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6269A -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6269A
KR20220096269A KR1020200188545A KR20200188545A KR20220096269A KR 20220096269 A KR20220096269 A KR 20220096269A KR 1020200188545 A KR1020200188545 A KR 1020200188545A KR 20200188545 A KR20200188545 A KR 20200188545A KR 20220096269 A KR20220096269 A KR 20220096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and
unit
antibacterial
c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철
부경원
김예주
전수빈
김가영
이민경
김서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6269A/ko
Publication of KR20220096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모래 살균 장치에 의하는 경우,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악취에 대한 탈취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어 우수한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CAT SAND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양이 모래 살균 기능을 갖는 장치를 통해 고양이 모래를 살균함으로써 고양이 모래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고양이 모래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 중 특히 고양이는 배설물에서 나는 악취가 특히 심하며, 고양이는 배설을 하기 위한 화장실의 환경에 무척 예민하여 배설을 하기위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특히 까다롭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예민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자신이 용변을 보는 동안 무방비 상태이기 때문에, 은폐된 화장실을 선호 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고양이의 배설물의 악취가 특히 심하여, 반려묘를 키우는 사람 입장에서도 냄새를 조금이나마 막기 위하여 지붕덮개가 일체형으로 밀폐된 고양이용 화장실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양이는 사람에 비하여 약 14 배가 강할 정도로 후각이 발달하여, 악취가 나는 밀폐된 화장실을 꺼려하고, 특히, 고양이용 화장실에 탈취제 또는 방향제를 투입 시, 냄새에 민감한 고양이는 화장실을 이용하지 않아, 고양이 배변 악취를 실내에 그대로 노출시킨 채 살아가야 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고양이의 배변의 악취는 특히 소변에서 나오는 Felinine(펠리닌)이라는 물질 때문인데, 펠리닌은 황을 포함한 아미노산이며, 고양이의 정상적인 대사과정 중 만들어져 소변으로 배출 된다.
문제는 황이 나쁜 냄새를 내기 때문이며, 또한, 체내에서 미처 요소로 전환되지 못한 암모니아가 소변에 함께 섞여 고양이의 소변에서 지독한 냄새가 나는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고양이는 용변을 모래에 보고, 발로 모래를 덮어 자신의 배설물을 은폐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습성 때문에, 고양이용 화장실에 깔아 놓은 모래에 세균 및 곰팡이 등 병원균의 증식이 활발하여, 고양이가 방광염, 요도염, 피부병, 눈질환 등이 발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고양이 화장실에 쌓여가는 고양이의 배설물은 대부분 고양이 주인이 삽으로 배설물과 모래를 함께 퍼서 별체로 이루어진 망체에 걸러서 치우거나 또는 삽 자체에 모래가 빠져나가는 망체가 구비되어 배설물과 함께 모래를 퍼서 남겨진 배설물을 치우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위가 약하거나 냄새에 민감한 사람은 고양이 배설물을 치우는 것을 꺼려하거나 힘들어하기도 한다. 또한, 모래가 외부로 노출된 고양이 화장실에서 고양이의 배설물을 상기와 같이 삽으로 푸게 되면 모래와 먼지가 공중으로 날리게 되어 호흡기를 통해 세균이 침투될 수 있으므로 질병에 걸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양이 배설물을 직접 사람이 처리한다고 하더라도, 모래에 소량 남아있을 수 있는 세균 등에 의해 고양이가 질병에 걸릴 수 있으므로 모래에 대한 살균도 요구되어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설물이 제거된 모래에 있어서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양이 모래를 기존 사용기간 보다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치 구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0483466 Y1 KR 10-2015-0028162 A
본 발명의 목적은 고양이 모래의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한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를 통해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을 분사함으로써 탈취 및 항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장치내부의 자외선 방출부 및 광촉매 코팅층을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며 개폐가능한 입구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입구를 갖는 모래살균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모래를 수용할 수 있는 모래수용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래 살균부는 자외선 방출부 및 향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모래살균부는 육면체 형태로, 일 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모래살균부의 하부면은 모래 수용판이 위치하며, 상기 모래 수용판의 대향되는 상부면에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자외선 방출부는 100nm 내지 380nm의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이다.
