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028A - 초전도 케이블용 케이블 조인트 및 관련 기술 - Google Patents

초전도 케이블용 케이블 조인트 및 관련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028A
KR20220098028A KR1020227020707A KR20227020707A KR20220098028A KR 20220098028 A KR20220098028 A KR 20220098028A KR 1020227020707 A KR1020227020707 A KR 1020227020707A KR 20227020707 A KR20227020707 A KR 20227020707A KR 20220098028 A KR20220098028 A KR 20220098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ounting
conductive member
superconducting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커리 하트윅
필립 미첼
브란도 엔. 소르봄
제임스 어비
루이 비에이라
윌리엄 백
에리카 살라자르
빈센트 프라이
Original Assignee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커먼웰스 퓨젼 시스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커먼웰스 퓨젼 시스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2009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8Connections to or between superconductiv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2/00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 H01B12/02Superconductive or hyperconductive conductors, cables, or transmission lin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01R4/46Clamping area between two screws placed side by s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34Cable fittings for cryogenic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에 커플링되기 위한 기술, 케이블 조인트 및 관련 구조가 설명된다. 케이블 조인트는 상기 조인트의 길이를 규정하는 길이를 가지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고, 전도성 부재는 제1초전도 케이블 및 제2초전도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제1마운트 영역 및 제2마운트 영역을 가지고, 제1초전도 케이블 및 제2초전도 케이블은 상기 제1마운트 영역 및 제2마운트 영역의 표면과 상기 제1초전도 케이블 및 제2초전도 케이블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고 가단성(malleable)이 있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레이어를 가진다.

Description

초전도 케이블용 케이블 조인트 및 관련 기술
고온 초전도체(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케이블과 사용되기 위한 케이블 조인트는, 케이블 또는 조인트 영역(joint region) 내에서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대-테이프(tape-to-tape)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에서, 케이블 내의 각각의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는, 하나의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를 다른 것에 연결(join)할 수 있도록, 인접한 초전도 테이프 상에 특별하게 준비(예: 측정(measured), 절단(cut), 납땜(soldered) 또는 프레스(pressed) 등) 되어야 한다. 조인트 영역 내에서의 균일한 전류 분포를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테이프 쌍이 동일한 접촉 저항을 가지도록 보장하는 시도가 주의 깊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정은 매우 느리고, 지루하며(tedious), 복잡하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error-prove). 따라서, 이러한 공정은 대규모의 연구 또는 산업 규모에서 요구되는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대량 생산 처리로 확장되지 않는다.
일본 국립 융합 과학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Fusion Sciences in Japan)가 구상한 100-kA 등급 케이블에 대한 한 조인트 개념은, 인듐(indium) 필름을 사이에 두고 두개의 바텀 섹션에 걸쳐 고정되는 상단 피스(piece)를 가지는 조인트의 양 사이드에서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의 계단식 구성(stair-stepped or staircase)을 사용한다. 이러한 조인트는 낮은 자기장에서 낮은 저항을 보여주었지만, 매우 길고(어떤 경우에는 거의 1 미터(meter)), 계단식 구성의 기하학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게다가, 일단 인듐 필름이 노출된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에 프레스 되면(pressed), 이렇게 만들어진 구조를 분리하기 어려워 테이프와 함께 프레스 되어 형성된 조인트를 열기(open up)(또는 “분리(demount)” 또는 “해제(disengage)”)가 어렵다.
초전도체(superconductor)이거나 또는 정상 전도체(즉, 비-초전도성(non-superconducting) 전도체)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도체에 초전도성 케이블을 커플링(coupling) 또는 접합하기(joining) 위한 구조 및 관련 기술들이 설명된다. 실시 예에서, 초전도 케이블은 고온 초전도성(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케이블일 수 있다. 설명된 구조 및 기술은 “케이블 조인트”(또는 더 단순하게 “조인트”)의 일부 및/또는 이를 형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설명된 조인트 실시 예는 초전도 케이블을 커플링 하기 위한 선행 기술에 비해 다음 - 초전도 케이블을 분리(demount) 및 재장착(remount)하기 위한 능력, 동일하거나 유사한 용도에 대해 종래의 조인트 길이보다 짧은 조인트 길이, 선행 기술의 접근법에 비해 간단한 제조 가능성, 선행 기술의 접근법에 비해 저렴한 비용, 및, 선행 기술의 접근법에 비해 증가된 견고성(robustness) - 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완전한 케이블 조인트는 전도성 접합 부재(conductive joining member)(또는 “접합 부재(joining member)” 또는 “전도성 부재(conductive member)”) 및, 초전도 케이블을 접합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클램프 구조(예: 초전도 케이블 또는 접합 수단(joining means)에 볼트 연결 또는 다르게 커플링되는 클램프)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여기에 설명된 개념에 따라 제공된 구조는 하나의 초전도 케이블을 다른 케이블(초전도 케이블이거나 아닐 수 있음)에 연결(couple)하여 케이블 대 케이블 조인트(cable-to-cable joint)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사이의 케이블 대 케이블 조인트(또한, 여기서 “케이블 조인트(cable joint)” 또는 보다 간단하게 “조인트(joint)”라고 언급되는)는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mounting region)에 초전도성 케이블을 배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은 전도성 부재의 대향하는 사이드들에 위치한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둥근(round) 구리 재킷된(copper-jacketed)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사이의 케이블 대 케이블 조인트는 전도성 부재의 폼 피팅(form -fitting)된 마운팅 영역(즉, 구리 재킷된 초전도 케이블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선택된 형상을 가지는 마운팅 영역)의 양 사이드에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을 압축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에서, 초전도 케이블의 제작 후 조인트를 생성하기 위한 몇 가지 매우 간단하고 제한된 공정 단계만이 요구된다. 완전한 조인트(complete joint)는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초전도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수단은 접합될(to be joined) 케이블 및 전도성 부재에 볼트연결 또는 다르게 고정되는 클램프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단성이 있는(malleable) 전도성 재료는 전도성 부재 마운팅 영역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클램프를 통해 마운팅 영역에 가압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도성 재료는 인듐 와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클램프는 전도성 부재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접합될 초전도 케이블이 초전도(HTS) 테이프 또는 초전도(HTS) 테이프 스택을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 기존의 케이블 제작 공정을 넘어서는 초전도(HTS) 테이프 또는 초전도(HTS) 테이프 스택의 준비는 거의 또는 어떤 경우에 요구되지 않는다. 케이블은 클램프를 느슨하게 하거나(loosening) 또는 제거함으로써 분리(de-mount)될 수 있다. 전도성 부재를 재사용하기 위해, 전도성 재료가 제거(예: 예를 들어 브러시 등으로 스크러빙하여 클리닝됨)되거나, 또는, 다른 기계적 기술, 또는 세척액 또는 페이스트가 적용, 또는 세척액/페이스트 및 기계적 클리닝이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케이블 조인트는 완전히 제거될 수 있고, 약간의 노력 및 공구에 의해 재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가능하고 재 장착 가능한 종류의 조인트는 완전히 분리 가능한 실용적인 초전도(HTS) 자석의 설계 및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 예에서, 조인트 준비 공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a) 적용 요구에 기초하여 조인트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b) 적어도 두개의 마운팅 영역을 포함하는 전도성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 각각의 마운팅 영역은 전도체를 수용하도록 선택된 형상을 가지고, 조인트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짐-. 