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499A -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499A
KR20220100499A KR1020210115761A KR20210115761A KR20220100499A KR 20220100499 A KR20220100499 A KR 20220100499A KR 1020210115761 A KR1020210115761 A KR 1020210115761A KR 20210115761 A KR20210115761 A KR 20210115761A KR 20220100499 A KR20220100499 A KR 20220100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washing machine
pulsator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나이 히토시
나카니시 타케히로
김 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627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49700A1/ko
Priority to US17/692,431 priority patent/US20220220655A1/en
Publication of KR2022010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 D06F95/004Bags; Supports therefor
    • D06F95/006Bags for holding the laundry during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헬멧 등의 세척을 수행하는 드럼식 세탁기로서, 드럼의 바닥부에 드럼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펄세이터와,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피세척물을 드럼의 내부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다. 프로세서는 피세척물의 세척 작업을 수행하도록,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양의 물을 터브에 저수하는 저수 행정과, 피세척물이 아래쪽 위치에 유지되도록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드럼 내부의 물을 교반하는 교반 행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Drum washing machine and fixing device for drum washing machine}
본 개시는 드럼 세탁기의 세척 기술에 관한 것이다.
드럼식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유연한 의류를 대상으로 하는 세척 장치이지만, 의류 이외의 입체적인 것들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지금까지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드럼 내부에 구획판을 방사상으로 배치해서 드럼 내부를 복수의 작은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신발을 빨도록 한 드럼식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봉 형상의 기구로 한 쌍의 신발을 드럼의 내주면 양측에 꽉 눌러 고정함으로써 신발을 빨도록 한 드럼식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하는 기술에 관해, 세탁기는 아니지만 특허 문헌 3에는 헬멧의 제균, 탈취를 실행하는 이온 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개시하는 기술에 대해, 본 출원인은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보다 우수한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강력한 드럼식 세탁기를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4). 이 드럼식 세탁기는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에 추가로, 드럼과는 독립적으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펄세이터를 구비한다. 따라서, 세탁이나 헹굼 공정에서는 의류의 유동성이 높아지도록 드럼 및 펄세이터 모두가 독립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4-97317호 공보 [특허 문헌 2] US 2003084585 A1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2011-25705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2020-110369호 공보
미식 축구, 아이스 하키, 라크로스(Lacrosse) 등 컨택계 스포츠를 플레이 할 경우, 플레이어는 헬멧이나 보호대 등 다양한 보호 장비를 착용한다. 이러한 보호 장비는 플레이어의 신체에 밀착되기 때문에, 플레이 후 보호 장비에는 다량의 땀과 피지, 먼지 등이 부착한다.
오염된 보호 장비는 그대로 방치 해두면 불결할 뿐만 아니라 악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보호 장비는 의류와 마찬가지로, 최대한 자주 세척하고 싶어하는 요구가 있다.
그런 점에서 보호 장비는 비교적 유연성이 있는 것이 많고, 또한 복수의 부재로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보호 장비는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대의 경우, 사용 후에도 비교적 자주 세탁할 수 있어 청결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헬멧은 튼튼한 플라스틱 소재의 모자 형태로 주위가 감싸져 있다. 게다가, 사이즈가 크고 무겁다. 따라서, 헬멧의 세척은 쉽지 않다.
헬멧을 세척할 경우, 예를 들면 담가뒀다가 세척하거나 전문 업체에 의뢰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것은 수고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헬멧은 사용 후 세척은 하지 않고, 탈취 스프레이를 분사하거나 오염을 닦아내는 정도이다.
물론, 헬멧은 세탁기로 세척할 수 없다. 특히, 드럼식 세탁기의 경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젖은 대상물을 들어올려 낙하시키고, 그 충격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세탁한다(소위, 두드려 빨기).
따라서, 드럼식 세탁기로 세탁할 수 있는 것은 원래 유연한 의류 등으로 제한된다. 헬멧 외에도 딱딱한 물체나 고중량의 물체를 드럼식 세탁기로 세척하면, 그 낙하 충격으로 드럼과 헬멧은 파손된다.
이에 반해,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펄세이터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를 제안하고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드럼식 세탁기의 기능을 활용하면 종래에는 할 수 없었던 물건의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개시하는 기술의 목적은 특정 드럼식 세탁기를 이용하여 예상치 못한 세척을 실현하는 것이다.
개시하는 기술은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투입구를 전면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저수 가능한 터브와, 상기 투입구에 개구부를 향한 상태에서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드럼과, 상기 터브에 급수하는 급수 장치와, 상기 터브로부터 배수하는 배수 장치와, 상기 드럼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과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펄세이터와, 상기 급수 장치 및 상기 배수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드럼 및 펄세이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입체적 형상을 갖는 피세척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피세척물의 세척 처리를 실행하는 특수세척처리부를 가지며, 상기 특수세척처리부는 상기 급수 장치를 작동해서 상기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양의 물을 상기 터브에 모으는 저수 처리와, 상기 피세척물이 아래쪽 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을 교반하는 교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드럼식 세탁기는 일반적인 드럼식 세탁기와 달리 드럼의 바닥에 드럼과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펄세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세척할 수 없는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피세척물이 고정장치로 드럼의 내부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의 특수세척처리부는 급수 장치를 작동하여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양의 물을 터브에 저수하고, 피세척물이 아래쪽 위치에 유지되도록 드럼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드럼 내부의 물을 교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펄세이터가 회전하여 드럼에 저수된 물은 교반된다. 수량이 적기 때문에 토크가 작아 정지된 상태에서 급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유동에 의해 침수된 피세척물의 하부는 세척되어 간다. 동시에, 드럼에 저수된 물은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높게 끌어올려진다. 이 물은 피세척물의 위쪽에서 비산한다. 비산된 물에 의해 피세척물의 상부도 세척되어 간다.
