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498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498A
KR20220093498A KR1020200184261A KR20200184261A KR20220093498A KR 20220093498 A KR20220093498 A KR 20220093498A KR 1020200184261 A KR1020200184261 A KR 1020200184261A KR 20200184261 A KR20200184261 A KR 20200184261A KR 20220093498 A KR20220093498 A KR 20220093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weight
parts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326B1 (ko
Inventor
박지권
김연경
이선애
김주성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326B1/ko
Priority to JP2023534659A priority patent/JP2024501438A/ja
Priority to PCT/KR2021/016855 priority patent/WO2022145724A1/ko
Publication of KR2022009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08K2003/227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I)가 5 내지 80 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I)가 150 내지 1,00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0.5 내지 10 중량부; 녹는점(Tm)이 100 내지 150℃인 브롬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 안티몬 화합물 1 내지 8 중량부; 라디칼 형성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인계 열안정제 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경량성, 연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건축재료, 전기부품 등의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는 재료이다. 다만,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화학적 구조상 인화성 물질이므로, 난연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각종 유기계 또는 무기계 난연제의 병용 첨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제품을 외장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높은 광택도가 요구될 수 있으나, 녹는점(Tm)이 높은 난연제를 적용할 경우, 광택도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녹는점(Tm)이 낮은 난연제를 적용할 경우, 광택도 문제는 해결이 가능하나, 압출, 사출 등의 가공 시 열안정성, 내변색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장기간 방치 시 블루밍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멜팅형 난연제, 난연조제 및 하이드록실 아민계 열안정제 등을 적용하여, 난연성, 광택도(외관 특성), 내변색성 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도 난연제의 함량이 높아 블루밍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0182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I)가 5 내지 80 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I)가 150 내지 1,00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0.5 내지 10 중량부; 녹는점(Tm)이 100 내지 150℃인 브롬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 안티몬 화합물 1 내지 8 중량부; 라디칼 형성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인계 열안정제 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유동흐름지수(MI)가 5 내지 80 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 내지 60 중량% 및 프로필렌 4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및 고무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유동흐름지수(MI)가 150 내지 1,00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브롬 화합물은 2,2-비스(3,5-디브로모-4-(2,3-디브로모프로폭시)페닐)프로판, 옥타브로모비스페놀-S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안티몬 화합물은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라디칼 형성제는 2,3-디메틸-2,3-디페닐부탄,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열안정제는 옥타데칸-1-올 인산, 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0.8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V-0일 수 있다.
11. 상기 1 내지 10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광택도가 70 내지 95%일 수 있다.
12. 상기 1 내지 11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1164에 의거하여 색차계로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L값이 90 내지 98일 수 있다.
13.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유동흐름지수(MI)가 5 내지 80 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B) 유동흐름지수(MI)가 150 내지 1,00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C) 녹는점(Tm)이 100 내지 150℃인 브롬 화합물; (D) 안티몬 화합물; (E) 라디칼 형성제; 및 (F) 인계 열안정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유동흐름지수(MI)가 5 내지 80 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강성, 성형 가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5 내지 80 g/10분, 예를 들면 5 내지 50 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가 5 g/10분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유동성,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80 g/10분을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내충격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블록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 부분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부분이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 내지 6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50 중량% 및 프로필렌 4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연속상(매트릭스)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70 내지 90 중량% 및 분산상인 고무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유동흐름지수(MI)가 150 내지 1,00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는 브롬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라디칼 형성제, 인계 열안정제 등과 함께 적용되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150 내지 1,000 g/10분, 예를 들면 150 내지 50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가 150 g/10분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광택도,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00 g/10분을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내충격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1 내지 9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광택도, 백색도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난연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녹는점(Tm)이 100 내지 150℃인 브롬 화합물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브롬 화합물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안티몬 화합물, 라디칼 형성제, 인계 열안정제 등과 함께 적용되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녹는점(Tm)이 100 내지 150℃, 예를 들면 110 내지 140℃인 브롬 화합물(브롬계 난연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브롬 화합물의 녹는점(Tm)이 100℃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가공성,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50℃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난연성, 광택도 및/또는 백색도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브롬 화합물은 2,2-비스(3,5-디브로모-4-(2,3-디브로모프로폭시)페닐)프로판, 옥타브로모비스페놀-S,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브롬 화합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면 6 내지 1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롬 화합물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내블루밍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D) 안티몬 화합물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안티몬 화합물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브롬 화합물, 라디칼 형성제, 인계 열안정제 등과 함께 적용되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안티몬 화합물(안티몬계 난연조제)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안티몬 화합물은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안티몬 화합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8 중량부, 예를 들면 2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티몬 화합물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광택도,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브롬 화합물(C) 및 상기 안티몬 화합물(D)의 중량비(C:D)는 1 : 0.1 내지 1 : 1, 예를 들면 1 : 0.2 내지 1 : 0.9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난연성, 내충격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E) 라디칼 형성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라디칼 형성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브롬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인계 열안정제 등과 함께 적용되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라디칼 형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라디칼 형성제는 2,3-디메틸-2,3-디페닐부탄,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라디칼 형성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0.7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형성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난연성, 백색도, 가공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F) 인계 열안정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인계 열안정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브롬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라디칼 형성제 등과 함께 적용되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인산(phosphoric acid)을 포함하는 인계 열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열안정제는 옥타데칸-1-올 인산(octadecan-1-ol,phosphoric acid), 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열안정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0.5 내지 4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계 열안정제의 함량이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백색도,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의 난연성, 가공성, 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120 내지 280℃, 예를 들면 180 내지 22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0.8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V-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광택도가 70 내지 95%, 예를 들면 72 내지 9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1164에 의거하여 색차계로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L값이 90 내지 98, 예를 들면 91 내지 97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항균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제품 내/외장재, 건축용 자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제조사: 롯데케미칼, 제품명: JH-370A,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 28 g/10분)를 사용하였다.
