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789A -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789A
KR20220096789A KR1020200189550A KR20200189550A KR20220096789A KR 20220096789 A KR20220096789 A KR 20220096789A KR 1020200189550 A KR1020200189550 A KR 1020200189550A KR 20200189550 A KR20200189550 A KR 20200189550A KR 20220096789 A KR20220096789 A KR 20220096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material
paper
base plate
paper cushioning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화
Original Assignee
유춘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화 filed Critical 유춘화
Priority to KR102020018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789A/ko
Publication of KR20220096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8Wrapping of articles
    • B65B67/085Wrapping of articles using hand-held dispensers for stretch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6Multip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81Packag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으로 신장되어 인출되는 종이 완충재를 횡방향의 직선으로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제품의 포장 후 종이 완충재를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양측에 각각이 고정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완충재롤의 권취관이 삽입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양 측판과; 양 측판 중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관의 하나의 단부를 탄성력으로 눌러주는 탄성 누름수단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신장되게 인출되는 종이 완충재를 수동 조작에 의해 절단하는 수동 절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절단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횡방향의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는 하부 직각날부가 형성되는 하부날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일측이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의 후방에는 상기 하부 직각날부에 밀착되어 종이 완충재를 절단하는 하부 직각날부가 형성되는 회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Cushion paper pack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 완충재롤에 권취된 종이 완충재를 잡아당겨 풀면서 포장을 할 수 있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손이 우려되는 유리, 사기, 합성수지 등의 제품이나 표면이 손상되기 쉬운 제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제품을 개별 포장한다. 그리고, 종래의 깨지기 쉬운 제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완충력이 뛰어난 엠보싱 비닐지(비닐 뽁뽁이)나 발포수지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엠보싱 비닐지나 발포수지지 등의 포장지는 합성수지로 구성됨에 따라 썩는데 오래 걸려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친환경적으로 종이로 제조되는 쿠션 페이퍼, 에어캡, 종이 뽁뽁이로도 불리는 종이 완충재가 알려져 있는데, 종이 완충재는 커팅선들이 형성된 종이가 롤 형태로 권취되어 시판되는 것이다.
상기 롤 형태의 종이 완충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종이 완충재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켜 커팅선들을 확장시켜 개방된 공간의 에어 쿠션부들을 형성시킨 다음, 에어 쿠션부들이 형성된 종이 완충재로 제품을 포장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 상기 롤 형태의 종이 완충재를 사용하여 제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가 종이 완충재를 풀고 절단 한 후, 절단된 종이 완충재의 양 단부를 두 손으로 잡고 양쪽으로 잡아당겨 종이 완충재를 길이 방향으로 신장시킨 다음 포장지로 사용함에 따라, 종이 완충재의 신장 시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롤 형태로 시판되는 종이 완충재를 손쉽게 신장시켜 포장지로 사용할 수 있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이하, "종래의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종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직홈(20)이 형성된 양 측판(10)과, 양 측판(10)의 사이의 후방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후방봉(30)과, 양 측판(10) 사이의 전방에 횡방향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는 전방봉(40)과, 외측에는 완충재롤(100)이 삽입되고 양 측판(10)의 수직홈(20)에 양 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롤 고정봉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롤 고정봉부(50)는 양 단부가 양 측판(10)의 수직홈(20)에 삽입되고 외측에는 완충재롤(100)의 권취관(101)이 삽입되는 수평축(60)과, 상기 수평축(60)의 일,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관(101)의 일,타측을 내측 방향으로 눌러주어 종이 완충재(100)를 잡아당길 때만 완충재롤(100)이 회전되게 하는 일,타측의 누름 고정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사용하여 제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롤 고정부에 완충재롤(100)을 풀림이 가능하게 고정한 후, 완충재롤(100)의 종이 완충재(P)를 풀어 풀려진 종이 완충재(P)를 후방봉(30)의 후방과 하부로 통과시킨 다음, 종이 완충재(P)의 풀림 단부를 전방으로 당겨 종이 완충재(P)에 에어 쿠션부들을 형성시키면서 풀려진 종이 완충재를 장치의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다음 전방으로 인출된 종이 완충재(P)의 상부에 제품을 올려놓고 종이 완충재(P)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면서 제품을 한 겹 이상으로 감싼다.
