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900A -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900A
KR20220095900A KR1020200187885A KR20200187885A KR20220095900A KR 20220095900 A KR20220095900 A KR 20220095900A KR 1020200187885 A KR1020200187885 A KR 1020200187885A KR 20200187885 A KR20200187885 A KR 20200187885A KR 20220095900 A KR20220095900 A KR 20220095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resonance
switching element
invert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3862B1 (en
Inventor
곽영환
손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62B1/en
Publication of KR2022009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900A/en
Priority to KR1020220127880A priority patent/KR20220142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A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which supplies power; a DC link capacitor which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supply unit, to be charged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working coil which generates an induced magnetic field when current flows; a resonant capaci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working coil, to form a resonant circuit; an inverter of which switching is controlled so that a DC voltage of the DC link capacitor is applied to the working coil; and a processor which charges the working coil with free resonance energy through PWM control, controls the inverter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and the resonance capacitor freely resonates, and determines whether a cooking container is present on the working coil based o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Description

저소음 용기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유도 가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는 저소음 용기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유도 가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induction heating device that provides a quiet container detection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최근 전기레인지의 시장 규모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는, 전기레인지의 경우 연소 과정에서 일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고, 가스 누출이나 화재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낮기 때문이다.Recently, the market size of electric stoves is gradually expanding.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n electric stove, carbon monoxide is no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gas leakage or fire is low.

한편, 전기레인지는 전기저항이 큰 니크롬선을 이용하여 전기를 열로 전환하는 하이라이트 방식과,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자유도가열방식을 통해 열을 가하는 인덕션 방식이 있다.On the other hand, electric ranges include a highlight method that converts electricity into heat using a nichrome wire with high electrical resistance, and an induction method that applies heat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by generating a magnetic field.

유도가열조리기는 인덕션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전기레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유도가열조리기의 구체적인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induction heating cooker may mean an electric range operating according to an induction method. The detailed operation principle of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is described below.

일반적으로, 유도가열조리기는 내부에 구비된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워킹 코일 또는 가열코일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면 강력한 자력선이 발생하게 된다. 워킹 코일 또는 가열코일에서 발생한 자력선은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용기에 와류전류가 흐름에 따라 열이 생성되어 조리용기 자체를 가열시키고, 조리용기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 안의 내용물을 가열시킨다. In general, an induction cooker allows a high-frequency current to flow through a working coil or a heating coil provided therein. When a high-frequency current flows through the working coil or heating coil, a strong magnetic force line is generated. When the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from the working coil or the heating coil passes through the cooking vessel, an eddy current is formed. Accordingly, as an eddy current flows in the cooking vessel, heat is generated to heat the cooking vessel itself, and as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the contents in the vessel are heated.

위와 같이, 유도가열조리기는 조리용기 자체에 열을 유도시켜 내용물을 가열하는 전기조리 장치이다. 유도가열조리기를 이용하면 산소를 소모하지 않고, 폐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실내공기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조리기는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이 높으며, 용기 자체를 가열시키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낮다.As described above,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is an electric cooking device that heats the contents by inducing heat to the cooking vessel itself. By using an induction cooker, it is possible to reduce indoor air pollution by not consuming oxygen and discharging waste gas. In addition, the induction cooker has high energy efficiency and stability, and the risk of burns is low because the container itself is heated.

한편, 유도가열조리기에서는 고출력 고주파 전류를 워킹 코일로 인가함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피가열 물체의 가열 등을 위한 유도가열조리기에는 DC 링크 커패시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DC 링크 커패시터는 평활용 커패시터로서 전원부로부터의 전압에 기초하여 전하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부로부터의 전력 변환 시 전압을 유지시켜 비교적 일정한 전압 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버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도가열조리기는 AC 입력 전원을 정류하여 DC 링크 커패시터를 충전 후 구동을 개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an induction cooker, the object to be heated can be heated by applying a high-output high-frequency current to the working coil. The DC link capacitor may be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cooker for heating such an object to be heated. Such a DC link capacitor is a smoothing capacitor that can charge an electric charge based on the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thus can serve as a buffer that maintains the voltage when convert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provide a relatively constant voltage. have. The induction cooker starts driving after charging the DC link capacitor by rectifying the AC input power.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된 DC 링크 커패시터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도 가열 장치의 구동이 개시되면, 충전된 DC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예를 들면, 약 344V)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전류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류가 유도 가열 장치에 유입/방출되어 기동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포함된 소자들이 손상될 수 있다.When the driving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is started while the DC link capacitor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harged, the current may be instantaneously introduced due to the charged voltage of the DC link capacitor (eg, about 344V). This current may flow into/out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causing a starting noise and damaging the components included.

본 개시는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되는 DC 링크 커패시터에 충전 되어있던 전하를 워킹 코일에 서서히 인가하기 위한 발명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s an invention for gradually applying electric charges charged in a DC link capacitor included in an induction heating device to a working coil.

본 개시는 DC 링크 커패시터의 충전 전하를 워킹 코일에 인가한 후, 워킹 코일의 공진 전류를 이용한 용기 감지 기능 사용 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이다.The present disclosure is an invention for solving a problem in which noise is generated when a container sensing function using a resonance current of a working coil is used after applying a charging charge of a DC link capacitor to a working coil.

본 개시에 포함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용기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유도 가열 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전원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충전하는 DC 링크 커패시터, 전류가 흐르면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워킹 코일과 연결되어 공진 회로를 형성하는 공진 커패시터, DC 링크 커패시터의 직류 전압이 워킹 코일에 인가되도록 스위칭 제어되는 인버터 및 PWM 제어를 통해 워킹 코일에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하고, 워킹 코일과 공진 커패시터를 흐르는 전류가 자유 공진하도록 인버터를 제어하고, 워킹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워킹 코일 상에 조리 용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a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 DC link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supply unit to charg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 induced magnetic field when current flows Free resonance energy is charged to the working coil through the switching-controlled inverter and PWM control so that the working coil that generates It may include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inverter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and the resonance capacitor resonates freely,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oking container is present on the working coil based o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본 개시에 포함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는 자유 공진 시작 전에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ce capacitor before the start of free resonance.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는,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유 공진 시에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자유 공진 시작 전 소정 시간동안 오프했다가 온 시킬 수 있다.The container sensing noise reduction unit may turn off and then turn on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inverter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during free reson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starting the free resonance in order to reduce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ce capacitor.

