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219A -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219A
KR20220092219A KR1020200183774A KR20200183774A KR20220092219A KR 20220092219 A KR20220092219 A KR 20220092219A KR 1020200183774 A KR1020200183774 A KR 1020200183774A KR 20200183774 A KR20200183774 A KR 20200183774A KR 20220092219 A KR20220092219 A KR 2022009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hollow
shear
hollow slab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457B1 (ko
Inventor
배규웅
신상민
부윤섭
박금성
이상섭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8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6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with filling members between the beams
    • E04B5/261Monolithic filling members
    • E04B5/265Monolithic filling members with one or more hollow c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중공 코어가 최적화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를 형성하고,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전단력을 보강할 수 있고, 또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 콘크리트 양이 적게 소요되도록 중공 코어 형상을 최적화하여 자중을 줄일 수 있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장지간 설치를 통해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하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RECAST FIREPROOF HOLLOW COR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중공 코어의 크기가 최적화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를 형성하고,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내화(Fire Proof) 성능 및 전단보강 성능을 형상시키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래브(Slab)는 기둥들 사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건축구조물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라멘 구조에서는 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Beam)나 거더(Girder) 등의 지지부재에 전달한다.
이러한 라멘구조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각각의 단위 슬래브를 보에 의해 구획하고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 하여 경량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달받기 위한 보나 거더 등의 지지부재를 반드시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나 거더의 높이가 소요되므로 층고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높이가 건축법상의 사선제한에 의해 제한되므로 높은 층고가 필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보나 거더의 높이에 따른 층고의 높이가 커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보나 거더가 없는 플랫 플레이트나 플랫 슬래브(Flat slab)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플랫 슬래브 구조는 보나 거더(빔)가 필요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층고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이때, 보를 생략하는 대신에 슬래브 자체가 어느 정도의 하중을 추가로 부담하여야 하므로 슬래브 자체의 중량이 커지게 됨은 물론,플랫 슬래브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부담하기 위한 기둥이나 기초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진하중이 증가하고 횡력 요소에 대한 부재의 크기가 증가하며 자중이 증가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이러한 플랫 슬래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고층화나 넓은 거실 공간의 확보를 위해 슬래브의 두께를 늘려 춤(단면 높이)을 키우거나 경량화나 차음성능 개선을 위해 슬래브 내부에 매설물을 설치하여 중공화하는 공법이 여러 가지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건물의 구조부재 중 하나로 사용되는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 HCS)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여기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는 공장에서 제작되는 콘크리트 부재를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0)는 제작대에 강연선 등의 철근을 배근하고, 강연선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중공슬래브 자동성형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됨으로써 중공(hc)을 갖는 구조체가 된다.
