기기는 스마트 기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고, 상기 제어기는 추가로, 상기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의 전면 스크린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정된다.
제1 측면의 추가의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어기는 추가로, 상기 제어기에 의해 검출될 터치 제스처에 대해 필요한 스와이프 방향(swiping direction) 및 필요한 최소 스와이프 거리 Dmin을 보여주는 이동 트랙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하나 이상의 시각적 지시기(visual indicator)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추가 시각적 피드백을 통해 우발적인 사용자 입력을 방지하고 전면 스크린 크기 조정에 정밀도를 더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보장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rolling display device)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기기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기기는 롤 유닛, 및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고 상기 롤 유닛 주위에 말려서 상기 롤 유닛의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전면 스크린 크기를 갖는 평면의 전면 스크린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함 -; 및
상기 전면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롤 유닛을 회전시켜, 상기 기기의 제어기 구성에 따라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면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기기에 어떤 특별한 하드웨어를 추가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롤인 및 롤아웃을 조정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재생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다양한 크기와 스크린 비율을 수용할 수 있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스처는 시각적 UI 요소(예: 슬라이더 토글, 클릭 가능한 아이콘 등) 또는 물리적 사용자 상호작용 요소(예: 하드웨어 버튼, 스크롤 휠 등) 없이 디스플레이를 빠르게 말 수 있게 해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 측면, 실시예 및 구현의 상세한 부분을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1 측면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제1 측면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등각투영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측면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롤인 및 롤아웃 상태의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2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기능을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계 영역을 나타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기어 및 구동 유닛을 나타낸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제1 측면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기어 및 구동 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3D 측면도이다.
도 8은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시각적 지시기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일반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는 롤 유닛 주위에, 롤아웃에 의해 확장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정의되어, 사용 가능한 (전면) 스크린 면적을 늘릴 수 있고 컴팩트한 위치로 말려(롤인)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만곡부를 지지하기 하는 롤 유닛, 및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롤 유닛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듈을 사용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함으로써 입력 기기로도 기능할 수 있는 터치 감응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스크린 표면과 하나 이상의 접촉 지점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멀티 터치((multi-touch) 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의해 이 경우 멀티 터치 제스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접촉 지점(손가락)의 움직임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고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다수의 접촉 지점(예: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멀티 터치 제스처는 사용자가 예컨대, 모바일 기기에서 태스크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개시에 따른 기기(1)는 하우징(2) 및 하우징(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롤 유닛(3)을 포함한다. 기기(1)는 터치 제스처(9)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롤 유닛(3)의 롤 축(3A)을 중심으로 롤 유닛(3)에 말리도록 구성된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4)의 만곡된 부분(curved portion)은 롤 유닛(3)을 중심으로 구부러진 측면(side) 스크린을 형성하고, 디스플레이(4)의 평면 부분(planar portion)은 사용자를 향하는 전면 스크린(5)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면 스크린(5)의 크기는 롤 유닛(3)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변한다. 디스플레이(4)의 제3의 평면 부분은 후면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후면 스크린의 면적은 롤 유닛(3)의 회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기기(1)는 롤 유닛(3)에 연결되고 전면 스크린(5) 상의 터치 제스처(9)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롤 유닛(3)의 회전이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어기(8)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3D 등각 투영도로 본 개시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1)를 도시한 것으로, 전면 스크린의 길이 L이 롤 축(3A)에 수직으로 측정되는 방법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 및 하기에서 이전에 설명되거나 도시된 대응하는 특징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은 단순화를 위해 이전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기기(1)의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9)로는 전면 스크린(5) 상의 슬라이딩 이동을 포함한다. 