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356A -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356A
KR20220092356A KR1020210137787A KR20210137787A KR20220092356A KR 20220092356 A KR20220092356 A KR 20220092356A KR 1020210137787 A KR1020210137787 A KR 1020210137787A KR 20210137787 A KR20210137787 A KR 20210137787A KR 20220092356 A KR20220092356 A KR 20220092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pole
reel seat
protrusion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마츠다
유우키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2009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릴을 안정되게 취부(取付)할 수 있고, 게다가, 경량화할 수 있는,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낚싯대의 장대 본체에 낚시용 릴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이고, 상기 장대 본체가 삽통(揷通)되고, 상기 릴의 장대 초리 쪽 다리부가 재치(載置)되는 제1 재치면(22)을 가지는 제1 통부(筒部)(31)와, 상기 장대 본체가 삽통되고, 상기 제1 재치면(22)에 대하여 장대 손잡이 쪽으로 이간(離間)하고, 상기 릴의 장대 손잡이 쪽 다리부가 재치되는 제2 재치면(23)을 가지는 제2 통부(32)와, 상기 제1 재치면(22) 및 상기 제2 재치면(23)과 둘레 방향 반대 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부(31)와 상기 제2 통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와, 상기 제1 재치면(22)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설(延設)되고, 상기 제2 재치면(23)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3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REEL SEAT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에 낚시용 릴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와,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릴 시트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에 취부(取付)되고, 릴 시트에는, 릴이 취부된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릴 시트에서는, 릴 시트의 상면(上面)에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경량화를 위하여 개구부를 크게 하면, 릴 시트의 강도가 저하하고, 릴 시트가 전후로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릴 시트에 릴을 취부할 때, 릴 시트의 너트를 조여 릴의 다리를 전후로 고정한다. 릴 시트의 상면에 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너트를 조일 때에 릴 시트가 개구부의 전후에 있어서 서로 접근하도록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릴의 취부 상태가 안정되기 어렵다.
일본국 재공표특허 국제공개공보 WO2015/037471호
본 발명은, 릴을 안정되게 취부할 수 있고, 게다가, 경량화할 수 있는,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용 릴 시트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에 낚시용 릴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장대 본체가 삽통(揷通)되고, 상기 릴의 장대 초리 쪽 다리부가 재치(載置)되는 제1 재치면을 가지는 제1 통부(筒部)와, 상기 장대 본체가 삽통되고, 상기 제1 재치면에 대하여 장대 손잡이 쪽으로 이간(離間)하고, 상기 릴의 장대 손잡이 쪽 다리부가 재치되는 제2 재치면을 가지는 제2 통부와, 상기 제1 재치면 및 상기 제2 재치면과 둘레 방향 반대 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부와 상기 제2 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 재치면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설(延設)되고, 상기 제2 재치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의 다리를 릴 시트에 고정할 때에 릴 시트가 만곡(彎曲)하려고 하면, 돌출부가 버팀목이 되어 장대 본체에 당접(當接)하여, 릴 시트의 만곡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통부에 접속되고, 상기 장대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둘레 길이를 가지는 제1 주연부(周延部)와, 상기 제2 통부에 접속되고, 상기 장대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둘레 길이보다 긴 제2 둘레 길이를 가지는 제2 주연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가 설치된 상기 제1 통부에 접속된 상기 제1 주연부의 상기 제1 둘레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릴 시트를 용이하게 보다 효과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둘레 길이는, 상기 장대 본체의 전체 둘레 중 18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제2 둘레 길이는, 상기 장대 본체의 전체 둘레 중 180도 이상의 범위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가 설치된 상기 제1 통부에 접속된 상기 제1 주연부의 상기 제1 둘레 길이를 180도 이하로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릴 시트를 한층 더 보다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주연부의 제1 둘레 방향 단부(端部)와, 상기 제2 주연부의 제2 둘레 방향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면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에 두께(상기 제1 연결면의 폭)를 가지고, 필요 최소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 단부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면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에 두께(상기 제2 연결면의 폭)를 가지고, 필요 최소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릴 시트를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 시트가 만곡하려고 하였을 때에 돌출부의 돌출 단부가 장대 본체에 꽉 눌린다. 