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217A - 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 Google Patents

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217A
KR20220092217A KR1020200183766A KR20200183766A KR20220092217A KR 20220092217 A KR20220092217 A KR 20220092217A KR 1020200183766 A KR1020200183766 A KR 1020200183766A KR 20200183766 A KR20200183766 A KR 20200183766A KR 20220092217 A KR20220092217 A KR 2022009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rota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22124B1 (en
Inventor
김소연
Original Assignee
김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연 filed Critical 김소연
Priority to KR1020200183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124B1/en
Publication of KR2022009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2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1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signal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 pedestrian crossing the crosswalk when a vehicle turns right,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driver are notified to pay att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additional safety measures for pedestrians by providing a barrier and a street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idents of pedestrians crossing an intersection can be reduced, and thus both drivers and pedestrians can safely move.

Description

보행자 안전을 위한 교통 신호 시스템 {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본 발명은 보행자 안전을 위한 교통 신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우회전하는 경우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가 있으면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에게 주의하도록 알림을 보내는 교통 신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signal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ffic signal system that notifies pedestrians and vehicle drivers to pay attention to pedestrians and vehicle drivers when there is a pedestrian crossing the crosswalk when the vehicle turns right.

교통사고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하는 순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항상 조심해야한다. 사고 예방과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교통 신호 시스템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교통신호란 방향이 서로 엇갈리는 보행자 및 차량들에게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통행우선권을 할당하는 통제설비를 말한다.Traffic accidents happen at moments that no one expects, so you should always be careful. Traffic signal systems are used for accident prevention and smooth traffic flow. In general, a traffic signal refers to a control facility that allocates the right-of-way to pedestrians and vehicles in different directions at appropriate time intervals.

이러한 교통 신호 시스템을 신뢰하고 운전을 하거나 보행을 하는 경우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사거리 교차로의 경우 보행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는 경우 사고에 대한 긴장을 풀게 되는데, 우회전하는 차량으로 인해 위험한 순간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우회전 신호의 경우 보행자가 없는 경우라면 통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우회전 전용 신호등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큰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If you trust these traffic signal systems and drive or walk, unexpected accidents may occu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ntersection, crossing a crosswalk according to a pedestrian signal relieves tension in an accident, but a dangerous moment often occurs due to a right-turning vehicle. This is a problem because in the case of a right turn signal, if there are no pedestrians, it is possible to pass. In order to prevent this, there are cases where a traffic light dedicated to a right turn is installed, but it does not show a great effect.

또한 최근에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음을 줄인 차량들이 많이 나오면서 보행자가 우회전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특히 시각 장애인들은 음향신호기를 이용하더라도 우회전 차로 인한 사고의 위험에는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In addition, recently, many vehicles with reduced noise have come out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pedestrians often do not recognize right-turning vehicles. In particular, visually impaired people are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accidents caused by right-turning vehicles even when they use sound signal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849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8493