두개의 둥근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즉,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이 접합되는 실시 예에서, 전도성 부재는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전도성 케이블 재킷을 수용하기 위한 반경을 가진 마운팅 영역을 가지는 소위 '더블 새들(double saddl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정은 선택적으로 (c)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접촉될 케이블의 부분으로부터 오염물(예: 산화물 또는 기타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케이블의 부분을 연마재(abrasive material)로 문지르거나(예: 샌딩(sanding))(예: 재킷을 샌딩하거나), 또는,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접촉될 케이블의 부분을 래핑(lapping)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접촉될 케이블의 부분을 클리닝하고, 케이블 및 마운팅 영역의 표면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에서 낮은(이상적으로 최소(minimal)) 저항률(resistivity)을 보장하기 위해 표면 접촉 영역을 증가(이상적으로 최대화(maximize))시킬 수 있다. 공정은 선택적으로 (d) 초전도 케이블의 재킷 및 상응하는(corresponding)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을 도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정은 또한 선택적으로 (e) 케이블 표면 및 마운팅 영역 표면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표면적을 증가(및, 이상적으로 최대화)시켜 전기적 저항을 감소(및 이상적으로 최소화)시키도록,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 내에 가단성이 있는(malleable) 전도성 재료(예: 인듐(indum))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 (a) - (c)는 달리 비실용적이지 않는 한, 임의의 편리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실시 예에서, 케이블은, 가단성이 있는 전도성 재료가 마운팅 영역의 표면 및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연속적이고(continuous), 이어지는(contiguous) 레이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가지고,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및 전도성 부재 사이의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접촉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을 홀딩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임의의 클램핑 수단 또는 볼팅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단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두개의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은 전도성 더블 새들로 압축될 수 있고, 케이블 및 더블 새들 사이의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접촉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볼팅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압입 끼워맞춤(press fit) 또는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이 케이블 부분 및 마운팅 영역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외부 재킷 및 내부 재킷을 가지는 한 쌍의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외부 재킷 부분이 제거되어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내부 재킷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연결(coupling)을 위한 선행 기술의 조인트와 달리, 케이블 자체의 부분(예: 외부 재킷을 가지는 케이블 부분)이 조인트의 부분을 형성한다. 클리닝 공정 외에, 케이블 구성요소(즉. 외부 재킷을 가지는 케이블 부분)의 기계적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특히, 고온 초전도(HTS) 재료(예: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를 포함하는 초전도 케이블의 경우, 초전도 케이블이 제작된 이후에는 고온 초전도(HTS) 재료에 대한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문서에서는 예를 들어, 두개의 초전도 케이블(예: 두 개의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사이 또는, 초전도 케이블 및 일반 전도체 사이의 연결(connection)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가 설명된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개념에 따라 제공되는 조인트는 두개의 초전도 케이블 사이 또는 초전도성 전도체 및 전원 공급 단자(power supply terminal)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설명된 개념에 따라 제공되는 조인트는 초전도성 및/또는 일반 전도체 구조(예: 초전도체 및/또는 일반 케이블)의 “분리(demounting)” 또는 재장착(remounting)”을 허용한다. 이러한 특성은, 예를 들어, 재사용 가능한 시험 기구(test fixtures) 또는 자석의 수명 동안 고온 초전도(HTS) 자석을 분해(disassemble)하는 것이 유리한 고온 초전도(HTS) 자석의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설명된 개념에 따라 제공되는 조인트는 유사한 응용분야에서 종래의 조인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초전도 응용분야에서 공간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초전도 응용분야에서 짧아진 길이가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분서에 설명된 개념에 따라 제공되는 조인트는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과 같은 초전도 케이블을 접합하기 위한 종래의 조인트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상술한 요약은 예시로써 제공되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개시된 실시 예를 만들고 사용하는 방식 및 공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 및 구조는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대신 본 문서에 설명된 개념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유사한 참조번호는 상이한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지정한다. 또한, 실시 예는 도면에 제한되지 않고 예시로써 설명된다.
도 1은 케이블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초전도 케이블 중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케이블의 단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1b는 소위 “기도하는 손(Praying hands)” 구성으로 케이블이 접합되어 있는, 도 1의 전도성 접합 부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전도성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소위 “악수(shaking hands)” 구성으로 케이블이 접합되어 있는, 도 1의 전도성 접합 부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전도성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두 개의 초전도 케이블이 접합되어 있는 케이블 조인트 전도성 연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2의 2a-2a 라인에 따른 전도성 접합 부재 케이블 조인트 및 초전도 케이블의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케이블 조인트에 연결된 한 쌍의 초전도 케이블의 단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케이블 조인트에 장착되기 위한 초전도 케이블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본 문서에서 특정 케이블 조인트 구성에 대한 참조가 때때로 이루어지지만,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인식된다.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특정 타입의 초전도 케이블(예: 특정 타입의 초전도 케이블 기하학적 구조)이 본 문서에서 때때로 참조된다. 본 문서에서 특정 타입의 초전도 케이블(예: 특정 타입의 초전도 케이블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참조가 때때로 이루어지지만,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문서에 설명된 조인트 구조 및 기술이 임의의 기하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임의의 기술로부터 제공되는 초전도 케이블을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초전도 케이블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문서에 제공된 개시를 읽은 후,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정 타입의 초전도 케이블 또는, 특정 타입의 초전도 케이블 기하구조 또는 구성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조인트 조정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이해할 것이다.
여러 도면에 걸쳐 유사한 참조 지정을 갖는 유사한 구성요소가 제공되는 도 1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조인트(8)은 대향하는 사이드에 전도체 마운팅 영역(9a, 9b)을 가지는 메인 바디(9)(또한, 전도성 접합 부재로 지칭하고, 때때로 “전도성 부재” 또는 “접합 부재”라고도 지칭됨)를 포함한다.