본 개시에 포함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인버터 구동 개시 시 전류의 순간적인 변화를 막기 위함으로 PWM 제어를 통해 워킹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순간적인 변화를 방지하여 기동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an instantaneous change in current when the inverter starts driving through various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stantaneous change i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is prevented through PWM control, thereby eliminating the starting noise.

본 개시에 포함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인버터 구동 개시 시 전류의 순간적인 변화를 막음으로써 인버터 구동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rough various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secure stability in driving the inverter by preventing an instantaneous change in current when driving the inverter is started.

본 개시에 포함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유도 가열 장치에서 제공되는 용기 감지 기능의 동작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Through various embodiments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peration noise of the container detec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할 때,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유 공진할 때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가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할 때 각 소자들의 동작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가 저소음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의 PWM 제어에 따른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가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에너지를 감소시키지 않고 용기 감지를 시작했을 때,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된 소자들의 에너지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가 작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가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에너지를 감소시킨 후 용기 감지를 시작했을 때,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된 소자들의 에너지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current when charging free resonance ener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current during free reso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view showing operation signals of each element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operates in a container sensing mod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operating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low noise container detection mode.
6 is a view showing a gate signal of each switching element according to PWM control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starts sensing the container without reducing the energy stored in the resonance capacitor.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starts sensing the container after reducing the stored energy of the resonance capacitor.

이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embodiments.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For clear explana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urther,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임의의 구성요소 간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임의의 구성요소 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고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any components, any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and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or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개시에서,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comprises”, “consisting of”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개시를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disclosure,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ices or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by being divided into .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uction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전원부(110), DC 링크 커패시터(120), 공진 커패시터(160), 워킹 코일(WC), 인버터(130), 인버터 구동부(135), 비교부(170), 프로세서(180),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190)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 a DC link capacitor 120 , a resonance capacitor 160 , a working coil WC, an inverter 130 , an inverter driving unit 135 , and a comparison unit 170 ). , the processor 180 , and at least some or all of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190 may be included.

전원부(110)는 AC 전원(113)과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부(115, Rect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도 가열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n AC power source 113 and a rectifier 115 for converting alternating current into direct current, and supplies power to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

DC 링크 커패시터(120)는 전원부(110)와 병렬로 연결되어 전원부(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C link capacitor 12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supply unit 110 to charg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

인버터(130)는 워킹 코일(WC)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도록 워킹 코일(WC)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버터(130)는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는 교대로 온/오프를 반복하여 워킹 코일(WC)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제1 스위칭 소자(131)는 온되고, 제2 스위칭 소자(132)는 오프되며, 제2 상태에서 제1 스위칭 소자(131)는 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132)는 온될 수 있다. 인버터(130)는 소정 주기로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반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가 교대로 온 되도록 스위칭제어되면 워킹 코일(WC)에 정류부(115)로부터의 직류전압을 교번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워킹 코일(WC)은 직류 전압이 교번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The inverter 130 may switch the voltage applied to the working coil WC so that a high-frequency current flows through the working coil WC. Specifically, the inverter 130 may include a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are alternately turned on/off. may be repeated to drive the working coil WC. That is, in the first stat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is turned 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turned off, and in the second stat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turned off. can be turned on. The inverter 130 may be controlled to repeat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t a predetermined cycle. When switching is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are alternately turned on, the DC voltage from the rectifier 115 may be alternately applied to the working coil WC. The working coil WC may be driven as a DC voltage is alternately applied.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진 스위칭 소자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스위칭 소자는 고속 스위칭이 가능한 반도체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가 교대로 온 됨에 따라 워킹 코일(WC)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워킹 코일(WC)에는 고주파 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device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device 132 may be switching devices made of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witching device may mean a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high-speed switching. . A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are alternately turned on, a high-frequency current flows in the working coil WC, and accordingly, a high-frequency magnetic field may be formed in the working coil WC.

워킹 코일(WC)은 인버터(130)에 의해 직류전압이 교번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워킹 코일(WC)은 고주파 전류에 의해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켜 조리 용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In the working coil WC, current may flow as a DC voltage is alternately applied by the inverter 130, and the working coil WC may generate an induced magnetic field by the high-frequency current to heat the cooking vessel.

워킹 코일(WC)의 일측은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131)(132) 사이의 노드(130a)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제1 및 제2 공진 커패시터(161)(162) 사이의 노드(160a)에 연결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working coil WC is connected to the node 130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131 and 132 , and the other side of the working coil WC is connected to the nod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sonant capacitors 161 and 162 . may be connected to 160a.

인버터(130)의 구동은 인버터 구동부(135)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verter 130 may be driven by the inverter driving unit 135 .

인버터 구동부(135)는 인버터(13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131)(132)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인버터 구동부(135)는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131)(132)가 서로 교번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워킹 코일(WC)에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인버터 구동부(135)와 프로세서(180)를 따로 도시하였으나, 인버터 구동부(135)는 프로세서(18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verter driving unit 135 may control switching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131 and 132 constituting the inverter 130 . The inverter driving unit 135 may apply a high-frequency voltage to the working coil WC b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131 and 132 to alternately operate with each other. Although the inverter driver 135 and the processor 180 are separately illustra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inverter driver 135 may be included in the processor 180 .

공진 커패시터(160)는 DC 링크 커패시터(120)와 워킹 코일(WC)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공진 커패시터(161)(1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onance capacitor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onance capacitors 161 and 162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DC link capacitor 120 and the working coil WC.

공진 커패시터(160)는 제1 공진 커패시터(161)와 제2 공진 커패시터(162)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 커패시터(161)는 일단이 정류부(115)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는 일단(121a)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공진 커패시터(162)와 워킹 코일(WC)의 접속점(160a)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공진 커패시터(162)는 일단이 정류부(115)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는 타단(121b)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공진 커패시터(161)와 워킹 코일(WC)의 접속점(160a)에 연결될 수 있다.The resonance capacitor 160 may include a first resonance capacitor 161 and a second resonance capacitor 162 . 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161 is connected to one end 121a from which a voltage is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115 , and the other end is a connection point 160a between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162 and the working coil WC. can be connected to Similarly,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162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121b from which the voltage is output from the rectifier 115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int 160a between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161 and the working coil WC. can be connected

제1 공진 커패시터(161)의 커패시턴스와 제2 공진 커패시터(162)의 커패시턴스는 동일할 수 있다.The capacitance of the first resonance capacitor 161 and the capacitance of the second resonance capacitor 162 may be the same.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는 유도 가열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도로 구성되는 유도 가열 장치(100)의 공진 주파수는 워킹 코일(WC)의 인덕턴스(inductance)와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해 결정된다.The capacitance of the resonance capacitor 160 may determine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resonance frequency). Specifically,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configured in the circuit diagram as shown in FIG. 1 is determined by the inductance of the working coil WC and the capacitance of the resonance capacitor 160 .

