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650A -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650A
KR20220096650A KR1020200189277A KR20200189277A KR20220096650A KR 20220096650 A KR20220096650 A KR 20220096650A KR 1020200189277 A KR1020200189277 A KR 1020200189277A KR 20200189277 A KR20200189277 A KR 20200189277A KR 20220096650 A KR20220096650 A KR 20220096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d
gel pack
packaging case
inn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983B1 (ko
Inventor
박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8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9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65D45/32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the clamping device being an annular member moved axially to clamp the closure by using radial pressure
    • B65D45/327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the clamping device being an annular member moved axially to clamp the closure by using radial pressure the annular member applying radial pressure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사와 필름이 첨부되지 않은 순수 하이드로겔 시트를 타공하여 얻는 겔팩 제품의 파우치 포장에 적합한 보조수단으로서, 사용 후 간편하게 분리수거되고 재활용하기 용이한 형태로 개선하여, 제조 및 사용과정에서 산출되는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그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속포장 케이스는 한쪽 장변의 플랜지(26)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뚜껑(2)과 함체(4)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2)은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볼록부(22)를, 상기 함체(4)는 외부에서 내부로 돌출되는 볼록부(42)를 각각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2)의 측벽(20)이 상기 함체(4)의 측벽(40)보다 짧게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2)의 뚜껑면(24)과 함체(4)의 함체면(44) 사이, 및 상기 양 볼록부(22)(42) 사이로 공간(S)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서, 순수 하이드로겔 시트로 만들어진 겔팩 제품을 파우치 포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상기 속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포장방법은 필름 없는 하이드로겔 시트를 타공하여 성형 되는 2 피스형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하반부와 상반부를 겹쳐서 횡으로 2회 접어 겔팩제품의 크기를 최소로 줄이고, 이것을 상기 함체(4)에 넣고 뚜껑(2)을 덮어서 상기 겔팩제품이 양 볼록부(22)(42) 사이의 공간(S)으로 수납되게 한 것을 통상의 파우치에 넣고 실링 하는 공정을 거쳐 포장한다.

Description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Internal packing case for gel packs and packag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겔팩 제품, 특히 하이드로겔로 만들어지는 마스크 팩이나 아이패치 등의 포장에 유용한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얼굴의 피부관리에 널리 쓰이고 있는 마스크 팩은 종래부터 다양한 제품으로 소개되고 있다.
그 종류를 대별하여 보면, 섬유제 지지체에 화장수를 적신 시트 마스크 팩, 미생물 발효에 의해 얻어지는 바이오 셀룰로오스 마스크 팩, 그리고 의료계의 피부용 약물전달체를 마스크 팩 기재로 응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마스크 팩은 면, 부직포 등의 기재에 미용수를 적신 것으로서, 제조하기가 용이하고 사용방식도 간편한 조작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보편화 되어 있으나, 사용 시에는 기재로부터 미용수가 얼굴 주변으로 흘러내리는 사례가 있고, 기재의 재질 별로 얼굴 피부에 밀착되는 촉감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난다.
바이오 셀룰로오스 마스크 팩은 양호한 피부 밀착효과를 나타내지만, 착용 후 단시간에 건조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피부관리 효능은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체온을 받아 겔 표면이 용해되면서 수분을 서서히 방출하는 특성 때문에, 시술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피부 보습이 유지되어 피부관리 효능이 우수하다.
한편, 마스크 팩의 제조에서 시트 마스크 팩은 잘 찢어지지 않는 이점을 가지므로 대개 1장이 얼굴 전체를 덮게 되는 1 피스형으로 제조되고 있고,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그 자체의 물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망사와 같은 지지체에 의존하여 제조되고, 또한 사용 시의 손상을 줄이고자 얼굴의 상반부와 하반부로 분리 성형한 2 피스형으로 제조되고 있다.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서 지지체는 망사나 레이스 등이 채용되고 있다.
