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0181A -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 Google Patents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0181A
KR20220100181A KR1020210002311A KR20210002311A KR20220100181A KR 20220100181 A KR20220100181 A KR 20220100181A KR 1020210002311 A KR1020210002311 A KR 1020210002311A KR 20210002311 A KR20210002311 A KR 20210002311A KR 20220100181 A KR20220100181 A KR 20220100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conduit
kit
coupling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7647B1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넥터
Priority to KR102021000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647B1/en
Publication of KR2022010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1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6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upler kit for a buried conduit.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conduit buried in a build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perform coupling directly on the spot, depending on an object to be coupled. By maintaining the conduit stable and fixed, field workability is improved, and a work time can be shortened. The stability of the connection and the stability of the conduit can be secur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coupler kit for a buried conduit is provided, wherein the multi-coupler kit comprises: a first coupler which is formed as a hollow tubular body and in which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at opposite sides; a second coupler which is formed as a hollow tubular body and which has, at opposite sides,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the same diameter; a third coupler which is formed as a hollow tubular body and in which a coupl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at one side; and a fourth coupler which is formed as a hollow tubular body and which has, at one side, a coupling portion having a diamet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hird coupler. An elastic support piece formed at an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rovided at an end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couplers. The first to fourth couplers ar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and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respective coupling portions.

Description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본 발명은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에 매립되는 전선관의 작업 수행 시 커플링되는 대상체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선택하여 커플링할 수 있도록 하며, 전선관을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연결 안정성 및 전선관의 고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upler kit for an embedded conduit, and more particularly, to select and couple directly on the spot according to an object to be coupled when performing the work of a conduit embedded in a building structure, and to stably fix the conduit It relates to a multi-coupler kit for an embedded conduit that can improve field workability, shorten work time, and secure connection stability and conduit fixation at the same time by maintaining it.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건축하는 과정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선이 삽입되는 매입 전선관은 콘크리트의 내부로 매입되고, 이러한 전선관의 이음매 부분에는 각 매입 전선관의 각 끝 단면이 서로 삽입되는 전선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다.In general, the embedded conduit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so as to supply electrical energ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tructure is embedded in the concrete, and at the joint of this conduit, each end section of each embedded conduit is connected by a conduit connector inserted into each other do.

한편, 건물의 실내에 배선되는 전선이 삽입되어 보호되는 전선관을 전기 배선박스에 연결할 경우에는 전선관 커넥터가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a conduit connector is used when connecting a conduit protected by inserting an electric wire to be wired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to an electric wiring box.

이와 같은 전선관 커플링이나 전선관 커넥터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58111호 "탈부착이 용이한 단자함 연결용 조립식 가요전선관 커넥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8931호 "전선관 커넥터" 등이 제안되어 있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such a conduit coupling or conduit connector,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158111 "Prefabricated flexible conduit connector for terminal box connection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28931 " conduit connector"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이와 같은 전선관 커플링이나 전선관 커넥터는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보관 및 운반에 번거로움이 따랐으며, 전선관 설치현장에서는 작업 상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conduit coupling or conduit connector is separately provided and used, storage and transportation are cumbersom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operation at the conduit installation site.

또한, 종래의 전선관 커플링이나 전선관 커넥터는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전선관 설치작업에 일정크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duit coupling or conduit connector has a relatively complicated structure, so there is a limitation in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a certain amount of time or more for the conduit installation operation.

