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449A - 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 Google Patents

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449A
KR20220093449A KR1020200184161A KR20200184161A KR20220093449A KR 20220093449 A KR20220093449 A KR 20220093449A KR 1020200184161 A KR1020200184161 A KR 1020200184161A KR 20200184161 A KR20200184161 A KR 20200184161A KR 20220093449 A KR20220093449 A KR 2022009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noodles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2716B1 (en
Inventor
정동관
Original Assignee
정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관 filed Critical 정동관
Priority to KR102020018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716B1/en
Priority to CN202180075816.9A priority patent/CN116438118A/en
Priority to PCT/KR2021/013293 priority patent/WO2022145634A1/en
Publication of KR2022009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4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7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10Adhesive or cohesive 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tach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eve-type cup noodle container. The sieve-type cup nood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structure in which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overlap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ner container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outer container, water in the inner container can be discharged into the outer container. The sieve-type cup noodle container comprises: the outer container (100) wherein an upper part is opened and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inner container (200)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nd containing a content including a dried noodle. The inner container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In addition, the inner container (200) may comprise at least one outlet (230) in a form of a hole perforated toward a lower part.

Description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Sieve Type Cup Noodle Container {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본 발명은 비빔용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겹쳐진 2중 구조로 구비되고,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 용기의 물이 외부 용기로 배출 가능한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noodle container for bibim. In particular, it is provided with a double structure in which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are overlapped, and the inner container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outer container so that the water in the inner contain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er container. It is about a cup noodle container in the form of a cup.

바쁜 현대인들은 간편한 식생활을 추구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인스턴트식품을 자주 섭취하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 중에 라면은 식사대용이나 간식으로 남녀노소 모두가 선호하는 식품으로, 최근 지속적으로 라면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Busy modern people, in pursuit of simple eating habits, frequently consume various types of instant food. Among instant foods, ramen is a food that is preferred by people of all ages as a meal replacement or snack, and the consumption of instant noodl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라면 중에서도 컵라면은 별도의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뜨거운 물만 부어서 간단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간 및 공간에 제약이 있는 소비자들이 많이 소비하고 있다. Among ramen noodles, cup noodles do not go through a separate cooking process and are simply cooked and eaten by pouring hot water, and are consumed by consumers with limited time and space.

또한, 컵라면은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판매되고 있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국물이 있는 컵라면뿐만 아니라 짜장면, 비빔면, 라볶기 등과 같이 국물이 없는 면 요리를 컵라면을 통해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비빔용 컵라면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cup noodles are being sold as consumers' preferences diversify. The popularity of cup noodles for bibim is increasing.

이러한 국물이 없는 컵라면의 조리 방식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용기 내에 내장된 건조된 면을 부드럽게 복원시키고, 면이 복원되면 용기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 후 제품에 별첨된 여러 소스를 면에 비벼 섭취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soupless cooking method, hot water is poured into the container to gently restore the dried noodles inside the container, and when the noodles are restored, the water inside the container is drained to the outside, and then the various sauces attached to the product are used. It is made to be consumed by rubbing it with noodles.

이를 위해, 종래의 비빔용 컵라면 용기는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에 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면이 뜨거운 물에 의해 복원되면 사용자는 뚜껑에 형성된 배출공을 찔러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을 통해 용기 내부의 물을 배출시킨 후 각종 소스를 면에 비벼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To this end, the conventional cup ramen container for bibim forms a discharge hole in the lid that seals the container, so that when the surface inside the container is restored by hot water, the user pokes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lid to form a hole, and then cuts the hole. After draining the water inside the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be consumed by rubbing various sauces with the noodles.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는 사용자가 뚜껑의 배출공을 뾰족한 물건으로 일일이 찔러서 배출공을 형성하고, 용기를 파지하여 기울여서 상기 배출공을 통해 뜨거운 물을 배출하야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very cumbersome process because the user has to pierce the discharge hole of the lid with a pointed object to form the discharge hole, and to discharge the hot water through the discharge hole by holding the container and tilting it. do.

또한, 용기 내부의 뜨거운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뜨거운 물에 의해 사용자의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용기를 기울여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뚜껑이 열려 내부의 면이 쏟아질 수 있으며, 배출공을 통해 면의 일부가 소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hot water inside the container,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user's hand is burned by the hot water may occur, and the lid may be open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ter by tilting the container, and the inside surface may be poure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 part of the surface is lost through the discharge hole.

