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159A -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159A
KR20220093159A KR1020227018208A KR20227018208A KR20220093159A KR 20220093159 A KR20220093159 A KR 20220093159A KR 1020227018208 A KR1020227018208 A KR 1020227018208A KR 20227018208 A KR20227018208 A KR 20227018208A KR 20220093159 A KR20220093159 A KR 20220093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hole
polarizer
image display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코 시나가와
츠요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9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 H01L51/529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단부 근방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관통공 주변의 크랙이 현저하게 억제된 편광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과, 점착제층을 갖는다. 편광판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10㎛ 미만이다. 관통공의 직경은 5mm 이하이며, 관통공은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화상 표시를 실현하고, 및/또는 상기 화상 표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편광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터치 패널식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카메라가 탑재된 화상 표시 장치가 널리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카메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도 또한 널리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이러한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에 있어서는 관통공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각종 검토 사항이 있다.
국제공개 제2017/04751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단부 근방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으로서, 관통공 주변의 크랙이 현저하게 억제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과, 점착제층을 갖는다. 상기 편광판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10㎛ 미만이다. 상기 관통공의 직경은 5mm 이하이며, 상기 관통공은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8㎛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6㎛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유리판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상기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어긋남량이 12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공은 2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은 모두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은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은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의 세트가 제공된다. 이 편광판의 세트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편광판의 관통공이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상기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상기 편광판의 세트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의 세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편광판은 상기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편광판은 상기 화상 표시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부 근방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에 있어서, 관통공의 직경과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편광자의 두께를 조합하여 최적화함으로써, 관통공 주변의 크랙이 현저하게 억제된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에 있어서 관통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편광판의 II-II선에 의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에 있어서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어긋남을 설명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면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길이, 폭, 두께 등의 비율,및 각도 등은 실제와는 상이하다.
A. 편광판
A-1. 편광판의 전체 구성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a의 편광판의 II-II선에 의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편광판(100)은 편광자(11)와, 편광자(11)의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이하, 외측 보호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12)과, 편광자(11)의 다른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이하, 내측 보호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13)과, 점착제층(20)을 갖는다. 목적 및 소망의 구성 등에 따라 외측 보호층(12) 또는 내측 보호층(13) 중 어느 일방은 생략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자(11)의 두께는 1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이며, 또한 예를 들면 2㎛ 이상일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이면 관통공의 직경의 최적화 및 관통공의 형성 위치의 최적화에 의한 효과와의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편광자(11)의 흡수축은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편광판(100)은 대표적으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이라고 할 때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정점이 모따기된 R 형상과 같은 이형 가공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100)에는 관통공(3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가 카메라를 내장하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30)은 대표적으로는 편광판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도시예와 같이 모퉁이부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을 편광판의 단부 또는 그 근방에 형성함으로써, 편광판이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었을 경우에 화상 표시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관통공(30)의 평면으로 본 형상은 목적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소망의 구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예로서는 도시예와 같은 대략 원형을 들 수 있다. 