또한, 종래의 전선관 커플링이나 전선관 커넥터는 결합이나 연결에 주된 목적을 둠에 따라 전선관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하는데에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duit coupling or conduit connector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a limitation in securely and stably fixing and maintaining the conduit as the main purpose is for coupling or conne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58111(2012.07.09.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58111 (2012.07.09.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8931(2006.10.16.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428931 (2006.10.16.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60643)(2004.09.01.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360643) (2004.09.01. Announce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29499(2018.03.21.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9499 (published on March 21, 20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14293(2015.10.12.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4293 (published on October 12, 2015)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매립되는 전선관의 작업 수행 시 커플링되는 대상체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선택하여 커플링할 수 있도록 하며, 전선관을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연결 안정성 및 전선관의 고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be able to select and couple directly on the spot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coupled when performing the work of the conduit embedded in the building structure, and to stably maintain the conduit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that can improve field workability, shorten work time, and secure connection stability and conduit fixity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건축 구조물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관과 전선관, 및 전선관과 전기배선박스 간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플러 키트(coupler kits)로서, 양측에 직경이 다른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1 커플러; 양측에 동일 직경의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2 커플러; 일측에 소정 직경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3 커플러; 상기 제3 커플러의 결합부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갖는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4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 내지 제4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탄성 지지편을 구비되며, 상기 제1 커플러 내지 제4 커플러는 각각의 결합부를 통해 서로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r kits configured to couple between a conduit and a conduit into which an electric wire is inserted into a building structure, and a conduit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box (coupler kits) ), a first coupler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on both sides; a second coupler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a first coupling part and a second coupling part of the same diameter are formed on both sides; a third coupler of a hollow tubular body having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formed on one side; and a fourth coupler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a coupling part having a diameter different from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 of the third coupler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end of at least one coupler among the first coupler to the fourth coupl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support piece formed with a gap, the first coupler to the fourth coupler are selective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each coupl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upl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는, 일측이 제1 직경을 갖는 제1 관형부로 이루어지고, 타측이 제2 직경을 갖는 제2 관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관형부의 제1 직경과 상기 제2 관형부의 제2 직경은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형부와 제2 관형부의 경계부 외연에는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계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커플러는, 전선관이 통과하는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지고, 중앙부 외연에는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계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커플러는,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전선관이 통과하는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커플러는,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전선관이 통과하는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er, one side is made of a first tubular portion having a first diameter, the other side is made of a second tubular portion having a second diameter, the first diameter of the first tubular portion and the first The second diameter of the two tubular portions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and a boundary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portion and the second tubular portion, and the second coupler has an inner diameter through which the conduit passes. Consisting of a tubular body, a boundary flang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part, and the third coupler is made of a tubular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through which a coupling par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rough which a conduit passes, the fourth coupler is, a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may be formed of a tubular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through which the conduit passe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 내지 제4 커플러 각각의 결합부는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coupler to the fourth coupler may be formed of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 상기 제3 커플러 및 상기 제4 커플러 각각의 결합부는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플러의 제1 결합부는 경계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플러의 제2 결합부는 경계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타측의 내연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커플러는 일단부에 일체로 관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형부의 외연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파지용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coupler, the third coupler, and the fourth coupler is made of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inner edge and an outer edge,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coupler includes a boundary flange portion It consists of a threaded par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and outer edges of one side as a reference,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of the second coupler consists of a threaded part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other side based on the boundary flange part, and the fourth coupler has one end A tubular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rtion, and a gripp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tubular portion with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커플러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단면 "ㄱ"자형의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upport piece, extending inward from one end of the coupler, the cross-section "L"-shaped bent portion formed with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rotrusion formed at an extension end of the bent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커플러의 일단부 내연에 돌출 형성되는 환형링부; 및 상기 환형링부의 내연 끝단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되며, 그 내연 끝단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U"자형의 탄성편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upport piece, an annular r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edge of one end of the coupler; and a "U"-shaped elastic piece formed at an inner edge of the annular ring part, the other end being a free end, and spaced from the inner edg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부의 자유 단부의 끝단 외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adially protru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free end of the elastic pie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커플러의 일단부 내연에 돌출 형성되는 환형링부; 상기 환형링부의 내연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내연 끝단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연장편부; 및 상기 연장편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support piece, an annular r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edge of one end of the coupler; an extension piec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ner edge of the annular ring part and formed with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edge of the ring;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extension pie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면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cross-s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편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 대칭라인을 기준으로 원위 단(distal end)보다 근위 단(proximal end) 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a proximal end rather than a distal end with respect to a central symmetric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ie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편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 대칭라인을 기준으로 근위 단(proximal end)에 가깝거나 근위 단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close to or near a proximal end based on a central symmetric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iece.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매립되는 전선관의 작업 수행 시 전선관들 간,및 배선박스와 전선관 등 커플링되는 대상체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어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on-site workability and reduces work time by being able to select and work directly on the spot depending on the object to be coupled between the conduits and the wiring box and the conduit when performing the work of the conduit embedded in the building structure. It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it.

