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207A -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207A
KR20220095207A KR1020227018051A KR20227018051A KR20220095207A KR 20220095207 A KR20220095207 A KR 20220095207A KR 1020227018051 A KR1020227018051 A KR 1020227018051A KR 20227018051 A KR20227018051 A KR 20227018051A KR 20220095207 A KR20220095207 A KR 20220095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inorganic additive
lithium
anod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앙 가오
데이비드 셰퍼드
윤쿠웨이 리
아나톨리 보툰
Original Assignee
패서픽 인더스트리얼 디벨럽먼트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패서픽 인더스트리얼 디벨럽먼트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패서픽 인더스트리얼 디벨럽먼트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95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026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8Inhibitors, e.g. gassing inhibitors, corrosion inhib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4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internal coating on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캐소드 및 집전체로서 작용하는 활성 물질을 갖는 양극; 애노드 및 집전체로서 작용하는 활성 물질을 갖는 음극; 비-수성 전해질;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와 같은 전기화학 셀에 사용하기 위한 셀. 상기 캐소드, 애노드, 전해질, 및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셀에 존재하게 되는 수분, 유리 전이 금속 이온, 또는 불화수소(HF) 중 하나 이상을 흡수하는 2-50 범위의 Si:Al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올라이트의 형태로 무기 첨가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셀은 하우징에 결합되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무기 첨가제는 하우징의 내벽에 도포되는 코팅으로 혼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와 같은 전기화학 셀(cell)에 사용하기 위한 포획제 또는 첨가제와 같은 무기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양극 또는 음극), 세퍼레이터(separator), 또는 셀의 전해질에 위치하는 무기 포획제 또는 첨가제로서의 제올라이트의 용도와 관련이 있다.
이 섹션의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하고 선행 기술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주요 차이점은, 리튬 이온 전지는 일차 셀을 포함하는 전지를 나타내고,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이차 셀(secondary cell)을 포함하는 전지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일차 셀"은 쉽게 또는 안전하게 재충전할 수 없는 전지 셀을 의미하지만, "이차 셀"은 재충전될 수 있는 전지 셀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셀"은 전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지의 기본 전기화학 단위를 의미한다. 이에 비해 "전지"는 셀(들)의 집합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셀을 지칭하며 하우징, 전기 연결부 및 가능하게는 제어 및 보호를 위한 전자장치를 포함한다.
리튬 이온(예를 들어, 일차 셀) 전지는 재충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유통 기한이 약 3년이고 그 이후로는 가치가 없다. 이러한 제한된 수명에도 불구하고 리튬 전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보다 용량 면에서 더 많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리튬 전지는 애노드를 형성하기 위해 여러 다른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 리튬 이온 전지와 달리 리튬 금속을 전지의 애노드로 사용한다.
리튬 이온 이차 셀 전지의 주요 이점 중 하나는 무효화되기 전에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여러 번 충방전 주기를 거칠 수 있는 능력은 일어나는 산화환원 반응의 가역성에서 비롯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많은 휴대용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랩톱 컴퓨터, 등), 전동 공구, 전기 자동차, 및 그리드 에너지 저장장치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작동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음극, 비-수성 전해질, 세퍼레이터, 양극 및 각각의 전극에 대한 집전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든 구성 요소는 케이스, 인클로저, 파우치, 백, 원통형 쉘 등(일반적으로 전지의 "하우징"이라고 함)에 밀봉되어 있다. 세퍼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기공이 있는 폴리올레핀 멤브레인으로, 양극과 음극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극 사이에서 앞뒤로 리튬 이온의 수송을 가능하게 한다. 리튬 염 용액인 비-수성 전해질을 각 전극과 세퍼레이터 사이에 둔다.
작동 중에, 전지가 나타내는 쿨롱 또는 전류 효율 및 방전 용량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쿨롱 효율은 전자가 전지 내에서 수송되는 충전 효율을 나타낸다. 방전 용량은 전지에서 추출할 수 있는 전하의 양을 나타낸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수분(예를 들어, 물), 불화수소(HF), 용존 전이 금속 이온(TMn+)에 장기간 노출되어 용량 및/또는 효율이 열화될 수 있다. 사실상,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수명은 원래 가역 용량의 20% 이상이 손실되거나 비가역적으로 되면 심각하게 제한될 수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재충전 용량과 전체 수명을 연장하는 능력은 교체 비용을 줄이고 폐기 및 재활용에 대한 환경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이 잘 이해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을 수 있지만, 오히려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도 1a는 무기 첨가제가 양극의 일부를 형성하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 형성된 리튬 이온 이차 셀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1b는 무기 첨가제가 음극의 일부를 형성하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 형성된 또 다른 리튬 이온 이차 셀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1c는 무기 첨가제가 세퍼레이터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 형성된 또 다른 리튬 이온 이차 셀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1d는 무기 첨가제가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 형성된 리튬 이온 이차 셀의 또 다른 개략적 표현이다.
