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231A -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231A
KR20220099231A KR1020210001211A KR20210001211A KR20220099231A KR 20220099231 A KR20220099231 A KR 20220099231A KR 1020210001211 A KR1020210001211 A KR 1020210001211A KR 20210001211 A KR20210001211 A KR 20210001211A KR 20220099231 A KR20220099231 A KR 2022009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ip
location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193B1 (ko
Inventor
박혜린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마트
주식회사 동도엘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마트, 주식회사 동도엘엠에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마트
Priority to KR102021000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1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100)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외부 몸체(110)와,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기능하게 되는 작동부재(120)로서,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121), 획득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123)와,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4)와, 단말기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25)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로 형성되어 있는 홈부(130)와; 상기 홈부(130)에 내장된 IC 칩 모듈(140)과; 상기 IC칩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읽어들여서 단말기의 내부에 복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26); 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Location tracking wearable terminal for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credit card authentic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용카드 인증을 통하여 치매환자의 인적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치매환자의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CT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이동통신 응용기술이 등장하게 되었고, 그 중 새로운 응용 영역으로 발전하고 있는 분야가 위치기반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사용자의 위치를 알려주는 단순한 활용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광고를 제공하거나 위치정보에 따른 간접 정보를 제공하는 등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한편,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생활방식이 급속하게 서구화되어가면서, 노령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치매환자들이 사회적으로 문제화되고 있으며, 정신지체아의 보호 및 아동들의 보호에 대해서도, 그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치매환자들이나 정신지체아 또는 아동들(이하, '치매환자들'이라고 약칭하기로 한다)은 자신이 현재 활동하고 있는 공간이나, 그 공간으로부터 이동하여 옮겨 간 장소를 잘 인지하지 못하거나, 이것을 잘 기억하지 못하고 있어서, 자신이 스스로 그 장소로부터 가정이나 보호시설 등으로 다시 복귀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놓이게 될 경우, 가족이나 다른 보호자가 치매환자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면, 그 치매환자는 큰 위험에 노출되어질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상황에서 그 치매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이러한 치매환자들에 대한 보호는 이들이 현재 위치하는 장소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혹시나 그들이 통상적인 생활공간을 벗어나게 되었을 경우, 그들의 행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위치추적 장치 내지 위치추적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위치추적 장치는, 치매환자들이 소지하는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발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그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그 치매환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는 그 단말기에 사용자(치매환자들)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별도의 정보입력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치매환자들이 직접 그 정보입력장치가 존재하는 곳으로 현장 출석하여야 하고, 그렇지 않다고 할지라도, 최소한 그의 보호자가 그 현장으로 출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치매환자들의 정보를 별도의 정보입력 장치에 입력할 경우, 반드시 1 대 1 방식으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발급 효율성이 매우 낮은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설혹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입하였다고 할지라도, 그 단말기를 즉각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사용자인 치매환자들 또는 그의 보호자 내지 그의 대리인이 별도의 정보입력장치가 소재한 장소로 출석하여 그곳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것이었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다음과 같은 사례가 대표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특허등록 제10-1032549호 (2011. 5. 6.) 특허등록 제10-1021573호 (2011. 3. 22.) 공개특허 제10-2017-104865호 (2017. 9. 18.) 공개특허 제10-2019-115237호 (2019. 10. 11.)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용카드 인증을 통하여 치매환자의 인적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치매환자의 위치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는,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외부 몸체와,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기능하게 되는 작동부재로서,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 획득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와,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단말기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는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 내장된 IC 칩 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C칩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는 1차적으로 IC칩 정보수집부에 의해 읽혀지고, 상기 IC칩 정보수집부는 1차로 획득된 개인정보를 다시 전송하여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C칩 정보수집부는 수집된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메모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획득된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처리부의 신호에 따라 수시로 그 개인정보를 처리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정보 획득부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카드에서 활용되는 IC칩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IC칩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상기 IC칩 모듈을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외부 몸체에 형성된 홈부의 내부로 밀어넣어 장착하는 IC칩 장착단계(S 220)와;