본 발명의 목적은 교차로에서 회전하는 차량에 의해 보행자가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교통 신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ffic signal system for preventing a pedestrian from being injured by a vehicle rotating at an inters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 추가적인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교통 신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ffic signal system that can take additional safety measures in the presence of pedestria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은 회전 차량 감지센서 및 위험 알림부를 포함한다. 회전 차량 감지센서는 교차로의 제1 구역에서 회전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위험 알리부는 회전 차량 감지센서에서 차량의 회전이 감지되면 보행자에게 알린다. A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and a danger notification unit. The turning vehicle detection sensor detects a vehicle turning in the first area of the intersection.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notifies pedestrians when the rotation of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은 보행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행자 감지센서는 교차로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보행자를 감지한다. The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edestrian detection sensor.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detects pedestrians waiting to cross the inter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은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은 회전 차량의 진입을 차단한다. 보행자 감지센서에서 보행자가 감지되고 회전 차량 감지센서에서 회전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차단막이 회전 차량의 진입을 차단한다.The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film. The barrier blocks the entry of a rotating vehicle. When a pedestrian is detected by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and a rotating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the blocking screen blocks the entrance of the rotating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은 보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감지센서는 제1 구역에 진입하기 전인 제2 구역에서 차량을 감지한다. The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detection sensor.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vehicle in the second zone before entering the first z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은 보행자의 보행로를 비추기 위한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차량 감지센서에서 회전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가로등이 점등된다. A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reet lamp for illuminating a pedestrian's walking path. When a rotating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the street lamp is turned on.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은 교차로에서 회전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보행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보행자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pedestrian accident from occurring by detecting a vehicle rotating at an intersection and notifying the pedestrian.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가 보행하는 경우 차단막을 차단하거나 가로등을 점등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가 안심할 수 있는 교통 신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raffic signal system in which drivers and pedestrians can feel safe by blocking a barrier or turning on a street lamp when a pedestrian wal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이 교차로에 설치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at a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block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can be replac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이 교차로에 설치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막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at a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1000)은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 보조 감지센서(1200), 보행자 감지센서(1300), 위험 알리부(1400), 차단막(1500), 가로등(1600), 제어부(1700)를 포함한다. 제어부(1700)는 교통 신호 시스템(10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교차로는 사거리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횡단보도가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도로가 될 수 있다. 1 and 3, the traffic signa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an auxiliary detection sensor 1200, a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and a danger notification unit. 1400 , a blocking film 1500 , a street lamp 1600 , and a control unit 1700 . The controller 17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raffic signal system 1000 . Hereinafter, an intersection will be described as a crossroad in this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oad of various types in which a crosswalk is installed.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는 교차로의 제1 구역에서 회전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제1 구역에 진입하기 전인 제2 구역에 위치하는 차량은 직진을 할지 우회전을 할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는 교차로의 꺾어지는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는 초음파 센서, 자기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될 수 있다.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는 차량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1700)에 보낸다.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detects a vehicle rotating in the first area of the intersection. This is because the vehicle located in the second zone before entering the first zone does not know whether to go straight or turn right. To this end,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may be installed at a bent corner of an intersection.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may be a sensor of various types,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and a magnetic sensor.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700 when detecting a vehicle.

위험 알림부(1400)는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에서 차량의 회전이 감지되면 보행자에게 알린다. 위험 알림부(1400)는 소리로 위험을 알릴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진동, 소리와 진동 병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보행자는 위험 알리부(1400)의 알림을 통해 우회전 차량이 다가오는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횡단보도의 보행자 신호가 보행자가 건너갈 수 있는 신호인 경우에는 알림을 주지만, 보행자가 건너갈 수 없는 신호인 경우에는 알림을 주지 않을 수 있다.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1400 notifies the pedestrian when the rotation of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on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1400 may notify the danger by sound, and in another embodiment, may notify the danger in various ways, such as vibration or a combination of sound and vibration. A pedestrian may know that a right-turning vehicle is approaching through the notification of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1400 , and thus an accident may be prevented. In this case, a notification may be given when the pedestria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rosswalk is a signal that pedestrians can cross, but a notification may not be given when the signal is a signal that pedestrians cannot cross.