터치 제스처(9)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전면 스크린(5) 상에서 동시에 또는 서로에 대해 바로 전후의 시퀀스로 검출되는 복수의 터치 입력(즉, 멀티 터치 제스처)(10)를 포함한다. 전면 스크린(5)은 롤 유닛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에지(6) 및 제1 에지(6)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에지(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에지(6)와 제2 에지(7) 사이의 터치 제스처(9)의 방향은 롤 유닛(3)의 마는 방향(롤링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기기(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터치 제스처(9)는 동일한 방향으로 전면 스크린(5) 상에서 동시에 또는 서로에 대해 바로 전후의 시퀀스로 검출된 4개의 터치 입력(10)을 포함한다. 추가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터치 제스처(9)는 동일한 방향으로 전면 스크린(5) 상에서 동시에 또는 서로에 대해 바로 전후의 시퀀스로 검출된 5개의 터치 입력(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최소 수의 터치 입력을 정의하면 터치 오류로 인한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의 우발적인 말림(rolling)과 펼침(unrolling)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 D는 터치 입력(10)의 이동 거리로서 정의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기(8)는 슬라이딩 이동의 D가 측면(side) 스크린(5)의 길이 L의 절반보다 큰 경우, 즉 D > 0.5Ld인 경우에만 터치 제스처(9)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가능한 결합된 실시예에서, 제어기(8)는 추가로 슬라이딩 이동이 롤 축(3A)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만 터치 제스처(9)만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최소 허용 가능한 미리 정의된 거리에 관한 이러한 제약은 터치 오류로 인한 디스플레이(5)의 우발적인 롤인 또는 롤아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여러 손가락에 의해 이동된 거리가 미리 정의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 제스처(9)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고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5)는 롤인 또는 롤아웃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스크린(5)은 제어기(8)에 의해 전면 스크린 크기가 최소인 롤인 상태(11)와 전면 스크린 크기가 최대인 롤아웃 상태(12) 사이에서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기(8)는 제1 에지(6)에서 제2 에지(7)를 향한 방향으로 터치 입력(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검출한 경우 전면 스크린(5)을 롤아웃 상태(12)로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추가로, 제2 에지(7)에서 제1 에지(6)를 향한 방향으로 터치 입력(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전면 스크린(5)을 롤인 상태(11)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스처(9)의 양 방향성의 이러한 제약은 사용자가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유사한 손동작을 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방향으로 손을 움직이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를 롤아웃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손가락을 이동시키거나 디스플레이(5)에서 롤인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손가락을 이동시킬 것이다. 따라서,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5) 말기 및 펼치기 위한 설명된 제스처(9)는 직관적이다. 사용자는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5)를 말고 펼치기 위해 복잡한 제스처 패턴을 특별히 기억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를 마는 데 필요한 방향으로 다수의 손가락을 간단히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8)는 전면 스크린(5) 상의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 D를 검출한 후, 검출된 거리 D에 따라 선형적으로 롤인 상태(11)와 롤아웃 상태(12) 사이의 다양한 정도로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8)는 추가로, 전면 스크린(5) 상의 슬라이딩 이동의 속도 S를 검출한 후, 유닛(3)의 회전 속도 Sr을 조정하여 슬라이딩 이동의 검출된 속도 S에 따라 디스플레이(4)의 롤인 속도 또는 롤아웃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개별적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제어기(8) 구성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어기(8)의 전술한 구성에 따른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의 기능을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다.
첫 단계 101에서, 미리 정의된 (멀티) 터치 제스처(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스크린(5) 상에서 검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동시 터치 입력(10)이 유효한 터치 제스처(9)에 대해 검출될 필요가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3, 4 또는 5개의 동시 터치 입력(10)이 유효한 터치 제스처(9)에 대해 검출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를 말거나 펼치기 위해 사용자는 다수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전면 스크린(5)을 탭하고 전면 스크린(5)을 가로질러 다수의 손가락을 이동(슬라이드)해야 한다. 이러한 탭 및 이동 제스처는 또한 일반적으로 "스와이핑(swip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제스처(9)는 다수의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로 이해될 수 있다. 다수의 손가락을 필요로 하는 이 제스처는 스마트 기기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으므로 매우 독특하다.