본 문서에는 나란한 중앙 종축(13a, 13b)을 가진 전도성 부재(9)의 대향하는 사이드에 마운팅 영역(9a, 9b)이 도시되어 있지만,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마운팅 영역(9a, 9b)이 도 1에 도시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향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 전도성 부재(9)는 마운팅 영역(9a, 9b)이 대향하는 사이드에 있되 상호 오프셋(즉, 중앙 종축(13a, 13b)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정렬되지 않음)되거나, 마운팅 영역(9a, 9b)이 서로에 대해 각도(예: 90도)를 형성(예: 마운팅 영역 축들이 직교할 수 있음)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매우 필요할 수 있다. 다른 변형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운팅 영역은 전도성 부재의 동일 면(예: 장착 영역들은 전도성 부재의 동일 면 상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음)에 있을 수 있다. 전도성 부재(9)의 마운팅 영역의 특정 위치, 방향 및 형상은 특정 응용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 케이블은 축 대칭일 필요는 없다. 실시 예에서, 케이블은 어느 방향으로든 축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실시 예에서, 소위 “기도하는 손(praying hands)” 구성이 도시되나, 하나의 케이블(예: 케이블(12))을 제2케이블(예: 케이블(14)에 대해 180도 뒤집으면 소위 “악수(shaking hands)” 구성을 가지는 조인트(도 1c 참조)가 된다. 간단히 말해, 마운팅 영역(9a, 9b))은 각각에 대해 0도 내지 180도 사이에서 배향된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방식으로 배향(예: 각각의 케이블의 중앙 종축은 서로에 대해 0도 내지 180도 사이에서 배향될 수 있음)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영역(9a, 9b) (따라서, 전도성 부재(8))은 직선이 아닌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도성 부재(9)의 마운팅 표면 및 케이블은 그 길이를 따라 곡선 경로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경로를 따를 수 있다.
마운팅 영역(9a, 9b)는 관련된 장착 표면(10a, 10b)(도 1에서는 마운팅 영역(10a)만 보여짐)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마운팅 영역(9a, 9b)은 전도성 부재(9)에 C-형상 공극(C-shape voids) 또는 C-형상 영역(C-shape regions)로 제공되어, 소위 “더블-새들(double-saddle)” 형상을 가지는 조인트(8)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도성 부재(9)는 때때로 “새들 부재(saddle member)” 또는 “새들 피스(saddle piece)”로 지칭된다.
마운팅 영역(9a, 9b)의 적어도 특정 단면 형상, 길이 및, 구성(예: 마운팅 영역 길이를 따른 경로)은 전도성 부재(9)가 대면하도록 의도된 전도체(예: 전도체(12), 전도체(14))의 형상에 매칭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 전도성 부재(9)의 마운팅 영역(9a, 9b)은 직선(즉, 그 길이를 따른 직선 경로)이고,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직선 전도체(12, 14)(즉, 직선 경로 길이를 가지는 전도체)에 대면하도록 의도되고, 마운팅 영역(9a, 9b)은 전도체의 단면 형상 및 경로 길이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선택된 임의의 규칙적 또는 불규칙한 기하학적 형상(예: 곡선 마운팅 영역은 곡선 경로 길이를 가지는 전도체를 수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마운팅 영역(9a, 9b)는 직사각형(rectangular) 단면 형상, 정사각형(square) 단면 형상, 타원형(oval) 단면 형상, 다면형(multi-faceted)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하학적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마운팅 영역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음(즉, 각각의 마운팅 영역은 예를 들어,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케이블을 연결(join)하기 위해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마운팅 영역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C-형상의 마운팅 표면을 가질 수 있고(도 1,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제2마운팅 영역은 평평한 마운팅 표면을 가짐으로써, 평평한 표면(예: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버스 바)을 가지는 전도체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새들 부재(9)는 전체 또는 부분적이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들 부재(9)는 구리(c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전도성 재료의 한 종류는 무산소 고 전도성(OFHC, oxygen free high conductivity)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새들 부재(9)는 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 합금을 예로 들자면 C101 구리와 같은 고전도성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C101 구리의 전기적 및 기계적/구조적 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전기적 및 기계적/구조적 특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는 물론, 합금 구리(예: 청동(bronze), 은이 도핑된 구리(copper doped with silver) 등)도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합금(다른 구리 합금을 포함하는)도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응용 분야에서, 재료를 선택 시 재료의 강도 및 재료의 전도성 사이의 절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응용 분야에서는 보다 높은 강도(strength)를 제공하나 전도성(conductivity)이 손실된 재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응용 분야에서는 보다 높은 전도성을 제공하나 강도가 손실된 재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문서에 제공된 개시를 읽은 후,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정 용도를 위한 전도성 부재(9)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재료(또는 재료들)를 어떻게 선택하는지 여부를 이해할 것이다.
케이블의 표면 및/또는 장착 표면은 그 내부의 결함(즉, 피트(pits) 또는 피크(peaks)를 가짐)을 가질 수 있으므로, 거칠다(rough)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은 케이블 및 마운팅 영역의 표면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거나 또는 접촉 표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운팅 영역(9a, 9b)의 마운팅 표면(10a, 10b)에는 가단성이 있는(malleable) 전도성 재료(11)가 배치된다. 전도체(예: 케이블)이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 때, 가단성 있는 전도성 재료(11)가 결함을 채우도록 변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함을 제거하여 마운팅 영역 및 전도체 사이에 연속적인 표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도체 및 마운팅 영역 사이의 접촉하는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표면적의 증가는 전도체 및 마운팅 영역의 전기 전도성의 동시 증가를 가져온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전도성 재료(11)는 도 1의 참조번호 11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마운팅 표면에 배치된 스트립(strip) 또는 라인(line)으로 구성된 전기 전도성 금속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순수한 인듐 와이어는 선택된 와이어들 사이에 간격을 가지고 마운팅 영역에 놓이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마운팅 영역에 케이블을 삽입할 때 전도성 레이어가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전도성 재료는 마운팅 영역(9a, 9b)에 임의의 방향(즉, 길이 방향 또는 횡 방향 또는 임의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실시 예에서, 약 0.031''의 직경을 가지는 인듐 와이어는 약 4mm 내지 10mm 범위의 중심 대 중심(center-to-center) 간격을 가지도록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와이어는 각각의 전도체의 주위에 감기(wrapped around)고, 마운팅 영역(9a, 9b)에 놓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와이어는 내부 재킷(즉, 케이블(12, 14)의 내부 재킷(20))의 주위에 감길 수 있다. 마운팅 영역(9a, 9b)에 각각의 전도체를 배치하면, 전기 전도성 레이어(이상적으로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연속적인(continuous) 전도성 레이어)를 제공하도록 전도성 재료가 변형된다. 실시 예에서, 인듐 와이어는 케이블의 주위에 4mm 피치로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조립과정 중에 인듐을 제자리에 유지하거나 또는 고정하고, 초과 인듐(즉, 마운팅 표면(10a, 10b) 및 전도체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지 않은 인듐 부분)을 제거한다. 이 양의 인듐은 적절하게 압축될 때, 약 0.005''의 두께를 가지는 레이어(또는 시트)가 된다. 이러한 기술은 마운팅 영역 내에 가단성이 있는, 전도성 재료를 배치하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인터페이스 레이어를 얻기 위한 일관된 방법을 가져온다.
실시 예에서, 전도성 재료(11)는 연성 금속(soft metal)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온(예: 약 55F 내지 90F 범위의 온도)에서 가단성이 있는 특성을 가지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의 목적은, “연성 금속”이 바람직하게는 열처리 공정이 없이, 두 개의 표면(즉, 마운팅 표면(10a, 10b) 및 접합될(to be joined) 전도체의 표면) 사이에서 취급(handled)되고, 성형(molded)된 후, 단단히 압착되어(squeezed tightly)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래에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이유로 인해, 전도성 재료(11)가 마운팅 표면(10a, 10b)(또는 전도체(12, 14))에 배치되면, 전도체(예: 케이블(12, 14))가 마운팅 영역(10a, 10b) 각각에 배치될 때 전도성 재료(11)는 전도체(예: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표면 및 마운팅 영역의 표면 사이에 배치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고온 초전도(HTS) 재료” 또는 “고온 초전도(HTS) 초전도체”라는 문구는 자기장에서 30K 이상의 임계 온도를 가지는 초전도 물질을 의미한다.