따라서, 특정 드럼식 세탁기를 사용하여 본래 세척할 수 없는 피세척물을 적은 수량으로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또한,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사이에 이들을 기계적으로 결합 가능한 드럼정지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드럼정지장치에 의해 상기 드럼의 회전이 규제될 수도 있다.
그러면, 안정적으로 드럼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가 상기 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드럼의 회전이 규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드럼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전기적인 제어에 의한 것이므로 기계적인 기구가 불필요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또한, 상기 저수 처리에서, 수면이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양의 물이 상기 터브에 저수될 수도 있다.
그러면, 펄세이터 회전으로 효과적으로 저수된 물을 교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위쪽으로 높게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피세척물의 위쪽으로 살수할 수 있다. 게다가 절수도 가능하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또한, 상기 특수세척처리부가 상기 교반 처리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정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의 양측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펄세이터의 회전 방향이 반전함으로써, 교반 작용 및 살수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의 유동 및 살수의 편향이 억제되기 때문에 피세척물을 균형있게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상기 터브에 저수하는 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 분사하여 순환시키는 물순환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수세척처리부가 상기 피세척물의 세척 처리를 실행할 때 상기 물순환 기구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드럼의 내부를 향해 살수되므로 피세척물의 상부를 좀 더 세척할 수 있다. 터브 및 드럼에 저수하는 물의 유동성도 높아지므로, 피세척물의 하부도 한층 더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드럼식 세탁기는 또한,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 가능하며, 또 상기 피세척물을 지지할 수 있는 홀더를 가져서,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홀더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 하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간단하게, 게다가 안정적으로 드럼의 내부 하측에 피세척물을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세척물이 헬멧인 경우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상기 헬멧은 그 양 사이드에 관통 홀을 가지며, 상기 홀더가 상기 관통 홀을 이용하여 상기 헬멧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가능한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축부를 통해 서로 연결 가능한 제2 결합부재를 가지며, 상기 축부를 상기 관통 홀에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결합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헬멧이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연 부분에서 돌출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자석을 가지며, 상기 자석의 자력 작용으로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압착함으로써 상기 홀더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간단하게, 나아가 안정적으로 드럼의 내부 하측에 헬멧을 고정할 수 있다.
개시하는 기술은 또한, 드럼과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펄세이터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를 이용한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세척 방법은 피세척물을 고정장치를 통해 상기 드럼의 내부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양의 물을 터브에 저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피세척물이 아래쪽 위치에 유지되도록 상기 드럼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저수되는 물을 교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드럼식 세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세척 방법에 의하면 특정 드럼식 세탁기를 사용하여 본래 세척할 수 없는 피세척물을 적은 수량으로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방법은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 수면이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양의 물을 상기 터브에 저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정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터브에 저수되는 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 분사하여 순환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드럼식 세탁기의 설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세척물이 헬멧인 경우에 적합한 점도 상술한 드럼식 세탁기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특정 드럼식 세탁기를 이용하여 헬멧 등, 보통이라면 생각할 수 없는 물건의 세척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수직형 세탁기에 의한 의류 세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드럼식 세탁기에 의한 의류 세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의 드럼식 세탁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프로세서 및 주요 관련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범용 고정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헬멧용 고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좌측 도면은 외관을 도시하고, 우측 도면은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드럼의 회전을 규제하는 기계적인 규제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특수세척처리의 일련의 흐름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특수세척처리에서의 주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고정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고정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개시하는 기술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세탁기의 유형>
가정용 세탁기는 크게 나누면, 수직형(縱型) 세탁기와 드럼식 세탁기가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이러한 세탁기들을 예시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직형 세탁기는 수직으로 놓여진 수조 내 드럼에 의류와 충분한 양의 세척수를 넣고, 저류된 세척수를 펄세이터(교반 날개)로 교반해서 발생하는 수류로 의류를 세탁한다(소위, "비벼 빨기").
한편, 드럼식 세탁기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이 수조 내에 수평으로 놓여져 있다. 이 드럼에 의류와 소량의 세척수를 넣고 드럼이 회전함으로써 의류를 들어올린 후 떨어뜨리는 기계적 작용으로 의류를 세탁한다(소위, "두드려 빨기"). 특히, 드럼식 세탁기는 보다 적은 물의 양으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드럼식 세탁기는 수직형 세탁기에 비해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드럼식 세탁기의 경우, 두드려 빨기의 기계적 작용의 세기는 드럼 사이즈에 따른 의류의 낙차에 의해 거의 정해져 버리기 때문에, 세척력 강화가 어렵다. 드럼의 회전수를 늘려 낙하 빈도를 높이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회전수가 올라가면 의류가 드럼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이 제안했던 것이 드럼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펄세이터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기이다(이하 "고기능 세탁기"라고도 한다. 특허 문헌 4 참조). 고기능 세탁기에 의하면,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 얻을 수 있는 "두드려 빨기"에 의한 기계적 작용뿐만 아니라 의류 유동에 의해 의류들이 서로 비벼지는 작용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고기능 세탁기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 비해 세척력이 우수하다.
개시하는 기술은 이 고성능 세탁기를 응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개시하는 드럼식 세탁기는 이 고기능 세탁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드럼식 세탁기>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낸다(이하, 세탁기(1)이라고도 함). 세탁기(1)는 하우징(10), 터브(2), 드럼(3), 펄세이터(4), 모터(5), 프로세서(6)(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세탁기(1)에는 의류와는 다른 특정의 피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해 고정장치도 포함되어 있다(특정 피세척물, 고정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이 세탁기(1)에서는 세탁 공정, 헹굼 공정 및 탈수 공정의 각 행정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전자동식). 여기서, 본 실시 예의 세탁기(1)에는 건조 기능은 없다. 따라서, 건조 공정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세탁기(1)에 건조 장치를 마련해서 추가로 건조 공정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하우징(10)은 프레임이나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전면 대략 중앙에는 도어(11)로 개폐되는 원형 투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의류는 이 투입구(12)를 통해 출입된다. 특정 피세척물도 또한, 이 투입구(12)를 통해 출입된다. 하우징(10)의 전면 상부에는 모니터, 스위치 등이 배치된 조작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3)의 후방에 프로세서(6)가 내장되어 있다.