상기 향 분사부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올리브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개박하 추출물, 산톱풀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상기 모래살균부의 내부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T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발명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수용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며 개폐가능한 입구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입구를 갖는 모래살균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모래를 수용할 수 있는 모래수용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래 살균부는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도 1은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하기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모래 살균 장치의 구성은 본체(100), 모래살균부(200) 및 모래수용판(300)으로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본체(10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이며 그 형상은 제한하지 않으나,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은 개폐가 가능한 입구부(110)가 구성되어, 본체 외측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구부(110)는 개폐가 용이하기 위해 손잡이부(1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모래수용판(300)을 내외부로 출납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입구부(110) 외측에 구성된 손잡이부(111)의 위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추가적 구성으로, 본체(100)의 외측 상부에 모래 살균 장치의 가동을 위해 버튼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0)는 전원을 키고 끄기 위한 제1 버튼부(121), 살균 및 탈취 작용의 동작/일시정지가 가능한 제2 버튼부(122)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제1 버튼부(121)를 누르는 경우 모래 살균 장치의 전원이 켜지며, 이후 제2 버튼부(122)를 누르는 경우 모래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하다.
또한, 본체(100)의 외측 상부에 LED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LED는 녹색의 빛이 점등되는 발광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모래 살균 장치의 살균 및 탈취기능이 작동되는 동안 점등되며, 작동이 다 끝나면 소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LED의 밝기와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크기와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모래살균부(200)는 모래를 살균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며, 본체(100)와 동일한 방향의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모래수용판(300)은 살균하기 위한 모래를 수용하기 위한 판으로, 모래살균부(20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내외부로의 출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래수용판(300)은 모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모래수용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모래살균부는 육면체 형태로, 일 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모래살균부의 하부면은 모래 수용판이 위치하며, 상기 모래 수용판의 대향되는 상부면에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모래살균부(200)는 육면체 형태로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동일한 측면이 개방된 구성이다. 상기 모래살균부(200)의 하부면은 모래수용판(300)이 위치하며, 상기 모래수용판(300)의 대향되는 상부면에 자외선 방출부(210) 및 향 분사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자외선 방출 장치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LED를 사용하거나,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외선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외선 기기의 수명이 긴 UV-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방출부(210) 및 상기 향 분사부(220)의 위치는 하기 도 4 내지 도 8에 평면도로 나타내었다.
하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의 평면도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 도 4에 의하는 경우, 향 분사부(220)가 3개의 자외선 방출부(210) 사이 중간지점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모래수용판의 중심부분을 집중하여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분사가 가능한 구성이다.
하기 도 5에 의하는 경우, 3개의 자외선 방출부(210) 사이 중간지점 및 중간에 설치된 자외선 방출부(210)을 제외한 우측 및 좌측의 자외선 방출부(210) 양 끝 지점을 포함하여 총 4개의 향 분사부(220)가 형성된 구성으로, 모래 수용판의 가로방향으로의 집중적인 향 분사가 가능하며, 도 4와 비교하였을 때, 가로 방향으로 보다 넓은 범위까지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분사가 가능한 구성이다.
하기 도 6에 의하는 경우, 상기 모래살균부(200) 내 모래수용판(300)과 대향하는 상부의 네 꼭짓점에 향 분사부(220)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기 도 4 및 도 5와 같은 향 분사부의 위치 구성에서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이 도달하지 못했던 사각지대를 중심으로 하여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이 분사될 수 있는 구성이다.