보조 감지센서(1200)는 제2 구역에서 차량을 감지한다. 제2 구역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보조 감지센서(1200)는 제어부(1700)로 감지 신호를 보낸다. 제1 구역에 우회전 차량이 없는 경우라면, 제어부(1700)는 제2 구역에서 감지된 차량이 직진/우회전 여부가 불명확하므로,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에서 차량을 감지할 때까지 기다린다. 제1 구역에 우회전 차량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1700)는 위험 알림부(1400)가 후속 차량이 올 수 있음을 알리도록 한다. 후속 차량이 올 수 있다는 알림은 우회전 차량이 있다는 알림과는 다른 알림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우회전 차량 알림은 소리이고, 후속 차량이 올 수 있다는 알림은 진동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우회전 차량이 있고 후속 차량이 있는 경우 소리와 진동이 동시에 발생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우회전 차량 알림은 제1 소리이고, 후속 차량이 올 수 있다는 알림은 제1 소리와는 다른 제2 소리가 될 수 있다.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1200 detects a vehicle in the second zone. When a vehicle is detected in the second zone,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1200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700 . If there is no right-turning vehicle in the first zone, the control unit 1700 waits until the turn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detects the vehicle because it is unclear whether the vehicle detected in the second zone is going straight/right. If there is a right-turning vehicle in the first zone, the control unit 1700 causes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1400 to notify that a subsequent vehicle may come. A notification that a follow-up vehicle may come may be a different notification than a notification that there is a right-turning vehicle. In an embodiment, the right-turn vehicle notification may be a sound, and the notification that a subsequent vehicle may come may be a vibration. In this case, when there is a right-turning vehicle and there is a following vehicle, sound and vibration are generated at the same time. In another embodiment, the right-turn vehicle notification may be a first sound, and the notification that a subsequent vehicle may come may be a second sound different from the first sound.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회전 차량이 있고 후속 차량이 없는 경우, 우회전 차량 알림 후 후속 차량이 없다는 알림을 할 수 있다. 후속 차량이 없다는 알림도 소리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우회전 차량이 있음을 알리는 소리보다는 더 작은 소리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우속 차량이 없다는 것은 사고 발생 우려가 없으므로, 더 작은 소리로 안내를 해도 보행자에게 문제가 되지 않으며, 주변에 소음을 줄일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re is a right-turning vehicle and there is no following vehicle, after the right-turning vehicle notification, there may be a notification that there is no following vehicle. The notification that there is no follow-up vehicle can also be made with a sound, and in this case, it can be made a quieter sound than the soun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right-turning vehicle. Since there is no risk of accidents due to the absence of a vehicle at high speed, it is not a problem for pedestrians even if the guidance is made at a lower volume, and noise can be reduced in the surroundings.

보행자 감지센서(1300)는 교차로에서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보행자를 감지한다. 보행자 감지센서(1300)는 횡단보도 앞 인도에 형성된 제1 대기존(Z1)에서 보행자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보행자 감지센서(1300)가 보행자를 감지하면, 제어부(1700)에 보행자 감지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700)는 보행자 감시 신호와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 또는 보조 감지센서(120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받은 경우 차량에 보행자가 있음을 알린다. 알리는 방법은 소리를 내거나 경고등을 점멸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detects a pedestrian waiting to cross the crosswalk at the intersection.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destrian in the first waiting zone Z1 formed on the sidewalk in front of the crosswalk. When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detects a pedestrian, it sends a pedestria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700 . When receiving a pedestrian monitoring signal and a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or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1200, the controller 1700 notifies that there is a pedestrian in the vehicle. As a method of notifying, various methods such as making a sound or flashing a warning light may be applied.

본 실시예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1500)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700)는 차량에 보행자가 있음을 알리기 위해 차단막(1500)을 내려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대기존(Z1)에서 감지된 보행자가 지나가면 차단막(1500)을 올려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 a blocking film 1500 may be installed. The controller 1700 may block the vehicle from entering by lowering the blocking film 1500 to notify that there is a pedestrian in the vehicle. When a pedestrian detected in the first waiting zone Z1 passes, the blocking film 1500 is raised to allow vehicle passage.

차단막(150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미처 차단막(1500)을 보지 못하고 접촉하는 경우에 차량과 차단막(1500)에 손상이 없도록 한다. 차단막(1500)에는 충격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차량이 차단막(1500)에 접촉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큰 경보가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는 위험을 인식하고 차량을 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차단막(1500)에는 LED와 같은 전구가 설치되어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단막(1500)에 야광 물질을 도포하거나 야광 테이프를 붙여서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blocking film 15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does not see the blocking film 1500 and makes contact with the vehicle, there is no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blocking film 1500 . A shock detection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blocking film 1500 to detect when the vehic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locking film 1500 to sound a large alarm. Pedestrians are thus aware of the danger and can avoid the vehicle. In one embodiment, a light bulb such as an LED is installed on the blocking film 1500 to enable identification even at night. In another embodiment, a luminous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blocking film 1500 or a luminescent tape may be attached to enable identification at night.