(B) 폴리올레핀 수지
(B1) 폴리프로필렌(제조사: 폴리미래, 제품명: HP5021,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 325 g/10분)을 사용하였다.
(B2) 폴리프로필렌(제조사: 롯데케미칼, 제품명: JSS-395N,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 100 g/10분)을 사용하였다.
(C) 브롬 화합물
(C1) 2,2-비스(3,5-디브로모-4-(2,3-디브로모프로폭시)페닐)프로판(BDDP, 제조사: Shandong Brother SCI. & TECH., 제품명: XZ-6800, 녹는점(Tm): 110℃)을 사용하였다.
(C2) 옥타브로모비스페놀-S(OBBS, 제조사: Danxia Chemical, 제품명: DXFR-920, 녹는점(Tm): 118℃)를 사용하였다.
(C3)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DBDPE, 제조사: ALBEMARLE, 제품명: SAYTEX 8010, 녹는점(Tm): 352℃)를 사용하였다.
(D) 안티몬 화합물
삼산화안티몬(Sb2O3, 제조사: 일성안티몬, 제품명: ANTIS W)을 사용하였다.
(E) 라디칼 형성제
2,3-디메틸-2,3-디페닐부탄(제조사: WUXI ZHUFENG FINE CHEMICAL, 제품명: Dicumene)을 사용하였다.
(F) 인계 열안정제
옥타데칸-1-올 인산(octadecan-1-ol,phosphoric acid, 제조사: WELLCHEM, 제품명: PAOE)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4 및 비교예 1 내지 17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2, 3 및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0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6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2, 3 및 4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난연도: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0.8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2) 광택도(단위: %):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3.2 mm 두께 시편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3) 백색도: ASTM E1164에 의거하여 색차계 (제조사: KONICA MINOLTA, 장치명: CM-3700d)로 3.2 mm 두께 시편의 L값(L value)을 측정하였다.
(4) 내블루밍성 평가: 100 mm × 100 mm × 3.2 mm 크기 시편을 70℃에서 7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시편 표면의 블루밍(blooming) 현상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 미발생, ×: 발생)
실시예
1 2 3 4 5 6 7 8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1 5 9 5 5 5 5 5
(B2) (중량부) - - - - - - - -
(C1) (중량부) 10 10 10 6 14 - - -
(C2) (중량부) - - - - - 6 10 14
(C3) (중량부) - - - - - - - -
(D) (중량부) 5 5 5 5 5 5 5 5
(E) (중량부) 3 3 3 3 3 3 3 3
(F) (중량부) 2 2 2 2 2 2 2 2
난연도 V-0 V-0 V-0 V-0 V-0 V-0 V-0 V-0
광택도 (%) 72 78 82 79 78 78 77 76
백색도 (L value) 93 93 94 94 91 93 92 91
내블루밍성
실시예
9 10 11 12 13 14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5 5 5 5 5 5
(B2) (중량부) - - - - - -
(C1) (중량부) 10 10 10 10 10 10
(C2) (중량부) - - - - - -
(C3) (중량부) - - - - - -
(D) (중량부) 3 7 5 5 5 5
(E) (중량부) 3 3 1 4 4 4
(F) (중량부) 2 2 2 2 1 4
난연도 V-0 V-0 V-0 V-0 V-0 V-0
광택도 (%) 80 78 78 78 78 78
백색도 (L value) 92 93 93 93 91 95
내블루밍성
비교예
1 2 3 4 5 6 7 8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 15 - 5 5 5 5 5
(B2) (중량부) - - 5 - - - - -
(C1) (중량부) 10 10 10 0.01 3 18 - -
(C2) (중량부) - - - - - - 3 18
(C3) (중량부) - - - - - - - -
(D) (중량부) 5 5 5 5 5 5 5 5
(E) (중량부) 3 3 3 3 3 3 3 3
(F) (중량부) 2 2 2 2 2 2 2 2
난연도 V-0 V-2 V-0 Fail V-2 V-0 V-2 V-0
광택도 (%) 65 84 67 79 78 78 78 76
백색도 (L value) 92 93 92 94 93 91 93 90
내블루밍성 × ×
비교예
9 10 11 12 13 14 15 16 17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 (중량부) 5 5 5 5 5 5 5 5 5
(B2) (중량부) - - - - - - - - -
(C1) (중량부) - - - 10 10 10 10 10 10
(C2) (중량부) - - - - - - - - -
(C3) (중량부) 3 15 30 - - - - - -
(D) (중량부) 5 5 5 0.01 12 5 5 5 5
(E) (중량부) 3 3 3 3 3 0.01 7 3 3
(F) (중량부) 2 2 2 2 2 2 2 0.01 7
난연도 Fail Fail V-0 Fail V-0 Fail V-2 V-0 V-2
광택도 (%) 72 68 61 78 67 78 78 77 75
백색도 (L value) 92 90 88 92 91 94 88 80 94
내블루밍성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광택도, 백색도, 내블루밍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1), 광택도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함량 범위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2),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 대신에, 용융흐름지수(MI)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인 폴리프로필렌(B2)를 적용할 경우(비교예 3), 광택도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브롬 화합물을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4, 5, 7),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함량 범위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6, 8), 내블루밍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브롬 화합물 대신에, 녹는점(Tm)이 본 발명의 범위 초과인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C3)를 적용할 경우(비교예 9, 10, 11), 함량에 따라, 난연성, 광택도 및/또는 백색도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티몬 화합물을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12),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함량 범위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13), 광택도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라디칼 형성제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14),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함량 범위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15), 난연성, 백색도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계 열안정제를 본 발명의 함량 범위 미만으로 적용할 경우(비교예 16), 백색도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함량 범위보다 초과하여 적용할 경우(비교예 17),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I)가 5 내지 80 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유동흐름지수(MI)가 150 내지 1,00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0.5 내지 10 중량부;
    녹는점(Tm)이 100 내지 150℃인 브롬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