하기 도 7에 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중간부분에 향 분사부로부터 분사되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이 모래수용판에 수용된 모래에 도달하기 어려울 수 있어, 하기 도 4 및 도 6에서의 향 분사부의 위치를 모두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사각지대 및 중간부분에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이 사각지대 및 중간부를 포함하여 보다 넓은 범위에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하기 도 8에 의하는 경우, 하기 도 5 및 도 6에서의 향 분사부의 위치를 모두 포함하도록 하여 하기 도 7에 비해 보다 넓은 범위에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분사할 수 있으나, 향 분사되는 분사 부분이 너무 겹치는 경우, 고양이 모래 특성상 굳게 될 수 있어 너무 많은 수의 향 분사부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8은 모래살균부(200) 내 모래수용판(300)과 대향하는 상부에 자외선 방출부(210) 및 향 분사부(220)의 위치를 일 예시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자외선 방출부(210) 및 향 분사부(220)의 위치는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향 분사부(220)는 자외선 방출부(210)로부터 자외선 방출을 진행한 후, 향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하여 자외선 방출과 향 분사를 따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30)는 모래수용판(300)에 담긴 모래를 살균 및 탈취하기 위해 자외선 방출부(210)로부터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 자외선 방출이 멈추면, 이후 향 분사부(220)를 통해 향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하여 모래 내 세균 및/또는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살균 및 탈취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본체(100)의 외측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버튼부(121) 및 제2 버튼부(122)에 의해 모래 살균 장치의 전원을 ON/OFF 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모래 살균 및 탈취를 위해 작동하는 자외선 방출부(210) 및 향 분사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제1 버튼부(121)를 한번 누르는 경우 모래 살균 장치(1)의 전원이 켜지며, 두 번 누르는 경우 전원이 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2 버튼부(122)를 누르는 경우, 제어부를 통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자외선 방출부(210) 및 향 분사부(220)가 순차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작동 중간에 제2 버튼부(122)를 한번 더 누르는 경우 일시정지가 가능하여 살균 및 탈취를 갑작스럽게 중단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방출부는 100nm 내지 400nm의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이다.
상기 자외선은 UV(ultraviolet rays)라고 하며, 태양광의 스펙트럼을 사진으로 찍었을 때 가시광선의 파란색이나 보라색 광선보다 더 보다 짧은 파장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을 의미한다.
상기 자외선은 피부에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피부암에 걸릴 수 있으나, 이를 활용하여 살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UV-A(장파), UV-B(중파) 및 UV-C(단파)로 나뉘어진다. 상기 UV-A의 파장영역은 320 내지 400nm(나노미터), UV-B의 파장영역은 280 내지 320nm, UV-C의 파장 영역은 100 내지 280nm이며, 이 중 살균력이 가장 강한 파장은 자외선 중에서도 가장 짧은 파장인 UV-C로, 살균 효과가 높은 파장은 254nm이다.
이에, 본 발명의 자외선 방출부(210)는 100 nm 내지 400nm의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하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nm 내지 280nm의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UV-C를 방출하는 경우 최적의 살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향 분사부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것이다.
향 분사부(220)는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향 조성물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향 조성물은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나타냄으로 본 발명에서의 향 조성물과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동일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개박하 추출물, 산톱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개박하(Nepeta cataria L.)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마주나기하며 삼각상 달걀모양이고 예두이며 심장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2~3.5cm로서 가장자리에 굵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높이 50~100cm이고 전체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둔한 사각형이고 윗부분에서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피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상으로 달리며 화수(花穗)는 길이 2~4c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퍼진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 끝이 침형이다. 꽃부리는 자주색 점이 있으며 전체가 백자색이고 첫째 열편이 가장 크며 4개의 수술중에서 2개가 길다.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꽃받침속에 들어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1.5mm로서 흑갈색이다.
상기 개박하의 전초는 가형개라 하여 약용하며, 약효로는 감기, 두통, 발한, 해열, 결막염, 지혈 등의 효능이 있으며, 그 밖에 외상출혈, 타박상, 독사에 의한 교상(물려서 생긴 상처)을 치료한다.
또한, 상기 개박하는 캣닢(catnip)이라고도 불리며, 고양이가 좋아하는 풀로, 고양이에게 스트레스 해소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산톱풀(Achillea sibirica var. discoidea (Regel) Kitam.)은 산가새풀 또는 자주톱풀로도 불린다.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 풀밭에서 자라며, 높이 50~110cm로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여러 대가 한 곳에서 모여 나온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고 길이 6~10cm의 타원형 바소꼴이다. 끝은 둔하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빗살처럼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7~10월에 흰색 또는 분홍색의 두화(頭花)가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리고, 꽃의 지름은 4mm 정도이다. 열매는 길이 3mm 정도의 수과로 10~11월에 익는다.
상기 산톱풀의 전초(풀 전체)는 건위제·강장제·진통제 등 약용으로 사용한다.
