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653A -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653A
KR20220096653A KR1020200189282A KR20200189282A KR20220096653A KR 20220096653 A KR20220096653 A KR 20220096653A KR 1020200189282 A KR1020200189282 A KR 1020200189282A KR 20200189282 A KR20200189282 A KR 20200189282A KR 20220096653 A KR20220096653 A KR 2022009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creen
foreign material
rotating
upp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712B1 (ko
Inventor
함동균
박정근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피제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피제이케이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이 개시된다. 상기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은 이물질 여과 스크린,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샤프트, 및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상부에 연결되고 회전하여 상기 하부 샤프트와 함께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을 회전시키는 상부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 스크린 유닛;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제1 위치감지센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제2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 및 제2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 및 우측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REAL-TIME TENSION DETECTION AND REMOTE CONTROL DEVICE OF TRAVELING WATER SCREEN OF WATER INTAKE FACILITY}
본 발명은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시 안정적인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취수설비에 해양 이물질로 인한 여러 형태 원인으로 예기치 못한 장치의 정지를 막고자 회전스크린의 장력을 실시간으로 감지 하고 이상 감지시 원격조정으로 즉시 손쉽게 이상 해제 할 수 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담수설비, 정수장 등과 같은 각종 산업플랜트는 대용량의 물을 취수하기 위한 취수설비를 구비한다. 회전스크린은 이러한 취수설비의 하나로 취수되는 물로부터 수중생물이나 패류, 쓰레기,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장치이다.
통상적인 회전스크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655469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3299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취수유로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 및 이 구동스프라켓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취수유로 하부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스크린은 구동모터가 동작하면 이송체인에 결합된 스크린바스켓이 회전한다. 그리고 취수되는 물은 취수유로 상의 스크린바스켓을 통과함으로써 스크린바스켓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러한 회전스크린은 계절적 요인 등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하거나 단시간 과도한 유입물 축적과 스크린바스켓으로 걸러지는 이물질들이 불규칙적으로 편중되는 등의 원인으로 회전스크린의 좌, 우 장력 부정확 또는 편하중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전스크린은 편하중에 의해 각각의 연결부품들의 마모가 가속화되며, 구동모터의 과부하도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편하중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연결부품들의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될 때 비로소 확인이 가능하므로 회전스크린의 편하중의 보정 및 회전스크린의 보수를 즉각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편하중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제어부의 실시간 모니터링 감시 측정 및 원격으로 편하중 보정하여 기존의 많은 인력투입, 비용, 일정, 안전사고 위험으로부터 상시 안정적인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은 이물질 여과 스크린,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샤프트, 및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상부에 연결되고 회전하여 상기 하부 샤프트와 함께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을 회전시키는 상부 샤프트를 포함하는 회전 스크린 유닛;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제1 위치감지센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제2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 및 제2 위치감지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 및 우측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및 상기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상부 샤프트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테이크업스크류; 및 상기 테이크업스크류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테이크업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의 테이크업스크류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및 상기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의 테이크업스크류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는 상기 테이크업스크류의 상단부에 근접하도록 위치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단부가 상기 테이크업스크류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의 인장력으로 상기 테이크업스크류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장력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및 상기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각각은, 중공 기둥 형상이고, 상기 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중공 기둥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크업스크류가 관통하는 스프링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커버는, 위치 고정되는 하부케이스; 및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의 하중을 감지하는 제1 로드셀; 및 상기 상부 샤프트의 우측의 하중을 감지하는 제2 로드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셀 및 제2 로드셀은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로드셀 및 상기 제2 로드셀의 측정값이 입력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의 좌측 및 우측의 하중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위치감지센서의 측정값, 상기 제1 로드셀 및 상기 제2 로드셀의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은 상기 상부 샤프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부 스프라켓 및 상기 하부 샤프트의 양측에 구비되는 하부 스프라켓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 및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쉬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크린은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상부 방향에서 그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다수의 메쉬 스크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는, 상기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중심튜브 및 상기 중심튜브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플렉시블한 다수의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부재; 및 상기 회전 샤프트를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는 상기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가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다수의 스크레이퍼가 메쉬 스크린 표면에 마찰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의 스크레이퍼는 상기 메쉬 스크린의 표면에 마찰되는 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마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에 의하면, 편하중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감시 측정 및 원격으로 편하중 보정하여 기존의 많은 인력투입, 비용, 일정, 안전사고 위험으로부터 상시 안정적인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 여과 스크린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프링 및 로드셀이 스프링커버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되므로 스프링 및 로드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쉬 스크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를 확대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의 이물질 제거부재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쉬 스크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를 확대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는 하우징(111), 회전 스크린 유닛(120),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 제1 위치감지센서(151), 제2 위치감지센서(152)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취수유로(20)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0)에서 취수유로(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면에 설치되며, 하우징(111)의 배면은 콘크리트 구조물(10) 상면의 이물질 배출로(11)를 향해 개방된다.