그 때문에, 돌출부로부터의 압압력(押壓力)이 돌출 단부에 집중하고, 분산하는 일 없이 장대 본체에 걸리기 때문에, 버팀 효과가 높아지고, 릴 시트의 만곡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돌출 단부가 장대 본체의 외주면(外周面)에 걸리면, 장대 본체에 대하여 릴 시트가 위치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경(徑)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릴 시트가 만곡하려고 하였을 때에 돌출부의 압압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돌출 단부의 돌기에 작용하여, 돌출 단부의 돌기가 장대 본체에 꽉 눌린다. 그 때문에, 압압력이 돌기에 집중하고, 분산하는 일 없이 장대 본체에 걸리기 때문에, 돌출부의 버팀 효과가 높아지고, 릴 시트의 만곡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돌기가 장대 본체의 외주면에 걸리면, 장대 본체에 대하여 릴 시트가 위치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싯대는, 외주면에 오목부를 가지는 장대 본체와, 상술의 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부에 계합(係合)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대 본체에 대하여 릴 시트가 위치 어긋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압압력이 집중하고, 분산하는 일 없이 장대 본체에 걸린다. 그 때문에, 돌출부의 버팀 효과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장대 본체에 릴 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대 본체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설치된 환상(環狀) 홈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대 본체에 대하여 릴 시트의 전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압압력이 집중하고, 전후 방향의 위치 어긋남(미끄러짐)에 의하여 분산하는 일 없이 장대 본체에 걸린다. 그 때문에, 돌출부의 버팀 효과가 보다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접착제의 사용량을 보다 삭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대 본체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 중 1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 설치된 포인트 오목부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대 본체에 대하여 릴 시트의 전후 방향의 위치 어긋남과 둘레 방향의 위치 어긋남의 쌍방을 방지할 수 있고, 압압력이 집중하고, 전후 방향 및 둘레 방향의 쌍방의 위치 어긋남(미끄러짐)에 의하여 분산하는 일 없이 장대 본체에 걸린다. 그 때문에, 돌출부의 버팀 효과가 보다 높아질 뿐만 아니라, 접착제의 사용량을 보다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돌출부가 버팀목으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하여, 릴 시트가 전후 방향을 따라 만곡하기 어려워지고, 릴의 취부 상태가 안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의 릴 시트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同) 릴 시트 본체의 정면도.
도 3은 동 릴 시트 본체의 평면도.
도 4는 동 릴 시트 본체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6(a)는, 도 2의 B-B 단면도, (b)는, 도 2의 C-C 단면도.
도 7은 도 2의 D-D 단면도.
도 8은 동 릴 시트를 구비한 낚싯대의 요부(要部)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의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릴 시트에 관하여 도 1 ~ 도 8을 참작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2)의 릴 시트 본체(10)를 도 1 ~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또한, 릴 시트(2)가 장착된 낚싯대를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장대 초리 쪽을 앞쪽, 장대 손잡이 쪽을 뒤쪽이라고 칭한다. 또한, 낚싯대의 축선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릴 시트(2)는, 양 베어링의 릴에 적합하다. 양 베어링의 릴은, 도 8과 같이, 사용 상태에 있어서 낚싯대의 상측(上側)에 위치한다. 낚싯대에 대하여 릴이 위치하는 방향을 상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둘레 방향 반대 측을 하측(下側)으로 한다. 릴은, 다리(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101)가 릴 시트(2)에 취부된다. 다리(101)는, 앞쪽으로 연장되는 앞다리부(101a)(장대 초리 쪽 다리부)와, 뒤쪽으로 연장되는 뒷다리부(101b)(장대 손잡이 쪽 다리부)를 가지고 있다. 앞다리부(101a)와 뒷다리부(101b)가 각각 릴 시트(2)에 고정된다.
릴 시트(2)는, 낚싯대의 장대 본체(1)에 외장되어 접착 고정되는 통상(筒狀)의 릴 시트 본체(10)와, 릴 시트 본체(10)에 외장되어 릴 시트 본체(10)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한 통상의 후드(11) 및 너트(12)(도 8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의 전부(前部) 외주면에는 수(雄)나사부(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나사부(20)에 너트(12)가 나합(螺合)한다. 너트(12)는, 후드(11)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너트(12)의 뒤쪽에 후드(11)가 설치되어 있다. 후드(11)는 너트(12)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지만 회전은 하지 않는다. 후드(11)는 뒤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후드(11)는, 앞다리부(101a)를 덮어 고정한다.