다음 제품을 완전히 감싼 후에는 사용자가 포장된 제품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커터를 잡아 인출된 종이 완충재(P)를 커터로 절단하는 과정을 통해 포장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완충재 포장장치는 제품의 포장 후 커터를 손으로 잡고 수작업으로 인출된 종이 완충재를 절단함으로써 절단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완충재 포장장치는 절단 작업 중 포장된 제품의 후방에 위치되는 종이 완충재가 굴곡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종이 완충재의 절단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절단된 부분이 굴곡지게 절단되어 포장 상태의 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완충재 포장장치는 후방봉이 회전되지 않는 단일의 봉으로 구성됨에 따라 종이 완충재를 잡아당길 경우에 후방봉의 외면과 종이 완충재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어 종이 완충재가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84534호의 "포장지"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으로 신장되어 인출되는 종이 완충재를 횡방향의 직선으로 간단히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이 완충재를 잡아당겨 포장을 하는 과정에서 종이 완충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양측에 각각이 고정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완충재롤의 권취관이 삽입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양 측판과; 양 측판 중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관의 하나의 단부를 탄성력으로 눌러주는 탄성 누름수단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신장되게 인출되는 종이 완충재를 수동 조작에 의해 절단하는 수동 절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절단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횡방향의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는 하부 직각날부가 형성되는 하부날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일측이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의 후방에는 상기 하부 직각날부에 밀착되어 종이 완충재를 절단하는 하부 직각날부가 형성되는 회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양 측판의 사이의 하부 후방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되어 상기 완충재롤에서 풀리는 종이 완충재가 후방과 하부에 밀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후방 횡형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횡형축부는 수평의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되는 수평축과, 수평축의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종이 완충재가 후방과 하부에 밀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면 공회전되는 밀착 회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방으로 신장되어 인출되는 종이 완충재를 횡방향의 직선으로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제품의 포장 후 종이 완충재를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완충재를 잡아당겨 포장을 하는 과정에서 종이 완충재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이 완충재의 손실 없이 포장이 가능한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완충재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c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d는 정면도이며,
도 1e는 좌측면도이고,
도 1f는 회전날의 타측이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e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종이 완충재를 경사지게 잡아당기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종이 완충재의 커팅 전 종이 완충재의 에어 쿠션부들이 톱니들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완충재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c는 사용 상태도로 종이 완충재와 내측 포장지가 함께 절단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나타낸 좌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도 1e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장치의 전방으로 신장되어 인출되는 종이 완충재를 직선형으로 간단히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판(1), 측판(2), 탄성 누름수단(3), 수동 절단수단(4)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은 직육면체 형태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다리(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판(2)은 베이스판(1)의 상부 양측에 각각이 고정수단(22)을 통해 종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측판(2)의 상부에는 완충재롤(100)의 권취관(101)이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21)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홈(21)에 삽입되는 권취관(101)의 상부는 후술할 탄성 누름수단(3)을 통해 상부가 눌러질 수 있도록 삽입홈(21)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판(2)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2)은 양측 폭이 서로 다른 완충재롤(100)을 호환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측판(2)을 베이스판(1)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정수단(22)은 각각의 