종래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품은 다음 특허문헌 1의 도 4에 개시되어 있듯이, 앞뒷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은 파우치에 미용수와 함께 수납하고 실링 포장된다.
이를 도 1에 따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망사를 지지체로 함유한 하이드로겔 시트(H)는 앞뒷면에 필름(F)이 부착된 채로 시트상으로 성형되고, 이것은 타공공정을 거치면서 상부와 하부 마스크 팩(M)으로 분리 성형 된 다음, 주변의 자투리(E)는 남기고 상 하부 마스크 팩(M)만 회수된다.
회수된 상 하부 마스크 팩(M)은 위아래로 겹쳐지고 횡 방향으로 절반 접힌 다음 파우치(P)에 수납하고 미용수 주입 후 실링하는 것으로 포장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제품의 제조에서 상기 자투리(E)에 포함된 앞뒷면 필름(F)과 중간의 잔여 하이드로겔 시트(H)는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
하이드로겔 시트(H)는 친수성의 천연고분자가 주원료이므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나, 망사를 지지체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망사를 채용하지 않은 하이드로겔 시트(H)는 재활용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자투리(E)로 남는 잔여 하이드로겔 시트(H)의 앞뒷면에서 필름(F)을 분리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야 재활용 가능하게 된다.
결국, 필름(F)의 분리 제거작업에도 인력과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고, 이때의 비용은 재활용으로 얻는 이익으로 상쇄될 수 없는 고비용일 뿐만 아니라, 분리 수거된 필름(F)이 여전히 폐기물로 남기 때문에 대부분 분리수거 없이 전량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M)의 앞뒷면에 부착된 필름(F)도 사용할 때 벗겨내어 폐기되므로 환경 오염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기존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포장 방식에서 볼 수 있는 폐기물 문제는, 하이드로겔 시트(H)의 앞뒷면에 필름(F)을 붙이지 않고 타공하는 것으로 근본적인 해결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하이드로겔 시트(H)는 그 자체의 물성이 약하여 포장될 때의 형상유지가 제대로 되지 않고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필름(F)과 같은 보호용 보조수단 없이는 파우치에 포장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포장하여도 운반이나 제품 유통과정에서 쉽게 외형 손상이 발생하여 불량품으로 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기존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 포장 방식에서 나타나는 폐기물 문제는, 보호용 보조수단을 재활용률이 높은 재질의 선택과, 분리수거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는 형상의 구조물을 통해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과 같은 제품(이하 겔팩제품으로 통칭함)에 채용될 수 있는 보조수단의 예로는, 다음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마스크 팩 포장용기" 등의 포장상자 형태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것은 번들 포장용이고 겔팩제품의 포장용 보조수단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특허문헌 2의 포장용기에서 착안하여, 겔팩제품의 보조수단으로서 낱개 포장할 수 있는 속포장 케이스를 채용하면, 필름 없는 겔팩제품으로 낱개 포장할 수 있고, 또한 속포장 케이스는 사용자가 겔팩제품을 꺼낸 후에 분리 수거하는 것으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예상하게 되었다.
겔팩제품을 전용의 속포장 케이스에 넣고 마지막에 파우치로 포장한다면, 겔팩제품을 필름에 의존하지 않고도 변형 없이 완전하게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착상에 기초하여 단순한 직방형체로 된 속포장 케이스를 제작하고 시험 적용하여 보았다.
