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8014A -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 및 조립체 - Google Patents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 및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8014A
KR20220098014A KR1020227020237A KR20227020237A KR20220098014A KR 20220098014 A KR20220098014 A KR 20220098014A KR 1020227020237 A KR1020227020237 A KR 1020227020237A KR 20227020237 A KR20227020237 A KR 20227020237A KR 20220098014 A KR20220098014 A KR 2022009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heat transfer
transfer plate
imaginary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샌드그렌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2009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10Arrangements for sealing the marg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가스켓(5) 및 판형 열교환기용 조립체(1)가 제공된다. 가스켓(5)은 세장형 본체(45) 및 본체(45)의 상부 측면(53)으로부터 돌출되고 가스켓(5)의 종방향 연장부(L)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개수(≥1)의 세장형 돌출부(47, 49, 51)를 포함한다. 돌출부(47, 49, 51) 각각은 상단(57) 및 상단(57)에서부터 가스켓(5)의 본체(45)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대향 플랭크(59, 61)에 의해 형성된다. 가스켓은, 가스켓(5)을 관통하는 단면, 및 가스켓(5)의 종방향 연장부(L)에 수직인 단면과 관련하여, 돌출부(47, 49, 51)의 제2 개수(≥1)의 비대칭 돌출부(47, 51) 각각에 대해, 플랭크(59, 61)의 외부 플랭크(59, 61), 본체(45)의 상부 측면(53) 및 비대칭 돌출부(47, 51)의 상단(57)을 통해 연장되는 본체(45)의 상부 측면(53)의 법선(n)에 의해 한정되는 제1 영역(a1)이, 플랭크(59, 61)의 내부 플랭크(59, 61), 본체(45)의 상부 측면(53) 및 비대칭 돌출부(47, 51)의 상단(57)을 통해 연장되는 본체(45)의 상부 측면(53)의 법선(n)에 의해 한정되는 제2 영역(a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법선은 가스켓 본체(45)의 종방향 중심 축(C)과 정렬된 본체(45)의 상부 측면(53)의 중심 법선(nc)에서부터 변위된다. 또한, 본체(45)는 외부 플랭크(59, 61)의 각각의 외부 상의 렛지(67)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 및 조립체
본 발명은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gasket) 및 그 디자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가스켓을 포함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판형 열교환기는 통상적으로 2개의 말단 판과 말단 판 사이에 다수의 열 전달판이 정렬된 방식으로, 즉, 적층체 또는 팩(pack)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PHE의 열전달 판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형일 수 있으며, 이들은 상이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일부 PHE에서, 열전달 판은 하나의 열전달 판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이 각각 다른 열전달 판의 후방 측면 및 전방 측면과 마주하도록 적층되고, 하나 걸러 하나의 열전달 판은 나머지 열전달 판에 대해 거꾸로 뒤집혀 있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열 전달판이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고 지칭된다. 다른 PHE에서, 열전달 판은 하나의 열전달 판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이 각각 다른 열전달 판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과 마주하도록 적층되고, 하나 걸러 하나의 열전달 판은 나머지 열전달 판에 대해 거꾸로 뒤집혀 있다. 통상적으로, 이것은 열 전달판이 서로에 대해 “플립(flipped)”된다고 지칭된다.
열전달 판은 통상적으로 상부 평면에서 연장되는 마루와 하부 평면에서 연장되는 골을 포함하는 물결 모양이다. 소위 가스켓 판형 열교환기로서 잘 알려진 PHE의 한 유형에서, 가스켓은 열전달 판 사이에, 더 구체적으로, 외부 엣지(edge)를 따라, 그리고 열전달 판의 포트홀(port hole) 주위에서 연장되는 가스켓 홈 내에 배열된다. 가스켓 홈은 하부 평면 및/또는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 사이에서 배열되는 중간 평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중간 평면은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 사이의 중간에서 연장될 수 있는, 즉, 소위 절반-평면일 수 있다. 말단 판, 그리고 이에 따라 열전달 판은 서로를 향해 가압되어 가스켓은 열전달 판 사이를 밀봉한다. 가스켓은 열전달 판 사이의 평행한 유동 채널(channel)을 형성하며, 각각의 열전달 판의 쌍 사이에는 하나의 채널이 형성된다. 초기에 상이한 온도를 갖는 두 유체는 하나의 유체로부터 다른 유체로 열을 전도하기 위해 모든 제2 채널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유체는 입구 및 출구 포트(port)를 통해 각각 채널로 들어오고 나가며, 이 포트는 PHE를 통해 연장되고, 열전달 판 내의 각각의 정렬된 포트홀 및 포트홀 주위를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밀봉하는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다. 입구 및 출구 포트는 PHE로 그리고 그로부터 유체를 급송하기 위해 PHE의 각각의 입구 및 출구와 연통한다.