회전 스크린 유닛(120)은 취수유로(20) 내에 설치되어 취수유로(20)로 유입되는 해수로부터 수중생물이나 패류, 쓰레기,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여과한다. 이러한 회전 스크린 유닛(120)은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하부에 연결되고 양측에 하부 스프라켓(125)이 구비되는 하부 샤프트(123),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상부에 연결되고 양측에 상부 스프라켓(124)이 구비되는 상부 샤프트(122), 상부 샤프트(122)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장치(12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은 상부 샤프트(122) 및 하부 샤프트(123)의 양측에서 상부 스프라켓(124) 및 하부 스프라켓(125)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1211), 각각의 이송체인(1211)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쉬 스크린(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메쉬 스크린(1212)은 정면 형상이 사각인 프레임(1212a) 및 프레임(1212a) 내에 구비되는 메쉬망(1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쉬 스크린(1212)은 프레임(1212a)이 각각의 이송체인(1211)에 양측이 볼트체결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이송체인(121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하부 샤프트(123)는 취수유로(20)의 바닥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샤프트(123)는 취수유로(2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샤프트(122)는 취수유로(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샤프트(122)는 상기 지지프레임(11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샤프트(122)는 하우징(111)의 양측 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동력장치(1217)는 하우징(1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부 샤프트(122)와 연결되어 상부 샤프트(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동력장치(1217)는 구동모터(1217a), 구동모터(1217a)에 연결되는 구동스프라켓(1217b), 상부 샤프트(122)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1217c), 구동스프라켓(1217b) 및 종동스프라켓(1217c)을 연결하는 체인(1217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는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에 연결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는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 및 제1 스크류 회전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는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끝단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의 내부에는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에 결합되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는 상부 샤프트(122)의 상측에서 상부 샤프트(122)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는 하우징(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직방향의 제1 스크류 가이드슬릿(111a)을 따라 삽입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하단부는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 둘레 일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회전하여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에 조여지거나 풀리는 것에 의해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를 상승 및 하강시킴에 따라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류 회전수단(133)은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상단에 연결되어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제1 스크류 회전수단(133)은 모터, 감속기, 감속기 축에 연결되는 구동스프라켓,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상단에 연결되는 종동스프라켓, 구동스프라켓 및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는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는 제2 샤프트 컨택부재(141),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 및 제2 스크류 회전수단(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 컨택부재(141)는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는 상부 샤프트(122)의 상측에서 상부 샤프트(122)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는 하우징(111)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직방향의 제2 스크류 가이드슬릿(111b)을 따라 삽입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의 하단부는 제2 샤프트 컨택부재(141) 둘레 일측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회전하여 제2 샤프트 컨택부재(141)에 조여지거나 풀리는 것에 의해 제2 샤프트 컨택부재(141)를 상승 및 하강시킴에 따라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류 회전수단(143)은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의 상단에 연결되어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스크류 회전수단(143)의 구성은 앞서 예시한 제1 스크류 회전수단(133)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위치감지센서(151)는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위치감지센서(151)는 선형변위센서(LDVT)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위치감지센서(151)는 가동철심이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에 연결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위치감지센서(152)는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위치감지센서(152)는 선형변위센서(LDVT)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2 위치감지센서(152)는 가동철심이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에 연결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위치감지센서(151), 제2 위치감지센서(152),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고,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및 우측의 높이 변화에 따라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은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70) 및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70)는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의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70)는 제1 스프링(171) 및 제1 스프링커버(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71)은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상단부에 근접하도록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프링(171)은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우징(111)의 상면에 하단부가 고정될 수 있고, 상단부는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1 스프링(171)의 인장력으로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스프링(171)은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이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가 상부 샤프트(122)를 따라 처짐이 발생되면 수축될 수 있다.