또한, 용기 내부의 물을 배출시킨 후 각종 소스를 이용하여 면에 비빌 때, 용기 내부에 어느 정도의 물기 남아 있어야 면에 소스가 잘 묻으면서 용이하게 비벼질 수 있다. 그러나 용기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이 적을 경우는 소스로 면을 비비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반대로 용기 내부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이 많을 경우는 소스에 비벼진 면에 국물이 너무 많아 맛이 싱거워지고 비빔면의 맛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rubbing the noodles using various sauces after draining the water from the container, some amount of water must remain inside the container so that the sauce can be easily rubbed on the noodles. However, if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side the container is small, it is difficult to rub the noodles with the sauce. Conversely, if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side the container is large, there is too much broth in the noodles rubbed in the sauce, so the taste becomes bland and the taste of the bibim-myeon. There is a problem that lowers the taste.

한편, 컵라면은 스트로폼이나 종이로 된 단열재 용기 내에 건조된 면과 스프 등과 같은 내용물을 내장하고, 용기 상부에 뚜껑을 접착하여 용기를 밀폐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cup noodles ar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ents such as dried noodles and soup are embedded in a container made of a insulation material made of straw foam or paper, and the container is sealed by attaching a li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그런데 컵라면 용기는 코팅된 종이나 폴리에틸렌 소재의 단열성이 높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으로 용기를 드는 경우에는, 용기에 담겨진 뜨거운 물의 열감이 강하게 전달되어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컵라면은 그 특성상, 취식하는 경우에는 용기에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용기를 들고 이동하거나 용기를 손에 들로 먹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상 더욱 불편함을 유발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up ramen container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highly insulating with coated paper or polyethylene material, when a user lifts the container by h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 of the hot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strongly transmitted, making it inconvenient to use. 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cup noodles, when eating, pouring hot water into a container and then moving with the container or eating the container in hand often occurs, so this problem can cause more inconvenience in use. hav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는 2중 구조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기에 대한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of the container by having a double structure including an outer shel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용기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피가 구비된 특성상, 용기에 담겨진 뜨거운 물의 열기에 대한 단열성이 향상되기는 하지만, 외피가 단순히 단열성을 높이는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그 제작에 따른 비용과, 작업공정이 추가되는 것에 비하여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prior art, although the thermal insulation against the heat of the hot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improved due to the nature of the shell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since the shell merely functions to increase the insulation, the cost and work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tilization is not high compared to the addition.

등록특허공보 제10-2054395호 (등록일자 2019.12.0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54395 (Registration Date 2019.12.04.) 등록특허공보 제10-1838195호 (등록일자 2018.03.0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38195 (Registration Date 2018.03.07.) 등록특허공보 제10-1490983호 (등록일자 2015.02.02.)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90983 (Registration Date 2015.02.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겹쳐진 2중 구조로 구비되고,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 용기의 물이 외부 용기로 배출 가능한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 double structure in which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are overlapped, and the inner container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outer container, so that the water in the inner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er contain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eve-type cup noodle 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서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안전하게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eve-type cup noodle container that can safely discharge water through a process of separat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고 있어, 뜨거운 물을 공급하여 라면의 면발을 불린 후, 물을 배출하여 면을 각종 소스에 비비는 중간에 물을 손쉽게 증가시킬 수 있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tores hot water inside the container, so after soaking the noodles by supplying hot water, drain the water and easily increase the water while rubbing the noodles with various sauces.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여 면이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면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을 섭취할 수 있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eve-type cup noodle container in which noodles can be eaten more deliciously in the process of eating noodles by storing hot water in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noodles from cooling.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특징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100)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건조된 면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내장하는 내부 용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하부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포함될 수 있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cup ramen container of the siev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an outer container 100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n inn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It is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and includes an inner container 200 containing the contents including dried noodles, the inner container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nd An outlet 230 in the form of at least one perforated hole may be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용기(200)는 내부에 라면 면발과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되는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210)의 상부 끝단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 형상을 갖는 손잡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ner container 20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instant noodles and hot water for cooking ramen noodles therein, an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nd has an open top, A handle having at least one rod shape continuously exten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210 and the body 210 having at least one hole-shaped outlet 230 perforated in the lower portion. part 220 may be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용기(100)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 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20)는 일측면에 외부 방향으로 접이가 용이하도록 스코어링(scoring)을 갖는 접이선(221)을 포함하며, 상기 접이선(221)으로 접이된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접착 부재(110)에 부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container 100 includes at least one adhesive member 110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handle 220 is a folding line having a scoring on one side to facilitate fol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221 , and the handle 220 folded by the fold line 221 may be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11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ieve-type cup noodles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겹쳐진 2중 구조로 구비되고,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 용기의 물이 외부 용기로 배출 가능하다.First,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are provided in a double structure overlapping, and the inner container is detachably provided from the outer container, so that the water in the inner contain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er container.

