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369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369A
KR20220094369A KR1020200185501A KR20200185501A KR20220094369A KR 20220094369 A KR20220094369 A KR 20220094369A KR 1020200185501 A KR1020200185501 A KR 1020200185501A KR 20200185501 A KR20200185501 A KR 20200185501A KR 20220094369 A KR20220094369 A KR 20220094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display area
substrate
thickness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579B1 (ko
Inventor
신명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579B1/ko
Priority to US17/356,229 priority patent/US11730050B2/en
Publication of KR2022009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579B1/ko
Priority to US18/337,981 priority patent/US202303458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9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44
    • H01L51/0097
    • H01L51/523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시는 표시영역을 포함한 표시패널,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 및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는 투명커버기판을 포함하고, 방열완충기판은 평면기판부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방열완충기판으로 인해,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에 대응한 중립면이 가변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 중 인장력에 비교적 취약한 밀봉막 중 대부분이 벤딩 방향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향으로, 중립면이 가변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와치 폰(watch phone),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내비게이션,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텔레비전, 노트북, 및 모니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의 영상 표시 기능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전계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D) 등을 들 수 있다.
표시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방출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연성으로 마련됨으로써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은 평판형태와 상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평판형태와 상이하게 변형된 표시패널 중 벤딩된 일부 영역에 지속적인 벤딩 스트레스가 작용함에 따라, 표시패널의 파손 또는 표시패널의 화질 저하가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는 표시영역을 포함한 표시패널,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 및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는 투명커버기판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투명커버기판은 평면커버부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제 1 및 제 2 곡면커버부를 포함하고, 방열완충기판은 평면커버부에 대응하는 평면기판부와, 제 1 및 제 2 곡면커버부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다.
벤딩 형태에 의한 벤딩 스트레스는 중립면의 일측에 인가되는 인장력과 중립면의 다른 일측에 인가되는 압축력에 대응된다. 여기서, 중립면은 인장력과 압축력이 상호 동일한 지점을 지칭한다. 표시패널 중 밀봉막은 복수의 보호막이 적층된 구조이므로, 압축력보다는 인장력에 의해 더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된 방열완충기판이 다공성 금속재료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영역 별 두께 조절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방열완충기판의 두께 조절을 통해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를 조절하여 중립면을 가변함으로써, 표시패널 중 인장력에 취약한 밀봉막의 대부분이 벤딩 방향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표시패널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이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된다. 다공성 금속재료는 열전도성 및 충격 흡수성을 가지므로, 방열완충기판은 다공성 금속재료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은 각 영역의 벤딩 형태에 대응한 다양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열완충기판의 두께 조절을 통해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가 가변됨에 따라, 중립면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표시패널 중 인장력에 비교적 취약한 밀봉막의 대부분이 인장 스트레스 범위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서브화소영역에 대응한 등가회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영역 중 일부에 대응한 단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중 일부의 단면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 1 비교예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6의 제 1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6의 제 1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 2 비교예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6의 제 2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6의 제 2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DD)는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 전면에 배치된 차량용 표시장치이다. 최근 표시패널의 형태 변형이 용이해지면서 표시패널의 적용 범위가 다각도로 넓어짐에 따라, 차량 내부에는 핸들(H) 뒤에 배치되는 차량용 표시장치(DD)를 탑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용 표시장치(DD)는 계기판을 대신하는 클러스터, GPS를 이용한 길안내기능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표시장치(DD)는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대시보드의 전면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의 표시면을 제공한다.
즉, 다양한 방향으로 굴곡진 곡면들을 포함한 형태의 대시보드의 전면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차량용 표시장치(DD)은 대시보드의 전면 형태에 기초하여 굴곡진 곡면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DD)에 구비되는 표시장치는 전자기기(DD)의 설치 위치 및 전자기기(DD)의 형태 등에 따라, 평판형태와 상이하고 다양한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의 표시장치는 곡면 형태를 구현하기 위해 휘어진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곡면 형태 별로 벤딩 스트레스의 작용범위가 상이하므로, 다양한 곡면 형태를 포함할수록 표시패널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평판형태와 상이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된 영역들을 포함한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다양한 벤딩 방향으로 인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서브화소영역에 대응한 등가회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영역 중 일부에 대응한 단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는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는 표시영역(AA)을 포함한 표시패널(100) 및 표시패널(100)의 신호배선들(GL, DL)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패널 구동부(TC, GDR, DDR)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표시영역(AA)에 배열된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Sub-Pixel Area)과,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에 연결된 신호배선들(GL, DL)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의 신호배선들(GL, DL)은 패널 구동부(TC, GDR, DDR)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전달한다.