릴 시트 본체(10)는 통상이고, 그 내측에 장대 본체(1)가 삽통한다. 릴 시트 본체(10)는, 장대 본체(1)가 삽통하는 장대 삽통 구멍(21)을 가지고 있다. 장대 삽통 구멍(21)은 릴 시트 본체(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릴 시트 본체(10)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이고,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릴 시트 본체(10)는, 상면과, 하면(下面)과,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양 측면을 가지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의 상면에는, 릴의 다리(101)가 재치된다. 릴 시트 본체(10)의 상면에는, 다리(101)의 앞다리부(101a)가 재치되는 제1 재치면(22)과, 다리(101)의 뒷다리부(101b)가 재치되는 제2 재치면(2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재치면(22)과 제2 재치면(23)은 전후로 이간하고 있다. 제1 재치면(22)은 수나사부(20)의 직후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재치면(23)은, 제1 재치면(22)으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릴 시트 본체(10)의 상면에는 제1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24)는 상방(上方)으로 개구하고 있다. 제1 개구부(24)는, 장대 삽통 구멍(21)과 연통(連通)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장대 삽통 구멍(21)을 통과하는 장대 본체(1)는, 제1 개구부(24)를 통하여 상방으로 노출한다. 릴의 다리(101)가 재치되는 다리 재치부는, 제1 개구부(24)에 의하여 전후로 분단된다. 다리 재치부는, 제1 재치면(22)과 제2 재치면(23)을 가진다. 제1 재치면(22)과 제2 재치면(23)은 서로 전후로 이간하고 있다. 제1 재치면(22)과 제2 재치면(23)은, 제1 개구부(24)의 전후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재치면(22)은, 제1 개구부(24)의 전단부(前端部)의 직전에 위치하고, 제2 재치면(23)은, 제1 개구부(24)의 후단부(後端部)의 직후에 위치한다. 제1 개구부(24)는,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둘레 방향(좌우 방향)으로 넓어져 있고, 릴 시트 본체(10)의 좌우 양 측면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그 개구 면적을 확대하고 있다. 릴 시트 본체(10)의 좌우 양 측면에는, 제1 개구부(24)의 전부가 좌우 양측 또한 하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에 의하여 하측을 향하여 노치(notch)된 노치부(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장대 본체(1)는, 제1 개구부(24)를 통하여 상측으로 노출하는 것과 함께 좌우의 노치부(25)를 통하여 좌우 양측으로도 노출한다.
릴 시트 본체(10)는, 후드부(26)를 가지고 있다. 후드부(26)는, 릴 시트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후드부(26)는, 제1 개구부(24)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후드부(26)는, 앞쪽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후드부(26)는, 뒷다리부(101b)를 덮어 고정한다. 후드(11)와 릴 시트 본체(10)의 후드부(26)에 의하여 다리(101)가 전후로 협지되어 고정된다. 후드부(26)는, 제2 재치면(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측을 향하여 터널 형상으로 팽출(膨出)하여 있다.
릴 시트 본체(10)의 하면에는 제2 개구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개구부(27)는, 하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제2 개구부(27)는, 장대 삽통 구멍(21)과 연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장대 삽통 구멍(21)을 통과하는 장대 본체(1)는, 제2 개구부(27)를 통하여 하방으로 노출한다. 제2 개구부(27)는, 제1 개구부(24)의 둘레 방향 반대 측에 위치한다. 제1 개구부(24)는, 제2 개구부(27)보다도 크다. 도 3과 같이 릴 시트 본체(10)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및, 도 4와 같이 릴 시트 본체(10)를 하측으로부터 본 저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1 개구부(24)와 제2 개구부(27)는, 서로 겹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릴 시트 본체(10)는, 제1 개구부(24)와 제2 개구부(27)의 상하의 겹침 부분에 의하여 상하로 관통한다. 제1 개구부(24)는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하고, 제2 개구부(27)는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한다. 제1 개구부(24)의 후부(後部)와 제2 개구부(27)의 전부가 상하로 서로 겹친다.