둘째, 본 발명은 커넥터를 통하여 커플링 또는 연결되는 대상체들 간의 연결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커플러에 특정 구조의 파지부를 통해 전선관을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ably fixing and maintaining the conduit through the gripper of a specific structure to the coupler while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objects to be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를 구성하는 커플러들을 나열하여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제2 커플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제3 커플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커플러에 구비되는 일 실시 형태의 탄성 파지편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3 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제4 커플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제4 커플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커플러에 구비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탄성 파지편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4 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커플러에 구비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탄성 파지편이 제4 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도 8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커플러에 포함되는 마감캡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one side by listing the couplers constituting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one side of the third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gripping piece of an embodiment provided in a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it is formed in a third coupler, on line AA of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5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ourth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gripping piece of another embodiment provided in the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case formed in the fourth coupler, along line BB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elastic gripping piece of another embodiment provided in the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urth coupl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8 .
10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one side of the closing cap included in the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nclude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coupler kit for an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를 구성하는 커플러들을 나열하여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제2 커플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제3 커플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커플러에 구비되는 일 실시 형태의 탄성 파지편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3 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제4 커플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제4 커플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커플러에 구비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탄성 파지편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4 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커플러에 구비되는 다른 실시 형태의 탄성 파지편이 제4 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도 8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포함되는 커플러에 포함되는 마감캡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one side by listing the couplers constituting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side 3 is a perspective view from one side of the third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mbodiment provided in the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of the elastic gripping piece, which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it is formed on the third coupler,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urth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other side, and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ourth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gripping piece of another embodiment provided in the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case formed in the fourth coupler, along the line B-B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elastic gripping piece of another embodiment provided in the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urth coupler, and FIG. It is a cross sec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one side of the closing cap included in the coupler included in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는, 건축 구조물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관과 전선관, 및 전선관과 전기배선박스 간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플러 키트(coupler kit)로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제1 커플러(100); 제2 커플러(200); 제3 커플러(300); 및 제4 커플러(400);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배선박스 결합용 마감캡(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coupler kit for an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upler kit configured to couple between a conduit and a conduit into which an electric wire is inserted into a building structure, and a conduit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box, in FIGS. 1 to 10 As shown, the first coupler 100 largely; a second coupler 200; a third coupler 300; and a fourth coupler 400; and, in addition, a closing cap 600 for bonding the wiring box; may further includ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는, 건축 구조물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관과 전선관, 및 전선관과 전기배선박스 간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플러 키트(coupler kit)로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에 결합부(110, 120)(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1 커플러(100); 양측에 결합부(210, 220)(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20))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2 커플러(200); 일측에 결합부(310)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3 커플러(300); 및 일측에 결합부(410)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4 커플러(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플러(100) 내지 제4 커플러(400) 중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탄성 지지편(5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결합부(610)가 형성되는 배선박스 결합용 마감캡(60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ulti-coupler kit for an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upler kit configured to couple between a conduit and a conduit into which an electric wire is inserted into a building structure, and a conduit and an electric junction box, as shown in Figs. 10, the first coupler 100 of the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coupling portions 110 and 120 (first coupling portion 110 and second coupling portion 120) are formed on both sides; The second coupler 200 of the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coupling portions 210 and 220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second coupling portion 220) are formed on both sides; A third coupler 300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310 is formed on one side; and a fourth coupler 400 of a hollow tubular body having a coupling portion 4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formed at one end of at least one coupler among the first coupler 100 to the fourth coupler 400 It includes an elastic support piece (500). In addition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sing cap 600 for bonding a wiring box having a coupling portion 6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상기 제1 커플러(100)는 일측에 제1 결합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 결합부(120))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로 이루어진다.The first coupler 100 is made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11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커플러(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이 제1 직경을 갖는 제1 관형부(101)로 이루어지고, 타측이 제2 직경을 갖는 제2 관형부(1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관형부(101)의 제1 직경과 상기 제2 관형부(102)의 제2 직경은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되, 그 내경은 전선관이 통과할 수 있는 최소 직경을 갖고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coupler 100 includes a first tubular part 101 having a first diameter on one side, and a second tubular part 102 on the other side having a second diameter. The first diameter of the first tubular portion 101 and the second diameter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102 are formed with different diameters, and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with a minimum diameter through which the conduit can pass. .