도 2a는 더 큰 혼합 셀을 형성하기 위해 도 1a 내지 도 1d의 이차 셀의 층상화를 보여주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 형성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2b는 도 2a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개략적 표현으로서, 무기 첨가제는 하우징 내벽에 코팅을 추가로 형성한다.
도 3a는 직렬로 도 1a 내지 도 1d의 이차 셀의 혼입을 보여주는 본 개시내용의 교시에 따라 형성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개략적 표현이다.
도 3b는 도 3a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개략적 표현으로서, 무기 첨가제는 하우징 내벽에 코팅을 추가로 형성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코팅된 세퍼레이터의 표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사진(SEM)이다.
도 5는 기존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셀 및 본 개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코팅된 세퍼레이터를 갖는 셀에 대해 주기의 함수로서 측정된 정규화된 방전 용량의 그래픽 표현이다.
도 6은 기존의 세퍼레이터를 갖는 셀 및 본 개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코팅된 세퍼레이터를 갖는 셀에 대해 주기의 함수로서 측정된 쿨롱 효율의 그래픽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은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 또는 그의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포함된 교시에 따라 제조되고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는 구조 요소 및 그의 용도를 보다 완전히 예시하기 위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차 셀과 함께 본 개시내용 전체에 걸쳐 기재된다.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에 사용되는 일차 셀과 같은 다른 전기화학 셀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적용에서 첨가제로서 이러한 무기 재료의 혼입 및 사용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설명 및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참조 번호는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부분 및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용어 "약" 및 "실질적으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예상 변동(예를 들어, 측정의 한계 및 변동)으로 인한 측정 가능한 값 및 범위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용어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요소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며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단일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의 포함을 나타내는 이러한 용어는 또한 요소의 끝에 접미사 "(들)"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금속", "하나 이상의 금속" 및 "금속(들)"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하우징 내에 존재하거나 형성될 수 있는 수분(H2O), 유리 전이 금속 이온 (TMn +), 및/또는 불화수소(HF)와 같은 나쁜 종을 흡수할 수 있는 약 2 내지 약 50 범위의 실리콘 (Si) 대 알루미늄 (Al)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루어진 무기 재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나쁜 종을 제거하면 전해질, 세퍼레이터,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하나에 무기 물질을 적용할 때 전지의 캘린더 및 주기 수명이 연장된다. 무기 재료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하우징 내벽에도 도포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은 문제를 다루기 위해, 무기 재료는 전지의 하우징 내에 존재하는 나쁜 종에 대한 포획제 또는 스캐빈저(scavenger)로서 작용한다. 무기 재료는 수분, 유리 전이 금속 이온, 및/또는 불화수소(HF)를 선택적으로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지만, 그 내에 함유된 리튬 이온 및 유기 수송 매질을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질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다기능성 무기 입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그 안의 각 셀에 양극 첨가제, 음극 첨가제 및 비-수성 전해질 첨가제 중 적어도 하나로서 및 세퍼레이터에 도포된 코팅 재료로서 도입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리튬 이온 이차 셀(1)은 일반적으로 양극(10), 음극(20), 비-수성 전해질(30) 및 세퍼레이터(40)을 포함한다. 양극(10)은 셀(1)에 대한 캐소드(5)로서 작용하는 활성 물질 및 캐소드(5)와 접촉하는 집전체(7)를 포함하여, 셀이(1)가 충전 중일 때 리튬 이온(45)이 캐소드(5)로부터 애노드(15)로 흐르도록 한다. 유사하게, 음극(20)은 셀(1)에 대한 애노드(15)으로서 작용하는 활성 물질 및 애노드(15)와 접촉하는 집전체(17)를 포함하여, 셀(1)이 방전 중일 때 리튬 이온(45)이 애노드(15)로부터 캐소드(5)로 흐르도록 한다. 캐소드(5)와 집전체(7) 사이의 접촉뿐만 아니라 애노드(15)와 집전체(17) 사이의 접촉은 직접 또는 간접 접촉이 되도록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애노드(15) 또는 캐소드(5)와 대응하는 집전체(17, 7) 사이의 접촉이 직접 이루어진다.
비-수성 전해질(30)은 음극(20)과 양극(10) 둘 다 사이에 그리고 이들과 접촉하여, 즉 유체 연통하도록 위치한다. 이 비-수성 전해질(30)은 양극(10)과 음극(20) 사이의 리튬 이온(45)의 가역적 흐름을 지원한다. 세퍼레이터(40)는 양극(10)과 음극(20) 사이에 위치하여, 세퍼레이터(40)는 애노드(15) 및 전해질(30)의 일부를 캐소드(5) 및 전해질(30)의 잔여 부분으로부터 분리한다. 세퍼레이터(40)는 이를 통한 리튬 이온(45)의 가역적 흐름에 투과할 수 있다.