터브(2)는 저수 가능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용기로 이루어진다. 터브(2)는 그 개구를 투입구(12)를 향해 수평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세탁 공정이나 헹굼 공정에서는 터브(2)의 하부에 세척수나 헹굼수가 저류(貯留)된다.
터브(2)의 위쪽에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배관을 통해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했지만, 급수 장치(21)에는 세제 등을 수용해서 급수 시 물과 함께 세제 등을 터브(2)에 보내는 약제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터브(2)의 아래쪽에는 불필요해진 물을 터브(2)로부터 배수하는 배수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탁기(1)에는 터브(2)에 저수되는 물을 드럼(3)의 내부에 분사하여 순환시키는 물순환 기구도 구비되어 있다. 물순환 기구는 순환 펌프, 배관이나 호스로 구성된 순환 경로, 살수 노즐(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살수 노즐(8)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분출구를 드럼(3)의 내부를 향한 상태에서 터브(2)의 개구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순환 경로의 하단은 터브(2)의 바닥부에 연결되며, 순환 경로의 상단은 살수 노즐(8)에 연결되어 있다. 순환 펌프는 순환 경로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순환 펌프는 프로세서(6)의 제어에 따라 터브(2)에 저수되는 물을 순환 경로를 통해 살수 노즐(8)을 향해 보낸다. 여기서, 물순환 기구의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살수 노즐(8) 이외는 도시를 생략한다.
드럼(3)은 일단에 개구부(31)를 가지며, 타단에 바닥부(32)를 갖는 원통형의 용기로 이루어진다. 드럼(3)의 대부분은 스테인리스 소재의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럼(3)은 그 개구부(31)를 투입구(12)를 향하고, 바닥부(32)를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터브(2)에 수용되어 있다. 드럼(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J)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있다 (회전축(J)은 대략 수평 또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져 있다).
드럼(3)의 원주면에는 안팎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탈수홀(33)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3)의 내부에는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되어 있다. 각 리프터(35)는 횡단면이 대략 삼각형 모양을 한 대략 기둥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리프터(35)는 드럼(3)의 내주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고, 회전축(J)과 평행한 방향(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리프터(35)는 원주 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드럼(3)의 바닥부(32)에는 하나의 펄세이터(4)가 설치되어 있다. 펄세이터(4)는 꼭지점(頭頂)이 낮은 대략 원추 형태를 갖는 원반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펄세이터(4)의 직경은 드럼(3) 바닥부(32)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펄세이터(4)의 표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부(4a)가 복수(본 실시 예에서는 3개)로 마련되어 있다.
터브(2)의 바닥부(32)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이너 샤프트(2a) 및 아우터 샤프트(2b)가 설치되어 있다(이중샤프트 구조). 드럼(3)은 아우터 샤프트(2b)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펄세이터(4)는 드럼(3) 바닥부(32)를 관통한 이너 샤프트(2a)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펄세이터(4)와 드럼(3)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축(J)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아우터 샤프트(2b) 및 이너 샤프트(2a)는 터브(2)의 후방에 배치된 모터(5)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5))
모터(5)는 하나의 스테이터와, 그 안팎에 배치된 이너 로터 및 아우터 로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 로터 및 아우터 로터에는 각각 서로 다른 개수의 자극을 구성하는 영구 자석이 마련되어 있다. 아우터 샤프트(2b)는 이너 로터에 연결되어 있다. 이너 샤프트(2a)는 아우터 로터에 연결되어 있다.
스테이터는 아우터 로터와 이너 로터 양측에 공유되어 있다. 즉, 인버터 제어를 통해 스테이터에는 각 로터의 자극 수에 대응한 전류가 중첩된 복합 전류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2개의 로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5)는 아우터 샤프트(2b) 및 이너 샤프트(2a)를 통해 각각 드럼(3) 및 펄세이터(4)를 각각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소정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회전시킨다(듀얼 로터 모터).
여기서, 이러한 모터는 일례이다. 드럼(3) 및 펄세이터(4)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면, 그 구동 기구는 사양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3) 및 펄세이터(4)를 각각 2개의 모터로 개별적으로 구동하거나, 드럼(3) 및 펄세이터(4)에 각각 대응한 2개의 로터와 2개의 스테이터가 일체로 구성된 하나의 모터로 구동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
도 3은 프로세서(6)와 그 주요 관련 장치의 관계를 나타낸다. 프로세서(6)는 CPU,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의 하드웨어와, 하드웨어에 실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 등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6)는 조작부(13), 모터(5), 급수 장치(21), 배수 장치(22)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프로세서(6)는 조작부(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5) 등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세탁기(1)를 종합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6)에는 기능적인 구성으로서, 세탁기(1)를 제어하는 일반세척처리부(6a) 및 특수세척처리부(6b)가 마련되어 있다. 일반세척처리부(6a)는 일반세척부(6a) 또는 일반세척유닛(6a)이 될 수 있고, 특수세척처리부(6b)는 특수세척부(6b) 또는 특수세척유닛(6b)이 될 수 있다.
일반세척처리부(6a)는 의류를 대상으로 한 세탁기 본래의 세탁 처리를 실행한다. 즉,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운전한다.