측판(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측판(2)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판(1)의 상면에 밀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횡형 장홀(221a)이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수평판(221)과, 상기 베이스판(1)에 각각의 상기 횡형 장홀(221a)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탭홀(222)과, 서로 관통되는 상기 횡형장홀과 탭홀(222)에 관통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고정수단(22)을 구성하는 고정볼트(223)를 풀어 각각의 측판(2)의 좌우 위치를 조정한 다음, 고정볼트(223)들을 다시 조이는 과정을 통해 측판(2)의 좌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베이스판(1)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양 측판(2)의 사이 폭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음에 따라, 좌우 폭이 서로 다른 완충재롤(100)을 호환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누름수단(3)은 양측의 측판(2) 중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관(101)의 하나의 단부를 탄성력으로 눌러주어 완충재롤(100)의 종이 완충재(P)를 잡아당길 때만 완충재롤(100)을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탄성 누름수단(3)은 양측의 측판(2) 중 하나의 측판(2)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탭홀(311)이 형성된 전,후방 돌출판(31a)(31b)과, 전,후방에는 상기 탭홀(311)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볼트축 관통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권취관(101)의 상부를 눌러주는 누름판(32)과, 서로 일치하는 볼트축 관통홀(321)과 탭홀(311)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볼트머리를 포함하는 전,후방 두 개의 고정볼트(33)와, 각 고정볼트(33)의 나사축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하부가 고정볼트(33)의 볼트머리의 하면과 상기 누름판(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충재롤(100)의 권취관(101)을 눌러주는 탄성 누름수단(3)을 간단히 구성하여 탄성 누름수단(3)을 저가로 제조함으로써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수동 절단수단(4)은 상기 베이스판(1)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신장되게 인출되는 종이 완중재(P)를 수동 조작에 의해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수동 절단수단(4)은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제품의 포장 후 종이 완중재(P)를 직선형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판(1)의 전방에 횡방향의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는 상부 직각날부(411)가 형성되는 하부날(41)과, 상기 베이스판(1)의 전방에 일측이 힌지축(43)으로 연결되어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의 후방에는 상기 하부 직각날부(421)에 밀착되어 종이 완중재(P)를 절단하는 하부 직각날부(421)가 형성되는 회전날(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42)에는 사용자가 회전날(42)에 의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전수단은 회전날(42)을 커버하면서 회전날(42)의 타측을 용이하게 회전 상승시키거나 회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회전날(42)의 상부의 전방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판(422)과, 상기 돌출판(422)에 설치되어 회전날(42)의 상부와 전방을 커버하는 횡방향의 안전커버(423)와, 상기 안전커버(423)의 타측의 전방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손잡이(4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커버(423)는 회전날(42)의 상부와 전방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도록, 돌출판(422)에 다수의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상부 커버판(423a)과 상부 커버판(423a)의 전방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전방 커버판(423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양측의 측판(2) 사이의 하부 후방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되어 상기 완충재롤(100)에서 풀리는 종이 완중재(P)가 후방과 하부에 밀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후방 횡형축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횡형축부(5)는 종이 완중재(P)가 후방과 하부에 밀착되면서 전방으로 당겨져 신장되면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수평의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되는 수평축(51)과, 수평축(51)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종이 완중재(P)가 후방과 하부에 밀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면 공회전되는 밀착 회전관(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밀착 회전관(52)의 내경이 상기 수평축(51)의 외경보다 큼으로써 종이 완중재(P)가 밀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밀착 회전관(52)이 공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후방 횡형축부(5)의 수평축(51)의 양 단부는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양 측판(2)에 설치될 수 있고, 별도의 고정수단를 통해 베이스판(1)에 연결되게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양 측판(2) 사이의 전방인 베이스판(1)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신장된 에어 쿠션부(P1)들이 형성된 종이 