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512A -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512A
KR20220100512A KR1020210188429A KR20210188429A KR20220100512A KR 20220100512 A KR20220100512 A KR 20220100512A KR 1020210188429 A KR1020210188429 A KR 1020210188429A KR 20210188429 A KR20210188429 A KR 20210188429A KR 20220100512 A KR20220100512 A KR 2022010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warm
cold
seas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481B1 (ko
Inventor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김영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Publication of KR2022010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2Tapes, band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가 식재된 잔디 시트의 하부에 냉각라인과 히팅라인이 구비되어 외부의 온도변화에 따라 각각의 라인을 작동시켜 일정한 온도범위가 유지됨에 따라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를 균일하게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A DEVICE FOR MAINTAINING THE GROWTH TEMPERATURE OF COLD-TERRAIN GRASS AND WARM-GROUND GRASS}
본 발명은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온에 따른 잔디의 원활한 육성을 도모하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는 기후에 따라 자라는 정도가 다른 종으로 구별된다. 차가운 기후에서 성장이 원활한 잔디는 한지형 잔디이며, 온난한 기후에서 성장이 원활한 잔디는 난지형 잔디이다.
위도가 중위에 속하는 지역에서는, 한지형 잔디가 잘 자라는 편이나, 기후가 온난화됨에 따라 난지형 잔디의 육성 지역이 점차 중위도 지역으로 확장되며, 한지형 잔디는 중위도 지역에서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기후가 온난화되어가고 있지만, 아직은 중위도 지역에서는 4계절은 나타나고 있다. 다만 여름철 고온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한지형 잔디가 초여름부터 가을이전까지 잘 자라지 못하는 환경이 되었다.
골프장의 필드는 일정한 두께로 배토사를 깔고, 배토사에 잔디를 식재하여 조성되며, 골프장에 식재되는 잔디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로 구분된다. 이들 중 한지형 잔디는 일반적으로 양잔디로 불리는 것으로, 추운 날씨에 강하고 겨울에도 초록색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반대로, 난지형 잔디는 날씨가 추워지면 노란색으로 변색되는 반면, 한지형 잔디에 비해 높은 기온에서 잘 자라며, 잎이 뻣뻣하여 골프공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떠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골프장의 경우, 겨울철에도 초록을 유지하는 한지형 잔디를 선호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기온의 온난화가 발생됨에 따라, 한지형 잔디를 난지형 잔디로 교체하고자 하는 골프장이 늘어가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골프장은 그린에 한지형 잔디를 재배 사용하는 상황으로서, 기후변화로 인하여 온도가 높아지고, 고온기가 길어짐에 따라 한지형 잔디의 생육이 저하하고, 고온기 스트레스로 인한 병발생 및 고사위험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여름철 한지형 잔디의 육성이 고온으로 저해되며 고온기 스트레스로 인한 병발생 및 고사위험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난지형 잔디를 심는 지역이 늘어가고 있으며, 특히 골프장과 같이 4계절 필드의 그린을 유지해야 하는 장소에서는 한지형 잔디에 난지형 잔디를 함께 심어주는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 기술로서, 한국특허 제2011-0011254호에는, 난지형 잔디 종자와 한지형 잔디 종자를 혼합하여 동시에 파종하고 계절에 관계없이 발아 및 생장시켜 지면 녹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잔디발아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온 환경에서 한지형 잔디의 성장 부진과 고온기 스트레스로 인한 병발생 및 고사위험을 난지형 잔디로 보완함으로써 여름철에 한지형 잔디의 부족을 난지형 잔디로 메울 수 있으며, 반대로 저온 환경에서는 한지형 잔디에 의해 그린 필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고온기와 저온기의 4계절 모두 최상의 잔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는, 한지형 잔디; 및 상기 한지형 잔디와 함께 혼합 또는 상기 한지형 잔디보다 하부에 마련되는 난지형 잔디를 포함하며, 상기 한지형 잔디의 씨앗은 홀들이 균일하게 마련된 상부시트에 식재되며, 상기 난지형 잔디의 씨앗은 상기 상부시트보다 하부에 있는 하부시트에 식재되되, 상기 홀들을 통해 육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마련되며, 영양제가 도포된 천연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는 상기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씨앗이 부착되도록 천연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시트는 영양제 및 발아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시트는 상기 한지형 잔디 씨앗이 부착된 배치된 씨줄 라인들이 포함되되, 부착 또는 