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369A - 조립체, 카세트 및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체, 카세트 및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369A
KR20220093369A KR1020227019171A KR20227019171A KR20220093369A KR 20220093369 A KR20220093369 A KR 20220093369A KR 1020227019171 A KR1020227019171 A KR 1020227019171A KR 20227019171 A KR20227019171 A KR 20227019171A KR 20220093369 A KR20220093369 A KR 20220093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ontainer
cover
cassett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에-이 천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93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61M2005/208Release is possible only when device is pushed against the skin, e.g. using a trigger which is blocked or inactive when the device is not pushed against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61M2005/2407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from the r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33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 A61M2005/2437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by clamping means
    • A61M2005/244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by clamping means by flexible cl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5Ampoule holder connected to rest of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assettes forming partially or totally the fluid circu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 용기(36)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10)가 제공되는데, 이 조립체(10)는 종축(20)을 따라 연장되는 용기 캐리어(12)― 용기 캐리어(12)는 캐리어 본체(22), 및 캐리어 본체(22)로부터 종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요성 캐리어 아암(24)을 포함함 ―; 및 중공 회전자 본체(28) 및 종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관통 구멍(30)을 포함하는 회전자(14)를 포함하고, 용기 캐리어(12)는 캐리어 아암(24)이 관통 구멍(30)을 통해 연장되도록 회전자(14)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회전자(14)는 종축(20)을 중심으로 그리고 용기 캐리어(12)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카세트(46) 및 약물 전달 장치(42)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체, 카세트 및 약물 전달 장치
본 개시는 개략적으로 약물 용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 및 카세트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가 제공된다.
약물의 자가 투여를 위한 광범위한 약물 전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부 약물 전달 장치는 베이스 유닛 및 카세트와 같이 사용을 위해 상호 연결된 두 부분을 갖는다. 베이스 유닛은 통상적으로 재설정 가능한(resettable) 구동 기구를 포함하므로, 다수의 주입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카세트는 종종 주사기, 카트리지 등과 같은 약물이 있는 약물 용기를 포함하거나 수용하는데, 이는 약물 사용 후에 버려지고 새 것, 즉 일회용 카세트로 대체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과 카세트는 환자, 의료인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은 당업계에 공지된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구동 기구를 가동하여 약물 전달을 촉발하기 위해 베이스 유닛 상의 버튼을 누르거나 카세트의 근위 단부를 전달 부위에 대고 누른다. 그 후, 카세트를 폐기할 수 있도록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카세트를 분리한다.
WO 2018/19는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조립체는 개시하는데, 이는, 기다란 관형 전달 부재 커버, 근위 방향의 힘을 받을 때까지 약물 카트리지가 근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차단 돌출부를 갖는 카트리지 홀더, 근위 연장 바늘 부분 및 원위 연장 바늘 부분을 갖는 양날형 바늘을 포함하는 바늘 조립체― 바늘 조립체는 원위 연장 바늘 부분이 카트리지 홀더 내로 연장되도록 카트리지 홀더와 조립되도록 구성됨 ―, 및 근위로 편향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로드를 포함하는 투여 기구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커버는 카트리지 홀더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선형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전달 부재 커버는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투여 기구를 가동시키도록 구성되어, 투여 기구가 카트리지 홀더를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그 후에 임계값보다 큰 힘으로 플런저 로드를 카트리지 홀더 내부에서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US 2017258998 A1은 주사기 배럴 시트(syringe barrel seat)가 약물 및 바늘을 포함하는 주사기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 주사기를 개시한다. 하우징은 또한 주입 동안 플런저 앞에 있는 주사기 배럴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접합면을 제공한다. 접합면은 가요성 내향 핑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원위(distal)"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투여량(dose) 전달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원위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하에서 투여량 전달 부위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재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이에 대응하여, "근위(proximal)"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투여량 전달 부위를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근위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 하에서 투여량 전달 부위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약물 전달 장치의 부재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목적은, 간단하거나 및/또는 간단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신뢰할 수 있거나 및/또는 신뢰할 수 있는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목적 중 여러 개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해결하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목적 중 하나, 여러 개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목적 중 하나, 여러 개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카세트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태양에 따르면,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가 제공되는데, 이 조립체는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용기 캐리어― 용기 캐리어는 캐리어 본체, 및 캐리어 본체로부터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요성 캐리어 아암을 포함함 ―; 및 중공 회전자 본체 및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용기 캐리어는 캐리어 아암이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회전자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회전자는 종축을 중심으로 그리고 용기 캐리어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회전자가 용기 캐리어에 대해 회전할 때, 캐리어 아암은 회전자에 대해 관통 구멍 내에서 이동한다. 관통 구멍은 만곡되거나 호 형상일 수 있으며 종축에 대해 중심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캐리어 아암은 관통 구멍 내에서 종축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관통 구멍은 적어도 30°(예컨대 70°)에서 110°까지(예컨대 90°)의 종축을 중심으로 한 각도 연장부를 가질 수도 있다.