표시패널(100)이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은 서로 다른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에 대응하는 파장영역의 광을 방출한다. 여기서, 복수의 색상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색상은 백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100)은 컬러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신호배선들(GL, DL)은 게이트구동부(GDR)의 스캔신호(SCAN)를 전달하는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구동부(DDR)의 데이터신호(VDATA)를 전달하는 데이터라인(D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이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대응한 발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패널(100)은 발광소자의 구동을 위한 제 1 및 제 2 구동전원(VDD, VSS)을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구동전원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TC, GDR, DDR)는 표시패널(100)의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되는 게이트구동부(GDR; Gate Driver), 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데이터구동부(DDR; Data Driver), 및 게이트구동부(GDR)와 데이터구동부(DDR)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C; Timing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패널(100)의 해상도에 맞게 재정렬하고,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부(DDR)에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TC)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도트클럭신호(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의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구동부(DDR)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DC)와, 게이트구동부(GDR)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공급한다.
게이트구동부(GDR)는 게이트 제어신호(GDC)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를 위한 하나의 프레임기간 동안 복수의 게이트라인(GL)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SCAN)를 공급한다. 즉, 게이트구동부(GDR)는 하나의 프레임기간 중 각 게이트라인(GL)에 대응한 각 수평기간 동안 각 게이트라인(GL)에 스캔신호(SCAN)를 공급한다. 여기서, 게이트라인(GL)은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중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서브화소영역(SPA)들에 대응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DDR)는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기초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는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기초하여 각 수평기간 동안 각 게이트라인(GL)에 대응되는 서브화소영역(SPA)들에 각각 대응한 데이터신호(VDATA)를 데이터라인(DL)에 공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화소영역(SPA)은 발광소자(OLED), 및 발광소자(OLED)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화소구동회로(PDC; Pixel Driving Circuit)를 포함한다.
일 예로, 화소구동회로(PDC)는 구동 트랜지스터(DT; Driving Transistor), 스위칭 트랜지스터(ST; Switching Transisto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storage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서브화소영역(SPA)은 구동 트랜지스터(DT) 및 발광소자(OLED) 중 적어도 하나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회로는 열화 정도를 감지하거나 또는 기준전원(미도시)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제 1 구동전원(VDD)을 공급하는 제 1 구동전원라인(VDDL)과 제 1 구동전원(VDD)보다 낮은 전위의 제 2 구동전원(VSS)을 공급하는 제 2 구동전원라인(VSSL) 사이에 발광소자(OLED)와 직렬로 배치된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일단은 제 1 구동전원라인(VDDL)에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다른 일단은 발광소자(OLED)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발광소자(OLED)의 다른 일단은 제 2 구동전원라인(VSSL)에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각 서브화소영역(SPA)의 데이터신호(VDATA)를 공급하는 데이터라인(DL)과 제 1 노드(ND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노드(ND1)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과 스위칭 트랜지스터(ST) 사이의 접점이다. 그리고,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 1 노드(ND1)와 제 2 노드(ND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노드(ND2)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발광소자(OLED) 사이의 접점이다.
이러한 화소구동회로(PDC)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GL)의 스캔신호(SCAN)에 기초하여 턴온된다. 이때,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VDATA)는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T) 및 제 1 노드(ND1)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공급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VDATA)로 충전된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DT)는 데이터신호(VDATA)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충전전압에 기초하여 턴온됨으로써, 데이터신호(VDATA)에 대응한 구동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턴온된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의한 구동전류가 발광소자(OLED)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지는 방열완충기판(200), 및 표시패널(100) 위에 배치되고 표시패널(100)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커버기판(300)을 포함한다.
투명커버기판(300)은 플라스틱, 유리 및 강화유리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투명커버기판(11)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apthanate) 및 PNB(polynorborneen)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패널(100)과 투명커버기판(300) 사이에 배치된 투명점착부재(미도시)를 통해 표시패널(100)과 투명커버기판(300)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점착부재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및 OCR(optical clear res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완충기판(200)은 표시패널(100)과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210)을 통해 표시패널(100)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착층(210)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및 OCR(optical clear res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완충기판(200)은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짐으로써, 표시패널(100)을 열 손상 및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스폰지 형태의 금속재료(201)와 금속재료(201) 내에 분포된 공극(2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성 금속재료(200')를 이루는 금속재료(201)는 열전도율이 비교적 높은 재료라면 어느 것으로든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금속재료(201)는 구리(Cu)일 수 있다.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비교적 높은 열전도율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을 신속히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은 표시패널(100)에서 발생된 구동 열을 분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방열완충기판(200)으로 인해 구동 열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구동 열의 집중으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파손 또는 특성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다공성 형태이므로, 다소의 탄성력 및 다소의 충격 흡수력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은 표시패널(100)로 향하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방열완충기판(200)으로 인해 표시패널(100)이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은 순간적인 타격을 가하는 드롭 방식(drop type)과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압력을 가하는 드래그 방식(drag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존의 표시장치는 드롭 방식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엠보싱 형태의 완충부재, 드래그 방식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공성 형태의 완충부재, 및 방열을 위한 방열부재를 구비한다. 즉, 기존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 아래에 다수의 부재들이 적층된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되는 방열완충부재(200)는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데,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다공성 형태에 따른 소정의 충격 흡수력과 소정의 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금속재료에 의한 소정의 강성과 소정의 열전도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방열완충부재(200)는 기존의 전자기기(10)에 구비되었던 다수의 완충부재와 방열부재를 대체할 수 있다.
