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118A -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118A
KR20220098118A KR1020220080517A KR20220080517A KR20220098118A KR 20220098118 A KR20220098118 A KR 20220098118A KR 1020220080517 A KR1020220080517 A KR 1020220080517A KR 20220080517 A KR20220080517 A KR 20220080517A KR 20220098118 A KR20220098118 A KR 2022009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learning
ranking
informatio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664B1 (ko
Inventor
한광일
안치성
Original Assignee
(주)에듀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듀윌 filed Critical (주)에듀윌
Priority to KR102022008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6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가. 서버가 학습자들 각각이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강한 강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 그리고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들의 컴퓨터들 중에서 제1컴퓨터로 랭킹 이동, 학습 시간, 및 수강 강의를 모두 포함하는 학습자 랭킹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학습자 랭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랭킹 이동에 포함된 퍼센트 범위들 중에서 특정 퍼센트 범위일 때에는 상기 특정 퍼센트 범위에 포함되면서 상기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학습 시간일 때에는 상기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수강 강의일 때에는 상기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컴퓨터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 상기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 및 상기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 중에서 어느 하나에 포함된 제2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학습자에 대한 제2학습 정보에 해당하는 제2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학습자의 전체 학습량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나와 비교하기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가 수강 중인 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의 학습 시간 또는 수강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의 오늘 학습량, 상기 제2학습자의 이번달 학습량과 누적 학습량, 과목별 월별 학습량 또는 커리큘럼별 월별 학습량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및 각 과목에 대한 교수별 학습량을 표시하는 과목별 학습정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METHOD FOR PROVIDING STUDY INFORMATION USING SERVER}
본 발명은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인과 동일한 과정(또는 시험)을 공부(또는 준비)하는 다른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상기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자기 개발의 일환으로 관심 분야에 대하여 꾸준히 공부하고자 하며, 현대인들의 공부는 주로 학원 수강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현대인들은 다양한 자격증들을 취득하기 위해 학원에 등록하고, 상기 학원에 출석하거나 상기 학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를 청취한다.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회원은 다른 회원들이 어떤 과목들을 수강하고 얼만큼 공부하는지를 알기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3873 (2010년04월20일 공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5275 (2010년04월30일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본인과 동일한 과정(또는 시험)을 공부(또는 준비)하는 다른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상기 본인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본인에게 제공하고, 상기 본인의 학습량과 상기 다른 학습자의 학습량과의 비교 결과를 상기 본인에게 제공하여 상기 본인의 학습을 독려할 수 있는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본인과 동일한 과정(또는 시험)을 공부(또는 준비)하는 다른 학습자(들)의 수강 현황을 상기 본인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본인의 학습 활동 및/또는 상기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에서, 상기 서버는 학습자들 각각이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강한 강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 그리고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자들의 컴퓨터들 중에서 제1컴퓨터로 랭킹 이동, 학습 시간, 및 수강 강의를 모두 포함하는 학습자 랭킹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학습자 랭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랭킹 이동에 포함된 퍼센트 범위들 중에서 특정 퍼센트 범위일 때에는 상기 특정 퍼센트 범위에 포함되면서 상기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학습 시간일 때에는 상기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수강 강의일 때에는 상기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컴퓨터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 상기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 및 상기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 중에서 어느 하나에 포함된 제2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학습자에 대한 제2학습 정보에 해당하는 제2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학습자의 전체 학습량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나와 비교하기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가 수강 중인 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의 학습 시간 또는 수강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의 오늘 학습량, 상기 제2학습자의 이번달 학습량과 누적 학습량, 과목별 월별 학습량 또는 커리큘럼별 월별 학습량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및 각 과목에 대한 교수별 학습량을 표시하는 과목별 학습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인과 동일한 과정(또는 시험)을 공부(또는 준비)하는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 정보를 상기 본인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본인에게 제공하고, 상기 본인의 학습량과 상기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량과의 비교 결과를 상기 본인에게 제공하여 상기 본인의 학습을 독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인과 동일한 과정(또는 시험)을 공부(또는 준비)하는 다른 학습자(들)의 수강 현황을 상기 본인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본인의 학습 활동 및/또는 상기 다른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망을 통한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3은 도 1의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학습자 랭킹의 실시 예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학습자 랭킹에서 제1아이디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아이디에 해당하는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나타낸다.