결과는 필름 없이도 겔팩제품의 포장이 가능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직방형체 내부에 수납된 겔팩제품으로부터 미용수가 침출되고, 이렇게 침출된 미용수의 영향으로 상기 겔팩제품이 미끄러져 밑으로 편재되면서 눌리는 부분이 생기게 되어 외형 변형이 일어나는 단점과, 침출된 미용수가 속포장 케이스 외부로 누설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개선할 사항이 다수 발견되었고, 이를 해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78158호, 도 4 한국 특허 제10-1907358호, 도 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없이 타공 제조되는 겔팩 제품의 파우치 포장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수단으로서, 사용 후 생분해되거나 또는 재활용이 용이한 형태로 하여, 사용 후의 폐기물을 줄임으로써 환경 공해의 방지효과가 큰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겔팩제품을 미끄러지지 않고 형태 보전되도록 수납 보전하여, 침출되는 미용수에 의한 편재를 방지하고, 또한 침출된 미용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 구조를 갖춘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속포장 케이스를 채용하여 겔팩제품을 파우치에 간편하게 포장하는 겔팩 제품의 포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는 함체와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과 함체에는 상호 겹쳐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형성하되, 함체와 뚜껑의 벽체 길이에 편차를 주어서, 상기 양 볼록부가 겹쳐지면 그 사이에 곡면으로 둘러쌓인 겔팩제품 수납용 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에서, 상기 볼록부의 가장자리 경계는 만곡면으로 형성하여 포장되는 겔팩제품의 외형 손상을 최소로 줄이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포장 케이스에서 어느 한쪽 볼록부는 2개소에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속포장 케이스에서 볼록부는 그 주변 측 두께에 비해 0.8~0.9의 두께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포장 케이스에서 볼록부는 반구상의 타원형, 또는 반구형 중에서 선택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속포장 케이스에서 뚜껑의 볼록부와 함체의 볼록부는 상호 겹쳐지면 양 볼록부 사이로 공간이 마련되도록 서로 다른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속포장 케이스에서 뚜껑의 양 측벽 상하부에는 돌출부가, 그리고 함체에서 대응하는 양 측벽 상하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끼워져 합치되는 오목부가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이들 대응하는 돌출부와 오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뚜껑과 함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속포장 케이스는 진공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속포장 케이스는 재활용률이 높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겔팩 제품은 횡으로 2회 접어 펼친 면적을 최소화한 다음, 상기 속포장 케이스의 볼록부 중심으로 안치하고, 뚜껑을 덮어 양 볼록부 사이로 수납되게 한 다음, 파우치에 넣고 실링하는 것으로 포장된다.
또한, 상기 파우치의 실링과정에서 실링과 동시에 내부의 진공화를 겸하는 진공포장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겔팩제품은 망사와 필름 없이 성형 된 순수 하이드로겔 시트를 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므로, 타공공정에서 남는 자투리는 회수 즉시 전량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겔팩제품의 사용 후 남는 속포장 케이스는 외관이 방형체로 되어 있어서 간편하게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폐기물로 될 가능성을 능동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므로 환경 오염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속포장 케이스에서 겔팩제품은 뚜껑과 함체의 돌출부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에 수납되는 것이므로, 외형상 눌린 자국이 생기지 않거나, 생기더라도 상기 볼록부의 가장자리 부근으로 미미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겔팩제품을 외관 손상 없이 포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잃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볼록부 사이에서 겔팩제품은, 상기 볼록부의 곡면을 따라 구부러진 자세로 수납되기 때문에, 운반, 이송중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위치 이동이 생기지 않아 한쪽으로 편재되는 일이 없이 포장되어 제품 불량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뚜껑과 함체의 가장자리로 형성된 측벽은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상호 긴밀하게 면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겔팩제품으로부터 침출되는 미용수가 속포장 케이스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막아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겔팩 제품에 관한 포장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속포장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속포장 케이스에서 함체에 뚜껑을 닫은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속포장 케이스의 볼록부 사이로 겔팩제품이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기존의 2 피스형 겔팩제품을 횡 방향으로 접는 경우의 두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속포장 케이스로 수납된 겔팩제품에서 미용수가 침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속포장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도 3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속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겔팩제품의 포장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에 의해 최종 포장재로 되는 파우치의 면적 감소를 기존의 파우치와 대비하여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 2 내지 도 9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 설명한다.