판형 열교환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가스켓은 열전달 판 사이를 적절히 밀봉해야 한다. 그러한 적절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가스켓은 적합한 디자인을 가져야 한다. 판형 열교환기를 위한 공지된 가스켓 중 한 유형은 인접한 2개의 열전달 판 중 각각의 열전달 판과 마주하도록 배열된 본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을 갖는 세장형 본체를 포함한다. 이 유형의 가스켓은 가스켓 본체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종방향 리브(rib)를 더 포함한다. 리브의 목적은 가스켓의 밀봉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작동 준비가 된 판형 열교환기에서, 말단 판은 서로를 향해 강하게 가압되고, 이는 열전달 판 사이의 가스켓에 큰 압축력을 가한다. 그러한 압축력은 가스켓에, 특히 리브와 가스켓 본체 사이의 경계에서 가스켓 본체의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리브의 내부에 큰 전단 응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큰 전단 응력은 결국 가스켓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결과적인 판형 열교환기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브가 제공된 가스켓은 좋은 밀봉 능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들은 판형 열교환기 내의 인접한 2개의 열전달 판 사이에서 압축될 때 손상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 시 손상에 덜 취약하고, 판형 열교환기 내의 인접한 2개의 열전달 판 사이를 여전히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는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압축 시 가스켓 내에서 더 적은 전단 응력을 유발하는 디자인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리브 또는 돌출부를 갖춘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스켓 및 그러한 가스켓을 포함하는 조립체는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며,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은 판형 열교환기의 제1 열전달 판과 인접한 판형 열교환기의 제2 열전달 판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열된다. 가스켓은 평행한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 사이에서 가스켓의 두께 또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본체를 포함한다. 제1 열전달 판과 마주하도록 배열된 본체의 하부 측면은 가상의 제1 평면과 마주한다. 제2 열전달 판과 마주하도록 배열된 본체의 대향 상부 측면은 가상의 제2 평면과 마주한다. 가스켓은 본체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개수(≥1)의 세장형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는 가스켓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돌출부는 상단 및 상단에서부터 가스켓의 본체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 플랭크(flank)에 의해 형성된다. 가스켓의 너비 방향은 두께 방향 및 가스켓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가스켓은, 가스켓을 관통하면서 가스켓의 종방향 연장부에 수직인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의 제2 개수(≥1)의 비대칭 돌출부 각각에 대해, 상기 플랭크의 외부 플랭크, 본체의 상부 측면 및 비대칭 돌출부의 상단을 통해 연장되는 본체의 상부 측면의 법선에 의해 한정되는 제1 영역이, 상기 플랭크의 내부 플랭크, 본체의 상부 측면 및 비대칭 돌출부의 상단을 통해 연장되는 본체의 상부 측면의 상기 법선에 의해 한정되는 제2 영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법선은 본체의 상부 측면의 중심 법선으로부터 변위되며, 중심 법선은 가스켓 본체의 종방향 중심 축과 정렬된다. 이는 비대칭 돌출부가 가스켓 본체 상에서 중심에 배열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체는 비대칭 돌출부의 외부 플랭크의 각각의 외부 상의 렛지(ledge)를 형성한다.
가스켓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비대칭이다. 돌출부는 또한 리브, 융기부, 엣지, 스트립(strip)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가스켓이 하나보다 많은 돌출부를 포함한다면, 돌출부는 서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돌출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유사한 디자인을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가스켓이 정확하게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이는 비대칭 돌출부이다.
복수 형태의 돌출부 및 비대칭 돌출부는 각각 단지 하나의 돌출부 및 비대칭 돌출부가 있을 수 있지만, 단순함을 이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가스켓이 하나보다 많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돌출부는 그 전체 길이 또는 그 일부를 따라 서로 분리되고/되거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가스켓이 2개보다 많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돌출부 중 인접한 2개의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접두사 “내부” 및 “안쪽”은 상응하는 “외부” 및 “바깥쪽”보다 가스켓 본체의 종방향 중심 축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큰 전단 응력은 통상적으로 가스켓 본체의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리브 또는 돌출부에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 디자인은 중심에 배열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각각의 돌출부 상단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에 수직인 이들의 돌출부의 각각의 평면에 대해 비대칭임을 수반한다. 더 구체적으로, 비대칭 돌출부의 내부 부분은 가스켓 재료를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여 제1 및 제2 열전달 판 사이에서 압축될 때 상대적으로 작은 전단 응력이 가스켓에 발생하게 한다. 또한, 비대칭 돌출부의 외부 부분은 비대칭 돌출부가 가스켓 재료를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뚜렷하거나, 날카롭거나 뾰족한 비대칭 돌출부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결국 가스켓의 밀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대칭 돌출부의 외부 상의 렛지, 플래토(plateau) 또는 숄더(shoulder)는 제1 및 제2 열전달 판 사이에서 압축될 때 결과적으로 가스켓 내의 응력이 감소되게 할 수 있다.