도 5는 나와 비교하기를 위해 비교 대상자가 선택되었을 때 학습시간 기준으로 나의 학습 정보와 상기 비교 대상자와의 학습 정보에 대한 비교 정보를 나타낸다.
도 6은 나와 비교하기를 위해 비교 대상자가 선택되었을 때 수강강의 기준으로 나의 학습 정보와 상기 비교 대상자와의 학습 정보에 대한 비교 정보를 나타낸다.
도 7은 나의 학습량에 대한 학습 정보의 실시 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학습자들 각각이 사용하는 컴퓨터(110-1~110-n, n은 5이상의 자연수)와 서버(200)를 포함한다.
각 컴퓨터(110-1~110-n)와 서버(20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또는 WiFi 통신망)을 통해 정보(여기서, 정보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포함함.)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각 컴퓨터(110-1~110-n)는 PC 또는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를 의미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및/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학습자(learner)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강의 자료들을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강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수강생(student, attendee), 수험생(test-taker), 및 학생 (student)을 통칭한다.
서버(20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와 온라인 강의 자료 데이터베이스 (320)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관리하고, 각 데이터베이스(310과 320)로부터 정보를 읽어서 처리하는 것을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는 복수의 학습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정보(예를 들면, 온라인 강의 자료 수강 정보와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고, 온라인 강의 자료 데이터베이스(320)는 상기 복수의 학습자들 각각이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자료들을 저장한다. 상기 온라인 강의 자료들은 온라인 강의 콘텐츠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서버(200)는 학습 정보 처리 모듈(210), 학습자 랭킹 처리 모듈(220), 비교 정보 처리 모듈(230), 통신 모듈(240), CPU(central processing unit; 250), 및 메모리 장치(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듈(module)은 그 명칭에 해당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소프트웨어 또는 상기 소프트웨어를 동작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를 통칭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듈은 특정한 정보 처리 결과를 얻기 위해 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컴퓨터 내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상기 컴퓨터의 CPU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모듈을 실행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모듈에 포함된 명령어들 또는 프로그램 코드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모듈이 특정한 동작들, 예를 들면 정보 생성, 정보 전송, 정보 수신, 정보 추출, 등을 수행한다 함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모듈의 명령 또는 제어에 따라 상기 장치가 상기 특정한 동작들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학습 정보 처리 모듈(210)은, 각 학습자가 온라인 강의 자료 데이터베이스 (320)에 저장된 온라인 강의 자료(들)를 수강할 때, 각 학습자가 수강 중인(또는 수강한) 온라인 강의 자료(들)에 기초하여 상기 각 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를 생성하고 학습자별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학습 정보 처리 모듈(210)은 학습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회원의 컴퓨터(110-1)로부터 시험일을 포함하는 시험명, 응시 과목들, 및 학습 패턴(예를 들면, 학습 가능 요일 및/또는 학습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수신일, 상기 시험명, 상기 응시 과목들, 및 상기 학습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회원에 대한 학습 일정표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 일정표를 회원의 컴퓨터(110-1)로 제공한다.
학습 정보 처리 모듈(210)은 다양한 시험들 각각에 합격한 합격자들 각각의 시험명, 응시 과목들, 및 학습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합격자들에 대한 제1빅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빅 데이터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서버(20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학습자별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제1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 정보 처리 모듈(210)은 회원의 컴퓨터(110-1)로부터 시험일을 포함하는 시험명, 응시 과목들, 및 학습 패턴을 포함하는 요청에 포함된 상기 시험명, 상기 응시 과목들, 및 상기 학습 패턴에 해당하는 제2빅 데이터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제2빅 데이터, 상기 요청의 수신일, 상기 응시 과목들, 및 상기 학습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회원에 대한 학습 일정표를 생성할 수 있다.