이로써, 표시패널(100)에 대한 물리적 충격 완화 및 방열이 가능하면서도, 다수의 완충부재와 방열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표시장치(10)의 슬림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방열완충부재(200)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므로, 영역 별 두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방열완충부재(200)의 충격 흡수력, 탄성, 열전도성 및 강성 등을 고려하여, 방열완충부재(200)를 이루는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공극률은 50%~76%일 수 있다. 여기서, 공극률은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202)의 비율에 대응한다.
표시패널(100)은 연성의 지지기판(110), 지지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120), 트랜지스터 어레이(120) 상에 배치되는 발광 어레이(130), 및 발광 어레이(130) 상에 배치되는 밀봉막(140)을 포함한다.
지지기판(110)은 연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지지기판(110)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MP(polymethylpente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NB(polynorborneen), PEN(polyethylenapthanate), PES(polyethersulfone) 및 COS(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에 대응한 화소구동회로(도 3의 PDC)를 포함한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화소구동회로(PDC)는 발광소자(OLED)에 연결되는 구동 트랜지스터(DT), 게이트라인(GL)의 스캔신호에 기초하여 턴온-턴오프되고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V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달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및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각 서브화소영역(SPC)의 화소구동회로(PDC)에 연결되는 신호배선들(GL, DL)을 더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지지기판(110) 상에 배치되고 화소구동회로(PDC)를 평평하게 덮는 평탄화막(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어레이(130)는 트랜지스터 어레이(120)의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어레이(130)는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에 대응한 발광소자(ED, 도 3의 OLED)를 포함한다.
각 발광소자(ED)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전극(131)과 제 2 전극(132),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발광구조물(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어레이(130)는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되고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대응한 제 1 전극(131),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되고 각 서브화소영역(SPA)의 외곽에 대응하며 제 1 전극(131)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134), 제 1 전극(131) 상에 배치되는 발광구조물(133), 및 뱅크(134)와 발광구조물(133)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막(140)은 발광 어레이(130) 상에 배치되고 발광 어레이(130)를 밀봉한다.
이러한 밀봉막(140)은 서로 다른 절연재료 또는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호막(141, 142, 143)이 순차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보호막(141, 142, 143)은 발광 어레이(130)의 제 2 전극(132)을 덮는 제 1 보호막(141), 제 1 보호막(141) 상에 배치되고 제 1 보호막(141)보다 큰 두께로 이루어지는 제 2 보호막(142), 및 제 2 보호막(142) 상에 배치되고 제 2 보호막(142)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제 3 보호막(1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3 보호막(141, 143)은 무기절연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보호막(142)은 유기절연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보호막(142)은 제 1 보호막(141) 상에 평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막(140)으로 인해, 발광 어레이(130)에 대한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지연시킬 수 있고, 이물질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밀봉막(140)은 서로 다른 재료 또는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절연막(141, 142, 143)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 경로가 복잡해짐으로써 수분 또는 산소 차단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벤딩 스트레스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유기절연재료로 비교적 두껍게 배치되는 제 2 보호막(142)의 경우, 인장 스트레스로 인한 크랙이 용이하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10)가 복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 표시장치(10)의 손상 또는 화질 저하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제 2 보호막(142)을 인장 스트레스의 적용 범위에서 제외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표시패널(100)은 밀봉막(140) 상에 배치되는 터치전극 어레이(150), 터치전극 어레이(150) 상에 배치되는 편광판(160), 및 지지기판(110) 아래에 배치되는 보강기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전극 어레이(150)은 터치감지기능(touch sensing)을 위한 것으로, 터치(touch)에 의해 가변되는 요소를 센싱하여 표시영역(AA) 중 터치 동작이 실시된 위치를 검출한다.