각각의 비대칭 돌출부의 외부 상의 렛지는,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예컨대, 가상의 제2 평면에서, 연장되며, 이는 밀봉을 위해 가스켓과 제1 및 제2 열전달 판 사이의 최적의 접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켓의 돌출부는 중심 돌출부를 포함한다. 중심 돌출부의 상단과 상기 비대칭 돌출부 중 제1 비대칭 돌출부 사이에 배열되는, 이 중심 돌출부의 플랭크 중 제1 플랭크는 제1 비대칭 돌출부의 외부 플랭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중심 돌출부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거나, 날카롭거나 뾰족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가스켓의 밀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심 돌출부는 가스켓 본체의 중심부에 배열되며, 가스켓 본체 상의 중심에 배열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중심 돌출부는 중심 돌출부 상단을 통해 연장되는, 그리고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중심 돌출부는 2개의 비대칭 돌출부 사이에 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가스켓의 디자인은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에 평행한 가상의 제3 평면에 의해 돌출부의 상단이 한정되거나, 또는 돌출부의 상단이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에 평행한 가상의 제3 평면으로 연장되도록 될 수 있다. 명백하게는, 가상의 제2 평면은 가상의 제1 및 제3 평면 사이에 배열된다. 이 실시예는 모든 돌출부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수반하며, 이에 결과적으로 균일한 가스켓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의 돌출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켓의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돌출부의 상단부 각각은 둥글다. 그로 인해, 가스켓은 손상에 덜 취약하다. 또한, 그러한 둥근 상단부는 그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가스켓이 배열되는 열전달 판의 적절한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보다 작게 한정된 제1 영역은 가스켓의 상이한 디자인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가스켓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켓의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비대칭 돌출부 각각에 대해 내부 플랭크보다 가파른 외부 플랭크를 가짐으로써 영역 차이가 얻어진다. 그러한 실시예는 비대칭 돌출부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거나, 날카롭거나 뾰족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가스켓의 밀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한 더 가파른 외부 플랭크는, 가스켓의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비대칭 돌출부 각각에 대해, 평면 중심부를 포함하는 내부 플랭크를 가짐으로써, 그리고 만곡되어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외부 플랭크를 가짐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가스켓이 제1 및 제2 열전달 판 사이에서 압축될 때 가스켓 내에서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전단 응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한 더 가파른 외부 플랭크는, 가스켓의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비대칭 돌출부 각각에 대해, 내부 및 외부 플랭크 모두가 만곡되어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게, 그러나 상이한 정도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비대칭 돌출부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거나, 날카롭거나 뾰족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가스켓의 밀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스켓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켓의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비대칭 돌출부 각각에 대해, 만곡되어 본체를 향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내부 플랭크를 가짐으로써, 그리고 만곡되어 본체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외부 플랭크를 가짐으로써 영역 차이가 얻어진다. 그러한 실시예는 가스켓이 제1 및 제2 열전달 판 사이에서 압축될 때 가스켓 내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전단 응력을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가스켓은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 사이의 중간에서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제4 평면이 가스켓의 본체의 대칭 평면이도록 할 수 있다. 가스켓은 제1 열전달 판의 가스켓 홈 및 제2 열전달 판의 대향 가스켓 홈에 수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스켓 홈은 통상적으로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다. 그러한 경우에, 대칭 본체를 포함하는 가스켓은 가스켓과 제1 및 제2 열전달 판 사이의 양호한 맞춤을 제공할 수 있다.
가스켓은 비대칭 돌출부의 너비가 돌출부 중 다른 돌출부, 예를 들어, 중심 돌출부의 너비보다 더 크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뚜렷하거나, 날카롭거나 뾰족한 비대칭 돌출부를 갖는 가스켓 및, 위에서 특정된 것과 같이, 또한 한정된 제2 영역보다 더 작은, 위에서 특정된 것과 같이, 한정된 제1 영역을 더 쉽게 얻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가스켓은 제1 및 제2 열전달 판의 외부 엣지 각각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된 필드부(field portion), 제1 및 제2 열전달 판의 포트홀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내부 및 외부 섹션(section)을 포함하는 포트부, 및 포트부의 내부 섹션의 내부에서 연장되고 가스켓의 필드부의 2개의 섹션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필드부 내의 가스켓의 두께는 대각선부 내의 가스켓의 두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추가적으로, 필드부 내의 가스켓의 두께는 포트부의 내부 섹션 내의 가스켓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스켓 판형 열교환기에서, 가스켓은 열전달 판의 외부 엣지 및 포트홀의 외부 섹션을 따라 하나의 동일한 열전달 판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될 수 있는 반면, 열전달 판의 포트홀의 대각선 및 내부 섹션을 따라서는 열전달 판의 오직 하나의 측면 상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판형 열교환기 내의 인접한 2개의 열전달 판은 외부 엣지 및 포트홀의 외부 섹션을 따라 서로 지지할 수 있지만, 대각선 및 포트홀의 내부 섹션을 따라서는 그렇지 않다. 대각선 및 포트홀의 내부 섹션을 따라 가스켓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서, 적합한 가스켓 압력, 및 이에 따른 적절한 밀봉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가스켓은 필드부 내의 가스켓의 너비가 대각선부 내의 가스켓의 너비보다 더 크도록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추가적으로, 필드부 내의 가스켓의 너비는 포트부의 내부 섹션 내의 가스켓의 너비보다 더 클 수 있다. 가스켓의 두께가 증가된 가스켓의 너비를 감소시킴으로써, 가스켓을 따라 본질적으로 균일한 가스켓 체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조립체는 위에서 설명한 가스켓 및 상기 제1 열전달 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전달 판은 대향 제1 및 제2 측면, 및 가상의 제5 및 제6 평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하는 엣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제5 및 제6 평면은 가상의 제5 및 제6 평면 사이에 배열된 가상의 중간 평면과 평행하다. 주름은, 제1 열전달 판이 판형 열교환기 내에 배열될 때, 열전달 판의 제1 측면에서 상기 제2 열전달 판에 접하도록, 그리고 열전달 판의 제2 측면에서 제3 열전달 판에 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열전달 판은 제1 열전달 판의 제1 측면 상의 가스켓을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고, 홈의 하단은 중간 평면에서 연장된다.