실시 예에서, 마운팅 영역의 마운팅 표면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금속 레이어(이상적으로는 매우 균일한 금속 레이어)를 제공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금속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질적으로 균일한 변형 및 생성된 레이어는 마운팅 영역의 표면 및 마운팅 영역에 배치된 전도체의 표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접촉을 가져온다. 그러나, 전체 접합 저항(joint resistance)이 두께 또는 레이어에 크게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실시 예에서 균일한 레이어 두께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와이어(예: 인듐 와이어)는 변형된 와이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는 방식(즉, 와이어의 변형 이후에, 금속은 이어지고, 이상적으로는 마운팅 표면 전체를 덮어야 함)으로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도체의 표면과, 마운팅 표면(10a, 10b) 및 저 산화물(low oxidation) 사이에 큰(바람직하게는 가장 큰) 접촉 면적을 확보하도록, 공정의 마지막에 전도성 재료(예: 인듐)의 연속적이고 중단되지 않는 시트 또는 인터페이스 레이어(예: 도 2a의 인터페이스 레이어(1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재료를 변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압력의 정도는, 접합되는 전도체의 구조 및 크기(예: 직경, 단면적 등) 외에 케이블, 새들 부재 및 전도성 재료가 제공되는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전도성 금속(11)은 임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금속(11)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는 타원형,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른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임의의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도성 금속(11)은 전도성 페이스트(paste) 또는 전도성 액체 금속의 형태(또는, 타입으로써)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하기 위한 전도성 금속(11)의 특정 타입 및 형상은 실질적으로 이어지고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접속 레이어가 전도체(예: 케이블(12, 14) 중 하나) 및 마운팅 표면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된다.
실시 예에서, 금속(11)은 인듐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금속(11)은 인듐 와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인듐은 실온에서 연성 금속이므로, 고온 초전도(HTS) 전도체의 표면 및 새들 부재(9)의 표면(10a, 10b) 사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고, 낮은 저항률(resistivity)의 접촉 레이어를 제공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접촉 레이어(도 2의 레이어(15)와 같은)를 허용하도록 변형되는 금속은 케이블 및 새들 부재(9) 사이에 낮은 저항률 경로(예: 나노-옴(nano-ohn) 정도의 저항을 가지는 경로)를 가져온다. 원칙적으로, 조인트의 저항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가용 영역에 따라 거의 선형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접합될 전도체와 접촉될 마운팅 영역 표면 영역을 실질적으로 가능한 만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는, 접합될 케이블이 마운팅 영역에 배치되면, 인터페이스 레이어(15)는 마운팅 영역의 표면 영역 전체를 덮는다.
실시 예에서, 전도성 금속(11)은 전도성 부재(예: 새들 부재)의 마운팅 표면보다는 케이블의 장착 표면 위에 배치되거나 또는 도포(또는 퍼짐(spread)))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도성 금속(11)은 케이블의 장착 표면 및 전도성 부재(예: 새들 부재)의 장착 표면 모두의 부분위에 배치되거나 또는 도포(또는 퍼짐)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도성 인터페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는 금속의 변형 특성을 촉진하거나 용이하게 하기 위해, 케이블 및/또는 마운팅 표면을 가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마운팅 표면(10a, 10b) 각각에 대해 한 쌍의 초전도(superconducting) 케이블(각각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가짐)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 예시에서, 조인트(8)은 두개의 초전도 케이블(12, 14)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초전도 케이블(12, 14)는 고온 초전도체(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케이블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a에서 가장 명확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케이블(14)의 대표로써 케이블(12)을 보면, 케이블(12)는 포머(former)(16)에 제공된 채널에 배치된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18a-18d)를 가지는 포머(16)을 포함한다.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18a-18d)는 솔더(19a-19d)를 통해 각각의 채널에 고정된다. 내부 재킷(20)(예: 구리 재킷)은 포머 및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 주위에 배치되고, 도금(22)(예: 은 도금)은 내부 재킷(2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재킷(20)의 전체 표면이 도금될 수 있지만, 실시 예에서는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 내부 재킷(20)의 표면 일부만 도금되면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 재킷(2)의 약 1/2 정도만 마운팅 표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내부 재킷(20)의 표면의 약 1/2 정도만 그 위에 배치된 도금(22)을 가진다. 외부 재킷(24)(예: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재킷)은 내부 재킷(20) 주위에 배치된다.
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케이블(12)는 하나 이상의 재킷에 의해 둘러싸인 전기 전도성(예: 구리) 포머에 있는 복수의 채널을 가진다. 각각의 체널은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 스택을 가지며, 금속(예: 납땜)에 의해 채워져 있다. 케이블(12)는 또한, 선택적인 냉각 채널(29)을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채널의 폭은 W1이고, 포머의 직경은 D1이며, 내부 재킷의 직경은 D2이고, 외부 재킷의 직경은 D3이다. 실시 예에서, 내부 재킷은 구리를 포함하고, 외부 재킷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포함할 수 있따.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재킷 및 포머에 적합한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초전도 케이블(12, 14)(고온 초전도(HTS) 테이프 스택을 포함할 수 있음)은 새들 부재(9) 내부로 압축되어, 연성 금속(11)이 초전도 케이블(12, 14) 및 새들 부재(9)의 마운팅 표면(10a, 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 전도체(12, 14)는 인듐을 사이에 두고 마운팅 영역(9a, 9b) 각각의 내부에 프레스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되는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12, 14)는 케이블을 마운팅 영역(9a, 9b)에 연결(coupling) 하기 전에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준비는 밑에 있는 내부 재킷(20)이 드러나도록 외부 재킷(24)의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너 재킷(20)의 표면은 접촉 영역(9a, 9b) 내부로 전도체를 삽입하기에 앞서 준비된다. 실시 예에서, 이러한 이너 재킷 준비는 노출된 이너 재킷 전도체를 클리닝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클리닝은 기계적 또는 화학적 기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닝은 오염물(산화물을 포함)을 제거하기 위한 래핑 또는 매우 미세한 샌딩을 통해 수행되어, 전도성을 향상(즉,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구리 내부 재킷(20)의 표면은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래핑, 샌딩 또는 다른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기술에 의해 준비될 수 있음)시킬 수 있다.
클리닝 된 후, 내부 재킷은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내부 재킷의 표면은 선택적으로 은 도금될 수 있다. 유사하게, 마운팅 표면(10a, 10b) 또한 도금될 수 있다. 클리닝 및 도금 공정은, 금속(11)의 사용과 함께, 전도체(12, 18) 및 조인트(8) 사이의 전기 전도성을 높이고 접촉 표면적을 증가(이상적으로는 최대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내부 재킷(22)의 도금된 표면(20)은 마운팅 표면(10a, 10b)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금속(11)에 대해 배치된다.