캐리어 아암은 약물 용기를 조립체에 축방향으로 잠그기 위해 약물 용기의 플랜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맞물림은 예컨대 스냅핏(snap fit)일 수도 있다. 플랜지는 예컨대 약물 용기의 핑거 플랜지 또는 환형 플랜지와 같은 원위 플랜지일 수도 있다.
약물 용기는 예컨대 약물을 포함하는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일 수도 있다. 조립체는 일회용일 수도 있다. 조립체는 약물 용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통 구멍은 회전자의 원위 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캐리어 아암의 길이는 종축을 따른 회전자의 길이보다 더 길 수도 있다. 회전자가 용기 캐리어에 수용될 때, 회전자 본체는 캐리어 본체에 접할 수도 있다.
용기 캐리어는 캐리어 아암이 회전자 본체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원위 방향으로 그리고 관통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회전자를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용기 캐리어는 2개의 그러한 가요성 캐리어 아암을 포함하고, 회전자는 2개의 그러한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이 경우, 각각의 캐리어 아암은 각각의 관통 구멍을 통해 수용될 수도 있다. 캐리어 아암은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 또는 대향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반대로, 관통 구멍은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 또는 대향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캐리어 아암은, 회전자가 용기 캐리어에 의해 수용되고 약물 용기가 조립체에 의해 수용될 때, 약물 용기의 플랜지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약물 용기를 종축을 따라 잠그도록 배열된 맞물림 아암 구조체(engaging arm structure)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맞물림 아암 구조체가 플랜지와 맞물릴 때, 회전자는 캐리어 본체와 맞물림 아암 구조체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맞물림 아암 구조체는 반경방향 내향 리세스(radially inwardly directed recess)와 같은 리세스일 수도 있다. 용기 캐리어가 2개 이상의 가요성 캐리어 아암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맞물림 아암 구조체는 리세스일 수도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가 제공되는데, 카세트는 본 개시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한다. 카세트는 약물 용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세트는 일회용일 수도 있다. 카세트는 조립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조립체는 카세트의 서브조립체(subassembly)로 지칭될 수도 있다.
카세트는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조립체 내에 수용될 때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를 덮기 위한 용기 커버; 및 용기 커버를 하우징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편향 부재(biasing memb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 커버는 사용자의 투여량 전달 부위에 대해 직접적으로 눌리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편향 부재는 압축 스프링일 수도 있다. 편향 부재는 용기 커버와 하우징 사이에서 압축될 수도 있다.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는 통상적으로 바늘이다. 따라서, 용기 커버는 바늘 커버일 수도 있다.
용기 커버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우징에 대해 회전 불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회전자는 용기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회전자는 맞물림 가능한 회전자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 커버는 회전자 구조체와 맞물리는 커버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 구조체는 원위 방향으로의 용기 커버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회전자 구조체의 제 1 위치로부터 회전자 구조체의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커버 구조체는 근위 방향으로의 용기 커버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회전자 구조체의 제 2 위치로부터 회전자 구조체의 제 3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커버 구조체가 회전자 구조체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회전자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커버 구조체가 회전자 구조체의 제 2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할 때, 회전자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커버 구조체가 제 1, 제 2 및 제 3 위치를 취할 때, 용기 커버도 회전자에 대해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위치를 취한다.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는 제 1 위치 및 제 3 위치 각각에서 용기 커버에 의해 덮일 수도 있다.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는 제 2 위치에서 용기 커버에 의해 노출될 수도 있다. 커버 구조체는 핀(pin)일 수도 있다. 회전자 구조체는 트랙(track)일 수도 있다.
회전자는 2개의 그러한 맞물림 가능한 회전자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용기 커버는 2개의 그러한 맞물림 커버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2개의 회전자 구조체는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 또는 대향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2개의 커버 구조체는 종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 또는 대향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커버 구조체 및 회전자 구조체는 커버 구조체가 회전자 구조체의 제 3 위치와 맞물릴 때 용기 커버가 회전자에 잠기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 커버는 약물 용기로부터의 약물 배출 후에 회전자에 잠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는 용기 커버의 원위 이동에 의해 두 번째로 노출될 수 없다.