비교부(170)는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부(170)는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를 전압의 형태로 출력하는 소자일 수 있다. 비교부(170)는 출력된 전압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후술한다.The comparator 170 may compar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Specifically, the comparator 170 may be a device that sense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and outputs the sensed current in the form of a voltage. The comparator 170 may output a pulse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프로세서(180)는 유도 가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8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

프로세서(180)는 비교부(170)로부터 전달되는 출력 펄스에 기초하여 워킹 코일(WC) 상에 조리용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oking vessel is present on the working coil WC based on the output pulse transmitted from the comparator 170 .

프로세서(180)는 인버터 구동부(135)가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80 may control the switching timing at which the inverter driver 135 drive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

이외에, 프로세서(180)는 조리용기의 존재 여부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0)의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oking vessel.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190)는 Sink회로(181), Delay 회로(183), 비교기 회로(185)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190)는 후술하는 공진 커패시터(160)의 저장 에너지 감소를 위한 회로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vessel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190 may include at least some or all of the sink circuit 181 , the delay circuit 183 , and the comparator circuit 185 .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190 may be a circuit for reducing energy stored in the resonance capacitor 160 to be described later. More details on this will be provided later.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100)는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operate in a container detection mode.

용기 감지 모드란, 유도 가열 장치(100)의 워킹 코일(WC) 위에 조리 용기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워킹 코일(WC) 위에 조리 용기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설정된 출력을 내기 위해 유도 가열 장치(100)가 구동되는 경우, 내부 소자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100)는 구동 시 최초 1회, 또는 구동 중에 주기적으로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container detection mode means a mod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oking container on the working coil WC of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 When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is driven to produce a set output despite the absence of a cooking container on the working coil WC, there is a risk that the internal elements may be damaged. Accordingly,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operate in the container sensing mode for the first time during operation or periodically during operation.

프로세서(180)는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 시, 소정 횟수 이상으로 인버터(130)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하여 워킹 코일(WC)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인버터 구동부(135)를 제어하여 워킹 코일(WC)에 공급된 에너지를 자유 공진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180 supplies energy to the working coil WC by turning on/off the switching elements constituting the inverter 130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when operating in the container detection mode, and controls the inverter driving unit 135 to perform walking. Energy supplied to the coil WC may be free-resonant.

유도 가열 장치(100)는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 시, 워킹 코일(WC)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100)의 회로에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하고, 워킹 코일(WC)에 전류를 자유 공진시켜, 워킹 코일(WC)에 흐르는 공진 전류의 파형을 분석해 조리 용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유도 가열 장치(100)는 워킹 코일(WC)의 공진 전류를 펄스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소자를 더 포함하고, 출력된 펄스의 폭이나 카운트된 펄스 횟수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operates in the container sensing mode, free resonance energy is charged to the circuit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including the working coil WC, and the working coil WC free resonates a current, The existence of the cooking vessel i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waveform of the resonanc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In more detail,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n element for converting the resonance current of the working coil WC into a pulse voltage, and whether or not the cooking container exists based on the width of the output pulse or the counted number of pulses to detect

이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100)가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하여 워킹 코일(WC)상의 조리 용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In this regar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cooking vessel on the working coil WC by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operating in the vessel detec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할 때,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유 공진할 때 전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가 자유 공진할 때 각 소자들의 동작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current when charging free resonance ener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current during free reson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ignal of each element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free resonance.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80)는 도 2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131)를 온/오프시키고, 제2 스위칭 소자(132)를 오프/온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제어하여 워킹 코일(WC)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80)는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를 교번적으로 동작시켜 워킹 코일(WC)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processor 180 controls to repeatedly turn on/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urn off/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as shown in FIG. 2 . Thus, energy can be supplied to the working coil WC. That is, the processor 180 may supply energy to the working coil WC by alternately operating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

그 후, 프로세서(180)는 도 3과 같이 제1 스위칭 소자(131)는 오프시키고, 제2 스위칭 소자(132)는 온시켜 워킹 코일(WC)에 저장된 에너지를 자유 공진시킬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80)는 제1 스위칭 소자(131)를 온시키고, 제2 스위칭 소자(132)를 오프시켜 워킹 코일(WC)에 공급된 에너지를 자유 공진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80)는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131)(132) 중 어느 하나를 온 시키고, 다른 하나를 오프시켜 워킹 코일(WC)에 공급된 에너지를 자유 공진시킬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3 , the processor 180 may turn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urn 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to free resonance with energy stored in the working coil WC. Conversely, the processor 180 may turn o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urn of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to free-resonate the energy supplied to the working coil WC. That is, the processor 180 may turn 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elements 131 and 132 and turn off the other to free-resonate the energy supplied to the working coil WC.

도 3에서는 워킹 코일(WC)과 제2 스위칭 소자(132)와 제2 커패시터(162)가 공진 회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워킹 코일(WC)과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1 커패시터(161)가 공진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In FIG. 3, the working coil WC,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and the second capacitor 162 are illustrated as forming a resonance circuit,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working coil WC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 131 and the first capacitor 161 may form a resonance circuit.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제1 스위칭 소자(131)를 오프시키고, 제2 스위칭 소자(132)를 온 시킨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processor 180 turns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urns 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유 공진할 때 각 소자들의 동작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그래프(401)는 제1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 신호이고, 제2 그래프(403)는 제2 스위칭 소자(132)의 게이트 신호이다. 제3 그래프(405)는 워킹 코일(WC)에 흐르는 공진 전류이고, 제4 그래프(407)는 비교부(170)의 출력 신호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 signals of each element when free resonance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graph 401 is a gate signal of the first switching device 131 , and the second graph 403 is a gate signal of the second switching device 132 . The third graph 405 is a resonanc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and the fourth graph 407 is an output signal of the comparator 170 .