다음 단계 102에서, 제어기(8)는 터치 입력(10)의 슬라이딩 이동이 롤 축(3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검출되었는지를 판정하고, 디스플레이(4)의 우발적인 롤인 또는 롤아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경우에는 (멀티) 터치 제스처(9)가 무시된다. 다음 단계 103에서, 터치 입력(10)의 검출된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 D가 검출되고, 그 후 제어기(8)는 검출된 거리 D를 측면 스크린(5)의 실제 길이 L과 비교(104)하고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 D가 전면 스크린(5)의 길이 L의 절반보다 큰 경우(D>0.5L)에만, 제스처(9)를 유효한 것으로 해석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스처(9)를 무시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의 3가지 제약(터치 입력의 수, 슬라이딩 방향 및 거리)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주어진 터치 입력(10)이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의 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유효한 터치 제스처(9)인 것으로 추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제어기(8)는 추가로, 검출된 거리 D에 따라 선형적어도 롤인 상태(11)와 롤아웃 상태(12) 사이의 다양한 정도(로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105)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 60% 롤아웃 상태, 75% 롤아웃 상태, 80% 롤아웃 상태 등).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스크린(5)의 길이 L(따라서 전면 스크린 크기)는 레벨별(level-by-level) 또는 단계적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며, 이에 의해 단계적 조정이란 최소 길이(롤인 상태(11))와 최대 길이(롤아웃 상태(12))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레벨만큼 측면 스크린(5)의 길이(L)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최종 단계 106에서, 롤 유닛(3)은 검출된 터치 제스처(9)에 응답하여 회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기기(1)의 제어기(8) 구성에 따라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8)는 추가로 전면 스크린(5) 상의 슬라이딩 이동의 속도 S를 검출(201)하고, 롤 유닛(3)의 회전 속도 Sr를 조정(202)하여 그에 의해 검출된 슬라이딩 이동 속도 S에 따른 디스플레이(4)의 롤인 속도 또는 롤아웃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개별적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제어기 구성으로 결합될 수 있는 기기(1)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기(8)는, 터치 제스처(9)가 전면 스크린(5)의 상부 에지(14) 또는 전면 스크린(5)의 하부 에지(15)로부터 한계 거리 Dm 내에서 결정된 한계 영역(13)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만 터치 제스처(9)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부 에지(14) 또는 하부 에지(15)는 롤 축(3A)에 수직이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한계 거리 Dm는 한계 영역(13)이 전면 스크린(5)의 영역의 10%와 3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스크린(5)의 영역의 20%가 되도록 결정된다.
도 6 및 도 7은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롤 유닛(3)은 디스플레이(4)와 맞물리기 위해 롤 유닛(3)의 양단부에 배치된 기어(16), 및 제어기(8)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롤 축(3A)을 중심으로 롤 유닛(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가역 구동 유닛(17)을 더 포함하며, 제어 신호는 회전의 방향 및 정도를 정의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역 구동 유닛(17)(모터)은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에 양방향 회전 운동을 제공할 수 있다. 가역 드라이브 유닛(17), 기어(16) 및 기어 샤프트는 함께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5)의 롤링 메커니즘(롤 유닛(3))을 형성한다. 구동 유닛(17)은 고정밀도(밀리미터 정밀도까지)로 양방향 회전하도록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구동 유닛(17)에 제공되는 전압이 높을수록, 기어 샤프트의 움직임이 더 빨라지고, 이는 롤러블 디스플레이(4)가 더 빠르게 롤링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가역 구동 유닛(17)에 정확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롤링 방향, 이동 거리 및 롤링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7)은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롤 유닛(3)의 회전 속도를 추가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능한 실시예에서, 기기(1)는 스마트 기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18)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제어기(8)는 추가로, 디스플레이(4)의 전면 스크린(5)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9)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9)는 전면 스크린 크기의 조정에 응답하여 조정된다. 추가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는 스마트 텔레비전, 스마트 시계 등과 같은 다른 스마트 기기의 일부일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8)는 추가로, 제어기(8)에 의해 검출될 터치 제스처(9)에 대해 필요한 스와이프 방향 및 필요한 최소 스와이프 거리 Dmin을 보여주는 이동 트랙의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9)상에 하나 이상의 시각적 지시기(20)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각적 지기기(20)는 사용자의 2개 이상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때 표시될 수 있으며, 시각적 지시기(20)의 길이는 전면 스크린(4)의 길의 절반(>0.5L)보다 약간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각적 지시기(2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손가락을 움직일 때 자동으로 위에서 정의된 제약 조건을 충족한다. 