릴 시트 본체(10)의 하면에는, 트리거(trigger)(28)가 설치되어 있다. 트리거(28)는,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트리거(28)의 앞쪽에 집게손가락 등의 손가락을 걸 수 있다. 트리거(28)는, 후드부(26)의 둘레 방향 반대 측에 위치한다. 릴 시트 본체(10)의 하면은, 트리거(28)의 근원부 앞쪽으로부터 수나사부(20)의 직후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하강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2 개구부(27)는, 트리거(28)의 직전에 위치한다. 트리거(28)의 앞쪽에 건 손가락을, 제2 개구부(27)로부터 노출하는 장대 본체(1)에 당접시킬 수 있다.
릴 시트 본체(10)를 한층 더 상술한다. 릴 시트 본체(10)는, 앞쪽에 위치하는 제1 통부(31)와, 뒤쪽에 위치하는 제2 통부(32)와, 제1 통부(31)와 제2 통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가지고 있다. 제1 통부(31)에, 수나사부(20)와 제1 재치면(2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통부(31)의 내면은 장대 삽통 구멍(21)의 벽면이고, 제1 통부(31)의 내측을 장대 본체(1)가 삽통한다. 제2 통부(32)는 제1 통부(31)로부터 뒤쪽으로 떨어져 있다. 제2 통부(32)에, 제2 재치면(23)과 후드부(26)와 트리거(28)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통부(32)의 내면은 장대 삽통 구멍(21)의 벽면이고, 제2 통부(31)의 내측을 장대 본체(1)가 삽통한다. 연결부(33)에, 제1 개구부(24)와 제2 개구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33)는 단면 원호상(圓弧狀)이고, 그 내면은, 장대 삽통 구멍(21)의 벽면이다.
제1 재치면(22)의 뒤쪽에는 돌출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34)는, 제1 재치면(22)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설되어 있다. 돌출부(34)는, 제2 재치면(23)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즉, 돌출부(34)의 돌출 방향은 후방(後方)이다. 돌출부(34)는, 제1 개구부(24)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돌출부(34)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뒤쪽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고, 구체적으로는 대략 삼각형이다. 돌출부(34)의 내면(34a)(경방향 내측의 면)은, 장대 삽통 구멍(21)의 벽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장대 삽통 구멍(21)에 장대 본체(1)가 삽통하면, 돌출부(34)의 내면(34a)은, 장대 본체(1)의 외주면에 당접한다.
연결부(33)는, 제1 통부(31)와 제2 통부(32)를 전후로 연결한다. 연결부(33)는, 제1 통부(31)의 하부와 제2 통부(32)의 하부를 연결한다. 연결부(33)는, 제1 통부(31)에 접속된 제1 주연부(41)를 가지고 있다. 제1 주연부(41)는, 제1 통부(31)에 접속된 제1 접속 단부이다. 도 6(a)와 같이, 제1 주연부(41)는, 둘레 방향을 따른 제1 둘레 길이 L1을 가지고 있다. 제1 주연부(41)는, 장대 본체(1)의 중심을 원호의 중심으로 하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 원호상이다. 제1 둘레 길이 L1은, 장대 본체(1)의 전체 둘레 중 하측의 180도 이하(장대 본체(1)의 하측 반분 이하)의 각도 범위 θ1에 상당하는 둘레 방향 길이이고, 예를 들어, 제1 둘레 길이 L1은, 장대 본체(1)의 하측 150도의 각도 범위 θ1(장대 본체(1)의 중심각)에 상당하는 둘레 방향 길이이다. 덧붙여, 도 6에, 장대 삽통 구멍(21)의 중심(21a)을 도시하고 있지만, 장대 삽통 구멍(21)의 중심(21a)은, 장대 본체(1)의 중심과 일치한다. 제1 주연부(41)는, 제1 둘레 방향 단부(41a)를 가지고 있다. 제1 둘레 방향 단부(41a)는, 제1 주연부(41)의 상단부(上端部)이다. 제1 둘레 방향 단부(41a)는, 돌출부(34)로부터 하측으로 떨어져 있다.