또한, 상기 제1 커플러(100)는 상기 제1 관형부(101)와 제2 관형부(102)의 경계부 외연에는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경계 플랜지부(103)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coupler 100 , a boundary flange portion 10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radially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irst tubular portion 101 and the second tubular portion 102 .

또한, 상기 제1 커플러(100)의 제1 결합부(110)는 상기 제1 관형부(101)의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결합부(120)는 상기 제2 관형부(102)의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제1 및 제2 관형부(101, 102)의 내연과 외연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of the first coupler 100 is made of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of the first tubular portion 101,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is and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inner periphery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tubular portion 102 . Preferab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 are formed on both inner and outer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tubular portions 101 and 102 .

상기 제1 커플러(100)의 일단부 내연 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탄성 지지편(500)이 형성될 수 있다.An elastic support piece 500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be formed on the inner edge side of one end of the first coupler 100 .

상기 제1 커플러(10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른 커플러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upler 100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ther couplers to be described below.

다음으로, 상기 제2 커플러(200)는 양측에 결합부(210, 220)(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20))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로 이루어진다.Next, the second coupler 200 is made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coupling portions 210 and 220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second coupling portion 220) are formed on both sides.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커플러(2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관이 통과할 수 있는 최소 직경의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지며, 중앙부 외연에는 방사상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경계 플랜지부(201)가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econd coupler 200 is made of a tubular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mallest diameter that a conduit can pass through, and a boundar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radially outwardly on the outer edge of the central part A flange portion 201 is formed.

또한, 상기 제2 커플러(200)의 제1 결합부(210)는 경계 플랜지부(201)를 기준으로 일측의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결합부(220)는 경계 플랜지부(201)를 기준으로 일측의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of the second coupler 200 is made of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flange portion 201,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 consists of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and outer edges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flange portion 201 .

여기에서, 상기 제2 커플러(200)는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20) 중 외연에 나사산부가 형성되는 않는 측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파지용 돌출부(202)가 형성되어 미끌림없이 파지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second coupler 200 has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art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0 where the screw thread part is no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holding protrusion 202 is formed. It can be gripped without slipping.

또한, 상기 제2 커플러(200)의 일단부 내연 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탄성 지지편(50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astic support piece 500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be formed on the inner edge side of one end of the second coupler 200 .

상기 제2 커플러(100)는 다른 커플러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er 100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ther couplers.

계속해서, 상기 제3 커플러(300)는 일측에 결합부(310)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선관이 통과할 수 있는 최소 직경의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지며, 결합부(310)로서 내연에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third coupler 300 is formed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the coupling part 310 is formed on one side, and is made of a tubular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mallest diameter that the conduit can pass through, and the coupling part ( 310) as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edge.

또한, 상기 제3 커플러(300)는 외연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파지용 돌출부(301)가 형성되어 미끌림없이 파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ird coupler 300 has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y and the holding protrusion 301 is formed so that it can be gripped without slipping.

이러한 제3 커플러(300)의 일단부 내연 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탄성 지지편(5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커플러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An elastic support piece 500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be formed on the inner edge side of one end of the third coupler 300 , and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ther couplers.