일 예로, 터치전극 어레이(150)는 상호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의 교차지점들 중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된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동작이 발생된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편광판(160)은 표시영역(AA)에서의 외부광 반사를 저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보강기판(170)은 표시패널(10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며, 지지기판(110)의 재료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방열완충기판(200)은 접착층(210)을 통해 보강기판(170)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표시장치의 단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는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앞좌석 각각의 사용자(20)에게 넓은 시야각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장치(10)의 표시면 중 차량의 앞좌석에 마주하는 일부 영역이 사용자(20)를 둘러싸는 볼록한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운전석과 조수석에 위치한 사용자(20)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에 마주하는 다른 일부 영역은 운전석과 조수석에 위치한 사용자(20) 모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사용자(20)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량용 표시장치로 마련되는 표시장치(10)는 하나의 곡률로 휘어진 형태가 아니라, 서로 다른 곡률로 휘어진 곡면영역들과 표시면과 사용자가 마주하는 방향에 수직한 평면영역, 및 평면영역에 비스듬한 사선영역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장치(10)의 표시영역은 광이 방출되는 방향(도 5의 화살표)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곡면 형태의 제 1 벤딩표시영역(IDA; Inner bending Display Area), 및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곡면 형태의 제 2 벤딩표시영역(ODA; Outer bending Display Are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벤딩표시영역(IDA)은 사용자(20)를 향하는 방향인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즉, 제 1 벤딩표시영역(IDA)의 곡률중심은 사용자(20)로부터 비교적 멀리 이격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벤딩표시영역(ODA)은 차량 밖을 향하는 방향인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즉, 제 2 벤딩표시영역(ODA)의 곡률중심은 사용자(20)에 비교적 인접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장치(10)가 제 1 및 제 2 벤딩표시영역(IDA, ODA)을 포함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벤딩표시영역(IDA, ODA) 각각에 대응한 벤딩 스트레스가 표시장치(10) 내부에 발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중 일부의 단면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영역(AA)을 포함한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도 4의 200')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 및 표시패널(100) 위에 배치되고 표시패널(100)의 광(LIGHT)을 투과하는 투명커버기판(300)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는 그를 구비한 전자기기 또는 그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장치(10)의 투명커버기판(300)은 다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표시장치(10)의 전체 형태를 가이드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투명커버기판(300)은 평평한 형태의 평면커버부(310)와, 표시패널의 광이 방출되는 제 1 방향(도 6의 상측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제 1 곡면커버부(320)와,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방향(도 6의 하측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제 2 곡면커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커버부(310)는 제 1 방향에 수직한 평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곡면커버부(320)는 제 1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이므로, 제 1 곡면커버부(320)의 곡률중심은 제 1 곡면커버부(320)로부터 제 2 방향 측으로 이격된 지점일 수 있다.
제 2 곡면커버부(330)는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이므로, 제 2 곡면커버부(330)의 곡률중심은 제 2 곡면커버부(330)로부터 제 1 방향 측으로 이격된 지점일 수 있다.
그리고, 투명커버기판(300)은 제 1 곡면커버부(320)의 일측 또는 제 2 곡면커버부(330)의 일측에 연결되고, 평면커버부(320)에 비스듬한 경사면커버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투명커버기판(300) 중 평면커버부(310)가 제 1 곡면커버부(320)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면커버부(320)가 제 1 및 제 2 곡면커버부(320, 3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커버기판(300)은 도 6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곡면커버부(320, 330)를 비롯한 복수의 곡면커버부(320, 330)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이면 어느 것으로든 변형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연성의 평판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표시패널(100)은 투명커버기판(300) 아래에 밀착됨으로써, 투명커버기판(300)과 동일한 벤딩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AA)은 투명커버기판(300)의 평면커버부(310)에 대응되는 평면표시영역(FDA; Flat Display Area), 투명커버기판(300)의 제 1 곡면커버부(310)에 대응되는 제 1 벤딩표시영역(ODA; Outer bending Display Area), 및 투명커버기판(300)의 제 2 곡면커버부(320)에 대응되는 제 2 벤딩표시영역(IDA; Inner bending Display Area)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AA)은 투명커버기판(300)의 경사면커버부(340)에 대응되는 경사면표시영역(SDA; Slope Display Are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벤딩표시영역(ODA)은 표시패널(100)의 광이 방출되는 제 1 방향으로 돌출되는 아우터 벤딩 형태(Outer bending shape)이고, 제 2 벤딩표시영역(IDA)은 표시패널(100)의 광이 방출되는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너 벤딩 형태(Inner bending shape)일 수 있다.
방열완충기판(200)은 다공성 금속재료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복수의 두께를 포함하는 형태로 패터닝되기에 용이하다.