상기 IC칩에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단말기 내부의 작동부재로 전송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개인정보 인증단계(S 230)와;
사용자에게 단말기를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별도의 정보입력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신용카드 발급단계에서 입력된 IC칩의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입한 후, 그 개인정보를 신용카드의 IC칩에 입력된 정보로 대체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개인정보 입력을 위하여 정보입력장치에 소재한 장소로 출석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용카드의 개인정보를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치추적의 대상자인 치매환자, 정신지체자, 또는 어린아이들의 신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웨어러블 위치추적 단말기의 실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IC칩 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IC칩 모듈의 회로 작동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IC칩 모듈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단말기에 있어서 접촉식 IC칩의 내부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단말기에 있어서 비접촉식 IC칩의 내부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외부 몸체(110)를 가지고 있다. 외부 몸체(110)는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피보호자의 팔목에 차는 단말기의 경우 그 외형을 손목 시계와 같은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다리 발목에 차는 단말기의 경우 밴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피보호자의 의복에 착용하는 경우에는 브로우치와 같은 액세서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몸체(110)는 내부에 단말기의 기능을 실현하는 작동부재(120)를 내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기능하게 되는 작동부재(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동부재(120)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통신함으로써, 피보호자가 소재하는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부재(120)는 통상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120)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121)와, 획득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123)와,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4)와, 단말기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작동부재들은 종래의 위치추적용 단말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21)는 피보호자가 단말기를 신체에 부착한 상태에서 이동하여 존재하고 있는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부(123)로 전송한다.
상기 처리부(123)는 위치정보 획득부(121)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 프로그램에 따라 가공처리하여 통신부(124)로 전송한다. 상기 알고리즘 프로그램은 피보호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처리부(123)로 전송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그 이외에 피보호자의 인적사항에 관련된 개인정보를 통합하여 가공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긴급을 요하는 급박한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자의 인적사항을 즉각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신속하게 대응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상기 통신부(124)는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처리부(123)에서 가공처리된 정보를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는 본 발명의 단말기로 하여금 외부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본 발명의 단말기에서 외부로 발송하되는 정보를 단순히 피보호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함께 통합하여 발송하게 됨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유무선통신 시스템은 와이파이를 포함한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125)는 단말기의 각 작동부재들에 대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21)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정보 획득부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21)에서 획득하여 처리하는 정보를 평상시와 긴급시로 구분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제1 위치정보 획득부만을 가동시키고, 긴급시에는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추가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광역 위치정보라 함은 피보호자가 소재하는 위치를 수백 미터의 범위로 한정하여 표시하는 반면에, 상기 근접 위치정보라 함은 피보호자가 소재하는 위치를 수십미터의 범위로 한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광역 위치정보와 근접 위치정보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구분하여 관리하는 이유는 전기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함과 동시에, 피보호자를 긴급한 상황에서 좀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 파악하여 피보호자를 신속하게 대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위치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로 나누어 작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전원부(125)에서 사용되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전기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위치정보 획득부에서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만을 획득하여 처리부(123)로 보내고, 상기 처리부(123)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만을 통신부(124)로 보내는 반면에, 긴급시에는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가동시켜서 피보호자의 근접정보를 상기 처리부(123)로 보내고, 상기 처리부(123)는 피보호자의 근접정보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동시에 상기 통신부(124)로 보내고, 통신부(124)는 피보호자의 근접위치정보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동시에 외부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긴급한 경우라 함은, 피보호자가 실종되거나, 피보호자와 연락이 닿지 않아서, 그를 관리하는 보호자가 그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와 같이, 평상시와는 달리 피보호자의 위치 파악이 요구되는 상황 등을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호자가 위치 확인요청 신호를 발신하게 되면, 그 확인요청 신호가 유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피보호자가 착용하고 있는 단말기(100)의 통신부(124)로 전송되어지고, 상기 통신부(124)는 상기 위치확인요청 신호를 상기 처리부(123)로 입력시키고, 상기 처리부(123)는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가동시킨다. 상기 제2 위치정보 획득부는 활성화되어 피보호자의 현재의 위치를 근접 위치정보로 생성하고, 그 근접 위치정보를 상기 처리부(123)로 송신한다. 