제1 스프링커버(172)는 중공 기둥 형상이고, 제1 스프링(171)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중공 기둥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가 관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프링커버(172)는 제1 하부케이스(172a) 및 제1 상부케이스(17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케이스(172a)는 하우징(11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상부케이스(172b)는 제1 하부케이스(172a)의 상부에 제1 하부케이스(172a)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상부케이스(172b)의 슬라이딩 구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제1 상부케이스(172b)의 원통이 제1 하부케이스(172a)의 원통에 끼워져서 제1 하부케이스(172a)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80)는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의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80)는 제2 스프링(181) 및 제2 스프링커버(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링(181)은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의 상단부에 근접하도록 위치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프링(181)은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우징(111)의 상면에 하단부가 고정될 수 있고, 상단부는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2 스프링(181)의 인장력으로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프링(181)은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이 처짐이 발생되는 경우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가 상부 샤프트(122)를 따라 처짐이 발생되면 수축될 수 있다.
제2 스프링커버(182)는 중공 기둥 형상이고, 제2 스프링(181)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중공 기둥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테이크업스크류(142)가 관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프링커버(182)는 제2 하부케이스(182a) 및 제2 상부케이스(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케이스(182a) 및 제2 상부케이스(182b)의 구조는 제1 하부케이스(172a) 및 제1 상부케이스(172b)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는 제1 로드셀(191) 및 제2 로드셀(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셀(191)은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로드셀(191)은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70)의 제1 스프링(171)의 상단부 및 제1 스프링커버(172)의 제1 상부케이스(172b)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로드셀(191)은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처짐이 발생됨에 따라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처짐이 발생되어 제1 로드셀(191)에 작용되는 하중이 증가하면 그 하중 변화를 측정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로드셀(192)은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로드셀(192)은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80)의 제2 스프링(181)의 상단부 및 제2 스프링커버(182)의 제1 상부케이스(172b)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로드셀(192)의 작용은 제1 로드셀(191)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 로드셀(191) 및 제2 로드셀(192)의 측정값은 제어부(160)로 입력되며, 제어부(160)는 제1 로드셀(191) 및 제2 로드셀(19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판단된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및 우측의 하중 변화에 따라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제1 로드셀(191) 및 제2 로드셀(192)로부터 상시 측정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각 측정값을 기초로 좌측 또는 우측의 하중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하중 변화가 발생된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또는 우측의 높이 조절을 위해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또는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이때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 각각의 측정값이 동일해지는 시점까지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또는 우측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또는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는 고압수 분사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압수 분사장치(200)는 상부 샤프트(122) 방향에서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메쉬 스크린(1212)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압수 분사장치(200)는 메쉬 스크린(1212)을 향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메쉬 스크린(1212)에 부착된 수중생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은 제1 동력장치(1217)가 구동되면 상부 샤프트(122)가 회전하고, 상부 샤프트(122)가 회전되면 상부 스프라켓(124)이 회전함에 따라 상부 스프라켓(124) 및 하부 샤프트(123)의 하부 스프라켓(125)이 회전하여 이송체인(1211)이 회전되며, 이송체인(1211)에 결합된 다수의 메쉬 스크린(1212)이 이송체인(1211)과 함께 회전하게 되어,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이 회전한다.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이 회전하면서 취수유로(20)로 유입되는 해수로부터 수중생물이나 패류, 쓰레기, 부유물 등의 이물질은 다수의 메쉬 스크린(1212)에 부착되어 여과된다.