회전자 구조체는 제 2 위치와 제 3 위치 사이에 배열된 가요성 회전자 아암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자 아암은, 커버 구조체가 회전자 구조체를 따라 제 2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할 때 중립 위치로부터 예컨대 반경방향 내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회전자 아암은 커버 구조체가 회전자 아암을 통과할 때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카세트는 용기 캐리어가 하우징 내로 삽입될 때 용기 캐리어를 하우징에 대해 종축 주위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배열체(guide arrangement)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안내 배열체는 예컨대 용기 캐리어 상의 하나 이상의 캐리어 안내면 및 하우징 상의 하나 이상의 하우징 안내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내 배열체는 종축을 따른 용기 캐리어와 하우징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종축 주위로 규정된 회전 관계로 용기 캐리어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카세트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가 제공된다. 약물 전달 장치는 "일체형(all in one)" 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 용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전기 구동 배열체(electric drive arrangement) 및 구동 배열체를 가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 베이스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세트는 베이스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할 수 있으며, 카세트가 베이스 유닛에 부착될 때 원위 방향으로의 용기 커버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가동시키도록 배열된 스위치 가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 배열체는 카세트가 베이스 유닛에 부착되고 스위치가 가동될 때 약물 용기로부터의 약물의 배출을 구동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약물 용기가 장착된 카세트는 베이스 유닛에 부착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약물 전달 장치를 잡고 용기 커버를 사용자의 투여량 전달 부위에 놓을 수도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용기 커버가 약물 전달 장치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원위로 이동하도록 약물 전달 장치를 투여량 전달 부위를 향해 근위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용기 커버의 원위 이동은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예컨대, 주사기의 바늘)를 노출시킬 뿐만 아니라, 스위치 가동부가 스위치를 가동시키고 이에 따라 구동 배열체를 가동시켜서 약물 용기로부터 투여량 전달 부위로의 약물의 배출을 개시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는 용기 커버를 사용자 내로의 약물 전달을 개시하기 위한 트리거로서 사용한다.
베이스 유닛은 복수 회 사용될 수도 있다. 베이스 유닛은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유닛은 파워팩(powerpack)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구동 배열체는 예컨대 배터리, 전기 모터, 체인 구동기 및 플런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 유닛은 또한 카세트가 베이스 유닛에 부착될 때 가동되도록 배열된 추가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위치 가동부는 용기 커버에 대해 고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위치 가동부는 용기 커버의 일체형 부분일 수도 있다.
스위치 가동부는 스위치를 가동시키기 위해 원위 방향으로의 용기 커버의 이동에 응답하여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위치 가동부는 용기 커버의 원위 이동에 응답하여 스위치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스위치는 스위치 가동부에 의해 수동 상태(passive state)로부터 능동 상태(active state)로 이동 가능한 레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레버는 예컨대 수동 상태와 능동 상태 사이에서 기울어질 수도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가 제공되는데, 약물 전달 장치는, 전기 구동 배열체 및 구동 배열체를 가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 베이스 유닛; 베이스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카세트― 카세트는, 약물을 포함한 약물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에 수용될 때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를 덮기 위한 용기 커버, 및 카세트가 베이스 유닛에 부착될 때 원위 방향으로의 용기 커버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스위치를 가동시키도록 배열된 스위치 가동부를 포함함 ―를 포함하고, 구동 배열체는 카세트가 베이스 유닛에 부착되고 스위치가 가동될 때 약물 전달 부재로부터의 약물의 배출을 구동하도록 배열된다. 구동 배열체, 스위치, 하우징, 용기 커버 및 스위치 가동부 중 하나, 여러 개 또는 각각은 본 개시에 따른 임의의 유형일 수도 있다. 카세트는 용기 커버를 하우징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강제하도록 배열된 압축 스프링과 같은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위치 가동부는 전달 부재 커버에 대해 고정될 수도 있다. 스위치 가동부는 스위치를 가동시키기 위해 원위 방향으로의 용기 커버의 이동에 응답하여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카세트는 본 개시에 따른 회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세부사항, 이점 및 태양은 도면과 함께 취해진 하기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인데, 도면에서,
도 1은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는 조립체의 용기 캐리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3은 조립체의 회전자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4는 조립체 및 약물 용기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는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6은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7은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8은 약물 전달 장치의 부분 단면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9는 약물 전달 장치의 용기 커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0은 조립체의 회전자의 다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11은 카세트의 하우징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 및 카세트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적 특징을 표시하기 위해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1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조립체(10)는 용기 캐리어(12) 및 회전자(14)를 포함한다. 도 1은 근위 방향(16) 및 원위 방향(18)을 추가로 표시한다. 도 2는 용기 캐리어(12)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3은 회전자(14)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총체적으로 참조하면, 용기 캐리어(12)는 종축(20)을 따라 연장된다. 용기 캐리어(12)는 캐리어 본체(22)를 포함한다. 캐리어 본체(22)는 중공이고 종축(20)에 대해 동심이다.