중요한 것은, 본 문서에 설명된 구조 및 기술을 사용하여, 조인트는 간단히 분리되어, 인듐을 벗기고(stripped), 조인트를 재사용하도록 다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설명된 개념, 구조 및 기술에 따라 제공된 조인트는 종래의 고온 초전도(HTS) 조인트에 비해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선행 기술의 접근 방식(예: 약 25개의 조인트가 실패 없이 제조되고 테스트됨)에 비해 향상된 신뢰도; 종래 기술의 접근법(본 문서에 설명된 컨셉에 따라 제공되는 조인트는 예를 들어, 기계적 사이클링 및 열적 사이클링의 결과로 자석의 정상적인 “마모 및 찢김”에 저항함)에 비해 향상된 견고성; 동일하거나 유사한 용도에 비해 종래의 조인트 길이보다 짧은 조인트 길이; 종래 접근 방식에 비해 덜 복잡한 제조 가능성; 선행 기술의 접근 방식에 비해 저렴한 비용.
따라서, 예시적으로, 고온 초전도(HTS) 전도체(12, 14)는 인듐(11)을 사이에 두고 전도성 새들 멤버(9) 내부로 프레스 된다. 인듐은 실온에서 연성 금속이므로, 변형되어 인터페이스 레이어를 형성하여, 고온 초전도(HTS) 전도체 및 새들 사이에 낮은 저항으로 접촉한다. 래핑, 은도금 및 인듐은 크고 균일한 표면적과, 높은 전기 전도성을 보장한다.
도 1c는 소위 “악수” 구성으로 연결된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12, 14)을 가지는 전도성 부재(9)의 사시도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도 1, 2a와 유사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유사한 요소들이 제공된다. 케이블 조인트(36)은 전도성 부재(9) 및 접합 수단(joining means)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도성 부재(9)는 더블-새들 형상(따라서 더블 새들 부재로 지칭될 수 있음)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두개의 고온 초전도(HTS) 전도체(12, 14)는 접합 수단을 통해 더블 새들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연결(coupling)된다. 냉각 도관(cooling conduits)(32, 34)는 각각의 케이블(12, 14)의 냉각 채널(29)(도 1, 도 1a)에 냉각수(coolant)를 공급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접합 수단은 클램핑 구조(clamping structure)를 형성하도록, 너트(41) 및 볼트(42) 배열을 통해 새들 부재(9) 및 케이블(12, 14)에 고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38, 40)을 포함하는 접합 구조(joining structure)로써 제공된다. 실시 예에서, 다른 접합 구조도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의 나사 구멍(threaded bores)에 연결되는 나사(screw)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합 부재는 스프링 타입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실시 예에서, 영구적인 접합 수단(예: 용접 구조)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브라켓(38, 40)은 스테인리스-스틸 브라켓으로 제공될 수 있다. 두개의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이 전도성 더블 새들 내부로 압축되는 실시 예에서, 케이블 및 더블 새들 사이의 기계적인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최대 40Mpa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클램핑 또는 홀딩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접합 부재가 전도성 부재(9)에 대해 케이블(12, 14)를 확실하게 홀드하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하는 한, 접합 수단이 구현되는 특정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4과 함께 앞서 설명된 케이블 조인트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케이블 조인트를 통해 초전도 케이블을 다른 전도체에 접합하기 위한 공정은 조인트 길이(32)를 선택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정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조인트 길이의 선택 및 결정은 적용 요건(예: 사용 가능한 물리적 공간) 및 케이블 디자인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요인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타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타입의 꼬여진(twisted) 케이블은 꼬이지 않은(non-twisted) 케이블 구성에서 요구되는 조인트 길이와 다른 조인트 길이를 요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인트가 길어질수록 조인트의 저항이 낮아진다. 또한, 조인트가 길어질수록 필요한 냉각이 줄어들고, 조인트의 온도 안정성(stability)가 높아진다. 따라서, 실제 시스템에서, 때때로 이상적인 조인트 길이 및 조인트가 사용되는 특정 응용 분야의 요구되는 조인트 길이의 제한(예: 피하기 어렵거나, 응용 분야에서 피할 수 없는 기계적 및 기하학적 기계적 제약조건) 사이에서 절충이 이루어져야 한다.
꼬여진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이 사용되는 실시 예(예: 도 1,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서, 조인트 길이는 전류를 재분배하는 이유로 정수 수의 트위스트 피치(twist pitch)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가능하다면), 이것이 엄격하게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조인트의 저항으로 인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해 조인트 내의 전류 밀도가 사용가능한 냉각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보다 긴 조인트를 원할 수 있다.
조인트 길이가 결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선택되면, 공정은 결정된 조인트 길이를 가지고 적절한 형상의 전도체 마운팅 영역(34)를 가지는 전도성 부재(예: 도 1의 전도성 부재(9))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서, 전도성 부재는 더블 새들 형상(즉, 대향하는 사이드에 마운팅 영역을 가지고, 원형 단면 형상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가 두개의 둥근 케이블을 연결(couple)하는 실시 예에서, 마운팅 영역은 그러한 케이블을 장착하기 위한 반경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케이블이 외부 재킷 및 내부 재킷을 모두 가지는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로 제공되는 실시 예에서, 각각의 마운팅 영역의 반경은 장착 영역에 배치될 내부 재킷 및 외부 재킷 중 하나의 표면을 수용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마운팅 영역에 내부 재킷이 배치되도록 케이블의 외부 재킷 부분이 제거되면, 마운팅 영역의 반경은 내부 재킷의 반경에 실질적으로 매칭하도록 선택된다.
반면, 외부 재킷이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 경우, 마운팅 영역의 반경은 외부 재킷의 반경에 실질적으로 매칭하도록 선택된다.
이상적으로는, 주로 전기적 및 기계적 이유로 인해 새들 부재 마운팅 영역의 내부 직경(예: 도 1의 새들 부재 마운팅 표면의 직경)이 케이블의 외부 직경에 비해 더 큰(그러나, 어느 때라도 약간 더 큼)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 새들 부재 마운팅 표면의 직경은 케이블 및 마운팅 표면 사이의 압입 공차(press fit tolerance)(ASME Y14.5-2018에 의해 규정됨)가 존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새들 부재 마운팅 표면의 직경은 케이블 및 마운팅 표면 사이의 중간 끼워맞춤(transitional fit), 자유 끼워맞춤(free fit), 또는 느슨 끼워맞춤(loose fit) 공차(ASME Y14.5-2018에 의해 규정됨)가 존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새들 부재가 케이블 주위에 문제없이 맞을 수 있어(즉, 케이블이 새들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핀치 포인트(pinch point) 없이), 압축 클램프가 표면 대 표면(surface to surface) 연결의 높은 균일도를 가지고 케이블 주위에 안장 부재를 감쌀 수 있다. 이것은 케이블의 표면에 가능한 균일하게 압축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좋다(케이블에 기계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 또한, 이것은 전류가 균일하게 흐를 수 있는 영역을 증가시켜(이상적으로는 최대화) 전기 저항을 가능한 한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핀치 포인트는 허용할 수 없는 발열로 인해 매우 큰 전류 밀도를 생성할 수 있음).