즉, 다중층구조의 경우, 일부 영역에서 어느 하나의 층을 제거하거나 별도의 층을 추가하는 방식으로만 영역 별 두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에 대해 영역 별 두께 조절을 위한 패터닝을 실시하더라도, 패터닝된 층의 어느 일측에 평판의 층이 배치됨으로써, 영역 별 두께 차이가 감소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된 다수의 완충부재 및 방열부재를 포함하므로, 다수의 완충부재 및 방열부재로 영역 별 두께를 조절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다공성 금속재료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을 포함함으로써, 방열완충기판(200)으로 영역 별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은 투명커버기판(300)의 평면커버부(310) 및 표시영역(AA)의 평면표시영역(FDA)에 대응한 평면기판부(210)와, 투명커버기판(300)의 제 1 곡면커버부(320) 및 표시영역(AA)의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제 1 벤딩기판부(220)와, 투명커버기판(300)의 제 2 곡면커버부(330) 및 표시영역(AA)의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제 2 벤딩기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220, 230)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220, 230)의 두께는 평면커버부(210)의 두께와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열완충기판(200)이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1 및 제 2 벤딩표시영역(ODA, IDA)에 대응하고 서로 다른 두께의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220, 230)을 포함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완충기판(200)으로 인해 표시장치(10)의 전체 두께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10)의 중립면(NL)이 용이하게 보정될 수 있다.
도 7은 제 1 비교예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5의 제 1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5의 제 1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벤딩표시영역(ODA)은 광이 방출되는 제 1 방향(도 7의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서는 벤딩형태로 인한 압축력과 인장력(TF; Tensile Force)이 작용한다. 여기서, 중립면(R_NL)은 벤딩 형태로 인한 압축력과 인장력이 중립이 되는 지점이다.
즉, 제 1 벤딩표시영역(ODA) 중 중립면(NL; Neutral Layer) 위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에는 벤딩형태로 인한 압축력이 작용하고, 중립면(NL) 아래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에는 벤딩형태로 인한 인장력(TF)이 작용한다.
한편, 표시패널(100)은 다수의 절연막(141, 142, 143)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밀봉막(140)을 포함한다. 밀봉막(140)은 압축력보다 인장력으로 인해 더 쉽게 파손된다. 그리고, 밀봉막(14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 산소 또는 수분의 침투로 인해 발광 어레이(130) 중 적어도 일부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밀봉막(140)의 대부분이 벤딩 형태로 인한 인장력(TF)이 작용하는 범위(TFR; Tensile Force Range, 이하 "인장 스트레스 범위"라 함) 내에 속하는 경우, 밀봉막(140)의 크랙이 더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10)의 내구성 및 수명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의 우측에 도시된 제 1 비교예(REF1)와 같이,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서의 중립면(R1_NL)이 밀봉막(140) 중 제 2 보호막(142) 아래에 배치된 제 1 보호막(141)에 위치하는 경우, 밀봉막(140)의 대부분에 인장력이 가해진다.
즉, 제 1 비교예(REF1)의 경우, 밀봉막(140) 중 제 2 보호막(142) 및 제 3 보호막(143)이 중립면(R1_NL) 위에 배치된 구성요소로서 인장 스트레스 범위(R1_TFR)에 속하므로, 밀봉막(140)의 크랙 발생이 비교적 용이해진다. 이로써, 벤딩 형태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내구성 및 수명이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비교예(REF1)의 경우,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된 부재구조물(R200)은 복수의 완충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방열기판이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부재구조물(R200)이 서로 다른 두께의 영역을 갖는 형태가 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영역 별 두께 조절을 위한 패터닝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단일층 구조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방열완충기판(200)의 두께를 통해 표시장치(10)의 전체 두께를 가변함으로써, 중립면(NL)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에 있어서,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중립면(NL1)은 제 2 두께(TH2)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1 벤딩기판부(220)에 의해, 밀봉막(140) 중 제 2 보호막(142) 위에 배치된 제 3 보호막(143)에 위치하도록 보정될 수 있다.
이로써, 밀봉막(140) 중 중립면(NL1) 위에 배치된 제 3 보호막(143)의 일부만이 제 1 벤딩표시영역(ODA)의 인장 스트레스 범위(TFR1)에 속하므로,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서 밀봉막(140)의 대부분은 인장력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밀봉막(140)의 크랙 발생이 지연될 수 있으며, 벤딩 형태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내구성 및 수명의 급격한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밀봉막(140)이 제 1, 제 2 및 제 3 보호막(141, 142, 143)을 포함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막(140)은 네 개 이상의 보호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중립면(NL1)은 밀봉막(140)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막 중 발광 어레이(130)로부터 비교적 멀리 이격되고 밀봉막(140) 위에 배치된 터치전극 어레이(150)와 비교적 인접한 어느 하나의 보호막에 위치한다.