관통공은, 예를 들면 레이저 가공, 엔드밀에 의한 절삭 가공, 톰슨 날이나 피나클(등록상표) 날에 의한 펀칭 가공 등 각종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의 직경은 대표적으로는 5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mm∼5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4mm이다. 관통공의 직경이 이러한 범위이면 편광자의 두께의 최적화 및 관통공의 형성 위치의 최적화에 의한 효과와의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30)은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은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장변으로부터 9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9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부 근방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경우이어도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자인상의 요청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카메라부가 최대한 단부에 형성되는 경우이어도 적용가능하며,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공업상 및 상업상의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장변으로부터 관통공까지의 거리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변과 직교하는 방향(즉, 단변이 신장하는 방향)에 있어서 장변과 관통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 장변(즉, 편광판의 외주)으로부터 관통공의 편광판 외주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마찬가지로, 단변으로부터 관통공까지의 거리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과 직교하는 방향(즉, 장변이 신장하는 방향)에 있어서 단변과 관통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서 단변(즉, 편광판의 외주)으로부터 관통공의 편광판 외주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관통공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도시예에서는 2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공의 개수는 3개이어도 좋고, 4개 이상이어도 좋다. 관통공이 예를 들면 도 1c와 같이 2개 형성되는 경우, 2개의 관통공은 모두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은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장변으로부터 9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9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이 예를 들면 도 1c와 같이 2개 형성되는 경우, 이들은 1개의 가늘고 긴 타원형의 관통공으로 치환되어도 좋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판(100)은 점착제층(20)을 개재하여 편광판(100)을 유리판(화상 표시 셀의 기판에 대응할 수 있음)(120)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상기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어긋남량(D)이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어긋남량(D)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어긋남량(D)의 하한은, 예를 들면 10㎛일 수 있다. 어긋남량(D)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에 관통공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편광판의 최대 부분을 말한다. 관통공 부분의 기준은 대표적으로는 점착제층의 하단부일 수 있다. 즉, 편광판이 주로 편광자(11)의 수축에 기인하여 (도시예에서는 우측으로) 어긋날 때에 점착제층(20)이 점착한 유리판(120)에 머무름으로써, 관통공 부분에 어긋남이 인식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 관통공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어긋남과 아울러(도 3 우측), 그 대향하는 부분은 관통공으로 비어져 나오도록 어긋난다(도 3 좌측). 이렇게,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어긋남은 실질적으로는 점착제층의 어긋남이다. 어긋남량(D)이 이러한 범위이면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어긋남에 기인하는 광누설을 작게 할 수 있다.
관통공의 직경(R)에 대한 어긋남량(D)의 비율(D/R)은 바람직하게는 5%∼3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D/R이 이러한 범위이면 관통공 주변의 크랙 및 광누설을 모두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의 중심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에 대한 관통공 부분의 잔류 응력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77% 이하이다. 상기 비는 관통공의 직경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관통공의 직경이 3mm∼5mm(예를 들면, 4mm)인 경우에는 상기 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8%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이다. 관통공의 직경이 3mm 미만(예를 들면, 2mm)인 경우에는 상기 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6%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4%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2% 이하이다. 상기 비의 하한은 관통공의 직경에 관계 없이 예를 들면 50%일 수 있다. 잔류 응력의 비가 이러한 범위이면 관통공 주변의 크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잔류 응력의 비는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상기 어긋남량(D)을 조합하여 조정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관통공 부분의 잔류 응력」이란, 관통공 외주부에서 잔류 응력이 최대가 되는 부분의 잔류 응력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 기능층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광학 기능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위상차층, 터치 패널용 도전층, 반사형 편광자를 들 수 있다. 편광판에 장착되는 광학 기능층의 종류, 수, 조합, 배치 위치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애스펙트비가 바람직하게는 1.3∼2.5이다. 이 경우, 편광판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세로 145mm∼155mm 및 가로 65mm∼75mm, 또는 세로 230mm∼240mm 및 가로 140mm∼150mm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형 PC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 사이즈로서는, 예를 들면 세로는 120mm∼200mm이어도 좋고, 폭은 30mm∼120mm 이어도 좋다.