케이블이 준비되면(예: 외부 재킷을 제거함으로써), 전도성 더블 새들과 접촉하게 될 케이블 부분이 클리닝 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은 전도성 새들(36)의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또는 접촉하는) 케이블 부분으로부터 오염물(임의의 산화물을 포함)을 제거하도록 클리닝 된다. 이는 예를 들어, 연마재(abrasive material)로 부분을 문지르거나(예: 재킷 샌딩), 또는 전도성 더블 새들과 접촉할 케이블의 재킷의 두 반구(hemisphere)를 래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화학 클리닝 공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계적 클리닝 기술과 함께 사용되거나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케이블 및 케이블이 배치되는 새들 부재 사이의 표면 접촉을 증가(이상적으로는 최대화)시킨다. 전도성 새들의 마운팅 영역에 배치(또는 접촉)될 케이블의 부분은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새들 부재 내부의 마운팅 영역의 표면(10a, 10b) 또한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운팅 표면(36)(도 1의 10a, 10b)에는 실온에서 변형가능하거나 가단성이 있는 전도성 재료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에서, 와이어(예: 인듐 와이어)는 마운팅 표면(10a, 10b)에 놓이거나 달리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새들 부재의 마운팅 표면에 인듐 와이어를 적용할 목적으로 설계된 도구에, 연속적인 길이를 가지는 인듐 와이어가 감긴다. 이 도구를 통해 사용자는 매우 균일한 인듐 평행선 세트를 도구에 쉽게 만들 수 있고, 높은 순응도로 구리 새들에 인듐을 쉽게 옮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듐 와이어의 취급량을 줄이고, 이상적으로는 처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련의 평행한 인듐 와이어 라인을 생성(연결 루프는 더블 새들 내부 직경 바로 바깥에 있음)된다. 물리적으로 부드러운 성질로 인해, 인듐은 준비된 구리 새들 표면에 직접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인듐 와이어는 선택된 피치를 가지는 나선형 경로를 따라 각각의 전도체의 주위에 감길 수 있다. 이 방법은 조립 과정에서 인듐을 제자리에 유지하고, 추가적인 도구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새들 부재에 부착되지 않은 케이블의 절반에 여분의 양의 인듐을 가져온다.
다음으로, 초전도 케이블이 전도성 부재에 배치된다. 실시 예에서, 전도성 부재는 클램프 또는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표면에 초전도 케이블을 홀딩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와 같은 압축 수단을 사용하여 전도성 더블 새들로 압축될 수 있다. 두개의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이 전도성 더블 새들로 압축되는 실시 예에서, 케이블 및 더블 새들 사이의 기계적 접촉을 확보하기 위해 최대 50Mpa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가 압축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케이블을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는 전도성 부재 또는 그 주위에 볼트로 체결된 외부 구조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25Mpa 내지 50Mpa 범위의 압력이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또는 새들 부재에 기계적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압력을 사용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케이블이 마운팅 영역으로 압축되면, 가단성이 있는 금속은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인터페이스 레이어(예: 도 2a의 인터페이스 레이어(15))을 형성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전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 및 더블 새들 사이의 전기 전달을 위한 표면적을 늘리고 이상적으로는 최대화한다.
본 문서에서 설명된 케이블 조인트 설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케이블 자체가 조인트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간단하다. 또한, 실시예에서, 케이블(12, 14)(도 1)는 최소한의 변형(즉, 외부 재킷의 제거) 및 최소한의 준비(예: 새들 부재의 마운팅 표면에 장착될 케이블의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클리닝)만을 요구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본 문서에서 설명된 케이블 접합 방식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준비 및 정밀 제조 시간(예: 약 몇 주 단위)를 필요로 하는 다른 저온 초전도(LTS) 및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설명된 실시 예의 주요 용도는 (a) 두개의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사이 또는 (b)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및 전류 리드와 같은 일반 전도체 사이에, 간단하고, 강하고, 저항이 낮고(low-resistance), 분리 가능한(demountable) 전기 조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조인트는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완전히 분리 가능한 자석의 설계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문서에 설명된 조인트 구조 및 기술은 자석이 포함된 시스템에 대한 혁신적인 설계 부분뿐만 아니라, 자석에 대한 검사(inspection), 유지보수(maintenance), 수리(repair) 및 교체(replacement)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활동의 수행을 용이하게 한다.
본 문서에 설명된 실시 예는 초전도 케이블을 연결(coupling)하기 위한 선행 기술의 조이트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서, 둥근 구리 재킷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사이의 케이블 대 케이블 조인트는 폼 피팅(form-fitting)된 구리 새들의 양 사이드에 있는 케이블을 압축하여 생성된다. 이 접근 방식에서, 케이블이 제작된 후 조인트를 생성하는데 구리 재킷의 가벼운 샌딩(래핑), 구리 재킷의 은도금, 구리 재킷에 인듐 와이어 배치 및, 외부 클램프를 통해 최대 40MPa의 압력으로 전도성 더블 새들의 주위에 케이블을 압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몇 가지 매우 간단하고 제한된 공정 단계만이 요구된다. 기존의 케이블 제작 공정을 넘어서는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 또는 고온 초전도(HTS) 테이프 스택의 준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블 조인트는 최소의 인력과 도구를 가지고 완전히 분리되고 재사용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완전히 분리 가능한 고온 초전도(HTS) 자석의 현실적인 설계 및 제작에 대한 길을 열어준다.
특정 재료에 대한 참조가 본 문서에서 이루어지지만, 적절한 경우에 유사한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가 대체될 수 있고,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어떻게 이러한 재료를 선택하여 상술한 교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문서에 명시된 개념, 기술 및 구조에 대한 실시 예에 통합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보호받고자 하는 개념, 시스템, 장치, 구조 및 기술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 설명된다. 본 문서에 설명된 개념, 시스템, 장치, 구조 및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대안적인 실시 예들이 고안될 수 있다. 다양한 연결 및 위치 관계(예: 위(over), 아래(below), 인접(adjacent) 등)이 아래의 설명 및 도면의 구성요소 사이에 제시되는 점에 유의한다. 이러한 연결 및/또는 위치 관계는,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한,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일 수 있으며, 설명된 개념, 시스템, 장치, 구조 및 기술은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개체들(entities)의 결합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개체들 사이의 위치 관계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위치 관계일 수 있다.