직조되어 마련되며, 상기 하부 시트는 상기 난지형 잔디 씨앗이 부착된 씨줄 라인들이 포함되되, 부착 또는 직조되어 마련되며, 상기 한지형 잔디 씨앗과 난지형 잔디 씨앗의 씨줄 라인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지형 잔디 씨앗과 난지형 잔디 씨앗의 씨줄 라인은 천연 섬유를 사용하되, 상기 한지형 잔디 씨앗과 난지형 잔디 씨앗이 각각 천연 코팅물질과 함께 혼합 코팅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코팅물질은 점토, 천연풀, 및 설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층에서 상기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에 배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의 고온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냉각라인; 상기 온도센서의 저온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히팅라인; 및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며, 미리 설정된 고온과 저온 온도 범위에 의해 상기 냉각라인 및 히팅라인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고온 환경에서 한지형 잔디의 성장 부진과 고온기 스트레스로 인한 병발생 및 고사위험을 난지형 잔디로 보완함으로써 여름철에 한지형 잔디의 부족을 난지형 잔디로 메울 수 있으며, 반대로 저온 환경에서는 한지형 잔디에 의해 그린 필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고온기와 저온기의 4계절 모두 최상의 잔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배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및 천연시트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재 및 이식 배치되어 잔디가 성장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냉각라인과 히팅라인 및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씨줄라인이 포함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씨줄라인이 포함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의한 성장상태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배치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및 천연시트의 평면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식재 및 이식 배치되어 잔디가 성장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는, 상부에 배치되는 한지형 잔디(100) 및 한지형 잔디(100)보다 하부에 마련되는 난지형 잔디(10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난지형잔디(105, 파스팔륨)에 한지형(벤트그라스)잔디의 종자를 오버시딩(over seeding) 또는 그 반대로 하여 교호 재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씨앗 자체를 상부와 하부시트 배치하여 교호 재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지형 잔디(100)는 고온에 약해 여름철에 생육이 부진하지만, 혼합 배치되는 난지형 잔디(105)의 고온 생육이 활발하여 여름철 한지형 잔디(100)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골프장에는 주로 저온기에 적합한 생장성의 장점을 갖는 한지형 잔디(100)가 사용된다. 이에 따라 고온기의 여름철에는 한지형 잔디(100)의 생육이 저하되어 골프장 잔디 상태가 나빠지는 경향이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와 하부 또는 그 반대로 배치되는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05)의 배치 구조에 의해 최근의 골프장의 한지형 잔디(100)의 여름철 생육 저하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지형 잔디(100)의 씨앗은 홀(111)들이 균일하게 마련된 상부시트(110)에 식재되며, 난지형 잔디(105)의 씨앗은 상부시트(110)보다 하부에 있는 하부시트(115)에 식재됨으로써 상기 홀(111)들을 통해 육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시트(110)의 홀(111)들을 통해 난지형 잔디(105)가 자라 올라갈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한지형 잔디(100)의 고온 환경에서 생육 저한 문제가 해결된다.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의 상하 배치는 바뀔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난지형 잔디(105) 사이로 한지형 잔디(100)가 자랄 수 있다.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의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05)는 촘촘한 격자형으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05)가 적절히 혼합되어 고온과 저온과 상호 보완적으로 생장되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시트(110)에는 난지형 잔디(105)가 자랄 수 있는 홀(111)들이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상부 시트(110)와 하부 시트(115)는 씨앗의 처리로 적층된 배치 구조로서, 하나의 일체화된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 사이에 마련되며, 영양제(121)가 도포된 천연시트(120)가 더 포함된다.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는 토양에서 쉽게 부식이 가능한 천연 또는 합성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 천연재료는 주로 다양한 식물성 섬유질들을 포함한다.
