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709A -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709A
KR20080002709A KR1020070102292A KR20070102292A KR20080002709A KR 20080002709 A KR20080002709 A KR 20080002709A KR 1020070102292 A KR1020070102292 A KR 1020070102292A KR 20070102292 A KR20070102292 A KR 20070102292A KR 20080002709 A KR20080002709 A KR 2008000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s
seed
season
wild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보석
Original Assignee
윤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보석 filed Critical 윤보석
Priority to KR102007010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709A/ko
Publication of KR2008000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발아율 및 발아세(포복경생장, 지하경생장)가 높으며 생장이 빠르고 내서성, 내염성, 내마모성 및 토양적응성이 우수하나 내한성이 약한 난지형 잔디류(zoysiagrasses, bermudagrasses) 종자와 세엽(細葉)에 초장이 짧고 내한성이 뛰어난 발아촉진 처리된 한지형 야생식물(들묵새, 클로바, 자운영)의 종자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파종함으로써, 난지형 잔디가 혹서기에 우점종을 이루고 이후 혹한기에는 한지형 야생식물이 우점종을 이루게 하여 매년 상호 보완역할로 사면녹화 및 안정 효과를 극대화시켜 경사지 절개면의 환경복원속도와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고, 또한, 들묵새의 혹서기 고사(휴면)에 따른 녹비효과(800㎏/10a)는 함께 생육하는 식물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어, 양잔디 만을 시공할 경우 식생의 천이가 제한되는 단점을 보완한,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 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잔디.잔디종자.야생식물.야생식물종자.절개지.녹화

Description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 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Alternation method of warn-season grasses with wild species}
본 발명은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발아율 및 발아세(포복경생장, 지하경생장)가 높으며 생장이 빠르고 내서성, 내염성, 내마모성 및 토양적응성이 우수하나 내한성이 약한 난지형 잔디류(zoysiagrasses, bermudagrasses) 종자와 세엽(細葉)에 초장이 짧고 내한성이 뛰어난 발아촉진 처리된 한지형 야생식물(들묵새, 클로버, 자운영)의 종자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파종함으로써, 난지형 잔디가 혹서기에 우점종을 이루고 이후 혹한기에는 한지형 자생식물이 우점종을 이루게 하여 매년 상호 보완역할로 사면녹화 및 안정 효과를 극대화시켜 경사지 절개면의 환경 복원 속도와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고, 또한, 들묵새의 혹서기 고사(휴면)에 따른 녹비효과(800㎏/10a)는 함께 생육하는 식물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어, 양잔디 만을 시공할 경우 식생의 천이가 제한되는 단점을 보완한,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 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과 하천 등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 발전과 더불어 여러 형태의 국 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도로공사, 터널공사, 하천제방공사, 골프장 조성 등의 건설에 따라 많은 면적의 절개지가 생겨나고 있다. 따라서, 국토개발과 더불어 이들의 친환경적인 복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90년대 이전까지는 주로 양잔디만을 스프레이하거나 녹생토 공법 등을 이용하여 빠르게 사면을 녹화시키면서 강우로 인한 침식과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양잔디의 왕성한 초기 발아율과 성장속도는 이러한 필요점들을 만족시킬 수 있었으나 이후의 다른 식생이 도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천이를 지연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90년대에 들어 주로 싸리류, 띠류, 각종 야생화 등과 같은 자생식물 종자를 혼합하여 파종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생식물들은 일반적으로 초기 발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발아세가 약하여 양잔디와 함께 시공할 경우 경쟁력을 상실하여 도태되고 마는 문제점이 있었다.