간접적인 위치 관계에 대한 예시로써, “B” 레이어(layer)의 위에 “A” 레이어가 형성되는 것에 대한 본 설명에서의 참조는, “A” 레이어 및 “B”레이어의 특성 및 기능이 중간 레이어(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 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레이어(예: “C” 레이어)이 “A” 레이어 및 ”B” 레이어 사이에 있는 상황을 포함한다. 청구범위 및 설명(specification)의 해석을 위해 아래의 정의 및 약어가 사용된다. 본 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다(includes)”, “포함하는(including)”, “가지는(has)”, “가진(having)”, “함유하다(contains)”, 또는 “함유하는(containing)” 또는 이들의 다른 변형은 비 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조성물, 혼합물,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해당 구성요소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조성물, 혼합물,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나열되거나 고유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시적(exemplary)” 라는 용어는 본 문서에서 “예시로써 제공되는(serving as an example), 예시(instance) 또는 예(illustration)”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문서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 예 또는 도면도 다른 실시예들 및 도면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하게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하나 이상(one or more”) 및 “하나 이상”의 용어는 1보다 크거나 1과 동일한 임의의 정수, 즉, 1, 2, 3, 4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복수(a plurality)”의 용어는 2보다 크거나 동일한 정수, 즉, 2, 3, 4, 5,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연결(connection)”은 간접적인 “연결” 및 직접적인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one embodiment)”, “실시예(an embodiment)”, “예시적인 실시예(example embodiment” 등의 참조는 설명된 실시 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만, 모든 실시 예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 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경우, 명시적으로 설명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이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에 영향이 미치는 것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지식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제출된다.
이하 설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상부(upper)”, “하부(lower)”, “우측(right)”, “좌측(left)”, 수직(vertical)”, “수평(horizontal)”, “상부(top)”, “하부(bottom)” 및 이들의 파생어는 도면에 그려진 방향에 설명된 구조 및 방법과 관련되어야 한다. “위에 가로놓인(overlaying)”, “맨위에(atop)”, “그 위에(on top)”, “위에 위치하는(positioned on)” 또는 “맨 위에 위치한(poisoned atop)”의 용어는 인터페이스 구조와 같은 중간 구성요소가 제1구성요소 및 제2구성요소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상태에서, 제1구조와 같은 제1구성요소가 제2구조와 같은 제2구성요소 위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접 접촉(direct contact)”의 용어는 제1구조와 같은 제1구성요소가 제2구조와 같은 제2구성요소와 어떠한 중간 구성요소 없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범위에서 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수식하기 위한 “첫번째(first)”, “두번째(second)”, “세번째(third)” 등과 같은 순서 용어의 사용은 그 자체로 임의의 우선순위, 선행,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하나의 청구범위 구성요소의 순서, 또는 방법의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적 순서를 내포하지 않으며, 단지 특정 명칭을 가지는 하나의 청구범위 구성요소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다른 구성요소(그러나, 순서 용어의 사용을 위해)와 구별하기 위한 라벨로써 사용된다.
“거의(approximately)” 및 “약(about)”이라는 용어는 일부 실시 예에서는 타겟 값의 ±20% 이내, 일부 실시 예에서는 타겟 값의 ±10% 이내, 일부 실시 예에서는 타겟 값의 ±5% 이내, 그리고 일부 실시 예에서는 타겟 값의 ±2% 이내를 의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거의(approximately)” 및 “약(about)”이라는 용어는 타겟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 동일(substantially equal)”이라는 용어는 일부 실시 예에서는 서로 ±20% 이내, 일부 실시 예에서는 서로 ±10% 이내, 일부 실시 예에서는 서로 ±5% 이내, 그리고 일부 실시 예에서는 서로 ±2% 이내인 값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질적(substantially)”이라는 용어는 일부 실시 예에서는 비교 측정치의 ±20% 이내, 일부 실시 예에서는 비교 측정치의 ±10% 이내, 일부 실시 예에서는 비교 측정치의 ±50% 이내, 그리고 일부 실시 예에서는 비교 측정치의 ±2% 이내를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방향에 “실질적” 수직한 제1방향은 일부 실시 예에서 제2방향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20% 이내, 일부 실시 예에서 제2방향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10% 이내, 일부 실시 예에서 제2방향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5% 이내, 그리고 일부 실시 예에서 제2방향과 90도 각도를 이루는 ±2% 이내를 이루는 제1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개시된 주제는 도면에 도시되거나 아래의 설명에서 정하여진 구성요소의 배치나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적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주제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및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아니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 개시된 주제의 여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 방법 및 시스템의 설계 기준으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개시된 주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그와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개시된 주제가 설명되고 예시되었지만, 본 개시는 예시로만 이루어졌으며, 개시된 주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주제의 구현에 대한 세부사항에서 수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1)

  1. 조인트에 있어서,
    제1마운팅 영역 및 제2마운팅 영역을 포함하는 전도성 부재; 및
    제1전도체를 상기 제1마운팅 영역으로 압축하고, 제2전도체를 상기 제2마운팅 영역으로 압축하는 압축 구조(compression structure)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도체는 상기 제1마운팅 영역 내의 고온 초전도체((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테이프 스택(tape stack)을 포함하는,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구조는 클램프(clamp)를 포함하는, 조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체는 고온 초전도체 테이프 스택을 포함하는, 조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체 및 상기 전도성 부재 사이에 있는 가단성 있는 금속(malleable metal)을 더 포함하는, 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단성 있는 금속은 인듐(indium)을 포함하는, 조인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내부 재킷(inner jacket)을 포함하는, 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재킷에 도금된(plated)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조인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영역은 상기 제1전도체의 형상에 부합(conform)하도록 형성되는, 조인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더블 새들 형상(double saddle shape)를 가지는, 조인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영역은 상기 전도성 부재에 있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 초전도체 테이프 스택은 상기 리세스 내에 있는, 조인트.
  11. 장치(apparatus)에 있어서,
    (a) 상기 조인트의 길이를 규정하는 길이를 가지는 전도성 부재 - 상기 전도성 부재는 제1초전도 케이블(a first superconducting cable)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형상을 가지는 제1마운팅 영역과, 제2전도체를 수용하도록 선택된 형상을 가지는 제2마운팅 영역을 포함함 - ; 및
    (b) 상기 전도성 부재의 제1마운팅 영역 및 제2마운팅 영역의 장착면에 배치되는 가단성 있는 금속 - 상기 가단성 있는 금속은 상기 장착 영역에 케이블이 배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속적이고(continuous), 이어지는(contiguous) 인터페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도록 변형됨 - 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고온 초전도체(HTS)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온 초전도성 케이블은 내부 전도성 재킷의 주위에 배치되는 외부 전도성 부재 - 상기 내부 전도성 재킷은 상기 전도성 부재의 제1마운팅 영역 및 제2마운팅 영역 중 하나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 재킷이 제거된 부분을 가짐 - 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영역에 장착된 초전도 케이블을 홀딩하고, 상기 제2마운팅 영역에 있는 제2전도체를 홀딩하는 수단(means)을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 영역 및 상기 제2마운팅 영역은, 반원형(semicircular shape) 단면 형상을 가지는 고온 초전도(HT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하는 수단은,
    상기 마운팅 부재 주위에 배치되고, 초전도 케이블을 상기 제1마운팅 영역으로 압축하고 제2전도체를 상기 제2마운팅 영역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하는 수단은,
    상기 전도성 부재에 볼트 연결되고, 초전도 케이블을 상기 제1마운팅 영역으로 압축하고 제2컨덕터를 상기 제2마운팅 영역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구조(clamp structure)를 포함하는, 장치.
