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129A -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129A
KR20220092129A KR1020200183587A KR20200183587A KR20220092129A KR 20220092129 A KR20220092129 A KR 20220092129A KR 1020200183587 A KR1020200183587 A KR 1020200183587A KR 20200183587 A KR20200183587 A KR 20200183587A KR 20220092129 A KR20220092129 A KR 2022009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present
portable food
waste dispos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원
홍다경
백수진
엄예은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83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2129A/ko
Publication of KR2022009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수용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 PORTABLE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탈수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있기 마련이므로 부패되기 쉽고, 악취를 발생시키며,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탈수, 건조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건조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일반적으로, 130~150도의 열풍을 불어 넣어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동시에, 상기 열풍을 음식물 쓰레기 전체로 확산시켜, 교반 파쇄 수단인 복수개의 날개가 부착된 축을 고속 회전시켜 교반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가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말화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분말화시킬 때에, 교반파쇄 수단인 날개가 부착된 축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소음이 크다.
또한, 건조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건조시킬 때에 열풍을 불어 넣기 때문에, 전술한 분말화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기구를 통하여 실내로 방출될 우려가 있고, 따라서,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들이마실 위험성이 있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건조시킨 다음 건조 음식물 쓰레기를 수작업으로 수거해야만 하는 것이어서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처리기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을 뿐 아니라 사용하기가 번거롭고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켜 주는데 전력이 많이 소요되어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 공급이 어려운 캠핑과 같은 야영 활동 시에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사용할 수 없어 식사를 하고 난 뒤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제대로 분리 수거하지 못하고 한꺼번에 봉투에 담아 버리는 것이 생활화 되고,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따로 분리되지 못해 음식물에서 나오는 액상 물질에 의해 쓰레기 봉투의 무게가 무거워질 뿐 아니라, 악취가 심한 액상 물질들이 봉투의 구멍 등을 통해 빠져나옴으로써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배출이 적은 1인 가구나, 전력 공급이 어려운 노지 캠핑장과 같은 야외활동 시 또는 복잡한 기구의 설치 및 사용이 어려운 독거 노인가구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크기가 작고 구성이 간단하며 전력 사용없이 수동 조작으로도 음식물의 분쇄 및 탈수가 가능할 뿐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여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2006-0087652호 (공개일자 2006년 08월 03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 내부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쇄부는 손잡이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하단에 부착된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 상단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커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크기가 작고 구성이 간단하며 전력 사용없이 수동 조작으로도 음식물의 분쇄 및 탈수가 가능할 뿐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여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수용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쇄부는 압축 및 인장에 따라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한 길이 방향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는 매쉬형상의 거름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동하는 다수개의 커터부재; 상기 회전축 타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재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부의 개방구를 커버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축은 직경이 상이하여 이웃하는 다른 개소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다수개의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홀; 및 상기 지지관의 타측에 구비되고, 이웃하는 지지관의 걸림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눌림 및 눌림 해제가 가능한 버튼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림돌기는 외주면이 일정 각도 굴곡진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유출된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부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 배치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 내부에 삽입 및 이탈되며, 상기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분리부재의 출납을 위한 일정 공간의 출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믈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크기가 작고 구성이 간단하며 전력 사용없이 수동 조작으로도 음식물의 분쇄 및 탈수가 가능할 뿐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여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수동 조작만으로도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탈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비용이 절감되며,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야외 활동시에도 효과적으로 음식물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압축 및 인장에 따라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여 음식물 분쇄 뿐 아니라 분쇄를 마친 음식물을 압착하여 액상 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위생적인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믈 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시 분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시 분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압착 과정 시 분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시 분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압착 과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압착 과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압착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리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용 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믈 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압착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리부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용 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는 도 1 및 도 7(a)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분쇄부(200) 및 분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의 외장을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및 상기 분쇄부(2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갖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개방된 상단 즉 개방구(110)는 후술할 덮개부재(250)에 의해 개폐되며, 개방된 하단이 상기 분쇄부(200)의 후술할 수용부재(3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시 분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시 분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압착 과정 시 분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분쇄 과정시 분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압착 과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압착 과정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쇄부(200)는 도 2(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어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쇄부(200)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배치되고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수용된 