이것은 또한 사용자가 현재 스크린 길이 L에 따라 필요한 이동 거리 Dmin을 추정하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제어기(8)는 현재 스크린 길이 L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정의된 거리 Dmin을 계산하고 롤러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의 표면 상의 적절한 길이의 시각적 지시기(20)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터치 감응형 롤러블 디스플레이(4)의 표면을 다수의 손가락으로 터치(탭)할 때, 사용자의 각 손가락에 대한 개별 가상 움직임 트랙이 디스플레이(4)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트랙은 사용자를 위한 안내로 작용할 것이어서, 사용자는 이동 트랙을 따라 손가락을 단순히 이동(즉, 스와이프)하여 디스플레이(5)를 말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스처(9)의 수정은 터치 감응형이 아닌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대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약에 의해 정의된 수정된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해 공중에서, 그리고 롤러블 디스플레이(4)의 표면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이격 거리 내에서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측면 및 구현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른 변형은 도면,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주제를 실시함에 있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단어는 다른 요소나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부정관사 "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프로세서 또는 기타 유닛은 청구범위에 기술된 여러 항목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수단이 서로 다른 종속항에 인용되어 있다는 사실이 측정된 이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른 하드웨어와 함께 제공되거나 다른 하드웨어의 일부로 제공되는 광학 저장 매체 또는 고체 상태 매체와 같은, 적절한 매체에 저장/배포될 수 있지만, 인터넷 또는 기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하는 것과 같은, 다른 형태로 배포될 수도 있다.
청구범위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3)

  1. 기기(1)로서,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에 장착되고 롤 축(roll axis)(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롤 유닛(3);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를 검출하고 상기 롤 유닛(3) 주위에 말려서 상기 롤 유닛(3)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전면 스크린 크기를 갖는 평면의 전면 스크린(5)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flexible, touch-sensitive display)(4); 및
    상기 전면 스크린(5) 상의 터치 제스처(9)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롤 유닛(3)을 회전시켜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8)
    를 포함하는 기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스처(9)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전면 스크린(5) 상에서 동시에 또는 서로에 대해 바로 전후의 시퀀스(immediate sequence)로 검출된 복수의 터치 입력(10)의 슬라이딩 이동(sliding movement)을 포함하는, 기기(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10)은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전면 스크린(5) 상에서 동시에 또는 서로에 대해 바로 전후의 시퀀스로 검출된 4개 또는 5개의 터치 입력(10)을 포함하는, 기기(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8)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이 상기 롤 축(3A)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검출되는 경우(102), 및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 D가 상기 전면 스크린(5)의 길이 L의 절반보다 큰 것(D > 0.5 L)으로 검출되는 경우(104) - 상기 길이 L은 상기 롤 축(3A)에 수직으로 측정됨 -에만 상기 터치 제스처(9)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기기(1).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스크린(5)은 상기 롤 유닛(3)과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에지(6) 및 상기 제1 에지(6)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에지(7)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스크린(5)은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가 최소인 롤인 상태(rolled-in state)(11)와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가 최대인 롤아웃 상태(rolled-out state)(12)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8)에 의해 조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8)는 추가로,
    상기 제1 에지(6)에서 상기 제2 에지(7)를 향한 방향으로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스크린(5)을 롤아웃 상태(12)로 조정하고,
    상기 제2 에지(7)에서 상기 제1 에지(6)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슬라이딩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면 스크린(5)을 롤인 상태(11)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기기(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8)는 추가로,
    상기 전면 스크린(5) 상에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 D를 검출(103)하고,