이하,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 보호층 및 점착제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2. 편광자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2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편광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고 칭함) 필름이다.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좋다.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PVA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대표적으로는 1축 연신)가 실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면 PVA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7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행해도 좋고, 염색하면서 행해도 좋다. 또한, 연신하고나서 염색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 PVA계 수지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염색 전에 PVA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PVA계 수지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VA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켜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계 수지층(PVA계 수지 필름)의 적층체, 또는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를 들면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수지 기재 상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얻는 것; 상기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하여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를 들면, 95℃ 이상)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즉, 수지 기재를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해도 좋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상기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12-73580호 공보, 일본특허 제64704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편광자의 두께는 상기 A-1항에 기재한 바와 같다.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nm∼780nm 중 어느 하나의 파장에서 흡수 2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예를 들면 41.5%∼46.0%이며, 바람직하게는 43.0%∼4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46.0%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
A-3. 보호층
보호층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스티렌계, 포리노르보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타)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타)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예를 들면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1-343529호 공보(WO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외측 보호층(12)(특히 편광판이 시인측 편광판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또는, 외측 보호층(12)에는 필요에 따라 편광 선글라스를 통해 시인하는 경우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처리(대표적으로는 (타)원 편광 기능을 부여하는 것, 초고위상차를 부여하는 것)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 등의 편광 렌즈를 통해 표시 화면을 시인했을 경우이어도 우수한 시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은 옥외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내측 보호층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인」이란, 면내 위상차 Re(550)이 0nm∼10nm이며, 두께방향의 위상차 Rth(550)이 -10nm∼+10nm인 것을 말한다. 여기서, 「Re(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에 의해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예를 들면, 「Re(550)」은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에 의해 측정한 두께방향의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라고 했을 때, 식: Re(λ)=(nx-ny)×d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Rth(λ)」는 23℃에 있어서의 파장 λnm의 광에 의해 측정한 두께방향의 위상차이다. 예를 들면, 「Rth(550)」은 23℃에 있어서의 파장 550nm의 광에 의해 측정한 두께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라고 했을 때, 식: Rth(λ)=(nx-nz)×d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방향의 굴절률이다.
보호층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50㎛이며,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또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보호층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시킨 두께이다.
A-4. 점착제층
점착제층(20)은 대표적으로는 편광판을 화상 표시 셀에 접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대표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점착제 조성물의 고형분 중, 예를 들면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비율로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될 수 있다.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1개∼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3개∼9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6개이다. 바람직한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부틸아크릴레이트이다.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공중합 모노머)로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에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방향환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복소환 함유 비닐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 모노머의 대표예로서는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란 커플링제 및/또는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산화 방지제 및/또는 도전제를 함유해도 좋다. 모노머 단위의 종류, 수, 조합 및 공중합비, 실란 커플링제의 종류, 수, 조합 및 배합비, 및 가교제의 종류, 수, 조합 및 배합비 등을 조정함으로써, 목적에 따른 소망의 특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결과적으로 점착제층)이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소망의 어긋남량(D)을 실현할 수 있다. 점착제층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상세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6-18302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5-19994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8-05311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6-190996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8/008712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이러한 범위이면 상기 소망의 어긋남량(D)을 실현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4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G')은 바람직하게는 1.0×105(Pa)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6(P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7(Pa)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08(Pa) 이상이다. 저장 탄성률(G')은, 예를 들면 1.0×109(Pa) 이하일 수 있다. 점착제층의 -4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이러한 범위이면 상기 소망의 어긋남량(D)을 실현할 수 있다.
B. 편광판의 세트
상기 A항에 기재된 편광판은 시인측 편광판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배면측 편광판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상기 A항에 기재된 편광판 중 특정 2개의 실시형태의 편광판을 조합함으로써 편광판의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그러한 편광판의 세트도 포함한다. 편광판의 세트에 있어서 상기 세트를 구성하는 2개의 편광판은 각각의 관통공이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란, 2개의 편광판을 포개었을 때에 관통공이 겹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판의 세트는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는 편광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2개의 편광판의 관통공은 대표적으로는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 장변으로부터 9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7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9mm 이내의 위치;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5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5mm 이내의 위치;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변으로부터 3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3mm 이내의 위치;이며, 또한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C.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 및 편광판의 세트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표시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상기 A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이다. 편광판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셀에 접합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과 편광판의 세트를 포함한다. 편광판의 세트는 상기 B항 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편광판의 세트이다. 이 경우, 편광판의 세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편광판은 상기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편광판은 상기 화상 표시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장치, 양자 도트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 또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1) 어긋남량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유리판(마츠나미 글라스사제, 세로 350mm×가로 250mm×두께 1.1mm)에 부착하여 시험 샘플로 했다. 이 시험 샘플을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했다. 히트 쇼크 시험에 있어서의 승온 및 강온속도는 10℃/분이었다. 시험 후, 관통공 부분의 편광판(실질적으로는 점착제층)의 어긋남량을 OLYMPUS사제의 광학 현미경(MX61L)으로 측정했다. 또한, 측정은 3개의 시험 샘플에 대해 행하고, 3개의 측정값 중 최대값을 어긋남량으로 했다.