요청의 수신일, 시험일, 응시 과목들, 및 학습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회원에 의해 변경되면, 학습 정보 처리 모듈(210)은 새로운 학습 일정표를 생성한다. 학습 일정표는 요청의 수신일부터 시험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대한 기간별(예를 들면, 월간 또는 특정한 기간에 대한) 학습 커리큘럼을 포함한다.
학습 정보 처리 모듈(210)은 특정 기간(예를 들면, 주간 단위, 월간 단위, 분기 단위, 반기 단위, 또는 년 단위) 동안에 강의 자료와 문제 풀이 자료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회원의 컴퓨터(110-1)로 제공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와 학습 일정표에 포함된 학습 정보(예를 들면, 주간 단위로 수강한 강의의 개수 및/또는 주간 단위로 푼 문제 풀이집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회원의 학습량에 대한 학습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 리포트를 회원의 컴퓨터(110-1)로 제공한다.
학습자 랭킹 처리 모듈(220)은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학습자별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자들에 대한 학습자 랭킹을 생성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학습자 랭킹 처리 모듈(220)은 학습자 컴퓨터들(110-1~110-n) 중에서 제1컴퓨터(110-1)로부터 전송된 학습자 랭킹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자 랭킹을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검색하여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하고, 제1컴퓨터 (110-1)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학습자 랭킹에 포함된 제2학습자(또는 선택된 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학습자에 대한 제2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검색하여 이를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한다.
비교 정보 처리 모듈(230)은 비교 대상이 되는 학습자들 각각의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비교 정보 처리 모듈(230)은 제1컴퓨터(110-1)로부터 전송된 제2학습자와의 비교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제1컴퓨터(110-1)를 사용하는 제1학습자에 대한 제1학습 정보와 상기 제2학습자에 대한 제2학습 정보응 1-대-1로 비교하여 비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 정보를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한다.
통신 모듈(240)은 각 컴퓨터(110-1~110-n)와 주고받는 정보의 송수신 제어 및 각 데이터베이스(310과 320)와 주고받는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CPU(250)는 각 구성 요소(210, 220, 230, 240, 및/또는 2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프로세서, 또는 GPGPU(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hics processing units)를 통칭한다.
메모리 장치(260)는 각 구성 요소(210, 220, 230, 240, 및/또는 25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와 각 구성 요소(210, 220, 230, 240, 및/또는 25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 장치(260)는 CPU(250)에 의해 실행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각 모듈(210, 220, 및 230)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망을 통한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플로우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서버(2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고 저장 매체(예를 들면, 260, 310, 또는 320)에 저장되고 각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이 수행된다.
서버(200)는 '학습자 랭킹', '학습자 선택', '나와 비교하기', 및 '나의 학습량'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또는 아이콘을 서버(200)에 접속된 각 컴퓨터(110-1~110-n)로 제공한다.
각 학습자가 자신의 컴퓨터(110-1~110-n)를 이용하여 서버(200)를 통해 온라인 강의 자료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온라인 강의 자료(들)를 수강하면, 서버(200)는 상기 각 학습자가 자신의 컴퓨터(110-1~110-n)를 이용하여 수강한 강의 자료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각 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각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S102). 예를 들면, 학습 정보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학습 시간(예를 들면, 수강 강의 개수에 해당하는 학습 시간), 수강 강의 개수, 수강 과목(명), 기간별 학습량, 과목별 학습 정보 등을 포함한다.
서버(200)는 각 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간별(예를 들면, 일별, 월별, 분기별, 반기별, 년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기간 등)로 학습자 랭킹('학습 랭킹'이라고도 함)을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자 랭킹을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한다(S104).
예를 들면, 학습자 랭킹으로 제공되는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에 포함된 학습자들은 제1컴퓨터(110-1)를 사용하는 제1학습자와 동일한 과정(또는 시험)을 공부(또는 준비)하는 학습자들 중에서 상기 과정(또는 시험)에 이미 합격한 합격자들일 수 있다.