연결부(33)는, 제2 통부(32)에 접속된 제2 주연부(42)를 가지고 있다. 제2 주연부(42)는, 제2 통부(32)에 접속된 제2 접속 단부이다. 도 6(b)와 같이, 제2 주연부(42)는, 둘레 방향을 따른 제2 둘레 길이 L2를 가지고 있다. 제2 주연부(42)는, 장대 본체(1)의 중심을 원호의 중심으로 하는 단면으로부터 볼 때 원호상이다. 제2 둘레 길이 L2는, 제1 둘레 길이 L1보다도 길다. 제2 둘레 길이 L2는, 장대 본체(1)의 전체 둘레 중 하측의 180도 이상(장대 본체(1)의 하측 반분 이상)의 각도 범위 θ2에 상당하는 둘레 방향 길이이고, 예를 들어, 제2 둘레 길이 L2는, 장대 본체(1)의 하측 250도의 각도 범위 θ2(장대 본체(1)의 중심각)에 상당하는 둘레 방향 길이이다. 제2 주연부(42)는, 제2 둘레 방향 단부(42a)를 가지고 있다. 제2 둘레 방향 단부(42a)는, 제2 주연부(42)의 상단부이다. 제2 둘레 방향 단부(42a)는, 제2 재치면(23)과 연속하고 있다.
연결부(33)는, 제1 연결면(51)과 제2 연결면(52)을 가지고 있다. 제1 연결면(51)은, 제1 주연부(41)의 제1 둘레 방향 단부(41a)와 제2 주연부(42)의 제2 둘레 방향 단부(42a)를 전후로 연결하고 있다. 제1 연결면(51)은, 상측을 향하고 있다. 도 6(a)와 같이, 제1 연결면(51)은, 좌우 측방(側方)을 향하여 서서히 하측으로 경사하고 있다. 제1 연결면(51)은, 제2 재치면(23)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설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제1 연결면(51)은,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하강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도 3과 같이, 제1 연결면(51)은, 전후 방향의 중앙부(51a)에 있어서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제1 연결면(51)은, 그 후단부로부터 중앙부(51a)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고, 중앙부(51a)로부터 전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연결면(51)은, 2단 구성이 되어 있다. 제1 연결면(51)은, 상단부(上段部)(51b)와 하단부(下段部)(51c)를 가지고 있다. 상단부(51b)는 하단부(51c)의 뒤쪽에 위치하고, 하단부(51c)에 대하여 일단 상측에 위치한다. 상단부(51b)는, 제2 재치면(23)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단부(51b)와 하단부(51c)와의 사이에는 단차(段差)(51d)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면(51)에 의하여 연결부(33)가 두께(제1 연결면(51)의 좌우 방향의 폭)를 가지기 때문에, 연결부(33)의 필요 최소한의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면(51)이 좌우 측방을 향하여 서서히 하측으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연결면(51)의 위에 물방울이나 이물(異物)이 모이는 일 없이 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연결면(51)이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하강하도록 경사하고 있는 것과 함께, 전후 방향의 중앙부(51a)에 있어서 폭이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물방울이나 이물이 모이는 일 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연결면(51)은, 하단부(51c)와, 하단부(51c)의 뒤쪽에 위치하고, 하단부(51c)에 대하여 일단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51b)로 이루어지는 2단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둘레 방향 단부(41a)의 제1 둘레 길이 L1, 및, 제2 주연부(42)의 제2 둘레 길이 L2를 가지고,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과 함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연결면(52)은, 제1 연결면(51)의 전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연설되어 있다. 제2 연결면(52)은, 제1 연결면(51)에 대하여 상측에 예각으로 굴곡하고 있다. 제2 연결면(52)은, 제1 주연부(41)의 제1 둘레 방향 단부(41a)와 돌출부(34)를 상하로 연결하고 있다. 제2 연결면(52)은, 돌출부(34)의 돌출 단부(34b)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제2 연결면(52)은, 좌우 측방을 향하여 서서히 앞쪽으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면(51)에 대하여 제2 연결면(52)이 상측에 예각으로 굴곡하고 있어도, 물방울이나 이물을 모으는 일 없이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면(52)의 하단(下端)에 접속하는 제1 연결면(51)도 좌우 측방을 향하여 하강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물방울 등이 순조롭게 배출된다.