여전히 도 1a 내지 1d를 참조하면, 캐소드(5), 애노드(15), 전해질(30), 및 세퍼레이터(40) 중 적어도 하나는 수분, 유리 전이 금속 이온, 또는 불화수소 (HF) 중 하나 이상뿐만 아니라 셀에 존재하게 되는 다른 나쁜 종을 흡수하는 무기 첨가제(50A-50D)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무기 첨가제(50A-50D)는 수분, 유리 전이 금속 이온, 및/또는 불화수소(HF)를 선택적으로 흡수한다. 이 무기 첨가제(50A-50D)는 50A-50D는 약 2 내지 50 범위; 대안적으로, 약 2 내지 25; 대안적으로, 약 2 내지 약 20 범위; 대안적으로, 약 5 내지 약 15 범위의 실리콘 (Si) 대 알루미늄 (Al)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제올라이트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기 첨가제(50A-50D)는 양극(50A) (도 1a 참조), 음극(50B) (도 1b 참조), 세퍼레이터(50C) (도 1c 참조), 또는 전해질 50D (도 1d 참조)의 적어도 일부 내에 분산될 수 있다. 무기 첨가제(50A-50D)는 또한 음극(50B), 양극(50A) 또는 세퍼레이터(50C)의 표면의 일부에 도포되는 코팅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 첨가제는 CHA, CHI, FAU, LTA 또는 LAU 골격(framework)을 갖는 상이한 유형의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이차 셀에 존재하는 무기 첨가제의 양은 무기 첨가제가 존재하는 각 구성요소, 즉, 양극, 음성 전극, 또는 전해질의 전체 중량에 대해 최대 10 중량%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최대 5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이차 셀의 세퍼레이터에 코팅으로서 도포되는 무기 첨가제의 양은 최대 100%; 대안적으로 적어도 90%; 대안적으로, 5% 최대 100% 초과일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T가 가장 통상적으로 실리콘 (Si) 또는 알루미늄 (Al)인 반복되는 TO4 사면체 단위로 구성된 결정질 또는 준결정질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이다. 이러한 반복 단위는 함께 연결되어 결정질 구조 내에서 분자 치수의 공동 및/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결정질 골격 또는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는 그의 골격 구조에 혼입된 원자로서 적어도 산소(O), 알루미늄(AI) 및 실리콘(Si)를 포함한다. 제올라이트는 산소 원자의 공유를 통해 상호연결된 실리카(SiO2)와 알루미나(Al2O3)의 결정질 골격을 나타내므로, 결정질 골격에 존재하는 SiO2:Al2O3 (SAR)의 비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 첨가제는 캐버자이트 (골격 표기법 = "CHA"), 치아벤나이트 (CHI), 파우자사이트 (FAU), 인데(linde)형 A (LTA), 및 라우몬타이트 (LAU)의 골격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골격 표기법은 제올라이트의 골격 구조를 정의하는 IZA(International Zeolite Associate)에서 지정한 코드를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캐버자이트는 제올라이트의 1차 결정상이 "CHA"인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제올라이트의 결정상 또는 골격 구조는 X-선 회절(XRD) 데이터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XRD 측정은 다양한 인자, 예컨대 제올라이트의 성장 방향; 구성 요소의 비율; 흡착 물질, 결함 등의 존재; 및 XRD 스펙트럼에서 각 피크의 강도 비율 또는 위치의 편차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IZA에서 제공하는 정의에 설명된 각 제올라이트에 대한 골격 구조의 각 파라미터에 대해 측정된 수치의 10% 이하; 대안적으로, 5% 이하; 대안적으로, 1% 이하의 편차가 예상 허용도 내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올라이트는 천연 제올라이트, 합성 제올라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올라이트는 합성 제올라이트인데, 그 이유는 이러한 제올라이트가 SAR, 결정자 크기 및 결정자 형태에 대해 더 큰 균일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농축된 불순물(예를 들어, 알칼리 토금속)이 점점 더 적기 때문이다.