학습자 랭킹 처리 모듈(220)은 특정 시험을 본 학습자들 각각이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입력한 수험 번호와 상기 특정 시험의 주관 기관에서 발표(또는 제공)한 수험 번호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학습자들 중에서 합격자들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합격자들로만 구성된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를 상기 특정 시험을 준비하는 학습자의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험을 준비하는 학습자는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에 포함된 합격자들에 대한 학습 정보(예를 들면, 어떤 과목을 수강했고, 어떤 교수의 강의를 수강했고, 몇개의 강의를 수강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서 학습할 수 있다.
즉, 특정 시험을 준비하는 학습자는 특정 시험에 이미 합격한 합격자의 과거의 학습 정보를 그대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에서는 단계들(S110, S120, S130, 및 S140)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단계들(S110, S120, S130, 및 S140) 각각은 독립적 또는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S130 또는 S140)는 단계(S110 또는 S12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단계(S140)는 단계(S13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서버(200)는 학습자 랭킹 제공 과정(또는 서비스)을 수행한다(S110).
컴퓨터들(110-1~110-n) 중에서 제1컴퓨터(110-1)를 사용하는 제1학습자가 서버(200)에 의해 제1컴퓨터(110-1)로 제공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에서 학습자 랭킹을 선택하면(S111), 서버(200)는 제1컴퓨터(110-1)로부터 전송된 학습자 랭킹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학습자 랭킹을 검색하고(S113과 S115), 검색된 학습자 랭킹을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한다(S117).
제1컴퓨터(110-1)는 학습자 랭킹에 해당하는 제1GUI(GUI1)를 수신하여 제1컴퓨터(110-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119).
도 3은 도 1의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학습자 랭킹의 실시 예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학습자 랭킹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1)는 특정한 기간(예를 들면, 일별, 월별, 또는 제1학습자가 지정한 기간)을 선택(또는 입력)할 수 있는 아이콘(또는 버튼, 401)과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를 포함한다. 여기서, 아이콘(401)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유저 인터페이스, 탭, 또는 버튼 등을 통칭한다.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는 특정 랭킹의 전송(또는 분류)을 위한 랭킹 이동, 랭킹(상위), 각 학습자의 아이디, 각 학습자의 학습 정보(예를 들면, 학습 시간, 수강 강의(예를 들면, 수강한 강의의 개수를 나타냄), 및 수강 과목(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과목들)을 포함한다.
도 3에서 랭킹 이동은 퍼센트(%)로 표시되어 있으나 순위로 표시될 수 있고, 0.1% 단위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랭킹 이동에서 10%가 선택되면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에는 0.1%부터 10%까지에 속하는 학습자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랭킹자 이동의 20%가 선택되면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는 10%초과부터 20%까지에 속하는 학습자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특정 퍼센트(예를 들면, 30%)를 나타내는 랭킹 이동의 정보가 선택되면 제1컴퓨터(110-1)는 선택된 랭킹 이동의 정보(예를 들면, 30%)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는 전체 학습자 랭킹 중에서 선택된 랭킹 이동의 정보(예를 들면, 30%)에 해당하는 부분 학습자 랭킹만을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1컴퓨터(110-1)는 부분 학습자 랭킹만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부분 학습자 랭킹은 도 3에 도시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1)와 유사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제1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모든 학습자들(또는 모든 합격자들) 또는 일부의 학습자들(또는 일부의 합격자들)을 포함하는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를 상기 제1학습자의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서버(200)는 학습 시간 순서로 학습자 랭킹 리스트(403)를 제공할 수 있고, 수강 강의 순서로 학습자 랭킹 리스트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학습 시간 순서(예를 들면, TM1>TM2>TM3>TM4)로 제공된 학습자 랭킹 리스트 (403)가 도시된다고 가정한다.
서버(200)는 제1학습자와 동일한 과정(또는 시험)을 공부(또는 준비)하는 다른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처리하는 서비스(또는 과정)를 수행한다(S120).