도 8과 같이 릴 시트(2)에 릴의 다리(101)를 고정할 때, 너트(12)를 회전시켜 후드(11)를 뒤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너트(12)를 단단히 조여 다리(101)를 후드(11)와 후드부(26)에 의하여 전후로 협지한다. 너트(12)를 단단히 조이면, 릴 시트 본체(10)의 제1 통부(31)와 제2 통부(32)는 서로 접근하려고 한다. 즉, 도 8에 화살표 P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릴 시트 본체(10)는, 전후 방향을 따라 하측을 향하여 만곡하려고 한다. 릴 시트 본체(10)가 만곡하려고 하면, 돌출부(34)가 장대 본체(1)의 외주면에 꽉 눌리게 된다. 그 때문에, 돌출부(34)가 버팀목이 되어, 릴 시트 본체(10)의 만곡이 방지된다. 릴 시트 본체(10)가 만곡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릴의 다리(101)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릴이 안정된다. 특히, 돌출부(34)가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돌출부(34)의 돌출 단부(34b)가 장대 본체(1)의 외주면에 집중적으로 꽉 눌리게 되고, 돌출부(34)로부터의 압압력이 돌출 단부(34b)에 집중하고, 압압력이 분산하는 일 없이 장대 본체(1)에 작용하기 때문에, 높은 버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34)가 제1 재치면(22)으로부터 뒤쪽으로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큰 제1 개구부(24)를 설치하여도, 앞다리부(101a)를 제1 재치면(22)에 용이하게 재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개구부(24)와 제2 개구부(27)에 의하여 릴 시트 본체(10)를 경량화할 수 있다. 제1 주연부(41)의 제1 둘레 길이 L1이, 제2 주연부(42)의 제2 둘레 길이 L2보다도 짧고, 특히, 제1 주연부(41)의 제1 둘레 길이 L1이 180도 이하의 각도 범위만큼이 되어 있기 때문에, 릴 시트 본체(10)를 큰 폭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 시트 본체(10)를 경량화하면서도, 연결부(33)가 제1 연결면(51)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부(33)가 두께(제1 연결면(51)의 좌우 방향의 폭)를 가지게 되고, 연결부(33)의 강도, 나아가서는, 릴 시트 본체(1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3)가 한층 더 제2 연결면(5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부(33)의 강도를 보다 한층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제2 연결면(52)이 돌출부(34)의 돌출 단부(34b)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33)로부터 돌출부(34)에 걸친 강도를 보다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도 9와 같이, 돌출부(34)가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60)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돌기(60)는, 돌출부(34)의 돌출 단부(34b)의 내면(34a)에 설치되고,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장대 본체(1)의 외주면에 환상 홈(90)이 설치되고, 그 환상 홈(90)에 돌기(60)가 계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환상 홈(90)에 돌기(60)가 계합하면, 돌출부(34)의 버팀력이 높아지는 것과 함께, 릴 시트 본체(10)가 장대 본체(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릴 시트 본체(10)를 장대 본체(1)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장대 본체(1)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 중 1개소에 포인트 오목부(91)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포인트 오목부(91)의 크기는 돌기(60)에 대응하고, 포인트 오목부(91)에 돌기(60)가 계합한다. 포인트 오목부(91)에 돌기(60)가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릴 시트 본체(10)가 장대 본체(1)에 대하여 전후 방향과 둘레 방향의 2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접착제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고, 접착을 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포인트 오목부(91)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1: 장대 본체
2: 릴 시트
10: 릴 시트 본체
11: 후드
12: 너트
20: 수나사부
21: 장대 삽통 구멍
21a: 중심
22: 제1 재치면
23: 제2 재치면
24: 제1 개구부
25: 노치부
26: 후드부
27: 제2 개구부
28: 트리거
31: 제1 통부
32: 제2 통부
33: 연결부
34: 돌출부
34a: 내면
34b: 돌출 단부
41: 제1 주연부
41a: 제1 둘레 방향 단부
42: 제2 주연부
42a: 제2 둘레 방향 단부
51: 제1 연결면
51a: 중앙부
51b: 상단부
51c: 하단부
51d: 단차
52: 제2 연결면
60: 돌기
90: 환상 홈(오목부)
91: 포인트 오목부(오목부)
101: 다리
101a: 앞다리부(장대 초리 쪽 다리부)
101b: 뒷다리부(장대 손잡이 쪽 다리부)
L1: 제1 둘레 길이
L2: 제2 둘레 길이

Claims (10)

  1. 낚싯대의 장대 본체에 낚시용 릴을 장착하기 위한 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장대 본체가 삽통(揷通)되고, 상기 릴의 장대 초리 쪽 다리부가 재치(載置)되는 제1 재치면을 가지는 제1 통부(筒部)와,
    상기 장대 본체가 삽통되고, 상기 제1 재치면에 대하여 장대 손잡이 쪽으로 이간(離間)하고, 상기 릴의 장대 손잡이 쪽 다리부가 재치되는 제2 재치면을 가지는 제2 통부와,