상기 올리브(olive)는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물푸레나무과 상록교목의 열매로, 간단히 올리브 나무의 열매이다. 상기 올리브 나무의 높이는 5∼10m이며 수많은 가지가 달린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 비늘 같은 흰 털이 밀생한다. 꽃은 황백색이며 늦은 봄에 피고 향기가 있다. 화관은 4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타원형이며 단단한 씨는 ‘스톤(stone)’이라 불린다. 올리브는 초록색으로 열려 검보라색으로 익어가는데, 익은 정도에 따라 초록색에서, 노란빛이 도는 초록색, 초록빛이 도는 회색, 보라색, 검보라색, 검은색 등으로 다양하며 그 맛과 향도 차이가 있다.
상기 올리브에는 일반적으로 11~15%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중 74%의 지방이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으로 이는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춰주어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계 질환 및 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식이섬유와 비타민 E가 들어있어 변비 예방, 피부 미용 및 노화 방지 활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올리브 나무 잎에는 폴리페놀 화합물인 올레우로핀(oleuropein)은 항산화, 항염증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어 올리브 뿐 아니라 올리브 잎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낙엽 반관목 식물로, 높이는 3~15 cm이다. 원줄기는 땅위로 퍼져나가고 어린가지가 긴 타원형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는 5~12 mm 이다.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월에 분홍색으로 피고, 줄기가 좀더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 20-50 cm로 전체에 털에 없고 줄기는 붉은 자주빛의 둥근 통으로 곧게 선다. 가지를 많이 내며 마디에 뿌리를 뻗는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8 cm 정도이다. 줄기가 좀더 굵고 잎 길이 약 15mm, 꽃 길이 약 1 cm 인 것을 섬백리향(var. japonica)이라고 하는데, 이는 한국 특산종이다. 향기가 있어서 관상용으로 심으며, 포기 전체에 정유(精油)가 있어서 기침 진정(진해), 내장 또는 몸의 경련 진정(진경), 복부팽만 완화 및 가스제거 작용에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상기 개박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톱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상기 올리브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백리향 추출물 중량부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미미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슬갓냉이(Rorippa globosa (Turcz.) Thellung)는 십자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참구슬냉이, 둥근속속이풀 또는 구과한채라고도 불린다. 산기슭이나 냇가에서 자라며 높이는 60cm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6월에 노란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둥근 각과(角果)를 맺는다. 산이나 들에 나는데 우리나라의 중부ㆍ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상기 작은황새풀(Eriophorum gracile Koch)은 외떡잎식물 벼목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퍼진다. 줄기는 높이 20∼50cm이고 밑부분에 칼집 모양의 잎이 1∼2개 달린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줄 모양이며 때로는 꽃자루보다 길다. 여름에 원줄기 끝에 작은이삭이 2∼5개 달리고 밑에 포가 있다. 작은이삭은 긴 타원형으로 꽃이 필 때는 회색빛을 띤 녹색의 비늘조각이 뚜렷하고, 열매가 성숙할 때는 긴 털이 자라서 작은이삭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의 솜덩어리처럼 된다. 열매는 회색빛을 띤 갈색의 수과로서 긴 타원형 바소꼴이다. 황새풀과 비슷하지만 작은이삭이 보다 작기 때문에 작은황새풀이라고 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산톱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및 개박하 추출물에 더하여,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할 경우, 항균 및 탈취 효과가 보다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상기 개박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톱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상기 올리브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상기 백리향 추출물 중량부 40 내지 60 중량부, 구슬갓냉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항균 및 탈취 효과가 보다 더 우수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개박하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발효 산톱풀 추출물, 발효 올리브 추출물, 발효 백리향 추출물, 발효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발효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개박하 추출물, 발효 산톱풀 추출물, 발효 올리브 추출물, 발효 백리향 추출물, 발효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발효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발효를 진행함으로써 각 추출물 특유의 향을 제거함으로써, 후각이 예민한 고양이의 경우에도 큰 기호도 감소 없이 고양이 모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발효에 의하는 경우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내는 유효성분 수득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등과 같은 유산 바실리,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유산 콕사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 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등과 같은 비피도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개박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 산톱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올리브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백리향 추출물 중량부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구슬갓냉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발효 작은황새풀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 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항균 및 탈취에 대한 상승 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 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 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래살균부의 내부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모래살균부(200)는 내측 상부에 자외선 방출부(210)를 통해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보다 더 우수한 살균활성 및 탈취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래살균부(200) 내측 하부를 제외한 모든 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광촉매 코팅층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는 자기자신은 변화하지 않으면서 다른물질의 화학반응을 촉진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물질로, 촉진시키는 물질을 정촉매, 지연시키는 물질을 부촉매라고 한다.