둘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서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안전하게 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컵라면 용기 내부의 물을 따를 때 손을 데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면이 쏟아지는 것과 일부의 면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water can be safely discharged through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from each other,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of injuring your hand when pouring water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process of discharging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odles from spilling out and some of the noodles from being lost.

셋째,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고 있어, 뜨거운 물을 공급하여 라면의 면발을 불린 후, 물을 배출하여 면을 각종 소스에 비비는 중간에 물을 손쉽게 증가시킬 수 있어, 소스로 면을 비빌 수 있는 적당량의 물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언제나 용이하게 비빌 수 있으며, 맛있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hot water inside the container, so after soaking the noodles by supplying hot water, drain the water and easily increase the water in the middle of rubbing the noodles with various sauces. You can easily adjust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for rubbing, so it can be easily rubbed at any time, and you can have delicious results.

넷째, 용기 내부에 뜨거운 물을 저장하여 면이 식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면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을 섭취할 수 있다.Fourth, by storing hot water inside the container to prevent the noodles from cooling down, you can eat noodles more deliciously in the process of eating noodles.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b)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eve-type cup noodle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b) and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using the cup noodle container of the sieve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본 발명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 sieve-type cup noodles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complet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letes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that an arbitrar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or "upper (or below)"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Furthermore,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eve-type cup noodles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ramen container of the sieve type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have.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100)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건조된 면, 스프 및 각종 소스 등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내장하는 내부 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상기 상부가 개방된 외부 용기(100)를 밀폐하는 뚜껑(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은 유연한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cup rame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ieve type has an open top, and an external container 100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external container 100 can be separated into the internal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It is accommodated so as to include an inner container 200 containing the contents including dried noodles, soups, and various sauces. And the cup ramen container of the sieve type may further include a lid (not shown) for sealing the outer container 100 with the upper part open. In this case, the li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film.

상기 외부 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용기(100)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필름, 접착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110)를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container 100 may have an open upper portion, and an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therein. In addition, the outer container 100 may include an adhesive member 110 such as at least one adhesive film or adhesive tap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상기 외부 용기(100)는 스트로폼이나 종이, 또는 스트로폼이나 종이 등에 폴리에틸렌 코팅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팅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container 100 may be made of a polyethylene-coated or polypropylene-coated material such as styrofoam or paper, or styrofoam or paper.

상기 내부 용기(200)는 내부에 라면 면발과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용기(200)는 하부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되며, 상부 끝단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container 200 is provided with a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instant noodles and hot water for cooking ramen noodles therein,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And the inner container 2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hole-shaped outlet 230 perforated to the bottom, and at least one or more handle parts 220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may be provided. .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부 용기(200)는 몸통부(210)와, 손잡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inner container 200 may include a body 210 and a handle 220 .

상기 몸통부(210)는 내부에 라면 면발과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2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230)는 상기 몸통부(210)에 바닥면에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통부(210)의 옆면 하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The body portion 210 is provided with a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amen noodles and hot water for cooking the ramen noodles therein,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 In addition, the body 210 may have an open upper por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hole-shaped outlet 230 perforated in the lower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outlet 230 may be configu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art 2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o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210 .