비교부(170)는 제2 스위칭 소자(132)만 온된 상태에서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405)를 기 설정된 기준 값(Reference)과 비교하여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비교부(170)에서 출력된 펄스(407)에 기초하여 워킹 코일(WC) 상에 조리 용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comparator 170 may output a pulse by comparing the current 405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in a state where only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turned on. The processo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oking vessel is present on the working coil WC based on the pulse 407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

이는, 워킹 코일(WC) 상에 조리 용기가 위치하는 경우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조리 용기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조리 용기의 존재 여부에 따라 비교부(170)에서 출력되는 펄스가 달라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positioned on the working coil WC is different from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not positioned on the cooking container. This is because the pulse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va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예를 들어, 워킹 코일(WC) 상에 조리 용기가 위치하는 경우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조리 용기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positioned on the working coil WC,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may be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not positioned.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80)는 제2 스위칭 소자(132)가 온 인 동안 비교부(170)에서 출력되는 파형(407)의 폭을 측정하여 조리 용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프로세서(180)는 제2 스위칭 소자(132)가 온 인 동안 비교부(170)에서 출력되는 파형(407)의 펄스 반복 횟수를 카운트하여 조리 용기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180 may measure the width of the waveform 407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while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on and determine whether the cooking container exists, and the processor Reference numeral 180 counts the number of pulse repetitions of the waveform 407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while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turned on to determine whether the cooking container exists.

예를 들어, 워킹 코일(WC) 상에 부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비교부(170)에서 출력되는 파형(407)의 폭은 가장 길 수 있다. 워킹 코일(WC) 상에 부하가 존재하면 비교부(170)에서 출력되는 파형(407)의 폭은 짧아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load on the working coil WC, the width of the waveform 407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may be the longest. When a load exists on the working coil WC, the width of the waveform 407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may be shortened.

프로세서(180)는 비교부(170)에서 출력된 파형(407)의 폭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 이하이면, 조리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프로세서(180)는 비교부(170)에서 출력된 파형(407)의 폭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조리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width of the waveform 407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time, the processor 180 may determine that the cooking vessel exists, and the processor 180 outputs the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 When the width of the waveform 407 exceeds a preset reference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oking container does not exist.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80)는 제2 스위칭 소자(132)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비교부(170)에서 출력되는 파형(407)의 펄스를 카운트할 수 있다. 여기서, 파형(407)의 펄스를 카운트한다는 것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출력되다가 다시 로우(low)로 출력되는 것을 1회 펄스로 카운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180 may count the pulses of the waveform 407 output from the comparator 170 during a time during which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maintains an on state. Here, counting the pulses of the waveform 407 may mean counting the output from low to high and then output again as low as one pulse.

프로세서(180)는 카운트된 펄스의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카운트된 펄스의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 이하이면 조리 용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프로세서(180)는 카운트된 펄스의 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 횟수를 초과하면 조리 용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unted number of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number. The processor 180 may determine that the cooking container exists when the counted number of pulse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number, and the processor 180 determines that the cooking container exists when the counted number of pulses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number. can be judged not to be.

이를 통해,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100)는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operate in a container detection mode.

한편, 유도 가열 장치(100)는 전원부(110)와 병렬로 연결된 DC 링크 커패시터(120)의 충전 전압을 워킹 코일(WC)에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DC 링크 커패시터(120)는 전원부(110)로부터 정류된 전압이 인가됨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압만큼 충전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110)에서 220V의 AC 입력 전압이 정류되어 DC 링크 커패시터(120)에 인가되더라도 입력 전압의 순간 최대 전압은 약 220/0.707 V의 값을 가지므로, DC 링크 커패시터(120)은 약 311V의 전압으로 충전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된 DC 링크 커패시터(120)가 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도 가열 장치(100)가 구동 개시되면 순간적으로 워킹 코일(WC)에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DC 링크 커패시터(120)에 충전된 전압이 워킹 코일(WC)에 한번에 입력되면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포함된 소자들이 손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may charge the working coil (WC) with the charging voltage of the DC link capacitor 120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supply unit 110 . The DC link capacitor 120 may be in a state of being charged by a predetermined voltage based on the rectified voltage being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 For example, even if an AC input voltage of 220V is rectified in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applied to the DC link capacitor 120 , the instantaneous maximum voltage of the input voltage has a value of about 220/0.707 V, so the DC link capacitor 120 . may be in a state of being charged to a voltage of about 311V. Accordingly,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charged DC link capacitor 120 is not discharged, a high current instantly flows in the working coil WC. In this way, wh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DC link capacitor 120 is inputted to the working coil WC at once, noise may be generated and elements included therein may be damaged.

또한, 상술한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워킹 코일(WC)에 공진 전류를 흘려줄 때에도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noise is generated even when a resonance current flows to the working coil WC to operate in the above-described container sensing mod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DC 링크 커패시터(120)에 의한 소음을 기동 소음으로 명명하고,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할 때의 소음을 용기 감지 소음으로 명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noise generated by the DC link capacitor 120 is named as starting noise, and the noise when operating in the vessel detection mode is named as vessel detection noise.

이러한 기동 소음 및 용기 감지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기기의 고장 발생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Such starting noise and vessel detection noise not only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but also cause misunderstanding due to malfunction of the device.

따라서 본 개시는 이러한 유도 가열 장치(100)의 순간적인 전류 흐름을 방지하고, 기동 소음 및 용기 감지 소음을 모두 감소시키는 저소음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event the instantaneous current flow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and to provide a method for operating in a low noise container detection mode that reduces both the starting noise and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다음으로, 도 5는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가 저소음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Next,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operating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low noise container detection mode.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100)는 PWM 제어를 통해 용기 감지를 위한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S501). 프로세서(180)는 인버터(130) 스위칭 소자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하여 용기 감지를 위한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harge free resonance energy for container detection through PWM control ( S501 ). The processor 180 may charge the free resonance energy for container detection by controlling the PWM (Pulse Width Modulation) switching element of the inverter 130 .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프로세서(180)가 PWM 제어를 통해 용기 감지를 위한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6 , a method for the processor 180 to charge free resonance energy for container detection through PWM control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의 PWM 제어에 따른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gate signal of each switching element according to PWM control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의 (a)는 PWM 제어를 통한 공진 전류 에너지 충전의 제1 구간에서 제1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 신호(601)와 제2 스위칭 소자(132)의 게이트 신호(603)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PWM 제어를 통한 공진 전류 에너지 충전의 제2 구간에서 제1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 신호(605)와 제2 스위칭 소자(132)의 게이트 신호(607)를 나타내고, 도 6의 (c)는 PWM 제어를 통한 공진 전류 에너지 충전의 제3 구간에서 제1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 신호(609)와 제2 스위칭 소자(132)의 게이트 신호(611)를 나타낸다.6 (a) shows the gate signal 601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gate signal 603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n the first section of resonant current energy charging through PWM control, 6 (b) shows the gate signal 605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gate signal 607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n the second section of resonant current energy charging through PWM control, FIG. 6C shows the gate signal 609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gate signal 611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n the third period of resonant current energy charging through PWM control.