이때, 중공슬래브(10)의 폭은 통상적으로 0.9~1.2m로 제작될 수 있지만, 최근 그 크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공슬래브(10)의 폭이 좁게 제작되어 현장에서 거더에 지지시켜 놓는 작업을 할 경우, 양중 횟수가 증가되며, 좁은 폭에 의해 생산성의 한계를 갖게 된다. 다시 말하면, 최근 장스팬 대단면을 갖는 중공슬래브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공슬래브(10)는 바닥판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하중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도록 이후에 토핑 콘크리트 (Topping Concrete)를 타설할 경우, 토핑 콘크리트층과 일체성을 갖는 결속수단이 없어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중공슬래브(10)를 포함하는 PC부재, 예를 들면, 프리캐스트 슬래브의 경량성을 확보하고,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콘크리트 단면을 제거함으로써 중공(hc)이 형성된 부재 단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자동화기기를 도입하거나, 또는 발포폴리스티렌(EPS) 등의 단열재를 매입하는 등 PC부재 제조업체에서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지만, 초기 투자비용 및 부재단가 증가에 대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PC부재로 제작된 중공슬래브는 장지간을 통해 공간 확보에 용이하고, 콘크리트의 양이 적게 소요되므로 자중이 줄어들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택이나 산업현장 등 건축 분야에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그만큼 콘크리트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부 두께가 얇아지고 중공 사이의 간벽 두께가 얇아지면서 화재 등으로부터 취약한 면이 존재하므로, 내화를 위한 중공슬래브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내화를 위한 중공슬래브 보강 방법으로는,
1) 슬래브 조성물 자체에 유기섬유 또는 내화성 유리섬유를 포함시켜 제작하는 방법,
2) 슬래브 하부면 외부에 도포되는 마감층의 모르타르에 내화성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3) 중공부 및 그 주변에 석고재질의 보강재를 첨가하는 방법,
4) 중공부에 삽입되는 부재를 불연성 재질로 제작하는 방법,
5) 슬래브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9888호에는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20)는, 중공(21)이 내부에 형성된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된 중공슬래브로서, 상기 중공(21)을 형성시키기 위한 중공체(22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중공슬래브 표면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화재시 중공에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열기가 중공슬래브 표면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열전달파이프(22b)를 구비하는 열기배출장치(22)를 포함하며, 상기 열기배출장치(22)의 타단은 중공슬래브의 표면이 폭렬되더라도 철근이 노출되지 않도록 연장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20)에 따르면, 중공슬래브의 중공에 화재 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열기가 중공슬래브의 내부로부터 폭렬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종국적으로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는 중공슬래브의 내화를 제어할 수 있도록 화재시 내화슬래브 내부의 열기를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만, 이러한 열기를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 되어 있다고 해도, 화재 지속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온도는 더욱 더 높아지며, 그 내구성도 낮아질 수밖에 없고, 결국 화재에 버티지 못해 무너지거나 파괴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180280호에는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는,
폭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폭방향 양측에 각각 정착철물(31)이 돌출하여 매입되는 중공슬래브(30); 및 수평 보강부(41)와 수직 보강부(42)로 이루어지고, 수직 보강부(42)가 양측의 중공슬래브(30) 이음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수평 보강부(41)가 양측의 중공슬래브(30)의 정착철물(31)에 용접되어 구성되는 보강철물(40)을 포함하며, 보강철물(40)은 수직 보강부(42)에 복수의 관통공이 통공되고, 수직 보강부(42)의 관통공의 양측에 관통공이 통공된 보강판이 접합된다.
이때, 중공(hc)이 형성된 중공슬래브(30)는 길이방향 일정간격마다 상부면이 절삭되어 포켓부(32)가 형성되고, 정착철물(31)이 포켓부(32)에서 노출되도록 매입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는, 중공슬래브 상호간의 이음부에 연결철물을 매입하고 보강철물을 접합하도록 구성하여, 중공슬래브의 이음부에서의 처짐에 의한 휨성능 및 전단성능을 개선함으로써, 이음부에 크랙이 형성됨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재 시 이음부 취약화를 보강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에 따르면, 단지 이음부를 보강시 이음부는 내화성능을 확보하여 화재시 열화를 늦출 수 있지만, 이음부를 제외한 중공부 부분 등의 내화성능이 확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역시 화재에 버티지 못하는 위험이 존재하므로, 전체적인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동시에 전단보강 성능을 갖출 수 있는 최적의 내화 및 전단보강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기술이 필요하다.