(2) 크랙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상기 (1)의 「어긋남량」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했다. 시험 후의 관통공 부분의 크랙의 발생 상태를 OLYMPUS사제의 광학 현미경(MX61L)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서 평가했다.
AA: 크랙은 확인되지 않았음
A: 길이 300㎛ 미만의 작은 크랙만이 확인되었음
B: 길이 300㎛∼1mm의 크랙이 확인되었지만, 광누설은 발생하지 않았음
C: 크랙이 현저하며, 광누설이 발생했음
<제조예 1>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80.3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6부, N-비닐-2-피롤리돈 3부, 아크릴산 0.3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4부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했다. 또한, 모노머 혼합물(고형분) 100부에 대해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부를 아세트산에틸 100중량부와 함께 투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55℃ 부근으로 유지하고 8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Mw) 15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상품명: TAKENATE D160N,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Mitsui Chemicals, Inc.제) 0.1부, 벤조일퍼옥사이드(상품명: NYPER BMT 40SV, NOF CORPORATION제) 0.3부, 티올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상품명: X-41-1810, Shin-Etsu Chemical Co., Ltd.제, 알콕시기량: 30%, 티올 당량: 450g/mol) 0.1부, 산화 방지제(상품명: Irganox 1010, 힌더드 페놀계, BASF Japan Ltd.제) 0.2부, 및 도전제(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DKS Co. Ltd.제의 이온성 액체) 5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
열가소성 수지 기재로서, 장척 형상이며, Tg 약 75℃인 비정질의 이소프탈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00㎛)을 사용하고, 수지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PVA(The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제, 상품명 「고세파이머」)를 9:1로 혼합한 PVA계 수지 100중량부에 요오드화칼륨 13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물에 녹여 PVA 수용액(도포액)을 조제했다.
수지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PVA 수용액을 도포하여 6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13㎛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적층체를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130℃의 오븐 내에서 종방향(길이방향)으로 2.4배로 1축 연신했다(공중 보조 연신 처리).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40℃의 불용화욕(물 100중량부에 대해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온 30℃의 염색욕(물 100중량부에 대해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을 1:7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Ts)이 소망의 값이 되도록 농도를 조정하면서 6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처리).
이어서, 액온 40℃의 가교욕(물 100중량부에 대해 요오드화칼륨을 3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5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온 70℃의 붕산 수용액(붕산 농도 4중량%, 요오드화칼륨 농도 5중량%)에 침지시키면서,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길이방향)으로 총 연신 배율이 5.5배가 되도록 1축 연신을 행했(수중 연신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온 20℃의 세정욕(물 100중량부에 대해 요오드화칼륨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켰다(세정 처리).
그 후, 약 90℃로 유지된 오븐 중에서 건조시키면서, 표면 온도가 약 75℃로 유지된 SUS제의 가열 롤에 접촉시켰다(건조 수축 처리).