절개지 복원에 관련된 선행 특허를 살펴보면, 인공토양에 잡초설을 섞어 비탈면을 녹화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 94-009452호], 점녹토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개지 녹화공법 및 도입 초종에서 향토 초종으로의 조기 천이공법[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 95-007639호],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 99-0048804]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특허는 자생식물을 (일부)소재로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하나, 주로 주형생장(bunch-type)하는 양잔디의 특성 상 시공 초기 지면 피복율이 낮아 토양 유실율이 높고 자생식물 종자의 처리가 불충분하고 생육기간이 짧은 관계로 양잔디에 의하여 피압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 99-0048804호의 경우 양잔디 쉬프 훼스큐와 자생식물 종자를 혼합하여 초기에 쉬프 훼스큐가 조기 발아하여 사면 안정 효과를 보여주고 이후 자생식물 종자가 우점종을 이어받아 계속적인 사면안정과 빠른 생태적 안정을 찾아가도록 하는데 효과를 기대한 특허이나, 본 발명과는 달리, 한지형 잔디인 양잔디 훼스큐류 및 라이그라스류 등은 우리나라의 여름 기후엔 생육이 정지되거나 하고현상(夏枯現象, summer depression)을 나타내고 일부는 한랭습윤 기후의 저온에서 쉽게 고사하여 시공상의 지역 선택성이 협소하며, 사용하는 자생식물들의 대분이 초장이 50㎝-120㎝(일부는 4m이상)이고 광엽(廣葉)으로 빛을 차단하여 양잔디의 생육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초기 발아율 및 발아세(포복경생장, 지하경생장)가 높으며 생장이 빠르고 내서성, 내염성, 내마모성 및 토양적응성이 우수하나 내한성이 약한 난지형 잔디류(zoysiagrasses, bermudagrasses) 종자와 세엽(細葉)에 초장이 짧고 내한성이 뛰어난 발아촉진 처리된 한지형 야생식물(들묵새, 클로버, 자운영)의 종자를 혼합 파종함으로써, 난지형 잔디가 혹서기에 우점종을 이루고 이후 혹한기에는 한지형 야생식물이 우점종을 이루게 하여 매년 상호 보완역할로 사면 녹화 및 안정 효과를 극대화시켜 경사지 절개면의 환경 복원 속도와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으며, 들묵새의 혹서기 고사(휴면)에 따른 녹비효과(800㎏/10a)는 함께 생육하는 식물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어, 양잔디 및 초장이 크고 광엽인 자생식물만을 시공할 경우 식생의 천이가 제한되는 단점을 보완한,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 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최초로는 발아촉진 처리된 야생식물인 들묵새, 클로버, 자운영 등의 지피류가 버뮤다그래스에 대한 초기의 경쟁력을 확보한 상태에서 우점종을 이루어 사면 안정 효과를 볼수 있었으며 혹한기를 지나면서 난지형 잔디인 버뮤다그래스(bermudagrass)가 발아하여 사면 안정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고, 혹서기를 지나면서 우점종을 이양받아 연속적인 사면안정과 빠른 생태적 안정을 찾아가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지피류가 초기에 도입됨으로써 토양비옥도(들묵새의 녹비효과 : 800㎏/10a)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천이의 진행속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특히, 버뮤다그래스 및 들묵새, 클로버, 자운영은 짧은 초장의 식물로 예초의 불필요성으로 관리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난지형 잔디의 포폭경 및 지하경 생장과 자생식물의 낮은 지피효과는 이를 더욱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함께 이룰 수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은 세엽(細葉)에 초장이 짧고 내한성이 뛰어난 발아촉진 처리된 한지형 야생식물종자와 초기 발아율 및 발아세(포복경생장, 지하경생장)가 높으며 생장이 빠르고 내서성, 내염성, 내마모성 및 토양적응성이 우수하나 내한성이 약한 난지형 잔디종자를 포함한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식생 조성물을 이용하여 절개지를 녹화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초기 발아율 및 발아세(포복경 생장, 지하경 생장)가 높으며 생장이 빠르고 내서성, 내염성, 내마모성 및 토양적응성이 우수하나 내한성이 약한 난지형 잔디류(zoysiagrasses, bermudagrasses) 종자와 세엽(細葉)에 초장이 짧고 내한성이 뛰어난 발아촉진 처리된 한지형 야생식물(들묵새, 클로바, 자운영)의 종자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파종함으로써, 난지형 잔디가 혹서기에 우점종을 이루고 이후 혹한기에는 한지형 야생식물이 우점종을 이루게 하여 매년 상호 보완역할로 사면 녹화 및 안정 효과를 극대화시켜 경사지 절개면의 환경 복원 속도와 효율을 최 대로 할 수 있고, 들묵새의 혹서기 고사(휴면)에 따른 녹비효과(800㎏/10a)는 함께 생육하는 식물성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어, 양잔디 만을 시공할 경우 