본 발명에서는 보행자 감지센서(1300)가 제1 대기존(Z1)에서 보행자를 감지하였으나 보행자가 이동하여 현재 제1 대기존(Z1)에 보행자가 없는 경우에도, 제어부(1700)는 보행자이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아직 있을 시간이라면 보행자가 제1 대기존(Z1)에 있는 것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detects a pedestrian in the first waiting zone Z1, but the pedestrian moves and there is no pedestrian in the current first waiting zone Z1, the controller 1700 controls the pedestrian's movement speed In consideration of this, if it is time for the pedestrian to be still at the crosswalk, it is treated in the same way as when the pedestrian is in the first waiting zone Z1.

보행자 감지센서(1300)는 횡단보도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감지센서(1300)가 제1 대기존(Z1)과 제2 대기존(Z2)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대기존(Z2)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700)는 차량에 보행자가 있음을 알린다.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2,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waiting zone (Z1) and the second waiting zone (Z2). Even when a pedestrian is detected in the second waiting zone Z2 , the controller 1700 notifies that there is a pedestrian in the vehicle.

보행자 감지센서(1300)가 제1 대기존(Z1)과 제2 대기존(Z2)에 설치되는 경우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완전히 건너갔는지를 보행자 감지센서(1300)를 통해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기존(Z1)에 있던 보행자가 제2 대기존(Z2)에서 감지되면 횡단보도를 다 건너간 것이다.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완전히 건너가면 제어부(1700)는 알림을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막(1500)을 올린다. When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is installed in the first waiting zone Z1 and the second waiting zone Z2, it can be known through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whether the pedestrian has completely crossed the crosswalk. For example, if a pedestrian in the first waiting zone Z1 is detected in the second waiting zone Z2, the pedestrian has crossed the crosswalk. When the pedestrian completely crosses the crosswalk, the controller 1700 cancels the notification. In this embodiment, the blocking film 1500 is raised.

제1 대기존(Z1)과 제2 대기존(Z2)은 보행자가 정확한 위치를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인도에 보도블록으로 제1 대기존(Z1)과 제2 대기존(Z2)을 표시할 수 있다. 보도블록을 이용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이 제1 대기존(Z1)과 제2 대기존(Z2)을 쉽게 인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LED를 이용하여 제1 대기존(Z1)과 제2 대기존(Z2)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대기존(Z1)과 제2 대기존(Z2)을 그림으로 그려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양한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써 보행자들의 관심을 높이며, 주변 환경 미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In the first waiting zone Z1 and the second waiting zone Z2, it may be difficult for a pedestrian to recognize an accurate location. Accordingly, the first waiting zone Z1 and the second waiting zone Z2 can be displayed on the sidewalk as a sidewalk block. When using the sidewalk block, the visually impaired may easily recognize the first waiting zone Z1 and the second waiting zone Z2.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waiting zone Z1 and the second waiting zone Z2 may be displayed using LEDs.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waiting zone (Z1) and the second waiting zone (Z2) may be displayed by drawing a pictur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est of pedestrians by expressing various pictures and help to beautif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가로등(1600)은 보행자의 보행로를 비춘다.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에서 회전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700)는 가로등(1600)을 점등한다. 가로등(1600)이 점등되면 보행자는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다. 또한 차량에서도 보행자가 잘 보이게 되므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The street lamp 1600 illuminates the pedestrian path. When a rotating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 the controller 1700 turns on the street lamp 1600 . When the street lamp 1600 is turned on, pedestrians can safely cross the crosswalk. Pedestrians can also be seen clearly from vehicles, so accidents can be prevented.