다수의 메쉬 스크린(1212)에 부착된 수중생물이나 이물질은 상부 샤프트(122) 방향에서 고압수 분사장치(200)사 메쉬 스크린(1212)을 향해 분사되면서 메쉬 스크린(1212)의 메쉬망(1212b)으로부터 떨어져나가고, 메쉬 스크린(1212)으로부터 떨어져나간 수중생물이나 이물질은 콘크리트 구조물(10) 상면의 이물질 배출로(11)로 투입된다.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중생물이나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중생물이나 이물질을 여과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는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및 우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며, 제1 로드셀(191) 및 제2 로드셀(192)은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및 우측의 하중을 감지하며, 각 센서들의 측정값은 제어부(160)로 입력되며, 제어부(160)는 각 센서들의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또는 우측의 높이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또는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키거나, 제1 로드셀(191) 및 제2 로드셀(192)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또는 우측의 하중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또는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제1 로드셀(19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또는 제1 위치감지센서(15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높이 변화 또는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편하중에 따른 하중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60)는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가 작동되는 경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의 제1 스크류 회전수단(133)이 구동되어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가 회전되고,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는 제1 샤프트 컨택부재(131)에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을 상승시킬 수 있고, 이때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를 통해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및 우측의 높이가 측정되며, 그 측정값은 제어부(160)로 입력되어 제어부(160)는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 각각의 측정값이 동일해지는 시점에 제1 테이크업스크류(132)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편하중이 발생되면 상부 샤프트(122)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절하여,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회전 동작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샤프트(122)의 편하중이 발생되는 경우 편하중이 발생되는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70)의 제1 스프링(171) 또는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80)의 제2 스프링(181)은 수축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편하중이 발생된 상부 샤프트(122)를 수평을 유지하도록 조절한 후 편하중 발생요소가 해소되면 수축된 제1 스프링(171) 또는 제2 스프링(181)은 복원될 수 있다.
제1 스프링(171) 또는 제2 스프링(181)이 복원된 후 상부 샤프트(122)는 기울어짐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의 측정값이 제어부(160)로 입력되고, 제어부(160)는 입력되는 측정값에 따라 다시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또는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켜서 상부 샤프트(122)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는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편하중에 따른 기울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보정할 수 있으므로 항시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회전 동작의 오류가 방지되어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에 다량의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시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안정적인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편하중에 따른 각각의 연결부품들의 마모가 방지되고,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17)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장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프링(171, 181) 및 로드셀(191, 192)이 스프링커버(172, 182)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되므로 스프링(171, 181) 및 로드셀(191, 192)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의 이물질 제거부재를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는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는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상부 방향에서 그 후방에 배치되어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다수의 메쉬 스크린(1212)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는 샤프트 지지대(211), 회전 샤프트(212), 이물질 제거부재(213), 제2 동력장치(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대(211)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샤프트 지지대(211)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면으로부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상면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로(11)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12)는 샤프트 지지대(211)의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샤프트(212)의 일측 끝단은 제1 지지대 또는 제2 지지대를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재(213)는 회전 샤프트(212)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중심튜브(2131) 및 중심튜브(213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플렉시블한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는 회전 샤프트(212)의 위치로부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메쉬 스크린(1212)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메쉬 스크린(1212)의 표면에 마찰되는 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마찰돌기(2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마찰돌기(2132a)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바둑판식 패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동력장치(214)는 회전 샤프트(212)를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동력장치(214)는 구동모터(2141), 구동모터(2141)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2142), 