도 2에서, 속 포장 케이스는 한쪽에 뚜껑(2)이 일체로 연결 형성된 함체(4)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뚜껑(2)과 함체(4)는 각각 사방이 측벽(20)(40)으로 둘러싸인 직방형체로 형성되고, 그 중심 부근에는 상호 겹쳐질 수 있게 형성되는 돔 형상의 볼록부(22)(42)를 보유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뚜껑(2)의 측벽(20)은 함체(4)의 측벽(40)보다 약간 짧은 치수로 형성되고, 볼록부(22)는 뚜껑(2)의 외측 방향으로, 또한 볼록부(42)는 함체(4)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상호 겹쳐질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뚜껑(2)의 볼록부(22)는 함체(4)의 볼록부(42)에 대하여 오목부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벽(20)(40)의 종단 측 가장자리 사방에는 각각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26)(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26)(46)는 각각 연속하는 측벽(20)(40)의 횡 방향으로 긴장력을 가하여 평탄한 면으로 유지 보전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26)(46) 중에서 뚜껑(2)과 함체(4)가 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장변 측 플랜지(26)(46)는 상호 연결되어 힌지를 형성하는 한편, 반대쪽 자유 단을 이루고 있는 장변측 플랜지(26)(46)의 대칭방향 절반부는 폭넓게 형성되어 개폐용 노브(28)(48)를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뚜껑(2)의 측벽(20) 사방으로 함몰부(30)를 일체로 배치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함체(4)의 측벽(40) 사방에 돌출부(50)를 일체로 배치하면, 뚜껑(2)이 함체(4)로 조합될 때 상호 맞물려 닫힌 상태를 유지 보전하여 주는 화스너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들 함몰부(30)와 돌출부(50)는 본 발명에서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구성요소는 아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을 함체(4)로 끼워 조합하면, 뚜껑의 측벽(20)이 함체의 측벽(40)에 긴밀하게 면 접촉(확대부분 "A" 참조)됨과 아울러, 반구상의 볼록부(22)(42) 사이를 포함한 뚜껑면(24)과 함체면(44)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된다(확대부분 "B"참조).
상기 공간(S)에는 겔팩제품이 수납되는 것이므로 뚜껑면(24)과 볼록부(22)의 가장자리, 그리고 함체면(44)과 볼록부(42)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경계는 각을 이루지 않게 면처리 되어야 하고, 필요하다면 곡면으로 가공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는 통상의 진공성형방식으로 제조 가능한 것이며, 이 경우 양 볼록부(22)(42)는 진공 팽출과정에서 그 주변 가장자리의 뚜껑면(24)과 함체면(44)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양 볼록부(22)(42)의 두께가 다른 주변부보다 얇게 형성되면, 외력을 받았을 때 쉽게 좌굴될 수 있어서 겔팩제품과 접촉하게 되는 면에서 눌린 자국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로 수납되는 겔팩제품은 실질적으로는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이며, 이것은 안면 피부와의 접촉이 고르게 되도록 0.6~1mm 범위로 두께를 조절하여 제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에 수납되는 겔팩제품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횡으로 2회 접어 작은 부피로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뚜껑면(24)과 함체면(44)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S)은 중앙이 넓고 양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팩제품이 접히는 과정을 도 4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두께 0.7mm의 2 피스형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상하로 겹쳐놓으면 하부 마스크가 놓이는 중간부가 2겹, 그 외는 1겹으로 되고, 이 상태에서 횡 방향으로 1회 접으면 접힌 두께가 2배로 늘어나 중간이 4겹 그외 부분은 2겹으로 된다.
이것을 다시 횡 방향으로 1회 더 접으면 중간부는 8겹, 그 외 부분은 4겹이 되므로 횡 방향에 따라 2회 접으면 중간부 8겹의 총 두께 (0.7+0.7)×2×2=5.6mm, 그 외의 부분 4겹의 두께 (0.7+0.7)×2=2.8mm로 된다.