완중재(P)를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시켜 임시 고정하는 유동 방지 고정수단(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방지 고정수단(22)은 종이 완중재(P)를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잡아당긴 다음 하부로 하강시키는 반복 조작에 의해 종이 완중재(P)를 임시적으로 유동되지 않게 반복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 방지 고정수단(22)에 의해 종이 완충재(P)가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는 종이 와충재(P)가 유동되지 않아 제품의 포장 작업이나 절단 작업을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동 방지 고정수단(6)은 종이 완중재(P)를 임시적으로 유동되지 않게 반복 고정할 수 있도록, 양 측판(2) 사이의 전방인 베이스판(1)의 상부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베이스판 고정수단(611)으로 고정 구비되는 양측의 고정부재(61)와, 양측의 고정부재(61)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볼트 체결로 양측의 고정부재(6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종이 완중재(P)의 에어 쿠션부(P1)들이 관통 삽입되는 다수의 톱니(621)들이 형성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톱니 고정판(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이 에어 쿠션부(P1)은 상,하부가 연통된 개방된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톱니(621)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 고정수단(611)은 양 측판(2)의 좌우 이동을 통해 폭이 다른 완충재가 설치되면 폭이 다른 완충재롤(100)의 폭과 상응되는 폭을 가진 톱니 고정판(62)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고정부재(6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 고정수단(611)은 상기 고정부재(61)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홀(611a)과, 상기 베이스판(1)에 장홀(611a)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탭홀(611b)과, 상기 장홀(611a)을 관통하여 탭홀(611b)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11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61)의 후방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바(612)가 더 형성되어 돌출바(612)의 끝단에는 상기 수평축(51)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볼트 연결부(613)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 연결부(613)는 돌출바(61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조립홀과, 상기 수평축(51)의 단면에 형성된 탭홀과, 상기 조립홀에 관통되어 탭홀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수평축(51)이 포함되는 후방 횡형축부(5)가 상기 유동 방지 고정수단(6)의 양측의 고정부재(61)에 연결되게 구비됨으로써, 양 측판(2)의 좌우 이동을 통해 폭이 다른 완충재롤(100)이 설치되면 폭이 다른 완충재롤(100)의 폭과 상응되는 폭을 가진 후방 횡형축부(5)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사용하여 제품을 포장할 경우에는, 먼저, 양 측판(2)의 삽입홈(21)에 권취관(101)의 양 단부를 삽입하고, 하나의 측판(2)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 누름수단(3)의 조작을 통해 권취관(101)의 한 쪽 단부의 상부를 탄성력을 가지는 누름판(32)으로 눌러준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의 전방에 설치되는 수동 절단수단(4)의 회전날(42)의 타측부를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상승된 위치로 회전시킨다.
다음, 양 측판(2)에 설치된 완충재롤(100)에서 종이 완중재(P)를 풀어 풀려진 종이 완중재(P)를 후방 횡형축부(5)의 밀착 회전관(52)의 후방과 하부에 밀착되게 통과시킨 후, 종이 완중재(P)의 풀림 단부를 전방으로 당겨 종이 완중재(P)를 신장시키면서 인출시켜 종이 완중재(P)에 에어 쿠션부(P1)들을 형성시키고 에어 쿠션부(P1)들이 형성된 풀려진 종이 완중재(P)를 장치의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다음, 전방으로 인출된 종이 완중재(P)의 상부에 제품을 올려놓고, 종이 완충재(P)를 전방으로 한 번 이상 잡아당겨 신장 인출시키면서 제품을 한 겹 이상으로 감싼다.
다음, 제품을 완전히 감싼 후에는 사용자가 포장된 제품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수동 절단수단(4)의 손잡이(424)를 잡고 회전날(42)의 타측을 일측의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시켜 회전날(42)을 하부날(41)의 전방에 포개지게 하강시킴으로써 종이 완중재(P)를 절단하여 포장을 완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종이 완중재(P)를 손으로 잡고 한 번씩 잡아당기는 과정에서는, 종이 완중재(P)의 손으로 잡은 부분을 상승시켜 종이 완충재(P)을 상향 경사지게 잡아 당김으로써 종이 완중재(P)가 유동 방지 고정수단(6)의 상부에 이격되게 하면서 종이 완중재(P)를 신장 인출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종이 완중재(P)를 한 번씩 잡아당긴 후에 한 번씩 포장 작업이나 절단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잡아당긴 종이 완중재(P)를 다시 하강시켜 종이 완중재(P)를 유동 방지 고정수단(6)의 톱니(621)들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포장 작업 및 절단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종이 완중재(P)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이 완중재(P)를 한 번씩 잡아당긴 후에 포장 작업이나 절단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종이 완중재(P)를 유동 방지 고정수단(6)의 톱니(621)들에 유동되지 않게 삽입 고정함으로써, 포장 작업하는 과정에서는 포장 작업을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절단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는 절단 부분을 