용기 캐리어(12)는 2개의 가요성 캐리어 아암(24)을 더 포함한다. 이 예의 용기 캐리어(12)는 2개의 캐리어 아암(24)을 포함하지만, 용기 캐리어(12)는 대안적으로 오직 하나의 캐리어 아암(24) 또는 2개보다 많은 캐리어 아암(24)을 포함할 수도 있다. 2개의 캐리어 아암(24)은 대응하는 디자인을 갖는다.
용기 캐리어(12)는 2개의 돌출부(26)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26)는 종축(20)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종축(20)에 대해 반대 위치에 배열된다. 돌출부(26)는 캐리어 본체(22)의 원위 단부에 배열된다.
각각의 캐리어 아암(24)은 캐리어 본체(22)로부터 종축(20)에 평행하게 원위 방향(18)으로 연장된다. 2개의 캐리어 아암(24)은 종축(20)에 대해 반대 위치에 배열된다.
회전자(14)는 내면 및 외면을 갖는 관형체인 중공 회전자 본체(28)를 포함한다. 이 예의 회전자 본체(28)는 원통형이다.
회전자(14)는 2개의 관통 구멍(30)을 더 포함한다. 관통 구멍(30)의 수는 캐리어 아암(24)의 수에 대응한다. 2개의 관통 구멍(30)은 대응하는 디자인을 갖는다. 각각의 관통 구멍(30)은 종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각각의 관통 구멍(30)은 종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된다.
관통 구멍(30)은 회전자 본체(28)의 반경방향 외측에, 즉 종축(2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각 관통 구멍(30)은 회전자 본체(28)의 원위 단부에 배열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관통 구멍(30)은 호 형상이고, 종축(20)에 대해 중심 설정되어 있다. 종축(20)에 대한 각각의 관통 구멍(30)의 각도 연장부는 대략 90°이다. 이 예의 관통 구멍(30)이 회전자 본체(28)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열되지만, 관통 구멍(30)이 회전자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서 종축(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도 실현 가능하다.
용기 캐리어(12)는 회전자(14)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4)가 용기 캐리어(12)에 의해 수용될 때, 각각의 캐리어 아암(24)은 대응하는 관통 구멍(30)을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또한 관통 구멍들(30)은 종축(20)에 대해 반대 위치에 배열된다.
각각의 캐리어 아암(24)은 맞물림 아암 구조체(32)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맞물림 아암 구조체(32)는 여기에서는 (종축(20)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리세스로서 예시된다. 맞물림 아암 구조체(32)는 각각의 캐리어 아암(24)의 원위 단부에 제공된다.
회전자(14)가 용기 캐리어(12)에 의해 수용될 때, 회전자 본체(28)의 근위 대향 환형 표면이 캐리어 본체(22)의 원위 대향 표면에 접하고 캐리어 아암(24)의 원위 단부는 관통 구멍(30)으로부터 원위로 돌출한다. 이에 의해, 맞물림 아암 구조체(32)가 노출된다. (종축(20)을 따른) 각각의 캐리어 아암(24)의 길이는 회전자 본체(28)의 길이(이 예에서 회전자(14)의 길이와 동일함)보다 더 길다.
또한, 회전자(14)가 용기 캐리어(12)에 의해 수용될 때, 회전자(14)는 용기 캐리어(12)에 대해 종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예에서, 회전자(14)는 용기 캐리어(12)에 대해 대략 30°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용기 캐리어(12)는 캐리어 안내면(34)을 더 포함한다. 이 예의 캐리어 안내면(34)은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종축(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연장된다. 캐리어 안내면(34)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안내 배열체의 일 예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4는 조립체(10) 및 조립체(10) 내에 수용된 약물 용기(36)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약물 용기(36)는 사용자에게 전달, 예컨대 주입되기 위한 약물을 포함한다. 이 예의 약물 용기(36)는 원위 플랜지(38), 및 근위 단부(40)를 갖는 바늘을 포함하는 주사기이다. 약물 용기는 또한 카트리지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약물 용기일 수도 있다.
