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326A -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326A
KR20220092326A KR1020210005053A KR20210005053A KR20220092326A KR 20220092326 A KR20220092326 A KR 20220092326A KR 1020210005053 A KR1020210005053 A KR 1020210005053A KR 20210005053 A KR20210005053 A KR 20210005053A KR 20220092326 A KR20220092326 A KR 20220092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power
battery
temperatur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461B1 (ko
Inventor
김환식
김환섭
신형균
강필수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Priority to US17/162,39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95989B2/en
Publication of KR2022009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 배터리가 장착된 인버터에 외장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장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출력 전력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Output control method of battery parallel type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inverter}
제안기술은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 배터리가 장착된 인버터에 외장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장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출력 전력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 선박, 야외공연장, 캠핑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배터리 시스템의 경우에 사각박스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단자, (-)단자에 전원소켓을 인가시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하지만, 기존의 휴대용 배터리 시스템은 항상 고정된 5V, 12V 만을 출력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DC-DC변환기 또는 AC-DC변환기를 따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과, 출력 전원이 고정되어 있어, 특정 전자기기에만 적용시킬 수 있어, 사용범위가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충방전 횟수와 배터리 충전용량에 의해 배터리 수명이 다되면, 또 다른 충전 배터리 교환 없이, 통째로 버려야 하므로, 자원낭비가 심하고, 환경오염을 불러일으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 중이었던 배터리 시스템에 배터리 용량을 늘리기 위하여 서브 배터리 팩을 병렬로 확장하는 경우, 사용 중이었던 메인 배터리 팩의 전압은 항상 상이하고 연결시키려는 서브 배터리 팩의 전압은 고정되어 두 팩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 사용 중이었던 배터리 시스템에서는 전압차에 의해 발생될 과도한 전류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람이 직접 서브 배터리 팩을 충전 또는 방전시켜 전압을 비슷하게 한 후 설치 및 연결을 할 수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360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장 배터리가 장착된 인버터에 외장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장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하여 출력 전력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인버터에 대한 외장 배터리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일정 전력(P1)을 비교하는 제1전력 비교단계;를 포함하며,
제1전력 비교단계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내장 배터리가 주 사용 배터리로 적용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전력 비교단계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 이하인 경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내장 배터리가 주 사용 배터리로 적용되는 단계 이후,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일정 전력(P2)을 비교하는 제2전력 비교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전력 비교단계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P2)을 초과하는 경우,
내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전력 비교단계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P2) 이하인 경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인버터에 대한 외장 배터리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외장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기준 보정값(P3)을 비교하는 보정값 비교 단계;를 포함하며,
보정값 비교 단계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기준 보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정값 비교 단계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기준 보정값 이하인 경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장 배터리가 장착된 인버터에 외장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장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출력 전력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 배터리의 특정 환경에 따라 출력을 제한하여 배터리의 수명 및 내구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
도 4는 도 3의 보정값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의 제3실시예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의 제4실시예의 순서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 배터리가 장착된 인버터에 외장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장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출력 전력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장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내장되는 인버터(inverter)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체적인 작동 및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6)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 배터리(8)와, 상기 케이스(2)의 외부에서 상기 내장 배터리(8)와 병렬 연결되는 외장 배터리(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는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연결 시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제한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S100);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S110);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S120);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일정 전력(P1)을 비교하는 제1전력 비교단계(S130);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먼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S100)가 되면, 상기 제어 보드(6)에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S110)를 진행한다.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S12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전류 측정 단계(S120)에서 측정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은 상기 제1전력 비교단계(S130)에서 상기 일정 전력(P1)과 비교된다.
상기 제1전력 비교단계(S13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일정 전력(P1)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시작된다.
상기 제1전력 비교단계(S130)의 결과로 상기 인버터의 작동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 마다 상기 전류 측정 단계(S120)가 재진행된다.
하지만, 상기 제1전력 비교단계(S13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일정 전력(P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이 차단되며, 상기 내장 배터리(8)가 상기 인버터의 주 사용 배터리로 적용된다.
이후,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상기 일정 전력(P2)을 비교하는 제2전력 비교단계(S150)가 진행된다.
상기 제2전력 비교단계(S15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P2)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시작된다.