제1학습자가 제1아이디(ID1)를 갖는 제2학습자의 제2학습 정보를 보고 싶어할 때, 상기 제1학습자는 제1아이디(ID1)를 포함하는 부분(405)을 선택(또는 클릭)한다(S121). 즉, 제1학습자는 제2학습자를 선택한다(S121).
제1컴퓨터(110-1)는 특정 랭킹에 표시되며 제1아이디(ID1)를 갖는 제2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123). 서버(200)는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학습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정보 중에서 제1아이디(ID1)를 갖는 제2학습자의 제2학습 정보를 검색하고(S125), 검색된 제2학습 정보를 검색 정보로서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한다(S127). 제1컴퓨터(110-1)는 제2학습자의 제2학습 정보에 해당하는 제2GUI(GUI2)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129).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학습자 랭킹에서 제1아이디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아이디에 해당하는 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제2GUI(GUI2)는 전체 학습량 아이콘(411)과 나와 비교하기 아이콘(413)를 포함한다. 제1학습자는 전체 학습량 아이콘(411)을 선택(또는 클락)했다고 가정한다.
제2GUI(GUI2)는 제2학습자가 수강중인 과정 아이콘(415)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수강중인 과정(415)은 [2018-11-07~2019-10-31 [2019] 공인중개사 1, 2차 과정반]일 수 있다. 제2학습자가 수강중인 과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제2학습자가 수강중인 과정이 2개일 때, 제1학습자는 2개의 과정들 각각을 선택하여 제2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볼 수 있다.
제2GUI(GUI2)는 제2학습자의 학습시간 또는 수강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417)을 표시한다. 제1학습자가 제2학습자의 '수강 개수'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제2GUI(GUI2)는 제2학습자의 오늘 학습량(419)을 표시하고, 제2학습자의 이번달 학습량과 누적 학습량(421)을 표시한다.
제2GUI(GUI2)는 제2학습자의 과목별(425) 또는 커리큘럼별(427) 월별 학습량 (423)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과목별(425) 월별 학습량이 선택되면, 제2학습자가 수강한 모든 과목들에 대한 수강 개수의 합이 월별(YM1~YM7)로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각 그래프(429)는 모든 과목들에 대한 수강 개수의 합을 나타낸다.
제2GUI(GUI2)는 과목별 학습 정보(431)를 표시한다. 과목별 학습 정보(431)은 각 과목에 대한 교수별 학습량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2학습자는 민법 과목에 대해서는 제1교수(prof1)의 강의를 10개 수강(또는 학습)했고, 제2교수(prof2)의 강의를 15개 수강했고, 제3교수(prof3)의 강의를 40개 수강했다. 또한, 제2학습자는 세법 과목에 대해서는 제4교수(prof4)의 강의를 20개 수강했고, 제5교수 (prof5)의 강의를 27개 수강했다.
과목별 학습 정보(431)는 시각적으로 표시된 과목별 학습 비중(433)을 퍼센트(%)로 표시할 수 있다. 제2학습자의 제2학습 정보는 오늘 학습량(419), 이번달 학습량과 누적 학습량(421), 월별 학습량(423), 및 과목별 학습 정보(4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학습자는 상기 제1학습자와 동일한 과정(또는 시험)을 공부(또는 준비)하는 제2학습자의 제2학습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버(200)는 나와 비교하기 서비스(또는 과정)를 수행한다(S130).
도 5는 나와 비교하기를 위해 비교 대상자가 선택되었을 때 학습시간 기준으로 나의 학습 정보와 상기 비교 대상자와의 학습 정보에 대한 비교 정보를 나타낸다.
제1학습자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나와 비교하기' 아이콘(413)이 선택될 때, 비교 대상자 선택 창(501)에는 비교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제1학습자는 비교 대상자 선택 창(501)에 비교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비교 대상자 선택 창(50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교 대상자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학습자는 제1컴퓨터(110-1)를 이용하여 나와 비교하기를 선택한다(S131).