약물 용기(36)를 근위 방향(16)으로 조립체(10) 내로 삽입하는 동안, 플랜지(38)가 종축(20)을 따라 맞물림 아암 구조체(32)와 정렬될 때까지 플랜지(38)는 초기에 각각의 캐리어 아암(24)의 원위 단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낸다. 이 위치에서, 캐리어 아암(24)의 탄성에 의해 맞물림 아암 구조체(32)가 플랜지(38)에 스냅되어 플랜지(38)와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이에 의해 약물 용기(36)는 조립체(10)에 대해 잠겨서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조립체(10) 내로 삽입될 때, 약물 용기(36)는 캐리어 본체(22) 내부 및 회전자 본체(28) 내부에 수용된다.
도 5는 약물 전달 장치(42)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약물 전달 장치(42)는 베이스 유닛(44) 및 카세트(46)를 포함한다. 카세트(46)는 조립체(10)를 포함한다.
카세트(46)는 베이스 유닛(44)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도 5는 베이스 유닛(44)에 부착된 카세트(46)를 도시한다. 카세트(46)는 일회용이고, 베이스 유닛(44)은 다수의 사용을 위해 설계된다.
도 6은 약물 전달 장치(42)의 부분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7은 약물 전달 장치(42)의 부분 단면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8은 약물 전달 장치(42)의 부분 단면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을 총체적으로 참조하면, 카세트(46)는 하우징(48)을 포함한다. 하우징(48)은 조립체(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의 하우징(48)은 개략적으로 원통형이며 종축(20)에 대해 동심인 관형체이다. 하우징(48)은 내부 부분(50)(도 11 참조)을 포함한다.
하우징(48)은 여기서는 탭으로 예시된 2개의 가요성 부재(52)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가요성 부재(52)는 용기 캐리어(12)의 각각의 돌출부(26)와 맞물린다. 따라서, 조립체(10)를 근위 방향(16)으로 하우징(48) 내에 삽입함으로써, 가요성 부재(52)는 돌출부(26) 위에 스냅된다. 이에 의해, 조립체(10)는 축방향으로 하우징(48)에 잠긴다.
카세트(46)는 용기 커버(54)를 더 포함한다. 용기 커버(54)는 하우징(48)에 대해 종축(20)을 따라 도시된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도시되지 않음)로 이동 가능하다. 근위 위치에서, 용기 커버(54)는 약물 용기(36)의 근위 단부(40)를 덮는다. 용기 커버(54)는 종축(20)에 대해 동심이다. 또한, 용기 커버(54)는 종축(20)을 중심으로 하우징(48)에 대해 회전 고정(rotationally locked)된다.
이 예의 카세트(46)는 편향 부재 커버(56)를 더 포함한다. 편향 부재 커버(56)는 개략적으로 원통형이고 종축(20)에 대해 동심이다. 편향 부재 커버(56)는 내부 부분(50)과 맞물리는 후크(58) 및 반경방향 단차부에 의해 하우징(48)에 축방향으로 잠긴다.
카세트(46)는 편향 부재(60)를 더 포함한다. 이 예에서, 편향 부재(60)는 종축(20)에 대해 동심인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편향 부재(60)는 반경방향으로 편향 부재 커버(56) 내부에 배열된다. 편향 부재(60)는 용기 커버(54)와 편향 부재 커버(56)의 반경방향 단차부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에 의해 편향 부재(60)는 용기 커버(54)를 하우징(48)에 대해 근위 방향(16) 쪽으로 밀어내도록 배열된다.
베이스 유닛(44)은 전기 구동 배열체(62) 및 스위치(64)를 포함한다. 구동 배열체(62)는 약물 용기(36)로부터의 약물의 배출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64)는 구동 배열체(62)를 가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예의 베이스 유닛(44)은 또한 카세트(46)가 베이스 유닛(44)에 연결될 때를 탐지하기 위한 추가 스위치(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 특정 예의 구동 배열체(62)는 배터리(66), 인쇄 회로 기판(PCB)(68), 배터리(66)에 의해 급전되는 전기 모터(70), 롤러 체인(72) 및 스프로킷(74)을 갖는 체인 구동기, 및 플런저(76)를 포함한다. 스프로킷(74)은 변속기(표기되지 않음)를 거쳐서 전기 모터(70)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예의 스위치(6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동 상태와 능동 상태 사이에서 기울일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한다. 스위치(64)는 PCB(68) 상에 배열된다. 도시된 수동 상태에서, 레버는 PCB(68)로부터 상승된다. 능동 상태에서, 레버는 PCB(68)로 하강된다.