예를 들어, 일반세척처리부(6a)는 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에서는 급수 장치(21)를 작동시켜 터브(2)에 소정량의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급수한다. 그리고, 일반세척처리부(6a)는 모터(5)를 제어하여 소정 타이밍에 전환하면서 펄세이터(4)와 드럼(3)을 동기 회전 또는 상반 회전시킨다.
이 후, 배수 장치(22)를 작동시켜 터브(2)에 저수되는 물을 터브(2)로부터 배출한다. 탈수 공정에서는 일반세척처리부(6a)가 배수 장치(22)를 작동시켜 물을 터브(2)로부터 배출하면서 모터(5)를 제어하여 펄세이터(4)와 드럼(3)을 동기화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원심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탈수한다.
한편, 특수세척처리부(6b)는 고정장치를 이용한 특수한 세척 방법에 의해, 의류와는 다른 특정 피세척물의 세척 처리(특수세척처리)를 실행한다. 특수세척처리는 추후 상세히 후술한다.
<특수세척처리의 피세척물>
특수세척처리의 피세척물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미식 축구, 아이스 하키, 라크로스 등 컨택계 스포츠에서 착용하는 헬멧을 들 수 있다. 자전거나 산악 자전거 등 사이클 스포츠에서 착용하는 헬멧일 수도 있다.
헬멧에 한정되지 않고, 스키 부츠, 고글 등 스포츠에서 착용되는 다른 장착 장비일 수도 있다. 스포츠뿐만 아니라 건설작업, 기계가공작업, 농업 등 육체 노동을 수반하는 작업에서 착용되는 장착 장비일 수도 있다. 또한, 장착 장비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기구일 수도 있다. 즉, 물세탁이 가능하며, 드럼(3)에 수용할 수 있는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다면, 피세척물이 될 수 있다.
<고정장치>
고정장치는 드럼(3)에 수용한 피세척물을 드럼(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정장치는 세척 처리 시 수류의 힘이 가해져도 드럼(3) 내부에서 피세척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면 된다. 다만, 투입구(12)를 통해 출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쉽게 다룰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양한 피세척물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용 고정장치)
도 4는 이러한 고정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고정장치(40)는 드럼(3) 내주면의 형상에 따라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소재의 홀더(41)를 가지고 있다. 홀더(41)는 원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도면의 예에서는 3개)의 격자판 모양의 플레이트(41a, 41b)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플레이트(41a, 41b)는 장방형의 프레임 사이에 리브를 가설해서 격자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이 홀더(41)의 경우, 1개의 센터 플레이트(41a)와, 그 양 사이드에 연결된 2개의 사이드 플레이트(41b, 41b)로 구성되어 있다. 센터 플레이트(41a) 내면의 소정 위치에는 펄세이터(4)와의 간섭 위치를 규정하는 표시용 돌기(42)가 마련되어 있다.
각 플레이트(41a, 41b)의 폭은 대략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으며, 2개의 사이드 플레이트(41b, 41b)를 센터 플레이트(41a) 측으로 접음으로써, 폭을 대략 1/3로 할 수 있다. 각 플레이트(41a, 41b)의 길이는 드럼(3) 내주면의 전후 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며, 홀더(41)는 드럼(3)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끼워 삐뚤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홀더(41)는 또한, 드럼(3)의 내주면을 따라 펼친 상태에서는 서로 인접하고 있는 2개의 리프터(35,35) 사이에 수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홀더(41)는 드럼(3) 내부에 수용했을 때, 2개의 리프터(35,35)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홀더(41)의 뒷면 측에 자석을 마련해 드럼(3) 내면에 자력 작용으로 흡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홀더(41)의 경우, 접힌 상태로 투입구(12)로부터 출입된다. 따라서, 취급하기 쉽다. 드럼(3) 내부에서 홀더(41)를 펼침으로써 드럼(3) 내주면에 홀더(41)를 장착한다. 이 때, 돌기(42)가 드럼(3)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홀더(41)를 배치함으로써 펄세이터(4)와 간섭되는 위치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고정장치는 또한, 홀더(41)에 피세척물을 설치할 수 있는 구속 도구(미도시)를 갖고 있다. 구속 도구로 피세척물을 홀더(41)에 설치함으로써, 피세척물을 홀더(41)를 통해 드럼(3)의 하부에 고정할 수 있다.
구속 도구로는 예를 들어, 선단에 후크가 마련되어 있고, 길이 조정이 가능한 로프나 그물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속 도구라면, 홀더(41)의 격자상 리브에 후크를 걸어 피세척물을 쉽게 묶을 수 있다.
(헬멧용 고정장치)
도 5는 헬멧용 고정장치(50)를 예시한다. 이 고정장치(50)는 주로 스포츠용 헬멧(100)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헬멧(100)의 경우 도 5에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그 양 사이드에는 귀를 보호하는 이어 커버(101, 10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어 커버(101, 101)에는 소리를 듣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귀와 대향하는 부분에 관통 홀(101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101a)을 포함한 이어 커버(101)의 형태는 거의 일정하다. 따라서, 이 관통 홀(101a)을 이용하여 헬멧(100)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실시 예에서는 관통 홀(101a)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헬멧(100)의 양 사이드에 관통 홀이 있으면, 관통 홀(101a)이 없더라도 헬멧(100) 지지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장치(50)는 제1 결합부재(60)와 제2 결합부재(70)를 갖고 있다. 제1 결합부재(60)는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제2 결합부재(70)는 제1 결합부재(60)와 서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결합부재(60)는 관통 홀(101a)보다 큰 직경이며, 그 표면의 중심에 삽입공(62)이 마련된 원판 형상의 몸체(61)와, 몸체(61) 표면의 삽입공(62) 주위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링 형상(環狀)의 제1 가압부(63)와, 몸체(61)의 외연(外緣)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64)를 가지고 있다. 장착 플레이트(64)는 탄성 플레이트(64)가 될 수 있다.