  17. 방법(method)에 있어서,
    (a)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삽입되기 위한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준비된 초전도 케이블을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마운팅 영역으로 삽입하는 단계;
    (c) 가단성이 있는(malleable) 전기적 전도성 재료를 상기 전도성 부재 마운팅 영역의 표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마운팅 영역의 표면에 배치된 상기 가단성이 있는 전기적 전도성 재료가 상기 준비된 전도성 케이블의 표면 및 마운팅 영역의 표면 사이에 인터페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도록, 상기 준비된 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에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가단성이 있는 전기 전도성 재료를 상기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 표면에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금속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의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두개의 마운팅 영역을 상기 전도성 부재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마운팅 영역을 상기 전도성 부재 새들(saddle)에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초전도 케이블의 반경에 실질적으로 매칭하도록 선택된 반경을 가지는 두개의 마운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은 내부 전도성 재킷 및 외부 전도성 재킷을 가지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는,
    (a1) 상기 내부 재킷을 노출하도록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마운팅 영역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상기 외부 재킷의 일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a2)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마운팅 영역에 접촉하게 될 상기 노출된 내부 재킷의 부분들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분의 상기 마운팅 영역에 접촉하게 될 상기 노출된 내부 재킷의 부분들을 도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된 초전도 케이블에 힘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마운팅 영역에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압축하기 위해 상기 마운팅 부재에 브라켓(bracket)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외부 볼팅 구조(external bolting structure)를 사용하여 두개의 케이블을 상기 전도성 더블 새들에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은 외부 전도성 재킷을 포함하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는,
    (a1) 상기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 상기 외부 전도성 재킷의 부분들을 클리닝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 상기 외부 전도성 재킷의 부분들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초전도 케이블은 외부 전도성 재킷을 가지고,
    상기 초전도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는,
    (a1) 상기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 상기 외부 전도성 재킷의 부분들을 클리닝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전도성 부재의 마운팅 영역에 배치될 상기 외부 전도성 재킷의 부분들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외부 볼팅 구조를 사용하여 두개의 케이블을 상기 전도성 더블 새들에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케이블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길이를 규정하는 길이를 가지고, 제1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형상을 가지는 제1마운팅 영역과 제2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형상을 가지는 제2마운팅 영역을 가지는 전도성 부재;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제1마운팅 영역에 배치되는 제1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상기 전도성 부재의 제2마운팅 영역에 배치되는 제2고온 초전도(HTS) 케이블;
    상기 제1마운팅 영역의 표면 및 상기 제1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표면 사이에 배치된 가단성이 있는 금속이 포함된 제1인터페이스 레이어(interface layer); 및
    상기 제2마운팅 영역의 표면 및 상기 제2고온 초전도(HTS) 케이블의 표면 사이에 배치된 가단성이 있는 금속이 포함된 제2인터페이스 레이어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인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 레이어 및 상기 제2인터페이스 레이어는 상기 제1마운팅 영역 및 제2마운팅 영역의 실질적으로 전체 표면을 따라 연속적인, 케이블 조인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초전도 케이블 및 상기 제2초전도 케이블을 상기 제1마운팅 영역 및 상기 제2마운팅 영역 각각에 대해 홀딩하기 위한 수단(means)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조인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 레이어 및 제2인터페이스 레이어는 인듐(indium)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마운팅 영역 및 제2마운팅 영역 각각에 접착(adhere)되는, 케이블 조인트.
KR1020227020707A 2019-12-06 2020-12-02 초전도 케이블용 케이블 조인트 및 관련 기술 KR202200980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44627P 2019-12-06 2019-12-06
US62/944,627 2019-12-06
US202063032281P 2020-05-29 2020-05-29
US63/032,281 2020-05-29
PCT/US2020/062793 WO2021113291A1 (en) 2019-12-06 2020-12-02 Cable joint for superconducting cables and related techniqu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028A true KR20220098028A (ko) 2022-07-08

Family

ID=7400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707A KR20220098028A (ko) 2019-12-06 2020-12-02 초전도 케이블용 케이블 조인트 및 관련 기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61549A1 (ko)
EP (1) EP4070412A1 (ko)
KR (1) KR20220098028A (ko)
WO (1) WO2021113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2799A (en) * 2022-09-27 2024-04-03 United Kingdom Atomic Energy Authority A superconductor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of assembly and disassembly
CN115579184A (zh) * 2022-11-14 2023-01-06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超导导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9607A (en) * 1940-07-30 1943-01-26 Burndy Engineering Co Inc Unitary clamp assembly
FR1585965A (ko) * 1968-08-13 1970-02-06
JPS57194467A (en) * 1981-05-27 1982-11-30 Hitachi Ltd Method of connecting superconductor
CN106911014B (zh) * 2017-01-13 2019-01-04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利用铟丝搭接方法的超导接头盒
CN109148074B (zh) * 2018-07-27 2020-12-25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圆柱形子电缆搭接超导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4694A (ja) 2023-02-06
WO2021113291A1 (en) 2021-06-10
US20230361549A1 (en) 2023-11-09
EP4070412A1 (en)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712B2 (en) Superconducting cab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220098028A (ko) 초전도 케이블용 케이블 조인트 및 관련 기술
US6583351B1 (en) Superconducting cable-in-conduit low resistance splice
US10985476B2 (en) Cylindrical joint for connecting sub-cables of superconducting busbar
JPWO2010090023A1 (ja) 超伝導導体の接続方法、及び超伝導コイル
JP4962856B2 (ja) 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部の製造方法、接続部材及び接続部材の製作方法
CN103563017A (zh) 超导线圈,超导磁体和用于制造超导线圈的方法
EP1804337A1 (en) Superconducting cable connection structure
JPH0361991B2 (ko)
US20210376498A1 (en) Partitioned Cable Joint for Superconducting Cables
JP5100533B2 (ja) 超伝導導体の接続方法、接続構造、接続部材
US7211723B2 (en) Phase separation jig for superconductive cables and phase separation structure of superconductive cables
US20210375507A1 (en) Superconducting Cable Joint and Related Techniques
JPH05242917A (ja) 超電導線の接続方法および接続構造
JP2020187999A (ja) 高温酸化物超電導テープ線材の接合方法
CN110034474A (zh) 超导缆线焊接辅助装置
US5600095A (en) Splice for a superconducting cable-in-conduit conductor
JP2011210421A (ja) 超電導導体の接続方法、及び超電導導体の接続装置
JP6774830B2 (ja) 超電導ケーブルの接続構造
CN117954798A (zh) 一种圆柱形电池的可拆解电连接结构
JPH0799111A (ja) 酸化物超電導体を用いた電流リード
CN115911897A (zh) 套管式接头端子、套管式接头及其制备方法
JPH06150992A (ja) 超電導線の接続構造
JPH11191511A (ja) 酸化物超電導電流リード
JPH04361503A (ja) 超電導導体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