다음으로, 상기 제4 커플러(400)는 일측에 결합부(410)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선관이 통과할 수 있는 최소 직경의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지며, 결합부(410)로서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Next, the fourth coupler 400 is formed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a coupling part 410 is formed on one side, and is made of a tubular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of the smallest diameter through which the conduit can pass, and the coupling part ( As 410), a screw thread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and outer edges.

또한, 상기 제4 커플러(400)는 일단부에 일체로 관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형부의 외연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파지용 돌출부(401)가 형성되어 미끌림없이 파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ourth coupler 40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tubular portion at one end, and a gripping protrusion 401 having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ular portion so that it can be gripped without slipping.

다음으로, 상기 탄성 지지편(500)은 상기한 제1 커플러(100) 내지 제4 커플러(400) 중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플렉시블 전선관을 탄성 지지하고 삽입 역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 형성된다.Next, 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at least one coupler among the first coupler 100 to the fourth coupler 400, elastically supporting the flexible conduit and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It has a space|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it is restrained and is formed in plurality.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지지편(500)은 일 실시 형태로, 도 3과 같이 제3 커플러(30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is an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it is formed in the third coupler 300 as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상기 탄성 지지편(500)은 제3 커플러(30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단면 "ㄱ"자형의 절곡부(511), 및 상기 절곡부(511)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512)를 포함한다.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extends inward from one end of the third coupler 300 , and is formed with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bent portion 511 of a “L” shape in cross-section, and the bent portion 511 . and a protrusion 512 formed at the extended end.

상기 돌출부(520)는 단면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520 is preferably formed in a right-angled triangle in cross section.

계속해서, 상기 탄성 지지편(500)은 다른 실시 형태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제4 커플러(40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Continuing, 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i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to 7 , a case where it is formed on the fourth coupler 4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탄성 지지편(500)은 제4 커플러(400)의 일단부 내연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링부(521), 및 상기 환형링부(521)의 내연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되며, 그 내연 끝단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U"자형의 탄성편부(522)를 포함한다.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annular ring part 521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inner edge of one end of the fourth coupler 400, and integrally with the inner edge end of the annular ring part 521, and the other end is free. and a "U"-shaped elastic piece portion 522 formed at an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edge end thereof.

여기에서, 상기 탄성편부(522)의 자유 단부의 끝단 외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예를 들면, 단면 직각삼각형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radially protruding protrusion (eg, a right-angled triangular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free end of the elastic piece 522 .

또한, 상기 탄성 지지편(500)은 또 다른 실시 형태로, 도 8 및 도 9와 같이 제4 커플러(40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4 커플러(400)의 일단부 내연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링부(531)와, 상기 환형링부(531)의 내연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내연 끝단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연장편부(532), 및 상기 연장편부(532)에 형성되는 돌출부(533)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is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of being formed on the fourth coupler 400 as shown in FIGS. 8 and 9 as an example, the inner edge of one end of the fourth coupler 400 . An annular ring portion 531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 and an extension piece portion 532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inner edge of the annular ring portion 531 and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edge of the ring portion 532, and the extension and a protrusion 533 formed on the piece 532 .

상기 돌출부(533)는 단면이 직각 삼각형을 포함한 삼각형으로 형성된다.The protrusion 533 has a cross-section of a triangle including a right-angled triangle.

또한, 상기 돌출부(533)는 상기 연장편부(532)의 길이방향의 중심 대칭라인을 기준으로 원위 단(distal end)(즉, 자유 단부의 끝단)보다 근위 단(proximal end) 측으로 편심, 즉 근위 단 측에 가깝거나 근위 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533 is eccentric toward the proximal end rather than the distal end (ie, the free end of the free en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ymmetric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ded piece 532 , that is, the proximal It is preferably formed close to the end or at the proximal end.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 형태의 탄성 지지편(500)은 상기 연장편부(532)에서 근위 단에 또는 근위 단에 가깝게 돌출부(5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533)는 전선관의 고정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보강 기능을 갖게 되어, 상기한 일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의 탄성 지지편에 비하여, 플렉시블한 전선관을 보다 안정적이고 내구성있게 탄성 고정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of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sion 533 is formed at or near the proximal end of the extended piece portion 532 so that the protrusion 533 provides a fixing function of the conduit and at the same time. By having a reinforcing function, the flexible conduit is elastically fixed more stably and durable compared to the elastic support piec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ther embodiments.