상기 처리부(123)는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를 피보호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처리하여, 상기 통신부(124)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124)는 전송받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동시에 상기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보호자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로 형성되어 있는 홈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홈부(130)는 외부에서 IC칩 모듈(140)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홈부(130)는 단말기의 상부 표면 또는 저부 표면에서 단말기의 내부로 파내려가 형성하거나 또는 그 측면에서 그 내부로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표면 또는 저부 표면에서 뚫어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IC칩 모듈(140)을 내장시킨 다음, 그 위에 뚜껑(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야 하지만, 그 측면에 형성할 경우에는 그러한 뚜껑을 형성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그 측면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홈부(130)는 측면에서 형성할 경우, 가늘고 길게 바깥 부분에서 상기 외부 몸체(110)의 내부로 향하여 소정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IC칩 모듈(140)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130)는 그 내부에 장착되어질 상기 IC칩 모듈(140)과 외부 몸체(110)의 내부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상기 작동부재(120)를 공간적으로 이격되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홈부(130)에 내장된 IC 칩 모듈(1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IC칩 모듈(140)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IC칩(144)과, 그 IC칩(144)에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 코일(14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IC칩 모듈(140)은 플라스틱 카드(10)에서 사용되고 있는 IC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플라스틱 카드에서 사용되고 있는 IC칩(144)을 사용함으로써,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입력해야 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말기(100)의 작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IC 칩 모듈(140)은 카드 발급단계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IC 칩 모듈(140)은 상기 홈부(130)에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IC 칩 모듈(140)이 상기 홈부(13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외부 몸체(110)의 내부로 장착되어지면, 상기 IC 칩 모듈(14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작동부재(120)에 공간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IC칩 모듈(140)은 외부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IC칩 모듈(140)이 접촉식으로 작동될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 반면에, 도 6은 상기 IC칩 모듈(140)이 비접촉식으로 작동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IC 칩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읽어들이는 IC칩 정보수집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는 상기 IC 칩 모듈(140)이 외부에서 단말기(100)의 내부에 장착되어지면, 상기 IC 칩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1차적으로 읽어들인 다음, 그 개인정보를 작동부재(120)의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2차적으로 전송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처리부(123)로 입력되어진다. 상기 처리부(123)는 피보호자의 위치정보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되어지도록 해준다.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는 상기 IC칩(144)과의 관계에서 접촉식 방식으로 진행되거나, 비접촉식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IC칩 모듈(140)이 접촉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ISO 17816 방식으로 작동되어지고, 상기 IC칩 모듈(140)이 비접촉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ISO 14443 방식으로 작동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에 있는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26)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126)는 상기 IC칩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던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전송받아 자신이 보관하고 있다가, 상기 처리부(123)에서 요청할 경우, 언제든지 그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처리부(123)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는 피보호자가 어느 곳에 있든지 상관없이 상기 처리부(123)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처리부(123)로 전송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IC칩 모듈(140)은 주변에서 전자기적인 변화를 일으킬 경우에만 작동하는 것이므로, 피보호자가 처해 있는 위치에서 상기 IC칩 모듈(140)이 활성화되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이미 저장하고 있는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그리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상기 처리부(123)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메모리부(126)를 형성할 경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는 접촉식이건 비접촉식이건 상관없이, 상기 처리부(123)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안전하게 상기 처리부(123)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한 IC칩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IC칩 모듈의 제조단계(S 210)는 통상의 플라스틱 카드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다수의 플라스틱 시트들을 합지하고, 이들을 가열가압하여 하나의 통합된 플라스틱 시트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 시트의 내부에 코일안테나(142)를 포함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플라스틱 시트들을 가열가압하여 단일의 합지된 플라스틱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의 합지된 플라스틱 시트가 완성되어지면, 외부에서 정밀 가공작업에 의해 소정의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IC칩(144)을 장착시킨다. 이때, 상기 IC칩(144)과 상기 코일안테나(142)의 전기적인 연결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IC칩(144)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입력시키는 방식은 플라스틱 카드(10)의 발급과정에서 카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IC칩(144)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어지면, 상기 IC칩(142)의 주변을 따라, 절취선(146)을 형성한다. 