식생의 천이가 제한되는 단점을 보완한, 난지형 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 절개지의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4계절의 구분이 뚜렷하고 특히 여름의 온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겨울의 온도가 매우 낮아 내서성 또는 내한성이 약한 식물들이 생존하기에 힘든 조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내한성이 약한 잔디종자는 내서성이 강하지만 초기의 발아율 및 발아세가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봄이나 여름에 파종하는 경우 높은 발아율을 보여 절개지의 초기 사면 녹화 및 안정 효과를 극대화하게 되나, 한겨울(12~2월)의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휴면하거나 심하게는 고사하므로 이때에는 함께 혼파한 야생 식물종으로 하여 우점종으로 자연스럽게 천이하는 연속성을 유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절개지를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야생식물 종자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들묵새, 클로버, 자운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야생식물 종자는 발아 촉진처리 하여 내서성이 강한 잔디종자와 어느 정도 발아속도를 맞추어 주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내서성이 강한 난지형 잔디종자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한국잔디류(zoysiagrasses), 버뮤다그래스류(bermudagrasses)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다.
상기한 내서성이 강한 난지형 잔디종자를 야생식물 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5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0 중량부 만큼씩 혼합하여 파종한다. 만일, 이들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고 있는 초기 절개지 경사면의 녹화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2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야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여 후기에 적정 밀도를 갖는 안정적인 천이현상을 결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두 종류의 종자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절개지의 경사면 등에 파종함으로써 환경복원속도와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절개지를 복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 절개지 경사면에서의 녹화
마사토 경사지역에 들묵새, 클로버, 자운영를 혼합하여 파종하였다. 이때 야생식물 종자들은 각각 산처리(1분 ~ 2시간 황산 1 ~ 30% 처리), 수세처리(흐르는 물에 1시간 ~ 3일 처리), 저온처리(4℃에서 5 ~ 20일 처리)를 통하여 발아율과 발아세를 향상시킨 후에 사용하였으며, 내서성이 강한 버뮤다그래스 종자와 야생종자를 다음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 ~ 3 및 비교예의 4가지 조합으로 2m × 2m의 포(종자수/㎡)장에 10월 초에 파종하였다. 야생식물종자의 경우 발아촉진 처리에 의하여 실험실에서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파종 종자 조합비 및 종자수
구 분 실 시 예 비교예 비고
1 2 3
g/㎡ 종자수/㎡ g/㎡ 종자수/㎡ g/㎡ 종자수/㎡ g/㎡ 종자수/㎡
버뮤다그래스 7.5 22,500 6 18,000 4.5 13,500 20 60,000
야생식물 들묵새 7.5 15,000 6 12,000 4.5 9,000 - -
클로버 3.75 2,250 3 1,800 2.25 1,350 - -
자운영 6.25 2,125 5 1,700 3.75 1,275 - -
25 41,875 20 33,500 15 25,125 20 60,000
각 식물종자의 발아율
구 분 1000립중(g) g당종자수(립) 발아율(%) 비고
버뮤다그래스 0.33 3,000 82
야생 식물 들 묵 새 0.50 2,000 80
클 로 버 1.67 600 84
자 운 영 2.94 340 85
10월 초 종자 파종으로부터 약 1개월 후인 11월말과 혹한기를 경과한 이듬해 4월말, 혹서기를 경과한 후 8월말, 11월말에 시험포장에 20㎝ × 20㎝의 방형구를 임의로 10회 반복하여 떠서 출현한 식물의 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음 표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존식물 개체수
구 분 실 시 예 ( 출현식물수 / ㎡ ) 비교예 (출현식물수/㎡)
1 2 3
11월 4월 8월 11월 11월 4월 8월 11월 11월 4월 8월 11월 11월 4월 8월
버뮤다그래스 510 11,490 16,210 1,120 408 9,297 13,002 980 326 7,526 11,253 720 787 45,790 49,098
자생식물 들묵새 11,850 11,258 0 20,264 9,470 8,705 0 22,920 8,604 6,308 0 18,654 - - -