다음으로, 상기 배선박스 결합용 마감캡(600)은 일측에 결합부(610)가 형성되어 상기한 제1 내지 제4 커플러 중 선택되는 커플러와 결합하면서 일측 개방부를 커버 마감하도록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선박스 결합용 마감캡(600)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Next, the closing cap 600 for bonding the wiring box is included so that a coupling part 610 is formed on one side to close the one side opening part while coupling with a coupler selected from the first to fourth couple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ing cap 600 for bonding the wiring box may be optionally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배선박스 결합용 마감캡(600)은 도 1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부(610),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부(61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나사산 형태의 결합부(610)가 형성되는 관형부(62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10, the closing cap 600 for bonding the wiring box is integrally formed on a cover plate part 610 and one surface of the cover plate part 610, and has inner and outer edges. At least one includes a tubular portion 620 in which a threaded coupling portion 610 is formed.

이와 같이 형성되는 배선박스 결합용 마감캡(600)은 나사산 형태의 결합부(610)를 통해 제1 내지 제4 커플러(100 내지 400) 각각의 결합부와 나사결합되거나, 상기한 탄성 지지편(500)이 형성된 커플러에 결합되는 경우, 해당 커플러의 내연과 탄성 지지편(500)의 외연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돌출부가 형성된 탄성 지지편(500)이 형성된 커플러에 결합되는 경우, 해당 커플러의 돌출부의 첨단에 요철 결합될 수 있다.The closing cap 600 for coupling the wiring box formed in this way is screwed with the coupling part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couplers 100 to 400 through the coupling part 610 in the form of a screw thread, or the elastic support piece ( When coupled to the coupler in which 500) is formed, it may be fitted between the inner edge of the coupler and the outer edge of 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or when the elastic support piece 500 in which the protrusion is formed is coupled to the formed coupler, the corresponding The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the tip of the protrusion of the coupl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에 의하면, 건축 구조물에 매립되는 전선관의 작업 수행 시 전선관들 간,및 배선박스와 전선관 등 커플링되는 대상체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어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며, 커넥터를 통하여 커플링 또는 연결되는 대상체들 간의 연결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커플러에 특정 구조의 파지부를 통해 전선관을 안정적으로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ulti-coupler kit for embedde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the work of the conduit embedded in the building structure, select directly on the spot depending on the object to be coupled between conduits and the wiring box and conduit, etc. to improve field workability, shorten work time, secure connection stability between objects to be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connectors, and at the same time stably hold the conduit through a gripper with a specific structure on the coupler. It has the advantage of keeping it fix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커플러
101: 제1 관형부
102: 제2 관형부
103, 201: 경계 플랜지부
200: 제2 커플러
202, 301, 401: 파지용 돌출부
300: 제3 커플러
400: 제4 커플러
110, 120, 210, 220, 310, 410: 결합부
500: 탄성 지지편
511: 절곡부
512, 533: 돌출부
521, 531: 환형링부
522: 탄성편부
532: 연장편부
600: 배선박스 결합용 마감캡
610: 커버 플레이트부
620: 관형부
100: first coupler
101: first tubular part
102: second tubular part
103, 201: boundary flange portion
200: second coupler
202, 301, 401: protrusions for gripping
300: third coupler
400: fourth coupler
110, 120, 210, 220, 310, 410: coupling part
500: elastic support piece
511: bend
512, 533: protrusions
521, 531: annular ring part
522: elastic piece part
532: extension part
600: Closing cap for wiring box bonding
610: cover plate part
620: tubular part

Claims (11)