상기 광촉매(photocatalyst)는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을 개시하고, 촉매로서 광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광촉매 중에서 내산성, 내알칼리성 등이 좋고 각종 오염물질을 무해한 물질로 변화시켜주는 친환경적 소재인 이산화티타늄(TiO2)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T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은 자외선을 흡수하면 표면에서 마이너스(-) 전기를 띠는 전자(e-)와 플러스(+) 전기를 띠는 정공(h+)이 생성되고, 이 전자와 정공은 매우 강한 환원력과 산화력을 가지므로 대기중의 물과 산소로부터 활성산소인 수산화물(OH Radical)와 과산소이온(O2 -)을 생성한다. 생성된 수산화물 및 과산소이온은 박테리아 세포막에 달라붙어 산화, 분해함으로써 세포막을 파괴하여 살균 또는 탈취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항균제는 항균력이 있는 물질이나 그 주변에 유해물질이 접촉했을 때 항균효과가 나타나나, 이산화티타늄(TiO2) 광촉매의 경우, 빛에너지를 통해 형성된 전자 및 정공이 계속해서 이동하므로 오염물질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 기존의 항균제에 비해 항균 효과가 보다 뛰어나다.
이에, 본 발명의 광촉매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주성분으로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며, 모래살균부(200)의 내측에 이산화티타늄(TiO2)을 이용하여 광촉매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 방출부(210)에서 방출되는 UV-C에 의해 자외선 방출부 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향상된 항균 및 탈취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의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한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를 통해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을 분사함으로써 탈취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장치 내부의 자외선 방출부 및 광촉매 코팅층을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수용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 내부에 구성된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의 일예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 내부에 구성된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의 일예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 내부에 구성된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의 일예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 내부에 구성된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의 일예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내 모래살균부 내부에 구성된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의 일예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1: 천연 추출물의 제조]
1. 개박하 추출물의 제조
개박하를 세척 후 건조하여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 시료를 추출 용매인 50% 에탄올을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개박하 추출물(NE)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개박하 추출물(N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산톱풀 추출물(AE), 올리브 추출물(OE), 백리향 추출물(TE), 구슬갓냉이 추출물(RE)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EE)을 제조하였다. 상기 올리브는 올리브 잎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발효 산톱풀 추출물의 제조
항균 및 탈취 활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추출물 고유의 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효 산톱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D.W 75%(w/w), 진지분유 15%(w/w)와 산톱풀 추출물(AE) 10%(w/w)이 혼합된 멸균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 산톱풀 추출물(AEf)을 제조하였다.
4. 기타 발효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발효 산톱풀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발효 올리브 추출물(OEf), 발효 백리향 추출물(TEf), 발효 구슬갓냉이 추출물(REf) 및 발효 작은황새풀 추출물(EEf)을 제조하였다.