무기 첨가제(50A-50D)는 판형, 입방형, 구형 또는 이들의 조합인 형태를 갖거나 나타내는 복수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형태는 주로 본질적으로 구형이다. 이들 입자는 약 0.01 마이크로미터 (μm) 내지 약 15 마이크로미터 (μm); 대안적으로 약 0.05 마이크로미터 (μm) 내지 약 10 마이크로미터 (μm); 대안적으로, 0.5 마이크로미터 (μm) 내지 약 7.5 마이크로미터 (μm); 대안적으로, 1 마이크로미터 (μm) 내지 약 5 마이크로미터 (μm); 대안적으로, 0.5 μm 이상; 대안적으로, 1 μm 이상; 대안적으로, 5 μm 미만의 범위인 평균 입자 크기 (D50)를 나타낼 수 있다. 주사 전자 현미경(SE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광학 또는 디지털 이미징 방법을 사용하여 무기 첨가제의 형상 및/또는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평균 입자 크기 및 입자 크기 분포는 몇 개만 예로 들면 임의의 기존의 기술, 예컨대 체질, 현미경검사, 쿨터 카운팅, 동적 광 산란, 또는 입자 영상화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레이저 입자 분석기가 평균 입자 크기 및 해당 입자 크기 분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무기 첨가제(50A-50D)는 또한 약 2 m2/g 내지 약 5000 m2/g; 대안적으로 약 5 m2/g 내지 약 2500 m2/g; 대안적으로, 약 10 m2/g 내지 약 1000 m2/g; 대안적으로, 약 25 m2/g 내지 약 750 m2/g의 범위인 표면적을 나타낼 수 있다. 무기 첨가제(50A-50D)의 기공 부피는 약 0.05 cc/g 내지 약 3.0 cc/g; 대안적으로, 0.1 cc/g 내지 약 2.0 cc/g의 범위일 수 있다. 무기 첨가제에 대한 표면적 및 기공 부피의 측정은 현미경검사, 작은 각도 x-선 산란, 수은 기공측정, 및 BET(Brunauer, Emmett, and Teller) 분석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표면적 및 기공 부피는 BET(Brunauer, Emmett, and Teller)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무기 첨가제(50A-50D)는 무기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의 나트륨(Na)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Na 농도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무기 첨가제는, 리튬 이온의 농도가 무기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 대안적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대안적으로, 약 0.2 중량% 내지 약 15 중량%가 되도록 리튬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 무기 첨가제는 Li, Na, Al, Mn, Sm, Y, Cr, Eu, Er, Ga, Zr, 및 Ti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도핑 원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양극(10) 및 음극(20)의 활성 물질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모든 물질일 수 있다. 양극(10)에 사용되는 활성 물질은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또는 전이 금속 인산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양극(10)에 사용될 수 있는 활성 물질의 몇 가지 예는 LiCoO2, LiNi1 -x-yCoxMnyO2 (x+y≤2/3), zLi2MnO3·(1-z)LiNi01 -x- yCoxMnyO2 (x+y≤2/3), LiMn2O4, LiNi0 . 5Mn1 . 5O4, 및 LiFePO4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음극(15)에 사용되는 활성 물질은 흑연 및 Li4Ti5O12, 뿐만 아니라 실리콘 및 리튬 금속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극에 사용되는 활성 물질은 1-등급 더 높은 비용량으로 인해 실리콘 또는 리튬 금속이다. 양극(10) 및 음극(20) 모두의 집전체(7, 17)는 리튬 전지의 전극에 사용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금속, 예를 들어 캐소드용 알루미늄 및 애노드용 구리로 제조될 수 있다. 양극(10) 및 음극(20)의 캐소드(5) 및 애노드(15)는 일반적으로 2개의 비유사 활성 물질로 구성된다.
비-수성 전해질(30)은 산화/환원 공정을 지원하고 리튬 이온이 애노드(15)과 캐소드(5) 사이에서 흐르기 위한 매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비-수성 전해질(30)은 리튬 염을 유기 용매에 녹인 용액일 수 있다. 리튬 염의 여러 예는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LiPF6), 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 (LiBOB), 및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 메탄 설포닐)이미드 (LiTFSi)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리튬 염은 몇 개만 예로 들면, 예를 들어, 에틸렌 카보네이트 (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EMC), 디에틸 카보네이트 (DEC), 디메틸 카보네이트 (DM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C), 비닐렌 카보네이트 (VC), 및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FEC)와 같은 유기 용매로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전해질의 구체적인 예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에틸 카보네이트의 혼합물(EC/DEC = 50/50 vol.)에 용해된 LiPF6의 1몰 용액이다.
세퍼레이터(40)는 애노드(15)와 캐소드(5)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리튬 이온이 그곳을 통해 흐르도록 한다. 세퍼레이터(40)는 반결정성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블렌드,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다공성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그라프팅된, 실록산 그라프팅된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 나노섬유 웹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차 셀이 결합되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도 1a 내지 도 1d의 4개의 이차 셀이 전지(75)를 생산하기 위해 캡슐화되는 더 큰 단일 이차 셀을 형성하도록 층상화된 전지(75A)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전지(75B)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도 1a 내지 도 1d의 4개의 이차 셀이 적층되거나 직렬로 배치되어 각 전지가 개별적으로 함유된 더 큰 용량의 전지(75B)를 형성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75A, 75B)는 물리적 및 환경적 보호 모두를 제공하기 위해 이차 셀(1) 둘러싸이거나 캡슐화되는 내벽을 갖는 하우징(60)을 또한 포함한다. 당업자는, 도 2a/2b 및 3a/3b에 도시된 전지(75A, 75B)가 도 1a 내지 1d의 4개의 이차 셀을 포함하지만 전지(75A, 75B)가 임의의 다른 수의 셀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전지(75A, 75B)는 양극 (50A, 도 1a), 음극 (50B, 도 1b), 세퍼레이터 (50C, 도 1c), 또는 전해질 (50D, 도 1d)에 무기 첨가제는 혼입된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사실상, 모든 셀은 동일한 방식, 예를 들어, 50A, 50B, 50C, 또는 50D로 혼입된 무기 첨가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할 때, 전지(75A, 75B)는 또한 전지(75A, 75B) 내의 셀 중 적어도 하나가 무기 첨가제(50A-50D)를 포함한다면 무기 첨가제(50A-50D)가 혼입되거나 포함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0)은 당업계에서 그러한 용도로 알려진 임의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상이한 주요 형태 인자 또는 기하학적 구조, 즉, 원통형, 각기둥, 또는 연질 파우치 내에 수용된다. 원통형 전지용 하우징(60)은 알루미늄, 스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기둥 전지는 일반적으로 원통형보다는 직사각형 형태인 하우징(60)을 포함한다. 연질 파우치 하우징(60)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하우징은 내부, 외부 또는 둘 다에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알루미늄 호일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연질 하우징(60)은 또한 폴리머성 엔케이싱(encasing)일 수 있다. 하우징(60)에 사용되는 폴리머 조성물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폴리머성 재료일 수 있다. 많은 것 중에서 하나의 구체적인 예는 내부의 폴리올레핀 층과 외부의 폴리아미드 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파우치의 사용을 포함한다. 연질 하우징(60)은, 하우징(60)이 전지(75)의 이차 셀(1)에 대한 기계적 보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제 도 2b 및 3b만을 참조하면, 무기 첨가제(50E)는 또한 하우징(60)의 내벽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도포되는 코팅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할 경우, 하우징(60)의 내벽에 도포된 무기 첨가제(50E)는 이차 셀(1) 중 하나 이상에 무기 첨가제(50A-50D)를 포함하는 것과 함께 사용되거나 무기 첨가제(50A-50D)를 개별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이차 셀과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인자가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성능 열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자 중 하나는 비-수성 전해질에 다양한 나쁜 종의 존재이다. 이러한 나쁜 종은 수분(예를 들어, 물 또는 수증기), 불화수소(HF) 및 용해된 전이 금속 이온(TMn+)를 포함한다.