음식물을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하는 커터부재(230)로 분쇄하고, 분쇄가 완료된 음식물을 압착시켜 상기 분쇄부(200) 하단에 배치된 분리부(300)로 음식물 쓰레기의 액상 물질을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쇄부(200)는 회전축(210), 거름망(220), 커터부재(230), 손잡이부재(240) 및 덮개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축(210)은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및 인장에 따라 단계적으로 길이 가변이 가능한 길이 방향의 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210)은 하단에 거름망(220)이 부착되고, 상기 거름망(220) 상측에 다수개의 커터부재(230)를 구비하며, 상단에 손잡이부재(240) 및 상기 손잡이부재(240)의 하측에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 개방구(110)를 밀폐시키는 덮개부재(250)가 구비된 축으로, 상기 손잡이부재(240)에 의해 수동 조작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터부재(230)의 회전으로 음식물을 분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은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하여 분쇄 과정을 마친 음식물을 압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축(210)은 길이의 수축으로 상기 거름망(220)을 상승시키고, 상승된 거름망(220)에 의해 상기 거름망(220)과 상기 덮개부재(250)가 밀착됨으로써, 상기 거름망(220)과 상기 덮개부재(250) 사이 음식물이 압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구성하는 수분이나 액상 물질들이 하단의 분리부(300)로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10)은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관이 이웃하는 관으로 삽입 및 이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탈되어 인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축(210)은 지지관(211), 걸림홀(212) 및 걸림돌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관(211)은 직경이 상이하여 이웃하는 다른 개소 내부로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관(211)은 상기 회전축(210)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관으로, 직경이 상이하게 구성되며, 직경의 크기가 단계별로 이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직경이 작은 관이 이웃하는 관 즉, 직경이 큰 관 내부로 삽입되거나 다시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10)의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관(2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211a), 상기 제1관(211a)과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관(211a)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211a)보다 직경이 큰 제2관(211b) 및 상기 제2관(211b)과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관(211b)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관(211b)보다 직경이 큰 제3관(211c)으로 구성되어, 상기 분쇄부(200)가 음식물 분쇄 과정을 실행할 때는 상기 제1관(211a), 제2관(211b) 및 제3관(211c)이 삽입없이 연결되며, 분쇄 과정을 마치고, 음식물 압착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재(240)를 당겨 상기 제1관(211a)이 제2관(211b)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관(211b)이 제3관(211c)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가 수축됨으로써 내부 음식물을 압착하여 음식물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관(2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3개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관(211)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직경이 상이한 다양한 갯수의 지지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관(211)은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가 음식물을 분쇄시킬 뿐 아니라 분쇄된 음식물을 압착하여 음식물 내부 액상 물질을 빼내는 탈수 과정도 수행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위생적인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걸림홀(212)은 상기 지지관(211)의 일측에 구비되는 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홀(212)을 상기 지지관(211)의 상측에 구비되는 홀 형상으로, 이웃하는 지지관(211)의 걸림돌기(213)가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홀(212)은 회전축(210)이 인장될 때 상기 지지관(211)이 이웃하는 지지관(211)에서 이탈되어 이웃하는 지지관(211)의 걸림돌기(213)가 삽입되어 결려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관(211)의 이탈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걸림홀(212)은 상기 걸림돌기(213)와 동일한 경도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213)는 상기 지지관(211)의 타측에 구비되고, 이웃하는 지지관(211)의 걸림홀(21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3)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눌림 및 눌림 해제가 가능한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3)는 상기 걸림돌기(213) 외주면이 일정 각도 굴곡진 곡면(213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213)는 상기 지지관(211)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축(210)이 인장되어 지지관(211)이 이웃하는 지지관(211) 내부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이웃하는 지지관(211)의 걸림홀(212)에 걸려져 상기 회전축(210)의 인장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3)는 이웃하는 지지관(211)에 삽입 시에는 눌림상태로 삽입되고, 빠져 나올때는 돌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된 버튼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213)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상기 회전축(210)의 수축시에는 이웃하는 지지관(211)의 내주면에 눌려 눌림 상태 즉,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회전축(210)의 인장시에는 이웃하는 지지관(211)에서 빠져나오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홀(212)에 걸려져 상기 회전축(210)의 인장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3)는 상기한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돌출면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곡면(213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213)는 이웃하는 지지관(211) 내부 삽입시 상기 지지관(21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일면이 기울어진 곡면(213a)으로 구성되어 내부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21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관(211) 내부에 상기 회전축(210)을 지지하는 지지봉(21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봉(214)은 상기 지지관(21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2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지지관(211)은 상기 지지봉(214)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상태로 압축 및 인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214)은 하단에 상기 지지관(211)의 하단 및 상기 거름망(22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름망(220)은 상기 회전축(210)의 일단에 장착되는 매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름망(220)은 상기 회전축(21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210)의 수축으로 상기 덮개부재(250)와 함께 상기 음식물을 압착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거름망(220)은 상기 거름망(220)의 직경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주면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분리부(300)로 상기 음식물의 액상 물질만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터부재(230)는 상기 회전축(210)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동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터부재(230)는 상기 손잡이부재(24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10)의 하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성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자르고 분쇄할 수 있는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부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쟁기 모양의 원호날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호날은 상기 커터부재(230)의 안쪽 곡면날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터부재(230)는 안쪽 곡면날을 갖는 원호 형상이며, 상기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 반경 내로 용이하게 수용하여 분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터부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10)에 동일한 높이상에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210)에 상이한 높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240)는 