제1 가압부(63) 및 장착 플레이트(64)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 플레이트(64)의 외주측 가장자리(緣部)에는 그 가장자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석(65)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제2 결합부재(70)는 관통 홀(101a)보다 큰 직경이며, 그 중심에 축부(72)가 마련된 원판 형상의 끼움부(71)와, 끼움부(71)의 축부(72)의 주변 부분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제2 가압부(73)와, 끼움부(71)의 축부(72)와는 반대측 부분에 이어지는 손잡이부(74)를 갖고 있다. 축부(72)는 그 선단부터 삽입공(62)에 소정 위치까지 끼워지고, 또 삽입공(62)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어 커버(101)의 일측 내측으로부터 제2 결합부재(70)의 축부(72)를 관통 홀(101a)에 삽입 통과시킨 후, 관통 홀(101a)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72)를 제1 결합부재(60)의 삽입공(62)에 끼운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1 결합부재(60) 및 제2 결합부재(70)가 서로 연결되어 이어 커버(101)는 제1 결합부재(60)의 제1 가압부(63)와 제2 결합부재(70)의 제2 가압부(73)에 의해 탄성적으로 양측에서 지지된다. 이렇게 하면 고정장치(50)를 헬멧(100)에 설치할 수 있다.
고정장치(50)를 제1 결합부재(60) 측부터 드럼(3) 내주면에 장착하면, 자석(65)의 자력 작용으로 장착 플레이트(64)가 변형해서 드럼(3)의 내주면에 압착된다. 따라서, 곡면이 있는 드럼(3)의 내주면에서도 간단하게 드럼(3)의 내부 하측에 헬멧(10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수세척처리>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기(1)에서는 프로세서(6)에 특수세척처리부(6b)가 마련되어 있어서, 고정장치(50)를 이용한 특수한 세척 방법을 통해 특정 피세척물을 대상으로 한 특수세척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드럼(3)의 회전 규제)
특수세척처리에서는 세탁 공정 및/또는 헹굼 공정이 이루어지며, 탈수 공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 세탁 공정 등에서는 드럼(3) 내부의 물을 교반하기 위해 펄세이터(4)만 회전 구동(교반 처리)되고, 드럼(3)은 회전 구동되지 않는다. 드럼(3)은 펄세이터(4)의 침수 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정 위치에서 그 회전이 규제된다.
(기계적인 규제수단)
세탁기(1)의 경우, 드럼(3)의 회전 규제는 기계적인 수단으로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브(2)와 드럼(3) 사이에 이들을 기계적으로 결합 가능한 드럼정지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는 터브(2)와 드럼(3) 사이에 걸어서 결합되는 드럼정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드럼정지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드럼(3)의 회전이 규제된다.
도 6은 드럼정지장치의 일례로서 결합핀(80)을 도시하였다. 결합핀(80)은 드럼(3) 개구부(31)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부(31a)와, 플랜지부(31a)와 대향하는 터브(2)의 대향 플랜지부(2a) 사이에 마련된다. 결합핀(80)은 플랜지부(31a)에 설치된 지지부재(81)에 의해 대응 플랜지부(31a)를 향해 돌출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향 플랜지부(2a)의 소정 위치에는 요홈부(8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핀(80)과 요홈부(82)를 정렬한 상태에서 결합핀(80)을 밀어 넣는 조작을 함으로써, 결합핀(80)은 지지부재(81)로부터 돌출하고, 그 선단이 요홈부(8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드럼(3)은 소정 위치에서 회전이 규제된다.
요홈부(82)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결합핀(80)을 밀어 넣는 조작을 함으로써 결합핀(80)의 선단이 대향 플랜지부(2a)에 눌러 붙도록 할 수도 있다. 결합핀(80)이 삽입 가능한 결합 홀을 플랜지부(31a)에 형성하고, 결합 홀과 요홈부(82)를 정렬한 상태에서 결합 홀에 삽입한 결합핀(80)의 선단을 요홈부(82)에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드럼정지장치는 교반 처리 시에 드럼(3)을 소정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으면 된다.
여기서, 결합핀(80)을 넣거나 빼는 조작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프로세서(6)에 의한 전기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세탁기(1)에서는 결합핀(80)을 넣거나 빼는 조작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전기적인 규제수단)
모터(5)의 각 로터가 개별 인버터로 제어되는 경우나 드럼(3)이 펄세이터(4)의 구동과는 별도로 전용 모터(드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라면, 드럼(3)의 회전 규제는 전기적인 수단으로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인 경우, 드럼(3)을 회전시키는 이너 로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를 제어하여 회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3상 전류를 공급한다. 그러면, 이너 로터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럼(3)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단락 브레이크 제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인버터의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모터로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에 제동을 거는 소위 단락 브레이크 제어는 탈수 시간의 단축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단락 브레이크 제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특수세척처리의 실행 시에, 이너 로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에 단락 브레이크 제어를 실행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너 로터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이너 로터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너 로터는 회전하지 않으며, 이너 로터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 자석의 작용으로 회전이 억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드럼(3)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후자인 경우, 드럼 모터의 운전을 정지하면, 드럼(3)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드럼 모터의 인버터를 단락 브레이크 제어하여 드럼(3)의 회전을 규제할 수도 있다.
(고정장치를 이용한 특수 세척 방법)
이하, 고정장치를 이용한 특수 세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세척 방법은 주로 3단계로 이루어지며, 특수세척처리의 세탁 공정 또는 헹굼 공정에서는 이러한 3단계가 실행된다.