    상기 제1 재치면 및 상기 제2 재치면과 둘레 방향 반대 측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부와 상기 제2 통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 재치면의 장대 손잡이 쪽으로 연설(延設)되고, 상기 제2 재치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
    를 구비하고 있는, 낚싯대용 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통부에 접속되고, 상기 장대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둘레 길이를 가지는 제1 주연부(周延部)와,
    상기 제2 통부에 접속되고, 상기 장대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둘레 길이보다 긴 제2 둘레 길이를 가지는 제2 주연부
    를 가지는, 낚싯대용 릴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둘레 길이는, 상기 장대 본체의 전체 둘레 중 180도 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제2 둘레 길이는, 상기 장대 본체의 전체 둘레 중 180도 이상의 범위인, 낚싯대용 릴 시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주연부의 제1 둘레 방향 단부(端部)와, 상기 제2 주연부의 제2 둘레 방향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면을 가지는, 낚싯대용 릴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 단부와 상기 돌출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면을 가지는, 낚싯대용 릴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폭이 좁게 되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인, 낚싯대용 릴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경(徑)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고 있는, 낚싯대용 릴 시트.
  8. 외주면(外周面)에 오목부를 가지는 장대 본체와, 제7항에 기재된 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부에 계합(係合)하고 있는, 낚싯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대 본체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설치된 환상(環狀) 홈인, 낚싯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대 본체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 중 1개소 또는 복수 개소에 설치된 포인트 오목부인, 낚싯대.
KR1020210137787A 2020-12-24 2021-10-15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KR20220092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14955 2020-12-24
JP2020214955A JP2022100764A (ja) 2020-12-24 2020-12-24 釣竿用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356A true KR20220092356A (ko) 2022-07-01

Family

ID=8207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787A KR20220092356A (ko) 2020-12-24 2021-10-15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100764A (ko)
KR (1) KR20220092356A (ko)
CN (1) CN1146679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471A1 (ja) 2013-09-10 2015-03-19 富士工業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471A1 (ja) 2013-09-10 2015-03-19 富士工業株式会社 リールシート用可動フード、リール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0764A (ja) 2022-07-06
CN114667976A (zh)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239B2 (en) Bicycle crank arm assembly
US20200060249A1 (en) Reel seat and fishing rod
WO2012070259A1 (ja) 筒状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US7614321B2 (en) Bottle and can opener arrangement
KR20220092356A (ko) 낚싯대용 릴 시트 및 낚싯대
KR102218747B1 (ko) 릴 시트 및 낚싯대
US6862949B2 (en) Conduit cover for bicycle
US6702311B2 (en) Motorcycle front visor attachment structure
US20050011304A1 (en) Crank structure of bicycle
KR19980041907A (ko) 낚시대용 도사환
AU7199200A (en) Spinning reel spool
US20220394965A1 (en) Guide for fishing rod
JP4909402B2 (ja) 鐙台を有する鐙
EP0827688B1 (en) Line introduction guide for pass-through fishing rod
JP5570342B2 (ja) ルアー
US10181672B2 (en) Lid retaining structure
JP2916429B2 (ja) 釣竿用導糸環
EP1466822A2 (en) Device for fixing and quick releasing the support stays of a bicycle's mudguard
US20160016632A1 (en) Bicycle Frame Element
US20050169698A1 (en) Bicycle seat post
CN217218532U (zh) 一种座椅调节插销以及座椅伸缩杆结构
EP2103510B1 (en) Bicycle accessory device
KR20190096779A (ko) 낚싯대 결합형 집어등 걸이
CN112841142B (zh) 钓竿
JP5662716B2 (ja) リールシート及びバ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