비교 대상자가 선택되면, 제1학습자는 비교 대상자의 학습 시간과 수강 개수 아이콘(503)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 대상자의 학습 시간(503)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1학습자는 제3GUI(GUI3)에서 특정 기간(505)을 선택(또는 입력)한다.
제1학습자가 제1컴퓨터(110-1)를 이용하여 나와 비교하기를 위해 비교 대상자(501), 학습 시간(503), 및 특정 기간(505)을 선택하면(S131), 제1컴퓨터(110-1)는 제1학습자의 정보(예를 들면, 아이디), 비교 대상자에 대한 정보(예컨대, 아이디), 학습 시간, 및 특정 기간을 포함하는 비교 정보 전송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133).
서버(200)는 비교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제1학습자의 제1학습 정보와 비교 대상자의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 정보(예를 들면, 1-대-1 비교 정보)를 생성하고(S135), 생성된 비교 정보를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한다(S137). 제1컴퓨터(110-1)는 수신된 비교 정보에 해당하는 제3GUI(GUI3)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S139).
최근 6개월 동안의 학습 시간을 기준으로, 제1학습자가 선택한 비교 대상자의 학습 정보와 상기 제1학습자의 학습 정보는 1-대-1로 비교되는 형태로 전체 학습량(507), 월별 학습량(509), 과목별 학습량(511), 및 교수별 학습량(513)이 제3GUI(GUI3)에 표시된다. 교수별 학습량(513)은 각 과목에 대한 교수별 학습량이 표시된다.
도 6은 나와 비교하기를 위해 비교 대상자가 선택되었을 때 수강강의 기준으로 나의 학습 정보와 상기 비교 대상자와의 학습 정보에 대한 비교 정보를 나타낸다.
제1학습자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나와 비교하기 아이콘(413)이 선택될 때, 비교 대상자 선택 창(501)에는 비교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1학습자는 비교 대상자 선택 창(501)에 비교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비교 대상자 선택 창(50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교 대상자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학습자는 제1컴퓨터(110-1)를 이용하여 나와 비교하기를 선택한다(S131).
비교 대상자(501)가 선택되면, 제1학습자는 상기 비교 대상자의 학습 시간과 수강 개수 아이콘(503)을 이용하여 상기 비교 대상자의 수강 강의(503)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1학습자는 제4GUI(GUI4)에서 특정 기간(505)을 선택(또는 입력)한다.
제1학습자가 제1컴퓨터(110-1)를 이용하여 나와 비교하기를 위해 비교 대상자(501), 수강 강의(503), 및 특정 기간(505)을 선택(또는 입력)하면(S131), 제1컴퓨터(110-1)는 제1학습자의 정보, 비교 대상자에 대한 정보, 수강 강의, 및 특정 기간을 포함하는 비교 정보 전송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133).
서버(200)는 비교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제1학습자의 제1학습 정보와 비교 대상자의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1-대-1 비교 정보를 생성하고(S135), 생성된 1-대-1 비교 정보를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한다(S137). 제1컴퓨터(110-1)는 수신된 비교 정보에 해당하는 제4GUI (GUI4)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139).
최근 6개월 동안의 수강 강의를 기준으로, 제1학습자가 선택한 비교 대상자의 학습 정보와 상기 제1학습자의 학습 정보는 1:1로 비교되는 형태로 전체 학습량 (521), 월별 학습량(523), 과목별 학습량(525), 및 교수별 학습량(527)이 제4GUI (GUI4)에 표시된다. 교수별 학습량(513)은 각 과목에 대한 교수별 학습량이 표시된다.
서버(200)는 나의 학습량 처리 서비스(또는 과정)을 수행한다(S140).
제1학습자가 나의 학습량을 선택하면(S141), 제1컴퓨터(110-1)는 나의 학습량 전송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S143). 서버(200)는 나의 학습량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제1학습자의 학습 정보를 검색하고(S145), 검색된 학습 정보를 제1컴퓨터(110-1)로 전송한다(S147).