전해질 중의 수분은 주로 제작 잔류물과 유기 전해질의 분해로 인해 발생한다. 건조한 환경이 바람직하지만 전지 또는 전지 셀을 생산하는 동안 수분의 존재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전해질 중의 유기 용매는 특히 고온에서 작동할 때 분해되어 CO2와 H2O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물(H2O)은 LiPF6과 같은 리튬 염과 반응하여 불화리튬(LiF) 및 불화수소(HF)를 생성할 수 있다. 불용성인 불화리튬(LiF)은 애노드 또는 캐소드의 활성 물질의 표면에 침착되어 고체 전해질 계면(SEI)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전해질 계면(SEI)은 리튬 이온 (디)인터칼레이션을 감소시키거나 지연시키고 활성 물질 표면을 불활성화시켜, 열악한 속도 능력 및/또는 용량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불화수소(HF)가 존재하는 경우 전이 금속 및 산소 이온을 함유하는 양극을 공격하여, 활성 물질과 조성이 다른 더 많은 물 및 전이 금속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물이 존재하고 반응물로 작용할 때, 발생하는 반응은 주기적이 되어 전해질과 활성 물질에 지속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전이 금속 화합물은 불용성이며 전기화학적으로 불활성일 수 있다. 이러한 전이 금속 화합물은 양극의 표면에 잔류하여 SEI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임의의 가용성 전이 금속 화합물은 전해질에 용해되어 전이 금속 이온(TMn +)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n2 + 및 Ni2 +와 같은 이러한 유리 전이 금속 이온은 애노드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SEI로 침착되어 다양한 상이한 반응이 도입될 수 있다. 전극의 활성 물질과 전해질에 존재하는 리튬 이온을 소모할 수 있는 이러한 반응은 또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용량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제공된 특정 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며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구현예는 명확하고 간결한 명세서가 기재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기재되었지만, 구현예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되고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바람직한 특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모든 양태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평가 방법 1 - 무기 첨가제의 전이 금속 양이온 포획 능력
Mn2 +, Ni2 +, 및 Co2 +에 대한 흡착 능력에 대한 무기 첨가제의 성능은 유기 용매, 즉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카보네이트의 혼합물(EC/DMC = 50/50 vol.)에서 측정된다.
ICP-OES에 의해 유기 용매 내의 무기 첨가제의 Mn2 +, Ni2 +, 및 Co2 + 포획 능력이 분석된다. 유기 용매는 망간 (II), 니켈 (II), 및 코발트 (II) 퍼클로레이트가 각각 1000ppm 함유되도록 제조한다. 입자 형태의 무기 첨가제를 총 질량의 1 중량%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분 동안 교반한 다음, Mn2 +, Ni2 +, 및 Co2 +의 농도 감소를 측정하기 전에 24시간 동안 25℃에서 정치하도록 한다.
평가 방법 2 - 무기 첨가제의 HF 소거 능력
비-수성 전해질 중 무기 첨가제, 즉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카보네이트의 혼합물(EC/DMC = 50/50 vol.)에서 1M LiPF6의 HF 소거 능력은 Fluoride ISE 측정기로 분석된다. 전해액은 100 ppm HF를 포함하도록 제조된다. 입자 형태의 무기 첨가제를 총 질량의 1 중량%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분 동안 교반한 다음, 용액에서 F- 감소를 측정하기 전에 24시간 동안 25℃에서 정치하도록 한다.
다음은 수분 잔류물이 있는 Li 이온 전지의 반응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여기서 M은 전이 금속을 나타낸다.