한편, 도 4는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PC 중공슬래브)의 내화시험 후의 모습으로 중공부 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사이의 이음부에서는 탈락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측면의 일부 중공부에서 하부와 중간부가 탈락하는 손상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중공부에서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하거나,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끼리의 이음부 사이에 정착철물과 보강철물을 매입하여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 콘크리트 두께를 증가시켜 내화시간을 늘리는 방안이 있지만, 이는 단순히 콘크리트 양만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중이 증가하게 되어 경제성, 시공성, 안전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안이라 할 수 없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가 화재 시 가장 취약한 부분은 이음부가 아니라 중공부의 하부와 중간부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가 법정 내화시간을 견디기 이전에 탈락하여 낙하하게 되면, 인명 안전상 및 구조물의 안전상 큰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기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즉, 중공부를 최대한 크게 하여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자중을 혁신적으로 줄여서 무게를 줄이면서도 화재 시 중공부가 탈락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바닥판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909888호(등록일: 2018년 10월 15일), 발명의 명칭: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180280호(등록일: 2020년 11월 12일), 발명의 명칭: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2-0135565호(공개일: 2012년12월17일), 발명의 명칭: "비모듈 대응성 및 수평 전단 성능 향상을 위한 중공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5-67012호(공개일: 2015년 6월 17일), 발명의 명칭: "피씨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0-92704호(공개일: 2010년 8월 23일), 발명의 명칭: "댑 단부 PC 중공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1995-3931호(공개일: 1995년 1월 6일), 발명의 명칭: "수평 콘크리트 데크의 2 단계 구축으로 이용하는 몰드범위 바닥재용 슬래브"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공 코어가 최적화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고, 종방향 매입철근과 상단이 연결되는 내화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전단력을 보강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 콘크리트 양이 적게 소요 되도록 중공 코어 형상을 최적화하여 자중을 줄일 수 있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장 지간 설치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방향 매입철근과 상단이 연결되는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재 취약성을 개선하고 전단보강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중공슬래브 본체에 다수의 중공 코어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상부에 배치되는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 및 상단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에 결합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중공 코어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를 통해 중공 코어 내부에 적어도 1개가 설치되는 제2 또는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또는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종방향 매립철근을 결합하여 내화성능과 전단보강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측면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에 결합되는 철근 또는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시킨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코어가 대형화 및 최적화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Precast Hollow Core Slab)를 형성하고,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전단력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 콘크리트 양이 적게 소요되도록 중공 코어 형상을 대형화 및 최적화하여 자중을 줄일 수 있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장지간 설치를 통해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하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방향 매입철근과 상단이 연결되는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재 취약성을 개선하고 전단보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를 건물 및 주택분야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로서 중공부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자중을 줄여서 무게를 줄이면서도 화재 시 중공부가 탈락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바닥판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내화시험 후 측면의 중공부분이 손상된 모습을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되는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서 중공슬래브의 다양한 중공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내화 전단보강철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철근을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보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상면에 전단코터로서 엠보싱을 형성한 것을 나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g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1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되는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서 중공슬래브의 다양한 중공 형상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 적용되는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슬래브 본체(111)에 중공 코어(112)가 형성된다.
이때,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에 콘크리트 양이 적게 소요 되도록 중공 코어 형상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화 및 최적화하여 자중을 줄일 수 있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장지간 설치를 통해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하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에서 중공 코어(112)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중공 코어(112a)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반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중공 코어(112b)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수평면 형태로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중공 코어(112c)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이고 상단부는 삼각형과 꼭지점이 반원형 형태로 복합된 삼각반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경우, 중공슬래브 아래쪽에 강선(긴장재, 텐던)이 배치되면 강선과 중공 코어(112) 사이는 내화피복 보호를 위해 어느 정도 피복두께를 확보해야 하고, 또한, 측변 형상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공 코어(112)의 가운데 중공면은 하단부 및 상단부에 비해 더 넓게 절취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이로서 중공 코아(112)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있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자중을 줄여서 무게를 줄이면서도 화재 시 중공부가 탈락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바닥판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7의 a)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를 접촉시켜 측면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7의 b)는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결합하여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100)은,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 토핑콘크리트용 매립철근(121, 122), 제1 내지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0: 131, 132, 133), 제1 전단보강 철근(141), 제2 전단보강 철근(142a, 142b) 및 토핑콘크리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 각각은 중공슬래브 본체(111)에 다수의 중공 코어(112)가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 제작되며, 경사형 측면부의 하단이 접촉하여 서로 밀착하고, 도면부호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112)는,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반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중공 코어(112a),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중공 코어(112b),
또는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이고 상단부는 삼각형과 꼭지점이 반원형 형태로 복합된 삼각반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중공 코어(112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엠보싱 형태의 전단코터(170)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토핑콘크리트용 매립철근(121, 122)은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 및 토핑콘크리트용 횡방향 매립철근(1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 상부에 배치된다.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은 상단 클립(상단으로 지칭할 수 있다.)이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연결부(A)에 설치된다.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은 상단 클립이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112) 내부에 설치된다.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3)은 상단 클립이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112) 내측 상단에 걸리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내화 전단보강철물(130,131,132,133)은 철근 또는 강판등을 절곡하여 형성시키면 된다.