이렇게 해서, 수지 기재 상에 두께 약 5㎛의 편광자를 형성하여 수지 기재/편광자의 구성을 갖는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적층체의 편광자 표면에 HC-TAC 필름을 접합시켰다. 또한, HC-TAC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두께 25㎛)에 하드코트(HC)층(두께 7㎛)이 형성된 필름이며, TAC 필름이 편광자측이 되도록 해서 접합시켰다. 이어서,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상기 박리면에 제조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점착제층(두께 20㎛)을 형성해서 HC층/외측 보호층/편광자/점착제층의 구성을 갖는 장척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이 편광판을 세로 142.0mm 및 가로 66.8mm의 사이즈로 4개의 코너부에 R 7.0mm의 R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펀칭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단변방향이 되도록 펀칭했다. 또한, 장변으로부터 2mm 및 단변으로부터 2mm의 위치에 직경 4mm의 관통공을 형성했다. 관통공은 엔드밀 가공에 의해 형성했다. 엔드밀의 이송 속도는 500mm/분, 회전수는 2500rpm, 절삭량은 0.1mm이었다. 이렇게 해서,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상기 (2)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0°」는 장변방향을, 「90°」는 단변방향을 의미한다.
<실시예 2>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6>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장척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이 편광판을 세로 142.0mm 및 가로 66.8mm의 사이즈로 4개의 코너부에 R 7.0mm의 R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펀칭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장변방향이 되도록 펀칭했다. 이하의 순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장변으로부터 2mm 및 단변으로부터 2mm의 위치에 직경 4mm의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12>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직경 2mm의 관통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CO2 레이저로 형성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5∼18>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직경 2mm의 관통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1∼24>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이외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편광자로서, 장척 형상의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를 함유시키고, 길이방향(MD방향)으로 1축 연신하여 얻어진 필름(두께 12㎛)을 사용했다. 이 편광자의 양측에 외측 보호층이 되는 장척 형상의 HC-TAC 필름 및 내측 보호층이 되는 장척 형상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두께 20㎛)을 각각 서로의 길이방향을 일치시키도록 해서 접합시켰다. 또한, HC-TAC 필름은 TAC 필름이 편광자측이 되도록 해서 접합시켰다. 내측 보호층의 표면에 제조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점착제층(두께 20㎛)을 형성해서 장척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이 편광판을 세로 142.0mm 및 가로 66.8mm의 사이즈로 4개의 코너부에 R 7.0mm의 R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펀칭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단변방향이 되도록 펀칭했다. 또한, 장변으로부터 8mm 및 단변으로부터 6mm의 위치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직경 4mm의 관통공을 형성했다. 이렇게 해서,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10mm 및 단변으로부터 8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장척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이 편광판을 세로 142.0mm 및 가로 66.8mm의 사이즈로 4개의 코너부에 R 7.0mm의 R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펀칭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장변방향이 되도록 펀칭했다. 이하의 순서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장변으로부터 8mm 및 단변으로부터 6mm의 위치에 직경 4mm의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10mm 및 단변으로부터 8mm의 위치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및 관통공의 직경을 2mm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CO2 레이저로 형성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7>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5와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8>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장변으로부터 6mm 및 단변으로부터 4mm의 위치로 한 것, 및 관통공의 직경을 2mm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해서 편광판을 제작했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CO2 레이저로 형성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9∼10>
관통공의 형성 위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위치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8과 마찬가지로 해서 각각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의 편광자 표면에 HC-COP 필름을 접합시켰다. 또한, HC-COP 필름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COP) 필름(두께 25㎛)에 HC층(두께 2㎛)이 형성된 필름이며, COP 필름이 편광자측이 되도록 해서 접합시켰다. 이어서,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상기 박리면에 COP 필름을 접합시키고, COP 필름의 표면에 제조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점착제층(두께 20㎛)을 형성해서 HC층/외측 보호층/편광자/내측 보호층/점착제층의 구성을 갖는 장척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이 편광판을 세로 142.0mm 및 가로 66.8mm의 사이즈로 4개의 코너부에 R 7.0mm의 R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펀칭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단변방향이 되도록 펀칭했다. 또한, 장변으로부터 2.6mm 및 단변으로부터 4.3mm의 위치에 직경 3.9mm의 관통공을 형성했다. 이렇게 해서,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실시예 26>
실시예 25와 마찬가지로 해서 장척 형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이 편광판을 세로 142.0mm 및 가로 66.8mm의 사이즈로 4개의 코너부에 R 7.0mm의 R부를 형성한 형상으로 펀칭했다. 이 때,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이 장변방향이 되도록 펀칭했다. 이하의 순서는 실시예 25와 마찬가지로 해서 장변으로부터 2.6mm 및 단변으로부터 4.3mm의 위치에 직경 3.9mm의 관통공을 갖는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했다. 결과를 편광판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히트 쇼크 시험 후의 관통공 부분의 크랙의 발생이 현저하게 억제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형 PC 또는 스마트 워치로 대표되는 카메라부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있다.