중간 평면은 가상의 제5 및 제6 평면 사이의 중간에 배열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의 상이한 디자인의 이점은 판형 열교환기가 가스켓을 포함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제1 열전달 판과 가스켓을 포함하는 조립체인 판형 열교환기용 조립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선 X-X를 따른 도 1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선 Y-Y를 따른 도 1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는 도 2의 반복된 부분 확대도로서 명료함을 위해 참조 번호, 가상 평면 등이 제거되었고,
도 5는 도 3의 반복된 부분 확대도로서 명료함을 위해 참조 번호, 가상 평면 등이 제거되었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동일한 내용을 도시하고,
도 7은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동일한 내용을 도시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판형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용 조립체(1)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의 제1 열전달 판(3) 및 고무 가스켓(5)을 포함한다. 판형 열교환기에서, 제1 열전달 판(3)은 제2 열전달 판과 제3 열전달 판 사이에 배열되며, 가스켓(5)은 제1 열전달 판(3)과 제2 열전달 판(도시되지 않음) 사이를 밀봉한다. 제1, 제2 및 제3 열전달 판은 동일한 유형이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들은 상이한 유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을 설명하는 본문의 부문을 참조하면, 제1, 제2 및 제3 열전달 판은 서로에 대해 “회전”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들은 대신에 서로에 대해 “뒤집어질” 수 있다.
제1 열전달 판(3)은 제1 열전달 판(3)의 모퉁이 각각에 배열된 4개의 포트홀(9)을 포함한다. 제1 열전달 판(3)의 상이한 영역에는 상이한 주름 패턴(pattern), 및 이 판 영역의 주요 기능에 맞게 조정된 특정 판 영역 내의 주름 패턴이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열전달 판(3)은 포트홀(9)의 내부의 단열 영역(7)을 포함하며, 단열 영역은 단열 패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열전달 판(3)은 분배 패턴을 가지고 있는 제1 분배 영역(11), (부분적으로 도시된) 열전달 패턴을 가지고 있는 열전달 영역(13) 및 분배 패턴을 가지고 있는 제2 분배 영역(15)을 포함하며, 이 영역들은 제1 열전달 판(3)의 종방향 중심 축(c)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또한, 제1 열전달 판(3)의 엣지부(17)는 주름 패턴(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이 주름 패턴은 제1 열전달 판(3)의 외부 엣지(19)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어 물결 형상을 제공한다. 엣지부(17) 내의 주름(21)(도 2), 및, 판 유형에 따라, 가능하게는 또한 제1 및 제2 분배 영역(11, 15) 및/또는 열전달 영역(13) 내의 주름은 가상의 제5 평면(p5)과 가상의 제6 평면(p6) 사이에서 연장되며, 이들 평면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열전달 판(3)은 가스켓(5)을 수용하기 위한 홈(23)을 더 포함한다. 홈(23)의 하단부(25)는 가상의 제5 및 제6 평면(p5, p6) 사이의 중간에서, 그리고 이 평면들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중간 평면(i) 내에서 연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홈(23)은 포트홀(9)을 둘러싸는 제1 열전달 판(3)의 외부 엣지(19)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홈(23)은 포트홀(9)을 둘러싸는 제1 열전달 판(3)의 2개의 포트홀(9) 주위로 완전하게 연장되며, 둘러싸인 포트홀(9)과 분배 영역(11)에 가장 인접한 단열 영역(7)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제1, 제2 및 제3 열전달 판은 모두 동일한 종류이므로, 제1 열전달 판(3)에 대한 위의 설명은 제2 및 제3 열전달 판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판형 열교환기에서, 제1 열전달 판(3)의 제2 대향 측면(29)이 제3 열전달 판을 향하는 반면, 제1 열전달 판(3)의 제1 측면(27)은 제2 열전달 판을 향한다. 이와 같이 배열되면, 제1 열전달 판(3)의 엣지부(17) 내의 주름(21)은 제2 및 제3 열전달 판의 엣지부 내의 주름에 접한다. 동시에, 제1 열전달 판(3)의 홈(23) 내에 배열되는 가스켓(5)은 제1 및 제2 열전달 판 사이에서 압축된다. 유사한 가스켓이 제2 및 제3 열전달 판에 상응하여 배열되고, 제2 및 제3 열전달 판 사이에서 압축된다.
홈(23)에 맞춰지도록, 가스켓(5)은, 도 1을 참조하면, 제1 열전달 판(3)의 외부 엣지(19)를 따라 연장되는 필드부(31)를 포함한다. 또한, 가스켓(5)은 제1 열전달 판(3)의 포트홀(9) 각각을 둘러싸는 2개의 포트부(33)를 포함한다. 각각의 포트부(33)는 내부 섹션(35) 및 외부 섹션(37)으로 구성된다. 또한, 가스켓(5)은 포트부(33)의 각각 하나의 내부 섹션(35) 내부에서 필드부(31)의 2개의 섹션(41 및 43)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대각선부(39)를 포함한다.