천연시트(120)는 잔디의 식재 후에 지표 하부에서 부식 및 분해되어 친환경적으로 처리되는 것으로서, 오염물질이 중화 처리된 재생펄프 또는 친환경 생분해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시트(120)는 상부 시트(110)와 하부 시트(115)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재생펄프나 부직포는 옥수수 또는 사탕수수의 줄기로부터 얻어진 섬유를 가공하여 만든 것일 수 있다. 이들 중 사탕수수 섬유질은 사탕수수 제당공정에서 부산물로 얻은 버개스를 건조시켜 물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인 버개스로 가공하며, 가공된 버개스를 스크린이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에 올려놓아 심지를 제거하고 섬유질만을 수집하며, 수집된 섬유질에 물을 넣고 찧어 연질화시키며, 연질화된 섬유질을 정련기로 분쇄하며, 분쇄된 섬유질에 물을 넣고 증해한 것일 수 있다.
영양제(121)는 잔디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합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잔디를 위한 영양제(121)는 복합비료로서, 질산, 인산, 칼슘, 칼륨, 및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천연시트(120)에 함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영양제(121)는 갈대나 대나무 등과 같은 식물의 잎과 줄기를 잘게 분쇄한 후 압착하여 액즙을 추출하고, 잎과 줄기를 분리하고 남은 나무는 톱밥형태로 잘게 분쇄시켜 나무(톱밥)와 물을 20 : 80의 중량비로 넣고 3-4시간동안 삶은 후 40℃의 온도에서 4일정도 숙성시켜 이를 압착하여 액즙을 추출한 후, 상기 잎과 줄기로부터 추출된 액즙과 혼합하여 얻은 식물추출액 12중량%와, 석회 20중량%와, 황토 4중량%와, 질소 3중량%와, 유효인산 3중량%와, 칼륨 1중량%와, 칼슘 1중량%와, 마그네슘 3중량% 및 나트륨 3중량%를 구성하여 이들을 염도가 3∼50%인 염수 50중량%와 혼합한 다음, 위 혼합물을 120℃~150℃의 고온으로 묽은 죽의 상태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이를 용기에 넣어 15℃~18℃의 온도로 15일간 발효하여 숙성시킨 후, 숙성된 혼합물을 상온~60℃ 이하의 온도에서 3~7일간 완전히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한 다음, 분말을 이루도록 파쇄기로 파쇄하는 공정으로 만들어진 영양제일 수 있다. 분말로 만들어진 영양제(121)는 천연시트(120) 상에 함침 처리되어 상부 시트(110)와 하부시트(1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는,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05)의 씨앗(142)이 산포되어 부착되도록 천연 접착제(125)가 도포되며, 천연 접착제(125)는 발아촉진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아촉진 조성물은 KNO3와 지베렐린을 적절히 혼합한 발아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잔디씨앗은 발아 촉진과 살균을 위해서 잔디종자를 20 ∼ 40% KOH용액에 5분 ∼ 1시간 처리한 다음 수세하고, 1 ∼ 15% NaOCl용액으로 5 ∼ 45분간 처리한 다음 수세하고, 0.0001 ∼ 0.01% HCl 용액으로 1 ∼ 15분간 침종 처리한 다음 수세한 후 생장 조절제 처리한 후 살균제를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접착제(125)는 시트에 분무되어 도포되는 풀과 같은 액상 녹말로 만들어진 천연 풀을 사용할 수 있다. 잔디의 씨앗(142)들은 천연 풀 상에 송풍 부착되어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와 함께 식재되어 생육된다.