클로버 90 815 1,198 1,114 81 720 958 873 68 680 783 711 - - -
자운영 1,722 1,636 1,472 2,250 1,430 1,325 1,205 3,179 1,105 1,107 1,004 2,486 - - -
14,172 25,199 18,880 24,748 11,389 20,047 15,165 27,952 10,103 15,621 13,040 22,571 787 45,790 49,098
상기 표3에서 보듯이, 10월에 파종 후 혹한기를 지나 이듬해 4월에는 비교 예에서 식물이 본격적으로 출현하여 혹서기인 8월 및 11월에 가장 높은 피복율을 보였다. 파종초기에 한지형 야생식물인 들묵새와 자운영이 발아하여 높은 발아율과 피복율을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난지형 잔디인 버뮤다그래스는 이듬해 4월 이후 높은 발아율과 피복율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버뮤다그래스의 생육적온이 25℃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당연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동시에 파종초기의 낮은 기온은 한지형 야생식물의 발아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비교예에서 11월 787개체였던 버뮤다그래스가 이듬해 4월 45,790개체 내지는 8월 49,098개체로 왕성한 발아력 및 생존력을 보인 점은 난지형 잔디의 생육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기온의 하락과 더불어 버뮤다그래스의 고사(휴면)와 경쟁력 약화의 틈을 타고 야생식물들이 세력을 확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듬해 8월에 생존 식물수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들묵새의 고사(휴면) 및 식물들간의 경쟁에 의하여 숫자가 줄어든 것으로 보이며, 이듬해 11월에는 버뮤다그래스가 고사(휴면)하였음에도 야생식물의 활발한 생육으로 각각의 개체수 및 개체크기가 증가하여 매우 높은 밀도를 보여 주었다.(이때, 조사방법에 있어서, 임의로 방향구를 떠서 식물의 출현도를 조사하였기 때문에 약간의 숫자상의 변동을 감안하여야 함).
또한, 이듬해 11월에 조사한 결과를 중심으로 실시예 1, 2, 3간의 효과를 비교해 보면, 실시예 1의 경우 24,748개체수, 실시예 2의 경우 27,952개체수, 실시예 3의 경우 22,571개체수로 실시예 2 의 경우 사용한 야생종 종자량에 비하여 이듬해 11월에 생존한 식물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데 이는 초기 식물들간의 경쟁에서 들묵새가 상대적 우점종을 보인 결과이며, 실시예 2와 3에서 식물 종자의 사용량과 생존개체수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보였는데, 지속적인 사면 안정 효과 및 식물종자 사용량을 고려하면 실시예 2의 경우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리고, 사면안정의 측면에서 사면의 피복도를 지수(1 ~ 10)로 표시하여 나타낸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구의 월별 피복도의 변화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비고
피복도* 11월 6 5 4 2
4월 7 8 6 3
8월 10 10 10 2
11월 10 10 10 3
(주) * : 1 ~ 10 까지의 지수로 표시되며, 1은 전혀 피복되지 않아 지면 이 그대로 노출된 것을 의미하며, 10은 완전히 피복되어 지면이 노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함.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보듯이, 실시예 1, 2의 경우에서 이듬해 4월에 충분한 피복도를 보이며, 야생식물이 완전히 정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초기 피복의 측면에서는 모든 예의 경우에서 비슷한 피복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사용하는 종자의 양이나 효과를 비교해 볼 때 실시예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클로버의 경우 식물당 피복면적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야생식물과 비교할 때 비교적 적은 수의 식물체 만으로도 높은 피복효과를 볼 수 있으며, 야생식물은 특히 들묵새나 자운영의 초본류는 뿌리 생육이 왕성하고 지상부 역시 크게 발달하므로 적은 수로도 사면안정과 피복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들묵새의 혹서기 고사(휴면)에 따른 녹비효과(800㎏/10a)는 함께 생육하는 식물성장에 많은 도움을 주어 피복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Claims (4)

  1. 야생식물종자와 내서성이 강한 난지형 잔디종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조성물은 야생식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내서성이 강한 난지형 잔디종자 1 ~ 500 중량부가 혼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서성이 강한 난지형 잔디종자는 한국잔디류(zoysiagrasses), 버뮤다그래스류(bermudagrasses)종자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4. 상기의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녹화방법.