제1컴퓨터(110-1)는 제1학습자의 학습 정보에 해당하는 제5GUI(GUI5)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S149).
실시 예들에 따라, 비교 대상자가 2명 선택될 때, 비교 정보는 1-대-2 비교 형태로 제4GUI(GUI4) 또는 제5GUI(GUI5)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나의 학습량에 대한 학습 정보의 실시 예이다.
제5GUI(GUI5)는 나의 학습 활동을 표시한다. 나의 학습 활동은 이번달 학습자 랭킹이 상위 몇 퍼센트인지, 이번달 학습 시간이 몇 시간이고, 몇 개의 강의를 수강했는지, 및 이번주 출석 현황과 출석률을 포함한다. 학습 정보 처리 모듈(210)은 서버(200)에 접속하여 강의를 수강한 날에 기초하여 출석 현황과 출석률을 생성된다.
제5GUI(GUI5)는 나의 학습량을 표시한다. 나의 학습량은 수강 중인 과정 (601)을 표시하고, 수강개수 기준(603)이 선택되면 상기 나의 학습량은 수강 개수 기준(603)으로 계산된 오늘 학습량(607), 이번달 학습량과 누적 학습량(609), 월별 학습량(611), 및 과목별 학습 정보(619)를 포함한다.
또한, 나의 학습량은 수강 중인 과정(601)을 표시하고, 학습시간 기준(605)이 선택되면 학습시간 기준(605)으로 계산된 오늘 학습량(607), 이번달 학습량과 누적 학습량(609), 월별 학습량(611), 및 과목별 학습 정보(61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110-1~110-n: 학습자의 컴퓨터
200: 서버
210: 학습 정보 처리 모듈
220: 학습자 랭킹 처리 모듈
230: 비교 정보 처리 모듈
240: 통신 모듈
250: CPU
260: 메모리 장치
310: 학습 정보 데이터베이스
320: 온라인 강의 자료 데이터베이스

Claims (2)

  1. 서버가, 학습자들 각각이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강한 강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학습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자들 각각에 대한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 그리고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들의 컴퓨터들 중에서 제1컴퓨터로 랭킹 이동, 학습 시간, 및 수강 강의를 모두 포함하는 학습자 랭킹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1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학습자 랭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랭킹 이동에 포함된 퍼센트 범위들 중에서 특정 퍼센트 범위일 때에는 상기 특정 퍼센트 범위에 포함되면서 상기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학습 시간일 때에는 상기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랭킹 요청이 상기 수강 강의일 때에는 상기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을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컴퓨터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학습 시간 순서의 학습자 랭킹, 상기 수강한 강의의 개수 순서의 학습자 랭킹, 및 상기 순위로 표시되는 퍼센트 순서의 학습자 랭킹 중에서 어느 하나에 포함된 제2학습자에 대한 학습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학습자에 대한 제2학습 정보에 해당하는 제2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학습자의 전체 학습량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나와 비교하기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가 수강 중인 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의 학습 시간 또는 수강 개수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제2학습자의 오늘 학습량, 상기 제2학습자의 이번달 학습량과 누적 학습량, 과목별 월별 학습량 또는 커리큘럼별 월별 학습량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 및 각 과목에 대한 교수별 학습량을 표시하는 과목별 학습정보를 포함하는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컴퓨터를 사용하는 제1학습자가 상기 제2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나와 비교하기 아이콘을 선택할 때,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학습자와의 비교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학습자에 대한 제1학습 정보와 상기 제2학습 정보에 대한 비교 형태의 비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 정보를 상기 제1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220080517A 2019-10-30 2022-06-30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488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517A KR102488664B1 (ko) 2019-10-30 2022-06-30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196A KR102420709B1 (ko) 2019-10-30 2019-10-30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80517A KR102488664B1 (ko) 2019-10-30 2022-06-30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196A Division KR102420709B1 (ko) 2019-10-30 2019-10-30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118A true KR20220098118A (ko) 2022-07-11
KR102488664B1 KR102488664B1 (ko) 2023-01-13

Family

ID=7591793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196A KR102420709B1 (ko) 2019-10-30 2019-10-30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80494A KR102488661B1 (ko) 2019-10-30 2022-06-30 저장 매체에 저장된 학습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80527A KR102488666B1 (ko) 2019-10-30 2022-06-30 학습 정보 제공 서버