상기 회전축(210)의 타단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재(240)는 상기 회전축(210)의 상단이 일정 각도 굴곡지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잡고 상기 회전축(210)과 커터부재(2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재(250)는 상기 손잡이부재(240)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구(110)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재(250)는 개방된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 개방구(110)를 커버하는 덮개로써, 상기 회전축(210)의 손잡이부재(240)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00)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250)는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구(110)를 개폐하는 기능뿐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 과정 시 압축된 회전축(21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한 거름망(220)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재(250)는 상기 회전축(210)이 수축되면 상기 거름망(220)과 상기 덮개부재(250) 간의 거리가 짧아져 상기 거름망(220)과 상기 덮개부재(250) 사이에 배치된 음식물을 압착하게 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250)는 상기 본체부(100) 상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 상단과 상기 덮개부재(250) 하단에 나사산(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나사산(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하단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거름망(220)을 통과한 액상 물질을 수용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00) 하단을 폐쇄하고, 상기 거름망(220)을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의 액상 물질을 수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액상 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300)는 분리부재(310) 및 수용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310)는 상기 액상 물질을 수용하고, 상기 본체부(100)에 삽입 및 이탈되는 서랍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부재(310)는 상기 수용부재(320)에 삽입되어 액상물질을 수용한 후 상기 수용부재(320)에서 이탈되어 수용된 액상 물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버릴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재(320)에 슬리이드 삽입 되고 이탈되는 서랍식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재(310)는 상기 액상 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액상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3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외측에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320)는 상기 분리부재(310)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재(320)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의 가장 하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개방된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의 바닥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320)는 상기 분리부재(310)를 수용하여 상기 분리부재(310)가 상기 액상 물질을 받아 수용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재(320)는 일측에 상기 분리부재(310)의 출납을 위해 일정 공간으로 개방된 출납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분리부재(310)는 상기 출납구(321)를 통해 상기 수용부재(320)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믈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크기가 작고 구성이 간단하며 전력 사용없이 수동 조작으로도 음식물의 분쇄 및 탈수가 가능할 뿐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여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수동 조작만으로도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탈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비용이 절감되며, 전력 공급이 불가능한 야외 활동시에도 효과적으로 음식물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압축 및 인장에 따라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한 회전축을 구비하여 음식물 분쇄 뿐 아니라 분쇄를 마친 음식물을 압착하여 액상 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위생적인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100 : 본체부 110 : 개방구
200 : 분쇄부 210 : 회전축
211 : 지지관 211a : 제1관
211b : 제2관 211c : 제3관
212 : 걸림홀 213 : 걸림돌기
213a : 곡면 220 : 거름망
230 : 커터부재 240 : 손잡이부재
250 : 덮개부재 300 : 분리부
310 : 분리부재 311 : 손잡이
320 : 수용부재 321 : 출납구

Claims (6)

  1.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어 수용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압축 및 인장에 따라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한 길이 방향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장착되는 매쉬형상의 거름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동하는 다수개의 커터부재;
    상기 회전축 타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재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부의 개방구를 커버하는 덮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직경이 상이하여 이웃하는 다른 개소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다수개의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일측에 구비되는 걸림홀; 및
    상기 지지관의 타측에 구비되고, 이웃하는 지지관의 걸림홀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눌림 및 눌림 해제가 가능한 버튼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외주면이 일정 각도 굴곡진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유출된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분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본체부 하단에 배치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 내부에 삽입 및 이탈되며, 상기 액상 물질을 수용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분리부재의 출납을 위한 일정 공간의 출납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200183587A 2020-12-24 2020-12-24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20092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87A KR20220092129A (ko) 2020-12-24 2020-12-24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87A KR20220092129A (ko) 2020-12-24 2020-12-24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129A true KR20220092129A (ko) 2022-07-01

Family

ID=8239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587A KR20220092129A (ko) 2020-12-24 2020-12-24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21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652A (ko)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스타리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652A (ko) 2005-01-31 2006-08-03 주식회사 스타리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6999B2 (en) Garbage disposer
KR10143802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69110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CN214348569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1831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JP3098005B2 (ja) 作動圧力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粉砕搾汁機
KR20220092129A (ko) 휴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79869Y1 (ko) 싱크대 내부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31179A (ko) 탈수 쓰레기통
KR101196428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130091070A (ko)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100723358B1 (ko) 싱크대에 적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120130376A (ko) 소용량 음식물 건조처리기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80068617A (ko) 음식물 쓰레기용 감량기
KR0179418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429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199203B1 (ko) 음식물쓰레기 압축처리장치
KR200440644Y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처리장치
KR20110080601A (ko) 듀얼 스크류 음식물 처리기
KR2013014249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