상기 제2전력 비교단계(S150)의 결과로 상기 인버터의 작동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 마다 상기 전류 측정 단계(S120)가 재진행된다.
상기 제2전력 비교단계(S15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P2)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내장 배터리(8)의 접속이 차단되고, 해당 상황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일정 전력(P1)와 상기 일정 전력(P2)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적용되는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 전력(P1)은 500W, 상기 일정 전력(P2)는 1000W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 외장 배터리(10)와 상기 내장 배터리(8)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일정 전압 이하인 경우, 일정 전력 이상의 출력을 제한하여 상기 외장 배터리(10)와 상기 내장 배터리(8)의 내구성 및 수명을 보호하는 제어 방법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S200);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S210);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S220);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전압에 따른 기준 보정값(P3)을 비교하는 보정값 비교 단계(S230);를 포함하여 진행하게 된다.
먼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S200)가 되면, 상기 제어 보드에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S210)를 진행한다.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S22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전류 측정 단계(S220)에서 측정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은 상기 보정값 비교 단계(S230)에서 상기 기준 보정값(P3)과 비교된다.
도 4에는 도 3의 보정값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준 보정값(P3)은 상기 도 4의 그래프를 참고하여 얻어지는 값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 배터리(10)와 상기 내장 배터리(8)의 전압이 14V인 경우 상기 기준 보정값(P3)은 400W가 되며, 상기 외장 배터리(10)와 상기 내장 배터리(8)의 전압이 12V인 경우 상기 기준 보정값(P3)은 100W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준 보정값(P3)은 상기 전압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외장 배터리(10)와 상기 내장 배터리(8)의 전압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보정값 비교 단계(S23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기준 보정값(P3)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시작된다.
상기 보정값 비교 단계(S230)의 결과로 상기 인버터의 작동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 마다 상기 전압 측정 단계가 재진행된다.
반면에, 상기 보정값 비교 단계(S23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기준 보정값(P3)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이 차단되고, 해당 상황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S240)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의 제3실시예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실시예는 상기 인버터에 내장된 인버터 보드(4)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 또는 이상인 경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 보드(6)로 해당 상태를 전달하여 상기 인버터의 과열 및 빙결 상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S300);
상기 인버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버터의 작동 및 전원을 제어하는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 단계(S310);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 보드(6)에 전송하는 제1통신 단계(S320);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제1기준온도(t1) 및 상기 제1기준온도 보다 높은 온도인 제2기준온도(t2)와 비교하는 제1온도 비교 단계(S330);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먼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S300)가 되면,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제1온도 측정 단계(S310)가 진행된다.
상기 제1온도 측정 단계(S310)에서 측정된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는 상기 제어 보드(6)에 전송된다.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는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S330)에서 상기 제1기준온도(t1) 및 상기 제2기준온도(t2)와 비교된다.
상기 제1기준온도(t1)와 상기 제2기준온도(t2)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적용되는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준온도(t1)는 -10도~0도, 상기 제2기준온도(t2)는 60도~70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S330)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t1) 초과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시작(S350)된다.
반면에,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S330)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t1)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내장 배터리(8) 및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이 차단되고, 해당 상황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S340)하게 된다.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S330)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t2) 미만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시작(S390)된다.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S330)의 결과로 상기 인버터의 작동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 마다 상기 제1온도 측정 단계가 재진행된다.
반면에,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S310)에서 상기 인버터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t2) 이상인 경우, 상기 인버터 보드(4)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팬이 작동하는 냉각 팬 작동 단계(S360)가 진행된다.
상기 냉각 팬 작동 단계(S360) 이후,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상기 제어 보드(6)에 전송하는 제2통신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제3기준온도(t3)와 비교하는 제2온도 비교 단계(S370);가 진행된다.
상기 제2온도 비교 단계(S370)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가 상기 제3기준온도(t3) 이상인 경우,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내장 배터리(8) 및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이 차단되고, 해당 상황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S380)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온도 비교 단계(S370)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가 상기 제3기준온도(t3) 미만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시작(S390)된다.