회전 샤프트(212)의 노출된 끝단에 결합되는 종동스프라켓(2143), 상기 구동스프라켓(2142) 및 종동스프라켓(2143)을 연결하는 체인(2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의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에 의해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에 부착된 수중생물이나 이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각각의 메쉬 스크린(1212)에 부착된 수중생물이나 이물질은 상부 샤프트(122) 방향에서 제거되는데, 이때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는 회전하여 각각의 메쉬 스크린(1212)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의 회전 샤프트(212) 및 이물질 제거부재(213)는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는 각각의 메쉬 스크린(1212)의 메쉬망(1212b) 표면에 마찰되면서 메쉬망(1212b)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메쉬망(1212b) 표면으로부터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메쉬망(1212b) 표면에 마찰되는 각각의 스크레이퍼(2132)에 형성된 다수의 마찰돌기(2132a)가 메쉬망(1212b) 표면에 마찰되므로 이물질은 다수의 마찰돌기(2132a)들에 걸리면서 메쉬망(1212b)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고, 제거되는 이물질은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 사이로 삽입된 후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가 이물질 배출로(11)를 향해 회전하므로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가 이물질 배출로(11)를 향해 경사질 때 낙하되어 이물질 배출로(11)에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는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의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가 메쉬 스크린(1212)의 메쉬망(1212b) 표면에 직접 마찰되면서 메쉬망(1212b)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강제적으로 긁어내므로 각각의 메쉬 스크린(1212)에 부착된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동감지센서(310), 이미지촬영장치(320), 이미지저장부(330), 부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감지센서(310)는 이물질 제거부재(213)가 회전할 때의 진동값을 제로값으로 하도록 구비되고, 이물질 제거부재(213)의 각각의 스크레이퍼(2132)가 메쉬 스크린(1212)의 표면에 밀착될 때 상기 제로값으로부터 증가하는 진동값을 측정 및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진동값은 제어부(160)로 전송될 수 있다. 진동감지센서(310)는 중심튜브(2131) 또는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2132)에 설치되는 경우 다수의 마찰돌기(2132a)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미지촬영장치(320)는 샤프트 지지대(211)의 측면에 설치되어 메쉬 스크린(1212)의 메쉬 패턴을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촬영장치(320)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진동감지센서(310)에서 측정되는 진동값이 제로값으로부터 증가하였다가 다시 제로값이면 메쉬 스크린(1212)의 메쉬 패턴을 촬영 후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저장부(3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저장부(330)는 이미지촬영장치(320)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이미지가 저장되며, 상기 메쉬 스크린(1212)의 정상 메쉬 패턴, 즉 메쉬 패턴의 손상이 없는 정상 메쉬 패턴이 미리 저장된다. 상기 정상 메쉬 패턴은 상기 이미지촬영장치(320)로부터 업데이트되는 이미지 내의 메쉬 패턴과의 매칭을 위해 활용된다. 즉, 정상 메쉬 패턴은 저장되는 이미지의 메쉬 패턴과 매칭되어 메쉬 패턴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데 활용된다.
부저(340)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1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부저(340)는 샤프트 지지대(2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이미지촬영장치(320)로부터 이미지저장부(330)로 촬영된 이미지가 업데이트될 때 업데이트되는 이미지 내의 메쉬 패턴과 이미지저장부(330)에 미리 저장된 정상 메쉬 패턴을 매칭시켜서, 비교하여, 업데이트되는 이미지 내의 메쉬 패턴의 불일치, 즉 업데이트되는 이미지에 메쉬 패턴의 누락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메쉬 패턴의 누락 부분이 확인되는 경우 회전스크린 전체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부저(34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는 상기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가 메쉬 스크린(1212)의 메쉬망(1212b) 표면에 마찰되면서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할 때 메쉬망(1212b)의 파손 여부를 감시 및 메쉬망(1212b)의 파손을 즉시 확인하여 알림이 가능해질 수 있고, 메쉬 스크린(1212)이 파손되는 즉시 보수가 가능해질 수 있고,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의 사용에 따른 메쉬 스크린(1212)의 파손에 대한 대비가 가능해지며, 나아가 메쉬 스크린(1212)이 파손된 상태로 회전스크린이 운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샤프트(123), 및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상부에 연결되고 회전하여 상기 하부 샤프트(123)와 함께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을 회전시키는 상부 샤프트(122)를 포함하는 회전 스크린 유닛(120);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샤프트 전동 높이조절장치(140);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제1 위치감지센서(151);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의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제2 위치감지센서(152);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제2 위치감지센서(152)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및 우측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및 상기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는,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테이크업스크류(132, 142); 및
    상기 테이크업스크류(132, 142)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테이크업스크류(132, 142)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수단(133, 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의 테이크업스크류(132, 142)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70); 및
    상기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의 테이크업스크류(132, 142)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70, 180)는 상기 테이크업스크류(132, 142)의 상단부에 근접하도록 위치 고정되는 스프링(171, 181)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171, 181)은 상단부가 상기 테이크업스크류(132, 142)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171, 181)의 인장력으로 상기 테이크업스크류(132, 142)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장력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70) 및 상기 제2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180) 각각은,