상기 몸통부(21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210)의 외부 너비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너비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21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때, 상기 몸통부(210)의 외주면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부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width of the body 210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width of the outer container 100 so that the body 210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When the body part 21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so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can be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몸통부(210)의 상부 끝단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20)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손잡이부(220)의 형상은 막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handle 220 may be configured to continuously extend upward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210 . And, the handle 220 has a bar shape, an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provided. However, the shape of the handle portion 220 is not limited to a bar shape.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20)는 일측면에 외부 방향으로 접이가 용이하도록 스코어링(scoring)을 갖는 접이선(2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이선(221)으로 접이된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를 분리시킨 후 상기 외부 용기(100)의 외주면 구비되는 접착 부재(110)에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220 may be provided with a folding line 221 having a scoring (scoring) to facilitate fol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n one side. The handle 220 folded by the fold line 221 is an adhesive member 11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fter separating the inner container 200 from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 can be attached to

상기 손잡이부(220)가 상기 접착 부재(110)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By attaching the handle 220 to the adhesive member 110 , the inner container 200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is fixed in a state positioned above the outer container 100 . can be

한편, 상기 내부 용기(200)는 하부에서 상기 외부 용기(100)의 외주면을 따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도록 상기 내부 용기(200)와 상기 외부 용기(100)를 다양한 형태로 결합시켜 일체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container 200 is manufactured integrally by combining the inner container 200 and the outer container 100 in various forms so as to be coupled in a detachable form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from the bottom. can

예로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 용기(200)가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 용기(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주면과 상기 내부 용기(200)의 외주면이 하나의 면으로 연장되고, 분리면의 둘레를 따라 미세한 타공 슬릿이 반복되어 이어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분리 시에 상기 타공 슬릿을 절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inner contai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to be detachably accommod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container 100 ),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2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200 extend in one surface, and a fine perforated sli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paration surface By configuring in this repeated continuous form, it can be made in a way that the perforated slit is cut off during separation.

이때, 상기 내부 용기(200)는 스트로폼이나 종이, 또는 스트로폼이나 종이 등에 폴리에틸렌 코팅 또는 폴리프로필렌 코팅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container 200 may be made of a polyethylene-coated or polypropylene-coated material such as styrofoam or paper, or styrofoam or paper.

한편, 상기 외부 용기(100)는 수용공간에 상기 내부 용기(2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에 뚜껑을 접착하여 밀폐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의 전체 높이는 몸통부(210) 및 손잡이부(220)를 구비하는 상기 내부 용기(200)의 전체 높이보다 높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최상단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contain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2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by attaching a lid to the upper part to seal it. Therefore, the total height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can be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e total height of the inner container 200 including the body part 210 and the handle part 220 . Through this, the inner container 200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uppermost end of the outer container 100 while the outer container 10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또한,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가 분리된 경우에, 상기 내부 용기(200)에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해 수용된 물은 모두 몸통부(210)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230)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In addition, when the inner container 200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all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inner container 200 to cook the ramen noodles is an outle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210 . It should be discharg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through 230 .

이를 위해서는 상기 내부 용기(200)의 몸통부(210)의 하단에는 상기 몸통부(210)의 전체 면적만큼의 수용공간이 있어야 할 것이다. To this en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210 of the inner container 200, there should be an accommoda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body part 210 .

아울러, 상기 외부 용기(100)의 상측에 상기 내부 용기(200)의 손잡이부(220)가 걸쳐져야 하므로,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의 전체 높이는 상기 내부 용기(200)의 몸통부(210) 높이보다 최소 2배 이상 높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ortion 220 of the inner container 200 should be hung over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the total height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is the body part ( 210) may be configured to be at least twice as high as the heigh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사용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The process of using the sieve-type cup rame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1 refer to the same member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도 2(a)(b)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ures 2 (a) (b) and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 of a sieve-type cup ramen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가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는 건조된 면(20)과 (야채)스프가 수용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a), the inner container 20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nd the dried noodles 20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200. ) and (vegetable) soup are accommodated.

이에, 상기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 건조된 면(20)을 익기기 위한 뜨거운 물(10)을 담아, 수용공간에 내장된 건조된 면(20)을 부드럽게 복원시킨다.Accordingly, hot water 10 for ripening the dried noodles 20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200 to gently restore the dried noodles 20 built in the receiving space.