즉, 이 세척 방법은 피세척물을 고정장치를 통해 드럼(3)의 내부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단계, 펄세이터(4)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양의 물을 터브(2)에 저수하는 제2 단계 및 피세척물이 아래쪽 위치에 유지되도록 드럼(3)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펄세이터(4)를 회전시켜 드럼(3)에 저수되는 물을 교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단계는 주로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다. 제2 단계와 제3 단계는 세탁기(1)(프로세서(6))에 의해 실행된다. 도 7은 이러한 단계들을 포함하는 일련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도 8은 이러한 처리 과정에서 세탁기(1)의 주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피세척물로서, 미식 축구 등 스포츠용 헬멧(100)을 예시한다.
헬멧(100)을 세척하고 싶은 사용자는 조작부(13)를 조작하여 특수세척처리를 실행하는 운전 모드(특수세척모드)를 선택하고, 세탁기(1)의 운전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세탁기(1)에서는 프로세서(6)에 조작부(13)로부터 특수세척모드 운전을 지시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이 때, 물세탁을 하는 경우는 그대로도 좋지만, 세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약제 트레이에 세제 등을 투입한다.
프로세서(6)는 조작부(1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특수세척모드 운전이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 그래서, 특수세척모드 운전이 시작되었다고 판단하면, 프로세서(6)의 특수세척처리부(6b)에 의해 특수세척처리가 시작된다.
특수세척처리가 시작되면, 우선 프로세서(6)는 조작부(13)의 모니터를 통해 드럼(3)의 회전 규제, 즉 결합핀(80)의 삽입 작업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한다. 동시에, 프로세서(6)는 조작부(13)의 모니터를 통해 제1 단계의 실행, 즉 헬멧(100)을 드럼(3)의 내부 하측에 설치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한다(단계 S2).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드럼(3)을 회전시켜 결합핀(80)과 요홈부(82)를 정렬한 후 결합핀(80)을 요홈부(82)에 밀어 넣는다. 이에 따라, 드럼(3)은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또한, 오염된 헬멧(100)에 고정장치(5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헬멧(100)의 이어 커버(101) 일측에 고정장치(50)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멧(100)을 투입구(12)를 통해 드럼(3)의 내부에 수용하고, 고정장치(50)를 드럼(3)의 내부 하측에 설치한다. 이 때, 자석(65)의 자력 작용으로 장착 플레이트(64)가 변형되어 드럼(3)의 내주면에 압착하기 때문에, 헬멧(100)이 있더라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장치(50)를 통해 헬멧(100)을 드럼(3)의 내부 하측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헬멧(100)은 펄세이터(4)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본래, 헬멧(100)의 형상이나 사이즈는 다양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고정장치(50)는 자력 작용으로 드럼(3)에 흡착되어 있을 뿐이므로, 그 흡착력에 대항하면서 헬멧(100)의 위치를 바꾸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헬멧(100)을 드럼(3)의 내부 하측에 고정하면, 사용자는 도어(11)를 닫는다. 그리고, 조작부(13)의 모니터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 등을 조작하여 프로세서(6)에 처리 완료의 명령을 입력한다.
처리 완료 명령이 소정 기간 입력되지 않는 경우(단계 S3에서 No)나 도어(11)가 소정 기간 닫히지 않는 경우(단계 S4에서 No)에, 프로세서(6)는 알람 등으로 사용자에 이상을 통지한다(단계 S15). 그리고, 특수세척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특수세척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처리 완료 명령이 입력되고, 또한 도어(11)가 닫힌 것으로 판정하면, 프로세서(6)는 특수세척처리를 시작한다. 즉, 특수세척처리부(6b)가 급수 장치(21)를 작동시켜 저수 처리(저수 행정)를 시작한다(단계 S5). 급수량은 미리 프로세서(6)에 설정되어 있다. 특수세척처리에서는 두드려 빨기가 아닌 아닌 교반 및 살수 작용을 이용하여 세척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특수세척처리에서 급수량은 의류를 대상으로 한 일반세척처리보다 많다.
따라서, 드럼(3)의 내부에 물이 저수되어 펄세이터(4)의 적어도 일부가 침수되는 양의 물을 급수할 필요가 있다. 터브(2)에 저수 가능한 최대량을 급수해도 되지만,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멧(100)의 하단이 잠기는 양의 물로, 수면이 펄세이터(4)의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양의 물을 급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펄세이터(4)의 회전으로 효과적으로 저수된 물을 교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위쪽으로 높게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헬멧(100)의 위쪽에서 살수할 수 있다. 게다가, 절수도 가능하다.
프로세서(6)는 급수량이 설정된 수량(Wo)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6), 도달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6에서 Yes) 급수를 정지하는 동시에, 모터(5)를 구동해서 교반 처리(교반 행정)를 시작한다(단계 S7).
드럼(3)은 결합핀(80)과 요홈부(82)의 연결에 의해 그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그 결과, 헬멧(100)은 항상 드럼(3)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그 침수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펄세이터(4)가 회전하여 교반 처리가 실행된다.
펄세이터(4)가 회전함으로써 드럼(3)에 저수된 물은 교반된다. 수량이 적기 때문에, 토크가 작아 정지된 상태에서 급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유동에 의해 침수된 헬멧(100)의 하부는 세척되어 간다. 동시에, 드럼(3)에 저수된 물은 펄세이터(4)의 회전에 의해 높게 끌어올려진다. 그 물은 헬멧(100)의 위쪽으로 비산한다. 이 비산된 물에 의해 헬멧(100)의 상부도 세척되어 간다.
이 때, 펄세이터(4)의 회전은 일정한 방향일 수도 있지만,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의 양방향 모두에 동일한 시간으로 교대로 회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6)가 정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 모두에 펄세이터(4)가 단시간에 교대로 회전하도록 모터(5)의 구동을 제어한다.
펄세이터(4)의 회전 방향이 반전함으로써, 교반 작용 및 살수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의 유동 및 살수의 편향이 억제되기 때문에 헬멧(100)을 균형있게 세척할 수 있다.