천연 접착제(125)는 쌀과 물을 중량비 약 1:2 비율로 혼합하여 충분히 불린 후, 대기 중에 노출시켜 약 6일 동안 숙성시키며, 쌀로부터 발생된 녹말을 물과 함께 배출하되, 이와 같은 과정을 약 10회 반복한 후 얻어진 침전물질(끈끈이물질)을 자연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물질(천연접착제)을 물과 중량비 약 1:1 비율로 배합한 후, 60~70도의 온도에서 5~10분 정도 서서히 저어 가면서 끈끈한 상태의 천연풀을 준비하여 마련한다. 이후, 천연풀에 산초(열매와 잎) 추출물을 중량비 8:2~7:3 비율로 혼합시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탁월한 천연접착제를 확보할 수 있다.
쌀에서 추출하는 천연풀은 쌀과 물을 1:2비율로 혼합 충분히 불린 후 대기 중 햇빛에 노출하여 6일 간 숙성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단계에서 쌀 내 녹말을 분해시켜 물과 함께 배출하는 과정을 10회 반복 후 최종적으로 남게 되는 끈끈한 침전물질이 남게 된다.
상세하게는, 끈끈이 물질을 건조시켜 준비된 하얀 고형분을 물과 함께 배합(고형분과 물 1:1)하고, 천연풀로 사용키 위한 가열 조건은 50도 이하로 가열 5분정도 교반시 온도가 낮아 완전한 점액성을 뛰지 않아 접착력이 떨어지며, 80도 이상으로 가열 10분정도 교반시 끈끈이 정도 점액성이 너무 높다. 한편, 60~70도 정도의 온도에서 5~10분 교반시 최적에 점성을 얻을 수 있다. 천연풀에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을 더하기 위한 방법으로, 천연풀과 식물중 산초추출물을 8:2~7:3로 배합하고, 교반은 2~5분 서서히 혼합시켜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이 아주 뛰어난 천연접착제를 제조한다. 천연풀과 산초추출물 비율을 8:2이하 5:5로 조성하여 교반시켜 혼합분석시 산초추출물 대비 천연풀이 적어 접착성이 월등히 떨어지며, 상기 천연풀과 산초추출물 비율을 9:1이상으로 조성하여 혼합 분석시 천연풀 대비 산초추출물혼합 비율이 적어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천연풀과 산초추출물 비율을 8:2~7:3으로 하고 2~5분 혼합시 높은 수준의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시트(110)에는 하부시트(115)에는 각각 한지형 잔디 씨앗(142)과 난지형 잔디 씨앗(143)이 천연 접착제(125)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상부시트(110)에는 하부시트(115)는 영양제 및 발아촉진제(121)가 함침 처리된 천연시트(120)와 함께 적층 배치됨으로써 잔디 교호재배시트로 제작된다.