이러한 두께 증가를 감안하면, 공간(S)의 중앙부 치수는 6~6.5mm 범위, 그 양측은 3~3.5mm 범위로 설정하였을 때, 겔팩제품에 눌린 자국이 생기지 않거나, 또는 볼록부(22)(42)의 가장자리에서 접촉이 일어나더라도 눌린 부분이 거의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미미하게 나타나게 되어 제품의 외관 손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간(S)의 치수 변화는, 양 볼록부(22)(42)의 곡률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뚜껑(2)의 볼록부(22) 곡률반경 < 함체(4)의 볼록부(42) 곡률반경으로 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에 의하면, 양 볼록부(22)(42)의 반구면이 겔팩제품과 접촉하여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하는 논 슬립작용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논 슬립작용에 관하여,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가 수직으로 세워진 것으로 가정하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속포장 케이스에 수납되는 겔팩제품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공간(S)의 반구상 내표면과 접하여 구부러진 상태로 수납된다.
여기서, 공간(S)의 내측 표면은 중심이 넓고 그 양측으로 갈수록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겔팩제품은 그 하중이 집중하는 방향, 즉 공간(S)에서 하측의 좁은 부분을 향하여 미끄러지려는 힘을 받게 되어도 최하 측의 좁은 부분이 겔팩제품의 하중을 받아주게 되는 한편, 공간(S)의 곡면상 표면에서 일어나는 마찰력과 작용방향이 곡면을 따라 변화되면서 상기 겔팩제품의 하중을 분산하는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겔팩제품의 위치 이동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는 공간(S)의 곡면을 따라 국부적으로 마찰력과 방향이 변화되어 나타남으로써 겔팩제품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춘 것이고, 그 작용은 상기 속포장케이스를 어떤 자세로 진열해놓아도 동일하므로 포장된 겔팩제품이 미끄러져 어느 한쪽으로 편재된 포장 사례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공간(S)에 수납된 겔팩제품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미용수가 침출되어 고이게 되지만, 속포장 케이스를 구성하는 뚜껑(2)과 함체(4)의 사방 가장자리를 정의하는 측벽(20)(40)이 상호 긴밀하게 맞닿아 조합됨으로써, 침출된 미용수는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상기 공간(S)에 체류하고 있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뚜껑(2)의 측벽(20)과 함체(4)의 측벽(40)이 긴밀하게 조합된 상태에서 그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방수를 구현할 수는 없지만, 미용수는 오일과 에센스, 유화제, 향료 등의 성분이 혼탁한 에멀젼이므로 상당한 점도를 지니고 있고, 여기에 상기 측벽(20)(40) 사이의 틈새에서 미용수가 표면장력의 작용으로 유막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미용수의 누설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6의 사진은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에 겔팩제품을 수납하고 수직상태로 세운 채, 3주간 방치하고 개봉하였을 때의 미용수 누설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본 발명에 관련된 속포장 케이스에 의하면, 겔팩제품에서 공간(S)으로 침출된 미용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그대로 체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시 예에서, 뚜껑(2)의 볼록부(22)와 함체(4)의 볼록부(42)는 각각 하나의 반구상 장타원형으로 형성한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볼록부(22)(42)는 예시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이고,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다.
예로서, 볼록부(22)(42)는 원형이어도 적용 가능하고, 도 7의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4)의 볼록부(42)를 쌍으로 배치하여, 중심부가 약간 함몰되도록 한 구조로 하여도 동등하게 겔팩제품의 미끄러짐이 억지된 포장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겔팩제품의 포장방법을 도 8에 나타낸 공정순으로 설명한다.
1단계: 망사와 앞뒷면의 필름 부착 없이 하이드로겔 원액을 코팅하여 순수 하이드로겔 시트를 형성하고, 이를 타공하여 2 피스형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성형하여 걷어냄과 동시에, 타공으로 남는 자투리는 재활용 코스로 보내어 전량 재활용한다.
2단계: 걷어낸 2 피스형 순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서 하반부를 상반부 위에 겹쳐 놓는다.
3단계: 겹쳐진 상 하반부의 순수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횡 방향으로 2회 접어서 최소 부피로 줄인다.