    검출된 거리 D에 따라 선형적으로 상기 롤인 상태(11)와 상기 롤아웃 상태(12) 사이에서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를 다양한 정도로 조정(105)하도록, 구성되는, 기기(1).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8)는 추가로,
    상기 전면 스크린(5) 상에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속도 S를 검출(201)하고,
    상기 롤 유닛(3)의 회전 속도 Sr를 조정(202)하여 상기 슬라이딩 이동의 검출된 속도 S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의 롤인 속도 또는 롤아웃 속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기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8)는 상기 전면 스크린(5)의 상부 에지(14) 또는 상기 전면 스크린(5)의 하부 에지(15)로부터, 한계 거리(marginal distance)(Dm) 내에서 결정된 한계 영역(marginal area)(13)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9)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상기 터치 제스처(9)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에지(14) 또는 상기 하부 에지(15)는 상기 롤 축(3A)에 수직이고;
    상기 거리는 상기 한계 영역(13)이 상기 전면 스크린(5) 영역의 10%와 30% 사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스크린(5) 영역의 20%가 되도록 결정되는, 기기(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유닛(3)은,
    상기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와 맞물리기 위해 상기 롤 유닛(3)의 양단부(both ends)에 배치된 기어(16); 및
    상기 제어기(8)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롤 축(3A)을 중심으로 상기 롤 유닛(3)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가역 구동 유닛(reversible drive unit)(17) -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회전의 방향 및 정도를 정의하는 명령을 포함함 -을 더 포함하는, 기기(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7)은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상기 롤 유닛(3)의 회전 속도를 추가로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기 모터인, 기기(1).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1)는 스마트 기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18)이고, 상기 제어기(8)는 추가로, 상기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의 전면 스크린(5)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9)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9)는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조정되는, 기기(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8)는 추가로,
    상기 제어기(8)에 의해 검출될 터치 제스처(9)에 대해 필요한 스와이프 방향(swiping direction) 및 필요한 최소 스와이프 거리 Dmin을 보여주는 이동 트랙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9)상에 하나 이상의 시각적 지시기(visual indicator)(20)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기(1).
  13. 롤링 디스플레이 기기(1)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기(1)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기기(1)는 롤 유닛(3), 및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고 상기 롤 유닛(3) 주위에 말려서 상기 롤 유닛(3)의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전면 스크린 크기를 갖는 평면의 전면 스크린(5)을 정의하도록 구성된 플렉서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4)를 포함함 -;
    상기 전면 스크린(5)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9)를 검출(101)하는 단계; 및
    검출된 터치 제스처(9)에 응답하여 상기 롤 유닛(3)을 회전(106)시켜, 상기 기기(1)의 제어기(8) 구성에 따라 상기 전면 스크린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22507A 2020-02-14 2020-02-14 롤링 기기 상에서의 롤링 제스처 및 터치 오류 방지 KR20220101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20/053835 WO2021160276A1 (en) 2020-02-14 2020-02-14 Rolling gesture and mistouch prevention on rolling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201A true KR20220101201A (ko) 2022-07-19

Family

ID=6965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507A KR20220101201A (ko) 2020-02-14 2020-02-14 롤링 기기 상에서의 롤링 제스처 및 터치 오류 방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77696B2 (ko)
EP (1) EP4058868B1 (ko)
KR (1) KR20220101201A (ko)
CN (1) CN114616532A (ko)
WO (1) WO20211602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89A1 (ko) * 2022-11-07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4101722A1 (ko)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노출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3215B2 (en) 2021-07-21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45942A (ko) * 2021-09-29 202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63681A1 (ko) * 2021-10-12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확장 및 축소를 위한 입력 영역 제어 방법