용기 커버(54)는 스위치 가동부(78)를 포함한다. 스위치 가동부(78)는 원위 방향(18)으로의 용기 커버(54)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스위치(64)를 가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이 예에서, 스위치 가동부(78)는 용기 커버(54)의 원위 이동에 의해 스위치(64)를 수동 상태로부터 능동 상태로 누르도록 배열된다.
이 예의 스위치 가동부(78)는 용기 커버(54)의 일체형 부분이다. 스위치 가동부(78)는 용기 커버(54)의 원위 단부에 배열된다.
도 9는 용기 커버(54)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용기 커버(54)는 커버 본체(80) 및 커버 본체(80)로부터 종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원위로 연장되는 2개의 커버 아암(82)을 포함한다. 커버 아암(82)은 종축(20)에 대해 반대 위치에 배열된다. 도 9에서는, 스위치 가동부(78)가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예의 용기 커버(54)가 2개의 커버 아암(82)을 포함하지만, 용기 커버(54)는 대안적으로 오직 하나의 커버 아암(82), 또는 2개보다 많은 커버 아암(8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용기 커버(54)는 2개의 커버 구조체(84)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커버 구조체(84)는 커버 아암(82)의 원위 영역에 배열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커버 구조체(84)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핀이다.
도 10은 회전자(14)의 다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회전자(14)는 2개의 맞물림 가능한 회전자 구조체(86)(도 10에서는 하나만 볼 수 있음)를 포함한다. 회전자 구조체(86)는 종축(20)에 대해 반대 위치에 배열된다. 각각의 회전자 구조체(86)는 커버 구조체(84) 중 하나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각 회전자 구조체(86)는 커버 구조체(84) 중 하나가 추종하도록 구성된 트랙이다. 회전자 구조체(86)는 제 1 위치(88), 제 2 위치(90) 및 제 3 위치(92)를 포함한다.
회전자 구조체(86)는 가요성 회전자 아암(94)을 더 포함한다. 회전자 아암(94)은 제 2 위치(90)와 제 3 위치(92) 사이에서 트랙을 따라 배열된다.
커버 구조체(84)가 회전자 구조체(86)의 제 1 위치(88)와 맞물릴 때, 약물 용기(36)의 근위 단부(40)는 용기 커버(54)에 의해 덮인다. 용기 커버(54)가 원위로 밀리면, 커버 구조체(84)는 제 1 위치(88)로부터 제 2 위치(90)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동안, 회전자(14)는 종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커버 구조체(84)가 회전자 구조체(86)의 제 2 위치(90)와 맞물릴 때, 약물 용기(36)의 근위 단부(40)가 노출된다. 그 후, 용기 커버(54)는 편향 부재(60)로부터의 힘에 의해 제 2 위치(90)로부터 제 3 위치(92)로 근위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 동안, 회전자 아암(94)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편향된다. 커버 구조체(84)가 회전자 아암(94) 위로 지나갈 때, 회전자 아암(94)은 중립 상태(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음)로 복귀하고, 이에 의해 커버 구조체(84)가 제 3 위치(92)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 커버(54)가 잠긴다.
도 11은 하우징(48)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하우징(48)은 내부 부분(50) 상에 배열된 하우징 안내면(96)을 포함한다. 하우징 안내면(96)은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종축(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연장된다. 하우징 안내면(96)은 조립체(10)를 하우징(48) 내에 삽입하는 동안 용기 캐리어(12)의 캐리어 안내면(34)과 협력하여 용기 캐리어(12)가 하우징(48)에 회전 고정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캐리어 안내면(34)과 하우징 안내면(9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안내 배열체의 일 예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약물 전달 장치(42)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다. 사용자는 약물 용기(36)를 포함하는 카세트(46)를 베이스 유닛(44)에 연결한다. 그 후, 사용자는 베이스 유닛(44)의 전원을 켤 수도 있다. 베이스 유닛(44)의 추가 스위치는 카세트(46)가 베이스 유닛(44)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한다.
그 후, 사용자는 용기 커버(54)가 투여량 전달 부위와 접촉하도록 약물 전달 장치(42)를 투여량 전달 부위 쪽으로 가져간다. 그 후, 약물 전달 장치(42)를 투여량 전달 부위에 대고 누른다. 이에 의해 용기 커버(54)가 약물 전달 장치(4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원위로 이동하고 스위치 가동부(78)가 스위치(64)를 가동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단지 약물 전달 장치(42)를 투여량 전달 부위에 대고 누르는 것만으로 투여량 전달 기능이 작동된다.