이러한 잔디 교호재배시트는 잔디가 조성되어야 하거나 육성을 위한 재배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재배 장소에는 잔디 교호재배시트에 대응하는 설치 홈부가 미리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냉각라인과 히팅라인 및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05)의 하부에 배치되는 온도센서(131), 온도센서(131)에 의해 작동되는 냉각라인(132)과 히팅라인(133) 및 제어부(13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131)와 냉각라인(132)은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05)가 상부와 하부로 배치되어 식재된 후, 골프장에 이식된 후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골프장은 한지형 잔디(100)가 뻣뻣하게 살아 있어야 하는 영역이 특히 존재한다. 이러한 영역에서도 고온 환경에서 한지형 잔디(100)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온도센서(131)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면 제어부(135)가 냉각라인(132)을 가동시켜 그 영역의 지표 면부를 일정 온도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영하의 저온 환경에서 한지형 잔디(100)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온도센서(131)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이면 제어부(135)가 히팅라인(133)을 가동시켜 그 영역의 지표 면부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냉각라인(132)은 냉각수가 유동되는 호스로서, 펌프(136)에 의해 순환되는 지하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히팅라인(133)은 온수가 유동되는 호스로서, 수돗물이 태양열 패널(137)을 순환 통과하면서 온수로 변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냉각라인(132)과 히팅라인(133)은 냉각과 가열이 가능한 펄티어 히터(138)를 더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냉각라인(132)과 히팅라인(133)이 펄티어 히터(138)의 양측에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흡열 또는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냉각라인(132)과 히팅라인(133)에 의해 한지형 잔디(100)에 대한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씨줄라인이 포함된 개념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시트(110)는 한지형 잔디 씨앗(142)이 부착된 배치된 씨줄라인(140)들이 포함되어 마련되며, 하부시트(115)는 난지형 잔디 씨앗(143)이 부착된 씨줄라인(141)들이 포함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지형 잔디 씨앗(142)과 난지형 잔디 씨앗(143)의 씨줄 라인(140, 141)은 천연 섬유를 사용하며, 한지형 잔디 씨앗(142)과 난지형 잔디 씨앗(143)이 각각 천연 코팅물질과 함께 혼합 코팅되어 포함된다.
일 예로,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씨줄 라인(140, 141)은 액상 녹말을 통과하면서 액상 녹말로 만들어진 천연 접착제(125)로 도포된 후, 각각의 잔디 씨앗(142, 143)을 공급하는 공급통 또는 공급박스와 같은 공급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씨줄 라인(140, 141)에는 잔디 씨앗(142, 143)이 묻게 된다. 이러한 씨줄 라인(140, 141)은 점토와 설탕물이 혼합된 노즐을 통과하여 액상 점토(151)에 의해 도포 처리된 후 건조되어 전술한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에 부착되어 식재될 수 있다. 설탕물의 설탕은 점토의 점착성을 높여주며, 굳어서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든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씨줄라인이 포함된 개념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을 참조하면, 잔디 씨앗(142, 143)이 묻은 씨줄 라인(140, 141)은 다른 섬유라인(145)들과 직조되어 일정 너비를 갖는 소형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05) 씨앗(142)이 직조되어 마련된 시트는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 상태로 식재될 수 있으며,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05)는 필드에서 혼합되어 자라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잔디식재지역의 잔디초종을 난지형 잔디(파스팔륨 등등)로 조성한 위에 한지형 잔디의 씨앗을 파종하여 이를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에 의한 성장상태의 사진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과 같이, 고온 환경에서 한지형 잔디의 성장 부진과 고온기 스트레스로 인한 병발생 및 고사위험을 난지형 잔디로 보완함으로써 여름철에 한지형 잔디의 부족을 난지형 잔디로 메울 수 있으며, 반대로 저온 환경에서는 한지형 잔디에 의해 그린 필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고온기와 저온기의 4계절 모두 최상의 잔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는, 종합운동장, 골프장 등 모든 체육시설 등으로 사용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00: 한지형 잔디 105: 난지형 잔디
110: 상부시트 111: 홀
115: 하부시트 120: 천연시트