그 결과, 전해질 내의 HF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기 첨가제는 HF와 수분 잔류물을 동시에 소모하여 반응 사슬을 끊는다.
평가 방법 3 - 세퍼레이터 및 테스트
세퍼레이터는 단일층 폴리프로필렌 멤브레인(Celgard 2500, Celgard LLC, North Carolina)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성능 비교를 위해 무기 첨가제는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세퍼레이터가 제작된다. 무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슬러리는 2-측 형태로 세퍼레이터에 코팅된다. 슬러리는 탈이온수(D.I.)에 분산된 10-50 중량% 무기 첨가제 입자로 만들어진다. 전체 고형분에 대한 폴리머성 결합제의 질량비는 1 내지 10%이다. 코팅은 건조 전 두께가 5 내지 15 μm이다. 코팅된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25 내지 45 μm이다. 코팅된 세퍼레이터는 직경 19 mm의 원형 디스크에 펀칭된다.
평가 방법 4 - 코인-셀 순환
코인 셀(2025-형)은 전기화학적 상황에서 무기 첨가제를 평가하기 위해 제조되었다. 코인 셀은 외측 케이싱, 스페이서, 스프링, 집전체,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 및 비-수성 전해질로 만들어진다.
양극용 필름을 제작하기 위해, 활성 물질 (AM), 예컨대 LiNi1 / 3Co1 / 3Mn1 / 3O2 및 카본 블랙 (CB) 분말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VDF)의 n-메틸-2-피롤리돈 (NMP) 용액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만든다. AM:CB:PVDF 슬러리의 질량비는 90:5:5이다. 각 경우에, 슬러리는 알루미늄 필름에 블레이드 코팅된다. 건조 및 캘린더링 후, 형성된 각 양극 필름의 두께는 50 내지 150 μm 범위인 것으로 측정된다. 양극 필름은 각각 직경 12 mm의 원형 디스크로 펀칭된다. 활성 물질의 질량 로딩은 5 내지 15 mg/cm2의 범위이다.
리튬 금속 호일(두께 0.75mm)을 음극으로 직경 12 mm의 원형 디스크로 절단된다.
2025-형 코인 셀은 위에서 언급한 양극 및 음극, 평가 방법 3에 기재된 세퍼레이터 및 전지 성능 테스트를 위해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된 전해질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카보네이트의 혼합물(EC/DMC = 50/50 vol.)에 1 M LiPF6과 함께 만들어진다. 셀은 2개의 C/5 형성 주기 후에 25℃에서 C/2의 현재 부하에서 3V와 4.3V 사이에서 순환된다.
실시예 1
무기 첨가제로서 FAU-형 Y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Li와 이온교환을 하였다. 입자 크기는 D10, D50 및 D90에 대해 각각 0.27, 0.43, 3.76 μm로 측정된다. 표면적은 640 m2/g이고 기공 부피는 0.23 cc/g이다. SAR은 3.6이고, 무기첨가제는 0.35 중량 %의 Na2O 및 6.36 중량 %의 Li2O를 함유한다.
전이 금속 양이온에 대한 포획 능력 테스트에서, 무기 첨가제는 EC/DMC에서 Ni2+, Mn2 + 및 Co2 +를 각각 63%, 77% 및 84% 감소시켰다. 또한, 무기 첨가제는 전해액에서 30% HF를 소거한다.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를 Celgard 2500 세퍼레이터 위에 코팅하기 위해,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 분말과 PVA 용액으로 슬러리를 만든다. 무기 분말 대 폴리머 결합제의 중량비는 12.5:1이다. 슬러리의 고체 로딩은 20%이다. 슬러리는 2-측 형태로 코팅된다. 두께는 코팅층 1개당 7.5 μm이다. 코팅된 세퍼레이터의 SEM 이미지는 도 4에 도시된다.