베이스 유닛(44)은 약물 전달의 개시를 나타내는 LED(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약물 전달이 완료되면 청각 및/또는 촉각 신호가 발행될 수도 있다.
약물 전달 장치(42)가 투여량 전달 부위로부터 제거될 때, 편향 부재(60)는 다시 약물 용기(36)의 근위 단부(40)를 덮도록 용기 커버(54)를 근위로 압박한다. 이것은 또한 커버 구조체(84)가 회전자 구조체(86)의 제 3 위치(92)와 맞물리도록 하여 용기 커버(54)가 잠기도록 한다. 스위치(64)는 용기 커버(54)가 다시 근위로 이동할 때 해제된다. 이것은 구동 배열체(62)가 플런저(76)의 후퇴를 포함하는 초기 상태로 다시 이동하게 한다. 그 후, 카세트(46)는 베이스 유닛(44)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된다. 추가 투여량 전달을 위해 다른 카세트(46)가 베이스 유닛(44)에 다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부품의 치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약물 용기(36)를 수용하기 위한 조립체(10)에 있어서,
    - 종축(10)을 따라 연장되는 용기 캐리어(12)― 상기 용기 캐리어(12)는 캐리어 본체(22), 및 상기 캐리어 본체(22)로부터 상기 종축(2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요성 캐리어 아암(24)을 포함함 ―; 및
    - 중공 회전자 본체(28) 및 상기 종축(2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30)을 포함하는 회전자(14)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구멍(30)은 반경방향으로 상기 종축(20)에 대해 상기 회전자 본체(28)의 외측에 배열되고,
    상기 용기 캐리어(12)는, 상기 캐리어 아암(24)이 상기 관통 구멍(30)을 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회전자(14)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회전자(14)는 상기 종축(20)을 중심으로 그리고 상기 용기 캐리어(12)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아암(24)은, 상기 회전자(14)가 상기 용기 캐리어(12)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약물 용기(36)가 상기 조립체(10)에 의해 수용될 때, 상기 약물 용기(36)의 플랜지와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약물 용기(36)를 상기 종축(20)을 따라 잠그도록 배열된 맞물림 아암 구조체(engaging arm structure)(32)를 포함하는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맞물림 아암 구조체(32)는 리세스(recess)인
    조립체.
  4. 약물 용기(36)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46)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립체(10)를 포함하는
    카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 상기 조립체(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48);
    - 상기 조립체(10) 내에 수용될 때 상기 약물 용기(36)의 근위 단부(40)를 덮기 위한 용기 커버(54); 및
    - 상기 용기 커버(54)를 상기 하우징(48)에 대해 근위 방향(16)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열된 편향 부재(biasing member)를 더 포함하는
    카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커버(54)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48)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카세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4)는 상기 용기 커버(54)에 대해 회전 가능한
    카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4)는 맞물림 가능한 회전자 구조체(engageable rotator structure)(86)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커버(54)는 상기 회전자 구조체(86)와 맞물리는 커버 구조체(84)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구조체(84)는 원위 방향(18)으로의 상기 용기 커버(54)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자 구조체(86)의 제 1 위치(88)로부터 상기 회전자 구조체(86)의 제 2 위치(90)로 이동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커버 구조체(84)는 근위 방향(16)으로의 상기 용기 커버(54)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위치(90)로부터 상기 회전자 구조체(86)의 제 3 위치(92)로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카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84)와 상기 회전자 구조체(86)는, 상기 커버 구조체(84)가 상기 회전자 구조체(86)의 상기 제 3 위치(92)와 맞물릴 때 상기 용기 커버(54)가 상기 회전자(14)에 잠기도록 배열되는
    카세트.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구조체(86)는 상기 제 2 위치(90)와 상기 제 3 위치(92) 사이에 배열된 가요성 회전자 아암(94)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 아암(94)은, 상기 커버 구조체(84)가 상기 회전자 구조체(86)를 따라 상기 제 2 위치(90)로부터 상기 제 3 위치(92)로 이동할 때 중립 위치로부터 편향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회전자 아암(94)은 상기 커버 구조체(84)가 상기 회전자 아암(94)을 통과할 때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하도록 배열되는
    카세트.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캐리어(12)가 상기 하우징(48)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용기 캐리어(12)를 상기 하우징(48)에 대해 상기 종축(20) 주위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배열체(guide arrangement)(34, 96)를 더 포함하는
    카세트.