프로세서(180)는 공진 전류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해, 인버터(130)의 스위칭 소자를 PWM 제어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프로세서(180)는 공진 전류 에너지를 서서히 충전하기 위해, 제1 스위칭 소자(131) 및 제2 스위칭 소자(132)의 동작 주파수 및 듀티 사이클을 고 주파수 낮은 Duty에서 저 주파수 높은 Duty로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80 may PWM control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inverter 130 to charge the resonance current energy. In more detail, the processor 180 adjusts the operating frequency and duty cycl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from a high frequency low Duty to a low frequency high Duty in order to gradually charge the resonance current energy. can be controlled with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도 6의 (a)와 같이, 제1 구간에서는 제1 스위칭 소자(131)의 동작 듀티 사이클은 0%로, 제2 스위칭 소자(132)의 동작 듀티 사이클은 33%로 고주파 동작 주파수(예를 들어, 85khz)로 제어할 수 있고, 제1 구간 이후인 제2 구간에서는 도 6의 (b)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131)의 동작 듀티 사이클은 5%로, 제2 스위칭 소자(132)의 동작 듀티 사이클은 57%로 고주파 동작 주파수(예를 들어, 85khz)로 제어할 수 있고, 제2 구간 이후인 제3 구간에서는 도 6의 (c)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131)의 동작 듀티 사이클은 30%로, 제2 스위칭 소자(132)의 동작 듀티 사이클은 45%로 저주파 동작 주파수(예를 들어, 65khz)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듀티 사이클 및 동작 주파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in the processor 180 , as shown in FIG. 6A , in the first section, the duty cycl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is 0%, and the duty cycl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0%. It can be controlled with a high frequency operating frequency (eg, 85 kHz) at 33%, and in the second section after the first section, as shown in FIG. 6 ( b ), the operating duty cycl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is 5 %, the operating duty cycl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57%, which can be controlled at a high frequency operating frequency (eg, 85 kHz), and in the third section after the second section (c) and Likewise, the operation duty cycle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is 30%, and the operation duty cycle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45%, so that the low frequency operation frequency (eg, 65 kHz) can be controlled. The above-described duty cycle and operating frequency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예에 따라, 본 개시의 프로세서(180)는 기동을 시작할 때, 인버터(130)의 각 스위칭 소자의 동작 주파수를 고 주파수, 낮은 듀티에서 저 주파수, 높은 듀티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when starting the startup, the processor 180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ntrol the operating frequency of each switching element of the inverter 130 from a high frequency and a low duty to a low frequency and a high duty.

이를 통해, DC 링크 커패시터(120)의 충전 전압이 워킹 코일(WC)에 순간적으로 유입되지 않아, 기동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rough this, since the charging voltage of the DC link capacitor 120 does not instantaneously flow into the working coil WC,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tarting noise can be reduced.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유도 가열 장치(100)는 자유 공진 시작 전 공진 커패시터(160)의 저장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S503). 단계 S503은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 시 발생하는 용기 감지 소음을 줄이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Returning to FIG. 5 agai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may reduce the energy stored in the resonance capacitor 160 before the free resonance starts ( S503 ). Step S503 may be a step performed to reduce container detection noise generated when operating in the container detection mode.

용기 감지 소음은 용기 감지를 위한 자유 공진 시, 공진 커패시터(160)에 저장된 에너지 때문에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energy stored in the resonance capacitor 160 during free resonance for container det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은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가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에너지를 감소시키지 않고 용기 감지를 시작했을 때,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된 소자들의 에너지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starts sensing the container without reducing the stored energy of the resonance capacitor.

도 7을 참조하면, 제1 파형(1301)은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고, 제2 파형(1303)은 제1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고, 제3 파형(1305)은 제2 스위칭 소자(132)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제4 파형(1307)은 제1 공진 커패시터(161)의 전압을 나타내고, 제5 파형(1309)은 제2 공진 커패시터(162)의 전압을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waveform 1301 represent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the second waveform 1303 represents the gate sig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 and the third waveform 1305 . may represent the gate signal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 The fourth waveform 1307 may represent the voltage of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161 , and the fifth waveform 1309 may represent the voltage of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162 .

제1 구간(T1)은 자유 공진을 위해 워킹 코일(WC)에 에너지를 충전하는 구간으로,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가 상술한 duty 제어를 통해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는 구간이다. 이때,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1301)는 일정 크기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되며 자유 공진 에너지가 충전된다. 제1 및 제2 공진 커패시터(161)(162)의 전압(1307)(1309) 또한 일정 크기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된다.The first period T1 is a period in which energy is charged to the working coil WC for free resonance,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operate on/off through the above-described duty control. is a repeating section. At this time, the current 1301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repeatedly increases and decreases to a predetermined size, and free resonance energy is charged. The voltages 1307 and 1309 of the first and second resonant capacitors 161 and 162 also repeatedly increase and decrease to a predetermined level.

제2 구간(T2)은 워킹 코일(WC)과 제2 공진 커패시터(162)로 이루어진 공진 회로에서 자유 공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제1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 신호(1303)는 오프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칭 소자(132)의 게이트 신호(1305)는 온을 유지하는 구간이다. 이때,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1301)는 자유 공진을 하면서 점차 감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The second section T2 is a section in which free resonance occurs in the resonance circuit including the working coil WC and the second resonance capacitor 162 , and the gate signal 1303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is kept off and , the gate signal 1305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maintained on.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1301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gradually decreases while performing free resonance.

한편, 제2 구간(T2)의 시작 지점에서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1301)의 크기는 제1 구간(T1)에서 워킹 코일(WC)에 흐르는 전류(1301)의 최대값(1310)을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2 공진 커패시터(162)의 저장 전압이 높은 시점에서 자유 공진을 시작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1301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at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section T2 is the maximum value 1310 of the current 1301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in the first section T1. It can be seen that exceeding This is because free resonance starts when the storage voltage of the second resonance capacitor 162 is high.

따라서, 용기 감지 소음은 용기 감지를 위한 자유 공진 회로에 포함된 공진 커패시터(160)의 저장 전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ce capacitor 160 included in the free resonance circuit for container detection.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100)가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 시 발생하는 용기 감지 소음을 줄이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control method for reducing the vessel detection noise generated when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operates in the vessel sens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8의 (a)는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의 (b)는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의 동작에 따른 출력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a)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the vessel sensing noise reducing unit, and Fig. 8 (b) is a diagram show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ssel sensing noise reducing unit.