[제조예2: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1에서 제조된 개박하 추출물, 산톱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AD1 AD2 AD3 AD4 AD5 AD6 AD7 AD8 AD9 AD10
N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E 30 40 50 60 70 30 40 50 60 70
OE 30 40 50 60 70 30 40 50 60 70
TE 30 40 50 60 70 30 40 50 60 70
RE - - - - - 10 20 30 40 50
EE - - - - - 10 20 30 40 50
(단위 : 중량부)
AD11 AD12 AD13 AD14 AD15 AD16 AD17 AD18 AD19 AD20
N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Ef 30 40 50 60 70 30 40 50 60 70
OEf 30 40 50 60 70 30 40 50 60 70
TEf 30 40 50 60 70 30 40 50 60 70
REf - - - - - 10 20 30 40 50
EEf - - - - - 10 20 30 40 50
(단위 : 중량부)
[실험예 1: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항균 및 탈취 활성]
1-1. 항균 효과 실험
항균 활성을 실험하기 위해 페트리디쉬(petri dish)의 플레이트(plate)에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Nutrient agar에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여러 개의 원반 여과지에 기지농도의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묻혀 시험균주가 도포된 고체 한천배지에 올려놓고 배양한 후 원반 주변의 투명대(growth inhibition halo)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항균 효과의 비교를 위해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고 대장균만을 배양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이때 투명대가 클수록 항균 활성이 강한 것을 나타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E. coli
(대장균)
비교예 1 -
AD1 +
AD2 ++
AD3 +++
AD4 +++
AD5 +
AD6 ++
AD7 ++++
AD8 +++++
AD9 ++++
AD10 ++
(투명대 크기에 따른 표기: - ; 0mm, + : ∼5mm, ++ : 6∼10mm, +++ : 11∼15mm, ++++ : 15∼20mm, +++++: 20∼ mm)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의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아예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1의 경우, 투명대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박하 추출물 산톱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AD1 내지 AD5의 경우 최대 15mm의 투명대가 나타나 항균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AD6 내지 AD10의 경우 보다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AD7 내지 AD9의 경우 15mm 이상의 투명대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개박하 추출물, 산톱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항균 활성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개박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톱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올리브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백리향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구슬갓냉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AD7 내지 AD9의 경우 대장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1-2. 탈취 효능 평가
환경부의 환경표지 인증기준 EL608:2017. 탈취제에서 규정한 품질관련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라 SPS-KCLI2218-6218, 검지관식 가스측정기 방법으로 탈취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용기는 냄새 성분이 흡착되거나 방출되지 않는 10 L 크기의 밀폐 용기를 사용하였고, 탈취제 시험 시료를 분사할 시료 분사구와 시험용기 내의 가스를 채취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분사구를 부착하여 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였다.
초기 냄새 성분을 일정하게 하기위해 암모니아를 아세톤 용매로 희석하여(50 μmol/mol) 사용하였다.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스프레이 형태로 시료 분사구를 통하여 일정량 분사주입하고 0분, 30분, 60분에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잔존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가스 채취기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냄새 성분과 예상 농도 범위에 해당하는 직독식 검지관(암모니아 검지관, 측정범위 : 2.5-200 ppm)을 끼워 사용하였다. 정해진 시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잔존 가스농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냄새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여 바탕시험(Blank test)을 실시하여 비교예로 하고, 냄새성분의 농도 감소율은 아래의 탈취율 계산식에 의해 계산함으로서 탈취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탈취율 계산식]
탈취율 = (A-B)/A X 100
A: 바탕 시험에서 t 시간 경과 후 암모니아 성분 농도 (ppm)
B: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투입 시험에서 t 시간 경화 후 냄새 성분 농도 (ppm)
sample 경과시간 Sample 농도
(μmol/mol)
탈취율(%)
비교예 0분 50 0
60분 49 2
60분 49 2
AD1 0분 50 0
30분 40 18
60분 35 29
AD2 0분 50 0
30분 12 76
60분 5 88
AD3 0분 50 0
30분 10 80
60분 4.6 90
AD4 0분 50 0
30분 10 80
60분 4 90
AD5 0분 50 0
30분 38 22
60분 31 37
AD6 0분 50 0
30분 35 29
60분 28 43
AD7 0분 50 0
30분 0.7 86
60분 0.1 93
AD8 0분 50 0
30분 0.5 90
60분 0.1 96
AD9 0분 50 0
30분 0.6 88
60분 0.1 94
AD10 0분 50 0
30분 31 37
60분 24 51
상기 표 4과 같이, 개박하 추출물, 산톱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및 백리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AD1 내지 AD5의 경우에 비해 추가로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AD6 내지 AD10이 탈취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AD7 내지 AD9의 경우 암모니아 가스 탈취율이 30분이 지난 후부터 85% 이상의 탈취율을 나타내어, 개박하 추출물, 산톱풀 추출물, 올리브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탈취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박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톱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올리브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백리향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구슬갓냉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작은황새풀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AD7 내지 AD9의 경우 탈취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발효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항균 및 탈취 활성]