WO2023106622A1 (ko) * 2021-12-09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US11983380B2 (en) 2021-12-09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CN116483164A (zh) * 2022-01-13 2023-07-2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屏幕控制方法
WO2023182654A1 (ko) * 2022-03-21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491B2 (en) 2004-12-14 2007-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pandable display having rollable material
US20110010626A1 (en) * 2009-07-09 2011-01-13 Jorge Fino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Playback Control with a Finger Gesture
US20130252668A1 (en) * 2010-02-12 2013-09-26 Yi-Chuan Cheng Cellular with an extension display
US8555184B2 (en) * 2010-04-21 2013-10-08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interacting with a scrollable area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112011100087T5 (de) * 2011-04-06 2013-01-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Gestenerkennung auf einer tragbaren Vorrichtung mit einem kraftempfindlichen Gehäuse
KR101903742B1 (ko) * 2012-05-22 2018-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3399616A (zh) * 2013-07-02 2013-11-2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能改变显示区域的屏幕、移动终端、及其屏幕显示方法
US20150029229A1 (en) 2013-07-27 2015-01-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justable Size Scrollable Display
CN106663392A (zh) 2014-07-30 2017-05-1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形状改变支撑板的显示器
KR20160123620A (ko)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62856B1 (ko) 2015-06-24 2022-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025924B1 (ko) 2015-07-3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58051A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US10627931B2 (en) 2015-12-16 2020-04-21 Lg Electronics Inc. Rollable mobile terminal
US10061424B2 (en) 2015-12-26 2018-08-28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dynamic display with a transformable display
EP3617861A4 (en) * 2017-06-30 2020-05-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088215B1 (ko) * 2018-01-22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266152B1 (ko) * 2018-02-22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789A1 (ko) * 2022-11-07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4101722A1 (ko) * 2022-11-09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노출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77696B2 (en) 2024-05-07
EP4058868B1 (en) 2024-04-10
EP4058868A1 (en) 2022-09-21
WO2021160276A1 (en) 2021-08-19
US20230109078A1 (en) 2023-04-06
CN114616532A (zh)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1201A (ko) 롤링 기기 상에서의 롤링 제스처 및 터치 오류 방지
US10353570B1 (en) Thumb touch interface
RU25418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м интерфейсом на основе движений
JP5260506B2 (ja) タッチパッド上における挙動を認識してスクロール機能を制御し既定の場所でのタッチダウンによってスクロールを活性化する方法
CN106919329B (zh) 一种触摸屏输入方法及电子设备
US1010833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window management on extending screens
US8791911B2 (en) Multichannel controller
US20110304584A1 (en) Touch screen control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using the same
JP2020064651A (ja) タッチ圧力及びタッチ面積による動作対象の臨時操作方法及び端末機
TWI567631B (zh) 虛擬調節鈕的操作方法
JP2011248784A (ja) 電子機器、及び表示制御方法
US20130100042A1 (en) Touch screen implemented control panel
TW201019179A (en) Touch panel and quick scrolling method thereof
KR100990833B1 (ko) 터치 장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 장치
CN111600978B (zh) 一种显示终端的控制方法及显示终端
KR101102087B1 (ko)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및 휴대용 전자장치
JP7507853B2 (ja) ローリング装置上の自己適合型ディスプレイアスペクト比調整器及びジェスチャ
US20230034607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 Controllable Foldable Display with Haptic and Sound Effect
KR101646692B1 (ko) 터치 압력 및 터치 면적에 따른 동작 대상의 임시 조작 방법 및 단말기
US20220398008A1 (en) Volume Adjusting Gesture and Mistouch Prevention on Rolling Devices
EP2654370A2 (en) Mobile device
KR20150102363A (ko) 멀티 터치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74910B1 (ko) 터치 장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 장치
KR101692848B1 (ko) 호버링을 이용하는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JP5681013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