비하중 상태에 있는 가스켓(5)을 도시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가스켓(5)은 평행한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p1 및 p2) 사이에서 두께 방향(T)(도 3)으로 연장되는 본체(45)를 포함한다. 본체(45)의 하부 측면(55)이 제1 열전달 판(3)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반면, 본체(45)의 상부 측면(53)은 제2 열전달 판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본체(45)는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p1 및 p2)과 평행하게, 그리고 그 평면들 사이의 중간에서 연장하는 가상의 제4 평면(p4)에 대해 대칭이다. 가스켓(5)은 본체(45)의 상부 측면(53)에서부터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p1 및 p2)에 평행한 가상의 제3 평면(p3)으로 돌출되는 외부 제1 비대칭 돌출부(47), 대칭 중심 돌출부(49) 및 외부 제2 비대칭 돌출부(51)를 더 포함한다. 중심 돌출부(49)는 가스켓 본체(45) 상의 중심에 배열되는 반면, 제1 및 제2 비대칭 돌출부(47 및 51)는 중심 돌출부(49)의 양 측면에, 그리고 중심 돌출부(49)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열된다. 돌출부(47, 49 및 51)는 리브를 형성하도록 세장형이며, 가스켓(5)의 종방향 연장부(L)(도 3)를 따라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돌출부(47, 49 및 51) 각각은 상단(57) 및 상단(57)에서부터 가스켓(5)의 본체(45)를 향해 연장되는 2개의 대향 플랭크(59(도 2 및 도 3에서 좌측 플랭크), 61(도 2 및 도 3에서 우측 플랭크))에 의해 형성된다. 상단(57) 및 플랭크(59 및 61)는 돌출부(47, 49 및 51)에 각각의 둥근 상단(63)을 제공하도록 디자인된다.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외부 플랭크(59) 및 중심 돌출부(49)의 플랭크(59)(청구항 내 제1 플랭크)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가스켓(5)의 본체(45)를 향해 만곡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유사하게, 제2 비대칭 돌출부(51)의 외부 플랭크(61) 및 중심 돌출부(49)의 플랭크(61)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가스켓(5)의 본체(45)를 향해 만곡되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심 돌출부(49)의 플랭크(59 및 61)는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서로 거울 대칭이다.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외부 플랭크(59)는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내부 플랭크(61)보다 더 가파르다.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내부 플랭크(61)는 전체에 걸쳐, 즉, 모든 경로 또는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 만곡되지 않고, 평면 중심부(65)를 포함한다. 또한, 두께 방향(T) 및 종방향 연장부(L)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스켓(5)의 너비 방향(W)(도 3)으로, 제1 비대칭 돌출부(47)는 너비(wo)를 갖는 반면, 중심 돌출부(49)는 너비(wc)를 갖고, wo는 wc보다 더 크다. 돌출부(47, 49 및 51)의 이러한 디자인에서, 제1 비대칭 돌출부(47)는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상단(57)을 통해 연장되는 본체(45)의 상부 측면(53)의 법선(n)에 대해 비대칭이다. 제1 비대칭 돌출부(47)는 가스켓 본체(45) 상에서 중심에 배열되지 않기 때문에, 법선(n)은 가스켓 본체(45)의 상부 측면(53)의 중심 법선(nc)으로부터 변위되고, 중심 법선(nc)은 본체(45)의 종방향 중심 축(C)(도 2)과 정렬된다. 중심 법선(nc)은 중심 돌출부(49)의 상단(57)을 통해 연장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면 섹션에 대해,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외부 플랭크(59), 본체(45)의 상부 측면(53) 및 상기 법선(n)에 의해 한정된 제1 영역(a1)은,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내부 플랭크(61), 본체(45)의 상부 측면(53) 및 상기 법선(n)에 의해 한정된 제2 영역(a2)보다 작다.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내부 플랭크(61) 및 제2 비대칭 돌출부(51)의 내부 플랭크(59)는 서로 거울대칭이다.
제1 및 제2 비대칭 돌출부(49 및 51)의 각각의 외부에서, 본체(45)의 상부 측면(53)은 가상의 제2 평면(p2)에서 연장되는 평면 렛지를 형성한다.
가스켓(5)이 본질적으로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자인되었지만, 가스켓(5)의 다른 부분은 다른 단면을 가지며, 필드부(31) 및 포트부(33)의 외부 섹션(37)의 단면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대각선부(39) 및 포트부(33)의 내부 섹션(35)의 단면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가상의 제2 및 제3 평면(p2 및 p3)은 필드부(31) 및 포트부(33)의 외부 섹션(37)을 따른 것보다 대각선부(39) 및 포트부(33)의 내부 섹션(35)을 따라서 가상의 제1 평면(p1)으로부터 더 큰 거리에 배열된다. 그러나 평면(p2 및 p3)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다. 결과적으로, 필드부(31) 및 포트부(33)의 외부 섹션(37)을 따른 가스켓(5)의 두께(t1)는 대각선부(39) 및 포트부(33)의 내부 섹션(35)을 따른 가스켓(5)의 두께(t2)보다 작다. 따라서, 여기서, 가스켓(5)의 두께는 필드부(31) 및 포트부(33)의 외부 섹션(37)을 따라 동일하지만, 이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럴 필요는 없다. 유사하게, 여기서, 가스켓(5)의 두께는 대각선부(39) 및 포트부(33)의 내부 섹션(35)을 따라 동일하지만, 이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필드부(31) 및 포트부(33)의 외부 섹션(37)을 따른 가스켓(5)의 너비(w1)는 대각선부(39) 및 포트부(33)의 내부 섹션(35)을 따른 가스켓(5)의 너비(w2)보다 크다. 또한, 돌출부(47, 49 및 51)는 필드부(31) 및 포트부(33)의 외부 섹션(37)을 따른 것보다, 대각선부(39) 및 포트부(33)의 내부 섹션(35)을 따라 서로 조금 더 가깝게 배열된다. 따라서, 여기서, 가스켓(5)의 너비는 필드부(31) 및 포트부(33)의 외부 섹션(37)을 따라 동일하지만, 이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럴 필요는 없다. 유사하게, 여기서, 가스켓(5)의 너비는 대각선부(39) 및 포트부(33)의 내부 섹션(35)을 따라 동일하지만, 이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럴 필요는 없다.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비대칭 돌출부(47 및 51)의 상이한 영역(a1 및 a2)은 각각의 평면 중심부(65)를 각각 포함하는, 내측으로 돌출된 외부 플랭크(59 및 61) 및 내부 플랭크(61 및 59)에 의해 각각 달성된다. 상이한 영역(a1 및 a2)은 대안적인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1 대안에 따르면, 외부 플랭크(59 및 61)는 각각 여전히 내측으로 돌출된 반면, 내부 플랭크(61 및 59)도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지만, 덜 날카롭고, 즉, 외부 플랭크보다 큰 “반경”을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제2 대안에 따르면, 외부 플랭크(59 및 61)는 각각 여전히 내측으로 돌출된 반면, 내부 플랭크(61 및 59)는 각각 본체(45)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실시예가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및 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켓 돌출부의 수는 3개일 필요는 없으며,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다. 유사하게, 비대칭 돌출부의 수는 2개일 필요는 없으며,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디자인은 무한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다소 둥글 수 있다.