도 8의 (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80)는 공진 커패시터(160)의 저장 에너지 감소를 위해,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190)의 Sink 회로(181)와 Delay 회로(183)에 Ena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상술한 PWM 제어를 통해 자유 공진 에너지가 저장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유 공진을 시작하기 위해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190)의 Sink 회로(181)와 Delay 회로(183)에 Enable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8 , the processor 180 provides an enable signal to the sink circuit 181 and the delay circuit 183 of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190 to reduce the energy stored in the resonance capacitor 160 . can be trans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free resonance energy is sto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WM control, the processor 180 applies an Enable signal to the sink circuit 181 and the delay circuit 183 of the vessel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190 to start free resonance. can be transmitted

Sink 회로(181)는 인버터(130)의 모든 스위칭 소자의 신호를 오프로 싱크시키기 위한 회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ink 회로(181)는 Enable 신호가 입력되면, 용기 감지를 위한 자유 공진 회로에 포함되지 않는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자유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제2 스위칭 소자(132)를 모두 오프 시키는 신호를 인버터 구동부(135)에 전송할 수 있다. The sink circuit 181 may be a circuit for turning off signals of all switching elements of the inverter 130 . For example, when the enable signal is input to the sink circuit 181 ,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not included in the free resonance circuit for container detection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ncluded in the free resonance circuit are activated. A signal for turning off may be transmitted to the inverter driving unit 135 .

Delay 회로(183)는 용기 감지를 위한 자유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가 다시 켜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소정 시간 딜레이 하기 위한 회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elay 회로(183)는 Enable 신호가 입력되면, 크기가 점차 증가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Delay 회로(183)는 RC회로로 구성될 수 있고, Delay 회로(183)의 시정수에 따라, 용기 감지를 위한 자유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가 다시 켜지는 데 걸리는 소정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The delay circuit 183 may be a circuit for delaying the time it takes for the switching element included in the free resonance circuit for container detection to turn on again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delay circuit 183 may output a voltage gradually increasing in magnitude when an enable signal i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lay circuit 183 may be composed of an RC circuit, and according to the time constant of the Delay circuit 183, a predetermined time it takes for the switching element included in the free resonance circuit for container detection to turn on again. This can be adjusted.

비교기 회로(185)는 레퍼런스 전압과 입력 전압을 비교하여, 레퍼런스 전압과 입력 전압이 일치하는 경우, 온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기 회로(185)의 레퍼런스 전압이 3.3 V 인 경우, Delay 회로(183)에서 입력되는 전압이 3.3 V가 되면, 비교기 회로(185)는 high 값을 출력할 수 있다.The comparator circuit 185 may be a circuit that compares a reference voltage and an input voltage, and outputs an ON signal when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input voltage match.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comparator circuit 185 is 3.3 V, when the voltage input from the delay circuit 183 becomes 3.3 V, the comparator circuit 185 may output a high value.

도 8의 (a)에서는 Delay 회로(183) 및 비교기 회로(185)를 따로 도시하였으나, 두 회로는 합쳐져서 자유 공진 시에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자유 공진 시작 전 소정 시간동안 오프했다가 온 시키는 하나의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delay circuit 183 and the comparator circuit 185 are separately shown in FIG. 8(a), the two circuits are combined to turn off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inverter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at the time of free reson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start of free resonance. It can be composed of one circuit that turns on.

도 8의 (b)에서, 제1 그래프(801)는 프로세서(180)에서 전송되는 Enable 신호를 나타내고, 제2 그래프(802)는 비교기 회로(185)의 레퍼런스 전압을 나타내며, 제3 그래프(803)는 비교기 회로(185)의 입력 전압(즉, Delay 회로(183)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며, 제4 그래프(804)는 비교기 회로(185)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제5 그래프(805)는 제1 스위칭 소자(131, 공진 회로에 포함되지 않는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고, 제 6 그래프(806)는 제2 스위칭 소자(132,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낸다. 도 8에서 t1, t2는 도 7 및 도 9의 T1, T2와 다른 시점을 의미한다.In FIG. 8B , a first graph 801 indicates an enabl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ocessor 180 , a second graph 802 indicates a reference voltage of the comparator circuit 185 , and a third graph 803 . ) represents the input voltage of the comparator circuit 185 (that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Delay circuit 183), the fourth graph 804 represents the output voltage of the comparator circuit 185, and the fifth graph 805 is A gate signal of the first switching device 131 (a switching device not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is shown, and a sixth graph 806 is a gate signal of the second switching device (132, a switching device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In FIG. 8 , t1 and t2 refer to time points different from those of T1 and T2 in FIGS. 7 and 9 .

도 8 (b)의 시점 t1에서, 프로세서(180)의 Enable 신호(801)가 온 되면, Sink 회로(181)에 의해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는 모두 오프 된다. 이때, Delay 회로(183)의 출력 전압(803)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시점 t2에서는 비교기 회로(185)의 레퍼런스 전압(802)과 Delay 회로(183)의 출력 전압(803)이 일치하게 되며, 비교기 회로(185)는 제2 스위칭 소자(132)를 온 시키는 출력 신호(804)를 인버터 구동부(135)로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t2와 t1의 시간 차이(Δt)를 공진 커패시터(160)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는 소정 시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은 4us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When the enable signal 801 of the processor 180 is turned on at time t1 of FIG. 8B , both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are turned off by the sink circuit 181 . . At this time, the output voltage 803 of the delay circuit 183 is gradually increased. At time t2, the reference voltage 802 of the comparator circuit 185 and the output voltage 803 of the delay circuit 183 coincide, and the comparator circuit 185 turns 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with an output signal ( 804) is transmitted to the inverter driving unit 135 . In this specification, the time difference Δt between t2 and t1 may be defined as a predetermined time for reducing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ce capacitor 160 .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4 u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인버터 구동부(135)는 프로세서(180)에서 출력한 Enable 신호에 기초하여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19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워킹 코일(WC)에 공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점 및 공진 커패시터(160)의 저장 에너지 감소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verter driving unit 135 perform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190 based on the enable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180 . By controlling the on/off operation of the element 132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ing of flowing the resonance current in the working coil WC and the reduction of the stored energy of the resonance capacitor 160 .