도 9는 제 2 비교예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5의 제 2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5의 제 2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벤딩표시영역(IDA)은 광이 방출되는 제 1 방향에 반대된 제 2 방향(도 9의 하측)으로 볼록하게 도출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제 2 벤딩표시영역(IDA) 중 중립면(NL) 위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에는 벤딩형태로 인한 인장력(TF)이 작용하고, 중립면(NL) 아래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에는 벤딩형태로 인한 압축력이 작용한다.
그런데,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제 2 비교예(REF2)와 같이,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서의 중립면(R2_NL)이 밀봉막(140) 중 제 2 보호막(142) 위에 배치된 제 3 보호막(143)에 위치하는 경우, 밀봉막(140)의 대부분에 인장력이 가해진다.
즉, 제 2 비교예(REF2)의 경우, 밀봉막(140) 중 제 2 보호막(142) 및 제 1 보호막(141)이 중립면(R2_NL) 아래에 배치된 구성요소로서 인장 스트레스 범위(R2_TFR)에 속하므로, 밀봉막(140)의 크랙 발생이 비교적 용이해진다. 이에 따라, 벤딩 형태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내구성 및 수명이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에 있어서,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중립면(NL2)은 제 3 두께(TH3)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2 벤딩기판부(230)에 의해, 밀봉막(140) 중 제 2 보호막(142) 아래에 배치된 제 1 보호막(141)에 위치하도록 보정될 수 있다.
이로써, 밀봉막(140) 중 중립면(NL2) 아래에 배치된 제 1 보호막(141)의 일부만이 제 2 벤딩표시영역(IDA)의 인장 스트레스 범위(TFR2)에 속하므로,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서 밀봉막(140)의 대부분은 인장력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밀봉막(140)의 크랙 발생이 지연될 수 있으며, 벤딩 형태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내구성 및 수명의 급격한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밀봉막(140)이 제 1, 제 2 및 제 3 보호막(141, 142, 143)을 포함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별도로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막(140)은 네 개 이상의 보호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중립면(NL2)은 밀봉막(140)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막 중 발광 어레이(130)에 비교적 인접한 다른 어느 하나의 보호막에 위치한다.
다음,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의 예시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A)은 투명커버기판(도 6의 300)의 평면커버부(도 6의 310) 및 표시영역(도 6의 AA)의 평면표시영역(FDA)에 대응한 평면기판부(210)와, 투명커버기판(300)의 제 1 곡면커버부(320) 및 표시영역(AA)의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제 1 벤딩기판부(220)와, 투명커버기판(300)의 제 2 곡면커버부(330) 및 표시영역(AA)의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제 2 벤딩기판부(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투명커버기판(300)이 경사면커버부(340)를 포함하는 구조인 경우, 표시영역(AA)은 경사면커버부(340)에 대응한 경사면표시영역(SDA)을 포함한다. 여기서, 경사면커버부(340) 및 경사면표시영역(SDA)는 벤딩형태가 아니므로, 벤딩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방열완충기판(200A) 중 경사면표시영역(SDA)에 대응한 일부는 평면기판부(210)와 같이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진다.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제 1 벤딩기판부(320)의 두께(TH2)는 제 1 벤딩표시영역(ODA)와 상이한 곡면형태인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제 2 벤딩기판부(330)의 두께(TH3)와 상이하다.
즉, 평면기판부(210)가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진 경우,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제 1 벤딩기판부(220)는 평면기판부(210)의 제 1 두께(TH1)보다 작은 제 2 두께(TH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서의 표시장치(10)의 전체 두께가 평면표시영역(FDA)보다 작아지므로, 중립면(도 8의 NL1)이 상측으로 변동될 수 있다.
제 1 벤딩표시영역(ODA)은 아우터 벤딩 형태이므로,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도 8의 TFR1)는 중립면(NL1)의 상측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서의 중립면(NL1)이 상측으로 변동됨으로써,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TFR1)가 축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패널(100)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제 2 벤딩기판부(230)는 평면기판부(210)의 제 1 두께(TH1)보다 큰 제 3 두께(TH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서의 표시장치(10)의 전체 두께가 평면표시영역(FDA)보다 커지므로, 중립면(도 10의 NL2)이 하측으로 변동될 수 있다.
제 2 벤딩표시영역(IDA)은 이너 벤딩 형태이므로,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도 10의 TFR2)는 중립면(NL2)의 하측에 배치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서의 중립면(NL2)이 하측으로 변동됨으로써,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인장 스트레스 범위(TFR2)가 축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패널(100)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방열완충기판(200A)을 이루는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충격흡수력은 기공의 절대부피에 대응하므로, 방열완충기판(200A)의 충격흡수력은 방열완충기판(200A)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100)에 인가되는 물리적 충격의 크기를 고려하여, 평면기판부(210)의 제 1 두께(TH1)의 최소값이 도출될 수 있다.