가스켓은 가스켓 본체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 돌출부들은 가스켓의 본체의 상부 측면에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같이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조립체는 평행 유동형 판형 열교환기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당연히, 본 발명은 대각선 유동형 판형 열교환기와 관련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돌출부는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비대칭 돌출부는 중심 돌출부보다 높을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비대칭 돌출부는 서로의 거울대칭일 필요는 없고, 상이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가스켓의 본체의 상부 측면은 그 연장부의 그 전체/일부를 따른 가상의 제2 평면에서 연장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가스켓의 본체의 상부 측면은 대략 루프-탑(roof-top) 형상일 수 있고, 즉, 서로에 대해 경사지고 본체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키는 2개의 평면을 포함한다. 그러한 가스켓 본체는 본체의 엣지에서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본체의 중심에서의 두께를 가질 것이며, 이는 결국 가스켓과 열전달 판 사이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스켓의 부분은 일체로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포트부는 가스켓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 돌출부의 외부 상의 렛지 또는 플래토는 비대칭 돌출부의 외부 플랭크와 상이한 경사로 연장되는 가스켓 본체의 상부 측면의 부분이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비대칭 돌출부에 있어서, 렛지는, 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상의 제2 평면에서 연장되거나, 중간 높이에서, 즉, 제2 및 제3 가상 평면 사이의 중간에서 외부 플랭크에 대한 접선에 대해 180도 미만인 각도(α)(도 3)로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렛지는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될 필요는 없고, 대신에 동일한 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는 있다.
중간 평면은 가상의 제5 및 제6 평면 사이의 중간에서 연장될 필요는 없고, 가스켓 홈의 하단부와 함께 위 또는 아래로 변위될 수 있다.
가스켓 홈의 하단부는 소위 절반-평면에서 연장될 필요는 없고, 판의 하부 평면, 즉, 가상의 제5 평면으로서 위에서 지칭된 평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포트홀 가스켓은 고무가 아닌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열전달 판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 아닌, 예를 들어, 티타늄(titanium) 또는 알루미늄(aluminium)과 같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스켓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접착제, 접착 테이프(tape)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 내에 포함되고 열전달 판과 맞물리도록 배열된, 소위 클립-온 탭(clip-on tab)과 같은 일종의 체결 수단에 의해 열전달 판에 체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이 없는 세부사항의 설명은 생략되었고, 도면은 단지 개략적이며, 축척에 따라 도시되지 않았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일부 도면은 다른 도면보다 더 단순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한 도면에서 도시되지만 다른 도면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접두사 “제1”, “제2”, “상단”, “하단”, “상부”, “하부”, “수평”, “수직” 등은 단지 상이한 구성요소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상대적인 위치 또는 배향과 관련하여 어떠한 요구사항도 내포하지 않는다.

Claims (15)

  1. 판형 열교환기의 제1 열전달 판(3)과 인접한 판형 열교환기의 제2 열전달 판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열되는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5)으로서, 상기 가스켓(5)은 평행한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p1, p2) 사이에서 상기 가스켓(5)의 두께 방향(T)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본체(45); 상기 가상의 제1 평면(p1)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열전달 판(3)과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본체(45)의 하부 측면(55); 및 상기 가상의 제2 평면(p2)과 마주하는, 상기 제2 열전달 판과 마주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본체(45)의 대향 상부 측면(53)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본체(45)의 상기 상부 측면(53)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가스켓(5)의 종방향 연장부(L)를 따라 연장되는, 제1 개수(≥1)의 세장형 돌출부(47, 49, 51)로서, 각각의 상기 돌출부(47, 49, 51)는 상단(57)과, 상기 상단(57)에서부터 상기 가스켓(5)의 상기 본체(45)로 연장되는 2개의 대향 플랭크(59, 61)에 의해 형성되는, 세장형 돌출부(47, 49, 5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5)의 너비 방향(W)은, 상기 가스켓(5)의 상기 두께 방향(T) 및 상기 종방향 연장부(L)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스켓(5)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5)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스켓(5)의 상기 종방향 연장부(L)에 수직인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47, 49, 51)의 제2 개수(≥1)의 비대칭 돌출부(47, 51) 각각에 대해, 상기 플랭크(59, 61)의 외부 플랭크(59, 61), 상기 본체(45)의 상기 상부 측면(53) 및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의 상기 상단(57)을 통해 연장되는 상기 본체(45)의 상기 상부 측면(53)의 법선(n)에 의해 한정되는 제1 영역(a1)이, 상기 플랭크(59, 61)의 내부 플랭크(59, 61)에 의해 한정되는 제2 영역(a2)보다 작고,
    상기 본체(45)의 상기 상부 측면(53) 및 상기 본체(45)의 상기 상부 측면(53)의 상기 법선은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의 상기 상단(57)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법선은 상기 본체(45)의 종방향 중심 축(C)과 정렬되는 상기 본체(45)의 상기 상부 측면(53)의 중심 법선(nc)으로부터 변위되고,
    상기 본체(45)는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의 상기 외부 플랭크(59, 61)의 각각의 외부에 렛지(6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5).