이러한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190)에 포함되는 Sink회로(181), Delay 회로(183), 비교기 회로(185)는 불 대수(boolean algebra)를 물리적 장치에 구현한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리 설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Sink회로(181), Delay 회로(183), 비교기 회로(185)에 포함된 논리 회로는 AND, OR, NOR, NOT, NAND, XOR, XNOR, 플립 플롭(flip flop), 래치(latch), 버퍼(buffer) 등 다양한 조합논리회로(combinational logic circuit) 또는 순서논리회로(sequential logic circuit)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나아가 기본 불 대수를 결합한 복합적 논리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논리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The sink circuit 181, the delay circuit 183, and the comparator circuit 185 included in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190 may include a logic circuit in which a boolean algebra is implemented in a physical device, It may be pre-desig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gic circuits included in the sink circuit 181 , the delay circuit 183 , and the comparator circuit 185 are AND, OR, NOR, NOT, NAND, XOR, XNOR, flip-flops, and latches. It can be implemented as various combinational logic circuits or sequential logic circuits such as latches and buffers, and further includes various logic elements that perform complex logic functions combining basic Boolean algebra. can

도 9는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가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에너지를 감소시킨 후 용기 감지를 시작했을 때, 유도 가열 장치에 포함된 소자들의 에너지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included i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starts sensing the container after reducing the stored energy of the resonance capacitor.

도 9를 참조하면, 제1 파형(1501)은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고, 제2 파형(1503)은 제1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고, 제3 파형(1505)은 제2 스위칭 소자(132)의 게이트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제4 파형(1507)은 제1 공진 커패시터(161)의 전압을 나타내고, 제5 파형(1509)은 제2 공진 커패시터(162)의 전압을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 first waveform 1501 indicate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a second waveform 1503 indicates a gate signal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 and a third waveform 1505 . may represent the gate signal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 The fourth waveform 1507 may represent the voltage of the first resonant capacitor 161 , and the fifth waveform 1509 may represent the voltage of the second resonant capacitor 162 .

제1 구간(T1)은 자유 공진을 위해 워킹 코일(WC)에 에너지를 충전하는 구간으로, 제1 스위칭 소자(131)와 제2 스위칭 소자(132)가 상술한 duty 제어를 통해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는 구간이다. 이때,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1501)가 일정 크기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되며 자유 공진 에너지가 충전된다. 제1 및 제2 공진 커패시터(161)(162)의 전압(1507)(1509) 또한 일정 크기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된다.The first period T1 is a period in which energy is charged to the working coil WC for free resonance,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operate on/off through the above-described duty control. is a repeating section. At this time, the current 1501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is repeatedly increased and decreas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free resonance energy is charged. The voltages 1507 and 1509 of the first and second resonant capacitors 161 and 162 also repeatedly increase and decrease to a predetermined level.

제2 구간(T2)은 워킹 코일(WC)과 제2 공진 커패시터(162)로 이루어진 공진 회로에서 자유 공진이 이루어지는 구간으로, 제1 스위칭 소자(131)의 게이트 신호(1503)는 오프를 유지하고, 제2 스위칭 소자(132)의 게이트 신호(1505)는 온을 유지하는 구간이다.The second period T2 is a period in which free resonance occurs in the resonance circuit including the working coil WC and the second resonance capacitor 162 , and the gate signal 1503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131 is kept off and , the gate signal 1505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is maintained on.

한편, 제2 구간(T2)의 시작 전, 즉, 자유 공진의 시작 전에 자유 공진 시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 설정된 제2 스위칭 소자(132)는 소정 시간(t) 동안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Meanwhile, before the start of the second period T2 , that is, before the start of free resonance,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132 preset to maintain an on state during free resonance turns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t and then turns on again. will keep

이때, 제2 공진 커패시터(162)의 저장 전압(1509)은 도 7에서와 다르게 낮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워킹 코일(WC)의 공진 전류(1501) 또한 제1 구간의 워킹 코일(WC)을 흐르는 전류(1501)의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storage voltage 1509 of the second resonance capacitor 162 is in a low state unlike in FIG. 7 .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sonance current 1501 of the working coil WC also does not exceed the maximum value of the current 1501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WC in the first section.

따라서, 상술한 제어 방법을 통해 본 개시의 유도 가열 장치(100)는 공진 커패시터(160)의 저장 에너지를 감소시킨 후,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동작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disclosure reduces the stored energy of the resonance capacitor 160 and then operates in the container sensing mod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noise can be reduced.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유도 가열 장치(100)는 자유 공진을 시작하여 용기 감지를 할 수 있다(S505). Returning to FIG. 5 again,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may start free resonance to detect a container (S505).

본 개시는 전술한 PWM 제어를 통해 유도 가열 장치(100) 자체의 기동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버터(130) 제어를 통해 유도 가열 장치(100)가 용기 감지 모드로 동작 시, 용기 감지 소음도 줄일 수 있어 저소음으로 용기 감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can reduce the starting noise of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itself through the aforementioned PWM control, and also whe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100 operates in the container detection mode through the inverter 130 control,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is also Since it can be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a container detection function with low noise.

일 실시예에 따라 유도 가열 장치(100)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또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개시에 대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Induction he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memory (not shown) for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various methods. The method for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y being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a program for execution by a computer.

본 개시의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개시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executed through software. When executed as software,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code segments that perform necessary tasks.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on a processor-readable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 include ROM, RAM, CD-ROM, DVD±ROM, DVD-RAM,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network-connected computer devices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180: 프로세서
190: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
180: processor
190: vessel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Claims (13)