4단계: 최소 부피의 겔팩제품을 속포장 케이스에 수납하고 뚜껑을 덮어 함체와 조합한다.
5단계: 겔팩제품이 수납된 속포장 케이스를 파우치에 넣고 실링 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상술한 5단계에서 파우치의 실링은 내부 진공을 동시에 행하는 진공포장방식으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우치의 필름이 속포장 케이스의 외표면에 밀착한 상태로 되어 최소한의 부피로 포장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가 적용된 겔팩제품의 포장파우치는 기존 방식으로 실시한 겔팩제품의 포장파우치와 대비하였을 때, 도 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상의 면적이 대폭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9의 사진에서 좌측의 150mm 파우치가 기존 겔팩제품과 그 포장 파우치이고, 우측의 102mm 파우치가 본 발명에 관련된 속포장 케이스용 파우치이다.
즉, 도 9에서 기존 방식으로 포장되는 파우치의 폭은 150mm로 측정되고, 본 발명에 관련된 속포장 케이스의 포장에서 파우치의 폭은 102mm로 측정되어, 폭 방향의 감소율이 32%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최종 포장에 사용되는 파우치의 면적을 축소하면, 파우치 필름의 사용량도 줄어들어 원가 절감에 도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폐기물의 산출량이 대폭 줄어듦에 따라 환경보호에 이바지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기존 방식의 포장에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첨부되는 보호필름은 고탄성의 연신 폴리프로필렌이므로, 포장 시에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횡으로 2회 접으면 둥글게 말려지는 부분이 생겨 부피가 커지게 된다.
이 경우 말린 부분을 강제로 누르면 내측의 하이드로겔이 파손될 염려가 있어서, 횡으로 1회만 접어 포장하기 때문에 파우치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파우치 크기가 크면 매장에서 전시공간을 많이 점유하므로, 전시품목에서 제외되기 쉽고, 정해진 공간에 전시 가능한 종류도 몇 가지로 한정된다.
본 발명의 속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파우치 포장물은 파우치 면적이 작아서 상기와 같은 제한을 받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을 통해 얻게 되는 뚜렷한 이점의 하나는, 망사와 필름 없이 코팅되는 순수 하이드로겔 시트에서 마스크 팩을 타공하는 것이므로, 타공 후에 남는 하이드로겔 시트의 자투리는 즉시 재활용 가능하다는 것 외에도, 사용자가 쓰고 버리는 마스크 팩도 자연에서 완전히 녹아 잔여물 없이 생분해되어 버리므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게 되는 점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통해 얻게 되는 이점의 또 하나는, 속포장 케이스를 재활용률이 높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재질로 하여 방형체 형상으로 성형함에 따라, 분리수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재활용률도 높아져 폐기물로 되는 분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점에 있다.
2: 뚜껑 4: 함체 20, 40: 측벽
22, 42: 볼록부 24: 뚜껑면 44: 함체면
26, 46: 플랜지 28, 48: 개폐용 노브 30: 함몰부
50: 돌출부 S: 공간

Claims (9)

  1. 일체로 연결된 뚜껑(2)과 함체(4)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2)은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곡면을 갖춘 볼록부(22)를, 또한 상기 함체(4)는 외부에서 내부로 돌출되는 곡면을 갖춘 볼록부(42)를 각각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 뚜껑(2)의 측벽(20)과 함체(4)의 측벽(40)은 각각 종단에서 직교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6)(46)와 일체로 성형 되고, 상기 뚜껑(2)의 측벽(20) 높이가 함체(4)의 측벽(40)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어서 상기 뚜껑(2)의 뚜껑면(24)과 함체(4)의 함체면(44) 사이, 및 상기 양 곡면을 갖춘 볼록부(22)(42) 사이로 공간(S)이 마련되는 구성을 갖춘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4)의 볼록부(42)는 하나 또는 둘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볼록부(22)(42)는 반구상 타원형, 또는 반구상 원형 중에서 선택된 형상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 볼록부(22)(42)의 반구상 곡면은 그 주변 측 두께의 0.8~0.9에 해당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의 볼록부(22)와 함체(4)의 볼록부(42)는 상호 다른 곡률로 형성되고, 볼록부(22)>볼록부(42)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의 양변 상하 측에는 함몰부(30)가 형성되고, 대응하는 함체(4)의 양변 상하부에는 돌출부(50)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상기 뚜껑(2)이 함체(4)에서 열리지 않게 고정되는 화스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과 함체(4)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성형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
  8. 다음 5단계로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를 이용한 포장방법.