KR1020220080517A KR102488664B1 (ko) 2019-10-30 2022-06-30 서버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196A KR102420709B1 (ko) 2019-10-30 2019-10-30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80494A KR102488661B1 (ko) 2019-10-30 2022-06-30 저장 매체에 저장된 학습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80527A KR102488666B1 (ko) 2019-10-30 2022-06-30 학습 정보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207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59A (ko) * 2000-04-12 2001-11-07 제진훈 합격자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953873B1 (ko) 2008-10-10 2010-04-20 강민수 전자 지도 학습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0955275B1 (ko) 2007-05-16 2010-04-30 김장수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37904A (ko) * 2012-06-08 2013-12-18 이투스교육 주식회사 온라인/모바일 환경에서 스터디 플래너를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583185B1 (ko) * 2015-03-18 2016-01-06 주식회사 세인엔씨에스 온라인 강의 제공 및 수강확인에 따른 장학제공 방법
KR102001212B1 (ko) * 2018-01-25 2019-07-18 심현보 인공지능 타이머를 이용한 네트워크형 공부시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59A (ko) * 2000-04-12 2001-11-07 제진훈 합격자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955275B1 (ko) 2007-05-16 2010-04-30 김장수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53873B1 (ko) 2008-10-10 2010-04-20 강민수 전자 지도 학습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20130137904A (ko) * 2012-06-08 2013-12-18 이투스교육 주식회사 온라인/모바일 환경에서 스터디 플래너를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및 기록매체
KR101583185B1 (ko) * 2015-03-18 2016-01-06 주식회사 세인엔씨에스 온라인 강의 제공 및 수강확인에 따른 장학제공 방법
KR102001212B1 (ko) * 2018-01-25 2019-07-18 심현보 인공지능 타이머를 이용한 네트워크형 공부시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217A (ko) 2021-05-10
KR102488666B1 (ko) 2023-01-13
KR20220098119A (ko) 2022-07-11
KR102488661B1 (ko) 2023-01-13
KR102420709B1 (ko) 2022-07-14
KR20220098117A (ko) 2022-07-11
KR102488664B1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buenca et al. Time will tell: The role of mobile learning analytics in self-regulated learning
Kim et al. Effects of learning analytics dashboard: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dashboard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Consolvo et al. Conducting in situ evaluations for and with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US20120164619A1 (en) Educational Assess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Greiff et al. Measuring complex problem solving: 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heories
Rudi et al. The instructor assistant system (iASSYST)-utilizing eye tracking for commercial aviation training purposes
JP2013235238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US20190150819A1 (en) Automated correlation of neuropsychiatric test data
US20030207238A1 (en) Training methods and systems
JP2019053282A (ja) 学習支援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arter et al. Prototypes in the wild lessons from three ubicomp systems
Anderson-Cook et al. Making the concepts of power and sample size relevant and accessible to students in introductory statistics courses using applets
Sohn et al. A study on the student pilot's mental workload due to personality types of both instructor and student
Guettala et al. Ubiquitous learning a new challenge of ubiquitous computing: state of the art
KR20210051286A (ko)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20709B1 (ko) 학습 정보 제공 서버, 이를 이용한 학습 정보 제공서비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20270B1 (ko)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210118015A (ko) 학습 일정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WO2019236331A1 (en) Student-centered learning system with student and teacher dashboards
Laffey et al. A context awareness system for online learning: Design based research
Durães et al. Modelling an intelligent interaction system for increasing the level of attention
CN114331390A (zh) 一种分班排课系统及方法、设备及存储介质
Mannion From face-to-face to flipped: strategic adaptation of library instruction during a pandemic
KR20180097857A (ko) 학습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JP2002108194A (ja) 学習システム、学習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