저소음 용기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충전하는 DC 링크 커패시터;
전류가 흐르면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워킹 코일;
상기 워킹 코일과 연결되어 공진 회로를 형성하는 공진 커패시터;
상기 DC 링크 커패시터의 직류 전압이 상기 워킹 코일에 인가되도록 스위칭 제어되는 인버터; 및
PWM 제어를 통해 상기 워킹 코일에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하고,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공진 커패시터를 흐르는 전류가 자유 공진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고, 상기 워킹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워킹 코일 상에 조리 용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In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providing a quiet container detection function,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 DC link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power supply unit to charg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working coil that generates an induced magnetic field when an electric current flows;
a resonance capacitor connected to the working coil to form a resonance circuit;
an inverter controlling switching so that the DC voltage of the DC link capacitor is applied to the working coil; and
Free resonance energy is charged in the working coil through PWM control, and the inverter is controlled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and the resonance capacitor has free resonance, and based on the current flowing in the working coil, cooking is performed on the working coil. and a processor for determining if a vessel is pres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를 제1 주파수에서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변경하고, 상기 인버터의 듀티 사이클을 제1 듀티 사이클에서 제1 듀티 사이클보다 큰 제2 듀티 사이클로 변경하는, 유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is
changing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inverter from a first frequency to a second frequency less than a first frequency, and changing a duty cycle of the inverter from a first duty cycle to a second duty cycle greater than the first duty cy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유 공진 시작 전에 상기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 sensing noise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ce capacitor before the start of the free resonance, induction heating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는,
상기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유 공진 시에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상기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상기 자유 공진 시작 전 소정 시간동안 오프했다가 온 시키는, 유도 가열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In order to reduce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ce capacitor,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inverter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at the time of free resonance is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free resonance starts and then turned on, an induction heating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는,
상기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모두 오프시키는 Sink 회로, 자유 공진 시에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상기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를 상기 자유 공진 시작 전 소정 시간동안 오프했다가 온 시키는 Delay 회로 및 비교기 회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Induction including a sink circuit that turns off all 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inverter, a delay circuit and a comparator circuit that turns on and off the switching elements of the inverter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during free resonance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starting the free resonance heating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는,
상기 자유 공진 시에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가 제1 스위칭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상기 자유 공진 시작 전 소정 시간동안 오프했다가 온 시키는, 유도 가열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When the switching element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at the time of the free resonance is a first switching element,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turning the first switching element off an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starting the free resona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 감지 소음 저감부는,
상기 자유 공진 시에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가 제2 스위칭 소자인 경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상기 자유 공진 시작 전 소정 시간동안 오프했다가 온 시키는, 유도 가열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ainer detection noise reduction unit,
When the switching element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at the time of the free resonance is a second switching element, the induction heating device turns on and of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starting the free reson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 상에 조리 용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자유 공진 시 상기 워킹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조리 용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흐르는 전류의 크기보다 작은, 유도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oking vessel is present on the working coil,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during the free resonance is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when the cooking vessel does not exist,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유도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PWM 제어를 통해 워킹 코일에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하는 단계;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공진 커패시터를 흐르는 전류가 자유 공진하도록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워킹 코일의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워킹 코일 상에 조리 용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on heating device, comprising:
charging free resonance energy to the working coil through PWM control;
reducing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t capacitor;
controlling an inverter so that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and the resonance capacitor resonates freely; and
and determining whether a cooking vessel is present on the working coil based on the current of the working coil.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PWM 제어를 통해 워킹 코일에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하는 단계는,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를 제1 주파수에서 제1 주파수보다 작은 제2 주파수로 변경하고, 상기 인버터의 듀티 사이클을 제1 듀티 사이클에서 제1 듀티 사이클 보다 큰 제2 듀티 사이클로 변경하는 단계인,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charging free resonance energy to the working coil through the PWM control is,
changing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inverter from a first frequency to a second frequency less than the first frequency and changing a duty cycle of the inverter from a first duty cycle to a second duty cycle greater than the first duty cycl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공진 커패시터를 흐르는 전류가 자유 공진할 때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가 제1 스위칭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를 상기 자유 공진 시작 전 소정 시간동안 오프했다가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ducing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t capacitor comprises: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and the resonance capacitor free resonance, if the switching device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is the first switching device, turning the first switching device off and on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free resonance starts A method comprising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공진 커패시터를 흐르는 전류가 자유 공진할 때 공진 회로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가 제2 스위칭 소자인 경우,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를 상기 자유 공진 시작 전 소정 시간동안 오프했다가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Reducing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t capacitor comprises: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and the resonance capacitor free resonance, if the switching element included in the resonance circuit is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urning of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starting the free resonance and then turning 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 method comprising
유도 가열 장치의 동작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 방법은
PWM Duty 제어를 통해 워킹 코일에 자유 공진 에너지를 충전하는 단계;
공진 커패시터의 저장 전압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워킹 코일과 상기 공진 커패시터를 흐르는 전류가 자유 공진하도록 인버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워킹 코일의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워킹 코일 상에 조리 용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I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nduction heating device, the method comprises:
charging free resonance energy to the working coil through PWM duty control;
reducing the storage voltage of the resonant capacitor;
controlling an inverter so that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working coil and the resonance capacitor resonates freely; and
and determining whether a cooking vessel is present on the working coil based on the current of the working coil.
KR1020200187885A 2020-12-30 2020-12-30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538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85A KR102453862B1 (en) 2020-12-30 2020-12-30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220127880A KR20220142409A (en) 2020-12-30 2022-10-06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85A KR102453862B1 (en) 2020-12-30 2020-12-30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880A Division KR20220142409A (en) 2020-12-30 2022-10-06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900A true KR20220095900A (en) 2022-07-07
KR102453862B1 KR102453862B1 (en) 2022-10-12

Family

ID=823987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885A KR102453862B1 (en) 2020-12-30 2020-12-30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220127880A KR20220142409A (en) 2020-12-30 2022-10-06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880A KR20220142409A (en) 2020-12-30 2022-10-06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386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837B1 (en) * 1995-09-11 1999-05-15 구자홍 Heating conversion circuit for magnetic/non-magnetic induction cooker
KR20180025765A (en) *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14844A (en) * 2017-08-04 201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837B1 (en) * 1995-09-11 1999-05-15 구자홍 Heating conversion circuit for magnetic/non-magnetic induction cooker
KR20180025765A (en) *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14844A (en) * 2017-08-04 201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62B1 (en) 2022-10-12
KR20220142409A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7052B1 (en) Switching power supply
JP2016027775A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CN101964595A (en) Supply unit and method
JP6279080B2 (en) Power converter
JP5872235B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device
US9313830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circuit therefor
KR20220039031A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silent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6400103B2 (en) Power converter
KR102453862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providing low-noise container detection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12146599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7151034B2 (en) Control circuit and DC/DC converter device
JP4203210B2 (en) Power supply
JP2006014570A (en) Power regeneration method and converter device using the same
JP4887681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JP6598874B2 (en) Power converter
JP5365656B2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KR20210123045A (en) Method for discharging capacitor of resonant power conversion apparatus at initiating of operation and resonant power conversion apparatus thereof
CN217087760U (en) Phase detection circuit of full-bridge inverter
JP7365682B2 (en) High frequency heating device
KR960006601B1 (en) Power failure sensing circuit for range
JPH11162623A (en) Inverter device
KR101644296B1 (en) Frequency control circuit for led driver
TW202418705A (en) Vehicle charging circuit
KR100510697B1 (en) Inverter Circuit of The Microwave Oven
JPH0831560A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