건축 구조물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관과 전선관, 및 전선관과 전기배선박스 간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플러 키트(coupler kit)로서,
양측에 직경이 다른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1 커플러;
양측에 동일 직경의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2 커플러;
일측에 소정 직경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3 커플러;
상기 제3 커플러의 결합부의 직경과 다른 직경을 갖는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중공 관형체의 제4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 내지 제4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탄성 지지편을 구비되며,
상기 제1 커플러 내지 제4 커플러는 각각의 결합부를 통해 서로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A coupler kit configured to couple between a conduit and a conduit into which an electric wire is inserted into a building structure, and a conduit and an electric distribution box, comprising:
A first coupler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formed on both sides;
a second coupler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a first coupling part and a second coupling part of the same diameter are formed on both sides;
a third coupler of a hollow tubular body in which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on one side;
A fourth coupler of a hollow tubular body formed on one side of a coupling part having a diameter different from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part of the third coupler;
An end of at least one coupler among the first coupler to the fourth coupl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support piece formed with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coupler to the fourth coup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each coupling portion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는, 일측이 제1 직경을 갖는 제1 관형부로 이루어지고, 타측이 제2 직경을 갖는 제2 관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관형부의 제1 직경과 상기 제2 관형부의 제2 직경은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형부와 제2 관형부의 경계부 외연에는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계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커플러는, 전선관이 통과하는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지고, 중앙부 외연에는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계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커플러는,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전선관이 통과하는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커플러는, 일측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전선관이 통과하는 내경을 갖는 관형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upler includes a first tubular part having a first diameter on one side and a second tubular part having a second diameter on the other side, the first diameter of the first tubular part and the second tubular part having the second diameter Diameters are formed with different diameters, and a boundary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portion and the second tubular portion,
The second coupler is made of a tubular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through which the conduit passes, and a boundary flange portion exten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portion,
The third coupler is made of a tubular body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an inner diameter through which a conduit passes,
The fourth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and is formed of a tubular body having an inner diameter through which the conduit passes.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 내지 제4 커플러 각각의 결합부는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According to claim 1,
Each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coupler to the fourth coupler comprises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inner edge and an outer edge.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플러, 상기 제3 커플러 및 상기 제4 커플러 각각의 결합부는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플러의 제1 결합부는 경계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내연 및 외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플러의 제2 결합부는 경계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타측의 내연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커플러는 일단부에 일체로 관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형부의 외연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파지용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According to claim 1,
Each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coupler, the third coupler and the fourth coupler consists of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inner edge and an outer edge,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coupler consists of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and outer edges of one side based on the boundary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coupler is on the inner edge of the other side based on the boundary flange portion. It consists of a threaded part formed,
The fourth coupler is integrally formed with a tubular portion at one end, and a gripp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ular portion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커플러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단면 "ㄱ"자형의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연장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upport piece,
Extending inward from one end of the coupler, the cross-section "L"-shaped bent portion formed with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d a protrusion formed at an extended end of the bent part.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커플러의 일단부 내연에 돌출 형성되는 환형링부; 및
상기 환형링부의 내연 끝단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되며, 그 내연 끝단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U"자형의 탄성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upport piece,
An annular r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edge of one end of the coupler; and
It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annular ring portion, the other end is a free end, and a "U"-shaped elastic piece formed with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e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부의 자유 단부의 끝단 외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7. The method of claim 6,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free end of the elastic piece part.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커플러의 일단부 내연에 돌출 형성되는 환형링부;
상기 환형링부의 내연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내연 끝단에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연장편부; 및
상기 연장편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upport piece,
An annular r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edge of one end of the coupler;
an extension piec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inner edge of the annular ring part and formed with a gap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inner edge of the ring; and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extension part.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 7 and 8,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a triangle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편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 대칭라인을 기준으로 원위 단(distal end)보다 근위 단(proximal end) 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proximal end rather than the distal en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ymmetric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iece.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편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 대칭라인을 기준으로 근위 단(proximal end)에 가깝거나 근위 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입 전선관용 멀티 커플러 키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close to or at the proximal end of the extension pie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symmetric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ulti-coupler kit for buried conduit.
KR1020210002311A 2021-01-08 2021-01-08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KR1025576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311A KR102557647B1 (en) 2021-01-08 2021-01-08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311A KR102557647B1 (en) 2021-01-08 2021-01-08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181A true KR20220100181A (en) 2022-07-15
KR102557647B1 KR102557647B1 (en) 2023-07-21