KR1020070102292A 2007-10-10 2007-10-10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KR20080002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292A KR20080002709A (ko) 2007-10-10 2007-10-10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292A KR20080002709A (ko) 2007-10-10 2007-10-10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09A true KR20080002709A (ko) 2008-01-04

Family

ID=3921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292A KR20080002709A (ko) 2007-10-10 2007-10-10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7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244A (zh) * 2011-12-21 2012-07-11 内蒙古广一药材种植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黄芪产量的种植方法
CN104620799A (zh) * 2013-11-12 2015-05-20 呼和浩特市通瑞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蒙古黄芪高垄苗床滴灌育苗技术
KR102346356B1 (ko) * 2021-01-08 2022-01-03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244A (zh) * 2011-12-21 2012-07-11 内蒙古广一药材种植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黄芪产量的种植方法
CN104620799A (zh) * 2013-11-12 2015-05-20 呼和浩特市通瑞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蒙古黄芪高垄苗床滴灌育苗技术
CN104620799B (zh) * 2013-11-12 2018-09-21 内蒙古瑞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蒙古黄芪高垄苗床滴灌育苗方法
KR102346356B1 (ko) * 2021-01-08 2022-01-03 주식회사 코리아그린텍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혼합재배 매트 배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erman et al. Tropical grasses
Ahmadjanovich et al. MAIZ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WAYS TO OVERCOME DEFICIENCIES IN GROWTH FROM THE SUBSYSTEM
Unger et al. Role of crop residues—improving water conservation and use
Boise et al. Grass, grass-like, forb, legume, and woody species for the Intermountain West
Manaenkov et al.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lant-cover restoration in the modern focus of deflation on pastures of the northwestern Caspian Region
Huang et al. Caryopsis dormancy,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in sand, of Leymus racemosus (Poaceae), a perennial sand-dune grass inhabiting the Junggar Basin of Xinjiang, China
KR20080002709A (ko) 순환녹화공법:난지형잔디와 한지형 야생식물을 이용한절개지 유실방지 및 녹화방법
Galatowitsch et al. Revegetation strategies for northern temperate glacial marshes and meadows
Paschke et al. Biology and establishment of mountain shrubs on mining disturbances in the Rocky Mountains, USA
TOMAR et al. Performance of medicinal plant species under saline irrigation
Holechek Crested wheatgrass.
Young et al. Control of Russian thistle (Salsola iberica) with chlorsulfuron in a wheat (Triticum aestivum) summer-fallow rotation
Maun et al. Stabilization of Great Lakes sand dunes: effect of planting time, mulches and fertilizer on seedling establishment
Kukal et al. Soil erosion management on arable lands of submontane Punjab, India: a review
Nemati Pasture improvement and management in arid zones of Iran
Hill et al. Vetiver grass for erosion control, Hong Kong and Guizhou, China
Pearse et al. Restoring the range by reseeding
Kaul et al. Afforestation studies in the arid zone of India
KR100224469B1 (ko) 절개지 복원용 식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Bennett Conservation
Gutterman MINIREVIEW: The influences of animal diggings and runoff water on the vegetation in the Negev Desert of Israel
Tedder et al. Grass-on-grass competition along a catenal gradient in mesic grassland, South Africa
CN101874449A (zh) 利用紫花苜蓿替代黄顶菊的方法
Stevens Species adapted for seeding mountain brush, big black and low sagebrush, and pinyonjuniper communities
Cservenka et al. The control of giant goldenrod in the Felső-Kongó meadows by Sziglig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