프로세서(6)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처리 시간(T0)에 도달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8에서 Yes), 교반 처리를 중지한다(단계 S9).
그리고, 프로세서(6)는 배수 처리를 실행한다. 즉, 배수 장치(22)를 작동시켜 터브(2)로부터 배수하는 처리를 시작한다(단계 S10). 그리고, 프로세서(6)는 배수가 완료되는 소정 시간(T1)이 경과했다고 판정되면(단계 S11에서 Yes), 배수를 정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람 등으로 운전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한다(단계 S12).
이와 더불어, 프로세서(6)는 조작부(13)의 모니터를 통해 드럼(3)의 회전 규제의 해제, 즉 결합핀(80)의 인출 작업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한다. 동시에, 프로세서(6)는 조작부(13)의 모니터를 통해 헬멧(100)을 드럼(3) 내부에서 꺼내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한다(단계 S13).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결합핀(80)을 요홈부(82)로부터 빼낸다. 이에 따라, 회전 규제가 해제되어 드럼(3)은 회전 가능해 진다. 사용자는 또한, 드럼(3)으로부터 고정장치(50)와 함께 헬멧(100)을 꺼낸다. 이 때, 고정장치(50)는 자력의 작용으로 드럼(3)에 흡착되어 있을 뿐이므로, 헬멧(100)과 함께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조작부(13)의 모니터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 등을 조작하여 프로세서(6)에 처리 완료의 명령을 입력하면, 일련의 특수세척처리가 종료된다(단계 S14에서 Yes). 드럼에서 꺼낸 후 고정장치(50)를 헬멧(100)에서 떼어 내면 된다. 그 후, 남은 물기를 닦아내거나 그늘에 말려 헬멧(100)을 건조하면 된다.
한편, 처리 완료의 명령이 소정 기간 입력되지 않는 경우(단계 S14에서 No)에는 프로세서(6)가 알람 등을 통해 사용자에 이상을 통지한다(단계 S15).
여기서, 사용자는 헬멧(100)의 방향을 바꾸어 특수세척처리를 복수회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세제를 투입하여 세척한 경우라면, 추가로 물세탁에 의한 헹굼 처리를 하기 위해, 이 후 물만으로 특수세척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기(1)에, 약제세척모드를 마련하여 특수세척처리부(6b)가 세탁 공정과 헹굼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응용 예)
상술한 세척 방법은 펄세이터(4)의 회전에 의한 교반 처리를 이용하여 헬멧(100)의 세척을 실행했지만, 나아가 물순환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세탁기(1)에는 터브(2)에 저수되는 물을 드럼(3)의 내부에 분사하여 순환시키는 물순환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특수세척처리부(6b)는 특수세척처리 시 교반 처리와 함께 이 물순환 기구도 작동시킨다.
그러면, 살수 노즐(8)에서 드럼(3)의 내부를 향해 살수되므로 헬멧(100)의 상부를 좀 더 세척할 수 있다. 터브(2) 및 드럼(3)에 저수되는 물의 유동성도 높아지므로, 헬멧(100)의 하부도 좀 더 세척할 수 있다. 물순환 기구는 특수세척처리의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실행하거나 간헐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시하는 기술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 등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외의 다양한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장치의 형태는 피세척물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채용 가능한 고정장치의 형태를 예시한다.
도 9의 (a)에 도시한 고정장치(90A)는 자루 모양의 그물망(91)과, 고정용 후크(92)로 구성되어 있다. 그물망(91)은 개폐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그 개구를 통해 헬멧(100) 등을 넣고 꺼낼 수 있다. 후크(92)는 그물망(91)의 이격된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92)는 리프터(35)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미도시)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고정장치(90A)는 헬멧(100) 등을 넣어 개구부를 닫은 그물망(91)을 드럼(3)에 수용하고, 후크(92)를 각 리프터(35)에 걸어 고정하여 사용한다.
도 9의 (b)에 도시한 고정장치(90B)는 도 9의 (a)에 도시한 고정장치(90A)의 변형 예이다. 그물망(91) 및 후크(92)에 추가로, 후크(92)와 그물망(91)을 연결하는 라인(93)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인(93)의 길이만큼 그물망(91)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9의 (c)에 도시한 고정장치(90C)는 드럼(3)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프레임(94)과, 원형 프레임(94)에 쳐진 그물망(95)과, 각 리프터(35)에 대응하여 원형 프레임(94)의 주위에 마련된 복수의 후크(92)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장치(90C)는 드럼(3) 내부를 전방과 후방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사용한다. 고정장치(90C)로 구획된 드럼(3)의 전방 공간에 헬멧(100) 등을 수용한다.
도 10의 (d)에 도시한 고정장치(90D)는 도 9의 (c)에 도시한 고정장치(90C)의 변형 예이다. 아치형 프레임(96)과, 아치형 프레임(96)에 쳐진 그물망(97)과, 각 리프터(35)에 대응하여 아치형 프레임(96)의 양측에 마련된 2개의 후크(92, 9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의 (e)에 도시한 고정장치(90E)는 헬멧 전용 고정장치(90)이다. 이 고정장치(90E)는 가요성을 갖는 금속이나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드럼(3)의 개구에 거는 제1 걸이부(98a)와, 헬멧(100)에 거는 제2 걸이부(98b)를 구비하고 있다. 세척 시에는 헬멧(100)을 고정장치(90E)를 통해 드럼(3)에 걸어 고정한다.