121: 영양제, 발아촉진제 125: 천연 접착제
131: 온도센서 132: 냉각라인
133: 히팅라인 135: 제어부
136: 펌프 137: 태양광 패널
138: 펄티어 히터 140, 141: 씨줄 라인
142, 143: 씨앗151: 액상 점토

Claims (3)

  1. 한지형 잔디(100); 및
    상기 한지형 잔디(100)보다 하부에 마련되는 난지형 잔디(105)를 포함하며,
    상기 한지형 잔디(100)의 씨앗은 홀(111)들이 균일하게 마련된 상부시트(110)에 식재되며, 상기 난지형 잔디(105)의 씨앗은 상기 상부시트(110)보다 하부에 있는 하부시트(115)에 식재되되, 상기 난지형 잔디(105)가 자라 올라갈 수 있도록 상부시트(110)에 구비된 상기 홀(111)들을 통해 육성되고,
    상기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 사이에 마련되며, 영양제(121)가 도포된 천연시트(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시트(110)와 하부시트(115)는 상기 한지형 잔디(100)와 난지형 잔디(150)의 씨앗이 부착되도록 천연 접착제(125)가 도포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홀(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도센서(131)와,
    상기 난지형 잔디(105)보다 하무에 마련되며, 상기 온도센서(131)로 측정되는 온도에 의해 작동되는 냉각라인(132) 및 히팅라인(133)과,
    상기 온도센서(131)의 온도정보를 수집하며, 기 설정된 온도 범위가 유지되도록 냉각라인(132) 또는 히팅라인(133) 중 하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라인(132)은 지하수가 유동되는 호스로 구성되되, 펌프(136)에 의해 지하수가 냉각라인(132)을 따라 유동되어 순환되며,
    상기 히팅라인(133)은 온수가 유동되는 호스로 구성되되, 수돗물이 태양열 패널(137)을 온수가 순환 통과하여 온수로 변환되어 히팅라인(133)을 따라 유동되어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라인(132)과 히팅라인(133)은 냉각과 가열이 가능한 펄티어 히터(138)가 더 구성되며,
    상기 펄티어 히터(138)의 양측에 냉각라인(132)과 히팅라인(133)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흡열 또는 가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
KR1020210188429A 2021-01-08 2021-12-27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 KR102558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02916 2021-01-08
KR1020210002916 2021-01-08
KR1020210017915A KR102346356B1 (ko) 2021-01-08 2021-02-08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15A Division KR102346356B1 (ko) 2021-01-08 2021-02-08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512A true KR20220100512A (ko) 2022-07-15
KR102558481B1 KR102558481B1 (ko) 2023-07-25

Family

ID=7934821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15A KR102346356B1 (ko) 2021-01-08 2021-02-08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
KR1020210188429A KR102558481B1 (ko) 2021-01-08 2021-12-27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생육온도 유지 장치
KR1020210188545A KR102558480B1 (ko) 2021-01-08 2021-12-27 4계절 상태유지가 가능한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배치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915A KR102346356B1 (ko) 2021-01-08 2021-02-08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545A KR102558480B1 (ko) 2021-01-08 2021-12-27 4계절 상태유지가 가능한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46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278B1 (ko) 2022-11-25 2024-02-13 김동훈 골프장 필드 조성구조 및 조성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7194A (en) * 1964-11-27 1969-02-11 Continental Oil Co Coated mulch sheet
KR950013355A (ko) * 1993-11-02 1995-06-15 송연섭 잔디재배용 매트(mat)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16982Y1 (ko) * 2003-04-03 2003-06-19 장영재 식물씨앗의 발아 및 성장촉진용 패드
KR20110011254A (ko) * 2009-07-28 2011-02-08 일송지오텍(주) 잔디발아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142191B1 (ko) * 2011-11-29 2012-05-04 대일산업 주식회사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KR101850849B1 (ko) * 2017-08-21 2018-04-23 장청일 잔디의 균일식재가 가능한 네트형 잔디매트
KR101870138B1 (ko) * 2017-10-25 2018-06-25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스포어상태의 토양미생물을 코팅한 씨앗을 포함하는 친환경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1569B1 (ko) * 2017-11-27 2019-03-22 박승찬 잔디발아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1694A (en) * 1964-11-27 1970-05-12 Continental Oil Co Method of making a coated agricultural mulch sheet