일 실시예에서는 가로등(1600)은 조명부가 소정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어부(1700)는 보행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가로등(1600)이 비추는 범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행자의 이동 속도는 사람의 평균 걸음 속도로 할 수 있다. 가로등(1600)이 비추는 범위가 보행자를 따라 이동하면 보행자는 더욱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reet lamp 1600 may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lighting unit. The controller 1700 may change the range in which the street lamp 1600 illuminates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speed of the pedestrian. Here, the moving speed of the pedestrian may be an average walking speed of a human. When the range illuminated by the street lamp 1600 moves along the pedestrian, the pedestrian can cross the crosswalk more safely.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도 센서를 구비해서,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에서 회전 차량이 감지되어도 어두운 경우에만 제어부(1700)가 가로등(1600)을 점등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700)는 보행자 감지센서(1300)로부터의 보행자 감시 신호와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 또는 보조 감지센서(120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가로등(1600)을 점등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교통 신호 시스템(1000)이 기상 서버와 통신하여, 기상 정보를 받아올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통해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에서 회전 차량이 감지되어도 날씨가 안 좋은 상황에서만 가로등을 점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로등(1600)을 선택적으로 점등하도록 하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n illuminance senso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ntrol unit 1700 turns on the street lamp 1600 only when it is dark even when the rotating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700 turns on the street lamp 1600 only when it receives a pedestrian monitoring signal from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and a vehicle detection signal from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or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1200 . can make it In another embodiment, the traffic signal system 1000 may communicate with the weather server to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even if a rotating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through this information, the street lamp is only available in bad weather conditions. can be turned on. In this way, when the street lamp 1600 is selectively turned on, energy can be saved.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차량 감지센서(1100), 보조 감지센서(1200), 보행자 감지센서(1300)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된다. 이러한 센서들은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장소에 설치하면서 센싱 범위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센서들이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면, 교차로 주변이 더 깔끔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various sensors such as a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1100 , an auxiliary detection sensor 1200 , and a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300 are used. Although these sensors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locations, the sensing range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location while being installed in one location. If the sensors are installed in one location, the perimeter of the intersection can be clean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 신호 시스템은 회전 차량 감지 센서가 교차로의 제1 구역에서 회전하는 차량의 유무를 감지한다(S4100). 제1 구역에서 회전하는 차량은 우회전 차량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in the traffic sign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rotating in the first area of the intersection ( S4100 ). The vehicle turning in the first zone may be a right turning vehicle.

회전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보행자 감지센서는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해 대기존에서 대기하는 보행자를 감지한다(S4200). 보행자가 감지되면 보행자 감지센서는 제어부에 감지 신호를 보낸다. When a rotating vehicle is detected,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detects a pedestrian waiting in the waiting zone to cross the crosswalk (S4200). When a pedestrian is detected,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회전 차량과 보행자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횡단보도의 신호를 판단한다. 횡단보도의 신호가 보행자가 건너가는 신호라면, 제어부는 보행자에게는 회전 차량이 있음을 알리고, 차량에는 보행자가 있음을 알린다(S4300). 보행자에게 회전 차량이 있음을 알리는 것은 위험 알림부를 통해서 할 수 있다. 차량에 보행자가 있음을 알리는 것은 차단막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When a rotating vehicle and a pedestrian are detect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signal for a crosswalk. If the signal of the crosswalk is a signal that a pedestrian is crossing, the controller notifies the pedestrian that there is a turning vehicle, and notifies that the vehicle has a pedestrian (S4300). Notifying pedestrians that there is a turning vehicle can be done through the hazard notification unit. Various methods, such as a barrier, may be used to notify the presence of pedestrians in a vehicle.

제2 구역에서는 보조 감지센서가 차량 유무를 감지한다(S4400). 제2 구역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위험 알림부는 후속 차량이 있음을 보행자에게 알린다(S4410). 제2 구역에서 차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위험 알림부는 후속 차량이 없음을 보행자에게 알린다(S4410). In the second zone, the auxiliary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f a vehicle (S4400). When a vehicle is detected in the second zone,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pedestrian that there is a subsequent vehicle (S4410). If a vehicle is not detected in the second zone, the danger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pedestrian that there is no follow-up vehicle (S44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quivalents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1000 : 교통 신호 시스템 1100 : 회전 차량 감지센서
1200 : 보조 감지센서 1300 : 보행자 감지센서
1400 : 위험 알림부 1500 : 차단막
1600 : 가로등 1700 : 제어부
1000: traffic signal system 1100: rotation vehicle detection sensor
1200: auxiliary detection sensor 1300: pedestrian detection sensor
1400: danger notification unit 1500: blocking screen
1600: street light 1700: control unit

Claims (5)