도 10의 (f)에 도시한 고정장치(90F)는 고정장치(90B)와 고정장치(90E)를 응용한 것이다. 그물망(91)과 제1 걸이부(98a)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2: 터브
3: 드럼
4: 펄세이터
5: 모터
6: 프로세서
6a: 일반세척처리부
6b: 특수세척처리부
10: 하우징
11: 도어
12: 투입구
13: 조작부
21: 급수 장치
22: 배수 장치
31: 개구부
32: 바닥부
33: 탈수홀
35: 리프터
40: 고정장치(90)(범용)
50: 고정장치(90)(헬멧용)
60: 제1 결합부재
61: 몸체
64: 장착 플레이트
65: 자석(91)
70: 제2 결합부재
80: 결합핀
82: 요홈부
100: 헬멧
101: 이어 커버
101a: 관통 홀
J: 회전축

Claims (20)

  1. 전면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
    피세척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피세척물을 세척하도록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상기 드럼 및 펄세이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물을 상기 터브에 모으는 저수 행정와, 상기 피세척물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드럼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을 교반하는 교반 행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정지되도록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을 결합시키는 드럼정지장치;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 시킬 수 있는 모터로서,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드럼의 회전이 정지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드럼의 전후 방향에 따른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저수 행정에서, 수면이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터브에 물이 저수되는 드럼식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반 행정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드럼식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저수되는 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 분사하여 순환시키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피세척물을 세척할 때 작동되는 물순환 기구;를 더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 가능한 홀더로서,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드럼 내부 하측에 고정되도록 상기 피세척물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척물은 헬멧인 드럼식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 홀을 가지는 드럼식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 가능한 제1 결합부재;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헬멧이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연결시키며 상기 관통 홀 내에 삽입되는 축부;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에 장착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드럼 내주면에 압착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12.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전면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투입구에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급수하는 급수 장치;
    상기 터브로부터 배수하는 배수 장치;
    상기 드럼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드럼의 일측에 설치되는 펄세이터;
    피세척물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배수 장치의 작동 및 상기 드럼과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급수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펄세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양의 물을 상기 터브에 모으는 저수 행정과,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드럼 내에 고정되도록 상기 드럼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물을 교반하는 교반 행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드럼 내부 하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드럼의 하측에 결합되는 드럼식 세탁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정지되도록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을 결합시키는 드럼정지장치;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드럼의 전후 방향에 따른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저수 행정에서, 수면이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 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터브에 물이 저수되는 드럼식 세탁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교반 행정에서 상기 펄세이터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드럼식 세탁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 가능한 홀더로서, 상기 피세척물이 상기 드럼 내부 하측에 고정되도록 상기 피세척물을 지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세척물은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 홀을 가지는 헬멧이고,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 가능한 제1 결합부재;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헬멧이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연결시키며 상기 관통 홀 내에 삽입되는 축부;를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연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장착 플레이트; 및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상기 드럼 내주면에 압착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20.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드럼의 일측에 설치되는 펄세이터; 및
    양측에 관통 홀이 형성되는 헬멧을 상기 드럼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로서,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 가능한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제2 결합부재 및 상기 헬멧이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를 연결시키며 상기 관통 홀 내에 삽입되는 축부를 포함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 플레이트가 상기 드럼 내주면에 압착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드럼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드럼식 세탁기.
KR1020210115761A 2021-01-08 2021-08-31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KR20220100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6278 WO2022149700A1 (ko) 2021-01-08 2021-11-09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US17/692,431 US20220220655A1 (en) 2021-01-08 2022-03-11 Drum washing machine and fixing device for drum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02299A JP2022107378A (ja) 2021-01-08 2021-01-08 ドラム式洗濯機、ドラム式洗濯機を用いた洗浄方法、および、ドラム式洗濯機向けのアダプタ
JPJP-P-2021-002299 2021-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499A true KR20220100499A (ko) 2022-07-15

Family

ID=8240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761A KR20220100499A (ko) 2021-01-08 2021-08-31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2107378A (ko)
KR (1) KR2022010049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4585A1 (en) 2001-11-06 2003-05-08 Tomasi Donald Mark Drying apparatus
JP2004097317A (ja) 2002-09-06 2004-04-02 Tosei Denki Kk 回転ドラム式洗濯機
JP2011257059A (ja) 2010-06-09 2011-12-22 Sharp Corp イオン発生機
JP2020110369A (ja) 2019-01-11 2020-07-2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4585A1 (en) 2001-11-06 2003-05-08 Tomasi Donald Mark Drying apparatus
JP2004097317A (ja) 2002-09-06 2004-04-02 Tosei Denki Kk 回転ドラム式洗濯機
JP2011257059A (ja) 2010-06-09 2011-12-22 Sharp Corp イオン発生機
JP2020110369A (ja) 2019-01-11 2020-07-2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7378A (ja)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327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EP2496752B1 (en) Washing machine including a whirling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KR102147819B1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713736B2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EP2496747B1 (en) Laundry machine
US8966944B2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KR101658549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JP200710521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60015890A (ko) 의류처리장치
JP6620061B2 (ja) 洗濯機
KR20040019857A (ko) 드럼식 세탁기
KR101651126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US20110030149A1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20110047716A1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US11174580B2 (en) Washing machine
KR20220100499A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US20220220655A1 (en) Drum washing machine and fixing device for drum washing machine
EP4141158A1 (en) Removable filtration apparatus for laundry treating appliances
EP0957195A2 (en) Washing machine
KR101465723B1 (ko) 수동식 소형 세탁물용 세탁기
WO2022149700A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용 고정장치
JP2022107379A (ja) ブラシ洗浄が可能なドラム式洗濯機、ドラム式洗濯機を用いたブラシ洗浄方法、および、ドラム式洗濯機向けのブラシ洗浄ユニット
JP2022107384A (ja) アイススケート靴の洗浄が可能なドラム式洗濯機、ドラム式洗濯機を用いたアイススケート靴の洗浄方法、および、ドラム式洗濯機向けのアダプタ
JP2006061431A (ja) ドラム式洗濯機
US8746015B2 (en) Laundry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