상기 제2온도 비교 단계(S370)의 결과로 상기 인버터의 작동이 시작된 후,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상기 제어 보드(6)에 전송하는 제3통신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를 제2기준온도(t2)와 비교하는 제3온도 비교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제3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t2) 미만인 경우, 상기 냉각 팬 작동 단계(S360)가 종료된다.
반면에, 상기 제3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4)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t2)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 팬 작동 단계(S360)가 지속된다.
한편, 상기 제2온도 비교 단계(S370)의 결과로 상기 인버터의 작동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 마다 상기 제1온도 측정 단계(S310)가 재진행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방법의 제4실시예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4실시예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이 일정 시간 이상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 보드(6)로 해당 상태를 전달하여 상기 제어 보드(6)를 통한 절전모드 수행 및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S400);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 보드에 전송하는 제1신호 전달 단계(S410);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일정 전력(P4)을 비교하는 전력 비교단계(S420);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먼저,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 보드(6)에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10)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S40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전류 측정 단계(S400)에서 측정된 상기 인버터의 전류는 상기 제어 보드에 전송(S410)되어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일정 전력(P4)을 비교하는 전력 비교단계(S42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전력 비교단계(S42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일정 전력(P4)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시간 즉, 상기 인버터의 마지막 출력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과 일정 시간(T1)을 비교하는 시간 비교단계(S43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시간 비교단계(S43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T1) 이상인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 보드에 전송하는 제2신호 전달 단계;
상기 제어 보드에서 상기 인버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차단되는 전원 차단 단계;가 진행된다.
즉, 상기 인버터의 마지막 출력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T1) 보다 길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제2신호 전달 단계가 진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 보드에서는 상기 인버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인버터의 전원을 차단(S440)하게 된다.
상기 인버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 차단 단계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만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시간 비교단계(S43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T1)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 비교단계(S420)가 재진행된다.
한편, 상기 전력 비교단계(S420)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일정 전력(P4) 초과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S400)가 재진행된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된 이후 동시에 진행되거나,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때, 진행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기재된 ‘출력 전력’은 ‘정격 출력’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케이스
4 : 인버터 보드
6 : 제어 보드
8 : 내장 배터리
10 : 외장 배터리
S100 :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S110 :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 단계
S120 : 전류 측정 단계
S130 : 제1전력 비교단계
S140 : 접속 차단 및 알람 신호 제공 단계
S150 : 제2전력 비교단계
S200 :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S210 :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 단계
S220 : 전류 측정 단계
S230 : 보정값 비교 단계
S240 : 접속 차단 및 알람 신호 제공 단계
S300 :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S310 : 제1온도 측정 단계
S320 : 제1통신 단계
S330 : 제1온도 비교 단계
S340 : 접속 차단 및 알람 신호 제공 단계
S350 :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S360 : 냉각팬 작동 단계
S370 : 제2온도 비교 단계
S380 : 접속 차단 및 알람 신호 제공 단계
S390 :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S400 : 전류 측정 단계
S410 : 제1신호 전달 단계
S420 : 전력 비교 단계
S430 : 시간 비교단계
S440 : 인버터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가 되는 단계

Claims (22)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인버터(inverter);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 배터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내장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외장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일정 전력(P1)을 비교하는 제1전력 비교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력 비교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상기 내장 배터리가 주 사용 배터리로 적용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력 비교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상기 내장 배터리가 주 사용 배터리로 적용되는 단계 이후,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일정 전력(P2)을 비교하는 제2전력 비교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력 비교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P2)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력 비교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일정 전력(P2)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6.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인버터(inverter);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 배터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내장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외장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전압에 따른 기준 보정값(P3)을 비교하는 보정값 비교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값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기준 보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기준 보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8.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인버터(inverter);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 배터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내장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외장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인버터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버터의 작동 및 전원을 제어하는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 보드에 전송하는 제1통신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제1기준온도(t1) 및 상기 제1기준온도 보다 높은 온도인 제2기준온도(t2)와 비교하는 제1온도 비교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t1) 이하인 경우,
    상기 외장 배터리 및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가 상기 제1기준온도(t1) 초과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t2) 미만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t2) 이상인 경우,