제1 전단보강 철근(141)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의 절곡된 하부에 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전단보강 철근(141)은 인장철근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단보강 철근(142a, 142b)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에 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전단보강 철근(142a, 142b)은 인장철근을 사용하고 경사재가 없는 비렌딜 트러스와 같이 길이방향 인장력과 압축력을 부담하고 전단보강철근은 전단력을 부담할 수 있다. 이를 대신해 N-Bar 또는 래티스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토핑콘크리트(15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상부에 바닥판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상부에 타설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112) 내부를 설계에서 필요한 종방향 길이만큼 충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1, 132)은 상기 제1 및 제2 전단보강 철근(141, 142a, 142b)와 결합하고, 상기 토핑콘크리트(150)의 타설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내화 성능 및 전단보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내화 전단보강철물(131,132,13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철근을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측면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상기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연결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는 상단 클립(131b); 및
상기 제1 전단보강철근(141)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 받침(13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112)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는 상단 클립(132b);
상기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 중 하부 전단보강철근(142b)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 받침(132c); 및
상기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 중 상부 전단보강철근(142b)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중단에서 거치 펀칭(Punching)으로 형성되는 철근 걸림턱(132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을 상기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3)은
상단 클립이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 내부 상부면 상단에 걸리도록 고정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보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에 제2 전단보강철물(132)을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를 보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슬래브(110)의 중공 코어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에 전단보강철근을 배치하여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과 일체화시킴으로써, 화재시 측면 테두리부의 중공 코어부가 탈락하여 낙하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상면에 전단코터(170)인 엠보싱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 상면에 전단코터(170)인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100)에 따르면, 중공슬래브(110)와 토핑콘크리트(150) 사이에 작용하는 면내전단력에 저항하고, 또한, 상기 중공슬래브(110)와 상기 토핑콘크리트(150)의 합성작용을 강화하기 위해 중공슬래브 상면에 일정 깊이의 엠보싱 형태의 전단코터(170)를 다수 형성시키되, 성형 형상과 개소 등을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 따르면, 상온에서뿐만 아니라 화재 시 고온에서도 중공슬래브 단부의 전단보강근의 역할 및 단면 보강의 역할도 같이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슬래브 단부에서의 전단력에 저항하며, 내화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철근 및 종방향 매립철근의 결속을 통해 중공슬래브와 토핑콘크리트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에 따르면, 중공 코어가 최적화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고,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전단력을 보강할 수 있고,
또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에 콘크리트 양이 적게 소요되도록 중공 코어 형상을 최대화 최적화하여 자중을 줄일 수 있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의 장지간 설치를 통해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하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100)의 시공방법]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g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 도 13a 내지 도 13g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먼저, 중공슬래브 본체(111)에 다수의 중공 코어(112)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 상부에 개구부(Opening)를 성형한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를 프리캐스트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한다(S110).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112)는,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반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중공 코어(112a),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중공 코어(112b), 또는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이고 상단부는 삼각형과 꼭지점이 반원형 형태로 복합된 삼각반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중공 코어(112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엠보싱 형태의 전단코터(170)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하단부가 접촉하도록 배치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연결부의 내부에 제1 전단보강철근(141)을 배치하고 중공 코어(112)의 내부에 제2 전단보강철근(142)을 배치한다(S130).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 상부에 토핑콘크리트용 종횡방향 매립철근(121, 122)를 배치한다(S140).
다음으로, 제1 및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1, 132)을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각각 결합시킨다(S15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연결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는 상단 클립(131b); 및 상기 제1 전단보강철근(141)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 받침(13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112)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는 상단 클립(132b); 상기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 중 하부 전단보강철근(142b)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 받침(132c); 및 상기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 중 상부 전단보강철근(142b)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중단에서 거치 펀칭(Punching)으로 형성되는 철근 걸림턱(13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3)을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시키되, 상기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3)은 상단 클립이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 내측 상단에 걸리도록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연결부에서 상기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에 제1 전단보강철근(141)을 거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 내부에서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에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을 거치한다(S160).