11 편광자 12 외측 보호층
13 내측 보호층 20 점착제층
30 관통공 100 편광판

Claims (10)

  1.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층과, 점착제층을 갖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미만이며,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5mm 이하이며,
    상기 관통공이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8㎛ 이하인 편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6㎛ 이하인 편광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판을 유리판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40℃에서 30분간 유지한 후 85℃에서 30분간 유지하는 것을 1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 쇼크 시험에 제공한 후의 상기 관통공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편광판의 어긋남량이 120㎛ 이하인 편광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이 2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이 모두 장변으로부터 11mm 이내 또한 단변으로부터 11mm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단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편광판.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장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편광판.
  8. 제 6 항에 기재된 편광판과 제 7 항에 기재된 편광판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편광판의 관통공이 서로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판의 세트.
  9. 화상 표시 셀과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10. 화상 표시 셀과, 제 8 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의 세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편광판이 상기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편광판이 상기 화상 표시 셀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227018208A 2019-12-11 2020-07-30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20093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3918 2019-12-11
JPJP-P-2019-223918 2019-12-11
PCT/JP2020/029283 WO2021117289A1 (ja) 2019-12-11 2020-07-30 偏光板、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159A true KR20220093159A (ko) 2022-07-05

Family

ID=7632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8208A KR20220093159A (ko) 2019-12-11 2020-07-30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4069339A (ko)
KR (1) KR20220093159A (ko)
CN (1) CN114829994A (ko)
TW (1) TW202122275A (ko)
WO (1) WO202111728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510A1 (ja) 2015-09-16 2017-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異形状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SG10201501196PA (en) * 2015-02-16 2016-09-29 Lighthaus Photonics Pte Ltd Compact spectrometer
JP6899721B2 (ja) * 2016-07-22 2021-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WO2018016520A1 (ja) * 2016-07-22 2018-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17199030A (ja) * 2017-07-28 2017-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9049606A1 (ja) * 2017-09-06 2019-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6837460B2 (ja) * 2017-10-05 2021-03-0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15220143A (zh) * 2017-10-05 2022-10-2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构件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JP6622439B1 (ja) * 2019-03-06 2019-12-18 住友化学株式会社 切削加工された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510A1 (ja) 2015-09-16 2017-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異形状偏光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22275A (zh) 2021-06-16
WO2021117289A1 (ja) 2021-06-17
JPWO2021117289A1 (ko) 2021-06-17
JP2024069339A (ja) 2024-05-21
CN114829994A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4945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94843A1 (ja) 偏光板
KR20200007789A (ko) 원편광판 및 유기 el 패널
WO2021065075A1 (ja)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該セット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102593816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6995813B2 (ja) 偏光板
WO2021084874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光学部材のセット
KR20220140735A (ko) 고온환경 하에서 열화된 편광판의 광학특성의 회복 방법
KR20190025604A (ko)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22065224A1 (ja) 偏光板、カバーガラス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20093159A (ko)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20093160A (ko) 편광판, 편광판의 세트 및 화상 표시 장치
JP7504913B2 (ja) 偏光板、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10121171A (ko) 편광판 세트 및 그 세트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2244301A1 (ja)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23047748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位相差層付偏光板の評価方法
JP2022059137A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45479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해당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20118403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30169171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KR20230033585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00100645A (ko) 편광판의 세트 및 액정 표시 패널
CN118151280A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以及图像显示装置
TW202037680A (zh) 抬頭顯示器裝置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