그리고, 평면기판부(210)의 제 1 두께(TH1)가 커질수록, 표시장치(10)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므로, 표시장치(10)의 슬림화를 고려하여 평면기판부(210)의 제 1 두께(TH1)의 최대값이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두께(TH1)는 70㎛~200㎛의 범위일 수 있다.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제 1 벤딩기판부(220)의 제 2 두께(TH2)는 아우터 벤딩 형태의 인장 스트레스 범위(TFR1)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제 1 두께(TH1)보다 작은 값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제 2 두께(TH2)의 최소값은 물리적 충격 완화 기능 및 방열 기능이 제거되지 않는 정도로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두께(TH2)는 50㎛ 이상 및 제 1 두께(TH1) 미만의 범위일 수 있다.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제 2 벤딩기판부(230)의 제 3 두께(TH3)는 이너 벤딩 형태의 인장 스트레스 범위(TFR2)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제 1 두께(TH1)보다 큰 값으로 선택된다. 그리고, 제 3 두께(TH3)의 최대값은 표시장치(10)의 슬림화를 크게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 두께(TH3)는 제 1 두께(TH1) 초과 및 220㎛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한편, 방열완충기판(200) 또한 벤딩 형태에 의한 벤딩 스트레스를 가지므로, 방열완충기판(200)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을 제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B)은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220', 230')가 상호 교번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21, 231)와 복수의 간격부(222, 232)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11에 도시된 방열완충기판(200A)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B)은 평면표시영역(FDA)에 대응하고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지는 평면기판부(210)와,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제 1 벤딩기판부(220')와,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제 2 벤딩기판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B) 중 제 1 벤딩기판부(220')는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돌출부(221)와, 복수의 제 1 돌출부(221)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두께(TH1)보다 작은 제 2 두께(TH2)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간격부(2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 대응한 제 1 벤딩기판부(220')가 비교적 작은 제 2 두께(TH2)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간격부(22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 1 간격부(222)로 인해 제 1 벤딩표시영역(ODA) 중 일부에서 표시장치(10)의 전체 두께가 평면표시영역(FDA)보다 작아지므로, 중립면(NL1)이 상측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벤딩기판부(220')가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돌출부(221)를 포함함에 따라, 제 1 벤딩표시영역(ODA)에서의 방열기능 및 물리적 충격 완화 기능이 큰 폭으로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벤딩기판부(220')는 복수의 제 1 돌출부(221)와 복수의 제 1 간격부(222)가 교번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벤딩 형태로 인해 방열완충기판(200B)에 발생되는 압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방열완충기판(200B)의 벤딩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B) 중 제 2 벤딩기판부(230')는 제 1 두께(TH1)보다 큰 제 3 두께(TH3)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돌출부(231)와, 복수의 제 2 돌출부(231)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간격부(2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 2 벤딩표시영역(IDA)에 대응한 제 2 벤딩기판부(230')가 비교적 큰 제 3 두께(TH3)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돌출부(231)를 포함함에 따라, 복수의 제 2 돌출부(231)로 인해 제 2 벤딩표시영역(IDA) 중 일부에서 표시장치(10)의 전체 두께가 평면표시영역(FDA)보다 커지므로, 중립면(NL2)이 하측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벤딩기판부(230')는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간격부(232)와 복수의 제 2 돌출부(231)가 교번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벤딩 형태로 인해 방열완충기판(200B)에 발생되는 인장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방열완충기판(200B)의 벤딩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더불어,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220', 230') 각각에 구비된 돌출부(221, 231) 및 간격부(222, 232) 중 어느 하나는 평면기판부(210)와 동일한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짐에 따라, 방열완충기판(200B)은 제 1, 제 2 및 제 3 두께(TH1, TH2, TH3)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한 적층 과정, 및 제 1, 제 2 및 제 3 두께(TH1, TH2, TH3) 중 나머지 각각에 대응한 2회의 패터닝 과정을 통해 비교적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다공성 금속재료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 200A, 200B)을 포함한다. 표시장치(10)는 다수의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방열완충기판(200)은 각 곡면의 벤딩 형태에 대응하는 두께의 기판부들(210, 220, 230)(210, 220', 230')을 포함한다. 이로써, 방열완충기판(200)에 포함된 기판부들의 두께를 통해 표시장치(10)의 전체 두께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중립면(NL)의 변경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막(140)의 대부분이 인장 스트레스 범위(TFR)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향으로 중립면(NL)을 변동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표시패널(100)에 대한 벤딩 스트레스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DD: 전자기기 H: 핸들
10: 표시장치 100: 표시패널
200, 200A, 200B: 방열완충기판
200': 다공성 금속재료 202: 공극
FDA: 평면표시영역
ODA: 제 1 벤딩표시영역 IDA: 제 2 벤딩표시영역
NL: 중립면 TFR: 인장 스트레스 범위
221: 제 1 돌출부 222: 제 1 간격부
231: 제 2 돌출부 232: 제 2 간격부

Claims (10)

  1.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완충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은 평평한 형태의 평면표시영역과, 상기 표시패널의 광이 방출되는 제 1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의 제 1 벤딩표시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의 제 2 벤딩표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완충기판은 상기 평면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평면기판부와, 상기 제 1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제 1 벤딩기판부와, 상기 제 2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제 2 벤딩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벤딩기판부의 두께는 서로 상이한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커버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커버기판은
    상기 평면표시영역에 대응하고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진 평면커버부와,