    안티몬 화합물 1 내지 8 중량부;
    라디칼 형성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인계 열안정제 0.2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흐름지수(MI)가 5 내지 80 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 내지 60 중량% 및 프로필렌 4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0 내지 95 중량% 및 고무성분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흐름지수(MI)가 150 내지 1,00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 화합물은 2,2-비스(3,5-디브로모-4-(2,3-디브로모프로폭시)페닐)프로판, 옥타브로모비스페놀-S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몬 화합물은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형성제는 2,3-디메틸-2,3-디페닐부탄,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열안정제는 옥타데칸-1-올 인산, 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0.8 mm 두께 사출 시편의 난연도가 V-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523에 의거하여 60° 각도에서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광택도가 70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E1164에 의거하여 색차계로 측정한 3.2 mm 두께 시편의 L값이 90 내지 9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200184261A 2020-12-28 2020-12-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7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61A KR102578326B1 (ko) 2020-12-28 2020-12-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23534659A JP2024501438A (ja) 2020-12-28 2021-11-17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成形品
PCT/KR2021/016855 WO2022145724A1 (ko) 2020-12-28 2021-11-1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61A KR102578326B1 (ko) 2020-12-28 2020-12-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498A true KR20220093498A (ko) 2022-07-05
KR102578326B1 KR102578326B1 (ko) 2023-09-14

Family

ID=8226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261A KR102578326B1 (ko) 2020-12-28 2020-12-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01438A (ko)
KR (1) KR102578326B1 (ko)
WO (1) WO202214572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479A (ja) * 1997-03-13 1998-09-22 Chisso Corp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012500880A (ja) * 2008-08-29 2012-01-12 アクゾ ノーベル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020050809A (ja) * 2018-09-28 2020-04-02 出光ライオン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20172640A (ja) * 2019-04-12 2020-10-2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3862B (it) * 1990-10-23 1994-06-28 Himont Inc Concentrati non estrusi di additivo antifiamma e processo per la loro preparazione.
US8003725B2 (en) * 2002-08-12 2011-08-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hetero-phase polyolefin blends
JP5185884B2 (ja) * 2009-05-11 2013-04-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KR20160064389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출성형품
KR102107912B1 (ko) * 2018-12-11 2020-05-07 한화토탈 주식회사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1479A (ja) * 1997-03-13 1998-09-22 Chisso Corp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012500880A (ja) * 2008-08-29 2012-01-12 アクゾ ノーベル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020050809A (ja) * 2018-09-28 2020-04-02 出光ライオン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20172640A (ja) * 2019-04-12 2020-10-2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326B1 (ko) 2023-09-14
JP2024501438A (ja) 2024-01-12
WO2022145724A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022B2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US6737456B2 (en) Fire-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s
EP1239005B2 (en) Fire-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s
EP2406306B1 (en) Flame retarded polyolefin composition
KR102107912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WO2019021671A1 (ja) 組成物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
KR10243676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738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7832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9173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68848B1 (ko) 다양한 열원에 대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3935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633786B1 (ko) 고함량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컬러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8542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4007722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4006116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03392B1 (ko) 폴리올레핀 난연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2432759B1 (ko) 내블루밍성과 강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548685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633785B1 (ko) 고함량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컬러수지 조성물
KR2024000249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303090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70050427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60051645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IL141726A (en) Polyolefi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