첫 번째 형성 주기에서, 기존의 베어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가 있는 셀은 쿨롱 효율이 86.1%인 149.1 mAh/g의 방전 용량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있는 셀은 방전 용량 및 쿨롱 효율에서 각각 145.8 mAh/g 및 81.2를 나타낸다. 각 셀의 쿨롱 효율은 형성 주기 후에 99.5% 초과에 도달한다. C/5 충방전을 100회 주기 후,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있는 셀은 약 0.5% 용량 손실이 있는 반면, 종래의 코팅되지 않은 세퍼레이터가 있는 셀은 대략 2%의 열화를 보인다.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있는 셀의 쿨롱 효율은 약 1% 저하되는 반면, 종래의 베어(bare) 폴리프로필렌 세퍼레이터가 있는 전지에서 관찰된 열화는 3%이다. 방전 용량과 쿨롱 효율의 이러한 열화는 주기의 함수로서 각각 도 5 및 6에 자세히 나와 있다. 도 5에서 방전 용량은 정규화된 값으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 내에서, 구현예는 명확하고 간결한 명세서가 기재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기재되었지만, 구현예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되고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바람직한 특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모든 양태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에 비추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구현예에서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거나 초과하지 않고 비슷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여전히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보고된 임의의 특성이 일상적으로 측정되고 다수의 상이한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은 이러한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며 다른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고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것은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완전하게 제한하거나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상기 교시에 비추어 수많은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논의된 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의 실제 적용의 최선의 예시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되고 기재되었으며, 이에 의해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및 고려되는 특정한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형은 공정하고 합법적이며 공평하게 자격이 부여되는 범위에 따라 해석될 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2)

  1. 리튬 이온 이차 전지와 같은 전기화학 셀에 사용하기 위한 셀로서,
    양극으로서, 셀의 캐소드로서 활성 물질 및 캐소드와 접촉하는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튬 이온은 셀이 충전 중일 때 캐소드에서 애노드로 흐르는, 양극;
    음극으로서, 셀의 애노드로서 활성 물질 및 이 애노드와 접촉하는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튬 이온은 셀이 방전 중일 때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흐르는, 음극;
    음극과 양극 사이에 위치하고 음극과 양극 둘 다와 접촉하는 비-수성 전해질로서; 양극과 음극 사이의 리튬 이온의 가역적 흐름을 지원하는, 비-수성 전해질;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여, 애노드 및 전해질의 일부를 캐소드 및 전해질의 잔여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세퍼레이터로서; 이를 통해 리튬 이온의 가역적 흐름에 대해 투과성인,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 애노드, 전해질, 및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셀에 존재하게 되는 수분, 유리 전이 금속 이온, 또는 불화수소(HF) 중 하나 이상을 흡수하는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첨가제는 약 2 내지 약 50 범위의 실리콘 (Si) 대 알루미늄 (Al)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제올라이트인, 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양극, 음극, 전해질, 및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 내에 분산되거나 음극, 양극, 또는 세퍼레이터의 표면의 일부에 도포되는 코팅의 형태인, 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CHA, CHI, FAU, LTA 및 LAU의 하나 이상의 제올라이트 골격을 나타내는, 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판형, 입방체, 구형 또는 이들의 조합인 형태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약 0.05 마이크로미터(μm) 내지 약 5 마이크로미터(μm) 범위의 입자 크기(D50)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약 10 m2/g 내지 약 1000 m2/g 범위의 표면적을 나타내는, 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0.1 내지 2.0 cc/g의 기공 부피 범위를 나타내는, 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무기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미만의 나트륨(Na) 농도를 포함하는, 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리튬 이온의 농도가 무기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가 되도록 리튬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인, 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K, Mg, Cu, Ni, Zn, Fe, Ce, Sm, Y, Cr, Eu, Er, Ga, Zr, 및 Ti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도핑 원소를 포함하는, 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또는 리튬 전이 금속 인산염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흑연, 리튬 티타늄 산화물, 실리콘 금속 또는 리튬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폴리머성 멤브레인이고; 그리고
    상기 비-수성 전해질은 리튬 염을 유기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인, 셀.
  12.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하나 이상의 이차 셀; 및
    하나 이상의 하우징 중 하나로부터의 내벽이 이차 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캡슐화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차 셀 각각은,
    양극으로서, 셀의 캐소드로서 활성 물질 및 캐소드와 접촉하는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튬 이온은 셀이 충전 중일 때 캐소드에서 애노드로 흐르는, 양극;
    음극으로서, 셀의 애노드로서 활성 물질 및 이 애노드와 접촉하는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튬 이온은 셀이 방전 중일 때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흐르는, 음극;
    음극과 양극 사이에 위치하고 음극과 양극 둘 다와 접촉하는 비-수성 전해질로서; 양극과 음극 사이의 리튬 이온의 가역적 흐름을 지원하는, 비-수성 전해질;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여, 애노드 및 전해질의 일부를 캐소드 및 전해질의 잔여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세퍼레이터로서; 이를 통해 리튬 이온의 가역적 흐름에 대해 투과성인,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 애노드, 전해질, 세퍼레이터, 및 하우징의 내부벽 중 적어도 하나는 셀에 존재하게 되는 수분, 유리 전이 금속 이온, 또는 불화수소(HF) 중 하나 이상을 흡수하는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 첨가제는 약 2 내지 약 50 범위의 실리콘 (Si) 대 알루미늄 (Al)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제올라이트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양극, 음극, 전해질, 및 세퍼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 내에 분산되거나 음극, 양극, 세퍼레이터; 또는 하우징의 내벽의 표면의 일부에 도포되는 코팅의 형태인, 전지.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CHA, CHI, FAU, LTA 및 LAU의 하나 이상의 제올라이트 골격을 나타내는, 전지.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판형, 입방체, 구형 또는 이들의 조합인 형태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전지.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약 0.05 마이크로미터(μm) 내지 약 5 마이크로미터(μm) 범위의 입자 크기(D50)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전지.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약 10 m2/g 내지 약 1000 m2/g 범위의 표면적을 나타내는, 전지.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0.1 내지 2.0 cc/g의 기공 부피 범위를 나타내는, 전지.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무기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미만의 나트륨(Na) 농도를 포함하는, 전지.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리튬 이온의 농도가 무기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가 되도록 리튬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인, 셀.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첨가제는 K, Mg, Cu, Ni, Zn, Fe, Ce, Sm, Y, Cr, Eu, Er, Ga, Zr, 및 Ti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도핑 원소를 포함하는, 셀.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또는 리튬 전이 금속 인산염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흑연, 리튬 티타늄 산화물, 실리콘 금속 또는 리튬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폴리머성 멤브레인이고; 그리고
    상기 비-수성 전해질은 리튬 염을 유기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인, 전지.