Family

ID=8240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311A KR102557647B1 (en) 2021-01-08 2021-01-08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647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221U (en) * 1993-12-24 1995-07-14 未来工業株式会社 Conduit fitting
KR200360643Y1 (en) 2004-05-25 2004-09-01 전인석 a Wire Pipe Connector.
KR200428931Y1 (en) 2006-06-27 2006-10-16 백순례 Connector for flexible pipe
KR200435153Y1 (en) * 2006-09-19 2007-01-09 진용호 Connector joint switch box and cable tube have for one touch type conclusion construction
JP3140637U (en) * 2008-01-22 2008-04-03 全冠企業有限公司 Cable, flexible tube fixed connecting device
KR101158111B1 (en) 2011-04-11 2012-07-09 (주)경진이엠씨 Self-assembly connector of flexible pipe for connector system-box an-easily attach on and off
KR20150114293A (en) 2014-04-01 2015-10-12 백순례 Connector for flexible pipe
KR20180029499A (en) 2016-09-12 2018-03-21 왕강민 Flexible tube unwelded cable gland
KR102045265B1 (en) * 2019-07-12 2019-11-15 김태용 Assembled body of coupling and connector for conduit tub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221U (en) * 1993-12-24 1995-07-14 未来工業株式会社 Conduit fitting
KR200360643Y1 (en) 2004-05-25 2004-09-01 전인석 a Wire Pipe Connector.
KR200428931Y1 (en) 2006-06-27 2006-10-16 백순례 Connector for flexible pipe
KR200435153Y1 (en) * 2006-09-19 2007-01-09 진용호 Connector joint switch box and cable tube have for one touch type conclusion construction
JP3140637U (en) * 2008-01-22 2008-04-03 全冠企業有限公司 Cable, flexible tube fixed connecting device
KR101158111B1 (en) 2011-04-11 2012-07-09 (주)경진이엠씨 Self-assembly connector of flexible pipe for connector system-box an-easily attach on and off
KR20150114293A (en) 2014-04-01 2015-10-12 백순례 Connector for flexible pipe
KR20180029499A (en) 2016-09-12 2018-03-21 왕강민 Flexible tube unwelded cable gland
KR102045265B1 (en) * 2019-07-12 2019-11-15 김태용 Assembled body of coupling and connector for conduit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647B1 (en)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3550A (en) How to construct the spiral area where cables are hanging
CN105322480A (en) Wire fixture
KR20220100181A (en)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KR102045265B1 (en) Assembled body of coupling and connector for conduit tube
JPH10110868A (en) Sewage pipe for passing optical fiber cable
JP2009118562A (en) Cable fixture and cable fixing structure
JP4707002B2 (en) Wire passing device and wire passing method
JP2007110793A (en) Branch joint
KR20080040348A (en) Conduit tube with built-in earth line
CN113767533A (en) Integrated wire tube of connector
KR200223916Y1 (en) Clamp for binding cable
IES20000280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duits
CN213402342U (en) Power pipeline splicing head
JP7136981B2 (en) Connection tool and connection method for bundled hangers
JP2007110821A (en) Structure and method for laying cable and connection jig
JPH0231858Y2 (en)
CN104714279B (en) A kind of fixing device of the joints of optical fibre
CN210628999U (en) Connecting mechanism of metal junction box and junction tube
KR20200056700A (en) Assembled body of coupling and connector for conduit tube
KR200466124Y1 (en) Multipurpose combination type clip
JP2010172171A (en) Aerial-cable protective tube
KR200433370Y1 (en) Fixing device for cable of terminal box
KR20230016136A (en) Fixed member of ring-type multi-corrugated pipe
KR20230019689A (en) Cross arm band and installation method of cross arm band
KR200470307Y1 (en) Bindless tension anchor insulator for service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