  12.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세트(46)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42).
  13. 제 12 항에 있어서,
    - 전기 구동 배열체(electric drive arrangement)(62) 및 상기 구동 배열체(62)를 가동시키기 위한 스위치(64)를 갖는 베이스 유닛(4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46)는 상기 베이스 유닛(44)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고, 상기 카세트(46)는, 상기 카세트(46)가 상기 베이스 유닛(44)에 부착될 때 원위 방향(18)으로의 상기 용기 커버(54)의 축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치(64)를 가동시키도록 배열된 스위치 가동부(78)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배열체(62)는 상기 카세트(46)가 상기 베이스 유닛(44)에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64)가 가동될 때 상기 약물 용기(36)로부터의 약물의 배출을 구동하도록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동부(78)는 상기 용기 커버(54)에 대해 고정되는
    약물 전달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동부(78)는 상기 스위치(64)를 가동시키기 위해 원위 방향(18)으로의 상기 용기 커버(54)의 이동에 응답하여 원위 방향(18)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0227019171A 2019-12-09 2020-11-11 조립체, 카세트 및 약물 전달 장치 KR202200933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4361 2019-12-09
EP19214361.8 2019-12-09
PCT/EP2020/081708 WO2021115706A1 (en) 2019-12-09 2020-11-11 Assembly, cassette and medicament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369A true KR20220093369A (ko) 2022-07-05

Family

ID=6883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171A KR20220093369A (ko) 2019-12-09 2020-11-11 조립체, 카세트 및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87730A1 (ko)
EP (1) EP4072625B1 (ko)
JP (1) JP7319469B2 (ko)
KR (1) KR20220093369A (ko)
CN (1) CN114728125B (ko)
WO (1) WO2021115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3657A1 (en) * 2021-11-10 2023-05-19 Shl Medical Ag Sub-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70581A1 (en) 2012-04-18 2013-10-24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container retaining mechanism
US9248242B2 (en) 2012-04-20 2016-02-02 Safety Syringes, Inc. Anti-needle stick safety device for injection device
WO2014095424A1 (en) * 2012-12-21 2014-06-26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KR101960778B1 (ko) * 2014-09-01 2019-03-21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약물 전달 장치용 신호 지연 어셈블리
WO2017198383A1 (en) * 2016-05-18 2017-11-23 Carebay Europe Ltd. Administration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3323448A1 (en) * 2016-11-18 2018-05-23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3348294A1 (en) * 2017-01-13 2018-07-18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TWI668025B (zh) * 2017-04-21 2019-08-11 瑞士商瑞健醫療股份有限公司 用於藥物輸送裝置的施用組合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2625B1 (en) 2023-08-16
JP2023505370A (ja) 2023-02-08
WO2021115706A1 (en) 2021-06-17
EP4072625A1 (en) 2022-10-19
US20220387730A1 (en) 2022-12-08
CN114728125A (zh) 2022-07-08
JP7319469B2 (ja) 2023-08-01
CN114728125B (zh)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2989B2 (ja) 注射装置
EP2624882B1 (en) Locking and retaining mechanism for the needle guard sleeve of an injection device
KR101716593B1 (ko) 약물 전달 장치
KR101544662B1 (ko) 레버를 갖는 로킹 기구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US20050101919A1 (en) Device for an injector
US20240173482A1 (en) Drive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N109069745B (zh) 注射装置
KR102105750B1 (ko) 약물 전달 장치
CN114746133A (zh) 反馈机构
EP4173655A1 (en) Autoinjector
CN113474025A (zh) 具有声频指示器的自动注射器
KR20220093369A (ko) 조립체, 카세트 및 약물 전달 장치
CN110022917B (zh) 用于药剂输送装置的反馈元件
EP3423131B1 (en) Automatic delivery device with end of injection indication device
CN113474028B (zh) 带有针盖的自动注射器
EP4173659A1 (en) Autoinjector, method of activating an autoinj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utoinjector
RU2781570C1 (ru) Автоинъектор с кожухом иглы
RU2781218C1 (ru) Автоинъектор с закрепляющей скобой
EP4173653A1 (en) Release mechanism of autoinjector
JP2024501680A (ja) 薬剤送達デバイス
WO2023073048A1 (en) Autoinjector, method of activating an autoinj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autoinjector
WO2023073055A1 (en) Release mechanism of autoinjector
WO2023073058A1 (en) Autoinj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