US6389745B1 (en) * 1999-02-26 2002-05-21 G&B Tech Corp. Sheet for growing grass seeds and grass seed mat using same
KR100475291B1 (ko) * 2003-02-03 2005-03-10 동안지텍스 주식회사 씨앗발아대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5292290A1 (en) 2004-09-29 2006-04-13 Tall Grass Restorations, Inc. Seed mat
KR100661852B1 (ko) * 2006-04-28 2006-12-28 이종원 절개지 법면의 녹화 공법
KR20080002709A (ko) * 2007-10-10 2008-01-04 윤보석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KR101226452B1 (ko) * 2010-03-31 2013-01-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US10010029B2 (en) * 2011-11-21 2018-07-03 Innovation Hammer, Llc Methods and systems for growing plants using silicate-based substrates, cultivation of enhanced photosynthetic productivity and photosafening by utilization of exogenous glycopyranosides for endogenous glycopyranosyl-protein derivatives, and formulations, processes and systems for the same
KR101187869B1 (ko) * 2012-04-04 2012-10-08 (주)테라생태환경 테라매트와 이의 시공방법
KR101192644B1 (ko) * 2012-07-02 2012-10-19 오션그린 주식회사 잔디 재배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ES2754274T3 (es) * 2014-12-22 2020-04-16 Basf Se Compuestos cíclicos sustituidos por un sistema de anillo condensado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7194A (en) * 1964-11-27 1969-02-11 Continental Oil Co Coated mulch sheet
KR950013355A (ko) * 1993-11-02 1995-06-15 송연섭 잔디재배용 매트(mat)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16982Y1 (ko) * 2003-04-03 2003-06-19 장영재 식물씨앗의 발아 및 성장촉진용 패드
KR20110011254A (ko) * 2009-07-28 2011-02-08 일송지오텍(주) 잔디발아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1142191B1 (ko) * 2011-11-29 2012-05-04 대일산업 주식회사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KR101850849B1 (ko) * 2017-08-21 2018-04-23 장청일 잔디의 균일식재가 가능한 네트형 잔디매트
KR101870138B1 (ko) * 2017-10-25 2018-06-25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스포어상태의 토양미생물을 코팅한 씨앗을 포함하는 친환경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1569B1 (ko) * 2017-11-27 2019-03-22 박승찬 잔디발아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356B1 (ko) 2022-01-03
KR102558481B1 (ko) 2023-07-25
KR102558480B1 (ko) 2023-07-25
KR20220100513A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13583A (zh) 一种适应机械化生产的水稻育秧方法
CN105830835A (zh) 一种水稻机插工厂化育秧方法
CN104770279B (zh) 一种雪菊穴盘育苗移栽方法
CN104718946B (zh) 亮剑尖椒的周年栽培方法
CN106962056A (zh) 一种五棚七膜冬季低温蔬菜育苗方法
CN107517799A (zh) 一种光萼溲疏温室容器育苗方法
CN102318489A (zh) 一种夏季芹菜的种植管理方法
KR102346356B1 (ko)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
CN107455124A (zh) 一种大花红景天的栽培方法
CN106069082A (zh) 一种西芹的育苗方法
CN112673946B (zh) 一种南方高寒山区朝天椒酿热增温育苗的方法
RU2751851C1 (ru) Способ интенсив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газона с обогащением почвы водой с помощью суперабсорбента при орошении
Abdrabbo et al. Eggplant production under deficit irrigation and polyethylene mulch
CN107593235A (zh) 盐碱地上套种白蜡与枸杞的方法
CN106962086A (zh) 一种富硒大米的种植方法
CN107211717A (zh) 一种日光温室早春甜瓜‑秋冬草莓种植方法
CN110892858A (zh) 一种草种喷播的基材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400617A (zh) 一种草种喷播方法
CN110651677A (zh) 一种有效防草、节水型的水稻直播实验系统
CN110558215A (zh) 一种有机蔬菜栽培方法及其使用的栽培槽和应用
CN102884937A (zh) 一种中度盐碱地蓖麻育苗移栽种植方法
KR101125080B1 (ko) 무균 씨감자 대량생산 방법
CN114521456A (zh) 一种油菜机插苗大田机械化培育的方法
CN107172997A (zh) 一种上海青的育苗方法
CN106856913A (zh) 一种设施秋葵促早高效栽培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