2-1. 항균 효과 실험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발효 천연추출물의 항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예 1에서 진행한 항균 효과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시료로 발효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AD11 내지 AD20)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예1 AD8(비교예 1)의 대장균에 대한 투명대 크기를 지수 5로 환산하여 기준으로 삼고, 상기 AD11 내지 AD20에 의한 투명대 형성 크기를 이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AD8
(비교예 1)
AD11 AD12 AD13 AD14 AD15 AD16 AD17 AD18 AD19 AD20
항균 효과 5 3 6 6 7 4 5 8 9 9 6
(단위 : 지수)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개박하 추출물, 발효 산톱풀 추출물, 발효 올리브 추출물, 발효 백리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AD12 내지 AD14의 경우 AD8에 비해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D17 내지 AD19의 경우, 발효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발효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소폭 더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통해,
천연추출물을 발효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개박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 산톱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올리브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백리향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구슬갓냉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발효 작은황새풀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AD17 내지 AD19의 경우 대장균에 대한 투명대 형성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남에 따라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2. 탈취 효능 평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발효 천연추출물의 탈취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예 1에서 진행한 탈취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시료만 발효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AD11 내지 AD20)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예1 AD8의 탈취율 값을 지수 5로 환산하여 기준으로 삼고, 상기 AD11 내지 AD20의 탈취율 값을 이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탈취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AD8
(비교예)
AD11 AD12 AD13 AD14 AD15 AD16 AD17 AD18 AD19 AD20
탈취효과 5 3 6 7 7 4 4 8 9 8 5
(단위 : 지수)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비교예인 AD8에 비해 개박하 추출물, 발효 산톱풀 추출물, 발효 올리브 추출물, 발효 백리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AD12 내지 AD14의 경우 AD8에 비해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AD17 내지 AD19의 경우, 발효 구슬갓냉이 추출물 및 발효 작은황새풀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소폭 더 향상된 탈취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천연추출물을 발효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개박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 산톱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올리브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백리향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구슬갓냉이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발효 작은황새풀 추출물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AD17 내지 AD19의 경우 암모니아 가스 탈취율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탈취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에 대한 기호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기호도를 측정해보기 위하여 10마리의 고양이를 시험대상으로 하여, 모래에 대한 기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존에 판매되는 고양이 모래 준비하여 상기 제조예1에서 제조된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AD8 및 AD18)을 각각 분사하여 실험군1 및 실험군 2로 두었으며, 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고양이 모래를 준비하여 각각 상부가 없는 넓은 판에 1kg씩 담고, 고양이 한 마리씩 배정된 공간에 배치하였다. 시험은 각 고양이가 용변을 보거나, 모래 위에 올라간 경우 기호도가 있다고 판단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는 아래의 표 7과 같다.
실험군 1 실험군 2 대조군
고양이 1 - -
고양이 2 - -
고양이 3 - -
고양이 4 - -
고양이 5 - -
고양이 6 - -
고양이 7 - -
고양이 8 - -
고양이 9 - -
고양이 10 - -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군 2의 경우 고양이가 관심을 많이 가진 반면, 실험군 1(AD8)의 경우 대조군보다 더 낮은 정도의 기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양이가 후각이 예민한 동물로, 항균 및 탈취 조성물 내 발효하지 않은 천연 추출물 특유의 향으로 인해 고양이가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실험군 2(AD18)의 경우 고양이가 좋아하는 개박하(캣닢)을 제외한 모든 천연추출물을 발효한 AD18을 분사함에 따라, 천연 추출물 고유의 향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개박하 추출물의 향이 많이 남으로써, 고양이의 선호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자외선, 코팅층 및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의 항균 및 탈취 활성]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자외선 및 Ti02 광촉매 코팅층의 항균 및 탈취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항균 및 탈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로 실험예 2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AD18를 선정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실험예 1 및 2의 항균/탈취 실험과 동일하나, 내측 상부에 UV-C LED가 설치되고, 광촉매 코팅층(TiO2)이 형성된 밀폐용기를 사용하여 실험 조건에 차이를 두었다.