    상기 인버터 보드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팬이 작동하는 냉각 팬 작동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팬 작동 단계 이후,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상기 제어 보드에 전송하는 제2통신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제3기준온도(t3)와 비교하는 제2온도 비교 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가 상기 제3기준온도(t3) 이상인 경우,
    상기 외장 배터리 및 상기 내장 배터리의 접속이 차단되고,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가 상기 제3기준온도(t3) 미만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된 이후,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온도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상기 제어 보드에 전송하는 제3통신 단계;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를 제2기준온도(t2)와 비교하는 제3온도 비교 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t2) 미만인 경우,
    상기 냉각 팬 작동 단계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온도 비교 단계에서 상기 인버터 보드의 온도가 상기 제2기준온도(t2) 이상인 경우,
    상기 냉각 팬 작동 단계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19.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인버터(inverter);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 배터리;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내장 배터리와 병렬 연결되는 외장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가 되는 단계;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에 대한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접속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상기 외장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 보드에 전송하는 제1신호 전달 단계;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과 일정 전력(P4)을 비교하는 전력 비교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비교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일정 전력(P4) 이하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시간과 일정 시간(T1)을 비교하는 시간 비교단계를 진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비교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T1) 이상인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 보드에 전송하는 제2신호 전달 단계;
    상기 제어 보드에서 상기 인버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인버터의 전원이 차단되는 전원 차단 단계;가 진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비교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시간이 상기 일정 시간(T1)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 비교단계가 재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비교단계에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력이 상기 일정 전력(P4) 초과인 경우,
    상기 인버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가 재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KR1020210005053A 2020-12-24 2021-01-14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KR10256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62,396 US11495989B2 (en) 2020-12-24 2021-01-29 Output control method of parallel battery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inve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82968 2020-12-24
KR1020200182968 2020-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326A true KR20220092326A (ko) 2022-07-01
KR102563461B1 KR102563461B1 (ko) 2023-08-04

Family

ID=8239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053A KR102563461B1 (ko) 2020-12-24 2021-01-14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46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47B1 (ko) 2001-10-12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의 충전 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08624A (ko) * 2010-07-19 2012-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확장형 배터리 장치
JP2013135522A (ja) * 2011-12-26 2013-07-08 Daiwa House Industry Co Ltd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20140059901A (ko) * 2012-11-08 2014-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15127611A (ja) * 2013-12-27 2015-07-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KR20170052954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병렬확장을 위한 배터리 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8207567A (ja) * 2017-05-30 2018-12-27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バータ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47B1 (ko) 2001-10-12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의 충전 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08624A (ko) * 2010-07-19 2012-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확장형 배터리 장치
JP2013135522A (ja) * 2011-12-26 2013-07-08 Daiwa House Industry Co Ltd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20140059901A (ko) * 2012-11-08 2014-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을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15127611A (ja) * 2013-12-27 2015-07-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
KR20170052954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병렬확장을 위한 배터리 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8207567A (ja) * 2017-05-30 2018-12-27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バ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461B1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506B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의 충전 제어 방법,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차량
US5900717A (en)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circuit
JP3618472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電池ユニットを使用する装置
KR100686794B1 (ko) 배터리팩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JP4861245B2 (ja) 二次電池充電システム
TWI427892B (zh) 具省電功能之供電系統及供電方法
WO2010055576A1 (ja) 充電回路、電子装置、プログラム、充電方法、および電源装置
JP3904489B2 (ja) 充電制御回路、充電器、電源回路、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電池パック
JP2009033879A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TWI481889B (zh) 充電電池溫度偵測方法、電源管理裝置及電子系統
JP2009178040A (ja) 電池群制御装置及び電池電源システム
KR20040024754A (ko)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JP2021106494A (ja) 半導体装置、及び監視方法
US20150089260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JP3405525B2 (ja) 電池パック制御装置
TW200805850A (en) Lithium battery pack
JP4827457B2 (ja) 電子機器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2011083093A (ja) 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回路
JP2003173825A (ja) 二次電池保護装置
KR20220092326A (ko) 인버터를 포함한 배터리 병렬형 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US20100033131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8124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static current in a secondary battery of a vehicle and protecting the secondary battery
US20050040787A1 (en) Portable computer
JPH10164765A (ja) 電池駆動装置、電池管理装置および外部機器のコントローラ
US11495989B2 (en) Output control method of parallel battery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i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