직선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이 완충재(P)가 밀착 통과되는 밀착 회전관(52)을 공회전되게 함에 따라, 종이 완중재(P)를 잡아당겨 신장시키면서 인출하여 포장을 하는 과정에서 밀착 회전관(52)의 외면과 종이 완중재(P)의 표면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종이 완중재(P)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이 완중재(P)의 손실 없이 포장이 가능한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동 절단수단(4)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전방으로 신장되어 인출되는 종이 완중재(P)를 횡방향의 직선으로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제품의 포장 후 종이 완중재(P)를 편리하게 절단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1)의 양측에 구비된 양 측판(2)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고, 상기 유동 방지 고정수단(6)의 양측 고정부재(61)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며, 양측 고정부재(61)의 사이에 설치되는 톱니 고정판(62)과 후방 횡형축부(5)의 양측 폭을 달리함으로써, 하나의 포장장치에 좌우 폭이 서로 다른 완충재롤(100)을 호환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상기 양 측판(2)의 전방과 하부날(41)의 사이에 구비되어 종이 완충재(P)의 상면에 내측 포장지(202)를 공급하는 내측 포장지 공급수단(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포장지(202)는 종이나 유동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권취관(201)에 내측 포장지(202)가 권취되는 내측 포장지롤(200)로 시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측 포장지 공급수단(7)은 내측 포장지롤(200)에 권취된 내측 포장지(202)를 상기 종이 완중재(P)의 표면에 원활하게 공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양 측판(2)의 전방과 하부날(41)의 사이인 베이스판(1)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급수단 설치부(71)와, 상기 공급수단 설치부(71)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내측 포장지롤(200)의 권취관(201)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721)이 형성되는 양측의 전방 측판(7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장치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종이 완중재(P)를 잡아당기면서 상기 내측 포장지롤(200)의 내측 포장지(202)를 함께 잡아당김으로써, 장치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종이 완중재(P)의 상부 표면에 내측 포장지(202)를 함께 인출하여 내측 포장지(202)가 내측에 구비된 종이 완중재(P)로 제품을 포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동 절단수단(4)에서는 회전날(42)의 한 번의 하강 회전만으로 내측 포장지(202)가 상부에 밀착된 종이 완중재(P)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동 절단수단(4)을 구성하는 회전날(42)의 한 번의 하강 회전만으로 장치의 전방으로 인출된 내측 포장지(202)와 종이 완중재(P)를 동시에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베이스판
11 : 다리
2 : 측판
21 : 삽입홈
22 : 고정수단
3 : 탄성 누름수단
31a : 전방 돌출판
31b : 후방 돌출판
32 : 누름판
33 : 고정볼트
34 : 압축코일스프링
4 : 수동 절단수단
41 : 하부날
42 : 회전날
43 :힌지축
5 : 후방 횡형축부
51 : 수평축
52 : 밀착 회전관
6 : 유동 방지 고정수단
61 : 고정부재
62 : 톱니 고정판
7 : 내측 포장지 공급수단
71 : 공급수단 설치부
72 : 전방 측판

Claims (7)

  1.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양측에 각각이 고정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완충재롤의 권취관이 삽입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양 측판과;
    양 측판 중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관의 하나의 단부를 탄성력으로 눌러주는 탄성 누름수단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신장되게 인출되는 종이 완충재를 수동 조작에 의해 절단하는 수동 절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절단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횡방향의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는 하부 직각날부가 형성되는 하부날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에 일측이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의 후방에는 상기 하부 직각날부에 밀착되어 종이 완충재를 절단하는 하부 직각날부가 형성되는 회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양 측판의 사이의 하부 후방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되어 상기 완충재롤에서 풀리는 종이 완충재가 후방과 하부에 밀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후방 횡형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횡형축부는
    수평의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되는 수평축과,
    수평축의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종이 완충재가 후방과 하부에 밀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면 공회전되는 밀착 회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양 측판 사이의 전방인 베이스판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신장된 에어 쿠션부들을 가진 종이 완충재를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시켜 임시 고정하는 유동 방지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 방지 고정수단은
    양 측판 사이의 전방인 베이스판의 상부 양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베이스판 고정수단으로 고정 구비되는 양측의 고정부재와,