또한, 상기 실험예2 AD18의 대장균에 대한 투명대 크기와 암모니아 가스에 대한 탈취율을 각각 지수 5로 환산하여 기준으로 삼고, 하기 실험 조건에 따른 실험 결과를 이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한 것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조건
비교예(AD18) UV-LED + 광촉매코팅층 UV-LED + 광촉매코팅층 + AD18
항균 효과 5 3 8
탈취 효과 5 4 9
(단위 : 지수)
상기 표 8에 의하면, UV-LED 및 광촉매 코팅층에 의한 항균 및 탈취효과가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인 AD18에 대한 효과보다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훨씬 더 우수한 항균 및 탈취효과를 나타내는 점에서 상기 조건에 의하는 본원발명의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의 경우 고양이 모래의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본체
110 : 입구부
111 : 손잡이부
120 : 버튼부
121 : 제1 버튼부
122 : 제2 버튼부
130 : 발광부
200 : 모래살균부
210 : 자외선 방출부
220 : 향 분사부
230 : 제어부(미도시)
300 : 모래수용판
310 : 모래수용부

Claims (8)

  1.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며 개폐가능한 입구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입구를 갖는 모래살균부;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모래를 수용할 수 있는 모래수용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래 살균부는 자외선 방출부 및 향분사부를 포함하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살균부는 육면체 형태로, 일 측면이 개방되며,
    상기 모래살균부의 하부면은 모래 수용판이 위치하며, 상기 모래 수용판의 대향되는 상부면에 자외선 방출부 및 향 분사부가 형성되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방출부는 100nm 내지 380nm의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 분사부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을 분사하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은 올리브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개박하 추출물, 산톱풀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 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살균부의 내부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이산화티타늄(T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KR1020200188545A 2020-12-30 2020-12-30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KR20220096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545A KR20220096269A (ko) 2020-12-30 2020-12-30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545A KR20220096269A (ko) 2020-12-30 2020-12-30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269A true KR20220096269A (ko) 2022-07-07

Family

ID=8239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545A KR20220096269A (ko) 2020-12-30 2020-12-30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62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255A (ko) * 2021-06-24 2023-01-02 이시형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KR20240025251A (ko) 2022-08-18 2024-02-27 워크브레인(주)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162A (ko) 2013-09-05 2015-03-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KR200483466Y1 (ko) 2016-10-20 2017-05-18 김수빈 고양이용 배변 처리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162A (ko) 2013-09-05 2015-03-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KR200483466Y1 (ko) 2016-10-20 2017-05-18 김수빈 고양이용 배변 처리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255A (ko) * 2021-06-24 2023-01-02 이시형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KR20240025251A (ko) 2022-08-18 2024-02-27 워크브레인(주) 고양이 모래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usinowska et 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lavender L). A review
EP2192178B1 (en) B-glucuronidase inhibitor
KR20220096269A (ko) 고양이 모래 살균 장치
JP2011012048A (ja) 柑橘類果皮の麹菌発酵組成物
KR101694707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데오도란트 조성물
KR101613294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CN106109367A (zh) 一种含有竹叶黄酮提取物的具有抗菌作用的牙膏及其制备方法
CN110180378A (zh) 一种高效除臭组合物及其生产方法
KR100763257B1 (ko) 신규 유산균 및 생체 부활형 유산균 제제 및 생체에대한 감염증의 예방제와 치료제
KR102353613B1 (ko) 천연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0348133B1 (ko) 건강증진용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 침구커버
KR20220096200A (ko) 소형 자동인식 방역기
KR102205206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JP2015534466A (ja) 高温及び高圧の条件下で抽出した黄連熱水抽出物を含有するウェットティッシュ
CN107737361A (zh) 一种高强度的防感染消毒熏香及其制备方法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58877A (ko) 퍼머약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320758A (zh) 一种高效除去畜禽养殖环境细菌的空气净化剂
CN104413075A (zh) 橱柜防霉剂
WO1997045023A1 (fr) Desodorisant vegetal pour matieres fecales et urine
KR10194240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KR102334386B1 (ko)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KR100619508B1 (ko) 연(蓮)을 이용한 뜸과 선향의 연소재와 입욕재 제조법
KR20170095672A (ko) 복합 유용미생물로 발효한 천연물 약재 청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