이후,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를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상기 내부 용기(200)가 상부로 분리되면서, 상기 내부 용기(200)에 담겨져 있는 물(10)은 상기 내부 용기(200)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230)를 통해 하단에 있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2( b ), the inner container 20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 At this time, as the inner container 20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to the upper part, the water 10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200 is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ontainer 200 . It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at the bottom through 230 .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는 뜨거운 물(10)에 의해 복원된 면(20)과 스프가 담겨지고, 대부분의 물(10)은 배출구(230)를 통해 하단의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 담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230)는 면발(20)의 두께 및 (야채)스프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으로 구성되어 물(10)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면이나 스프가 함께 배출되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noodles 20 and soup restored by the hot water 10 are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200, and most of the water 10 passes through the outlet 230 to the lower outer container ( 100) will be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t this time, the outlet 230 is composed of a hol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noodles 20 and the size of the (vegetable) soup, so that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ter 10, the noodles or soup are discharged together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

이후,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내부 용기(200)에 구비된 손잡이부(220)를 접이선을 따라 외부 방향으로 접은 후, 접혀진 손잡이부(220)의 일면을 상기 외부 용기(1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접착 부재(1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20)가 상기 접착 부재(110)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서 분리된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3 , the handle portion 220 provided in the inner container 200 is folded outward along the fold line, and then one surface of the folded handle portion 220 is placed on the outer container 100 . ) can be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110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this time, as the handle 22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110 , the inner container 200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is positioned above the outer container 100 . can be fixed with

이어서, 상기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 각종 소스를 넣은 후 면(20)을 각종 소스에 비비서 면을 섭취할 수 있다.Then, after putting the various sauces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200, the noodles 20 can be ingested with the various sauces.

이때, 상기 내부 용기(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는 외부 용기(100)의 수용공간에 담겨져 있는 물(10)에 상기 내부 용기(200)의 하단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에 담겨지는 물(10)의 양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소스로 면(20)을 비빌 수 있는 적당량의 물(10)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소스와 면(20)을 비빌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ner container 2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200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10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located below, the inner container 200 ), the amount of water 10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can be easily adjus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djust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10 for rubbing the noodles 20 with the sauce, so that the sauce and the noodles 20 can be rubb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또한, 내부 용기(200)의 수용공간의 하단에는 뜨거운 물(10)을 저장하는 외부 용기(100)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라면을 섭취하는 중에도 면(20)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면(20)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더욱 맛있게 면(20)을 섭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external container 100 for storing the hot water 1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ontainer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odles 20 from cooling while eating ramen noodles ( 20) can be eaten more deliciously noodles (20) in the process of ingestion.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는 비빔용 컵라면에 적용된 실시예로만 기재하였으나, 이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한정하여 기재하고 있는 것일 뿐,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회용 티백이나, 찻잎을 걸러지도록 하는 차 거름망을 구비하는 찻잔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종이컵과 현재 카페나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중인 일회용컵(예, 602, 802, 1302, 1602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sieve-type cup ramen contain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only as an embodiment applied to cup noodles for bibim, but this is only limited for easy explanation,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That is, it may be used for purposes such as disposable tea bags sold in the market, tea cups having a tea strainer to filter tea leaves, and the like.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paper cups currently on the market and disposable cups currently used in cafes and restaurants (eg, 602, 802, 1302, 1602, etc.).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l documents including published documents, patent applications, patents, etc. cited i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he same as those indicated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in combination with each cited document, or as a whole in the published embodiment. Examples can be incorporated.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reference signs have been given to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and specific terms are used to describe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specific terms,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include all components commonly conceiv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실시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ively functional and/or physical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they are shown a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and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can be messy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물 20: 라면
100: 외부 용기 110: 접착 부재
200: 내부 용기 210: 몸통부
220: 손잡이부 221: 접이선
230: 배출구
10: Water 20: Ramen
100: outer container 110: adhesive member
200: inner container 210: body portion
220: handle 221: fold line
230: outlet