    양측의 고정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볼트 체결로 양측의 고정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종이 완충재의 에어 쿠션부들이 관통 삽입되는 다수의 톱니들이 형성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톱니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의 후방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바가 더 형성되어 돌출바의 끝단에는 상기 수평축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볼트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측판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밀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다수의 횡형 장홀이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수평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각각의 상기 횡형 장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탭홀과,
    서로 관통되는 상기 횡형 장홀과 탭홀에 관통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의 상부의 전방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판이 더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에는 회전날의 상부와 전방을 커버하는 횡방향의 안전커버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안전커버의 타측의 전방에는 손잡이가 돌출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는 상기 양 측판의 전방과 하부날의 사이에 구비되어 종이 완충재의 상면에 내측 포장지를 공급하는 내측 포장지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포장지 공급수단은
    상기 양 측판의 전방과 하부날의 사이인 베이스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급수단 설치부와,
    상기 공급수단 설치부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내측 포장지롤의 권취관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양측의 전방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KR1020200189550A 2020-12-31 2020-12-31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KR20220096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50A KR20220096789A (ko) 2020-12-31 2020-12-31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50A KR20220096789A (ko) 2020-12-31 2020-12-31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789A true KR20220096789A (ko) 2022-07-07

Family

ID=8239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50A KR20220096789A (ko) 2020-12-31 2020-12-31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7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968B1 (ko) * 2022-10-04 2023-05-31 주식회사 유엠에스 종이완충재 디스펜서
KR102602747B1 (ko) * 2022-11-04 2023-11-16 주식회사코르피아 종이 완충재 디스펜서
KR200497757Y1 (ko) * 2023-10-23 2024-02-20 김정희 화훼포장용 리본 걸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534B1 (ko) 1995-06-10 1999-04-01 정필훈 생체흡수성 고정재료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534B1 (ko) 1995-06-10 1999-04-01 정필훈 생체흡수성 고정재료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968B1 (ko) * 2022-10-04 2023-05-31 주식회사 유엠에스 종이완충재 디스펜서
KR102602747B1 (ko) * 2022-11-04 2023-11-16 주식회사코르피아 종이 완충재 디스펜서
KR200497757Y1 (ko) * 2023-10-23 2024-02-20 김정희 화훼포장용 리본 걸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6789A (ko) 종이 완충재 포장장치
CN209871277U (zh) 一种自切断式纸巾抽拉盒
US937628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ensing cushioning wrap material
CA2895888A1 (en) Rolled product dispenser
US4451010A (en) Reusable rod assembly for mounting boxed rolls of material
KR102436904B1 (ko) 커팅작업이 용이한 종이완충포장용 포장장치
KR200467615Y1 (ko) 포장용 테이프 절단기
KR102351714B1 (ko) 친환경 종이완충재용 인출장치
JP4411541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KR100959524B1 (ko) 테이프 절단기
US2836292A (en) Box for dispensing sheet wrapping material
US11479431B2 (en) Dispensing systems with floating support rollers
JP2009125896A (ja) スリッター装置の回転上刃取り付け構造
MX2008010666A (es) Maquina para cubrir diversos tipos de articulos.
US20110041461A1 (en) Packaging material dispenser
JP2012139788A (ja) 切断装置
KR100725359B1 (ko) 두루마리 포장재 커팅장치
KR20120003171U (ko) 상자 포장용 수동 테이프 커터
KR200213776Y1 (ko) 식품 포장기에 권취된 비닐지의 장가장치
KR102575298B1 (ko) 테이프 커터기
JP2020138864A (ja) 多分割方式のテープ切断機(Multi−splitting taper dispenser)
KR102532580B1 (ko) 점착테이프 리필롤 제조장치
KR100343890B1 (ko) 포장용 포장대의 자동 절첩장치
EP3854736B1 (en) Protective tape dispenser
CN217458213U (zh) 一种保鲜膜裁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