  2. 제1항에 있어서,
    렛지(67)는 상기 가상의 제1 평면(p1) 및 상기 가상의 제2 평면(p2)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스켓(5).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7, 49, 51)의 중심 돌출부(49)의 상기 플랭크(59, 61)의 제1 플랭크(59)는 상기 제1 비대칭 돌출부(47)의 외부 플랭크(59)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플랭크(59)는 상기 중심 돌출부(49)의 상기 상단(57)과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 중 제1 비대칭 돌출부(47) 사이에 배열되는,
    가스켓(5).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7, 49, 51)의 상기 상단(57)은 상기 가상의 제1 평면(p1) 및 상기 가상의 제2 평면(p2)에 평행한 가상의 제3 평면(p3)에 의해 형성되는,
    가스켓(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돌출부(47, 49, 51)의 각각의 상단부(63)는 둥근,
    가스켓(5).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 각각에 있어, 상기 외부 플랭크(59, 61)는 상기 내부 플랭크(59, 61)보다 더 가파른,
    가스켓(5).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 각각에 있어, 상기 내부 플랭크(59, 61)는 평면 중심부(65) 및 만곡되고 상기 본체(45)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외부 플랭크(59, 61)를 포함하는,
    가스켓(5).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 각각에 있어, 상기 내부 플랭크 및 상기 외부 플랭크(59, 61)는 만곡되고 상기 본체(45)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스켓(5).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 각각에 있어, 상기 내부 플랭크(59, 61)는 만곡되고 상기 본체(45)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외부 플랭크(59, 61)는 만곡되고 상기 본체(45)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스켓(5).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1 및 제2 평면(p1, p2) 사이의 중간에서, 그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가상의 제4 평면(p4)은 상기 가스켓(5)의 상기 본체(45)의 대칭 평면인,
    가스켓(5).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돌출부(47, 51)의 너비(wo)는 상기 돌출부(47, 49, 51) 중 다른 하나의 돌출부(49)의 너비(wc)보다 큰,
    가스켓(5).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달 판(3) 및 상기 제2 열전달 판의 외부 엣지(19) 각각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필드부(31);
    상기 제1 열전달 판(3) 및 상기 제2 열전달 판의 포트홀(9)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내부 및 외부 섹션(35, 37)을 포함하는, 포트부(33); 및
    상기 포트부(33)의 내부 섹션(35)의 내부에서, 그리고 상기 가스켓(5)의 상기 필드부(31)의 2개의 섹션(41, 43)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각선부(39)를 포함하고,
    상기 필드부(31) 내의 상기 가스켓(5)의 두께(t1)는 상기 대각선부(39) 내의 상기 가스켓(5)의 두께(t2)보다 작은,
    가스켓(5).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부(31) 내의 상기 가스켓(5)의 상기 두께(t1)는 상기 포트부(33)의 상기 내부 섹션(35) 내의 상기 가스켓(5)의 두께(t2)보다 작은,
    가스켓(5).
  14. 제12항 및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부(31) 내의 상기 가스켓(5)의 너비(w1)는 상기 대각선부(39) 내의 상기 가스켓(5)의 너비(w2) 및 상기 포트부(33)의 상기 내부 섹션(35) 내의 상기 가스켓(5)의 너비(w2)보다 큰,
    가스켓(5).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스켓(5) 및 상기 제1 열전달 판(3)을 포함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조립체(1)이며, 상기 제1 열전달 판(3)은 대향한 제1 및 제2 측면(27, 29) 및 엣지부(17)를 포함하고, 상기 엣지부(17)는 가상의 중간 평면(i)에 평행한 가상의 제5 평면(p5) 및 가상의 제6 평면(p6) 사이에서 연장하는 주름(21)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의 중간 평면(i)은 상기 가상의 제5 평면(p5)과 상기 가상의 제6 평면(p6)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주름(21)은 상기 제1 열전달 판(3)이 판형 열교환기 내에 배열될 때 상기 열전달 판의 상기 제1 측면(27)에서 상기 제2 열전달 판에 접하도록, 그리고 상기 열전달 판의 상기 제2 측면(29)에서 제3 열전달 판에 접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열전달 판(3)은 상기 제1 열전달 판(3)의 상기 제1 측면(27) 상에 상기 가스켓(5)을 수용하기 위한 홈(23)을 포함하고, 상기 홈(23)의 하단부(25)는 상기 중간 평면(i)에서 연장되는,
    조립체(1).