    중공 기둥 형상이고, 상기 스프링(171, 181)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중공 기둥 형상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크업스크류(132, 142)가 관통하는 스프링커버(172, 18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커버(172, 182)는,
    위치 고정되는 하부케이스(172a, 182a); 및
    상기 스프링(171, 181)의 상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72a, 182a)의 상부에 상기 하부케이스(172a, 182a)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케이스(171a, 18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의 하중을 감지하는 제1 로드셀(191); 및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우측의 하중을 감지하는 제2 로드셀(19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드셀(191) 및 제2 로드셀(192)은 상기 스프링(171, 181)의 상단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172b, 182b)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 로드셀(191) 및 상기 제2 로드셀(192)의 측정값이 입력되고,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좌측 및 우측의 하중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30) 및 제2 샤프트 높이조절장치(14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 위치감지센서(151) 및 상기 제2 위치감지센서(152)의 측정값, 상기 제1 로드셀(191) 및 상기 제2 로드셀(192)의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은 상기 상부 샤프트(122)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부 스프라켓(124) 및 상기 하부 샤프트(123)의 양측에 구비되는 하부 스프라켓(125)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체인(1211) 및 상기 한 쌍의 이송체인(1211)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쉬 스크린(1212)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크린은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상부 방향에서 그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다수의 메쉬 스크린(1212)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는,
    상기 회전 샤프트(212);
    상기 회전 샤프트(212)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중심튜브(2131) 및 상기 중심튜브(213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플렉시블한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부재(213); 및
    상기 회전 샤프트(212)를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장치(214)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스크레이퍼 장치(210)는 상기 회전 샤프트(212)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재(213)가 상기 이물질 여과 스크린(121)의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가 메쉬 스크린(1212) 표면에 마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크레이퍼(2132)는 상기 메쉬 스크린(1212)의 표면에 마찰되는 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마찰돌기(213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KR1020200189282A 2020-12-31 2020-12-31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KR10253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82A KR102533712B1 (ko) 2020-12-31 2020-12-31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82A KR102533712B1 (ko) 2020-12-31 2020-12-31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53A true KR20220096653A (ko) 2022-07-07
KR102533712B1 KR102533712B1 (ko) 2023-05-17

Family

ID=8239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82A KR102533712B1 (ko) 2020-12-31 2020-12-31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289A (ja) * 2005-09-27 2007-04-12 Nippon Jido Kiko Kk 除塵機
KR100716659B1 (ko) * 2007-02-06 2007-05-10 윤주만 회전망스크린용 체인장력 자동 조절장치
KR20110093144A (ko) * 2010-02-11 2011-08-18 한국동서발전(주) 회전망스크린을 위한 하중 감지 및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2289A (ja) * 2005-09-27 2007-04-12 Nippon Jido Kiko Kk 除塵機
KR100716659B1 (ko) * 2007-02-06 2007-05-10 윤주만 회전망스크린용 체인장력 자동 조절장치
KR20110093144A (ko) * 2010-02-11 2011-08-18 한국동서발전(주) 회전망스크린을 위한 하중 감지 및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712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0555B2 (en) Fluid filtering systems
US3464558A (en) Strainer
AU2009248441A1 (en) High pressure hose protector
JP3969210B2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ーン歯飛び防止装置
US3093578A (en) Chain adjustment for traveling water screens
KR20220096653A (ko) 취수설비의 회전스크린 실시간 장력 감지 및 원격조정장치
KR101019404B1 (ko)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JP2010088959A (ja) 汚泥等回収装置
CN110291247A (zh) 用于清洁化学品回收炉或锅炉的熔融物溜槽和熔融物排放口的装置和方法
KR102371002B1 (ko) 협잡물 제거 효율이 증대된 레이크 구조를 가진 스크린
KR20070008925A (ko) 오폐수처리시설용 스크린장치
JP3988542B2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ーン破断検出装置
KR101738635B1 (ko) 제진기에 마련된 전위 스크린의 전, 후 왕복 장치
RU152748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становки и смены аэрозольных фильтров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US7220361B2 (en) Torque-limited driv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creening system
US7147784B2 (en)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uid screening system
US3018893A (en) Mechanical trash rake
WO2019092779A1 (en) Strainer and straining system
KR101400952B1 (ko)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20190129514A (ko)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JP7284496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クリーナ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CN213433173U (zh) 一种全自动过滤装置
CN215387805U (zh) 一种测量仪表防堵处理装置
CN106091932A (zh) 水下结构全方位自动检测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