    1단계: 필름 없는 하이드로겔 시트를 타공하여 2 피스형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성형한다.
    2단계: 타공된 2피스형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하반부를 상반부 위로 겹쳐 놓는다.
    3단계: 겹쳐진 2 피스형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최소 크기가 되도록 횡 방향으로 2회 접어 겔팩제품으로 되게 한다.
    4단계: 겔팩제품을 속포장 케이스의 함체(4)에 넣고 뚜껑(2)을 덮어 양 볼록부(22)(42) 사이로 수납되게 한다.
    5단계: 겔팩제품이 수납된 속포장 케이스를 파우치에 넣고 개구부를 실링 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파우치의 개구부 실링과 동시에 내부를 진공화하는 진공포장으로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









KR1020200189277A 2020-12-31 2020-12-31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2510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77A KR102510983B1 (ko) 2020-12-31 2020-12-31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77A KR102510983B1 (ko) 2020-12-31 2020-12-31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50A true KR20220096650A (ko) 2022-07-07
KR102510983B1 KR102510983B1 (ko) 2023-03-16

Family

ID=8239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77A KR102510983B1 (ko) 2020-12-31 2020-12-31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9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882A (ja) * 2003-10-24 2005-05-19 Kanae Technos:Kk パック用ゲルシートの包装構造と包装方法
JP3153059U (ja) * 2008-06-23 2009-08-20 コスウェ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美容マスクパックが包装された多重カプセル
KR20130003791U (ko) * 2011-12-16 2013-06-26 오성진 마스크 포장용 케이스
KR200476186Y1 (ko) * 2014-09-26 2015-02-05 주식회사 한웅 다회용 제품 포장 용기
KR200478158Y1 (ko) 2015-04-17 2015-09-03 전은숙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907358B1 (ko) 2018-06-15 2018-10-11 이효근 마스크 팩 포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059B2 (ja) * 1993-07-08 2001-04-03 日本碍子株式会社 固形化廃棄物の乾燥装置の運転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882A (ja) * 2003-10-24 2005-05-19 Kanae Technos:Kk パック用ゲルシートの包装構造と包装方法
JP3153059U (ja) * 2008-06-23 2009-08-20 コスウェ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美容マスクパックが包装された多重カプセル
KR20130003791U (ko) * 2011-12-16 2013-06-26 오성진 마스크 포장용 케이스
KR200476186Y1 (ko) * 2014-09-26 2015-02-05 주식회사 한웅 다회용 제품 포장 용기
KR200478158Y1 (ko) 2015-04-17 2015-09-03 전은숙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907358B1 (ko) 2018-06-15 2018-10-11 이효근 마스크 팩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983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6057B2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US7828137B2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CA2457088C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RU2523993C2 (ru) Оболочка тампона
RU2717932C1 (ru) Упаковка влажных листов
KR20220096650A (ko) 겔팩 제품의 속포장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0497211Y1 (ko) 마스크팩 파우치
CN106660682A (zh) 包装体
KR20220002237U (ko) 마스크팩 포장용기
AU2016200865A1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KR20220147455A (ko) 겔포켓이 구비된 다수겹 마스크팩
JPH10120050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AU2002322175A1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ITMI20122089A1 (it) Confezione per contenitori alimentari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detta confezione
JPH08143060A (ja) テープ製剤用の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