    상기 제 1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곡면커버부와,
    상기 제 2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제 2 곡면커버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기판부는 제 1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벤딩기판부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벤딩기판부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제 3 두께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기판부는 제 1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벤딩기판부는 상기 제 1 두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1 간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벤딩기판부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제 3 두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제 2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두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 2 간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는 70㎛ ~ 200㎛의 범위인 표시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두께는 50㎛ 이상 및 상기 제 1 두께 미만의 범위인 표시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영상 표시를 위한 각각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서브화소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연성의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영역 각각에 대응한 화소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기 트랜지스터 어레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화소영역 각각에 대응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어레이; 및
    상기 발광 어레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어레이를 밀봉하는 밀봉막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막은 순차 적층된 복수의 보호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중립면은 상기 밀봉막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막 중 상기 발광 어레이로부터 멀리 이격된 어느 하나의 보호막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중립면은 상기 밀봉막에 포함된 복수의 보호막 중 상기 발광 어레이에 인접한 다른 어느 하나의 보호막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호막은
    상기 발광 어레이 상에 배치되는 제 1 보호막;
    상기 제 1 보호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보호막보다 큰 두께로 이루어지는 제 2 보호막; 및
    상기 제 2 보호막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보호막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제 3 보호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중립면은 상기 제 2 보호막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중립면은 상기 제 2 보호막 아래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KR1020200185501A 2020-12-29 2020-12-29 표시장치 KR10247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01A KR102475579B1 (ko) 2020-12-29 2020-12-29 표시장치
US17/356,229 US11730050B2 (en) 2020-12-29 2021-06-23 Display apparatus with porous metal substrate
US18/337,981 US20230345807A1 (en) 2020-12-29 2023-06-20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501A KR102475579B1 (ko) 2020-12-29 2020-12-29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69A true KR20220094369A (ko) 2022-07-06
KR102475579B1 KR102475579B1 (ko) 2022-12-07

Family

ID=8211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501A KR102475579B1 (ko) 2020-12-29 2020-12-2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730050B2 (ko)
KR (1) KR102475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03039A1 (en) * 2020-01-16 2022-01-06 Intosee Co. Ltd Storage box having display pan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272A (ko) * 2014-10-27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6615A (ko) * 2017-12-22 2019-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2019120710A (ja) * 2017-12-28 2019-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00095585A (ko) * 2018-12-28 2020-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6558A (en) * 1991-06-24 1994-08-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article comprising oriented microstructures
CN105932174B (zh) * 2016-06-27 2017-12-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封装结构
KR20210047616A (ko) * 2019-10-22 2021-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272A (ko) * 2014-10-27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6615A (ko) * 2017-12-22 2019-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2019120710A (ja) * 2017-12-28 2019-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00095585A (ko) * 2018-12-28 2020-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579B1 (ko) 2022-12-07
US11730050B2 (en) 2023-08-15
US20230345807A1 (en) 2023-10-26
US20220209144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903B1 (ko) 표시 장치
CN107886846B (zh) 柔性显示装置
TWI588989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CN102376748B (zh) 外挂式触摸屏面板有源矩阵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US10199596B2 (en)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3810945A (zh) 具有弯曲的非显示区以减小边框宽度的显示装置
KR102412456B1 (ko) 표시장치
KR2015004476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686883B2 (en) Display device having bendable area
KR20090108345A (ko) 유기 발광 표시 모듈
US20240032325A1 (en) Display device
CN104037192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KR20110008917A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20230345807A1 (en) Display apparatus
KR102496467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21026102A (ja)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70038338A (ko) 표시장치
KR102509707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20220206314A1 (en) Display device
KR102423664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KR102548403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114695437A (zh) 显示装置
KR20150033020A (ko) 액정표시장치
KR102651805B1 (ko) 표시 장치
US20240032231A1 (en)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