Claims (3)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용기(100)와,
상기 외부 용기(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건조된 면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내장하는 내부 용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200)는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하부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포함되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An external container 100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It is separably accommodated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nd includes an inner container 200 containing the contents including dried noodles,
The inner container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and a sieve-type cup ramen container including at least one hole-shaped outlet 230 perforated to the botto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200)는
내부에 라면 면발과 라면 면발을 익히기 위한 뜨거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외부 용기(100)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형태의 배출구(230)가 구비되는 몸통부(210)와,
상기 몸통부(210)의 상부 끝단의 일측에서 위쪽 방향으로 계속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막대 형상을 갖는 손잡이부(220)를 포함하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container 200 is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ramen noodles and hot water for cooking ramen noodles is provided therein, an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the upper part is open, and at least on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 body portion 210 provided with an outlet 230 of
A sieve-type cup noodle container including a handle 220 having at least one rod shape continuously extending in an upward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210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100)는 외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 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20)는 일측면에 외부 방향으로 접이가 용이하도록 스코어링(scoring)을 갖는 접이선(221)을 포함하며,
상기 접이선(221)으로 접이된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접착 부재(1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형식의 컵라면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container 100 includes at least one adhesive member 110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andle portion 220 includes a folding line 221 having a scoring (scoring) to facilitate fol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n one side,
The sieve-type cup rame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220 folded by the fold line 221 is attached to the adhesive member 110 .
KR1020200184161A 2020-12-28 2020-12-28 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KR1024827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61A KR102482716B1 (en) 2020-12-28 2020-12-28 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CN202180075816.9A CN116438118A (en) 2020-12-28 2021-09-29 Screen leakage bowl surface container
PCT/KR2021/013293 WO2022145634A1 (en) 2020-12-28 2021-09-29 Sieve-type cup noddl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161A KR102482716B1 (en) 2020-12-28 2020-12-28 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449A true KR20220093449A (en) 2022-07-05
KR102482716B1 KR102482716B1 (en) 2022-12-28

Family

ID=8225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161A KR102482716B1 (en) 2020-12-28 2020-12-28 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82716B1 (en)
CN (1) CN116438118A (en)
WO (1) WO2022145634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71U (en) * 1983-06-18 1985-01-10 上田 吉雄 Shape and composition of soup food take-out containers
KR20140092614A (en) * 2013-01-16 2014-07-24 이정민 Instant noodle vessel
KR101838195B1 (en) 2016-04-29 2018-03-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onvenient disposable container for instance noodles mixed with sauce
KR20180039511A (en) * 2016-10-10 2018-04-18 최용선 Keeping and cook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s
KR102054395B1 (en) 2018-10-11 2019-12-10 주식회사농심 duplication bowl for cup nood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2070U (en) * 1991-05-28 1992-12-07 大阪瓦斯株式会社 double bottom food containers
KR20160019413A (en) * 2013-04-09 2016-02-19 엘리아스 하다드 피티와이 엘티디 Packag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71U (en) * 1983-06-18 1985-01-10 上田 吉雄 Shape and composition of soup food take-out containers
KR20140092614A (en) * 2013-01-16 2014-07-24 이정민 Instant noodle vessel
KR101490983B1 (en) 2013-01-16 2015-02-11 이정민 Instant noodle vessel
KR101838195B1 (en) 2016-04-29 2018-03-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onvenient disposable container for instance noodles mixed with sauce
KR20180039511A (en) * 2016-10-10 2018-04-18 최용선 Keeping and cook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s
KR102054395B1 (en) 2018-10-11 2019-12-10 주식회사농심 duplication bowl for cup noo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5634A1 (en) 2022-07-07
KR102482716B1 (en) 2022-12-28
CN116438118A (en)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16698A1 (en) Container cover with integrated compartments
KR200475771Y1 (en) Structure of instant food double spaced bowl having water hole
KR20220093449A (en) Receptacle for Cup Noodles with Sieve Type
KR101838195B1 (en) Convenient disposable container for instance noodles mixed with sauce
KR102286237B1 (en) Easily cooked noodles
KR102054395B1 (en) duplication bowl for cup noodle
KR20180039511A (en) Keeping and cook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s
US20130175197A1 (en) Outer package for securely supporting cup-shaped product onc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outer package
EP3269662B1 (en) A food container
KR20180064249A (en) The water discharge structure of the container if the cup
EP1300343A1 (en) Food container
KR102649388B1 (en) the push cap structure for vessel
JP3238743U (en) Edible ingredients monaka
CN210823353U (en) Soup and noodle separation packaging box
KR20210041750A (en) Heatable disposable ramen container
JP3544363B2 (en) Food in containers
KR20180070040A (en) Disposable vessel having water discharging structure
CN210619002U (en) Convenient nutritious fast food suit
CN211618615U (en) Portable multifunctional tea bag device
JP3229944U (en) Cup noodles with spare balls
JP3163390B2 (en) Salad in a container
CA3235805A1 (en) Container for food products
KR200185011Y1 (en) Receptacle for cup noodles
KR101945096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flow type separating wall
CN201002847Y (en) Portable vermicelli foodstuff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