상기 절취선(146)은 힘을 가할 경우, 플라스틱 카드에서 상기 IC칩(144)을 포함한 IC칩 모듈(140)을 분리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IC칩 모듈(140)을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외부 몸체(110)에 형성된 홈부(130)의 내부로 밀어넣어 장착하는 IC칩 장착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IC칩 장착단계(S 220)는 상기 플라스틱 카드(10)에서 분리된 IC칩 모듈(140)을 취하고, 그 IC칩 모듈(140)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또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또는 측면에서 밀어 넣어서 홈부(130)의 내부에 장착하는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홈부(130)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외부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홈부(130)는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홈부(130)의 내부로 밀려들어온 상기 IC칩 모듈(140)은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와 근접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IC칩(144)에서 단말기 내부의 작동부재로 전송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개인정보 인증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개인정보 인증단계(S 230)는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IC칩 모듈(140)과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의 사이에서 상호간에 인터페이스 작용을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IC칩 모듈(140)에 속하는 IC칩(144)과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가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120)가 메모리부(126)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126)와 상기 IC칩(144)의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부(126)는 상기 IC 칩(144)으로부터 개인정보를 읽어들이고 그 개인정보를 저장한 다음, 그 개인정보를 상기 처리부(123)로 전송하여 그곳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C칩(144)과 상기 작동부재(120) 사이의 개인정보의 교환방식은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를 통하여 진행되어지고,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비접촉식의 경우, 상기 IC칩(144)이 상기 코일안테나(142)에 의해 활성화되어지면, 이들은 ISO 14443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접촉식의 경우, ISO 7816 방식으로 진행되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IC칩(144)에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가 읽어들이고, 그 개인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의 및 메모리부(126)가 자체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처리부(123)는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상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서 작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의 내부 작동부재(120)의 처리부(123) 및 메모리부(126)가 그 신호를 교환하게 되고, 상기 처리부(123)의 명령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상기 IC칩(144)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읽어들여서, 그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자신의 메모리부(126)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상기 메모리부(126)가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자신의 내부 영역에 저장하게 되면, 상기 처리부(123)는 상기 IC칩 모듈(140) 내지 상기 IC칩(144)에 저장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직접 읽어들이지 않고,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그 개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이 필요한 이유는, 상기 IC칩 모듈(140)은 그 주변의 전기장이 변화될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는데, 피보호자가 처해 있는 위치가 전자기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났거나, 전자기의 변화가 발생될 수 없는 지역에 처했을 경우에는 활성화될 수 없고,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피보호자에게 단말기를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단계는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피보호자의 위치를 광역 위치정보로 관리하지만, 피보호자가 스스로 근접 위치정보 시스템으로 전환하거나,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위치를 요청할 경우, 상기 처리부(123)에서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를 생성하도록 명령을 내리고, 그로 인하여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부(126)에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동시에 발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처럼 유용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웨어러블 단말기에 입력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할 필요도 없이, 플라스틱 카드의 발급과정에서 카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과정을 거의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위치추적용 웨어러블 단말기 (본 발명)
110 : 몸체부, 120 : 작동 부재,
121 : 위치정보 획득부, 123 : 처리부,
124 : 통신부, 125 : 전원부,
126 : 메모리부, 130 : 홈부,
140 : IC칩 모듈, 142 : 코일 안테나,
144 : IC칩, 150 : IC칩 정보수집부,
10 : 플라스틱 카드.

Claims (7)

  1. 피보호자의 신체에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외부 몸체(110)와, 상기 외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기능하게 되는 작동부재(120)로서,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121), 획득된 정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관리하는 처리부(123)와,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유무선통신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24)와, 단말기의 각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125)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110)의 상부 표면에서 내부로 또는 하부 표면에서 내부로 또는 측면에서 내부로 향하여 빈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홈부(130)와;
    상기 홈부(130)에 내장되어 있고, 코일 안테나(142)와 IC칩(144)으로 형성된 IC칩 모듈(140);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C칩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1차적으로 읽어들인 다음, 2차적으로 그 개인정보를 상기 작동부재(120)로 전송하는 IC칩 정보수집부(150)를 더욱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C칩 모듈(140)과 상기 작동부재(120)는 상호간에 인터페이스 작용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정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정보교환은 상기 IC칩 정부수집부(150)를 통하여 진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120)는 상기 IC칩 정보수집부(150)에 있는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126)를 더욱 포함하고 있고,
    상기 메모리부(126)는 처리부(123)의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시로 수집된 개인정보를 상기 처리부(123)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C칩 정부수집부(150)를 통하여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정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접촉식 정보교환은 ISO 7816 방식으로 진행되거나,
    상기 비접촉식 정보교환은 ISO 14443 방식으로 진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126)가 상기 IC칩(144)으로부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한 이후,
    상기 처리부(123)의 요청 신호에 의해 위치정보 획득부(121)에서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되어지고,
    상기 위치정보 획득부(121)는 피보호자의 광역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1 위치정보 획득부와, 피보호자의 근접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제2 위치정보 획득부를 구분하여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100).