구체적으로, 상기 전단보강철근(141, 142a, 142b)은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거치용 제1 전단보강철근(141)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거치되는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거치용 제1 전단보강철근(141)은 상기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에 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은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에 거치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토핑콘크리트(150)를 타설하여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연결부와 중공 코어를 충전 및 경화시킴으로써,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을 완성한다(S170).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1, 132)은 상기 제1 및 제2 전단보강 철근(141, 142a, 142b)와 결합하고, 상기 토핑콘크리트(150)의 타설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내화 성능 및 전단보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매입철근과 상단이 연결되는 내화 전단보강철물과 전단보강 철근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재 취약성을 개선하고 전단보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를 건물 및 주택분야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110, 110a, 110b: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121: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
122: 토핑콘크리트용 횡방향 매립철근
130: 내화 전단보강철물
131: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 132: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
133: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 141: 제1 전단보강 철근
142a, 142b: 제2 전단보강 철근 150: 토핑콘크리트
170: 엠보싱 전단코터

Claims (10)

  1. 중공슬래브 본체(111)에 다수의 중공 코어(1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 상부에 배치되는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 및
    상단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를 통해 중공 코어(112) 내부에 적어도 1개가 설치되는 제2 또는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2,133);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또는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2,133)과 종방향 매립철근(121)을 결합하여 내화성능과 전단보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는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는 철근 또는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시킨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을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길이방향으로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에 거치되는 제1 전단보강 철근(141); 및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길이방향으로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에 거치되는 제2 전단보강 철근(142a, 142b)을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엠보싱 형태의 전단코터(170)가 다수 더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상부에 바닥판을 형성하도록,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상부에 타설되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측면 연결부 및 중공 코어(112) 내부를 충전하는 토핑콘크리트(150)를 더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는 철근 또는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시킨것으로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중공 코어(112)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되, 중공코어(112)의 내부 상부면에 걸리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3)는 철근 또는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시킨 것으로서 중공 코어(112)의 내부 상부면에 걸리도록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코어(112)는,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반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중공 코어(112a),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중공 코어(112b), 또는
    하단부는 삼각형 형태이고 상단부는 삼각형과 꼭지점이 반원형 형태로 복합된 삼각반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제3 중공 코어(112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은,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중공 코어(112) 내부에 개구부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상단에 형성되어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는 상단 클립(132b);
    상기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 중 하부 전단보강철근(142b)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 받침(132c); 및
    상기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 중 상부 전단보강철근(142b)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2a)의 중단에서 거치 펀칭(Punching)으로 형성되는 철근 걸림턱(132d)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3)은 상단 클립이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고,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중공 코어(112)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중공 코어(112) 내부 상부면에 걸리도록 고정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은,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측면 연결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의 상단에 형성되어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는 상단 클립(131b); 및
    상기 제1 전단보강철근(141)의 거치를 위해 상기 전단보강철물 본체(131a)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단 받침(132c)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9. a) 중공슬래브 본체(111)에 다수의 중공 코어(112)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 상부에 배치되는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 및 상단이 상기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결합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를 통해 중공 코어(112) 내부에 적어도 1개가 설치되는 제2 또는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2,133);을 포함하여, 상기 제2 또는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2,133)과 종방향 매립철근(121)을 결합하여 내화성능과 전단보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을 제작하는 단계; 및
    b) 토핑콘크리트(150)를 타설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의 측면 연결부와 중공 코어를 충전 및 경화시킴으로써,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100)은,