교차로의 제1 구역에서 회전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회전 차량 감지센서; 및
상기 회전 차량 감지센서에서 차량의 회전이 감지되면 보행자에게 알리는 위험 알림부;를 포함하는 교통 신호 시스템.
a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vehicle rotating in the first area of the intersection; and
A traffic signal system comprising a; a danger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pedestrians when the rotation of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on vehicle detec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상기 보행자를 감지하는 보행자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ffic signal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edestria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edestrian waiting to cross the inters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행자 감지센서에서 보행자가 감지되고 상기 회전 차량 감지센서에서 회전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차단막이 회전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film for blocking the entry of the rotating vehicle,
When a pedestrian is detected by the pedestrian detection sensor and a rotating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the blocking screen blocks the entrance of the rotating vehic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에 진입하기 전인 제2 구역에서 차량을 감지하는 보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raffic sig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vehicle in the second zone before entering the first zon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자의 보행로를 비추기 위한 가로등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차량 감지센서에서 회전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가로등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신호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t includes a street light for illuminating the pedestrian path,
The traffic signa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eet lamp is turned on when a rotating vehicle is detected by the rotating vehicle detection sensor.
KR1020200183766A 2020-12-24 2020-12-24 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KR1024221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66A KR102422124B1 (en) 2020-12-24 2020-12-24 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66A KR102422124B1 (en) 2020-12-24 2020-12-24 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217A true KR20220092217A (en) 2022-07-01
KR102422124B1 KR102422124B1 (en) 2022-07-20

Family

ID=8239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766A KR102422124B1 (en) 2020-12-24 2020-12-24 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12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066B1 (en) * 2009-04-23 2009-07-30 주식회사 형진 Device for informing access
KR20140127014A (en) * 2013-04-24 2014-11-03 김다솜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of crosswal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78493A (en) 2016-12-30 2018-07-10 충주시 Pedestrian traffic signal lamp having a signal for warning entrance of turn to right
KR102062774B1 (en) * 2019-08-27 2020-02-11 장경식 Warning system for entrance or exit of a vehicle using doppler radar sensor
KR20200086845A (en)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위츠 Pedestrian traffic safety device at inters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066B1 (en) * 2009-04-23 2009-07-30 주식회사 형진 Device for informing access
KR20140127014A (en) * 2013-04-24 2014-11-03 김다솜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of crosswal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78493A (en) 2016-12-30 2018-07-10 충주시 Pedestrian traffic signal lamp having a signal for warning entrance of turn to right
KR20200086845A (en) * 2019-01-10 2020-07-20 주식회사 위츠 Pedestrian traffic safety device at intersection
KR102062774B1 (en) * 2019-08-27 2020-02-11 장경식 Warning system for entrance or exit of a vehicle using doppler radar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124B1 (en)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pedestrian
KR102280338B1 (en) Crossroad danger alarming system based on surroundings estimation
KR10172808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f road accident
KR20190046317A (en) Walking safety system
KR101904762B1 (en) Pedestrian traffic signal lamp having a signal for warning entrance of turn to right
KR102194543B1 (en) A complex traffic light
KR101673211B1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KR101829220B1 (en) A crosswalk safety light system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96105B1 (en) A Crosswalk Pedestrian Safety Support System Based on Smart Sensor
JP2015185075A (en) Street light system
KR101904929B1 (en) Intelligent smart pedestrian safety walking system
KR200481229Y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flashing signal of road
KR102484348B1 (en) Smart pole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pedestrians in the pedestrian crossing area
KR202100096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Driving
KR20170139800A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for signal violation and overspeed, and system of the same
KR20180082788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flashing signal of road
KR20170139807A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and system of the same
KR20130083285A (en) Traffic safety system on crosswalk using a led
KR102422124B1 (en) Traffic signaling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KR101508663B1 (en) Traffic control device using an image sensing device
KR101475453B1 (en) Jaywalking detection system
KR102353084B1 (en) A Safety signage for traffic lights at crosswalks
KR102326911B1 (en) Safety system for pedestrians
KR20230124813A (en) Control system to secure running vehicles turns right
KR100720061B1 (en) Warning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