  7. 플라스틱 카드에서 활용되는 IC칩에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IC칩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상기 IC칩 모듈을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외부 몸체(110)에 형성된 홈부(130)의 내부로 밀어넣어 장착하는 IC칩 장착단계(S 220)와;
    상기 IC칩에서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읽어서 단말기 내부의 작동부재로 전송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피보호자의 개인정보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개인정보 인증단계(S 230)와;
    사용자에게 단말기를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하는 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용방법.

KR1020210001211A 2021-01-06 2021-01-06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KR102513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11A KR102513193B1 (ko) 2021-01-06 2021-01-06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11A KR102513193B1 (ko) 2021-01-06 2021-01-06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31A true KR20220099231A (ko) 2022-07-13
KR102513193B1 KR102513193B1 (ko) 2023-03-23

Family

ID=8240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11A KR102513193B1 (ko) 2021-01-06 2021-01-06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1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527A (ko) * 2003-08-19 2005-03-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접촉식 및 비접촉식카드용 결재처리단말기
KR101021573B1 (ko) 2008-10-29 2011-03-22 이상훈 위치 추적 장치
KR101032549B1 (ko) 2009-02-25 2011-05-06 서용선 위치 추적용 칩의 설치 방법
KR20170043267A (ko) * 2015-10-13 2017-04-21 문지연 실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70104865A (ko)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손목형 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90115237A (ko) 2018-04-02 2019-10-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위치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9527A (ko) * 2003-08-19 2005-03-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접촉식 및 비접촉식카드용 결재처리단말기
KR101021573B1 (ko) 2008-10-29 2011-03-22 이상훈 위치 추적 장치
KR101032549B1 (ko) 2009-02-25 2011-05-06 서용선 위치 추적용 칩의 설치 방법
KR20170043267A (ko) * 2015-10-13 2017-04-21 문지연 실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70104865A (ko) 2016-03-08 2017-09-18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손목형 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90115237A (ko) 2018-04-02 2019-10-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위치 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193B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0808B2 (ja) 伴侶動物の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0331609B2 (en) Syst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wireless peripherals and back-end systems via a peripheral hub
US7724137B2 (en) Proximity locator system
US8325032B2 (en) Miniature life-saving device
CN111344589A (zh) 用于对人员进行监控的系统和方法
KR20090080672A (ko)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시스템
KR20180135694A (ko) 멀티 센싱이 가능한 패치형 센서모듈
JP2007282879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および情報記録方法
US10452966B2 (en) Sensor device for wearable device generating power-on trigger signal
KR20220099231A (ko) 신용카드 인증을 통한 치매환자용 위치추적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KR101817919B1 (ko) Rfid 태그 인식 기능이 구비된 위치 추적용 전자발찌 시스템
KR101472482B1 (ko) Qr코드를 이용한 정보전달 시스템과 qr코드의 블루투스 전송에 의한 정보제공 방법
KR102064362B1 (ko) 패치형 센서모듈
CN209120278U (zh) 智能化养老移动终端手表
TWM416446U (en) Implantable wireless charging health management system
KR101843888B1 (ko)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방법
TW200929913A (en)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and its electronic device
KR20210055171A (ko)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4166896A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生体情報管理方法
KR200422565Y1 (ko) Rfid를 이용한 지능형 생활환경 설정 시스템
JP2010226604A (ja) 非接触ic媒体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非接触ic媒体通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843885B1 (ko)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장치
WO2023131888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earable devices
KR20210055170A (ko) 포지션 트랙킹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367035Y1 (ko) 알에프테그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