KR1020227018051A 2019-10-31 2020-10-3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KR20220095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28523P 2019-10-31 2019-10-31
US201962928511P 2019-10-31 2019-10-31
US201962928518P 2019-10-31 2019-10-31
US62/928,511 2019-10-31
US62/928,518 2019-10-31
US62/928,523 2019-10-31
PCT/US2020/058093 WO2021087190A1 (en) 2019-10-31 2020-10-30 Inorganic materials for use in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207A true KR20220095207A (ko) 2022-07-06

Family

ID=7349833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314A KR20220095189A (ko) 2019-10-31 2020-10-3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KR1020227018051A KR20220095207A (ko) 2019-10-31 2020-10-3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KR1020227014313A KR20220095188A (ko) 2019-10-31 2020-10-3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KR1020237036552A KR20240000500A (ko) 2019-10-31 2022-03-21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314A KR20220095189A (ko) 2019-10-31 2020-10-3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313A KR20220095188A (ko) 2019-10-31 2020-10-30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KR1020237036552A KR20240000500A (ko) 2019-10-31 2022-03-21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무기 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220393179A1 (ko)
EP (3) EP4052329A1 (ko)
JP (4) JP2023500589A (ko)
KR (4) KR20220095189A (ko)
CN (4) CN114667640A (ko)
WO (3) WO20210871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8798A1 (en) * 2021-05-13 2022-11-16 Pacific Industrial Development Corporation Electrolyt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115312968B (zh) * 2022-09-09 2023-12-22 盐城师范学院 一种基于耐高温隔膜的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CN117438641B (zh) * 2023-12-19 2024-03-01 江苏蓝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固态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2152B2 (ja) * 1997-08-28 2009-11-11 昭和電工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US6153337A (en) * 1997-12-19 2000-11-28 Moltech Corporation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H11260416A (ja) * 1998-03-11 1999-09-24 Ngk Insulators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8251527A (ja) * 2007-03-02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A2729900A1 (en) * 2008-07-15 2010-01-2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norganic binders for battery electrodes and aqueous processing thereof
KR101288973B1 (ko) * 2011-05-04 2013-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극 및 리튬전지
US20160141609A1 (en) * 2013-06-12 2016-05-19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Aluminum silicate composite, electroconductive material, electrocondu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osition for forming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osition for forming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omposition for forming positive
EP3067981B1 (en) * 2013-11-05 2021-07-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Battery, separator, electrode, paint, battery pack, electronic apparatus, electric vehicle,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power system
JP6495186B2 (ja) * 2014-01-14 2019-04-03 昭和電工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れに使用する導電助剤
KR101851485B1 (ko) * 2014-03-19 2018-04-2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이차 전지
HUE055582T2 (hu) * 2016-02-25 2021-12-28 Asahi Chemical Ind Nemvizes elektrolitos akkumulátor szervetlen részecskék és nemvizes elektrolitos akkumulátor
WO2018012485A1 (ja) * 2016-07-13 2018-01-18 栗田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10483592B2 (en) * 2017-08-30 2019-1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ion battery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0588A (ja) 2023-01-10
EP4052329A1 (en) 2022-09-07
KR20220095188A (ko) 2022-07-06
KR20220095189A (ko) 2022-07-06
US20220393239A1 (en) 2022-12-08
JP2023500587A (ja) 2023-01-10
CN114730964A (zh) 2022-07-08
EP4052327A1 (en) 2022-09-07
JP2024510807A (ja) 2024-03-11
CN117296169A (zh) 2023-12-26
JP2023500589A (ja) 2023-01-10
CN114667640A (zh) 2022-06-24
US20210273293A1 (en) 2021-09-02
KR20240000500A (ko) 2024-01-02
WO2021087190A1 (en) 2021-05-06
WO2021087188A1 (en) 2021-05-06
US20220393179A1 (en) 2022-12-08
CN114641894A (zh) 2022-06-17
WO2021087189A1 (en) 2021-05-06
EP4052326A1 (en)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3293A1 (en) Inorganic materials for use in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20230031405A1 (en) Inorganic trapping agent mixtures used in an electrochemical cell
US20220376357A1 (en) Inorganic materials for composite separator in electrochemical cells
US20220216468A1 (en) Inorganic scavenging additive for use in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20210210762A1 (en) Inorganic materials for use in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EP4315455A1 (en) Inorganic materials for use in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20240047823A1 (en) Zeolite-based composite separator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8043980A (en) Zeolite coated on battery electrodes
Sakamoto Development of nanoporous carbide-derived carbon electrodes for high-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WO2023059490A1 (en) Zeolite coated on electrodes for batt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