KR1020227020237A 2019-11-20 2020-10-20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 및 조립체 KR20220098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0337.2 2019-11-20
EP19210337.2A EP3825637B1 (en) 2019-11-20 2019-11-20 Gasket and assembly for a plate heat exchanger
PCT/EP2020/079436 WO2021099048A1 (en) 2019-11-20 2020-10-20 Gasket and assembly for a plate heat exc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014A true KR20220098014A (ko) 2022-07-08

Family

ID=6876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237A KR20220098014A (ko) 2019-11-20 2020-10-20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 및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639829B2 (ko)
EP (1) EP3825637B1 (ko)
JP (1) JP7278489B2 (ko)
KR (1) KR20220098014A (ko)
CN (1) CN114667430B (ko)
BR (1) BR112022007237B1 (ko)
DK (1) DK3825637T3 (ko)
ES (1) ES2916724T3 (ko)
PL (1) PL3825637T3 (ko)
WO (1) WO2021099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9026A1 (en) * 2021-06-24 2022-12-28 Alfa Laval Corporate AB Gasket arrangement, heat transfer plate, kit, assembly, heat exchanger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962A (en) 1957-10-09 1960-08-04 Silkeborg Maskinfabrik As A plate heat exchanging apparatus
ATE8436T1 (de) * 1980-04-30 1984-07-15 Alfa-Laval Ab Plattenwaermetauscher.
SE421241B (sv) * 1980-04-30 1981-12-07 Alfa Laval Ab Plattvermevexlare
US5110691A (en) 1991-01-16 1992-05-05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Fuel cell component sealant
JP2992719B2 (ja) 1992-01-29 1999-12-20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IT1299659B1 (it) * 1998-04-23 2000-03-24 Cipriani Scambiatori Srl Scambiatore di calore a piastre
WO2000054352A1 (en) 1999-03-10 2000-09-14 Flexfab Horizons International, Inc. Fuel cell gaske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fuel cells
KR100581843B1 (ko) 2005-05-09 2006-05-22 대원열판(주) 판형열교환기의 전열판과 가스켓의 결합구조
CN2876682Y (zh) 2005-10-17 2007-03-07 四平市巨元换热设备有限公司 可拆式宽流道板式换热器
KR20080006585U (ko) 2008-03-21 2008-12-26 대원열판(주) 전열판용 가스켓
TR201807399T4 (tr) 2012-02-07 2018-06-21 Danfoss As Bir oluğa ve bir contaya sahip istiflenmiş plaka ısı dönüştürücü.
PT2914916T (pt) * 2012-10-30 2019-02-27 Alfa Laval Corp Ab Junta e montagem
CN203572294U (zh) 2013-11-25 2014-04-30 天津歌瑞和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板式换热器的凹槽垫片
JP6428495B2 (ja) 2014-08-12 2018-11-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EP3001131A1 (en) 2014-09-26 2016-03-30 Alfa Laval Corporate AB A porthole gasket for a plate heat exchanger, a plate package and a plate heat exchanger with such a porthole gasket
CN107228582A (zh) * 2016-03-25 2017-10-03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板式换热器
EP3225947A1 (en) * 2016-03-30 2017-10-04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heat transfer plates
CN205715634U (zh) 2016-05-10 2016-11-23 浙江正康实业有限公司 自密封异型密封圈
CN208269703U (zh) * 2018-04-11 2018-12-21 博耐尔汽车电气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板式换热器
DK180146B1 (en) * 2018-10-15 2020-06-25 Danfoss As Intellectual Property Heat exchanger plate with strenghened diagonal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4108A1 (en) 2022-12-22
JP7278489B2 (ja) 2023-05-19
JP2022551334A (ja) 2022-12-08
DK3825637T3 (da) 2022-07-11
US11639829B2 (en) 2023-05-02
BR112022007237B1 (pt) 2022-09-13
BR112022007237A2 (pt) 2022-05-10
PL3825637T3 (pl) 2022-07-04
CN114667430B (zh) 2023-01-20
CN114667430A (zh) 2022-06-24
EP3825637A1 (en) 2021-05-26
EP3825637B1 (en) 2022-05-11
ES2916724T3 (es) 2022-07-05
WO2021099048A1 (en)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517B2 (en) Plate and gasket for plate heat exchanger
KR101265442B1 (ko) 플레이트 열 교환기를 위한 플레이트 및 가스켓
US11156405B2 (en) Heat transfer plate and gasket
US10871333B2 (en) Porthole gasket and assembly for a heat exchanger
US11774191B2 (en) Heat transfer plate and a plate pack for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heat transfer plates
US7424908B2 (en) Plate pack, a plate heat exchanger, and a plate module
KR20220098014A (ko) 판형 열교환기용 가스켓 및 조립체
JP7214923B2 (ja) 熱伝達プレート
EP3835702A1 (en) Gasket and assembly for a plate heat exchanger
CN117255926B (zh) 传热板和垫片
TWI836407B (zh) 熱傳板及墊片
CN218296870U (zh) 换热板、换热板对、换热板束及换热器
JPH11287582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CN109813159A (zh) 用于板式热交换器的传热板和具有传热板的板式热交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