    중공슬래브 본체(111)에 다수의 중공 코어(112)가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 상부에 개구부(Opening)를 성형한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를 프리캐스트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제1 및 제2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하단부가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 연결부(A)의 내부에 제1 전단보강철근(141)을 배치하고 중공 코어(112)의 내부에 제2 전단보강철근(142)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프래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 상부에 토핑콘크리트용 종횡방향 매립철근(121, 122)를 배치하는 단계;
    제2 및 제3 내화 전단보강철물(132, 133)을 토핑콘크리트용 종방향 매립철근(121)에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측면 연결부에서 상기 제1 내화 전단보강철물(131)에 제1 전단보강철근(141)을 거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110a, 110b)의 중공 코어 내부에서 상기 제2 내화 전단보강철물(132)에 제2 전단보강철근(142a, 142b)을 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200183774A 2020-12-24 2020-12-24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4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74A KR102548457B1 (ko) 2020-12-24 2020-12-24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74A KR102548457B1 (ko) 2020-12-24 2020-12-24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219A true KR20220092219A (ko) 2022-07-01
KR102548457B1 KR102548457B1 (ko) 2023-06-28

Family

ID=8239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774A KR102548457B1 (ko) 2020-12-24 2020-12-24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697B1 (ko) * 2022-07-08 2023-11-24 이진섭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할로우코어 슬래브의 제조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31A (ja) 1991-05-28 1995-01-06 Jose M Restrepo 水平コンクリートデッキの2段階構築に用いる型枠床材用スラブ
JP2006307435A (ja) * 2005-04-26 2006-11-09 Shimizu Corp 段差付きスラブ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00092704A (ko) 2009-02-13 2010-08-23 지석원 댑 단부 pc 중공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10090685A (ko) * 2010-02-04 2011-08-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덧침 콘크리트 절감과 부착성능이 향상된 하프 슬래브
KR20120135565A (ko) 2011-06-07 2012-12-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모듈 대응성 및 수평 전단 성능 향상을 위한 중공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30090664A (ko) * 2012-02-06 2013-08-14 삼연 피씨이 주식회사 중공슬래브 보강방법 및 이에 따른 중공슬래브
KR20150067012A (ko)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네비엔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KR101909888B1 (ko) 2017-05-29 2018-10-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
KR102180280B1 (ko) 2018-07-10 2020-11-18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31A (ja) 1991-05-28 1995-01-06 Jose M Restrepo 水平コンクリートデッキの2段階構築に用いる型枠床材用スラブ
JP2006307435A (ja) * 2005-04-26 2006-11-09 Shimizu Corp 段差付きスラブ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00092704A (ko) 2009-02-13 2010-08-23 지석원 댑 단부 pc 중공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10090685A (ko) * 2010-02-04 2011-08-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덧침 콘크리트 절감과 부착성능이 향상된 하프 슬래브
KR20120135565A (ko) 2011-06-07 2012-12-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모듈 대응성 및 수평 전단 성능 향상을 위한 중공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30090664A (ko) * 2012-02-06 2013-08-14 삼연 피씨이 주식회사 중공슬래브 보강방법 및 이에 따른 중공슬래브
KR20150067012A (ko)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네비엔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KR101909888B1 (ko) 2017-05-29 2018-10-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열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중공슬래브 및 그 제작방법
KR102180280B1 (ko) 2018-07-10 2020-11-18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697B1 (ko) * 2022-07-08 2023-11-24 이진섭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할로우코어 슬래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457B1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2410A1 (en) Structural el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297972C (en) Building panel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KR20100012404A (ko) 리브드 하프피씨 바닥판
KR20130044623A (ko) 층고절감형 강합성보 및 이를 구비한 바닥판 구조 및 바닥판 구조 시공방법
US20030101669A1 (en) Elementary module for producing a breaker strip for thermal bridge between a wall and a concrete slab and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same
KR20090068536A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2548457B1 (ko) 프리캐스트 내화 중공슬래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A013175B1 (ru) Наружная стена многоэтажного 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истемы аркос и способ ее возведения
US5146726A (en) Composite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components therefor
KR20030008875A (ko) 개방형 단면을 갖는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충복 내화형합성보 구조
EP2241690A2 (en) Insulated foundation element for mounting on precast base foundation
KR101315365B1 (ko) 복합보 구조
KR200178874Y1 (ko) 조립식 pc콘크리트 벽체판넬
JP2002038642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304567B1 (ko) 측방연결수단을 이용한 파이형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CN212224353U (zh) 一种使用寿命长的建筑楼面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SI21191A (sl) Dvakrat prednapeta, sestavljena strešno-stropna konstrukcija s plosko sofito za industrijske stavbe velikega razpona
KR100992038B1 (ko) 콘크리트 충진형 건축부재
KR102674386B1 (ko) 열차단판과 강도보강재를 포함한 합성보
WO1998059126A1 (en) Grilled lightweight concrete masonry ceiling
KR101287031B1 (ko) 복합보 구조
KR10260669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중공 형성 구조물
CN217537490U (zh) 夹心保温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